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22U -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22U
KR20220002322U KR2020210000876U KR20210000876U KR20220002322U KR 20220002322 U KR20220002322 U KR 20220002322U KR 2020210000876 U KR2020210000876 U KR 2020210000876U KR 20210000876 U KR20210000876 U KR 20210000876U KR 20220002322 U KR20220002322 U KR 202200023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ide wall
cup
sidewal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2020210000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322U/ko
Priority to PCT/KR2022/004002 priority patent/WO2022203362A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개된 측벽이 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와인딩되어 컵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전개된 측벽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측벽이 측벽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DISPOSABLE CUP WITH INTEGRATED STRAW}
본 고안은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을 형성하는 측벽의 일측에 와인딩되는 서브측벽이 형성되어 컵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음용구를 형성하는 빨대부를 형성하고, 음용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 또는 일회용을 제외한 다종의 컵은 소정량의 음료수를 따라 마실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컵은 저장공간에 음료수를 따라 컵을 사용자의 입쪽으로 기울여야 만이 저장공간 내부의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었다.
특히, 인지능력이 발달하지 못하고 모유의 음용에 적응되어 있는 유아들이 컵 안에 든 음료수를 마실 경우에 컵을 기울여서 음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컵을 들다가 내용물을 엎지르거나, 마시면서 입주위로 흘러나와 옷이나 방바닥을 더럽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어른들이 유아들에게 우유나 음료수를 먹일 경우에도 유아들이 어느 정도 마시는지를 감지하지 못하고, 어느 정도로 컵을 기울여야 음료수를 마시는지 감지하지 못하여 음료수가 유아의 옷이나 방바닥에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2185호(2008.11.28. 등록)인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을 살펴보면,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컵의 벽 내부(외벽과 내벽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한개 또는 2개의 빨대관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을 구성하고, 빨대관은 슬라이드 되어 접히도록 뺄대의 상부에 돌출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돌출부를 컵 상단의 하부에 밀어넣을 수 있도록 컵의 상부에 돌출부 내장홈이 형성된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내장홈에 슬라이딩되는 돌출부를 통해 음용시 돌출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내장홈과 돌출부의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의 발생으로 컵에 저장된 음료수가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를 상부로 이동 시킨 후, 고정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없어 돌출부를 입안에 넣은 후 음료수를 음용하고 나면 돌출부가 내장홈의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음용할 때마다 돌출부를 슬라이딩 하여 상부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컵의 내부에 내장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컵의 외벽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으며, 컵의 재질을 친환경을 위해 종이로 제작 시, 종이의 사용이 과하게 발생되어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218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컵을 형성하는 측벽의 일측에 와인딩되는 서브측벽이 형성되어 컵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음용구를 형성하는 빨대부를 형성하고, 음용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개된 측벽이 상기 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와인딩되어 컵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전개된 상기 측벽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측벽이 상기 측벽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서브측벽의 하부를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측벽을 와인딩 시, 상기 원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흡입구; 및 상기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거리에 위치한 상기 서브측벽이 와인딩되어 형성된 음용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음용구에 인접하여 주름부를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음용구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컵을 형성하는 측벽의 일측에 와인딩되는 서브측벽이 형성되어 컵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음용구를 형성하는 빨대부를 형성하여 음용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주름부를 형성하여 빨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종이로 제조하여 분리수거가 용이하고 쓰레기를 절약할 수 있어서 환경 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전개하여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전개하여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1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10)은 본체부(100) 및 빨대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10)은 원판(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개된 측벽(120)이 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와인딩되어 컵을 형성하는 본체부(100) 및 전개된 측벽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측벽(210)이 측벽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2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는 컵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원판(110) 및 측벽(120)을 포함한다.
원판(110)은 일반적인 일회용 컵의 넓이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지를 결합하여 압착한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원판(110)의 상면에 분해성 수지를 코팅할 수도 있다.
측벽(120)은 원판(110)의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하부는 원판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호를 형성하고 상부는 하부보다 넓은 지름을 형성하는 원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측벽(120)은 원판(110)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가 접착 결합되어 컵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부는 하부보다 지름이 넓은 개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측벽(120)은 원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환경 친화적인 일회용 종이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빨대부(200)는 전개된 측벽(120)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측벽(210)이 측벽(120)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서브측벽(210)은 측벽(1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일체형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빨대부(200)는 흡입구(220) 및 음용구(230)를 더 포함한다.
흡입구(220)는 서브측벽(210)의 하부를 측벽(12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서브측벽(210)을 와인딩 시, 원판(11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홀로 형성된다.
즉, 흡입구(220)는 서브측벽(210)을 와인딩하여 측벽(12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빨대를 형성하기 때문에 측벽(120)과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서브측벽(210)을 와인딩하여 롤의 형상을 이루면 단차에 의해 서브측벽(210)의 하부가 원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다.
음용구(230)는 측벽(12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거리에 위치한서브측벽(210)이 와인딩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컵을 형상한 본체부(100)에 음료수가 저장되고, 음용하기 위해 흡입 시, 흡입구(220)로 음료수가 진입하여 음용구(230)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10)의 빨대부(200)는 음용구(230)에 인접하여 주름부(240)를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음용구(230)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주름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지로 형성한 서브측벽(2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골과 산의 형상으로 제조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서브측벽(210)을 3겹 또는 4겹의 시트지로 압착하여 제조하여 강성을 형성시키고, 주름부(240)는 2겹 또는 3겹의 시트지로 압착하여 서브측벽(2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빨대부(200)는 주름부(240)를 형성할 수 있으나, 시트지를 와인딩하여 주름부없이 흡입구(220)와 음용구(230)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100 : 본체부
110 : 원판
120 : 측벽
200 : 빨대부
210 : 서브측벽
220 : 흡입구
230 : 음용구
240 : 주름부

Claims (3)

  1. 원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개된 측벽이 상기 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와인딩되어 컵을 형성하는 본체부; 및
    전개된 상기 측벽의 일측에 연장된 서브측벽이 상기 측벽의 방향으로 와인딩되어 빨대관을 형성하는 빨대부를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서브측벽의 하부를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되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측벽을 와인딩 시, 상기 원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흡입구; 및
    상기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거리에 위치한 상기 서브측벽이 와인딩되어 형성된 음용구를 더 포함하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부는
    상기 음용구에 인접하여 주름부를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음용구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KR2020210000876U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KR2022000232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76U KR20220002322U (ko)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PCT/KR2022/004002 WO2022203362A1 (ko) 2021-03-22 2022-03-22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76U KR20220002322U (ko)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22U true KR20220002322U (ko) 2022-09-29

Family

ID=8339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76U KR20220002322U (ko) 2021-03-22 2021-03-22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02322U (ko)
WO (1) WO202220336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85B1 (ko) 2007-01-31 2008-12-09 주식회사 하나씨지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476A (en) * 1993-11-15 1995-06-13 Ferrer; Lilly Cup with integral straw
ES1044375Y (es) * 1999-10-14 2000-10-16 Polarcup S A Vaso desechable mejorado.
FI128219B (fi) * 2018-03-12 2019-12-31 Salomaeki Mika Pillijuomapakkaus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N108991889A (zh) * 2018-10-17 2018-12-14 闫泰行 一种纸杯
TW202037314A (zh) * 2019-04-01 2020-10-16 赤誠有限公司 環保杯及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85B1 (ko) 2007-01-31 2008-12-09 주식회사 하나씨지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362A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3201B1 (en) Cap
US7611029B2 (en) Drinking cup lid with a reclosable drink opening using a sliding member
JP4883942B2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JP3448262B2 (ja)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ストロー
KR20220002322U (ko)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US7147121B2 (en) Valve for non-spill cup
US20170251853A1 (en) Device for receiving condensation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KR100872185B1 (ko)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US10993561B2 (en) Dispensing fluids from drinking containers
KR102121144B1 (ko) 음료용 컵
KR20080096738A (ko) 스트로우를 내장한 음료용 팩
KR101877903B1 (ko)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KR200440207Y1 (ko) 드링크 가이드가 부착된 종이컵
JP3786081B2 (ja) ハイブリッドボトル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US20140190966A1 (en) Container lid
KR200450552Y1 (ko)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US20140305953A1 (en) Cup Lid Apparatus
CN213128981U (zh) 一种新型杯盖
KR20180001726U (ko) 공기 유입 공간을 만드는 돌기부를 갖는 스트로
JP6281038B1 (ja) 飲料用容器
JP2588398Y2 (ja) ストロー
CN209331665U (zh) 婴幼儿水杯
JP3116238U (ja) 筒状飲み口を有するボト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