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064U - 접이식 스탠드 - Google Patents

접이식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064U
KR20220001064U KR2020200003995U KR20200003995U KR20220001064U KR 20220001064 U KR20220001064 U KR 20220001064U KR 2020200003995 U KR2020200003995 U KR 2020200003995U KR 20200003995 U KR20200003995 U KR 20200003995U KR 20220001064 U KR20220001064 U KR 202200010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er
frame
holde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석
Original Assignee
하이녹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녹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녹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064U/ko
Publication of KR20220001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틀 형상인 서포터, 서포터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음식물이 놓여지거나 또는 식기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을 서포터에 대해 힌지 가능하게 구비하고 프레임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터에 음식물을 놓을 수 있거나 접시 등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탠드의 보관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스탠드{FOLDING TYPE STAND}
본 고안은 접이식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터에 음식물을 놓을 수 있거나 접시 등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탠드의 보관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며, 한정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절 또는 각종 행사가 개최되거나 요식업체 서비스의 경우 여러 가지의 음식물이 제공되지만, 식탁이나 밥상 위의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음식물을 모두 올려놓기가 어려웠다.
아울러, 뷔페나 파티장에서 음식을 담을시 접시 하나에 의존해 많은 양의 음식을 담거나 두개의 접시를 두 손에 의지해 음식을 담아 불안하게 이동함으로써 몇 번이고 음식을 가지러 가야하는 시간적 낭비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다단구조의 음식물받침대(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233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401호)가 제안된 바 있다.
다단구조의 음식물받침대는 바닥이나 테이블 상면에 놓여져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일정한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되는 한 개 이상의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상단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받침접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다단구조의 음식물받침대는 수직부재에 베이스부재를 고정되게 구비함으로써 보관을 위해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터에 음식물을 놓을 수 있거나 접시 등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탠드의 보관시 프레임을 접음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며, 프레임을 펼쳐 사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접이식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는: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틀 형상인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음식물이 놓여지거나 또는 식기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서포터에 대해 힌지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는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 양측에 받침대를 구비하거나, 또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채 하측에 베이스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속힌지부는, 상기 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가로너비가 세로높이보다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로너비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리브; 상기 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가로너비가 세로높이보다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로너비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리브; 상기 힌지리브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고, 세워진 상기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상기 힌지리브를 삽입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 및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 각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상기 힌지리브를 삽입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미사용안내구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리브는 상기 미사용안내구에 수용된 채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사용안내구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미사용안내구에 삽입되는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제 1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사용안내구는 상기 제 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제 2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와 상기 베이스부재는 홀더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속힌지부는, 상기 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힌지피벗; 상기 힌지피벗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를 수용하고 회동 허용하도록 상기 홀더에 상부방향과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힌지피벗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홀더와 상기 힌지피벗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의 펼쳐짐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피벗의 하향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홈부의 하측에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서포터에 음식물을 놓을 수 있거나 접시 등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을 세워 보관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탠드의 보관시 프레임을 접음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며, 프레임을 펼쳐 사용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홀더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100)는 서포터(110), 프레임(120) 및 단속힌지부(200)를 포함한다.
서포터(110)는 프레임(120)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아울러, 서포터(110)는 하측으로 개방된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서포터(110)가 바닥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 양측에 받침대(14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받침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서포터(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서포터(110)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손잡이 역할도 한다.
또한, 프레임(120)은 서포터(110)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20)이 틀 형상인 서포터(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이너프레임(122)은 서포터(11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고, 동일한 형상 또는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너프레임(122)은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너프레임(122)은 음식물이 직접 놓여질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음식물이 담긴 접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이너프레임(1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너프레임(122)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단속힌지부(200)는 이너프레임(122) 각각을 서포터(110)에 대해 힌지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너프레임(122)의 회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너프레임(122)은 단속힌지부(200)에 의해, 서포터(110)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동 후 사용 가능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미사용시 서포터(110)에 대해 타방향으로 회동 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단속힌지부(200)는 힌지리브(210), 삽입구(220) 및 미사용안내구(230)를 포함한다.
힌지리브(210)는 서포터(110)의 내측에 위치한 이너프레임(122)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힌지리브(210)는 가로너비(a)가 세로높이(b)보다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b) 즉, 힌지리브(210)는 직육면체 또는 타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힌지리브(210)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이너프레임(122)이 세워진 경우, 힌지리브(210)는 가로너비(a)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반대로, 이너프레임(122)이 펼쳐진 경우, 힌지리브(210)는 세로높이(b)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삽입구(220)는 힌지리브(210) 각각에 대응되도록 서포터(110)에 형성된다. 특히, 삽입구(220)는 서포터(110)에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삽입구(220)는, 이너프레임(122)이 세워진 상태에서, 힌지리브(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삽입구(220)는 힌지리브(210)에 대응되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방향의 너비가 힌지리브(210)의 가로너비(a)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세로방향의 길이가 힌지리브(210)의 세로높이(b)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너프레임(122)이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리브(210)는 삽입구(220)에 삽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미사용안내구(230)는 서포터(110)에 형성된 삽입구(220) 각각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미사용안내구(230)는 서포터(110)에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미사용안내구(230)는, 이너프레임(122)이 펼쳐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힌지리브(210)를 삽입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미사용안내구(230)는 힌지리브(210)에 대응되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방향의 너비가 힌지리브(210)의 세로높이(b)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세로방향의 높이가 힌지리브(210)의 가로너비(a)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너프레임(122)이 세워진 상태에서, 힌지리브(210)는 대응되는 삽입구(220)에 삽입되며, 해당 삽입구(220)에 연결된 미사용안내구(230)로 진입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이너프레임(122)이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리브(210)는 삽입구(220)에 연결된 미사용안내구(230)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리브(210)가 삽입구(220)에 삽입된 경우, 힌지리브(21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이너프레임(122)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힌지리브(210)가 미사용안내구(230)에 삽입된 경우, 힌지리브(21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이너프레임(122)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너프레임(122)이 힌지리브(210)의 축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힌지리브(210)는 미사용안내구(23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이너프레임(122)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240)를 함몰 형성한다.
즉, 힌지리브(210)는 수용홈부(240)를 형성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턱(242)을 형성하고, 한 쌍의 걸림턱(242)은 대응되는 서포터(1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힌지리브(210)는 미사용안내구(230)에 수용된 채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이너프레임(122)은 위치 고정된다.
이때, 삽입구(220)는 걸림턱(242)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힌지리브(210)가 삽입구(220)에 삽입 후 자중에 의해 삽입구(220)의 내부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물론, 힌지리브(210)는 마주하는 한 쌍의 걸림턱(242)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수용홈부(240)는 힌지리브(210)의 가로너비(a) 방향을 따라 제 1경사면(243)을 형성하고, 미사용안내구(230)는 제 1경사면(243)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제 2경사면(245)을 형성한다.
이때, 수용홈부(240)는 힌지리브(210)의 가로너비(a)에 대응되는 양측면에 각각 제 1경사면(243)을 형성하고, 미사용안내구(230)는 내측면의 마주하는 양쪽에 제 2경사면(245)을 형성한다.
그래서, 힌지리브(210)가 삽입구(220)에서 미사용안내구(230)에 삽입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설정된다. 이로써, 힌지리브(210)가 삽입구(220)에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리브(210)와 이너프레임(122)은 일방향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 회전되면서, 힌지리브(210)는 미사용안내구(230)에 삽입 허용된다. 그리고, 힌지리브(210)와 이너프레임(122)이 타방향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힌지리브(210)는 삽입구(220) 내에서 소정 회전되더라도 미사용안내구(230)로 진입이 방지된다.
이때, 제 1경사면(243)과 제 2경사면(245)의 경사각도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미사용시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사용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100)는 서포터(110), 프레임(120) 및 단속힌지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터(110)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서포터(110)는 하측에 베이스부재(1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물론, 서포터(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베이스부재(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20)은 음식물이 직접 놓여질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음식물이 담긴 접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프레임(120)은 서포터(110)의 내측에 다수 개 구비되는 이너프레임(122), 및 서포터(11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윙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진다. 이너프레임(122)과 윙프레임(124)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서포터(110)와 베이스부재(130)는 홀더(25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상세히, 홀더(250)는 끼움구를 형성한다. 그래서, 서포터(110)의 하측이 끼움구에 삽입된 후, 홀더(250)가 베이스부재(130)에 접하게 된다. 이 후, 결속부재(256)가 홀더(250), 서포터(110) 및 베이스부재(130)를 결속한다. 결속부재(256)는 볼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때, 끼움구는 홀더(250)의 하측에 함몰 형성되는 홈, 또는 서포터(110)의 하측을 절개한 상태로 삽입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프레임(122)이 서포터(1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단속힌지부(200)는 힌지리브(210), 삽입구(220) 및 미사용안내구(230)를 포함한다.
이때, 힌지리브(210), 삽입구(220) 및 미사용안내구(2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윙프레임(124)이 서포터(1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단속힌지부(200)는 힌지피벗(260), 삽입홈부(270) 및 힌지핀(280)을 포함한다.
힌지피벗(260)은 윙프레임(124)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힌지피벗(260)은 단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삽입홈부(270)는 힌지피벗(260)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를 수용하고 회동 허용하도록 홀더(250)에 상부방향과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특히, 삽입홈부(270)는 홀더(250)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편의상 축 방향을 따라 홀더(25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힌지핀(280)은 삽입홈부(270)에 삽입된 힌지피벗(260)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해 대응되는 홀더(250)와 힌지피벗(260)에 삽입된다.
따라서, 힌지피벗(260)은 삽입홈부(270) 내부에서 힌지핀(280)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되며 세워지거나, 타방향으로 회동되며 뉘여지게 된다.
이때, 삽입홈부(270)는 홀더(250)의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래서, 힌지피벗(260)이 세워진 경우, 힌지피벗(260)의 단면이 베이스부재(130)에 접함으로써 임의적으로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힌지피벗(260)의 둘레면과 삽입홈부(270)의 내측면에 로킹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외력이 제거시, 힌지피벗(260)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프레임(122)이 서포터(110)의 내측에서 세워진 상태로, 윙프레임(124)이 펼쳐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너프레임(122)과 윙프레임(124)이 함께 세워질 경우, 이너프레임(122)과 윙프레임(124)은 겹쳐지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의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스탠드(100)는 상기의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홀더(250)에 스토퍼(25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즉, 스토퍼(252)는 삽입홈부(27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다.
그래서, 윙프레임(124)이 펼쳐진 경우, 힌지피벗(260)의 뉘여진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252)가 힌지피벗(260)을 접하여 지지한다. 이로써, 힌지피벗(260)은 하향 회동 각도가 제한된다. 이때, 스토퍼(25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기의 다른 실시예에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접이식 스탠드 110: 서포터
120: 프레임 122: 이너프레임
124: 윙프레임 130: 베이스부재
140: 받침대 200: 단속힌지부
210: 힌지리브 220: 삽입구
230: 미사용안내구 240: 수용홈부
243: 제 1경사면 245: 제 2경사면
250: 홀더 252: 스토퍼
260: 힌지피벗 270: 삽입홈부
280: 힌지핀

Claims (7)

  1.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틀 형상인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음식물이 놓여지거나 또는 식기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서포터에 대해 힌지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 양측에 받침대를 구비하거나, 또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채 하측에 베이스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힌지부는,
    상기 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고, 가로너비가 세로높이보다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로너비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리브;

    상기 힌지리브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고, 세워진 상기 프레임이 세워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상기 힌지리브를 삽입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 및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 각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상기 힌지리브를 삽입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미사용안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리브는 상기 미사용안내구에 수용된 채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사용안내구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는 상기 미사용안내구에 삽입되는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제 1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사용안내구는 상기 제 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에 제 2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채 하측에 베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터와 상기 베이스부재는 홀더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단속힌지부는, 상기 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힌지피벗;
    상기 힌지피벗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를 수용하고 회동 허용하도록 상기 홀더에 상부방향과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힌지피벗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홀더와 상기 힌지피벗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의 펼쳐짐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피벗의 하향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홈부의 하측에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탠드.
KR2020200003995U 2020-11-05 2020-11-05 접이식 스탠드 KR202200010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95U KR20220001064U (ko) 2020-11-05 2020-11-05 접이식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95U KR20220001064U (ko) 2020-11-05 2020-11-05 접이식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64U true KR20220001064U (ko) 2022-05-12

Family

ID=8158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95U KR20220001064U (ko) 2020-11-05 2020-11-05 접이식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06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032A (en) Portable cooler having a removable table
US10293477B2 (en) Storage equipment
US7415933B2 (en) Collapsible worktable
US20080191113A1 (en) Field easel with integrated paint/sketch box
KR101317862B1 (ko) 모발 염색제 혼합 용기
JP2001061542A (ja) コンパクト型化粧ブラシ保有装置
KR200373331Y1 (ko) 조절 가능형 이젤
KR102024231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JP2006201305A (ja) 作業箱
KR20220001064U (ko) 접이식 스탠드
US20220234190A1 (en) Modular tool container
KR102266031B1 (ko) 공구함이 구비된 사다리
KR20170112110A (ko) 다양한 수납기능을 갖는 이미용 다용도 작업대
KR101488250B1 (ko) 선반 승하강 장치
CN214525038U (zh) 一种折叠码垛架
CN101588897B (zh) 工作台夹持设备
KR102436287B1 (ko) 팔레트를 구비한 일체형 붓통
JP2002078533A (ja) 折畳みデスク
JP541015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CN221382844U (zh) 一种工业设计服务平台
KR101250976B1 (ko) 독서대
CN210446162U (zh) 学生藏书凳
JP2014201319A (ja) 折畳み容器
JP7576205B1 (ja) 机の配線収納構造及び机の配線収納方法
CN217620528U (zh) 一种便携式土木工程造价用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