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698A -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698A
KR20220001698A KR1020200079983A KR20200079983A KR20220001698A KR 20220001698 A KR20220001698 A KR 20220001698A KR 1020200079983 A KR1020200079983 A KR 1020200079983A KR 20200079983 A KR20200079983 A KR 20200079983A KR 20220001698 A KR20220001698 A KR 2022000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content
nutritional supplement
substances
symp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임지현
박재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토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토피아
Priority to KR102020007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698A/ko
Publication of KR2022000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16B20/20Allele or variant detection, e.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et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은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탁월한 증상유발 가능성 경감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dividual customized nutrition supplement}
본 발명은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고,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을 예측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여 종래의 수술 및 사후 치료를 중심으로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이 최근 질병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질병의 발병 시기를 늦추는 예방 치료를 중심으로 건강 관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약물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이미 발생된 질병과 그에 따른 증상에 대한 처방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개인의 유전자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약물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문제가 있었고, 질병 예방 목적에는 전혀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사후적 약물 치료방법은 개인별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여 동일한 약물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효과가 작게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일부 환자에서는 약물 이상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 건강을 위해 복용하는 영양보충제는 개개인의 유전자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모든 개체에 범용적으로 효과가 있는 성분을 종합적으로 포함하도록 제조되므로,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여 영양보충제의 효과에 한계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체 유전정보(Genetic information)와 질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맞춤형 유전자 변이를 이용한 질병치료, 유전자 맞춤형 약물 제조 또는 유전자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 서열 및 변이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그 양이 방대하여 개체 유전정보와 질병과의 상관관계의 정확성과 명확성이 떨어지고, 연구자 또는 소비자가 개체 맞춤형 정보를 추출하고자할 때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질병의 이전 단계인 증상(Symptom)과 개체 유전정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고, 개체 유전정보와 피지(Sebum)의 상관관계, 개체 유전정보와 미생물군집(Microbiome)의 상관관계, 개체 유전정보와 유해금속 및 미네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인 맞춤형 영양 보충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5931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개인 맞춤 영양 보충제를 합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의 성명, 집주소, 전화 번호, 개인 인증번호, 지문, 홍채, 또는 기타 개인 식별 정보 등의 개인 식별 정보와 유전자형 및/또는 표현형의 분석 결과, 질문서에 대한 응답, 하나 이상의 필요로하는 영양 또는 음식물의 리스트, 하나 이상의 원하는 영양 보충제 및 영양 보충제의 리시피 등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영양 보충제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대한 유전자 서열 및 변이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어려움이 있고, 질병 이전 단계인 증상과 개체 유전정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현재 개체의 상태지표{피지(Sebum), 미생물군집(Microbiome), 유해금속(Hazardous metal) 및 미네랄(Mineral)}와 개체의 유전정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문제가 여전히 잔존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5931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여 방대한 유전자 서열 및 변이 정보 관련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고, 개체 유전정보와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증상유발 가능성 경감 효과가 크고 정확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증상을 가지는 질병의 이전 단계에서 특정 증상 별로 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증상 별로 정확하게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체의 상태지표{피지(Sebum), 미생물군집(Microbiome), 유해금속(Hazardous metal) 및 미네랄(Mineral)}와 개체의 유전정보와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태지표 이상을 치유함과 동시에 특정 증상 별로 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는, 개체의 구강, 혈액, 체액, 피부, 두피, 체모, 분비물, 배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세포를 채취하는 단계 및 세포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는,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개체에 따라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체모를 채취하는 단계, 체모의 유해금속과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값 이상인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거나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거나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의 피부로부터 피지를 채취하는 단계, 피지의 성분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피지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피지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미생물군집을 채취하는 단계,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체모의 유해금속은 알루미늄(Aluminum, Al) 7.0㎍/g, 안티몬(Antimony, Sb) 0.066㎍/g, 비소(Arsenic, As) 0.080㎍/g, 바륨(Barium, Ba) 1.0㎍/g, 베릴륨(Beryllium, Be) 0.0020㎍/g, 비스무트(Bismuth, Bi) 2.0㎍/g, 카드뮴(Cadmium, Cd) 0.065㎍/g, 납(Lead, Pb) 0.80㎍/g, 수은(Mercury, Hg) 0.80㎍/g, 백금(Platinum, Pt) 0.005㎍/g, 탈륨(Thallium, Tl) 0.002㎍/g, 토륨(Thorium, Th) 0.002㎍/g, 우라늄(Uranium, U) 0.060㎍/g, 니켈(Nickel, Ni) 0.20㎍/g, 은(Silver, Ag) 0.08㎍/g, 주석(Tin, Sn) 0.30㎍/g, 타이타늄(Titanium, Ti) 0.60㎍/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값을 가지며, 체모의 미네랄은 칼슘(Calcium, Ca) 200-750㎍/g, 마그네슘(Magnesium, Mg) 25-75㎍/g, 나트륨(Sodium, Na) 20-180㎍/g, 칼륨(Potassium, K) 9-80㎍/g, 구리(Copper, Cu) 11-30㎍/g, 아연(Zinc, Zn) 130-200㎍/g, 망간(Manganese, Mn) 0.08-0.50㎍/g, 크롬(Chromium, Cr) 0.40-0.70㎍/g, 바나듐(Vanadium, V) 0.018-0.065㎍/g. 몰리브덴(Molybdenum, Mo) 0.025-0.060㎍/g, 붕소(Boron, B) 0.40-3.0㎍/g, 요오드(Iodine, I) 0.25-1.8㎍/g, 리튬(Lithium, Li) 0.007-0.020㎍/g, 인(Phosphorus, P) 150-220㎍/g, 셀레늄(Selenium, Se) 0.70-1.20㎍/g, 스트론튬(Strontium, Sr) 0.30-3.5㎍/g, 황(Sulfur, S) 44000-50000㎍/g, 코발트(Cobalt, Co) 0.004-0.020㎍/g, 철(Iron, Fe) 7.0-16㎍/g, 저마늄(Germanium, Ge) 0.030-0.040㎍/g, 루비듐(Rubidium, Rb) 0.011-0.12㎍/g, 지르코늄(Zirconium, Zr) 0.020-0.44㎍/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피지의 성분함량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30-50중량부,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15-30중량부, 왁스에스터(Wax ester) 26-30중량부, 스쿠알렌(Squalene) 12-20중량부, 콜레스테롤(Cholesterol) 1.5-2.5중량부, 콜레스테롤에스터(Cholesterol ester) 3.0-6.0중량부의 기준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은 방선균류(Actinobacteria) 25-60중량부, 후벽균(Firmicutes) 3-25중량부, 의간균(Bacteroidetes) 10-45중량부,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4-24중량부의 기준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여 방대한 유전자 서열 및 변이 정보 관련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고, 개체 유전정보와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증상유발 가능성 경감 효과가 크고 정확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다양한 증상을 가지는 질병의 이전 단계에서 특정 증상 별로 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증상 별로 정확하게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의 상태지표{피지(Sebum), 미생물군집(Microbiome), 유해금속(Hazardous metal) 및 미네랄(Mineral)}와 개체의 유전정보와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태지표 이상을 치유함과 동시에 특정 증상 별로 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의 세분화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모의 유해금속과 미네랄의 함량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지 성분함량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의 세분화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2에 의하면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는, 개체의 구강, 혈액, 체액, 피부, 두피, 체모, 분비물, 배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세포를 채취하는 단계 및 세포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는,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개체에 따라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고,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에서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는 개체의 구강, 혈액, 체액, 피부, 두피, 체모, 분비물, 배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세포를 채취하는 단계 및 세포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채취되는 생물학적 시료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강, 혈액, 체액, 피부, 두피, 체모, 분비물, 배설물 등 개체에 존재하는 다양한 부위에서 생물학적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에서 채취되는 세포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아니하며, 세포의 채취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세포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에서는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한 DNA 증폭을 거칠수도 있고, DNA의 분리 후 DNA 증폭과정 없이 바로 후속 단계가 진행할 수도 있다. DNA 분리는 세포막 분해효소가 들어 있는 완충용액에 채취한 생물학적 시료의 세포를 넣고, 세포막 분해효소를 이용해 세포를 완전히 분해한 후 분해된 것을 페놀 또는 칼럼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세척 과정을 거쳐 순수한 DNA만을 분리한다.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에서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는,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개체에 따라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방법은 개체의 전체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검사하여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거나 특정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염기서열을 검사하여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전자 분석에 해당하는 모든 다양한 방법이 본 발명에서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유전자 분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전자 분석은 예시적인 것이며, 유전자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NA 칩이란 작은 슬라이드 위에 수많은 합성 DNA 조각(탐색자)을 미세하게 집적한 것으로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oligonucleotide microarray)라고도 한다. 분석하고자 하는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서 분리한 DNA를 형광으로 표지한 후 DNA 칩에 반응시키면 상보적인 염기순서의 합성 DNA 조각(탐색자)과 부합이 이루어지고 이를 레이저 빛으로 스캔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할 수 있다.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거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는 단계는 개체의 DNA상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차이에 의한 유전적변이를 판단하고, 이러한 유전적 변이에 의해 개체에서 형질이 다르게 표현되는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개체의 DNA상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개체의 형질에 표현되지 않는다면 유전적 변이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인정되지 않는다. 즉, 개체의 DNA상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개체의 형질에 표현되지 않는다면 유전적 변이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인정되지 않고,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적 변이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표현형과 증상을 가지고 있는 복수의 개체의 DNA를 비교하여 공통되는 변이 지점을 파악하고 개체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지점을 통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DNA 칩을 미리 특정된 개체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에 대응하게 커스토마이징(Custominz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커스토마이징을 통해 방대한 유전자 서열 및 변이 정보 관련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변이여부만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개체 유전정보와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보다 정확하고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개체에 따라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는 단계는 개체의 DNA상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형질의 변화를 향후 발생할 일시적인 형질 변화와 이미 발생한 영구적인 형질 변화로 구별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증상과 관련이 있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이미 발생한 표현형 변화와 관련이 있는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이미 발생한 표현형 변화와도 관련이 있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증상과도 중복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판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복수 개체의 DNA를 비교하여 공통되는 변이 지점을 파악하고, 현재 증상이 발현되지 않았지만 향후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체의 DNA를 전부 비교하여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지점을 파악할 수도 있고, 복수 개체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지점만을 비교하여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지점을 파악할 수도 있다.
복수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서만 향후 특정 증상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복수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가 모두 발생한 경우에만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판단하고, 복수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중 일부만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체를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중 일부 변이 발생에 의해서도 향후 특정 증상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면, 복수의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중 일부 변이에 대해서도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에서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는, 변이된 유전자 또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영양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이나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특정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인해 기관지의 기능이 약해지고 잔기침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선제적으로 특정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작용할 수 있는 진세노사이드(Ginsenoiside), 가르시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또는 코엔자임 Q10과 같은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영양보층제를 조제할 수 있고, 선제적으로 특정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작용할 수 있는 생강, 도라지, 귤껍질, 무, 배, 대추, 오미자 또는 은행 등에서 추출한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영양보충제를 조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세노사이드(Ginsenoiside), 가르시아 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또는 코엔자임 Q10과 같은 성분이나 물질과 생강, 도라지, 귤껍질, 무, 배, 대추, 오미자 또는 은행 등에서 추출한 성분이나 물질을 혼합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영양보충제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 향후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 향후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거나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어떠한 성분이나 물질이라도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세분화하여 구별하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성분이나 물질 등을 선별하여 영양보충제를 제조함으로써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모의 유해금속과 미네랄의 함량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체모를 채취하는 단계, 체모의 유해금속과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값 이상인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거나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거나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개체로부터 체모를 채취하는 단계에서 채취하는 체모의 종류나 체모가 채취되는 장소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채취하는 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채취한 체모에서 유해금속과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체모의 유해금속은 알루미늄(Aluminum, Al) 7.0㎍/g, 안티몬(Antimony, Sb) 0.066㎍/g, 비소(Arsenic, As) 0.080㎍/g, 바륨(Barium, Ba) 1.0㎍/g, 베릴륨(Beryllium, Be) 0.0020㎍/g, 비스무트(Bismuth, Bi) 2.0㎍/g, 카드뮴(Cadmium, Cd) 0.065㎍/g, 납(Lead, Pb) 0.80㎍/g, 수은(Mercury, Hg) 0.80㎍/g, 백금(Platinum, Pt) 0.005㎍/g, 탈륨(Thallium, Tl) 0.002㎍/g, 토륨(Thorium, Th) 0.002㎍/g, 우라늄(Uranium, U) 0.060㎍/g, 니켈(Nickel, Ni) 0.20㎍/g, 은(Silver, Ag) 0.08㎍/g, 주석(Tin, Sn) 0.30㎍/g, 타이타늄(Titanium, Ti) 0.60㎍/g 등의 기준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모의 미네랄은 칼슘(Calcium, Ca) 200-750㎍/g, 마그네슘(Magnesium, Mg) 25-75㎍/g, 나트륨(Sodium, Na) 20-180㎍/g, 칼륨(Potassium, K) 9-80㎍/g, 구리(Copper, Cu) 11-30㎍/g, 아연(Zinc, Zn) 130-200㎍/g, 망간(Manganese, Mn) 0.08-0.50㎍/g, 크롬(Chromium, Cr) 0.40-0.70㎍/g, 바나듐(Vanadium, V) 0.018-0.065㎍/g. 몰리브덴(Molybdenum, Mo) 0.025-0.060㎍/g, 붕소(Boron, B) 0.40-3.0㎍/g, 요오드(Iodine, I) 0.25-1.8㎍/g, 리튬(Lithium, Li) 0.007-0.020㎍/g, 인(Phosphorus, P) 150-220㎍/g, 셀레늄(Selenium, Se) 0.70-1.20㎍/g, 스트론튬(Strontium, Sr) 0.30-3.5㎍/g, 황(Sulfur, S) 44000-50000㎍/g, 코발트(Cobalt, Co) 0.004-0.020㎍/g, 철(Iron, Fe) 7.0-16㎍/g, 저마늄(Germanium, Ge) 0.030-0.040㎍/g, 루비듐(Rubidium, Rb) 0.011-0.12㎍/g, 지르코늄(Zirconium, Zr) 0.020-0.44㎍/g 등의 기준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모의 유해금속 중에 어느 하나라도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기준값 이상인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기준값 이상을 가지는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일수 있는 성분이나 물질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유해금속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영양보충제의 성분이나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유해금속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체모의 유해금속 중에 어느 하나라도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마그네슘,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D, 클로렐라, 효소, 섬유소와 같은 성분이나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체모의 유해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할 수 있고, 해조류, 고수 또는 마늘 등에서 추출한 성분이나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체모의 유해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그네슘,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D, 클로렐라, 효소, 섬유소와 같은 성분이나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조류, 고수 또는 마늘 등에서 추출한 성분이나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체모의 유해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체모의 유해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영양보충제는 체모의 유해금속 함량을 감소시켜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를 개선시키고, 이러한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의한 발생될 수 있는 증상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의 발현의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즉, 체모의 유해금속 함량을 감소시키는 성분이나 물질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에 추가 포함됨으로써,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 향후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시키는 길항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체모의 미네랄은 칼슘(Calcium, Ca) 200-750㎍/g, 마그네슘(Magnesium, Mg) 25-75㎍/g, 나트륨(Sodium, Na) 20-180㎍/g, 칼륨(Potassium, K) 9-80㎍/g, 구리(Copper, Cu) 11-30㎍/g, 아연(Zinc, Zn) 130-200㎍/g, 망간(Manganese, Mn) 0.08-0.50㎍/g, 크롬(Chromium, Cr) 0.40-0.70㎍/g, 바나듐(Vanadium, V) 0.018-0.065㎍/g. 몰리브덴(Molybdenum, Mo) 0.025-0.060㎍/g, 붕소(Boron, B) 0.40-3.0㎍/g, 요오드(Iodine, I) 0.25-1.8㎍/g, 리튬(Lithium, Li) 0.007-0.020㎍/g, 인(Phosphorus, P) 150-220㎍/g, 셀레늄(Selenium, Se) 0.70-1.20㎍/g, 스트론튬(Strontium, Sr) 0.30-3.5㎍/g, 황(Sulfur, S) 44000-50000㎍/g, 코발트(Cobalt, Co) 0.004-0.020㎍/g, 철(Iron, Fe) 7.0-16㎍/g, 저마늄(Germanium, Ge) 0.030-0.040㎍/g, 루비듐(Rubidium, Rb) 0.011-0.12㎍/g, 지르코늄(Zirconium, Zr) 0.020-0.44㎍/g 등의 기준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모의 미네랄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준범위 내로 미네랄 함량을 위치시키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미네랄의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위치시키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미네랄의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위치시키는 영양보충제의 성분이나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미네랄의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위치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체모의 칼슘(Calcium, Ca)이 200㎍/g 미만이면 칼슘(Calcium, Ca)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영양보충제를 조제할 수 있고, 마그네슘(Magnesium, Mg)이 25㎍/g 미만이면 마그네슘(Magnesium, Mg)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체모의 미네랄 함량이 기준범위 미만이면 미만의 범위를 가지는 해당 미네랄 그 자체 또는 해당 미네랄을 보충할 수 있는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미네랄의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증가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체모의 구리(Copper, Cu)가 30㎍/g 초과이거나, 아연(Zinc, Zn)이 200㎍/g 초과인 경우와 같이 체모의 미네랄 함량이 기준범위 초과이면, 초과의 범위를 가지는 해당 미네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미네랄의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감소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체모의 미네랄 함량이 기준범위 초과이면 초과인 미네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클로렐라, 효소, 섬유소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체모의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감소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칼슘(Calcium, Ca)이나 마그네슘(Magnesium, Mg)은 기준범위 미만이고 나머지 미네랄 함량이 기준범위 초과이면 칼슘(Calcium, Ca)이나 마그네슘(Magnesium, Mg) 등과 같은 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클로렐라, 효소, 섬유소 등과 같은 성분이나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체모의 미네랄을 기준범위 내로 위치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영양보충제는 체모의 미네랄을 기준범위 내로 위치시켜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를 개선시키고, 이러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의한 발생될 수 있는 증상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의 발현의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즉, 체모의 미네랄을 기준범위로 위치시키는 성분이나 물질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에 추가 포함됨으로써,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 향후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시키는 길항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지 성분함량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의 피부로부터 피지를 채취하는 단계, 피지의 성분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피지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피지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개체로부터 피지를 채취하는 단계에서 피지를 채취하는 장소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피지는 일반적으로 피부에서 채취될 수 있다. 채취한 피지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피지의 성분함량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30-50중량부,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15-30중량부, 왁스에스터(Wax ester) 26-30중량부, 스쿠알렌(Squalene) 12-20중량부, 콜레스테롤(Cholesterol) 1.5-2.5중량부, 콜레스테롤에스터(Cholesterol ester) 3.0-6.0중량부의 기준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지의 성분함량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준비율 내로 피지의 함량을 위치시키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피지의 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피지의 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는 영양보충제의 성분이나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피지의 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피지의 성분함량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30-50중량부,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15-30중량부, 왁스에스터(Wax ester) 26-30중량부, 스쿠알렌(Squalene) 12-20중량부, 콜레스테롤(Cholesterol) 1.5-2.5중량부, 콜레스테롤에스터(Cholesterol ester) 3.0-6.0중량부의 기준비율을 벗어는 경우, 비타민 A 또는 레티놀(Retinol), 비타민 E, 아연, 리코펜 (Lycopene) 또는 산화방지제, 글루타티온(Glutathine)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피지의 성분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위치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영양보충제는 피지의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켜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를 개선시키고, 이러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의한 발생될 수 있는 증상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의 발현의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즉, 피지의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범위 내로 위치시키는 성분이나 물질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에 추가 포함됨으로써,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 향후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시키는 길항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에 의한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은 개체로부터 미생물군집을 채취하는 단계,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개체로부터 미생물군집을 채취하는 단계에서 미생물군집을 채취하는 장소나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미생물군집은 피부나 소장이나 대장 등에 존재하는 배설물에서 채취될 수 있다. 또한 개체로부터 채취한 미생물군집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은 방선균류(Actinobacteria) 25-60중량부, 후벽균(Firmicutes) 3-25중량부, 의간균(Bacteroidetes) 10-45중량부,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4-24중량부의 기준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준비율 내로 미생물군집의 함량을 위치시키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미생물군집의 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기 위한 성분이나 물질이기만 하면 충분하고, 미생물군집의 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는 영양보충제의 성분이나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미생물군집의 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에서 방선균류(Actinobacteria) 25-60중량부, 후벽균(Firmicutes) 3-25중량부, 의간균(Bacteroidetes) 10-45중량부,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4-24중량부의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에서 방선균류(Actinobacteria) 25-60중량부, 후벽균(Firmicutes) 3-25중량부, 의간균(Bacteroidetes) 10-45중량부,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4-24중량부의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유청(Whey),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미강(Rice bran), 스피루리나(Spirulina), 치커리(Chicory), 아셀렌산나트륨(Natriumselenit), 섬유소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이나 물질을 선별하고 포함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등의 성분이나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유청(Whey),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미강(Rice bran), 스피루리나(Spirulina), 치커리(Chicory), 아셀렌산나트륨(Natriumselenit), 섬유소 등의 성분이나 물질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영양보충제는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켜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를 개선시키고, 이러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의한 발생될 수 있는 증상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현재 개체의 컨디션과 상태지표 개선을 통해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의 발현의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즉,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위치시키는 성분이나 물질이 본 발명인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에 추가 포함됨으로써,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해 향후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고,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시키는 길항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개체로부터 생물학적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는,
    개체의 구강, 혈액, 체액, 피부, 두피, 체모, 분비물, 배설물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세포를 채취하는 단계; 및 세포에서 DN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전자 분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유전자 변이를 판단하는 단계;는,
    DNA 칩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개체에 따라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를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와 증상비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로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유발 가능성을 완화시키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는,
    증상유발 단일염기 다형성 변이 발생지점의 유전자에 대해 작용하여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증상유발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개체로부터 체모를 채취하는 단계;
    체모의 유해금속과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값 이상인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거나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유해금속의 함량을 줄이거나 미네랄 함량을 기준범위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개체의 피부로부터 피지를 채취하는 단계;
    피지의 성분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피지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피지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개체로부터 미생물군집을 채취하는 단계;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기준비율을 벗어나는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단계; 및
    미생물군집 성분함량을 기준비율 내로 변화시키는 성분이나 물질 중 하나 이상을 추가 포함하도록 영양보충제를 조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체모의 유해금속은 알루미늄(Aluminum, Al) 7.0㎍/g, 안티몬(Antimony, Sb) 0.066㎍/g, 비소(Arsenic, As) 0.080㎍/g, 바륨(Barium, Ba) 1.0㎍/g, 베릴륨(Beryllium, Be) 0.0020㎍/g, 비스무트(Bismuth, Bi) 2.0㎍/g, 카드뮴(Cadmium, Cd) 0.065㎍/g, 납(Lead, Pb) 0.80㎍/g, 수은(Mercury, Hg) 0.80㎍/g, 백금(Platinum, Pt) 0.005㎍/g, 탈륨(Thallium, Tl) 0.002㎍/g, 토륨(Thorium, Th) 0.002㎍/g, 우라늄(Uranium, U) 0.060㎍/g, 니켈(Nickel, Ni) 0.20㎍/g, 은(Silver, Ag) 0.08㎍/g, 주석(Tin, Sn) 0.30㎍/g, 타이타늄(Titanium, Ti) 0.60㎍/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값을 가지며, 체모의 미네랄은 칼슘(Calcium, Ca) 200-750㎍/g, 마그네슘(Magnesium, Mg) 25-75㎍/g, 나트륨(Sodium, Na) 20-180㎍/g, 칼륨(Potassium, K) 9-80㎍/g, 구리(Copper, Cu) 11-30㎍/g, 아연(Zinc, Zn) 130-200㎍/g, 망간(Manganese, Mn) 0.08-0.50㎍/g, 크롬(Chromium, Cr) 0.40-0.70㎍/g, 바나듐(Vanadium, V) 0.018-0.065㎍/g. 몰리브덴(Molybdenum, Mo) 0.025-0.060㎍/g, 붕소(Boron, B) 0.40-3.0㎍/g, 요오드(Iodine, I) 0.25-1.8㎍/g, 리튬(Lithium, Li) 0.007-0.020㎍/g, 인(Phosphorus, P) 150-220㎍/g, 셀레늄(Selenium, Se) 0.70-1.20㎍/g, 스트론튬(Strontium, Sr) 0.30-3.5㎍/g, 황(Sulfur, S) 44000-50000㎍/g, 코발트(Cobalt, Co) 0.004-0.020㎍/g, 철(Iron, Fe) 7.0-16㎍/g, 저마늄(Germanium, Ge) 0.030-0.040㎍/g, 루비듐(Rubidium, Rb) 0.011-0.12㎍/g, 지르코늄(Zirconium, Zr) 0.020-0.44㎍/g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피지의 성분함량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30-50중량부,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15-30중량부, 왁스에스터(Wax ester) 26-30중량부, 스쿠알렌(Squalene) 12-20중량부, 콜레스테롤(Cholesterol) 1.5-2.5중량부, 콜레스테롤에스터(Cholesterol ester) 3.0-6.0중량부의 기준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미생물군집의 성분함량은 방선균류(Actinobacteria) 25-60중량부, 후벽균(Firmicutes) 3-25중량부, 의간균(Bacteroidetes) 10-45중량부,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4-24중량부의 기준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KR1020200079983A 2020-06-30 2020-06-30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KR20220001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983A KR20220001698A (ko) 2020-06-30 2020-06-30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983A KR20220001698A (ko) 2020-06-30 2020-06-30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698A true KR20220001698A (ko) 2022-01-06

Family

ID=7934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983A KR20220001698A (ko) 2020-06-30 2020-06-30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6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931A (ko) 2004-11-10 2007-08-2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개인 맞춤 영양 보충제를 합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931A (ko) 2004-11-10 2007-08-2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개인 맞춤 영양 보충제를 합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Comparison of DNA extraction methods for human gut microbial community profiling
Prideaux et al. Impact of ethnicity, geography, and disease on the microbiota in health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Ye et al. The gut microbiota in women suffering fro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ith the failure of glycemic control by lifestyle modification
US20150211053A1 (en) Biomarkers for diabetes and usages thereof
CN107190064B (zh) 检测22个位点耳聋基因多态性的SNaPshot试剂盒
Zhang et al. Combined use of PCR-based TCRG and TCRB clonality tests on paraffin-embedded skin tissu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mycosis fungoides and inflammatory dermatoses
Ottoni et al. Metagenomic analysis of dental calculus in ancient Egyptian baboons
CN105936940A (zh) 检测耳聋基因的核酸序列及其应用
Manta et al. Ultra-sensitive detection of Mycobacterium leprae: DNA extraction and PCR assays
Hoza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Tanga, Tanzania: First insight of MIRU-VNTR and microarray-based spoligotyping in a high burden country
Dierlamm et al. Gain of chromosome region 18q21 including the MALT1 gene is associated with the activated B-cell-like gene expression subtype and increased BCL2 gene dosage and protein expression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KR20220001698A (ko) 개체 맞춤형 영양보충제 제조방법
CN101748189B (zh) 用于老年痴呆相关位点检测的Tagman探针对和引物对
Streit et al. Finer characteriz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spoligotyping and 15-loci MIRU-VNTRs reveals phylogeographical specificities of isolates circulating in Guyana and Suriname
Anwar et al. Umbilical cord blood screening for the detection of common deletional mutations of α-Thalassemia in Bangladesh
Tsai et al. A rapid DNA probe test compared to culture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subgingival plaque bacteria
Tió-Coma et al. Detection of new Mycobacterium leprae subtype in Bangladesh by genomic characterization to explore transmission patterns
WO2009145830A2 (en) Signatures of radiation response
Basta et al.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sputum from Suruí Indian subjects, Brazilian Amazon
Ezzine et al. New records of the endemic Sicilian land snail species Marmorana (Murella) muralis (OF Müller, 1774) from the north of Tunisia (Pulmonata, Gastropoda)
CN116042866A (zh) 用于评估二型糖尿病患者粪菌移植疗效的微生物标志物及其应用
Datkhile et al. The Spectrum of β-Globin Gene Mutations in Thalassemia Patients of South-Western Maharashtra: A Cross Sectional Study.
Gauri Evaluation of Potential DNA Sources and Need of DNA Analysis for Personalized Medicine in Microfluidic Device
CN108486244A (zh) 预测人体矿物质缺乏风险性基因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Ramos et al. Urine qPCR diagnoses over the entire clinical-immunological spectrum of human Leishmania (L.) infantum chagasi-infections in the Brazilian Amaz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