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15A - 턴/틸트 겸용 창문 - Google Patents

턴/틸트 겸용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15A
KR20220002015A KR1020200080665A KR20200080665A KR20220002015A KR 20220002015 A KR20220002015 A KR 20220002015A KR 1020200080665 A KR1020200080665 A KR 1020200080665A KR 20200080665 A KR20200080665 A KR 20200080665A KR 20220002015 A KR20220002015 A KR 2022000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indow
tilt
turn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098B1 (ko
Inventor
탁준모
탁동호
Original Assignee
탁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동호 filed Critical 탁동호
Priority to KR102020008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0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horizontally-slid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의 조작만으로 턴창과 틸트창으로 아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턴/틸트 구동 및 전동수단의 구조 단순화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턴/틸트 겸용 창문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틸트창 전환용 버튼과 이에 딸린 진퇴로드 및 기역자형 링크를 배제하고, 틸트창 전환작동은 손잡이와 함께 진퇴 작동하는 쐐기축에 의해서 이루어 지게하며, 턴창의 전환작동은 손잡이에 연결된 손잡이축에 의해서 이루어 지게하고, 손잡이 헤드의 원판에 키를 형성하여 기판의 잠금턱에 의해서 구속 또는 해제되게 하여 손잡이만의 회전 및 진퇴작동으로 창문을 턴 또는 틸트용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한 턴/틸트 겸용 창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턴/틸트 겸용 창문{Turn/Tilt Window}
본 발명은 일반주택, 아파트, 빌딩 등의 창문에 설치되는 턴/틸트 겸용 창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출원 등록한 선행기술(등록특허 10-1546311호)의 턴/틸트 전환수단의 구조 개선과 이에 따른 조립성 향상, 그리고 원가절감과 턴/틸트 창문의 조작성 향상에 역점을 둔 턴/틸트 겸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자 중의 일원이 선출원 등록한 선행기술(등록특허 제10-1546311호)에 개시된 턴/틸트 겸용 창문을 원용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창문(1)을 닫아준 상태에서, 손잡이(2)를 수직으로 내리면 상부의 좌우 걸쇠(a,c)와 하부의 좌우 걸쇠(b,d) 및 측걸쇠(e)가 모두 잠가져서 턴(Turn)창이든 틸트(Tilt)창이든 여닫을 수 없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도 1).
상기 폐문 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위치한 손잡이(2)를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그림의 우측(수평방향)으로 틀면 좌측 상하 걸쇠(a,b)와 측걸쇠(e)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고, 우측 상하 걸쇠(c)(d)는 해정되지 않고 손잡이(2)을 앞으로 당기면 창문(1)은 우측 상하 걸쇠(c)(d)를 힌지축 삼아 열린다. 턴형 창문으로 전환된 탓이다(도 2).
열린 창문(1)을 닫고 손잡이(2)를 아래(수직방향)로 틀면 좌측 상하 걸쇠(a,b)와 측걸쇠(e)가 잠가진다. 이렇게 닫힘 상태에서, 창문을 도 3과 같은 틸트형으로 열어줄려면, 손잡이(2)를 잡은 손의 엄지로 손잡이 상측의 버튼(3)을 누르면 상부 걸쇠(a)(c)와 측걸쇠((e)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고, 좌측과 우측의 하부 걸쇠(b)(d)는 괘정된 상태로 남아 틸트창용 횡형 힌지축 역할을 한다. 그 상태에서 손잡이(2)를 잡아당기면 틸트창으로 열린다(도 3).
이처럼 종래의 턴/틸트 겸용 창문은 턴형과 틸트형 창문으로의 전환이 손잡이와 버튼의 선택 조작으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턴창/틸트창의 전환조작이 서투른 이는 오조작할 가능성이 크다.
도 4에서와 같이, 종래의 턴/틸트 겸용 창문에 있어서, 턴용 구동 및 전동수단은 손잡이(2)와 그 손잡이축 상에 장착된 랙기어(7) 그리고 이 랙기어에 의해 승강하여 턴창용 제1 승강로드(4)를 승강시키는 랙(8)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반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조립능률도 낮다.
한편, 틸트창용 전환수단은 상기 손잡이(2) 상에서 횡방향으로 진퇴하는 버튼(3)과 상기 손잡이(2)를 횡관통하도록 상기 버튼(3)의 선단에 설치된 진퇴로드(6), 상기 진퇴로드(6)의 선단과 틸트창용 제2 승강로드(5)의 하단을 연결하는 기역자형 링크(11)로 구성되어 있다.
틸트창으로 전환하여 개문할 시에는 손잡이(2)를 잡은 손의 엄지로 버튼(3)을 눌러준 상태로 손잡이를 당겨서 창문을 열어야 하는데, 틸트창용 구동수단 및 전동수단의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공수도 많아 제작난이도가 높으며, 상기한 제1 승강로드 구동 및 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별로 금형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턴/틸트 전환수단의 초기 투자비 부담도 크다.
부연하건대, 록킹장치(10)는 창문을 닫고 손잡이(2)를 수직 아래로 내리면 자동으로 잠그고, 손잡이(2)를 옆으로 90° 틀거나 버튼(3)을 누르면 해정하게 하는 것으로, 걸고리(20)와 스토퍼(30)와의 결합체이며, 스토퍼(30)는 제각기 스프링에 의해서 걸고리(20)를 거는 방향으로 쏠린다.
상기 걸고리(20)는 편심축(14)에 의지하고, 창문을 닫으면 창틀의 고정핀(16)이 인입되어 걸려 잠가지는 잠금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걸고리(20)가 고정핀(16)에 의해서 뒤로 밀리면 스토퍼(30)의 하단부가 걸고리(20)의 걸림턱(21) 밑을 걸어서 잠정적으로 고정하며, 이때부터 걸고리(20)는 고정핀(16)을 구속하고, 걸고리(20)를 잡은 스토퍼(30)를 해제시키지 않는 한 창문의 잠금 상태는 지속된다.
상기 스토퍼(30)를 밀어 올려서 걸고리(20)를 풀어주는 해제수단은 제1승강간(4)과 제2 승강간(5), 밀대(31), 횡봉으로 구성되며, 제1 승강로드(4)가 상승하면 밀대가 횡봉을 밀어올리고, 제2 승강로드(5)가 상승할 때에는 밀대(31)에 의해 횡봉을 밀어 올려서 걸고리(2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1. 등록특허 제10-1546311호
본 발명은 손잡이에 별도의 버튼을 설치하지 않고 오르지 손잡이 하나만을 이용하여 턴/틸트형 창문을 개폐 구동시킬 수 있는 진보된 구조의 턴/틸트형 창문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조작만으로 턴창과 틸트창으로 아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턴/틸트 구동 및 전동수단의 구조 단순화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턴/틸트 겸용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틸트창 전환용 손잡이 버튼과 이에 딸린 탄성 진퇴로드 및 기역자형 링크를 배제하고 손잡이 자체의 시이소형 진퇴작동에 의해서 연동하는 쐐기축으로 대체하며, 틸트 전환 기능을 손잡이에 전가시켜 손잡이의 시이소형 진퇴조작을 통해 틸트창으로 전환토록 한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틸트장치는 수직으로 위치된 손잡이 하단부를 잡아당기면 그 상단이 손잡이축의 축단을 받침 삼아 앞쪽으로 숙여지는 시이소 작동으로 쐐기축을 밀어내 틸트창용 승강로드를 밀어올림으로써 측걸쇠와 상부의 좌우 걸쇠로 구성된 틸트제어장치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어 틸트창으로 전환된다.
또 다른 특징은, 손잡이 헤드에는 손잡이축을 체결하여 손잡이와 함께 좌우로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축의 선단에 부착된 포크는 제1 승강로드를 상하로 진퇴작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손잡이의 좌우 회동조작을 통해 턴창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턴장치는 수직상으로 위치된 손잡이를 옆(횡방향)으로 틀면 손잡이축이 제자리 회동하고 그 끝단의 포크가 제1 승강로드를 하강시켜 측걸쇠와 창문의 자유단측 상하 걸쇠로 구성된 턴 제어장치를 해방시킴으로써 턴창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잡은 손의 엄지로 버튼을 눌러서 틸트창으로 전환시키던 종래의 구조를 개선하여 버튼이 없는 턴/틸트 겸용 창문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취급 사용상에서 조작의 간편성과 구조의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창문의 개폐 구동수단을 손잡이에 의해 진퇴하는 단순한 구조의 쐐기축으로 형성하고,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상단이 쐐기축을 전방으로 밀어 내어 승강로드를 상승시킴으로써 간단히 틸트창으로 전환된다.
또, 턴창의 구동장치에서는 종래 손잡이에 장착되던 턴창 전환용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연동되는 랙, 링크 등으로 구성된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여 손잡이와, 손잡이축과, 포크로 대체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해져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오로지 손잡이 하나만의 조작을 통해 턴/틸트창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라도 턴/틸트창의 전환조작이 아주 간편하다.
도 1은 닫혀 잠가진 턴/틸트 겸용 창문의 정면도
도 2는 손잡이를 우측으로 틀어서 턴창으로 전환해 개문시킨 상태도
도 3은 버튼을 눌러서 틸트창으로 전환해 개문시킨 상태도
도 4는 손잡이와 버튼에 연계된 종래 턴/틸트 겸용 창문의 개폐작동부에 대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턴/틸트 겸용 창문의 전환부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 기판에 대한 손잡이와 손잡이축 및 쐐기축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 손잡이 결합부의 정면예시도
도 8은 도7의 평단면도로서 손잡이부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손잡이를 수평(횡)방향으로 회동시켜 턴 창문으로 열어주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7에 대한 평면예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에를 바탕으로 작성한 도 5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버튼과 여기에 예속된 진퇴로드 및 상기 진퇴로드와 승강로드를 연결용 기역자형 레버 등에 연결하는 복잡한 연결구조가 사용되지 않는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틸트형 창문의 개폐장치에서, 버튼의 구조와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2)에 직결되는 쐐기축(51)으로 대체되어 손잡이(2)상단을 눌러주거나 놓아주는 작동으로 쐐기축(51)이 진퇴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축공(41)이 천공된 채로 창문의 자유단측 세로재 상에 부착되는 기판(40) 상에서, 상기 손잡이축공(41)의 직상부에 상기 손잡이축공(41)과 같은 방향으로 천공된 쐐기공(42)으로 쐐기축(51)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 쐐기축(51)의 끝단에 형성된 쐐기(50)는 연동링크를 통해서 틸트창 제어용 제2 승강로드(5)를 밀어 올려서 도 4에 표시된 상부 걸쇠(a)(c)를 해정하고, 동시에 록킹장치(10)의 측걸쇠(e)를 해정시키는 제2 승강로드(5)용 승강수단이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상기 쐐기축(51)은 종래의 버튼과 진퇴로드 및 기역자형 링크로 이뤄진 제2 승강로드 승강수단에 비해 구조가 매우 단조로워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부품수 감축에 따른 제조비 절감효과도 크며, 손잡이에 버튼공과 진퇴로드 안내구멍 등을 천공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2)는 손잡이축(2a)을 받침점으로 하는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일점은 손잡이(2)의 헤드 전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원판(52)의 정부(頂部)가 담당하고, 손잡이(2)의 힘점은 자루 몫이다.
도 5, 도 6과 같이 손잡이(2) 상단 헤드에 일체로 형성된 원판(52)에는 2가지 기능을 발휘하는 작동축이 각각 연결 설치된다.
상기 2가지 작동축 중에서 제1의 작동축은 원판(52)의 정중앙에 연결 설치되며 턴창을 개폐 제어하는 손잡이축(2a)으로서, 상기 손잡이(2)와 손잡이축(2a)은 함께 좌우 제자리 회동하도록 횡핀(2c)으로 체결되어 있다.
다른 제2의 작동축은 손잡이축(2a) 윗쪽의 원판(2)에 연결 설치되며, 틸트창을 개폐 제어하는 쐐기축(51)으로서, 도 6과 같이 손잡이(2)의 하단부를 당기면 상단부가 앞쪽으로 숙여지면서 쐐기축(51)을 전방으로 밀어서 틸트창을 개폐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쐐기축(51)의 전단부에는 틸트창 전환용 연결로드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5,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2)의 상단 헤드에 형성된 원판(52)의 주면 상부와 하부에 키(5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53)는 창문을 턴형으로 전환할 목적으로 수직방향의 손잡이(2)를 수평(횡)방향 쪽으로 돌렸을 때에만(도7 참조) 기판(40)의 잠금턱(55) 속에 키(53)가 끼어 물려서 원판(52) 및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원판(52)의 키(53)를 걸어 잠그는 잠금턱(55)은 기판(40)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축공(41)의 외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부는 개방되고 좌우측으로 마주보는 잠금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턱(55)은 상기 손잡이축공(41)과 동심원 상에서 상기 키(53)의 회전반경보다 약간 큰 내경으로 형성하여 키(53)가 자유로이 드나드는 ㄱ자형 터널구조로 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에 위치한 손잡이(2)를 수평(횡)방향으로 돌려서 턴창을 선택한 경우(도9 참조)에만 키(53)가 잠금턱(55) 속에 걸려 있고 도 6, 도 7과 같이 횡 방향에 위치된 손잡이(2)를 수직방향으로 돌리면 키(53)가 잠금턱(55)에서 이탈되어 구속에서 벗어난다.
이렇게 손잡이 원판(52)의 키(53)가 잠금턱(55)에서 벋어나면 이때부터 손잡이(2)와 원판(52)을 전후로 밀어서 진퇴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턴방향(수평반향/횡방향)에 위치된 손잡이(2)를 수직방향으로 돌려놓으면 이때부터는 손잡이(2)가 횡핀(2c)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손잡이(2) 하단을 당기면 상단 헤드부가 숙여지면서 전진하여 쐐기축(51)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반대 작동을 한다.
상기 손잡이 원판(52)의 전면에는 기판(40)을 관통한 쐐기축(51)의 후단이 끼어 들어가는 호형 안내홈(54)이 깊숙이 파여져 있으며, 직선으로 진퇴작동만 하는 쐐기축(51)이 손잡이(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고 오르지 진퇴작동은 손잡이(2)와 함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호형 안내홈(54)에 의해서 손잡이(2)와 쐐기축(51)이 함께 묶이지만 필요시(턴창 전환시) 손잡이(2)의 개별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호형 안내홈(54)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호형 안내홈(54)은 손잡이(2)의 원판(52)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축공(41)의 외곽에 동심원 상으로 형성된 호상의 긴 홈이다.
상기 기판(40)에 형성된 손잡이축공(41)의 외곽에는 턴창을 선택했을 때 상기 손잡이 원판의 키(53)를 구속하는 잠금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턱(55)은 상기 손잡이축공(41)과 동심원 상에서 상기 키(53)의 회전반경보다 약간 큰 내경으로 형성하여 키(53)가 자유로이 드나드는 ㄱ자형 터널구조로 되어 있다.
손잡이(2)를 수평(횡)방향으로 돌려서 턴창을 선택한 경우에만 키(53)가 잠금턱(55)에 걸리고, 손잡이(2)를 수직방향으로 돌리면 키(53)가 잠금턱(55)에서 이탈되어 개방부에 위치되므로 이때는 구속에서 풀려진 자유로운 몸체로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축(2a)의 선단에는 링크 기능의 포크(56)가 부착되어 있다. 이 포크(56)는 제1 승강로드(4)의 하단에 접속되어 손잡이(2)를 옆으로 틀면 제1 승강로드(4)가 상승하고, 손잡이(2)를 아래로 돌리면 제1 승강로드(4)는 하강한다.
상기 포크(56)는 종래의 랙기어와 랙 대용으로, 랙기어와 랙 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톱니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될 우려도 없다.
도 8에서와 같이, 기판(40) 중앙의 손잡이축공(41)에는 소켓관(45)과 탄성 가스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손잡이축(2a)이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손잡이축공(41)에 관통 설치된 손잡이축(2a)의 후단부는 손잡이(2)의 원판(52) 중앙에 깊숙이 파여진 요홈(58)속에 끼워진 상태로 횡핀(2c)으로 체결하므로서 손잡이(2)와 손잡이축(2a)은 함께 움직이는 동일체로 묶여지며, 상기 횡핀(2c)은 제1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된 손잡이(2)의 받침점 구실을 한다.
상기 요홈(58)은 내측은 좁고 입구쪽이 넓은 테이퍼형 공간으로 형성되며, 턴창으로의 전환을 위해서 손잡이(2) 상단이 전진될 때 도6의 가상선 표시처럼 요홈(58)내에서 손잡이축(2a)이 유동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갖게 한 것이다. 만일 요홈(58) 내부에 여유 공간이 마련되지 않으면 손잡이(2)가 숙여질 수 없고 손잡이축(2a)이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6의 화살표 d1 방향으로 손잡이(2)를 당기면 그 상단은 화살표 d2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쐐기축(51)을 밀어내고, 쐐기축 단부의 쐐기(50)가 밀려나면서 틸트창용 제2 승강간(5)을 밀어 올려서 상부 걸쇠(a)(c)와 측걸쇠(e)를 해정하여 틸트창으로 전환시킨다.
손잡이(2)에는 복귀탄성이 항상 작용하고 있다. 틸트창 전환을 위해서 당겨주던 손잡이(2)에서 손을 떼면 그 즉시 각 연결로드와 링크의 요소에 설치된 복귀스프링의 복귀 탄성이 작용하여 손잡이(2)와 손잡이축(2a)은 제자리로 후진 복귀하며 뒤따라서 로드와 링크도 후진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은 종래의 턴/틸트창 조작용 버튼과 이 버튼에 의한 복잡한 연동구조와 작동을 개선한 것이며, 복잡한 버튼식 연동수단과는 달리 본 발명은 진퇴식/회전식 손잡이 구조에 의한 단일화 구조와 손쉬운 작동을 제공하고 조립성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원가경감효과도 크다.
1: 창문 2: 손잡이
2c: 횡핀 2a: 손잡이축
4: 제1 승강로드 5: 제2 승강로드
40: 기판 41: 손잡이축공
42: 쐐기축공 45: 소켓관
51: 쐐기축 52: 원판
53: 키 54: 호형 안내홈
55: 잠금턱 58: 요홈

Claims (4)

  1. 창문의 손잡이를 수직방향에서 횡방향으로 틀면 제1 승강로드가 상승하여 턴창으로 전환되고, 다른 틸트창 조작수단에 의해 제2 승강로드가 상승하여 틸트창으로 전환되도록 한 턴/틸트 겸용 창문에 있어서,

    손잡이축공의 직상부에 쐐기축공이 천공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손잡이축공을 외향 관통한 손잡이축의 후단이 요홈에 끼워져 횡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횡핀을 받침점으로 하여 진퇴작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헤드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형 키가 형성된 원판과;
    진퇴작동이 용이하게 쐐기축공에 관통 설치되고 외단에 틸트창 전환용 승강로드를 연동시키는 돌기를 가진 쐐기축과;
    상기 기판의 손잡이축공 외측에 손잡이 원판의 키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잠금턱; 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틸트 겸용 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원판에 쐐기축의 후단부를 유동적으로 잡아주는 호상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틸트 겸용 창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원판에 형성된 요홈은 입구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틸트 겸용 창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된 잠금턱은 C형 터널구조를 마주보게 설치하여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틸트 겸용 창문.
KR1020200080665A 2020-06-30 2020-06-30 턴/틸트 겸용 창문 KR10245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65A KR102455098B1 (ko) 2020-06-30 2020-06-30 턴/틸트 겸용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65A KR102455098B1 (ko) 2020-06-30 2020-06-30 턴/틸트 겸용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15A true KR20220002015A (ko) 2022-01-06
KR102455098B1 KR102455098B1 (ko) 2022-10-13

Family

ID=7934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665A KR102455098B1 (ko) 2020-06-30 2020-06-30 턴/틸트 겸용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0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11B1 (ko) 2014-07-24 2015-08-21 탁준모 턴/틸트식 창호시스템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11B1 (ko) 2014-07-24 2015-08-21 탁준모 턴/틸트식 창호시스템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098B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347B2 (en) Auto lock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KR10186846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JP4896887B2 (ja) 扉のラッチ装置
US11118374B2 (en)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771196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20220002015A (ko) 턴/틸트 겸용 창문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140125554A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200478968Y1 (ko)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EP1686225B1 (en) A handle for turn opening or tilt and turn opening doors or windows.
CA3116902C (en)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0908685B1 (ko)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KR101546311B1 (ko) 턴/틸트식 창호시스템의 개폐구조
KR20180137099A (ko) 방범기능을 갖는 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WO2014107048A1 (ko) 푸쉬-풀 도어락
KR102215723B1 (ko)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CN210460208U (zh) 一种自动锁体斜舌组件结构
KR100743426B1 (ko) 원터치식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KR20190066437A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CN215108021U (zh) 一种内平开下悬窗用防误器
KR101360100B1 (ko)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