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509U -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 Google Patents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509U
KR20220001509U KR2020210001832U KR20210001832U KR20220001509U KR 20220001509 U KR20220001509 U KR 20220001509U KR 2020210001832 U KR2020210001832 U KR 2020210001832U KR 20210001832 U KR20210001832 U KR 20210001832U KR 20220001509 U KR20220001509 U KR 202200015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tating rod
rotation
pedesta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057Y1 (ko
Inventor
첸 후이펭
Original Assignee
센젠 레노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레노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레노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1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거치대는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제1 회전로드의 중간 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에 회전 결합을 형성하여,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제1 회전로드의 배면과 제2 회전로드의 배면에 모두 펼침, 접힘 상태를 구비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열고 받침대를 펼치면 지지상태를 형성하며, 제1 회전로드의 전면과 제2 회전로드의 전면은 노트북 컴퓨터와 접촉하는 지지면을 구성하고, 펼쳐진 상태의 받침대는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2개의 회전로드의 회전 결합을 통해 펼침과 접힘을 구현하고, 개폐 가능한 받침대를 통해 경사 각도를 지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생산 조립의 복잡도가 감소하여, 생산 속도가 향상될 수 있고, 원가 절감에 유리하여 제품 경쟁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Notebook computer bracket}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 주변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팜컴퓨터 또는 랩탑컴퓨터"라고도 칭하며, 그 특징은 몸체가 작고 컴팩트하다는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는 데스크형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며, 소형이면서 휴대가 간편한 개인용 컴퓨터이다. 노트북 컴퓨터는 현재 부피가 갈수록 작아지고, 중량은 갈수록 가벼워지며, 기능은 갈수록 강력해지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를 탁상에서 사용 시, 일반적으로 거치대를 사용하면 노트북을 높이 들어올릴 수 있어,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를 보다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자세가 부적절하여 신체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탁상에서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는 대부분 접을 수 없게 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도 하고 휴대하기도 불편하다. 따라서 일부 접이식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가 출현하였으나, 종래의 많은 접이식 노트북 거치대는 모두 절첩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생산 조립 속도 향상에 불리하고, 원가 절감에 불리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결함을 극복하여, 간단한 절첩 구조를 통해 펼치고 접을 수 있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 기술방안을 채택한다: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는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제1 회전로드의 중간 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에 회전 결합을 형성하여,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제1 회전로드의 배면과 제2 회전로드의 배면에 모두 펼침, 접힘 상태를 구비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열고 받침대를 펼치면 지지상태를 형성하며, 제1 회전로드의 전면과 제2 회전로드의 전면은 노트북 컴퓨터와 접촉하는 지지면을 구성하고, 펼쳐진 상태의 받침대는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접고 받침대를 접으면 전체적으로 접힌 상태를 형성한다.
거치대는 프론트캡과 리어캡을 더 포함하고, 제1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설치되며, 리어캡에 개구가 바깥을 향하는 회전 슬리브가 설치되어 회전 슬리브가 2개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축공 결합을 형성하고, 프론트캡에 회전 슬리브에 대응하는 원기둥이 설치되어 원기둥이 회전 슬리브 내벽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결합을 형성하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는 프론트캡과 리어캡의 결합을 통해 회전 결합을 형성한다.
프론트캡의 원기둥과 리어캡의 회전 슬리브는 억지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한다.
제1 회전로드는 제2 회전로드를 향해 설치되는 일면에 원호 홈이 설치되고, 원호 홈의 원심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중심이며, 제2 회전로드에 원호 홈에 대응되는 위치제한기둥이 설치되고, 위치제한기둥이 원호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형성하며, 원호 홈과 위치제한기둥의 결합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개방 최대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제2 회전로드는 제1 회전로드를 향해 설치되는 일면에 원호 홈이 설치되고, 원호 홈의 원심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중심이며, 제1 회전로드에 원호 홈에 대응되는 위치제한기둥이 설치되고, 위치제한기둥이 원호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형성하며, 원호 홈과 위치제한기둥의 결합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개방 최대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회전로드의 전면과 제2 회전로드의 전면에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차단판이 설치되며, 차단판은 노트북 컴퓨터의 위치를 제한하고 노트북 컴퓨터가 지지면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회전로드 또는 제2 회전로드의 배면에 수납홈이 설치되어, 접힘 상태의 받침대가 수납홈에 수납된다.
수납홈에 상호 평행한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설치되고, 받침대에 회전 개폐되는 각도조절발이 설치되어, 각도조절발을 펼친 후 바깥 단부를 어느 하나의 각도조절홈에 삽입하면, 받침대, 각도조절발 및 제1 회전로드 또는 제2 회전로드가 하나의 삼각형을 형성한다.
받침대에 사각형 홀 위치(hole location)가 설치되어, 각도조절발을 접었을 때 사각형 홀 위치에 처하며, 각도조절발과 사각형 홀 위치의 측벽에 핀축 회전 결합이 형성된다.
각도조절발 외측 단부에 후크판이 설치되며, 후크판은 어느 하나의 각도조절홈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고, 후크판의 내측에 회피홈이 구비된다.
받침대는 핀축을 통해 수납홈의 측벽과 회전 결합되고, 핀축에 토션스프링이 관통되며, 토션스프링의 회복력은 받침대를 회전시켜 수납홈으로 접히도록 구동하고 받침대를 수납홈에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토션스프링은 더블 토션스프링이고, 토션스프링의 중간은 수납홈의 끼움홈에 삽입되고, 토션스프링의 2개의 단부는 각각 받침대의 내부 홀에 삽입된다.
제1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 사이에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 사이의 회전 저항을 낮추기 위한 개스킷이 개재된다.
2개의 회전로드의 회전 결합을 통해 펼침과 접힘을 구현하고, 개폐 가능한 받침대를 통해 경사 각도를 지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생산 조립의 복잡도가 감소하여, 생산 속도가 향상될 수 있고, 원가 절감에 유리하여 제품 경쟁력이 향상된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기술방안을 개략적으로 기술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수단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여,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더욱 자명하고 쉽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를 펼친 사용상태 입체도이다.
도 2, 3은 모두 본 고안의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의 제1 회전로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의 다른 예시의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이하 첨부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고안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 중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분명하고, 완전하게 기술할 것이며, 기술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일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은 전제하에 획득된 모든 기타 실시에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상부(top)", "바닥(bottom)", "내", "외",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등의 용어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따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의 편의와 묘사의 단순화를 위한 것이지, 지시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구비하고, 특정한 방위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등의 용어는 단지 목적을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하는 기술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지명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특징을 명시하거나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 한, "다수" 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 및 한정하지 않는 한, "장착", "연결", "결합", "고정" 등의 용어는 광의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결합일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이거나, 또는 일체화된 것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인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2개의 소자 내부의 연결이거나 또는 2개의 소자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계의 보통 기술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고안에서 갖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 및 한정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사이의 별도의 특징을 통해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직상방 및 경사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만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직하방 및 경사진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다는 것만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참고용어인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기술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도식적인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 이해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술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어떠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 중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밖에,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기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이며, 그 구체적인 구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는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를 포함한다. 제1 회전로드(10)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20)의 중간위치에 회전 결합을 형성하여,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로드(10)의 배면과 제2 회전로드(20)의 배면에 모두 펼침, 접힘 상태를 구비한 받침대(30)가 설치된다.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열고 받침대(30)를 펼치면 지지 상태를 형성하며, 이때 제1 회전로드(10)의 전면과 제2 회전로드(20)의 전면은 노트북 컴퓨터와 접촉하는 지지면을 구성한다. 펼친 상태의 받침대(30)는 제1 회전로드(10) 및 제2 회전로드(20)가 설치 평면에 대해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회전로드(10)의 전면 하방과 제2 회전로드(20)의 전면 하방에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오는 차단판(11), (21)이 설치되며, 차단판(11), (21)은 노트북 컴퓨터의 위치를 제한하고 노트북 컴퓨터가 지지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회전로드(10), 제2 회전로드(20), 받침대(30)가 설치 평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각각 미끄럼 방지 패드(101), (31)가 설치된다. 도 1의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접고 받침대(30)를 접으면 거치대는 전체적으로 접힌 상태를 형성한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는 프론트캡(41)과 리어캡(42)을 더 포함하며,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는 프론트캡(41)과 리어캡(42)의 결합을 통해 회전 결합된다. 제1 회전로드(10)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20)의 중간위치에 각각 관통공(90)이 설치되며, 리어캡(42)에 개구가 바깥을 향하는 회전 슬리브(421)가 설치되고 또한 회전 슬리브(421)가 2개의 관통공(90)을 관통하여 축공 결합을 형성하며, 프론트캡(41)에 회전 슬리브(421)에 대응되는 원기둥(411)이 설치되고 원기둥(411)이 회전 슬리브(421)의 내벽에 삽입되어 억지끼워맞춤 고정 결합을 형성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프론트캡의 원기둥과 리어캡의 회전 슬리브는 나사산 결합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또한 원기둥을 리어캡에 설치하고, 회전 슬리브를 프론트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로드(20)는 제1 회전로드(10)를 향하도록 설치된 일면에 원호 홈(22)이 설치된다. 원호 홈(22)의 원심은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의 회전 중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로드(10)에 원호 홈(22)에 대응되는 위치제한기둥(12)이 설치된다. 위치제한기둥(12)은 원호 홈(2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형성한다. 원호 홈(22)과 위치제한기둥(12)의 결합은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의 회전 개방 최대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고, 회전 홈(22)의 길이는 최대 각도의 크기를 결정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회전로드는 제2 회전로드를 향해 설치되는 일면에 원호 홈이 설치되고, 제2 회전로드에는 즉 원호 홈에 대응되는 위치제한기둥이 설치되며, 위치제한기둥이 원호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로드(10)의 배면에 수납홈(13)이 설치된다. 접힌 상태의 받침대(30)는 수납홈(13)에 수납될 수 있다. 받침대(30)는 핀축(32)을 통해 수납홈(13)의 측벽(131)과 회전 결합된다. 핀축(32)에 하나의 토션스프링(33)이 관통되며, 토션스프링(33)의 회복력은 받침대(30)를 회전시켜 수납홈(13)으로 접히도록 구동하고 받침대(30)를 수납홈(13)에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토션스프링(33)은 더블 토션스프링이다. 토션스프링(33)의 중간은 수납홈(13) 중의 끼움홈(132)에 수납되고, 토션스프링(33)의 2개의 단부는 각각 받침대(30)의 내부 홀(301)에 삽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3)에 상호 평행한 7단의 각도조절홈(14)이 설치되고, 받침대(30)에는 즉 회전 개폐되는 각도조절발(34)이 설치된다. 받침대(30)에 하나의 사각형 홀 위치(302)가 설치되어, 각도조절발(34)을 접었을 때 사각형 홀 위치(302)에 처하며, 각도조절발(34)과 사각형 홀 위치(302)의 측벽은 핀축 회전 결합을 형성한다. 사각형 홀 위치(302) 양단의 측벽(303)은 모두 경사면으로 설치되어, 회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도조절발(34)의 외측 단부에 후크판(341)이 설치되며, 후크판(341)은 어느 하나의 각도조절홈(14)에 삽입되고, 또한 후크판(341)의 내측에 회피홈(342)이 구비된다. 각도조절발(34)을 펼친 후 외측 단부의 후크판(341)을 어느 하나의 각도조절홈(14)에 삽입하면, 이때 받침대(30), 각도조절발(34) 및 제1 회전로드(10)가 하나의 안정적인 삼각형 구조를 형성한다. 도 4에서, 거치대의 경사 각도를 줄이려면, 각도조절발(34)의 외측 단부의 후크판(341)을 상부에 인접한 각도조절홈(14)에 삽입하고, 반대의 경우는 즉 각도조절발(34) 외측 단부의 후크판(341)을 아래에 인접한 각도조절홈(14)에 삽입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로드(20) 배면에도 수납홈(23)이 설치되며, 제2 회전로드(20) 중의 수납홈(23)은 받침대(30)의 구조 및 제1 회전로드(10)의 대응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로드(10)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20)의 중간위치 사이에 제1 회전로드(10)와 제2 회전로드(20) 간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스킷(50)이 개재된다. 개스킷(50)은 나일론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개스킷(50)은 원고리형으로 제작되고, 중간에 리어캡(42)의 회전 슬리브(42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51)이 구비되는 동시에, 위치제한기둥(12)(도 2)이 관통될 수 있는 소형 홀(52)이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2개의 회전로드의 회전 결합을 통해 펼침과 접힘을 구현하고, 개폐 가능한 받침대(30)를 통해 경사 각도를 지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생산 조립의 복잡도가 감소하여, 생산 속도가 향상될 수 있고, 원가 절감에 유리하여 제품 경쟁력이 향상된다.
이상의 내용은 실시예로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독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일 뿐, 본 고안의 실시방식이 이에 한정됨을 대표하지 않으며, 본 고안에 의거하여 실시되는 어떤 기술 확장 또는 재창조이든 모두 본 고안의 보호를 받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항을 기준으로 한다.

Claims (12)

  1.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제1 회전로드 및 제2 회전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로드의 중간 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에 회전 결합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회전로드의 배면과 제2 회전로드의 배면에 모두 펼침, 접힘 상태를 구비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열고 상기 받침대를 펼치면 지지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회전로드의 전면과 제2 회전로드의 전면은 노트북 컴퓨터와 접촉하는 지지면을 구성하고, 펼쳐진 상태의 받침대는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접고 받침대를 접으면 전체적으로 접힌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프론트캡과 리어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에 각각 관통공이 설치되며, 상기 리어캡에 개구가 바깥을 향하는 회전 슬리브가 설치되어 회전 슬리브가 2개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축공 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캡에 상기 회전 슬리브에 대응하는 원기둥이 설치되어 상기 원기둥이 회전 슬리브 내벽에 삽입됨으로써 고정 결합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는 프론트캡과 리어캡의 결합을 통해 회전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캡의 원기둥과 리어캡의 회전 슬리브는 억지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로드는 제2 회전로드를 향해 설치되는 일면에 원호 홈이 설치되고, 상기 원호 홈의 원심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중심이며, 상기 제2 회전로드에 상기 원호 홈에 대응되는 위치제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기둥이 원호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형성하며, 상기 원호 홈과 위치제한기둥의 결합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개방 최대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회전로드는 제1 회전로드를 향해 설치되는 일면에 원호 홈이 설치되고, 상기 원호 홈의 원심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중심이며, 상기 제1 회전로드에 상기 원호 홈에 대응되는 위치제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기둥이 원호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을 형성하며, 상기 원호 홈과 위치제한기둥의 결합은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의 회전 개방 최대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로드의 전면과 제2 회전로드의 전면에 각각 수직으로 뻗어 나온 차단판이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이 노트북 컴퓨터의 위치를 제한하고 노트북 컴퓨터가 지지면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로드 또는 제2 회전로드의 배면에 수납홈이 설치되어, 접힘 상태의 받침대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에 상호 평행한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개폐되는 각도조절발이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발을 펼친 후 바깥 단부를 어느 하나의 각도조절홈에 삽입하면, 상기 받침대, 각도조절발 및 제1 회전로드 또는 제2 회전로드가 하나의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사각형 홀 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발을 접었을 때 사각형 홀 위치에 처하며, 상기 각도조절발과 사각형 홀 위치의 측벽에 핀축 회전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발 외측 단부에 후크판이 설치되며, 상기 후크판은 어느 하나의 상기 각도조절홈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후크판의 내측에 회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핀축을 통해 수납홈의 측벽과 회전 결합되고, 상기 핀축에 토션스프링이 관통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회복력이 상기 받침대를 회전시켜 수납홈으로 접히도록 구동하고 상기 받침대를 수납홈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더블 토션스프링이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중간은 수납홈의 끼움홈에 삽입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2개의 단부는 각각 받침대의 내부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로드의 중간위치와 제2 회전로드의 중간위치 사이에 제1 회전로드와 제2 회전로드 사이의 회전 저항을 낮추기 위한 개스킷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2020210001832U 2020-12-17 2021-06-11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2004960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3079674.5 2020-12-17
CN202023079674.5U CN214500758U (zh) 2020-12-17 2020-12-17 一种笔记本电脑支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09U true KR20220001509U (ko) 2022-06-24
KR200496057Y1 KR200496057Y1 (ko) 2022-10-21

Family

ID=7820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32U KR200496057Y1 (ko) 2020-12-17 2021-06-11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6057Y1 (ko)
CN (1) CN214500758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487Y1 (ko) * 2006-05-01 2006-09-27 김계수 배너광고대
KR20130104183A (ko) * 2012-03-13 2013-09-25 박찬호 다기능 거치대
KR101349706B1 (ko) * 2011-04-29 2014-01-10 구하경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50113706A (ko) * 2014-03-31 2015-10-08 백병식 휴대용 접이식 다용도 사각거치대
KR20200079089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지아이엘 노트북 컴퓨터 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487Y1 (ko) * 2006-05-01 2006-09-27 김계수 배너광고대
KR101349706B1 (ko) * 2011-04-29 2014-01-10 구하경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30104183A (ko) * 2012-03-13 2013-09-25 박찬호 다기능 거치대
KR20150113706A (ko) * 2014-03-31 2015-10-08 백병식 휴대용 접이식 다용도 사각거치대
KR20200079089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지아이엘 노트북 컴퓨터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57Y1 (ko) 2022-10-21
CN214500758U (zh)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0452B2 (en) Kickstan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833977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pivoting range
WO2020173312A1 (zh) 可折叠容器
US11013317B2 (en) Folding stand for electronic device
TWM557962U (zh) 支撐組件及使用其之電子裝置
US7775487B2 (en) Foldable supporting stand with positioning means
KR200496057Y1 (ko)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CN211083489U (zh) 一种可折叠的笔记本电脑支架
CN202800603U (zh) 结构改良的折叠电脑桌
CN216520390U (zh) 一种智能设备折叠支架
CN206848869U (zh) 一种多角度可调型底座
KR20120064381A (ko) 접이식 힌지장치
KR200472078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좌식책상
CN218863925U (zh) 可旋转台灯
KR200335534Y1 (ko) 절첩식 책상
CN218682558U (zh) 一种带桌板的行李箱
CN217482439U (zh) 用于放置笔记本的可折叠支架
CN212107721U (zh) 一种内藏式折叠支架
TW202032057A (zh) 可調式承載架
CN218781013U (zh) 分段式旋转机构及其显示装置
CN215636145U (zh) 支架
CN218543851U (zh) 一种支撑脚架
CN215862504U (zh) 一种支架
CN220651163U (zh) 便携式平板电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