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962U -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 Google Patents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62U
KR20220000962U KR2020200003835U KR20200003835U KR20220000962U KR 20220000962 U KR20220000962 U KR 20220000962U KR 2020200003835 U KR2020200003835 U KR 2020200003835U KR 20200003835 U KR20200003835 U KR 20200003835U KR 20220000962 U KR20220000962 U KR 20220000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handle
handle
door
lock
lev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234Y1 (ko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2020200003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3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05C3/1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rivacy rooms, e.g. bath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잠금쇠를 구성하는 레버와 손잡이로 구성된 레버축부에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한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는 상하로 지지편이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에 레버축부의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부를 연장하여 도어와 거리를 둘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부 및 손잡이체가 구성된 것이며,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에 화장실문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와 손잡이로 구성된 잠금쇠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Auxiliary handle for the handicapped for the door lock of the common toilet}
본 고안은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장애인용 도어잠금쇠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추가적으로 간단하게 설치하여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화장실은 화장실 사용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어의 내부에 잠금쇠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잠금쇠는 외부에서는 잠금쇠를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화장실 사용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실문 잠금쇠의 대부분은 잠금쇠를 회전시켜 걸쇠에 걸어서 잠금기능을 수행하면, 화장실 외부에서 화장실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용중이란 문구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실문 잠금쇠는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버축부(12-1) 및 레버(12)와, 상기 레버의 끝단에 손잡이(1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장실문 잠금쇠는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비장애인의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게 잠금쇠를 회전시켜 레버를 걸쇠(22)에 걸거나, 반대로 도어를 열기 위하여 잠금쇠를 역회전시켜 레버를 걸쇠에서 이탈시키는데 많은 불편과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잠금쇠가 개시되고 있으나,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반대쪽에 레버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비싸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쇠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 잠금쇠를 제거하고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반대쪽에 레버가 일체로 구성된 장애인용 잠금쇠를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실용등록 제20-318606호 한국 특허등록 제10-56439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화장실문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와 손잡이로 구성된 잠금쇠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를 간편하게 구성하고 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잠금쇠를 교체하는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는, 레버와 손잡이로 구성된 레버축부에 결합하기 위한 홀더부가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는 상하로 지지편이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에 레버축부의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부를 연장하여 도어와 거리를 둘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부 및 손잡이체가 구성된 것이 본 고안에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에 화장실문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와 손잡이로 구성된 잠금쇠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도어에서 거리를 두고 장애인용 보조손잡이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교체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는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손잡이가 잠금쇠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손잡이가 잠금쇠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손잡이의 작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화장실도어 잠금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종래 잠금쇠가 화장실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는, 레버(12)와 손잡이(11)로 구성된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상기 보조손잡이(1)는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결합하기 위한 홀더부(2)가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2)를 구성하는 수직부(3)에는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2)를 구성하는 수직부(3)의 상하로는 레버축부(12-1)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편(4)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부(2)의 내측면(5)에 레버축부(12-1)의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걸림턱(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부(2)의 일측을 연장하여 도어와 거리를 둘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부(1-1) 및 손잡이체(1-2)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20은 손잡이커버, 21은 도어, 22는 걸림쇠, 23은 나사못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는, 레버(12)와 손잡이(11)로 구성된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조손잡이(1)를 구성하는 홀더부(2)를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결합하는데 이 때 홀더부를 구성하는 수직부(3)의 상하에 형성된 지지편(4)이 레버축부(12-1)의 외부를 감싸게 하고 홀더부(2)의 내측면(5)에 형성된 걸림턱(5-1)이 레버축부(12-1)의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손잡이(1)를 구성하는 홀더부(2)를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수직부(3)에 형성된 나사구멍(3-1)을 통해서 나사못(23)을 레버축부(12-1)에 체결하여 홀더부(2)를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손잡이(1)를 잠금쇠(10)에 설치하면, 상기 홀더부(2)의 일측을 연장된 경사부(1-1)에 의해서 경사부(1-1) 및 손잡이체(1-2)는 도어와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체(1-2)가 도어와 거리를 두게 되면, 손잡이를 잡을 수 없는 장애인이 손목부분을 보조손잡이(1)의 상부 또는 하부로 깊숙히 넣을 수 있다.
그러면, 도어를 잠그고자 할 때에는 손목부분을 손잡이체(1-2)의 하부로 넣어, 손잡이체(1-2)를 들어올려서 레버축부(12-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잠금쇠(10)의 레버(12)를 걸림쇠(22)에 결합하여 도어를 잠글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손목부분을 손잡이체(1-2)의 상부로 넣어, 손잡이체(1-2)를 아래로 내려주면, 레버축부(12-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잠금쇠(10)의 레버(12)가 걸림쇠(22)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1: 보조손잡이
1-1: 경사부
1-2: 손잡이본체
2: 홀더부
3: 수직부
4: 지지편
5: 내측면

Claims (2)

  1.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손잡이(1)를 구성하는 손잡이체(1-2)와 연결된 경사부(1-1)에는 잠금쇠(10)를 구성하는 레버축부(12-1)에 결합하기 위한 홀더부(2)가 구성되며,
    상기 경사부(1-1) 및 손잡이체(1-2)는 도어와 거리를 둘 수 있도록 홀더부(2)의 일측을 외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손잡이(1)를 구성하며, 잠금쇠(10)의 레버축부(12-1)에 결합하기 위한 홀더부(2)가 구성된 수직부(3)를 레버축부(12-1)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구멍(3-1)과, 상기 수직부의 상하에 레버축부(12-1)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편(4)과,
    상기 홀더부(2)의 내측면(5)에 레버축부(12-1)의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KR2020200003835U 2020-10-26 2020-10-26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KR200496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35U KR200496234Y1 (ko) 2020-10-26 2020-10-26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35U KR200496234Y1 (ko) 2020-10-26 2020-10-26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62U true KR20220000962U (ko) 2022-05-03
KR200496234Y1 KR200496234Y1 (ko) 2022-12-05

Family

ID=8158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35U KR200496234Y1 (ko) 2020-10-26 2020-10-26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804A (ko) 2022-07-21 2024-01-30 박상태 테이블 랜턴 걸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606Y1 (ko) 2003-04-14 2003-07-02 김병근 사용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장실잠금장치
KR100564394B1 (ko) 2005-12-31 2006-03-27 정대헌 잠금 표시 기능을 구비한 화장실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037Y1 (ko) * 1999-07-08 2000-02-15 노광국 도어용손잡이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606Y1 (ko) 2003-04-14 2003-07-02 김병근 사용표시기능이 구비된 화장실잠금장치
KR100564394B1 (ko) 2005-12-31 2006-03-27 정대헌 잠금 표시 기능을 구비한 화장실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804A (ko) 2022-07-21 2024-01-30 박상태 테이블 랜턴 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34Y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762B1 (en) Quick release toilet seat hinge assembly
US20080022451A1 (en) Curtain Rod Assembly
KR20220000962U (ko) 공동화장실 도어잠금쇠의 장애인용 보조손잡이
US6678902B1 (en) Portable washbasin for babies
US6782565B2 (en) Portable lavatory apparatus
US7832309B2 (en) Door un-locking tool
KR200453991Y1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WO2001055537A2 (en) Pull handle for door, method of opening a door, and method of installing
KR100986118B1 (ko) 창문용 이탈방지기구
CN214207436U (zh) 一种雨伞头
JP4359106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の肘掛け取付構造
TW522108B (en) Load floor slam-action pawl latch
JP3237994U (ja) サムターン回転制御アイテム
JPS6312981B2 (ko)
CN201346176Y (zh) 一种便盆
CN213488559U (zh) 一种新型坐便器
JP4349884B2 (ja) 作業口の蓋構造
KR200380467Y1 (ko) 신체 장애인용 가동식 손잡이 고정장치
KR200286612Y1 (ko) 일체식 세면대
KR20100013098U (ko) 디지털 도어록의 커버이탈 방지장치
JP3213476U (ja) 安全式ろくろを有する長傘
KR200212755Y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200285764Y1 (ko) 용기의 잠금장치
KR200193356Y1 (ko) 창문잠금쇠
KR101258243B1 (ko) 휴지걸이 겸용 도어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