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67U - 갭 가접지그 - Google Patents

갭 가접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67U
KR20220001867U KR2020220000024U KR20220000024U KR20220001867U KR 20220001867 U KR20220001867 U KR 20220001867U KR 2020220000024 U KR2020220000024 U KR 2020220000024U KR 20220000024 U KR20220000024 U KR 20220000024U KR 20220001867 U KR20220001867 U KR 202200018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p
coupled
present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종석
Original Assignee
현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종석 filed Critical 현종석
Priority to KR2020220000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67U/ko
Publication of KR20220001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파이프 사이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갭 가접지그에 관한 것으로, 제1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2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와, 제1 몸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 몸체에 타단이 결합되며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갭 가접지그{Tack welding jig for gap of pipes}
본 고안은 가접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파이프 사이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갭 가접지그에 관한 것이다.
용접의 종류에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 중에서 맞대기 용접은 선재, 판재, 파이프 등의 용접물 끝단을 서로 맞대어 접합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맞대기 용접의 경우, 맞댄 부위의 몇 개소에 스폿용접으로 가접을 먼저 실시하고, 이어서 맞댄 부위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용접을 실시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의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띄우고, 두 개의 파이프 사이 갭(gap)에 가접이나 용접을 수행할 때가 있다. 이때, 용접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들 간의 단차 및 갭 등을 맞추는 정렬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렬작업은 두 파이프 간의 갭(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고, 또한 두 파이프의 높낮이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확한 동심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용접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접지그는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두 파이프 간의 갭을 정확하게 조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접하고자 하는 부위가 가접지그에 의해 막히거나, 가접지그에 용접기가 걸려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가접을 수행하기가 곤란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접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가접지그를 여러 번 설치 및 해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 갭을 두고 두 개의 파이프를 동일 축선상에 나란히 정렬할 수 있는 갭 가접지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파이프 사이 갭을 조정할 수 있는 갭 가접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등에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갭 가접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접지그를 장착한 상태에서 원하는 부위를 정확히 가접할 수 있는 갭 가접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에 결합 후 별도로 이동시키거나 분리 후 재결합을 하는 과정 없이도 파이프 둘레의 여러 곳을 가접할 수 있는 갭 가접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2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파이프 간격 조절 가능한 갭 가접지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단위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는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단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는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절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절개홈과 대향하도록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홈과 상기 제2 절개홈에 의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외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얼라인먼트 조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얼라인먼트 조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구의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제1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제2 체결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간격조절구는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산부와, 상기 한 쌍의 나사산부 사이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간격조절구의 일 방향 회전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 간격이 멀어지고, 반대 방향 회전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갭 가접지그에 의하면, 동일 축선상에 나란히 정렬된 한 쌍의 파이프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갭 가접지그에 의하면, 한 쌍의 파이프 사이 단차 등 얼라인먼트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갭 가접지그에 의하면, 파이프 등에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파이프에 결합 후 별도로 이동시키거나 분리 후 재결합을 하는 과정 없이도 파이프 둘레의 여러 곳을 가접할 수 있어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사이 갭을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라인먼트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100)는 한 쌍의 파이프의 외측면을 각각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그리고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4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축선 상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는 제1 파이프(10, 도 4 참조)와 제2 파이프(20, 도 4 참조)를 이음 용접할 때,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에 갭 가접지그(100)를 장착한 후 가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200)는 제1 파이프(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제2 몸체(300)는 제2 파이프(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제2 몸체(300)는 제1 몸체(200)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에 간격조절구(400)가 결합된다.
일 예로서, 제1 몸체(200)는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단위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제1 단위몸체의 타단은 제1 결합부재(24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제1 단위몸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1 파이프(10)의 일측 외측면이 감싸지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단위몸체에 의해 제1 파이프(10)의 타측 외측면이 감싸지도록 한다. 이후, 제1 결합부재(240)에 의해 한 쌍의 제1 단위몸체의 타단이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 파이프(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제1 몸체(2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결합부재(240)가 타단에 구비되는 제1 단위몸체를 제1-1 몸체(210)라 하고, 제1 힌지핀(230)에 의해 일단이 제1-1 몸체(2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다른 제1 단위몸체를 제1-2 몸체(220)라 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물이 원형 단면의 파이프인 경우, 제1 몸체(20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1 몸체(210)와 제1-2 몸체(220)는 반원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 몸체(210)의 일단에는 제1-1 힌지축부(211)가 돌출 형성되며, 제1-2 몸체(220)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1-2 힌지축부(221)가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2 힌지축부(221) 사이에 제1-1 힌지축부(211)가 삽입되며, 제1-1 힌지축부(211)와 제1-2 힌지축부(22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 힌지핀(230)에 의해 제1-1 몸체(210)와 제1-2 몸체(220)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이는 제1-1 몸체(210)와 제1-2 몸체(220)의 일단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1 몸체(210)와 제1-2 몸체(220)를 상호 회동 가능케 하는 모든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1 몸체(210)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1 돌출부(212)가 형성되고, 제1-2 몸체(220)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2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재(240)에 의한 제1-1 몸체(210)와 제1-2 몸체(220)의 결합시 제1-1 돌출부(212)와 제1-2 돌출부(222)는 서로 대향하게 되며, 제1-1 돌출부(212)와 제1-2 돌출부(222)에는 'U'자 형태의 제1-1 요홈(213)과 제1-2 요홈(223)이 각각 절개 형성된다.
제1-1 돌출부(212)의 제1-1 요홈(213)을 관통하여 제1 회전축(250)이 결합되며, 제1 회전축(250)에는 제1 결합부재(240)의 끝단이 제1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결합부재(240)는 제1-1 돌출부(212)의 제1-1 요홈(213)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1 회전축(25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동바(241)와, 제1 회동바(241)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1-2 돌출부(222)의 외측면(제1-1 돌출부(212)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가압 지지되는 제1 가압부재(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회동바(241)는, 제1 회전축(250)이 관통하는 제1 결합부(242)와, 제1 결합부(242)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연장부(243)와, 제1 연장부(243)와 나사 결합하는 제1 체결부(2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244)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243)는 제1 가압부재(245)를 관통하며, 제1 가압부재(245)는 제1 연장부(24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1 연장부(243)에 결합된다. 제1 결합부(242)의 양측에는 제1 회동바(241)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제1 회전축(250)이 관통하는 링 형상의 제1 스페이서(미도시)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245)는 제1 결합부(242)와 대향하는 일면(이하, '제1 가압면(246)')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1-2 돌출부(222)의 외측면(224)은 제1 가압부재(245)의 제1 가압면(246)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결합부재(240)에 의한 제1-1 몸체(210)와 제1-2 몸체(220)의 결합시, 제1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제1 회동바(241)를 제1-2 몸체(220)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연장부(243)가 제1-2 돌출부(222)의 제1-2 요홈(223)에 삽입되고, 제1 가압부재(245)의 제1 가압면(246)이 제1-2 돌출부(222)의 외측면(224)과 대향하게끔 한다. 이후, 제1 체결부(244)를 일 방향으로 돌리면, 제1 체결부(244)와 함께 제1 가압부재(245)가 제1 연장부(243)를 따라 제1 결합부(242)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 가압부재(245)의 제1 가압면(246)이 제1-2 돌출부(222)의 외측면(224)에 밀착 지지된다. 즉, 제1 결합부재(240)에 의해 제1-2 돌출부(222)가 제1-1 돌출부(212) 쪽으로 가압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2 몸체(300)는 일단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단위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제2 단위몸체의 타단은 제2 결합부재(34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제2 단위몸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2 파이프(20)의 일측 외측면이 감싸지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2 단위몸체에 의해 제2 파이프(20)의 타측 외측면이 감싸지도록 한다. 이후, 제2 결합부재(340)에 의해 한 쌍의 제2 단위몸체의 타단이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 파이프(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제2 몸체(3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2 결합부재(340)가 타단에 구비되는 제2 단위몸체를 제2-1 몸체(310)라 하고, 제2 힌지핀(330)에 의해 일단이 제2-1 몸체(3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다른 제2 단위몸체를 제2-2 몸체(320)라 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물이 원형 단면의 파이프인 경우, 제2 몸체(30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1 몸체(310)와 제2-2 몸체(320)는 반원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몸체(310)의 일단에는 제2-1 힌지축부(311)가 돌출 형성되며, 제2-2 몸체(320)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2-2 힌지축부(321)가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2 힌지축부(321) 사이에 제2-1 힌지축부(311)가 삽입되며, 제2-1 힌지축부(311)와 제2-2 힌지축부(32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힌지핀(330)에 의해 제2-1 몸체(310)와 제2-2 몸체(320)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만, 이는 제2-1 몸체(310)와 제2-2 몸체(320)의 일단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1 몸체(310)와 제2-2 몸체(320)를 상호 회동 가능케 하는 모든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1 몸체(310)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1 돌출부(312)가 형성되고, 제2-2 몸체(320)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2 돌출부(322)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재(340)에 의한 제2-1 몸체(310)와 제2-2 몸체(320)의 결합시 제2-1 돌출부(312)와 제2-2 돌출부(322)는 서로 대향하게 되며, 제2-1 돌출부(312)와 제2-2 돌출부(322)에는 'U'자 형태의 제2-1 요홈(313)과 제2-2 요홈(323)이 각각 절개 형성된다.
제2-1 돌출부(312)의 제2-1 요홈(313)을 관통하여 제2 회전축(350)이 결합되며, 제2 회전축(350)에는 제2 결합부재(340)의 끝단이 제2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 결합부재(340)는 제2-1 돌출부(312)의 제2-1 요홈(313)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2 회전축(35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동바(341)와, 제2 회동바(341)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2-2 돌출부(322)의 외측면(제2-1 돌출부(312)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가압 지지되는 제2 가압부재(3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회동바(341)는, 제2 회전축(350)이 관통하는 제2 결합부(342)와, 제2 결합부(342)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연장부(343)와, 제2 연장부(343)와 나사 결합하는 제2 체결부(3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344)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343)는 제2 가압부재(345)를 관통하며, 제2 가압부재(345)는 제2 연장부(34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2 연장부(343)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342)의 양측에는 제2 회동바(341)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제2 회전축(350)이 관통하는 링 형상의 제2 스페이서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제2 가압부재(345)는 제2 결합부(342)와 대향하는 일면(이하, '제2 가압면(346)')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제2-2 돌출부(322)의 외측면(324)은 제2 가압부재(345)의 제2 가압면(346)과 대응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2 결합부재(340)에 의한 제2-1 몸체(310)와 제2-2 몸체(320)의 결합시, 제2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제2 회동바(341)를 제2-2 몸체(320)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연장부(343)가 제2-2 돌출부(322)의 제2-2 요홈(323)에 삽입되고, 제2 가압부재(345)의 제2 가압면(346)이 제2-2 돌출부(322)의 외측면(324)과 대향하게끔 한다. 이후, 제2 체결부(344)를 일 방향으로 돌리면, 제2 체결부(344)와 함께 제2 가압부재(345)가 제2 연장부(343)를 따라 제2 결합부(342)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가압부재(345)의 제2 가압면(346)이 제2-2 돌출부(322)의 외측면(324)에 밀착 지지된다. 즉, 제2 결합부재(340)에 의해 제2-2 돌출부(322)가 제2-1 돌출부(312) 쪽으로 가압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몸체(20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1 절개홈(260)이 형성되며, 제2 몸체(300)에는 제1 절개홈(260)과 대향하도록 일측 모서리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2 절개홈(360)이 형성된다.
제1,제2 파이프(10,20)에 제1,제2 몸체(200,300) 결합시, 상호 대향하는 제1,제2 절개홈(260,360)에 의해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에 관통홀(500)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 관통홀(500)을 통해 노출되는 제1,제2 파이프(10,20) 사이의 갭에 가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갭 가접지그(100)의 외주면을 따라 90° 간격으로 4개의 관통홀(500)이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파이프들 사이의 갭을 따라 90° 간격으로 각각 가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처럼 가접 작업의 편의를 위해 가접지그를 해체하거나 설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제1 몸체(200) 또는 제2 몸체(3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홀(510)이 관통 형성되고, 이 제1 결합홀(510)에 접지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접지부재(600)는 용접기(미도시)의 접지 전극이 접속되는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는 용접기의 용접봉(미도시)에 (+)전원을 연결하고, 접지부재(600)에 (-)전원을 연결하여, 용접물인 파이프의 용접부위에 순간적으로 고압의 전류가 흐르게끔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접지부재(600)는 제1 결합홀(5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부(610)와, 삽입부(610)의 끝단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620)와, 확장부(620)의 일면에서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접속부(630)와, 접속부(630)의 끝단에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용접기의 접지 전극과 연결된 집게 등의 클램프(미도시)를 접속부(630)에 물려서 가접 또는 용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제1 결합홀(5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지부재(600)를 결합하고 그 접지부재(600)에 접지 전극을 연결하거나, 미리 결합된 복수 개의 접지부재(6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접지 전극을 연결할 수 있다.
용접 위치 변경시 용접기 전원케이블의 꼬임 방지 등 작업의 편의를 위해 접지 전극을 다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시 적절한 위치의 접지부재(600)에 접지 전극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접지 전극 재연결 작업에 의해 용접물 표면에 다수의 흠결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결합홀(510)에는 안전 와이어(미도시)가 결속되는 예컨대 아이볼트 등의 와이어 연결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접 또는 용접 작업시 파이프 둘레에 안전 와이어를 감아 와이어 연결구에 연결함으로써, 고소작업시 갭 가접지그(100)의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연결구의 결합을 위해 제1 결합홀(510) 이외에 별도의 체결홀(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사이 갭을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에 간격조절구(400)가 결합된다. 간격조절구(400)는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몸체(200)가 제1 파이프(10)에 결합되고 제2 몸체(300)가 제2 파이프(20)에 결합된 경우, 간격조절구(400)를 통해 제1,제2 몸체(200,300)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제2 파이프(10,20) 사이의 갭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200)의 외측면 일측에 제1 체결홀(271)을 갖는 제1 지지부(270)가 돌출 형성되고, 제2 몸체(300)의 외측면 일측에는 제1 지지부(270)와 대향하여 제2 체결홀(미도시)을 갖는 제2 지지부(37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구(400)는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산부(410)와, 한 쌍의 나사산부(410) 사이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파지부(420)를 포함하며, 간격조절구(400) 일단의 나사산부(410)는 제1 지지부(270)의 제1 체결홀(27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의 나사산부(410)는 제2 지지부(370)의 제2 체결홀에 나사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조절구(400) 일단의 나사산부(410)에 오른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의 나사산부(410)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는 등, 한 쌍의 나사산부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격조절구(400)를 회전시켜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가 각각 결합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 갭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파지부(420)를 잡고 간격조절구(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 간격이 멀어지면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 갭이 벌어지게 된다. 또한, 간격조절구(4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 사이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 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격조절구(400)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 갭을 조정한 후 가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라인먼트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의 외측면에 각각 얼라인먼트 조정홀(700)이 관통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5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얼라인먼트 조정홀(700)이 상호 대향하도록, 제1 몸체(200)의 제1 절개홈(260) 내측, 그리고 제2 몸체(300)의 제2 절개홈(360) 내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얼라인먼트 조정홀(70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얼라인먼트 조정홀(700)에는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예컨대 무두볼트 등의 조정볼트(710)가 나사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0)에 제1 몸체(200)를 결합하고, 제2 파이프(20)에 제2 몸체(3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간에 단차(a)가 발생되는 경우, 조정볼트(710)를 이용하여 얼라인먼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중 외측으로 돌출된 어느 하나를 조정볼트(710)로 가압하여 밀어넣음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나란히 정렬되게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접하고자 하는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를 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후, 제1 파이프(10)에 제1 몸체(200)를 결합하고, 제2 파이프(20)에 제2 몸체(300)를 결합한다.
이후, 필요에 따라 조정볼트(710)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한다. 예컨대, 얼라인먼트가 어긋나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에 단차(a, 도 6 참조)가 발생된 경우, 외측으로 돌출된 파이프 부위의 조정볼트(710)를 조여서 얼라인먼트를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격조절구(400)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의 갭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의 갭이 큰 경우에는 간격조절구(4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의 갭을 줄일 수 있으며, 갭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간격조절구(4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갭을 늘릴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복수 개의 관통홀(500)을 통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 사이의 갭에 가접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갭 가접지그(100)를 해체 및 재조립할 필요없이 파이프 둘레를 따라 복수 개소에 가접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의 내측면에 브라켓(80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컨대 제1 지지부(270)와 제2 지지부(370)의 일측에 각각 제2 결합홀(5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결합홀(520)을 관통하여 브라켓(800)의 제1 삽입홀(810)에 결합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521)에 의해, 관통홀(50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브라켓(800)이 상호 대향하도록 제1 몸체(200)와 제2 몸체(300)의 내측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800)에는 얼라인먼트 조정홀(700)에 삽입된 조정볼트(710)가 관통하도록 제2 삽입홀(8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브라켓(800)은 몸체의 내경을 줄여서 전술한 실시예보다 규격(외경)이 더 작은 파이프에 몸체를 결합할 수 있게끔 하는 것으로,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준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갭 가접지그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선 파이프(30)와 엘보우 파이프(40)의 연결부위에 갭 가접지그(100)를 장착하기 위해, 엘보우 파이프(4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브라켓(800)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엘보우 파이프(40)가 상향 연장되는 경우, 브라켓(800)은 엘보우 파이프(40)의 곡률을 감안하여 상단 내측면의 경사각도(α)가 하단 내측면의 경사각도(β)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800) 없이 엘보우 파이프(40)에 제1 몸체(200) 또는 제2 몸체(300)를 직접 결합하는 경우, 엘보우 파이프(40)에 결합되는 제1 몸체(200) 또는 제2 몸체(300)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역시, 엘보우 파이프(40)가 상향 연장되는 경우, 제1 몸체(200) 또는 제2 몸체(300)의 내측면은 엘보우 파이프(40)의 곡률을 감안하여, 상단 내측면의 경사각도가 하단 내측면의 경사각도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갭 가접지그 200 : 제1 몸체
210 : 제1-1 몸체 220 : 제1-2 몸체
230 : 제1 힌지핀 240 : 제1 결합부재
260 : 제1 절개홈 270 : 제1 지지부
300 : 제2 몸체 310 : 제2-1 몸체
320 : 제2-2 몸체 330 : 제2 힌지핀
340 : 제2 결합부재 360 : 제2 절개홈
370 : 제2 지지부 400 : 간격조절구
500 : 관통홀 510 : 제1 결합홀
520 : 제2 결합홀 600 : 접지부재
700 : 얼라인먼트 조정홀 710 : 조정볼트
800 : 브라켓

Claims (1)

  1. 제1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2 파이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파이프 간격 조절 가능한 갭 가접지그.
KR2020220000024U 2021-01-21 2022-01-05 갭 가접지그 KR202200018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24U KR20220001867U (ko) 2021-01-21 2022-01-05 갭 가접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16U KR200494851Y1 (ko) 2021-01-21 2021-01-21 갭 가접지그
KR2020220000024U KR20220001867U (ko) 2021-01-21 2022-01-05 갭 가접지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16U Division KR200494851Y1 (ko) 2021-01-21 2021-01-21 갭 가접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67U true KR20220001867U (ko) 2022-07-28

Family

ID=793418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16U KR200494851Y1 (ko) 2021-01-21 2021-01-21 갭 가접지그
KR2020220000024U KR20220001867U (ko) 2021-01-21 2022-01-05 갭 가접지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16U KR200494851Y1 (ko) 2021-01-21 2021-01-21 갭 가접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48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8581A (zh) * 2022-08-17 2022-11-15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增材制造的导管焊接夹具
KR102589328B1 (ko) * 2022-10-19 2023-10-16 지엠기공 주식회사 회전이 가능한 배관 클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793A (ja) * 1992-01-20 1993-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用開先合せ装置
KR101989924B1 (ko) * 2018-10-02 2019-06-17 현종석 가접용 지그
KR102121232B1 (ko) * 2019-07-22 2020-07-01 주식회사 모던텍 가접용 실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51Y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867U (ko) 갭 가접지그
US10316888B2 (en) Mounting fixture including an articulation joint
CA207422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xially aligning straight or curved conduits
KR101989924B1 (ko) 가접용 지그
KR100675786B1 (ko) 관체 용접용 다관절 아암
KR102146341B1 (ko) 배관 용접용 클램핑 지그
CN1325333A (zh) 管子夹持组件
CN212552537U (zh) 一种重卡制动软管的波纹管接缝焊接设备
KR101801382B1 (ko) 금속부품 접합용 길이조절장치
KR102058833B1 (ko) 체인식 파이프 용접용 지그장치
KR102068607B1 (ko) 건축 비계용 클램프
KR101485101B1 (ko) 강관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49536B1 (ko) 가접지그
JP3985392B2 (ja) 筒軸のスプライン部加工方法
JP3727719B2 (ja) 杭の継手構造
US5785466A (en) Tool for aligning a portable boring bar for reboring of a bore at a location relative to a further bore
US20200016699A1 (en) Pipeline tie-in apparatus and methods
CN220954225U (en) Joint converter for connection between steel bars
JPH11138403A (ja) 管端加工機
CN210413309U (zh) 一种圆管焊接机构
CN115846707B (zh) 金属表面加工刀具头装置
CN213351403U (zh) 一种便捷式钢管焊接用夹具
JPH0247351Y2 (ko)
CN216462708U (zh) 一种弧形钢板相对位置的调整装置
JP4084315B2 (ja) ブレース連結構造及びその設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