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169U -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169U
KR20220001169U KR2020200004022U KR20200004022U KR20220001169U KR 20220001169 U KR20220001169 U KR 20220001169U KR 2020200004022 U KR2020200004022 U KR 2020200004022U KR 20200004022 U KR20200004022 U KR 20200004022U KR 20220001169 U KR20220001169 U KR 202200011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ender
heartbeat
microphon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2020200004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169U/ko
Publication of KR20220001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2Foe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임산부 복부 또는 일반인의 왼쪽 가슴에 접촉하는 혼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박동을 청취하는 청진부와, 상기 청진부의 중앙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청진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파에 따른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제1 젠더와, 상기 제1 젠더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녹음 및 재생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에 삽입되는 중앙 단자와,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된 심박동을 출력하고 청취가능한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젠더로 구성되는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제공하여서, 부피와 하중을 최소화하여 소형화하여서 휴대와 보관이 보다 쉽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와 연계하여 심박동을 녹음할 수 있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Apparatus for Portably Detecting and Listening Beating of Heart}
본 고안은, 심박동 청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에 의해 전체 구성에 따른 부피와 하중을 최소화하여 소형화하여서 휴대와 보관이 보다 쉽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와 연계하여 심박동을 녹음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심박동을 이어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스마트폰에 녹음에 녹음하면서도 이어폰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임산부 태아의 심박동 소리를 듣고 싶을 때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듣거나 하였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휴대가 쉬운 휴대용 태아 심박동 검출기가 제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의한 휴대용 태아 심박동 검출기는, 저판부(2)와, 저판부(2)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본체 커버부(1)와, 저판부(2)의 안쪽에 구비되는 PCB부(7)와, 본체 커버부(1)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착탈되는 배터리 커버부(3)와, 본체 커버부(1)의 상단부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원형의 볼륨조절부(4)와, 저판부(2)의 하측 상단부에 구비되는 음수신부(6)와, 본체 커버부(1) 및 저판부(2)의 상단 접합부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헤드폰잭(8)이 꽂히게 되는 잭홈부(9)로 구성되어서, 휴대가능하도록 하고 태아 심박동을 청취하거나 녹음하도록 한다.
하지만, 휴대하기에는 여전히 큰 부피와 하중으로 인해 쉽지 않고,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태아 심박동을 녹음할 수 있는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14180호(휴대용 태아 심박동 검출기, 1999.04.26)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피와 하중을 최소화하여 소형화하여서 휴대가 보다 쉽도록 하고,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심박동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임산부 복부 또는 일반인의 왼쪽 가슴에 접촉하는 혼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박동을 청취하는 청진부와, 상기 청진부의 중앙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청진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파에 따른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제1 젠더와, 상기 제1 젠더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녹음 및 재생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에 삽입되는 중앙 단자와,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된 심박동을 출력하고 청취가능한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젠더로 구성되는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제공하여서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진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관에 삽입되거나,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진부의 삽입관과 결합하여 연통되는 연장관의 종단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와 상기 제1 젠더, 상기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와 상기 중앙 단자, 및 상기 이어폰 단자와 상기 제2 젠더를 연결하고, 3극 또는 4극 암단자와 3극 또는 4극 숫단자로 구성되는 연장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젠더는 상기 제1 젠더로부터 입력되는 심박동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는 3극 또는 4극 단자이고, 상기 제1 젠더는 상기 단자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단자는 4극 단자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에 의해 전체 구성에 따른 부피와 하중을 최소화하여 소형화하여서 휴대와 보관이 보다 쉽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와 연계하여 심박동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심박동을 이어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스마트폰에 녹음에 녹음하면서도 이어폰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연장케이블에 의해 쉽게 연장하여 거리와 무관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가 쉬운 휴대용 태아 심박동 검출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a 및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a 및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연장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도 2a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구현한 것이고, (b)는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a 및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2a 및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의 연장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a)는 도 2a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구현한 것이고, (b)는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는, 전체적으로, 음파를 청진하는 청진부(110)와,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20)과, 마이크로폰(120)을 이어폰과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130)과, 연장 케이블(140)로 구성된다.
우선, 청진부(110)는 신체, 예컨대 임산부의 복부 또는 왼쪽 가슴에 접촉하는 혼 형상으로 형성되어 태아 또는 일반인의 심박동을 집음하여 청진하도록 한다.
여기서, 신체와 접하는 청진부 영역(111)은 연질의 재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커버되어서 접촉시 거부감 또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마이크로폰(120)은 청진부(110)의 중앙에 연결 형성되고, 청진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음파에 따른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마이크로폰(120)은 노이즈 필터가 적용된 고감도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여, 심박동, 특히 미세한 태아 심박동 또는 활동음을 검출하여 청취하거나 녹음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20)은 청진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관(113)에 삽입되는 매입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마이크로폰(120)과 단자(1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22)의 길이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20)은 청진부(110)의 삽입관(113)과 결합하여 연통되는 연장관(112)의 종단에 삽입되는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마이크로폰(120)이 삽입되는 연장관(112)의 길이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관(113)은 'ㄱ'자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형 또는 통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130)은 마이크로폰(120)의 단자(121)가 삽입되는 제1 젠더(131)와, 제1 젠더(131)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녹음 및 재생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에 삽입되는 중앙 단자(132)와, 스마트폰의 녹음된 심박동을 출력하고 청취가능한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젠더(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젠더(133)는 제1 젠더(131)로부터 입력되는 심박동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중앙 단자(132)를 거치지 않고 출력하여서, 제2 젠더(133)에 삽입된 이어폰 단자에 의해 직접 청취할 수도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0)의 단자(121)는 3극 또는 4극 단자이고, 단자(121)가 삽입되는 제1 젠더(131)는 마이크로폰(120)의 단자(121)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중앙 단자(132)는 4극 단자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20)의 단자(121)와 제1 젠더(131),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와 중앙 단자(132), 및 이어폰 단자와 제2 젠더(133)를 연결하고, 3극 또는 4극 암단자(141)와 3극 또는 4극 숫단자(142)로 구성되는 연장케이블(140)에 의해 쉽게 연장하여 거리와 무관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a)는 도 2a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구현한 것이고, (b)는 도 2b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를 구현한 것인데, (a)의 상단은 긴 관형으로 구현된 것이고, (a)의 하단은 짧은 관형으로 구현된 것이고, (b)의 상단은 긴 케이블에 의한 매립형으로 구현된 것이며, (b)의 중단은 별도의 연장케이블을 추가 구성한 매립형으로 구현된 것이도, (b)의 하단은 짧은 케이블에 의한 매립형으로 구현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에 의해서,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에 의해 전체 구성에 따른 부피와 하중을 최소화하여 소형화하여서 휴대와 보관이 보다 쉽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와 연계하여 심박동, 특히 임산 태아의 미세한 심박동을 녹음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태아 심박동을 이어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스마트폰에 녹음에 녹음하면서도 이어폰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연장케이블에 의해 쉽게 연장하여 거리와 무관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청진부 111 : 청진부 영역
112 : 연장관 113 : 삽입관
120 : 마이크로폰 121 : 단자
122 : 케이블 130 :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
131 : 제1 젠더 132 : 중앙 단자
133 : 제2 젠더 140 : 연장 케이블
141 : 3극 또는 4극 암단자 142 : 3극 또는 4극 숫단자

Claims (6)

  1. 임산부 복부 또는 일반인의 왼쪽 가슴에 접촉하는 혼 형상으로 형성되어 심박동을 청취하는 청진부와,
    상기 청진부의 중앙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청진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파에 따른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제1 젠더와, 상기 제1 젠더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녹음 및 재생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에 삽입되는 중앙 단자와, 상기 스마트폰의 녹음된 심박동을 출력하고 청취가능한 이어폰 단자가 삽입되는 제2 젠더로 구성되는 Y자형 또는 U자형 분리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진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관에 삽입되거나,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진부의 삽입관과 결합하여 연통되는 연장관의 종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와 상기 제1 젠더, 상기 스마트폰의 이어폰 젠더와 상기 중앙 단자, 및 상기 이어폰 단자와 상기 제2 젠더를 연결하고, 3극 또는 4극 암단자와 3극 또는 4극 숫단자로 구성되는 연장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젠더는 상기 제1 젠더로부터 입력되는 심박동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단자는 3극 또는 4극 단자이고, 상기 제1 젠더는 상기 단자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단자는 4극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KR2020200004022U 2020-11-08 2020-11-08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KR202200011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22U KR20220001169U (ko) 2020-11-08 2020-11-08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22U KR20220001169U (ko) 2020-11-08 2020-11-08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69U true KR20220001169U (ko) 2022-05-25

Family

ID=8176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022U KR20220001169U (ko) 2020-11-08 2020-11-08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16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80A (ko) 1997-07-28 1999-02-25 고사이 아키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80A (ko) 1997-07-28 1999-02-25 고사이 아키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7181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한 무선 전자 청진기
CN101856240A (zh) 产前监听装置
CN209574686U (zh) 心电听诊器
KR20220001169U (ko)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US6766145B2 (en) Prenatal-to-infant monitoring device
EP0295318B1 (en) Electronic stethoscopic apparatus
KR20200000390U (ko) 휴대용 심박동 청진장치
JPS61253046A (ja) コンバ−チブル電子聴診器
JP3121893U (ja) 補聴器用受話器及びその耳栓アダプタ
CN104825193A (zh) 一种可进行扩展应用的一体式多普勒胎心仪
CN204708879U (zh) 一种可进行扩展应用的一体式多普勒胎心仪
JP2819252B2 (ja) 双方向性胎児信号装置
CN213283014U (zh) 胎心音检测设备
KR200388387Y1 (ko) 청진기용 집음 헤드
CN220988806U (en) Auscultation microphone connector
CN215739064U (zh) 可视化便携听诊系统
KR101319983B1 (ko) 복수개의 마이크를 구비한 집음기
CN217659920U (zh) 一种降噪型5g数字听诊器
CN209996345U (zh) 一种电子听诊器
RU2173538C2 (ru) Фонендоскоп-стетоскоп электронный
CN2436102Y (zh) 多功能袖珍电子听诊器
CN210042215U (zh) 一种新型智能手环助听器
CN210609603U (zh) 智慧型蓝牙降噪辅听耳机
TWI682771B (zh) 數位聽診器
JP2003126085A (ja) 内診用集音マイク付電子聴診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