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23U - 빨대 일체형 팩 - Google Patents

빨대 일체형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23U
KR20220002323U KR2020210000877U KR20210000877U KR20220002323U KR 20220002323 U KR20220002323 U KR 20220002323U KR 2020210000877 U KR2020210000877 U KR 2020210000877U KR 20210000877 U KR20210000877 U KR 20210000877U KR 20220002323 U KR20220002323 U KR 202200023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pack
plate
main bod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2020210000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323U/ko
Publication of KR20220002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94Preformed openings provided in a wall portion and covered by a separate removable flexib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 일체형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선이 형성되어 전개된 판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판이 본체부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 및 접이선을 따라 접은 후, 본체부의 타측을 와인딩된 빨대부가 위치한 본체부의 일측으로 접착하여 팩을 형성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대 일체형 팩{ALL-IN-ONE STRAW PACK}
본 고안은 빨대 일체형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선을 따라 접어 팩을 형성하도록 전개된 판의 일측에 와인딩되는 서브판이 형성되어 팩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팩의 상부로 연장되어 음용구를 형성하는 빨대부를 형성하고, 음용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빨대 일체형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 두유, 주스 등의 음료수를 포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팩, 병 및 캔 등과 같은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 속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하여 용기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거나 빨대(Straw)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빨대는 얇은 관 모양으로 액체 상태인 음료에 꽂아 입으로 빨아 마시는데 쓰는 도구로써, 주로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일회용인 경우가 많아 환경적 이슈로 부상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빨대는 용기와는 별도로 유통되거나 팩과 같은 용기 외측에 부착되어 유통되고 있다.
특히 음료용기 외측에 부착되는 빨대는 비닐에 포장된 빨대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음료용기 외측에 부착시킨 형태로써, 유통도중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에 의해 빨대가 이탈 혹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취급상에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더불어 판매자는 별도의 빨대를 소비자에게 무상으로 제공해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음료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비닐로 포장된 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빨대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용 비닐을 제거한 후, 음료용기에 형성된 개구에 빨대를 인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빨대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닐은 빨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지만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5988호는 빨대 내장형 팩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팩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상측 빨대의 상단면이 음료의 음용시 직접 입에 닿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빨대 유입홀에 부착된 접착테이프에 부착되는 구조이므로 접착테이프의 접착제 성분이 상측 빨대의 상단면에 잔류하여 인체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 있다.
또한, 대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7714호는 밀봉라벨을 뜯어내면 밀봉라벨 이면의 돌기부에 체착된 스트로우가 딸려 올라오는 스트로우 내장형 음료팩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밀봉라벨에 외력을 가하여 뜯어낼 때, 스트로우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밀봉라벨이 휘거나 비틀리면서 돌기부와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용기와 빨대를 구성하는 재질이 서로 상이할 경우, 음료의 음용 후 빨대를 분리 배출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5988호(1999.10.21.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714호(2003.03.05.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이선을 따라 접어 팩을 형성하도록 전개된 판의 일측에 와인딩되는 서브판이 형성되어 팩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팩의 상부로 연장되어 음용구를 형성하는 빨대부를 형성하고, 음용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빨대 일체형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이선이 형성되어 전개된 판으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판이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 및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힌 부분을 접착하고, 상기 빨대부가 위치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접착하여 팩을 형성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어 형성된 상기 팩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는 막이 부착되어 개방 시 떼어낼 수 있는 커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서브판의 하부를 상기 판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판을 와인딩 시, 상기 본체부의 하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흡입구; 및 상기 판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거리에 위치한 서브판이 와인딩되어 형성된 음용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음용구에 인접하여 주름부를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음용구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은 접이선을 따라 접어 팩을 형성하도록 전개된 판의 일측에 와인??되는 서브판이 형성되어 팩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팩의 상부로 연장되어 음용구를 형성하는 빨대부를 형성하고, 음용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주름부를 형성하여 빨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은 종이로 제조하여 분리수거가 용이하고 쓰레기를 절약할 수 있어서 환경 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빨대부는 서브판의 하부를 판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서브판을 롤형상으로 와인딩 시, 팩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빨대관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의 시간을 줄여 제조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을 전개하여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의 개념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을 전개하여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의 개념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10)은 본체부(100), 빨대부(200) 및 접착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10)은 접이선(101)이 형성되어 전개된 판(110)으로 형성된 본체부(100), 본체부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판(210)이 본체부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200) 및 접이선을 따라 접힌 부분을 접착하고, 빨대부가 위치한 본체부의 일측에 본체부의 타측을 접착하여 팩을 형성시키는 접착부(3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접이선(101)이 형성되어 전개된 판(110)으로 형성된다.
판(110)은 면적이 넓은 장판(111)과 장판(111)의 일측에 면적이 장판(111)보다 좁은 단판이 형성되어 하나의 제1 유닛을 형성하고, 제1 유닛의 일측에 장판과 단판이 형성되어 제2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장판(111)과 단판(112)의 하부에는 하판(113)이 형성되고, 장판(111)과 단판(112)의 상부에는 상판(114)이 형성된다.
이때, 장판(111)과 단판(112)에는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접이선(101)이 각각 형성되어 접이선(101)을 따라 접을 수 있다.
또한, 하판(113)과 상판(114)에도 접이선(101)이 형성되어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접이선(101)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팩의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선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지를 결합하여 압착하거나 두꺼운 단일의 시트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수가 저장되는 팩의 내부에 해당하는 판(110)의 일면에 분해성 수지를 코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체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20) 및 커버막(130)을 더 포함한다.
토출구(120)는 접이선(101)을 따라 접어 형성된 팩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판(114)의 일측에 관통된 홀을 형성하여 팩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하였다.
커버막(130)은 토출구(120)를 밀폐하는 막이 부착되어 개방 시 떼어낼 수 있는 막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커버막(130)은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음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팩의 내부로 오염물질 및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빨대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판(210)이 본체부(100)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서브판(210)은 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와인딩되어 팩에 빨대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브판(210)은 넓이를 넓게 도시하였으나, 빨대의 지름에 따라 넓이를 좁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빨대부(200)는 흡입구(220) 및 음용구(230)를 더 포함한다.
흡입구(220)는 서브판(210)의 하부를 판(11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서브판(210)을 와인딩 시, 본체부(100)의 하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다.
특히, 흡입구(220)는 롤 형상으로 와인딩 시, 단차에 의해 본체부(100)의 하부와 이격되어 팩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흡입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음용구(230)는 판(1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거리에 위치한 서브판(210)이 와인딩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접이선(101)을 따라 팩의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00)에 음료수가 저장되고, 음용하기 위해 흡입 시, 흡입구(220)로 음료수가 진입하여 음용구(230)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팩(10)의 빨대부(200)는 음용구(230)에 인접하여 주름부(240)를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음용구(230)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주름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지로 형성한 서브판(2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골과 산의 형상으로 제조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서브판(210)을 3겹 또는 4겹의 시트지로 압착하여 제조하여 강성을 형성시키고, 주름부(240)는 2겹 또는 3겹의 시트지로 압착하여 서브측벽(2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또한, 빨대부(200)는 마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250)는 음용구(230)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음용구(230)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개(250)는 음용구(230)의 외면에 분리되게 결합되는 절취선을 형성하여 음용 시, 절취선을 따라 뜯어내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부(300)는 접이선(101)을 따라 접힌 부분을 접착하고, 빨대부(200)가 위치한 본체부(100)의 일측에 본체부(100)의 타측을 접착하여 팩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접착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닛을 형성하는 장판(111)의 일측에 제2 유닛을 형성하는 단판(112)의 타측을 서로 접착하여 내부의 공간이 형성된 팩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유닛의 상판(113) 및 하판(114)과 제2 유닛의 상판(113) 및 하판(114)도 접이선(101)을 따라 접은 후, 서로 접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빨대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상판(113)은 빨대부(200)의 지름에 대응하여 홀을 형성하고, 홀의 주변에 종이재질의 막 또는 분해성 수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서 접착부(300)는 제1 유닛의 장판(111)과 제2 유닛의 단판(112)에만 표현되어 있으나, 팩을 형성하기 위해 하판(113) 및 상판(114)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도 접착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빨대 일체형 팩
100 : 본체부
101 : 접이선
110 : 판
120 : 토출구
130 : 커버막
200 : 빨대부
210 : 서브판
220 : 흡입구
230 : 음용구
240 : 주름부
250 : 마개
300 : 접착부

Claims (5)

  1. 접이선이 형성되어 전개된 판으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판이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 및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힌 부분을 접착하고, 상기 빨대부가 위치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타측을 접착하여 팩을 형성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이선을 따라 접어 형성된 상기 팩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는 막이 부착되어 개방 시 떼어낼 수 있는 커버막을 더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서브판의 하부를 상기 판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판을 와인딩 시, 상기 본체부의 하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흡입구; 및
    상기 판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거리에 위치한 서브판이 와인딩되어 형성된 음용구를 더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음용구에 인접하여 주름부를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음용구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음용구를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팩.
KR2020210000877U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팩 KR202200023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77U KR20220002323U (ko)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77U KR20220002323U (ko)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23U true KR20220002323U (ko) 2022-09-29

Family

ID=8344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77U KR20220002323U (ko)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32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88Y1 (ko) 1999-08-02 2000-02-15 엄형진 빨대 내장형 팩
KR200307714Y1 (ko) 2002-12-05 2003-03-20 (주)일흥조선 스트로우내장형음료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88Y1 (ko) 1999-08-02 2000-02-15 엄형진 빨대 내장형 팩
KR200307714Y1 (ko) 2002-12-05 2003-03-20 (주)일흥조선 스트로우내장형음료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10568A (ja) 内部の袋を備える容器
KR100994113B1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WO2001094235A1 (fr) Recipient a boisson
CN109890726B (zh) 湿片包装体
KR20220002323U (ko) 빨대 일체형 팩
JP2004026197A (ja) 密閉容器用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KR20220002324U (ko) 빨대 일체형 팩
JP4482723B2 (ja) 密封容器
JP7090550B2 (ja) 所定平面において動きを制限される飲用装置を備える包装容器
JP4969901B2 (ja) 紙製のカバー体を貼着した容器
CN210972210U (zh) 包装盒
JP3180950U (ja) ストロー付き紙パック
JP2004331158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3827813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KR102079156B1 (ko)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JP4699463B2 (ja) 注ぎ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注ぎ出し部材
CN209814518U (zh) 具有一体出水吸管道结构的纸杯体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JP2022007952A (ja) 蓋体
JP2000142720A (ja) リブ付き軟包装容器
KR20170002831U (ko) 개봉 확인용 물티슈 용기 덮개
JPH0136785Y2 (ko)
CN216071046U (zh) 配管式罗汉果饮料装盛容器
KR20210101003A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JPH06247435A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