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371U -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371U
KR20220001371U KR2020200004465U KR20200004465U KR20220001371U KR 20220001371 U KR20220001371 U KR 20220001371U KR 2020200004465 U KR2020200004465 U KR 2020200004465U KR 20200004465 U KR20200004465 U KR 20200004465U KR 20220001371 U KR20220001371 U KR 202200013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color
robot body
driving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681Y1 (ko
Inventor
배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to KR2020200004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8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색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색상에 따라 다른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코딩 로봇본체, 상기 코딩 로봇본체에 색상을 입력하는 색상 입력부를 포함하여 계이름의 코딩을 통해 코딩 로봇본체에서 음악 연주를 실행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코딩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USIC PERFORMANCE CODING}
본 고안은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계이름의 코딩을 통해 코딩 로봇본체에서 음악 연주를 실행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코딩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즉, 주어진 명령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C언어, 자바, 파이선 등의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코딩 교육은 논리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어 근래에 들어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코딩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지능형 로봇, 빅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등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변하는 것들이 ICT(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 증가하고 있다.
코딩 교육은 퍼즐이나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으로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프로그램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접근되고 있다.
그러나, 퍼즐이나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은 입력과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의 변화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어 코딩의 원리를 교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퍼즐이나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은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이 쉽고 간편하게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코딩에 대한 기초를 쉽게 이해시키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특허등록 제1683022호 '코딩 학습용 교구'(2016년 11월 30일 등록)
본 고안의 목적은 계이름의 코딩을 통해 코딩 로봇본체에서 음악 연주를 실행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카드, 보드 등을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설정하는 음악 즉석 연주 코딩모드, 자동 연주 코딩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에게 코딩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색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색상에 따라 다른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코딩 로봇본체, 상기 코딩 로봇본체에 색상을 입력하는 색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는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색상 감지부,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색상 감지부 및 상기 스피커부와 연결되어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시키는 코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는 주행시키는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로봇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즉시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즉석 연주모드 및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기설정된 주행 경로로 주행하면서 주행 경로에 위치된 색상의 순서대로 해당 색상의 음계를 출력하면서 음악을 연주하는 자동 연주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즉석 연주모드와 상기 자동 연주모드 중 하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코딩 로봇본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색상 감지부를 통해 복수의 색상을 순서대로 입력시키고, 입력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색상이 입력된 순서로 출력하는 코딩 연주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즉석 연주모드, 상기 자동 연주모드, 상기 코딩 연주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해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누름식 버튼 스위치로 코딩 로봇본체의 윗부분을 누르면 눌려져 조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작동 모드를 표시할 수 있는 작동 표시램프가 위치되고, 복수의 작동 모드에서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시켜 각각 다른 작동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표시램프는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되어 음계를 출력하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에 대응되는 빛을 점등하여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색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색상 입력부는 색상 감지부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색상이 각각 표시된 복수의 개별 색상 카드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색상 입력부는 하나의 보드에 상기 색상 감지부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이 표시된 색상 입력 보드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색상 입력 보드는 피아노의 건반 형태로 도시되고, 각 음계에 대응되는 건반에 각 음계에 대응되는 색상이 칠해진 피아노 건반 보드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색상 입력 보드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로봇 주행부로 자동 주행할 수 있는 주행 경로가 표시되고, 상기 주행 경로의 일측에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이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자동 연주 보드는 자동 연주를 위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의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제1주행 시작 지점이 상기 주행 경로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자동 연주 보드는 주행 경로의 타 측에 사용자가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한 색상을 임의로 칠할 수 있는 복수의 자동 연주용 빈칸이 주행 경로를 따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자동 연주 보드는 자동 연주를 위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의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제2주행 시작 지점이 상기 주행 경로의 타측에 표시되고, 상기 제2주행 시작 지점은 상기 제1주행 시작 지점에서 지시하는 제1주행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제2주행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계이름의 코딩을 통해 코딩 로봇본체에서 음악 연주를 실행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코딩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카드, 보드 등을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실행하는 음악 즉석 연주 코딩모드, 자동 연주 코딩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에게 코딩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증대시키며, 다양한 코딩 학습이 가능하여 코딩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쉽게 하도록 하고 코딩 학습 효과를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서 코딩 로봇본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서 코딩 보드를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코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서 코딩 로봇본체(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 도 2의 (a)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배면도이고, 도 2의 (c)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의 일 실시예는 음악 연주를 코딩하고, 코딩된 음악 연주를 출력할 수 있는 코딩 로봇본체(100)를 포함한다.
코딩 로봇본체(100)는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색상 감지부(110),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20)를 포함한다.
색상 감지부(110)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하부면에 노출되게 위치되어 색상을 입력할 수 있는 색상 입력부(200)가 코딩 로봇본체(100)의 하부 측에 위치됨으로써 해당 음계의 음을 출력할 수 있는 색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코딩 로봇본체(100)는 로봇본체 하우징(101)과 로봇본체 하우징(101)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로봇본체 하우징(101)을 주행시키는 주행바퀴(102a)를 포함하는 로봇 주행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본체 하우징(101)은 동물을 이용한 캐릭터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자동차 형상, 로봇 캐릭터 형상 등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로봇 주행부(10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행바퀴(102a)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주행바퀴(102a)의 방향을 변경하여 코딩 로봇본체(100)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로봇 주행부(102)는 공지의 완구에서 주행 방향을 변경하여 주행하는 공지의 주행 구조를 이용해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로봇 주행부(102)는 코딩 로봇본체(100) 내에 위치되는 코딩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주행바퀴(102a)는 로봇본체 하우징(101)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로봇본체 하우징(101)을 코딩 로봇본체(100)가 올려지는 바닥면과 이격되게 위치시켜 바닥면과 로봇본체 하우징(101)의 사이로 코딩 로봇본체(100)에 색상을 입력할 수 있는 색상 입력부(200)를 삽입시켜 색상 감지부(110)로 색상 입력부(200)의 색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코딩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 및 스피커부(120)와 연결되어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가 스피커부(120)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주행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 스피커부(120), 로봇 주행부(10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충전 케이블로 충전될 수 있는 충전지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코딩 로봇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충전지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충전 단자(130)가 위치되고, 충전 단자(130)는 마이크로 5핀, C타입 충전 케이블 등 공지의 충전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공지의 단자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코딩 제어부에는 코딩 로봇본체(100)에서 출력되는 음계의 순서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색상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음계가 저장된다.
즉, 코딩 제어부는 색상 인식을 통해 코딩 로봇본체(100)에서 출력되는 음계의 순서를 코딩할 수 있는 복수의 색상이 기저장된다.
코딩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를 통해 복수의 색상이 입력되는 순서로 코딩 로봇본체(100)에서 출력되는 음계의 순서 즉, 음악 연주를 코딩한다.
일 예로, 코딩 제어부는 빨간색(RED)에 대응되는 음계로 도, 오렌지색(ORANGE)에 대응되는 음계로 레가 설정되고, 노란색(YELLOW)에 대응되는 음계로 미, 초록색(GREEN)에 대응되는 음계로 파, 하늘색(CYAN)에 대응되는 음계로 솔, 파란색(BLUE)에 대응되는 음계로 라, 자주색(MAGENTA)에 대응되는 음계로 시가 설정된다.
코딩 제어부는 빨간색이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면 스피커부(120)에서 도 음계가 출력되고, 오렌지색이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면 스피커부(120)에서 레 음계가 출력되고, 색상 감지부(110)에서 노란색이 감지되면 스피커부(120)에서 미 음계, 색상 감지부(110)에서 초록색이 감지되면 스피커부(120)에서 파 음계, 색상 감지부(110)에서 하늘색이 감지되면 솔 음계, 색상 감지부(110)에서 파란색이 감지되면 라 음계, 색상 감지부(110)에서 자주색이 감지되면 시 음계가 스피커부(120)를 통해 각각 출력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코딩 제어부는 스피커부(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코딩된 색상 순서로 해당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가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코딩 제어부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코딩 로봇본체(100)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코딩 제어부는 코딩 로봇본체(100)를 작동시키고 코딩 로봇본체(100)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딩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즉시 스피커부(120)를 통해 출력시키는 즉석 연주모드, 코딩 로봇본체(100)가 기설정된 경로로 주행하면서 경로에 위치된 색상의 순서대로 해당 색상의 음계를 출력하면서 음악을 연주하는 자동 연주모드를 포함하고, 즉석 연주모드, 자동 연주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코딩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를 통해 복수의 색상을 순서대로 입력시키고, 입력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색상이 입력된 순서로 출력하는 코딩 연주모드를 더 포함하고, 즉석 연주모드, 자동 연주모드, 코딩 연주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 스위치(150)는 전원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조작되어 복수의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코딩 로봇본체(1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작동 스위치(150)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누름식 버튼 스위치로 코딩 로봇본체(100)의 윗부분을 누르면 눌려져 조작될 수 있다.
즉, 작동 스위치(150)는 전원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조작되어 즉석 연주모드, 자동 연주모드, 코딩 연주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코딩 로봇본체(1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작동 스위치(150)는 눌러지는 버튼 스위치이고, 전원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눌러지면 즉석 연주모드가 선택되게 하고, 전원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눌러진 후 다시 한번 눌러지면 자동 연주모드가 선택되도록 한다.
또한, 작동 스위치(150)는 전원 스위치부(140)가 온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눌러진 후 다시 두번 눌러지면 코딩 연주모드가 선택되게 한다.
더 상세하게 코딩 제어부는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50)를 3초간 누르고 떼면 즉석 연주모드로 코딩 로봇본체(100)가 작동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50)를 3초간 누르고 뗀 후 다시 작동 스위치(150)를 누르면 자동 연주모드로 코딩 로봇본체(100)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코딩 제어부는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50)를 3초간 누르고 뗀 후 다시 작동 스위치(150)를 두번 누르면 코딩 연주모드로 코딩 로봇본체(1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코딩 연주모드에서 코딩 로봇본체(100)는 색상 감지부(110)로 음악 연주를 위한 복수의 색상을 입력 순서대로 저장하고, 음악 연주를 위한 색상 입력이 완료되면 작동 스위치(150)를 한번 더 눌러 색상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확인시킨다.
색상 입력이 완료되면 코딩 로봇본체(100)는 입력된 색상의 순서에 대응되는 음계를 순서대로 스피커부(12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코딩 연주모드에서 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한편, 코딩 제어부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작동 표시램프(160)가 위치되고, 작동 표시램프(160)는 복수의 작동 모드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작동 모드에서 각각 서로 다른 램프가 점등되어 해당 작동 모드의 작동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 표시램프(160)는 즉석 연주모드에서 점등되어 즉석 연주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제1작동 표시램프, 자동 연주모드에서 점등되어 자동 연주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제2작동 표시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 표시램프(160)는 코딩 연주모드에서 점등되어 코딩 연주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제3작동 표시램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작동 표시램프(160)는 복수의 작동 모드에서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시켜 각각 다른 작동 모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코딩 제어부는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램프(170),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램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표시램프(170)는 전원 스위치가 온상태에서 점등되어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되어 코딩 로봇본체(100)가 전원이 온상태가 되어 작동 대기 중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표시램프(170)는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어 음계를 출력하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에 대응되는 빛을 점등하여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색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도, 레, 미, 파, 솔, 라, 시의 각 음계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빨간색(RED), 오렌지색(ORANGE), 노란색(YELLOW), 초록색(GREEN), 하늘색(CYAN), 파란색(BLUE), 자주색(MAGENTA)이 기설정되고, 전원 표시램프(170)는 빨간색(RED), 오렌지색(ORANGE), 노란색(YELLOW), 초록색(GREEN), 하늘색(CYAN), 파란색(BLUE), 자주색(MAGENTA) 중 어느 하나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원 표시램프(170)는 색상 감지부(110)로 빨간색(RED)이 감지되면 빨간색(RED) 빛을 발생시키고, 오렌지색(ORANGE)이 감지되면 오렌지색(ORANGE) 빛을 발생시키고, 노란색(YELLOW)이 감지되면 노란색(YELLOW) 빛을 발생시키고, 초록색(GREEN)이 감지되면 초록색(GREEN) 빛을 발생시키고, 하늘색(CYAN)이 감지되면 하늘색(CYAN) 빛을 발생시키고, 파란색(BLUE)이 감지되면 파란색(BLUE) 빛을 발생시키고, 자주색(MAGENTA)이 감지되면 자주색(MAGENTA)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색상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색상 감지부(110)는 색상 입력부(200)의 색상을 감지하여 코딩 제어부로 전달하고, 코딩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색상 입력부(200)의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스피커부(120)를 통해 출력시킨다.
색상 입력부(200)에 표시되는 복수의 색상은 색상 감지부(110)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색상이다.
즉, 색상 입력부(200)에 표시되는 색상은 도 음계에 대응되는 빨간색(RED), 레 음계에 대응되는 오렌지색(ORANGE), 미 음계에 대응되는 노란색(YELLOW), 파 음계에 대응되는 초록색(GREEN), 솔 음계에 대응되는 하늘색(CYAN), 라 음계에 대응되는 파란색(BLUE), 시 음계에 대응되는 자주색(MAGENTA)이 표시된다.
색상 입력부(200)는 색상 감지부(110)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색상이 각각 표시된 복수의 개별 색상 카드(210)일 수도 있다.
복수의 개별 색상 카드(210)는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며, 도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빨간색이 표시된 제1색상 카드(211), 레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오렌지색이 표시된 제2색상 카드(212), 미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노란색이 표시된 제3색상 카드(213), 파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초록색이 표시된 제4색상 카드(214), 솔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하늘색이 표시된 제5색상 카드(215), 라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파란색이 표시된 제6색상 카드(216), 시 음계에 해당되는 색상 즉, 자주색이 표시된 제7색상 카드(21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별 색상 카드(210)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의 음계에 각각 대응되는 색상이 표시된 제1색상 카드(211), 제2색상 카드(212), 제3색상 카드(213), 제4색상 카드(214), 제5색상 카드(215), 제6색상 카드(216), 제7색상 카드(2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색상 입력부(200)는 하나의 보드에 색상 감지부(110)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이 표시된 색상 입력 보드일 수도 있다.
색상 입력 보드는 피아노의 건반 형태로 도시되고, 각 음계에 대응되는 건반에 각 음계에 대응되는 색상이 칠해진 피아노 건반 보드(220)일 수 있다.
피아노 건반 보드(220)는 도 음계에 해당되는 제1건반에 도 음계에 대응되는 제1색상 즉, 빨간색이 표시되고, 레 음계에 해당되는 제2건반에 레 음계에 대응되는 제2색상 즉, 오렌지색이 표시되고, 미 음계에 해당되는 제3건반에 미 음계에 대응되는 제3색상 즉, 노란색이 표시되고, 파 음계에 해당되는 제4건반에 파 음계에 대응되는 제4색상 즉, 초록색이 표시되고, 솔 음계에 해당되는 제5건반에 솔 음계에 대응되는 제5색상 즉, 하늘색이 표시되고, 라 음계에 해당되는 제6건반에 라 음계에 대응되는 제6색상 즉, 파란색이 표시되고, 시 음계에 해당되는 제7건반에 시 음계에 대응되는 제7색상 즉, 자주색이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색상 입력 보드는 하나의 보드에 색상 감지부(110)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이 표시되되,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즉석 연주용 색상패턴(231)이 순서대로 위치되는 즉석 연주 보드(230)일 수도 있다.
즉석 연주 보드(230)는 색상의 입력 순서 즉, 코딩 로봇본체(100)의 입력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연주 진행 표시용 화살표가 구비되고, 연주 진행 표시용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코딩 로봇본체(10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즉석 연주용 색상패턴(231)을 색상 감지부(110)로 순서대로 감지시킴으로써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색상 입력 보드는 코딩 로봇본체(100)가 로봇 주행부(102)로 자동 주행할 수 있는 주행 경로(241)가 표시되고, 주행 경로(241)의 일측에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242)이 순서대로 위치되는 자동 연주 보드(240)일 수도 있다.
또한, 자동 연주 보드(240)는 주행 경로(241)의 타 측에 사용자가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한 색상을 임의로 칠할 수 있는 복수의 자동 연주용 빈칸(243)이 주행 경로(241)를 따라 이격되게 위치된다.
자동 연주용 빈칸(243)은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한 색상을 칠할 수 있다.
자동 연주 보드(240)는 자동 연주를 위한 코딩 로봇본체(100)의 주행의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제1주행 시작 지점(242a)이 주행 경로(241)의 일측에 표시된다.
주행 경로(241)는 코딩 로봇본체(100)가 순환 주행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색상 즉, 검은색 띠 형태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색상 감지부(110)가 주행 경로(241)를 감지하고, 코딩 제어부는 색상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주행 경로(241)로 코딩 로봇본체(100)가 주행될 수 있도록 로봇 주행부(10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색상 감지부(110)는 주행 경로(241)를 감지하는 제1색상 감지부, 주행 경로(24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주행 경로(24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242)을 감지할 수 있는 제2색상 감지부를 포함한다.
코딩 로봇본체(100)는 제1색상 감지부로 주행 경로(241)의 색상을 감지하면서 주행 경로(241)를 따라 이동하고, 주행 경로(24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색상 감지부로 주행 경로(241)의 일측에 위치된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242)을 순서대로 감지하면서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242)이 배열되어 기설정된 음악을 자동 연주하게 된다.
또한, 자동 연주 보드(240)는 주행 경로(241)의 타 측에 위치된 복수의 자동 연주용 빈칸(243)에 해당 음계를 출력하는 기설정된 색상을 임의로 칠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동 연주되는 음악을 원하는 대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연주 보드(240)는 자동 연주를 위한 코딩 로봇본체(100)의 주행의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제2주행 시작 지점(243a)이 주행 경로(241)의 타측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자동 연주 시 코딩 로봇본체(100)의 출발 지점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주행 시작 지점(243a)은 제1주행 시작 지점(242a)에서 지시하는 제1주행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제2주행 방향을 지시하며, 코딩 로봇본체(100)는 제1주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자동 연주용 빈칸(243)에 칠해진 색상을 감지하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에서 코딩 보드를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코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개별 색상 카드(210)를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코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피아노 건반 보드(220)를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코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즉석 연주 보드(230)를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코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자동 연주 보드(240)를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코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하부 측에 위치된 색상 감지부(110)로 복수의 개별 색상 카드(210) 즉, 제1색상 카드(211), 제2색상 카드(212), 제3색상 카드(213), 제4색상 카드(214), 제5색상 카드(215), 제6색상 카드(216), 제7색상 카드(21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감지시킴으로써 도, 레, 미, 파, 솔, 라, 시 중 어느 한 음계의 음을 스피커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개별 색상 카드(210)는 복수의 제1색상 카드(211), 복수의 제2색상 카드(212), 복수의 제3색상 카드(213), 복수의 제4색상 카드(214), 복수의 제5색상 카드(215), 복수의 제6색상 카드(216), 복수의 제7색상 카드(2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제1색상 카드(211), 복수의 제2색상 카드(212), 복수의 제3색상 카드(213), 복수의 제4색상 카드(214), 복수의 제5색상 카드(215), 복수의 제6색상 카드(216), 복수의 제7색상 카드(217) 중 복수의 색상 카드를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코딩 로봇본체(100)를 복수의 카드가 배치된 순서로 이동시켜 색상 감지부(110)로 색상을 순서대로 감지하게 함으로써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하는 즉석 연주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개별 색상 카드(210)는 복수의 색상 카드를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카드가 배치된 순서로 코딩 로봇본체(100)를 이동시켜 색상 감지부(110)로 색상을 순서대로 감지하게 함으로써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하는 즉석 연주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색상 카드(210)는 색상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복수의 색상을 순서대로 입력시키고, 입력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색상이 입력된 순서로 출력하여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하는 코딩 연주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코딩 로봇본체(100)의 하부 측에 위치된 색상 감지부(110)로 피아노 건반 보드(220)에 표시된 제1건반의 제1색상, 제2건반의 제2색상, 제3건반의 제3색상, 제4건반의 제4색상, 제5건반의 제5색상, 제6건반의 제6색상, 제7건반의 제7색상 중 어느 하나를 감지시키고,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의 음을 스피커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피아노 건반 보드(220)는 색상 감지부(110)로 제1건반 내지 제7건반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음악의 음계를 순서대로 해당 음계를 표시하는 색상을 순서대로 감지하게 함으로써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하는 즉석 연주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아노 건반 보드(220)는 색상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복수의 색상을 복수의 건반을 통해 순서대로 입력시키고, 입력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색상이 입력된 순서로 출력하여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하는 코딩 연주모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즉석 연주 보드(230)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음악을 즉석해서 연주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코딩 로봇본체(100)를 연주 진행 표시용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즉석 연주 보드(230)에 표시된 복수의 즉석 연주용 색상을 순서대로 색상 감지부(110)로 감지시킴으로써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코딩 로봇본체(100)를 주행 경로(241) 상에 올려놓되, 주행 경로(24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치게 올려놓음으로써 제1색상 감지부로 주행 경로(241)를 감지하고, 제2색상 감지부로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242)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코딩 로봇본체(100)는 자동 연주 모드에서 주행 경로(241)를 주행 경로(24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색상 감지부로 주행 경로(241)의 일측에 주행 경로(24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242)을 순서대로 감지하면서 기설정된 음악을 자동 연주하게 된다.
이 때 코딩 로봇본체(100)는 제1주행 시작 지점(242a)에서 제1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기설정된 음악을 자동 연주한다.
또한, 코딩 로봇본체(100)는 자동 연주 모드에서 주행 경로(241)를 주행 경로(241)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색상 감지부로 주행 경로(241)의 타측에 주행 경로(24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자동 연주용 빈칸(243)에 칠해진 색상을 순서대로 감지하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음악을 자동 연주하게 된다.
이 때 코딩 로봇본체(100)는 제2주행 시작 지점(243a)에서 제2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음악을 자동 연주한다.
본 고안은 계이름의 코딩을 통해 코딩 로봇본체(100)에서 음악 연주를 실행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코딩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카드, 보드 등을 이용하여 음악 연주를 실행하는 음악 즉석 연주 코딩모드, 자동 연주 코딩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어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에게 코딩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증대시키며, 다양한 코딩 학습이 가능하여 코딩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쉽게 하도록 하고 코딩 학습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코딩 로봇본체 101 : 로봇본체 하우징
102 : 로봇 주행부 102a : 주행바퀴
110 : 색상 감지부 120 : 스피커부
130 : 충전 단자 140 : 전원 스위치부
150 : 작동 스위치 160 : 작동 표시램프
170 : 전원 표시램프 180 : 충전 표시램프
200 : 색상 입력부 210 : 개별 색상 카드
211 : 제1색상 카드 212 : 제2색상 카드
213 : 제3색상 카드 214 : 제4색상 카드
215 : 제5색상 카드 216 : 제6색상 카드
217 : 제7색상 카드
220 : 피아노 건반 보드 230 : 즉석 연주 보드
231 : 즉석 연주용 색상패턴 240 : 자동 연주 보드
241 : 주행 경로 242 :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
242a : 제1주행 시작 지점 243 : 자동 연주용 빈칸
243a : 제2주행 시작 지점

Claims (15)

  1. 색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색상에 따라 다른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코딩 로봇본체; 및
    상기 코딩 로봇본체에 색상을 입력하는 색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는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색상 감지부;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색상 감지부 및 상기 스피커부와 연결되어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상기 스피커부로 출력시키는 코딩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는 주행시키는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로봇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즉시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즉석 연주모드; 및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기설정된 주행 경로로 주행하면서 주행 경로에 위치된 색상의 순서대로 해당 색상의 음계를 출력하면서 음악을 연주하는 자동 연주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즉석 연주모드와 상기 자동 연주모드 중 하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코딩 로봇본체를 작동시키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색상 감지부를 통해 복수의 색상을 순서대로 입력시키고, 입력된 색상에 대응되는 음계를 색상이 입력된 순서로 출력하는 코딩 연주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즉석 연주모드, 상기 자동 연주모드, 상기 코딩 연주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해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를 작동시키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누름식 버튼 스위치로 코딩 로봇본체의 윗부분을 누르면 눌려져 조작될 수 있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작동 모드를 표시할 수 있는 작동 표시램프가 위치되고, 복수의 작동 모드에서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시켜 각각 다른 작동 모드를 표시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딩 제어부는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표시램프는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되어 음계를 출력하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에 대응되는 빛을 점등하여 상기 색상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색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색상 입력부는 색상 감지부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색상이 각각 표시된 복수의 개별 색상 카드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색상 입력부는 하나의 보드에 상기 색상 감지부로 감지되어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이 표시된 색상 입력 보드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색상 입력 보드는 피아노의 건반 형태로 도시되고, 각 음계에 대응되는 건반에 각 음계에 대응되는 색상이 칠해진 피아노 건반 보드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색상 입력 보드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로봇 주행부로 자동 주행할 수 있는 주행 경로가 표시되고, 상기 주행 경로의 일측에 기설정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동 연주용 색상패턴이 순서대로 위치되는 자동 연주 보드인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연주 보드는 자동 연주를 위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의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제1주행 시작 지점이 상기 주행 경로의 일측에 표시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연주 보드는 주행 경로의 타 측에 사용자가 해당 음계를 출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한 색상을 임의로 칠할 수 있는 복수의 자동 연주용 빈칸이 주행 경로를 따라 이격되게 위치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연주 보드는 자동 연주를 위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의 시작 지점을 표시하는 제2주행 시작 지점이 상기 주행 경로의 타측에 표시되고,
    상기 제2주행 시작 지점은 상기 제1주행 시작 지점에서 지시하는 제1주행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제2주행 방향을 지시하는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KR2020200004465U 2020-12-07 2020-12-07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KR200495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65U KR200495681Y1 (ko) 2020-12-07 2020-12-07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65U KR200495681Y1 (ko) 2020-12-07 2020-12-07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71U true KR20220001371U (ko) 2022-06-14
KR200495681Y1 KR200495681Y1 (ko) 2022-07-22

Family

ID=8197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465U KR200495681Y1 (ko) 2020-12-07 2020-12-07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8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22B1 (ko) 2016-02-29 2016-12-08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학습용 교구
KR20180062622A (ko) * 2016-12-01 2018-06-11 조현상 컬러 연동 음향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80089667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코딩 교육 제공을 위한 로봇
KR101963683B1 (ko) * 2018-03-28 2019-03-29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KR20190043756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토이트론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22B1 (ko) 2016-02-29 2016-12-08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학습용 교구
KR20180062622A (ko) * 2016-12-01 2018-06-11 조현상 컬러 연동 음향출력 장치 및 방법
KR20180089667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코딩 교육 제공을 위한 로봇
KR20190043756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토이트론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KR101963683B1 (ko) * 2018-03-28 2019-03-29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81Y1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cía-Peñalvo et al. Evaluation of existing resources (study/analysis)
US20160287979A1 (en) A Modular Connected Game Board System and Methods of Use
US8287338B2 (en) Game apparatus for learning
CN109272808B (zh) 一种面向音乐节拍节奏教学及科普的互动系统
KR101987119B1 (ko) 로봇의 감정변화를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딩 교육방법
CN107465675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卡片认知平台
JP2007097861A (ja) 音楽演出ゲーム装置
Barbareschi et al. TIP-Toy: a tactile, open-source computational toolkit to support learning across visual abilities
KR200495681Y1 (ko) 음악 연주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장치
KR200495682Y1 (ko) 문양 그리기가 가능한 코딩 교육장치
KR20130117264A (ko) 쌍방향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피아노
KR20060063758A (ko) 게임 기계
KR102521035B1 (ko) 다양한 출력 기능을 가지는 줄넘기
CN114288684B (zh) 智能玩具的控制方法及装置、智能玩具及介质
KR102525276B1 (ko) 로봇시스템 및 그에 대한 스마트 코딩방법
KR102316568B1 (ko) 모션 인식 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KR102426348B1 (ko) 로봇을 이용하여 저학년 아동의 코딩 교육 학습 효과를 높이는 교육 시스템
CN215495470U (zh) 一种具有交互拓展功能的编程机器人
CN219533898U (zh) 一种教学教具
CN220142603U (zh) 一种儿童像素琴玩具
US1192587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system
CN112783152A (zh) 一种基于全彩线条的巡线系统
JP7202006B2 (ja) ブロックにコンテンツを関連付けする装置
CN112354193A (zh) 一种彩色巡线的玩具小车及玩具的运动控制方法
KR20220150717A (ko) 로봇시스템 및 그에 대한 rc카모드 운행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