KR20220002596A -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596A
KR20220002596A KR1020217039061A KR20217039061A KR20220002596A KR 20220002596 A KR20220002596 A KR 20220002596A KR 1020217039061 A KR1020217039061 A KR 1020217039061A KR 20217039061 A KR20217039061 A KR 20217039061A KR 20220002596 A KR20220002596 A KR 2022000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arameter
message
information
parameter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씨 루
쩐샨 자오
훼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저장 매체를 더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5 세대(5th Generation,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의 차량과 다른 기기 간(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에, 유니캐스트 연결 및 멀티캐스트 연결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전자 기기 간의 제어,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대한 제어 또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기기 간의 제어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현재 효과적인 해결책이 없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V2X 중 전자 기기 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이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정보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제1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이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6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제7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8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정보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고, 제1 단말 기기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대한 유니캐스트 연결 또는 멀티캐스트 연결의 제어를 구현한다. 제1 단말 기기를 통해 메시지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거나, 제1 단말 기기를 통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모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며, 제1 단말 기기 및 제2 단말 기기가 모두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또는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기기 간 제어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3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 4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 기기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과 기술적 내용을 더욱 상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사용될 뿐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먼저 IOV(Internet of Vehicles) 시스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IOV 시스템은 기기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 기반의 사이드링크(side link, SL) 전송 기술로서,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을 통해 수신 또는 송신되는 방식과 달리, IOV 시스템에서 통신 데이터는 기기 간 직접 통신의 방식을 적용하며, 따라서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 낮은 전송 지연을 가진다.
3GPP Rel-14는 V2X에 대해 표준화를 진행하였으며, 모드 3 및 모드 4 두 가지 전송 모드를 정의하였다.
모드 3의 경우, 데이터 전송의 흐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고, 차량용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에 따라 사이드링크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며, 기지국은 단말기에 단일 전송의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고, 단말기에 반정적 전송의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모드 4의 경우, 데이터 전송의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는 센싱(sensing) 및 예비(reservation)의 전송 방식을 적용한다. 차량용 단말기는 자원 풀에서 센싱 방식을 통해 사용 가능한 전송 자원 집합을 획득하며, 단말기는 상기 집합 중에서 하나의 자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 IOV 시스템 중 서비스는 주기적 특성을 가지므로,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반정적 전송 방식을 적용한다. 즉, 단말기는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하면, 상기 자원을 복수 개의 전송 주기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며, 이에 따라 자원 재선택 및 자원 충돌의 확률을 감소한다. 단말기는 이번에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다음 번 전송하고자 예비된 자원의 정보를 포함하여, 다른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의 제어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자원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예비 및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 충돌을 감소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한편으로, 유니캐스트 연결 및 멀티캐스트 연결을 NR-V2X에 도입하였으나, 유니캐스트 연결 또는 멀티캐스트 연결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관련 정보 보고를 어떻게 제어하고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유니캐스트 연결 또는 멀티캐스트 연결에 대한 심층 제어를 어떻게 구현할지에 관하여 현재 해결책이 없다. 다른 한편으로, UE-UE 제어를 NR-V2X에 도입하였으나, UE-UE에 대한 제어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아직 효과적인 해결책이 없다. 예를 들어, UE-UE의 능력 상호작용 및 상호 제어를 어떻게 트리거할 것인지, 어느 정도로 상호작용 제어를 수행할 것인지, 제어 측과 피제어 측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이상 상황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글로벌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통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과 같은 각종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통신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 기기(120, 또는 통신 단말기, 단말기로 칭함)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지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다. 또한,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이거나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말 기기'는 공용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와 같은 유선 회선 연결을 통한 것;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 FM 방송 송신기, 및 / 또는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다른 단말 기기의 장치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 및/또는 사물 인터넷 (IoT) 기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단말 기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실예로는 위성 또는 휴대폰;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 패드, 달력 및/또는 위치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일반 랩톱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핸드헬드형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변조 복조 장치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 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20) 간에는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칭할 수도 있다.
도 3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와 두 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시스템 중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는 통신 기기로 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 기기(120)는 상술한 구체적인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통신 기기는 통신 시스템(100) 중 다른 기기(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제1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01 단계: 제1 단말 기기는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한다.
제1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이다. 상응하게,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1 단말 기기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유니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것,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멀티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유지 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품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품질은,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수신된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 연결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속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송신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수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QoS 속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서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PLMN 유형은 동일 PLMN 및 다른 PLMN을 포함하며, 상기 동일 PLMN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HPLMN과 현재 액세스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PLMN이 동일한 것을 가리키고, 상기 다른 PLMN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HPLMN과 현재 액세스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PLMN이 다른 것을 가리킨다.
실시예에서, 제2 단말 기기의 PLMN 정보는 홈 PLMN(Home PLMN, HPLMN) 식별자 및/또는 제2 단말 기기의 HPLMN 유형이다.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의 파라미터,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의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의 파라미터,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의 파라미터, 물리(PHY) 계층의 파라미터,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의 선택 파라미터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드의 선택은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RAT의 선택 파라미터는 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rovider Service Identifier, 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pplication-Identifier, 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방식은 NR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은 동일 PLMN 및 다른 PLMN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주소와 상기 타겟 주소는 전부 주소 정보가 아니라 간소화된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여 특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소 인덱스의 길이가 24 비트의 주소이고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에 보고한 주소 리스트에 16 개 주소가 포함되면, 4 개의 비트로 해당 주소 리스트 중 구체적인 주소를 식별할 수 있으며, 24 개 비트로 해당 주소 리스트 중 구체적인 주소를 식별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제1 단말 기기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경우, 제1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채널 조건은 채널 혼잡 비율(CHannel Busy Rate, CBR)을 포함하고, 속도는 제1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이고, 액세스 방식은 LTE 시스템을 통한 액세스 또는 NR 시스템을 통한 액세스이고,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사전 처리한 후의 수치이다. 상기 사전 처리는 적어도 최대치 처리, 최소치 처리 및 평균치 처리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사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황이 전파 방식이고 사전 처리가 평균치 처리인 것을 예로 들면, 전파 방식은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유니캐스트를 포함하고, 멀티캐스트에 대응하는 값은 1이고 브로드캐스트에 대응하는 값은 2이며 유니캐스트에 대응하는 값이 3이고, 전파 방식에 대해 평균치 처리를 수행한 후의 값은 2이다. 따라서, 사전 처리는 각 상황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값에 대해 최대치 처리, 최소치 처리 또는 평균치 처리를 수행한다. 기기 간 연결 상황이 전파 방식 및 액세스 방식 두 가지를 포함하는 경우, 전파 방식 및 액세스 방식 각각에 대해 사전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것은 사전 처리 과정의 일 실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는,
RRC 계층의 파라미터, PDCP 계층의 파라미터, RLC 계층의 파라미터, MAC 계층의 파라미터, PHY 계층의 파라미터, 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드의 선택은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RAT의 선택은 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이 포함된다.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이 포함된다.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업링크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RRC 시그널링에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이 포함된다.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SR에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이 포함된다.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BSR에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기기 간 연결 상황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되는 경우,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해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PUCCH 포맷이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비트 수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기기 간 연결 상황에 포함된 서로 다른 콘텐츠에 대해, 상응하는 PUCCH 포맷을 적용하여 운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기 간 연결 상황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더 수신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구성 정보를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PUCCH의 전송 자원 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DCI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며, 해당 DCI에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술한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PUCCH의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복수 개의 PUCCH 전송 자원에서 하나의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하나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PUCCH와 해당 DCI의 시간 간격을 지시하며, 나아가 PUCCH의 주파수 영역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전송하는 PUCCH의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위에서 구성 정보가 PUCCH의 전송 자원 집합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인 실시 시, 구성 정보는 PSSCH의 전송 자원 집합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DCI를 통해 제1 단말 기기에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며, 해당 DCI에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술한 구성 정보를 결합하여 PSSCH의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복수 개의 PSSCH 전송 자원에서 하나의 전송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하나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PSSCH와 해당 DCI의 시간 간격을 지시하며, 나아가 PSSCH의 주파수 영역 자원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전송하는 PSSCH의 전송 자원을 확정할 수 있다.
제2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이다. 상응하게,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제1 단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단말 기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발견 채널(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DCH) 등 방식으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즉,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즉,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 정보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제1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되며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DIRECT_COMMUNICATION_REQUEST,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DIRECT_SECURITY_MODE_COMMAND,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메시지 DIRECT_SECURITY_MODE_COMPLETE,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 DIRECT_COMMUNICATION_ACCE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실예로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능력 및/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능력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한다.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 정보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거나,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 정보에 의해 트리거하든지 제1 단말 기기의 제1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하여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을 구현하든지 막론하고 모두 주기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즉,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은 제2 단말 기기를 주기적으로 트리거한다. 또는, 제1 단말 기기는 제1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는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와 같은 서로 다른 차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은 바로 제1 파라미터의 서로 다른 차원이다.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RAT는 NR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가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와 호환되는 송신 파라미터이다. 상기 제1 메시지가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와 호환되는 수신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가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와 호환되는 수신 파라미터인 것을 기초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PC5-signaling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보안 파라미터 구성 수행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수신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상황은 QoS,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한다.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또는 수신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RAT는 NR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의 RSRP,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의 RSRQ,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의 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및/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제3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3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기존의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거나,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새로 발생된 서비스에 따라 확정된다.
제3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이고 상기 메시지는 제2 파라미터 조합이다. 상응하게,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2 시간 길이 내에 제3 메시지의 송신 준비를 완료해야 함을 지시한다. 상기 제3 메시지는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구성 성공을 특징화하거나, 상기 제3 메시지는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구성 실패를 특징화한다.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태 및 커버리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다. 여기서, 제2 단말 기기가 RRC 연결 상태, 아이들 상태 및/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외에 있는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 대해, 제2 시간 길이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인 실시 시, 자원 허가를 사용하여 제2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를 지시하거나,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거나,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서로 다른 단말 기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PSCCH, PSSCH,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 또는 PSDCH 등 방식으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즉,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즉,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 정보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제2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며,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고,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에 성공하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트리거한다. 제1 단말 기기가 제5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에 성공하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1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거나,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제2 메시지가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트리거하든지 제2 단말 기기의 제2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하여 제2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을 구현하든지 막론하고 모두 주기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즉,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은 제1 단말 기기를 주기적으로 트리거한다. 또는,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제2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트리거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signaling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는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는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는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는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이다.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한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2 파라미터를 구성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수신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상황은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또는 수신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파라미터 조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앞서 언급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에서, 상술한 S201 단계를 기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완료한 것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거절한 것,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의 실패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시지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에 실패한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사용하고 있는 제4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확립할 것을 요구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한다. 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한다.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공한 제3 파라미터 조합 또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안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을 가리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메시지는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 및 제4 파라미터 조합에 포함된 정보는 전술한 제1 파라미터 조합에 포함된 정보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S202 단계: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1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의 카운팅은 종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4 메시지를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며, 상기 제4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실패는 제1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연결 실패를 가리킨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4 메시지를 상위 계층에 송신하지 않는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5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5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5 메시지를 어느 제2 단말 기기에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지 않는다.
상기 연결 실패는 연결 확립 실패, 연결 구성 실패, 연결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 획득 실패, 연결 해제 실패 및 링크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없다. 구체적인 실시 시, 제1 단말 기기는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고 제1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제1 단말 기기는 어떠한 기기 간 연결 상황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할 수 없다. 여기서, 보고할 수 없는 어떠한 단말 기기 대 단말 기기는 이미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한 기기 간 연결 상황과 동일하거나 다른 기기 간 연결 상황을 포함한다.
제2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6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실패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실패를 가리킨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6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지 않는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7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7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실패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실패를 가리킨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7 메시지를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제1 타이머의 시간 길이 내에 제1 단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제2 단말 기기에 한번만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3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8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며, 상기 제8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실패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연결 실패를 가리킨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8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지 않는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9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상기 제9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실패는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 사이의 연결 실패를 가리킨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9 메시지를 어느 제2 단말 기기에도 송신하지 않는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지 않는다. 상기 연결 실패는 연결 확립 실패, 연결 구성 실패, 연결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 획득 실패, 연결 해제 실패 및 링크 실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다. 즉, 제2 타이머의 시간 길이 내에 제1 단말 기기는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한번만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선택적인 처리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단계: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유니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것,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멀티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것,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및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 연결의 QoS 속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2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로 송신된 것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구성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구성은 RRC 계층의 구성, PDCP 계층의 구성, RLC 계층의 구성, MAC 계층의 구성, PHY 계층의 구성, 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모드의 선택은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RAT의 선택은 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및 수신 파라미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요청을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방식은 NR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구성된다.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속도를 예로 들면, 서로 다른 제1 단말 기기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서로 다른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한다. 또 전파 방식을 예로 들면,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유니캐스트와 같은 서로 다른 전파 방식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서로 다른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기본 구성을 더 포함한다. 즉, 각 상황에 대해 두 가지 구성을 포함한다. 하나는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1 기본 구성이다. 제1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기본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조건은 서로 다른 상황의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채널 조건, 속도 및 액세스 방식에 기초하여 3 가지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지만, 현재 제1 이동 단말기는 3 가지 파라미터 구성 중 2 가지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 기기는 제1 기본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3 가지 파라미터 구성이 존재하는 경우, 사전 설정된 구성의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전용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및 사전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파라미터 구성을 구현한다.
상술한 정보 처리 방법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400)의 구성 개략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고 제1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40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기기이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유니캐스트 통신을 진행하거나,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진행하거나,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유지 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품질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품질은 사이드링크의 RSRQ, RSRQ 및 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 연결의 QoS 속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송신된 것이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수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QoS 속성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서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의 카운팅은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제4 메시지를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제5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5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더 이상 보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및 통신 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방식은 NR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제1 메시지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PC5-signaling 시그널링 메시지, RRC 메시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수행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제6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6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제7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7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제1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상황은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비스 품질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기존의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는 것,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새로 발생된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확정된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제2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트리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트리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의 구성에 성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제2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signaling 시그널링 메시지, RRC 메시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2 파라미터를 구성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상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402)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40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메시지는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거절한 것,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의 실패를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사용하고 있는 제4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확립할 것을 요구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제8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8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제9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9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한다.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태 및 커버리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다.
상술한 정보 처리 방법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의 구성 개략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50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유니캐스트 통신을 진행하거나,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진행하거나,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진행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및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의 QoS 속성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QoS 속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2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제2 단말 기기로 송신된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및 수신 파라미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요청을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및 수신 파라미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구성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RRC 계층의 구성, PDCP 계층의 구성, RLC 계층의 구성, MAC 계층의 구성, PHY 계층의 구성, 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AT의 선택은 장기 진화 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의 서비스 품질(QoS) 속성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QoS 속성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2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제2 단말 기기로 송신된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파 방식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방식은 NR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및 LTE 시스템에서의 액세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모드는 단말 기기가 자원을 자주적으로 선택하는 모드 및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의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모드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구성된다.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제1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기본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조건은 서로 다른 상황의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상기 구성에 대한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은 전용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사전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제 단말 기기의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제1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도이며, 전자 기기(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04)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700) 중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705)을 통해 하나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버스 시스템(705)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705)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8에서 각종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705)으로 표기하였다.
이해할 것은, 메모리(7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메모리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는 ROM, 피롬(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성 램(FRAM, 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표면 메모리, 광 디스크, 또는 시디롬(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일 수 있으며, 자기 표면 메모리는 자기 디스크 메모리 또는 자기 테이프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캐시로 기능한다. 예시적이지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여러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정적 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 정적 램(SSRAM, Synchronous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디램(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에스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더블 데이터 레이트 에스디램(DDR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향상된 에스디램(ESDRAM, Enhanced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싱크링크 디램(SLDRAM, SyncLink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직접 램버스 램(DRRAM, Direct Rambus 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메모리(702)는 이러한 메모리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고자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메모리(702)는 전자 기기(700)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실예는 애플리케이션(7022)과 같은 전자 기기(7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7022)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701)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7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01)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7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해독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되어 수행 완료되거나 해독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수행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7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701)는 메모리(702) 중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7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MCU, MPU 또는 다른 전자소자로 구현되어 전술한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제1 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상응하는 흐름을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상응하는 흐름을 수행하도록 하며, 간결을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이해할 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기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 개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 블록 또는 복수 개 블록 중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의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명령장치는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 개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 블록 또는 복수 개 블록 중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딩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생성함으로써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기기에서 수행되는 명령은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 개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한 블록 또는 복수 개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이상의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어떠한 수정, 동등교체 및 개진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22)

  1.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1 단말 기기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유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품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품질은 사이드링크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사이드링크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및 사이드링크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 연결의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수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공중육상이동망(PLMN)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의 파라미터,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의 파라미터,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의 파라미터, 물리(PHY) 계층의 파라미터, 무선 액세스 기술(RAT)의 선택 파라미터,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AT의 선택 파라미터는,
    장기 진화(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보고된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사전 처리한 후의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처리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전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처리는 최대치 처리, 최소치 처리 및 평균치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2. 제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3. 제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4. 제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RRC 계층의 파라미터, PDCP 계층의 파라미터, RLC 계층의 파라미터, MAC 계층의 파라미터, PHY 계층의 파라미터, 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RAT의 선택은,
    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7. 제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8. 제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0. 제2항 내지 제26항, 제28항 및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5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2. 제2항 내지 제26항,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3. 제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더 이상 보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1 메시지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PC5-signaling 시그널링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수행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1.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6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3. 제34항 내지 제39항, 제41항 및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7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5. 제34항 내지 제39항,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6.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7. 제3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8. 제34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0. 제34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1. 제34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4. 제34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기존의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는 것,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새로 발생된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9.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2.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1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이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성공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4.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제2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5.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인 트리거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signaling 시그널링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7. 제55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2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9. 제5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1. 제5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2.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메시지는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4. 제69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거절한 것,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의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사용하고 있는 제4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확립할 것을 요구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7.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8. 제5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9. 제5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8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1. 제55항 내지 제77항, 제79항 및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9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3. 제55항 내지 제77항, 제79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4. 제55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5. 제55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제3 메시지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태 및 커버리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7.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2. 제87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및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3. 제87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요청을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4. 제87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및 수신 파라미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5. 제87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6. 제87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7. 제87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의 구성,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구성,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의 구성,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의 구성, 물리(PHY) 계층의 구성, 무선 액세스 기술(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RAT의 선택은,
    장기 진화(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9.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의 서비스 품질(QoS) 속성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0.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2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제2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수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2. 제87항 내지 제1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3. 제87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5. 제8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기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6. 제105항에 있어서,
    제1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기본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서로 다른 상황의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8. 제103항 또는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상기 구성에 대한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9. 제87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은 전용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및 사전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0. 제1 단말 기기로서,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고 제1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기기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4.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5.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6. 제111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유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7. 제111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품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품질은,
    사이드링크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사이드링크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및 사이드링크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19.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 연결의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0.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1.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수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2.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공중육상이동망(PLMN)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3. 제121항 또는 제1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4. 제121항 내지 제1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의 파라미터,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파라미터,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의 파라미터,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의 파라미터, 물리(PHY) 계층의 파라미터, 무선 액세스 기술(RAT)의 선택 파라미터,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RAT의 선택 파라미터는,
    장기 진화(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6. 제111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상기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8. 제111항 내지 제1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보고된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사전 처리한 후의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29. 제1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처리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PSID, 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전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0. 제128항 또는 제129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처리는 최대치 처리, 최소치 처리 및 평균치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1. 제111항 내지 제1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2. 제111항 내지 제1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파라미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3. 제111항 내지 제1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RRC 계층의 파라미터, PDCP 계층의 파라미터, RLC 계층의 파라미터, MAC 계층의 파라미터, PHY 계층의 파라미터, 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RAT의 선택은,
    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5. 제110항 내지 제1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6. 제110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대해 구성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7. 제110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4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8.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39. 제111항 내지 제135항, 제137항 및 제1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5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0.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1. 제111항 내지 제135항, 제137항 내지 제1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2. 제111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기기 간 연결 상황을 네트워크 기기에 더 이상 보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3.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1 메시지를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 기기를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4.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5.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6. 제143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송신해야 할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7. 제143항 내지 제1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8. 제143항 내지 제1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PC5-signaling 시그널링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수행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49. 제143항 내지 제1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0. 제143항 내지 제1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제6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1. 제15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2. 제143항 내지 제148항, 제150항 및 제1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제7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3. 제152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4. 제143항 내지 제148항, 제150항 내지 제1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5. 제143항 내지 제1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1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6. 제143항 내지 제1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7. 제143항 내지 제1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1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8.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59. 제143항 내지 제1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0. 제143항 내지 제1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1.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2.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QoS 속성을 가진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함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3. 제143항 내지 제1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기존의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는 것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새로 발생된 서비스에 따라 확정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4.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5.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6. 제16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컨테이너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7.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8. 제164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69. 제1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0. 제169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1. 제164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액세스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2.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의 구성에 성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3. 제164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제2 메시지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4. 제164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제2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인 트리거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5.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signaling 시그널링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료 확인 메시지, 및 연결 확립 완료 확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6. 제164항 내지 제1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제2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7. 제176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무선 액세스 유형(RAT) 및 제2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된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8. 제164항 내지 제1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79.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0. 제164항 내지 제1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1. 제178항 또는 제1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2. 제18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메시지는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3. 제178항 또는 제18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을 거절한 것,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구성의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4. 제18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사용하고 있는 제4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확립할 것을 요구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5. 제18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6. 제18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7. 제164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타이머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8. 제164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제8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89. 제188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0. 제164항 내지 제186항, 제188항 및 제1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제9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1. 제190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메시지는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2. 제164항 내지 제186항, 제188항 내지 제1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연결 재확립 과정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3. 제164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기기에 더 이상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4. 제164항 내지 제1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제3 메시지의 송신 준비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5. 제19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태 및 커버리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기기.
  196. 네트워크 기기로서,
    제1 단말 기기에 대한 기기 간 연결 상황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7. 제196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8.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단말 기기와 유니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9.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0.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1. 제196항 내지 제2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및 해제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2. 제196항 내지 제2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의 연결 확립 요청을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3. 제196항 내지 제2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제2 단말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및 수신 파라미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락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4. 제196항 내지 제2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자원 사용 상황 및 전력 사용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5. 제196항 내지 제2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베어러의 관련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6. 제196항 내지 제2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의 구성,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구성,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의 구성,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의 구성,
    물리(PHY) 계층의 구성,
    RAT의 선택, 및
    통신 모드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7.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RAT의 선택은,
    장기 진화(LTE)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엔알(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LTE 네트워크 또는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및
    LTE 네트워크 및 NR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8. 제196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단말 기기의 서비스 품질(QoS) 속성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기기의 QoS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9. 제196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2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제2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0. 제20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송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를 지시하는 수신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1. 제196항 내지 제2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타겟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제1 단말 기기의 상위 계층에 의해 하향 송신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베어러 식별자, 논리 채널 식별자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2. 제196항 내지 제2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연결 상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3. 제2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은
    전파 방식, 제2 단말 기기 인식 식별자, 제2 단말 기기의 PLMN 식별자 및 제2 단말 기기의 PLMN 유형 중 적어도 하나, 타겟 주소 및 소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PSID), 지능형 교통 시스템-애플리케이션 식별자(ITS-AID), 액세스 방식, 베어러, 논리 채널, 채널 조건, 속도, 동기화 유형 및 통신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4. 제196항 내지 제2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간 연결 상황은 제1 기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5. 제214항에 있어서,
    제1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기본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6.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서로 다른 상황의 구성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7. 제212항 또는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해, 상기 구성에 대한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파라미터 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8. 제196항 내지 제2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은,
    전용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및 사전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9. 전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의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20.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87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의 정보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21. 저장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222. 저장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제87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의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KR1020217039061A 2019-04-30 2019-04-30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 KR20220002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5338 WO2020220327A1 (zh) 2019-04-30 2019-04-30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96A true KR20220002596A (ko) 2022-01-06

Family

ID=7302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061A KR20220002596A (ko) 2019-04-30 2019-04-30 정보 처리 방법, 기기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53580A1 (ko)
EP (2) EP3955692B1 (ko)
JP (1) JP7328354B2 (ko)
KR (1) KR20220002596A (ko)
CN (2) CN113891285A (ko)
ES (1) ES2964737T3 (ko)
FI (1) FI3955692T3 (ko)
WO (1) WO2020220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7483A (zh) * 2021-09-02 2023-03-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网络服务的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7042167A (zh) * 2022-04-28 2023-11-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通链路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400B2 (en) 2007-01-19 2012-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4584670B (zh) * 2012-08-23 2019-04-19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执行装置到装置发现的方法和设备
DK2932780T3 (en) * 2012-12-12 2017-02-20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BASIC STATION, USER DEVICES, AND RANDOM ACCESS PROCEDURES
US10091707B2 (en) * 2014-03-21 2018-10-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D2D relate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88519B2 (en) * 2014-03-2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D2D transmission in connected state
US10321425B2 (en) * 2014-11-03 2019-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by termin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device-to-device (D2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CN106211188A (zh) * 2015-04-10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更换中继节点的方法及系统、d2d用户设备及控制节点
US10581512B2 (en) * 2015-05-15 2020-03-03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relay, d2d user equipment and control node
US10313867B2 (en) * 2015-06-29 2019-06-04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device provided with prose func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vice provided with prose function
CN108353406B (zh) * 2015-11-05 2022-11-08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基站及通知方法
JP6790371B2 (ja) * 2016-02-04 2020-11-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WO2018082054A1 (zh) * 2016-11-04 2018-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4300A3 (en) 2023-12-06
EP3955692A1 (en) 2022-02-16
WO2020220327A1 (zh) 2020-11-05
US20220053580A1 (en) 2022-02-17
CN112789941A (zh) 2021-05-11
EP4274300A2 (en) 2023-11-08
JP2022536589A (ja) 2022-08-18
EP3955692A4 (en) 2022-03-23
CN112789941B (zh) 2023-12-05
ES2964737T3 (es) 2024-04-09
FI3955692T3 (fi) 2023-11-27
JP7328354B2 (ja) 2023-08-16
CN113891285A (zh) 2022-01-04
EP3955692B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9290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for v2x communication
WO2020200135A1 (zh) 一种资源配置方法及通信装置
US202200535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irst and second terminal devices
KR20220143641A (ko) QoS 제어 방법, 장치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EP3852396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in sidelink, terminal apparatus, and network apparatus
US20210235305A1 (en) Connection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943097B2 (e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0077966A1 (zh)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2703698B (zh) 接入网络节点管理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WO2020077642A1 (zh) 一种连接配置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3883310A1 (e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