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143A -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143A
KR20220002143A KR1020210084790A KR20210084790A KR20220002143A KR 20220002143 A KR20220002143 A KR 20220002143A KR 1020210084790 A KR1020210084790 A KR 1020210084790A KR 20210084790 A KR20210084790 A KR 20210084790A KR 20220002143 A KR20220002143 A KR 2022000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ang2
seq
composition
corona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이유경
강서경
김한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0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Composition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nti-Ang2 antibody and use thereof}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지오포이에틴-2(Angiopoietin-2, Ang2)는 혈관내피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 Tie2의 길항적인 리간드(antagonistic ligand)이다. Ang2는 Tie2에 결합하는데 있어서 안지오포이에틴-1(Angiopoietin-1, Ang1)과 경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g1은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아고니스트 리간드이다.
한편, 인체가 코로나바이러스, 예를 들면 COVID-19, SARS-CoV, 또는 MERS-CoV에 감염된 경우, 염증 반응으로써 향-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생산이 증가된다. 이들 향-염증성 사이토카인은 감염이 제거되거나 상처가 치유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어떤 개체에서는 사이토카인과 면역 세포 사이의 양성 향-염증성 피드백 루프(positive proinflammatory feedback loop)에 의하여 과도한 반응이 된다. 향-염증성 반응이 과도한 경우, 그 결과를 사이토카인 케스케이드, 과사이토카인혈증(hypercytokinemia) 또는 사이토카인 폭풍증(cytokine storm syndrome, CSS)이라고 한다. 향-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급증은 높은 발열, 쇼크에 이르게 하는 급격한 혈압 하락, 및 폐 또는 다른 조직에 대한 기관 특이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도 불구하고, 항-Ang2 항체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지는 개시된 바 없다.
일 양상은 Ang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Ang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Ang2(angiopoietin-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하여 유도된 사이토카인의 혈관 내 방출을 저해 또는 감소시키는 것, 또는 혈관 투과성(vascular permeability)을 감소 또는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향-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일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IL-1, IL-1Rα, IL-1β, IL-2, IL-2Ra,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2, IL-13, Flt-3L, VEGF, Fractalkine, GM-CSF, IFN-γ, IFN-α, IFN-β,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예를 들면, IL-6, VEGF, IFN-γ, TNF-α, IL-10,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혈관은 개체의 임의의 조직, 예를 들면, 폐, 신장, 심장, 또는 뇌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임의의 코로나바이러스일 수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alphacoronavirus, betacoronavirus, gammacoronavirus, deltacoronaviru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betacoronavirus는 Human coronavirus OC43, Hedgehog coronavirus 1, Human coronavirus HKU1,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related coronavirus, MERS-CoV), 급성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related coronavirus, SARS-CoV),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SARS-CoV는 SARS-CoV-1, SARS-CoV-2,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SARS-CoV-2는 2019년에 확인된 것으로서, COVID-19라고도 한다.
상기 항체는 Ang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Tie2 수용체와 Ang2의 결합을 저해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Tie2에 결합된 Ang2와 3-원(member) 복합체 즉, 항-Ang2-Ang2-Tie2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Ang2-Ang2-Tie2 복합체는 항-Ang2를 통하여 항-Ang2 항체 이합체화(dimerization)를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상기 3-원(member) 복합체 중의 Tie2는 클러스터링(clustering)되어 Tie2 활성 및 그에 따른 Tie2 하류 신호전달(downstream signalling)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는 Ang2와 결합되어 세포내로 이동(internalization)되고 분해됨으로써, Ang2 기능을 저해하고 혈중 순환하는 Ang2 수준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항-Ang2 항체는 Ang1처럼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Tie2 하류 신호전달을 유도하고 혈관내피세포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는 Ang2가 여전히 Tie2와 결합할 수 있도록 Ang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는 Tie2와 직접적으로 결합하지 않지만, Ang2와 결합하고, 차례로 Ang2가 Tie2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는 Tie2 수용체 인산화, Tie2 하류 신호전달 관련 단백질 예를 들면, Akt, eNOS, 42/44, 또는 이들의 조합의 인산화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Ang2, 항-Ang2 항체와 Ang2의 복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ie2 수용체(TEK tyrosine kinase)는 안지오포이에틴-1 수용체로, 마우스(NM_013690; NP_038718), 랫트, 인간(NM_000459; NP_000450) 등의 다양한 포유동물의 혈관내피세포에서 발현되며, 다양한 하류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상기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1의 CDRH1, 서열번호 2의 CDRH2, 및 서열번호 3의 CDRH3, 및 서열번호 4의 CDRL1, 서열번호 5의 CDRL2, 및 서열번호 6의 CDRL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기탁번호(accession number) KCLRF-BP-00295를 갖는 하이브리도마에 의하여 생산되는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10D6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예를 들면, US9828422B2에 개시된 것일 수 있으며, US9828422B2의 개시 내용은 원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기 항체는 인간 항체, 마우스 항체, 키메라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일 수 있다.
용어 "항체(antibody)"는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을 나타낸다. 완전한 항체는 2개의 전장(full length) 경쇄 및 2개의 전장 중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경쇄는 중쇄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항체의 불변 영역은 중쇄 불변 영역과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γ), 뮤(μ), 알파(α), 델타(δ), 엡실론(ε), 또는 그 조합의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쇄 불변 영역은 감마1(γ1), 감마2(γ2), 감마3(γ3), 감마4(γ4), 알파1(α1), 알파2(α2), 또는 그 조합의 서브클래스를 가질 수 있다. 경쇄 불변 영역은 카파(κ), 람다(λ), 또는 그 조합의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용어, "중쇄(heavy chain)"는 항원 특이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가변 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H 및 3개의 불변 영역 도메인 CH1, CH2 및 CH3과 힌지(hinge)를 포함하는 전장 중쇄 또는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용어 "경쇄(light chain)"는 항원 특이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가변영역 서열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 도메인 VL 및 불변 영역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전장 경쇄 또는 이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용어, "상보성 결정 부위(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는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의 고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중쇄 및 경쇄는 각각 3개의 CDR을 포함할 수 있다. 중쇄 CDR은 CDRH1, CDRH2, 및 CDRH3으로 표기된다. 경쇄 CDR은 CDRL1, CDRL2, 및 CDRL3으로 표기된다. CDR은 항체가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접촉 잔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특이적으로 결합" 또는 "특이적으로 인식"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용어는 항원 및 항체가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면역학적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상기 상보성 결정 부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편일 수 있다.
용어, "항원 결합 단편"은 면역글로불린 전체 구조에 대한 그의 단편으로, 항원이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예를 들어, scFv, (scFv)2, scFv-Fc, Fab, Fab' 또는 F(ab')2일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 중 Fab는 경쇄 및 중쇄의 가변영역과 경쇄의 불변 영역 및 중쇄의 첫 번째 불변 영역(CH1)을 가지는 구조로 1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Fab'는 중쇄 CH1 도메인의 C-말단에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을 가진다는 점에서 Fab와 차이가 있다. F(ab')2 항체는 Fab'의 힌지 영역의 시스테인 잔기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이루면서 생성된다. Fv는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부위만을 가지고 있는 최소의 항체 단편으로 Fv 단편을 생성하는 재조합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이중쇄 Fv(two-chain Fv)는 비공유 결합으로 중쇄 가변부위와 경쇄 가변부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단쇄 Fv(single-chain Fv)는 일반적으로 펩티드 링커를 통하여 중쇄의 가변 영역과 단쇄의 가변 영역이 공유 결합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C-말단에서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중쇄 Fv와 같이 다이머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링커는 1 내지 100개 또는 2 내지 50개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 링커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 적절한 서열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해서 얻을 수 있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항체를 파파인으로 제한 절단하면 Fab를 얻을 수 있고 펩신으로 절단하면 F(ab')2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용어 "힌지 영역(hinge region)"은 항체의 중쇄에 포함되어 있는 영역으로서, CH1 및 CH2 영역 사이에 존재하며, 항체 내 항원 결합 부위의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힌지는 인간 항체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힌지는 IgA, IgE, 또는 IgG, 예컨대, IgG1, IgG2, IgG 3, 또는 IgG4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동물 유래 항체가 키메릭화(chimerization)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동물 유래의 IgG1 힌지는 인간 IgG1 힌지로 치환되지만, 동물 유래 IgG1 힌지는 인간 IgG1 힌지에 비하여 그 길이가 짧고, 두 개의 중쇄 사이의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이 3개에서 2개로 감소하여 힌지의 경직성(rigidity)이 서로 상이한 효과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힌지 영역의 변형(modification)은 인간화 항체의 항원 결합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형시키기 위한 아미노산의 결실, 부가 또는 치환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항-Ang2 항체의 가변 부위를 제외한 부분은 인간 항체로부터 유래한 불변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항-Ang2 항체의 가변 부위를 제외한 부분은 IgA, IgE, 또는 IgG, 예컨대, IgG1, IgG2, IgG 3, 또는 IgG4로부터 유래한 불변부위일 수 있다.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인간 Ang2 (hAng2; 서열번호 9; Accession # O15123)의 루프 1 (서열번호 9 중 417번째 아미노산부터 434번째 아미노산까지의 부위)의 전부 또는 일부(예를 들면, 루프 중 외부에 노출된 아미노산 잔기 부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 또는 서열번호 9 중에서 루프 1의 외부에 노출된 아미노산 잔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속하거나 연속하지 않는 2개 내지 20개, 2개 내지 15개, 2개 내지 10개, 또는 2개 내지 5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 부위를 에피토프로서 인식하거나, 이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9에서 Q418, P419, 또는 Q418 및 P419를 포함하는 연속하거나 연속하지 않는 2개 내지 15개, 2개 내지 10개, 또는 2개 내지 5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는 서열번호 9의 Q418 및 P419의 아미노산 잔기를 에피토프로 인식하거나 또는 이 부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부위인 Q418, P419,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부위는 Ang2의 3차원 구조의 루프 1에 위치하는 노출된 아미노산 잔기로서, Ang2와 Tie2 수용체 간의 결합에 직접 관여하거나, 이를 조절하는 부위인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항-Ang2 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부위인 Q418, P419,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부위에 있어서, "연속하지 않는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2차 또는 3차 구조상에서는 서로 인접하지만, 아미노산 서열 상에서는 연속하지 않는 아미노산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연속하거나 연속하지 않는 아미노산 잔기"는 단백질의 1차, 2차 또는 3차 구조 상에서 연속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약물의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Ang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투여는 상기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동물 예를 들면, 포유동물일 수 있다. 포유동물은 사람, 및 원숭이를 포함한 영장류, 또는 마우스, 및 랫트를 포함한 설치류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있다.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경구 투여시, 상기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단편이 소화 또는 분해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여는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용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소망하는 약리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유효 성분의 함량 또는 투여량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간격,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1일 투여량은 예를 들면, 0.001 내지 1000㎎/kg, 0.01 내지 100㎎/kg, 또는 0.1 내지 50 ㎎/kg일 수 있다. 상기 1일 투여량은 단위 용량 형태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되거나, 적절하게 분량하여 제제화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하여 유도된 사이토카인의 혈관 내 방출을 저해 또는 감소시키는 것, 또는 혈관 투과성(vascular permeability)을 감소 또는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향-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일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IL-1, IL-1Rα, IL-1β, IL-2, IL-2Ra,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2, IL-13, Flt-3L, VEGF, Fractalkine, GM-CSF, IFN-γ, IFN-α, IFN-β,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예를 들면, IL-6, VEGF, IFN-γ, TNF-α, IL-10,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혈관은 개체의 조직, 예를 들면, 폐, 신장, 심장, 또는 뇌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COVID-19, SARS-CoV-1, 또는 MERS-CoV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의하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개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맹장 천공 마우스 모델에서 에반스 블루 누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맹장 천공 마우스 모델에서 폐의 혈관 견고성(vascular integrity)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항-Ang2 항체 투여가 마우스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S1),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S1)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한 경우, 상등액으로 분비된 IL-6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한 경우, 상등액으로 분비된 Ang2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20ug/ml SAIT-Ab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된 HUVEC에 대하여 튜브 형성 분석을 수행하고, 형성된 튜브를 인버티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20ug/ml SAIT-Ab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된 HUVEC에 대하여 튜브 형성 분석을 수행하고, 형성된 튜브에 대하여 CD31 및 VE-cadherin 발현을 CD31 및 VE-cadherin에 대한 면역화학적 염색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항-Ang2 항체 투여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항-Ang2 항체 투여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모델에서 폐 조직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Ang2 항체의 혈관 누출 감소 또는 저해 효과의 확인
청구된 발명은 항-Ang2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예를 들면, COVID-19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가 개체에 감염되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매개로 하여 세포에서 사이토카인 IL-6 발현이 증가하고 나아가 혈관벽의 누출이 일어난다. 상기 항-Ang2 항체는 Tie2 활성화를 통한 혈관 정상화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예를 들면, 중증 COVID-19 감염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상기 항체에 의한 사이토카인 폭풍 억제는 혈관 누출 감소에 의한 것과 신호 전달에 의한 IL-6 발현 자체의 감소에 의한 것일 수 있다.
1. 단일클론 항체 10D6의 생산
항-Ang2 항체로서 단일클론 항체 10D6 항체(이하 "SAIT-Ab"라 함)를 사용하였다. 10D6 항체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이다.
10D6 항체는 하이브리도마(Accession number KCLRF-BP-00295)를 한국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 Bank)으로부터 얻고, 이를 5% CO2 37℃에서 10% 우태아혈청(FBS)로 보충된 DMEM 중에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항체를 분리하여 생산하였다. 생산된 10D6 항체는 본 실시예1, 및 하기 실시예2, 및 실시예3에서 항-Ang2 항체로서 사용되었다. 상기 하이브리도마는 2013년 4월 23일에 대한민국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에 위치한 한국세포주 은행에 기탁된 것으로서, 항-Ang2 항체인 10D6 항체를 생산한다.
2. 맹장 천공(CLP, Cecal ligation puncture) 마우스 모델에서 10D6 항체에 의한 항-혈관 누출 효능 확인
10D6 항체의 항-혈관 누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맹장을 묶고 바늘로 구멍을 내어 장내 박테리아가 복강으로 분출되어 패혈증을 유도하는 CLP 모델에서 10D6 항체가 혈관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해, 성체(adult) C57BL/6L 생쥐 (Jackson Laboratory, 6~8주, 수컷)를 사용하였다. 10D6 항체 10mg/kg의 효능 비교를 위해, Regeneron 사 항체(이하 'RG 항체'라 함) 10mg/kg, COMP-Ang1 (Cartilage oligomeric matrix protein-angiopoietin 1; Tie2 수용체 활성화 물질; 제넥셀)(이하 'CA-1'이라 함) 5mg/kg 및 대조군으로 0.5% BSA 10mg/kg을 복강에 주입하였다. 주입 30분 후 생쥐를 마취하고, 맹장의 75% 길이를 실로 묶고 21-게이지 바늘로 구멍을 내어 패혈증(sepsis)을 유도하였다. 즉, 맹장 천공으로 배설물이 복강내로 유입되어 다균 감염이 일어나고 그에 의하여 Ang2 발현 매개된 혈관벽 누출이 일어난다. 상기 주입 80시간 후 마우스 모델에 대하여 에반스 블루 누출 분석(Evans blue leak assay)을 수행하였다.
구체적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Evans Blue Leak assay를 위해 실험 30분전에 항체를 복강 내 주사하고 맹장 결찰 및 천공(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을 수행한 후에 다시 30분 경과 후 2% Evans blue 100μl를 정맥주사 하였다. CLP 수행 24시간 경과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폐를 수확하였다. 폐 시료를 PBS 버퍼로 린스한 후 티슈(tissue)를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준비된 폐 시료를 반으로 잘라, 절반은 150 ℃의 건조 오븐 중 호일 위에 48 시간 동안 두어 건조시켰다. 다른 시료 절반은 마이크로퓨즈 튜브(microfuge tube) 중의 200 μL 포름아미드 중에 48 시간 동안 두어 에반스 블루를 추출하였다. 이중 50 μL를 취해 에펜도르프(Eppendorf) 분광 광도계로 OD620를 측정하고 이를 건조된 폐의 무게를 달아 환산하였다. 620nm는 Evans blue의 흡광 최대(absorbance max)이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맹장 천공 마우스 모델에서 에반스 블루 누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D6 항체를 사용한 경우만이 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의 투과성을 갖는다. 이는 10D6 항체가 혈관 누출이 일어나고 있는 혈관을 유의미하게 정상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항체 주입 80 시간 후 마우스 모델에서 폐 조직을 절제하여 내고 폐 시료에 대하여 VE-Cadherin 및 CD31에 대하여 면역 염색을 수행하였다. VE-cadherin은 혈관내 페리사이트(pericyte)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단백질로, 페리사이트가 유지되지 못해 혈관 누출이 일어나는 경우, VE-cadherin의 발현양은 감소한다. CD31은 PECAM-1이라고도 한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맹장 천공 마우스 모델에서 폐의 혈관 견고성(vascular integrity)을 나타낸 도면이다. 혈관이 정상으로 리모델링되는 경우 페리사이트가 정상 작용을 하게 되는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LP 모델에 10D6 항체를 처리하였을 때 혈관벽 누출이 정상화되어 VE-cadherin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녹색).
또한, 상기 항체 주입 후 168 시간 동안 마우스 각 그룹당 생존율을 기록하여 항체에 의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항-Ang2 항체 투여가 마우스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D6 항체를 처리한 그룹이 대조군을 포함하여 모든 비교군에 비해 생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실시예 2: 인 비트로 항-Ang2 항체의 혈관 누출 감소 또는 저해 효과의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사람 제대혈 정맥 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에 대하여 항-Ang2 항체 및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을 처리한 경우, IL6 및 Ang2 생산 및 튜브 형성에 비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1) HUVEC 세포 배양
HUVEC은 내피 성장 배지(endothelial growth medium) (EGM-2 BulletKit; Lonza, CC-3162) 중에서 성장 및 배양하고, 3 내지 6 계대(passage) 내에 유지하였다.
(2) 분비된 사이토카인에 대한 ELISA 분석
HUVEC 배양물을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S1),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S1), 또는 모크(mock)로 처리하였다. 내피세포를 자극하기 위하여, HUVEC를 무혈청 EGM-2 배지 중에서 1 시간 동안 20 μg/mL의 COVID-19 S1-단백질 또는 SARS-CoV-1 S1-단백질 존재하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완전한 EGM-2 배지를 첨가하였다. 24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HUVEC를 SAIT-Ab (20 μg/mL)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은 신선한 무혈청 배지 중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 상등액을 모으고 분석(assay)할 때까지 4℃에 보관하였다. IL-6 및 Ang2 ELISA kit는 각각 Invitrogen (EH2IL6) 및 abcam (ab99971)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제조자의 지침에 따라 ELISA를 수행하였다. 분비된 IL-6 및 Ang2 수준을 배양 배지 mL 당 픽토그람(pictogram)에 근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한 경우, 상등액으로 분비된 IL-6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처리 군에 비하여, IL-6은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을 처리한 군에서 IL-6 수준이 각각 약 1.2 배 및 약 32.7배 증가하였다. 이는 분리된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 비트로에서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처리에 의하여 증가된 IL-6 수준이 Ang2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을 처리한 후 Ang2 ELISA kit를 사용하여 상등액 중의 Ang2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한 경우, 상등액으로 분비된 Ang2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처리 군에 비하여, Ang2 수준은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을 처리한 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20ug/ml SAIT-Ab 및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한 경우, 20ug/ml SAIT-A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상등액으로 분비된 Ang2 수준이 약 10배 감소하였다.
(3) 튜브 형성 분석
튜브 형성 분석(Tube formation assay)은 In Vitro Angiogenesis Assay Kit (Merck, ECM625)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ECMatrixTM를 4℃에서 밤새 녹이고, 중합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얼음 상에서 버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ECMatrixTM를 96-웰 플레이트에 두고 37℃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마트릭스 용액을 고형화하였다.
실험적 HUVEC을 TrypLETM (Gibco, 12604013)을 사용하여 (1)에 설명된대로 수확하고, 중합체화된 ECMatrixTM 상에 씨딩하고, 습한 인큐베이터(humidified incubator) 중에 밤새 배양하였다. 여기서, 실험적 HUVEC은 (2)절에 기재된 20ug/ml SAIT-Ab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하여 얻은 HUVEC을 나타낸다.
튜브 형성은 인버티드 광학 현미경(inverted light microscope) (x4)으로 조사하였다. 면역화학적 염색을 위하여, 세포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4% 포름알데히드 (Sigma)로 고정하였다. 세포를 고정한 후, 0.3% Triton X-100 (Sigma)으로 30분 동안 투과성이 되게 하였다(permeabilized). 다음으로, 세포를 실온에서 10% 정상 염소 혈청 (Jackson ImmunoResearch, West Grove, USA)을 포함한 차단 용액(blocking solution) 중에서 1 시간 동안 차단한 후, 4℃에서 밤새 anti-VE-Cadherin (Merck) 항체 및 anti-CD31 (abcam) 항체 존재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시료를 PBST로 3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Alexa Fluor 488-접합된 또는 594-접합된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2차 항체는 상기 차단 용액 중에서 1:400의 비율로 희석된 것이다. DAPI(Invitrogen)를 핵을 반대염색(counterstain)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20ug/ml SAIT-Ab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된 HUVEC에 대하여 튜브 형성 분석을 수행하고, 형성된 튜브를 인버티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마트릭스 상의 HUVEC의 밝은-장 이미지(bright-field image)이고, scale 바는 500um를 나타낸다.
도 7은 20ug/ml SAIT-Ab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존재하에서 HUVEC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된 HUVEC에 대하여 튜브 형성 분석을 수행하고, 형성된 튜브에 대하여 CD31 및 VE-cadherin 발현을 CD31 및 VE-cadherin에 대한 면역화학적 염색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형광 현미경으로부터 얻어진 이미지이고, scale 바는 500um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세관-유사 구조(capillary-like structure)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었고, CD31 및 VE-cadherin은 대조군에서 새로 형성된 튜브 관(tube vessel)을 따라 발현되었다. 그러나, 튜브 관의 두께는 대조군에 비하여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 처리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COVID-19 스파이크 단백질, 또는 SARS-CoV-1 스파이크 단백질-매개 IL-6 및 Ang2 자극은 VE-cadherin 발현을 감소시켰고 비정상적으로 얇고 끊어진-튜브 유사 구조(broken-tube like structure)를 유도하였다. 이는 혈관 투과성(vascular permeability) 변화를 야기한다.
반면, SAIT-Ab를 처리한 경우, 튜브 관의 두께 및 HUVEC 표면에 따라 VE-cadherin 발현이 회복되었다. 이는 SAIT-Ab가 혈관 견고성(vascular integrity) 및 투과도(permeability)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마우스에서 항-Ang2 항체의 COVID-19 감염증 치료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 모델에서 항-Ang2 항체의 COVID-19 감염증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 바이러스, 시험물질, 및 시험군에 대한 조건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항-Ang2 항체는 SAIT-Ab를 PBS에 희석하여 얻어진 용액을 사용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바이러스 및 항체 투여 없이 PBS만을 투여한 것을 나타낸다. 표 1에서, 바이러스 접종이 있는 시험군의 경우, 약물은 바이러스 접종 후 3 내지 4 시간에 투여하였다.
실험동물 실험동물 K18-hACE2 TG in B6 mouse
성별 수컷
주령 9 주령
바이러스 접종용량 104 PFU
접종경로 비강내(Intranasal)
시험물질 물질명 SAIT-Ab
투여용량 저용량 (TL): 2 mg/kg
고용량 (TH): 10 mg/kg
투여경로 복강내(Intraperitoneal)
투여횟수 0-1 dpi 1회
시험군 기간 2 dpi 4 dpi 7 dpi
기본 시험군
(마리)
음성대조군(control) - - 5
바이러스 접종군(SARS-CoV-2) 3 3 5
바이러스+저용량 SAIT-Ab(SARS-CoV-2 + TL) 4 4 5
바이러스+고용량 SAIT-Ab(SARS-CoV-2 + TH) 4 4 5
K18-hACE2 형질전환 마우스에 대하여 표 1에 기재된 프로토콜에 따라 바이러스 및 SAIT-Ab를 투여하고, 감염된 마우스의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표 2는 K18-hACE2 형질전환 마우스에 대하여 표 1에 기재된 프로토콜에 따라 바이러스 및 SAIT-Ab를 투여한 후 5dpi (day post infection), 6dpi, 및 7dpi에 감염된 마우스의 생존률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K18-hACE2 TG in B6 mouse"(Jackson Laboratory)는 B6 생쥐에 K18 프로모터를 넣어 상피세포(epithelial cell)에서 인간 ACE2 수용체가 과발현된 모델을 나타낸다. 표 1에서, 2dpi, 4dpi 및 7dpi의 열에 기재된 수치는 해당일에 분석에 사용된 동물의 수를 나타낸다.
5dpi 6dpi 7dpi
SARS-CoV-2 생존률 (%) 100 80 0
사망개체수 0 1 4
SARS-CoV-2+ TL 생존률 (%) 100 100 100
사망개체수 0 0 0
SARS-CoV-2 + TH 생존률 (%) 100 80 60
사망개체수 0 1 1
도 8은 항-Ang2 항체 투여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표 2의 결과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K18-hACE2 형질전환 마우스에 대하여 표 1과 프로토콜에 따라 바이러스 및 SAIT-Ab 2 mg/kg을 투여하고, 4pdi에서 감염된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폐조직을 절단하여 얻은 절편에 대하여 Hematoxylin and Eosin 염색 (H&E staining)을 수행하였다.
도 9는 항-Ang2 항체 투여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마우스 모델에서 폐 조직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SARS-CoV-2를 투여한 군에 비하여 SARS-CoV-2 및 SAIT-Ab를 투여한 군에서 염증, 부종, 및 모세관 팽창(capillary dilation)이 감소하였다.
이는 SAIT-Ab가 마우스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SEQUENCE LISTING <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120> Composition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nti-Ang2 antibody and use thereof <130> PN139707KR <160> 9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CDRH1 <400> 1 Ser Asp Tyr Ala Trp Asn 1 5 <210> 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CDRH2 <400> 2 Tyr Ile Asn Tyr Ser Gly Asn Thr Asp Tyr Asn Pro Ser Leu Lys Ser 1 5 10 15 <210> 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CDRH3 <400> 3 Gly Asn Phe Glu Gly Ala Met Asp Tyr 1 5 <210> 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CDRL1 <400> 4 Lys Ala Ser Gln Ser Val Ser Asn Asp Val Ala 1 5 10 <210> 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CDRL2 <400> 5 Tyr Ala Ser Asn Arg Tyr Pro 1 5 <210> 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CDRL3 <400> 6 Gln Gln Asp Tyr Ser Ser Pro Trp Thr 1 5 <210> 7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VH <400> 7 Asp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Thr Gly Tyr Ser Ile Thr Ser Asp 20 25 30 Tyr Ala Trp Asn Trp Ile Arg Gln Phe Pro Gly Asn Lys Leu Glu Trp 35 40 45 Met Gly Tyr Ile Asn Tyr Ser Gly Asn Thr Asp Tyr Asn Pro Ser Leu 50 55 60 Lys Ser Arg Ser Ser Ile Thr Arg Asp Thr Ser Lys Asn Gln Phe Phe 65 70 75 80 Leu Gln Leu Asn Ser Val Thr Thr Gly Asp Thr Ala Thr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y Asn Phe Glu Gly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Ser Val Thr Val Ser Ser 115 <210> 8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VL <400> 8 Ser Ile Val Met Thr Gln Thr Pro Lys Phe Leu Leu Val Ser Ala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Ser Val Ser Asn Asp 20 25 30 Val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Ser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Ala Ser Asn Arg Tyr Pro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50 55 60 Ser Gly Tyr Gly Thr Asp Phe Thr Phe Thr Ile Ser Thr Val Gln Ala 65 70 75 80 Glu Asp Leu Ala Val Tyr Phe Cys Gln Gln Asp Tyr Ser Ser Pro Trp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9 <211> 49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9 Met Trp Gln Ile Val Phe Phe Thr Leu Ser Cys Asp Leu Val Leu Ala 1 5 10 15 Ala Ala Tyr Asn Asn Phe Arg Lys Ser Met Asp Ser Ile Gly Lys Lys 20 25 30 Gln Tyr Gln Val Gln His Gly Ser Cys Ser Tyr Thr Phe Leu Leu Pro 35 40 45 Glu Met Asp Asn Cys Arg Ser Ser Ser Ser Pro Tyr Val Ser Asn Ala 50 55 60 Val Gln Arg Asp Ala Pro Leu Glu Tyr Asp Asp Ser Val Gln Arg Leu 65 70 75 80 Gln Val Leu Glu Asn Ile Met Glu Asn Asn Thr Gln Trp Leu Met Lys 85 90 95 Leu Glu Asn Tyr Ile Gln Asp Asn Met Lys Lys Glu Met Val Glu Ile 100 105 110 Gln Gln Asn Ala Val Gln Asn Gln Thr Ala Val Met Ile Glu Ile Gly 115 120 125 Thr Asn Leu Leu Asn Gln Thr Ala Glu Gln Thr Arg Lys Leu Thr Asp 130 135 140 Val Glu Ala Gln Val Leu Asn Gln Thr Thr Arg Leu Glu Leu Gln Leu 145 150 155 160 Leu Glu His Ser Leu Ser Thr Asn Lys Leu Glu Lys Gln Ile Leu Asp 165 170 175 Gln Thr Ser Glu Ile Asn Lys Leu Gln Asp Lys Asn Ser Phe Leu Glu 180 185 190 Lys Lys Val Leu Ala Met Glu Asp Lys His Ile Ile Gln Leu Gln Ser 195 200 205 Ile Lys Glu Glu Lys Asp Gln Leu Gln Val Leu Val Ser Lys Gln Asn 210 215 220 Ser Ile Ile Glu Glu Leu Glu Lys Lys Ile Val Thr Ala Thr Val Asn 225 230 235 240 Asn Ser Val Leu Gln Lys Gln Gln His Asp Leu Met Glu Thr Val Asn 245 250 255 Asn Leu Leu Thr Met Met Ser Thr Ser Asn Ser Ala Lys Asp Pro Thr 260 265 270 Val Ala Lys Glu Glu Gln Ile Ser Phe Arg Asp Cys Ala Glu Val Phe 275 280 285 Lys Ser Gly His Thr Thr Asn Gly Ile Tyr Thr Leu Thr Phe Pro Asn 290 295 300 Ser Thr Glu Glu Ile Lys Ala Tyr Cys Asp Met Glu Ala Gly Gly Gly 305 310 315 320 Gly Trp Thr Ile Ile Gln Arg Arg Glu Asp Gly Ser Val Asp Phe Gln 325 330 335 Arg Thr Trp Lys Glu Tyr Lys Val Gly Phe Gly Asn Pro Ser Gly Glu 340 345 350 Tyr Trp Leu Gly Asn Glu Phe Val Ser Gln Leu Thr Asn Gln Gln Arg 355 360 365 Tyr Val Leu Lys Ile His Leu Lys Asp Trp Glu Gly Asn Glu Ala Tyr 370 375 380 Ser Leu Tyr Glu His Phe Tyr Leu Ser Ser Glu Glu Leu Asn Tyr Arg 385 390 395 400 Ile His Leu Lys Gly Leu Thr Gly Thr Ala Gly Lys Ile Ser Ser Ile 405 410 415 Ser Gln Pro Gly Asn Asp Phe Ser Thr Lys Asp Gly Asp Asn Asp Lys 420 425 430 Cys Ile Cys Lys Cys Ser Gln Met Leu Thr Gly Gly Trp Trp Phe Asp 435 440 445 Ala Cys Gly Pro Ser Asn Leu Asn Gly Met Tyr Tyr Pro Gln Arg Gln 450 455 460 Asn Thr Asn Lys Phe Asn Gly Ile Lys Trp Tyr Tyr Trp Lys Gly Ser 465 470 475 480 Gly Tyr Ser Leu Lys Ala Thr Thr Met Met Ile Arg Pro Ala Asp Phe 485 490 495

Claims (16)

  1. Ang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하여 유도된 사이토카인의 혈관 내 방출을 저해 또는 감소시키는 것, 또는 혈관 투과성(vascular permeability)을 감소 또는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향-염증성 사이토카인인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IL-1, IL-6, VEGF, IFN-γ, TNF-α, IL-10, 또는 이들의 조합인인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관은 폐, 신장, 심장, 또는 뇌에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COVID-19, SARS-CoV, 또는 MERS-CoV인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의 CDRH1, 서열번호 2의 CDRH2, 및 서열번호 3의 CDRH3, 및 서열번호 4의 CDRL1, 서열번호 5의 CDRL2, 및 서열번호 6의 CDRL3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에서 Q418, P419, 또는 Q418 및 P419를 포함하는 2 내지 20개 아미노산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조성물.
  9.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Ang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Ang2와 함께 Tie2 수용체에 결합하여 Tie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항-Ang2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비경구 또는 비강 투여인 것인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하여 유도된 사이토카인의 혈관 내 방출을 저해 또는 감소시키는 것, 또는 혈관 투과성(vascular permeability)을 감소 또는 혈관 투과성 증가를 억제하는 것인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IL-1, IL-6, VEGF, IFN-γ, TNF-α, IL-10,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혈관은 폐, 신장, 심장, 또는 뇌에 존재하는 것인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COVID-19, SARS-CoV, 또는 MERS-CoV인 것인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1의 CDRH1, 서열번호 2의 CDRH2, 및 서열번호 3의 CDRH3, 및 서열번호 4의 CDRL1, 서열번호 5의 CDRL2, 및 서열번호 6의 CDRL3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9에서 Q418, P419, 또는 Q418 및 P419를 포함하는 2 내지 20개 아미노산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방법.
KR1020210084790A 2020-06-30 2021-06-29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20002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0639 2020-06-30
KR1020200080639 2020-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43A true KR20220002143A (ko) 2022-01-06

Family

ID=7931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90A KR20220002143A (ko) 2020-06-30 2021-06-29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02143A (ko)
WO (1) WO20220051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691B1 (ko) * 2013-09-05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항 Ang2 항체를 포함하는 혈관누수 차단제
KR20170076332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항 Ang2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강화제
KR102497171B1 (ko) * 2018-02-20 2023-02-08 기초과학연구원 항-안지오포이에틴-2(Ang2) 항체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5171A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9903B2 (ja) TGF-βに特異的な抗体
RU2506276C2 (ru) Axl-антитела
US7151169B2 (en) Specific binding members for TGFβ1
US7935795B2 (en) Human monoclonal antibody binding to hGM-CSF and its antigen binding portion
US9902767B2 (en) Method of blocking vascular leakage using an anti-ANG2 antibody
KR102508933B1 (ko) 알파-시누클레인에 대한 항체 및 그 용도
JP5457671B2 (ja) M−csf特異的モノクローナル抗体およびその使用
US8926956B2 (en) Antibody recognizing human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CN108368179A (zh) 使用pd-1轴结合拮抗剂和抗cea/抗cd3双特异性抗体治疗cea阳性癌症的方法
US8278421B2 (en) Human antibodies specific for gastrin materials and methods
TWI478939B (zh) 使用特定抗-l1抗體治療腫瘤
JP2010507594A (ja) 完全ヒト抗vegf抗体および使用方法
JP6527644B1 (ja) 抗pd−l1−抗tim−3二重特異性抗体
JP2007512348A (ja) 形質細胞の治療のためのノッチ経路干渉剤の使用
US20110311553A1 (en) Effectors of PAR-2 Activation and Their Use in the Modulation of Inflammation
CN110546164A (zh) 特异性结合cd40的抗体及其用途
KR20220002143A (ko) 항-Ang2 항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60130562A (ko) 혈관신생 저해 분자 및 암의 치료와 진단에서 이들의 용도
JP2013100348A (ja) 神経伸長促進剤および伸長阻害剤
KR102096509B1 (ko) 항-Tspan12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단편, 및 그의 용도
KR102118691B1 (ko) 항 Ang2 항체를 포함하는 혈관누수 차단제
KR102106160B1 (ko) 항 Ang2 항체
CN115916839A (zh) 抗pdl1×egfr的双特异性抗体
KR20150045286A (ko) Vegf-c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746152B1 (ko) ErbB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