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12U - 세차용 손걸레 - Google Patents

세차용 손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12U
KR20220002012U KR2020210000433U KR20210000433U KR20220002012U KR 20220002012 U KR20220002012 U KR 20220002012U KR 2020210000433 U KR2020210000433 U KR 2020210000433U KR 20210000433 U KR20210000433 U KR 20210000433U KR 20220002012 U KR20220002012 U KR 202200020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ar
washing
rag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지
Original Assignee
최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지 filed Critical 최혜지
Priority to KR2020210000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012U/ko
Publication of KR20220002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걸레를 이용하여 세차를 행하는 세차용 손걸레에 관한것으로서, 종래에는 합피와 스폰지를 부착하여 그 전체를 구멍이 뚫린 천으로 만든 주머니 속에 넣어서 입구를 봉한 걸레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물기를 흡수하고 부드러운 장점은 있으나 차량의 표면을 문지를 때 손으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트리면 흙 등의 이물질이 흡착됨으로써 차량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세차를 행하는 손걸레에 있어서, 상기 손걸레(10)는 사용자의 손가락(30)을 삽입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20)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손걸레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삽입 구멍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관통 삽입하여 세차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차중에 손걸레를 손에 잡는 것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세차 중에 손걸레를 땅에 떨어트리는 것을 방지하여 손걸레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에 의한 차량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악력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도 삽입 구멍에 손가락을 관통 삽입한 후 차량의 표면에 문지르기만 하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세차를 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세척 후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 지게 된다.

Description

세차용 손걸레{Hand duster for car washing}
본 고안은 세차용 손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차량의 표면을 직접 손세차 하거나 세차후 물기를 닦을 때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된 세차용 손걸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이나 주차 중에 먼지나 비 또는 눈에 의해 오염됨으로써 주기적으로 세차를 행하게 되는데, 세차는 기계를 통과하면 세차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세차와, 직접 손걸레로 물이나 세제를 이용하여 세차를 하는 손세차가 있다.
그리고 자동 세차 후에도 물기를 닦을 때에는 손걸레를 사용하게 되고, 손세차 시에도 손걸레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이러한 세차용 손걸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2-147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합피와 스폰지를 부착하여 그 전체를 구멍이 뚫린 천으로 만든 주머니 속에 넣어서 입구를 봉한 걸레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물기를 흡수하고 부드러운 장점은 있으나 차량의 표면을 문지를 때 손으로부터 이탈되어 땅에 떨어트리면 흙 등의 이물질이 흡착됨으로써 차량의 표면에 흠집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7-2252호에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밑판에 다수의 표면세정 걸레와, 코팅 걸레와, 다수개의 마른 걸레를 마련하고, 이들 외측에는 분리 가능하도록 돌출부를 가지는 커버를 씌우고, 상기 커버의 타측에는 손잡이를 가지는 먼지털이 걸레를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세차 걸레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먼지털이 걸레를 이용하여 차량 표면에 흡착된 먼지를 털어낸 후 상기 먼지털이 걸레를 분리하고, 커버를 분리한 후 다수의 표면 세정 걸레를 이용하여 물과 세제로 차량의 표면을 세정하고, 반대편의 코팅 걸레를 이용하여 차량 표면에 광택이 나도록 문지른 후 마른 걸레로 닦아서 세차를 완료하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일회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세차할 때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파지가 매우 편리하며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세차용 손걸레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세차를 행하는 손걸레에 있어서, 상기 손걸레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이 배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삽입 구멍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관통 삽입하여 세차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차중에 손걸레를 손에 잡는 것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세차 중에 손걸레를 땅에 떨어트리는 것을 방지하여 손걸레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에 의한 차량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특히 악력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도 삽입 구멍에 손가락을 관통 삽입한 후 차량의 표면에 문지르기만 하면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세차를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삽입 구멍에 의해 세탁 후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시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손걸레(10)에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 구멍(20)은 복수 개의 절개선(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20)은 손걸레(10)의 전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20)에는 사용자의 각각의 손가락(30)이 삽입되는데, 절개선(22)이 벌어지면서 하나의 손가락(30)이 관통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상기 절개선(22)에 의해 손가락(30)으로부터 손걸레(1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 구멍(20)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개의 손가락(3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대, 중, 소로 각각 다른 크기로 불규칙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레 본체(10)는 면, 융, 극세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두고 형성되고, 앞면 또는 뒷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차용 손걸레는 손세차를 할 때 사용자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손가락(30)을 손걸레(10)에 형성된 적정 위치의 삽입 구멍(20) 내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적절하게 배열된 삽입 구멍(20)에 형성된 절개선(22)이 벌어지면서 손가락(30)이 관통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절개선(22)에 의해 손걸레(10)가 손가락(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손걸레(10)를 이용한 손세차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삽입 구멍(20)은 각각 다른 크기, 예컨대 대, 중, 소의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크기에 맞게 대자 크기는 엄지, 중자 크기는 검지, 중지, 약지, 소자 크기는 새끼 손가락이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걸레(10)에는 복수 개의 삽입구멍(20)이 형성됨으로써 세척후 신속하게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손걸레(10)에는 복수 개의 삽입구멍(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구멍(20)은 사용자의 특정 손가락(30)이 삽입되도록 그 크기가 각각 다르게, 예컨대 대, 중, 소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 세로로 복수 개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때에도 상기 삽입 구멍(20)의 대자 크기는 엄지를, 중자 크기는 검지, 중지, 약지를, 소자는 새끼 손가락을 삽입하도록 하게 되며, 더욱이 손가락의 굵기가 각각 다른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사용자가 특정 손가락(30), 예컨대 검지 또는 중지를 손걸레(10)의 각 위치에 형성된 적정한 위치의 삽입 구멍(20) 내에 관통 삽입하고 세차를 행하면 상기 손걸레(10)가 손가락(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세차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삽입 구멍(20)의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삽입되는 특정 손가락(3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손가락(30)을 관통 삽입하여 잡은 상태로 차량의 표면을 문지르며 세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세차중 손걸레(10)를 땅에 떨어트리는 것이 방지되어 세차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걸레(10)에는 복수 개의 삽입구멍(20)이 형성됨으로써 세척후 신속하게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10: 손걸레 20: 삽입 구멍
22: 절개선 30: 손가락

Claims (3)

  1.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세차를 행하는 손걸레에 있어서,
    상기 손걸레(10)는 사용자의 손가락(30)을 삽입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20)이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손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20)은 그 크기가 각각 다르게 불규칙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손걸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20)은 복수 개의 절개선(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손걸레.
KR2020210000433U 2021-02-08 2021-02-08 세차용 손걸레 KR202200020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33U KR20220002012U (ko) 2021-02-08 2021-02-08 세차용 손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33U KR20220002012U (ko) 2021-02-08 2021-02-08 세차용 손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12U true KR20220002012U (ko) 2022-08-17

Family

ID=8306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33U KR20220002012U (ko) 2021-02-08 2021-02-08 세차용 손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01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8626A1 (ko) 클렌징 패드
US5361445A (en) Scrubber washer apparatus
WO2012121557A2 (ko) 다용도 세척용 패드
US10874280B1 (en) Cleaning hand mitt with selectively invertable scrubbing pad
KR20220002012U (ko) 세차용 손걸레
CN206166868U (zh) 一种新型清洁布
US3051979A (en) Device for cleaning balls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KR20200039475A (ko) 무동력 걸레청소기
CN212939620U (zh) 一种免手洗盆和免手洗清洁套件
KR200427838Y1 (ko) 다용도 손걸레
JP3045160U (ja) 多目的スポンジたわし
RU2795563C1 (ru) Ведро с отжимом и плоской шваброй
CN220695219U (zh) 一种方便洗碗巾
US20230102666A1 (en) Brush head cover system
CN210493902U (zh) 一种大面积擦拭和局部擦拭均适用的搓澡巾
JPS5816370Y2 (ja) 清掃用具
JPS5816373Y2 (ja) 清掃具
KR20060091875A (ko) 자동차 세척기구
JP2005103222A (ja) 清掃用品および清掃用品を具備する清掃用器具
KR200243863Y1 (ko) 차량용 세정장치
KR200326139Y1 (ko) 골프 클럽 세척기
CN2744300Y (zh) 拖把清洁器
CN205411099U (zh) 耐水擦拭材料
CN110731744A (zh) 一种去除油污用洗碗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