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950U -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 - Google Patents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50U
KR20220000950U KR2020200004255U KR20200004255U KR20220000950U KR 20220000950 U KR20220000950 U KR 20220000950U KR 2020200004255 U KR2020200004255 U KR 2020200004255U KR 20200004255 U KR20200004255 U KR 20200004255U KR 20220000950 U KR20220000950 U KR 202200009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safety hood
view
presen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원
Original Assignee
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원 filed Critical 신재원
Publication of KR20220000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는, 적어도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본체부; 개방부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 {Safety hood to ensure visibility}
본 고안은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눈 높이에 대응하는 후드의 일부를 접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스포츠, 레저 활동 인구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포츠, 레저 활동은 실내보다 실외에서 이루어 경우가 많아 외부 환경에서 쾌적한 신체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
오존층의 파괴에 따라 자외선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한 자외선 중에서, UV-A는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고 기미, 주근깨 등을 유발하고, UV-B는 여름에 햇볕에 피부가 빨갛게 되는 현상을 일으키며, UV-C는 단백질과 유전자를 변형하거나 파괴시키고 면역기능을 저하시켜 세균 감염 및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자외선의 투과는 마른 피부보다 젖은 피부에서 4배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해수욕을 하거나, 운동에 의해 땀을 흘린 경우와 같은 젖은 피부 상태에서는 피부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반드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나, 모자 또는 두건 등을 이용하여 안면에 조사되는 햇빛을 충분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존층의 파괴와 더불어 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봄/가을이 짧아지고, 여름/겨울이 길어지며 여름은 더욱 더워지고 겨울은 더욱 추워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실외 활동시 자외선 차단 및 방염/방한을 위해 안면과 목 위 부분을 감싸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봄, 여름, 가을에는 UV 차단제를 바른 상태에서 수건, 스카프 등으로 안면을 감싸거나 모자를 쓰는 등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아 착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겨울이나 다소 추운 날에만 방한용으로 후드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업계에서는 여러가지 안면마스크를 만들어 오고 있지만, 후드를 이용한 것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야를 좁혀 활용도가 떨어지는 후드에 대해 넓은 시야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건조 및 피부 관련 질환을 방지하는 가림막으로 사용하며, 방한용으로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방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상기의 목적은,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로서, 적어도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본체부; 개방부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 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상호 맞물려 체결되는 제1 단위 고정부 및 제2 단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상호 부착력을 가지고 연결되는 제1 단위 고정부 및 제2 단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단추, 똑딱이 단추, 밸크로 테이프, 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부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가 내측으로 접히면서 고정 수단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의 최상단을 0, 최하단을 100이라고 할때, 고정 수단의 수직상 배치 위치는 30 내지 70 사이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의 전단을 0, 후단을 100이라고 할때, 고정 수단의 수평상 배치 위치는 0 내지 40 사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시야를 좁혀 활용도가 떨어지는 후드에 대해 넓은 시야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건조 및 피부 관련 질환을 방지하는 가림막으로 사용하며, 방한용으로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방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고정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일반 후드 및 본 고안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정면 착용 상태를 대비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일반 후드 및 본 고안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측면 착용 상태를 대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10)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10)의 고정 수단(15)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1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안전 후드(10) 부분만을 도시화하여 설명하나, 안전 후드(10)는 후드티, 넥워머 등에 탈부착 가능한 구성, 또는 후드티에 일체화 된 구성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10)는, 적어도 전면에 개방부(12)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본체부(11), 개방부(12)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11)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수단(15: 15a, 1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11)는 안전 후드(10)의 몸체(body)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부분이다. 착용자가 전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본체부(11)는 착용자의 전면(前面) 부분은 덮지 않고 개방부(12) 형태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부(12)의 영역은 대략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며, 착용자의 얼굴보다 아래인 목, 어깨 등의 부분은 개방부(12)의 영역에서 제외될 수 있다. 착용자의 얼굴보다 아래 부분은 본체부(11)에서 연장되는 커버부(13)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커버부(13)에 형성된 커버부 고정 수단(16)을 통해서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될 수 있다. 본체부(11)의 최상단에서 최하단에 이르는 수직 폭을 D1(도 1 참조), 본체부(11)의 전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수평 폭을 D2(도 3 참조)로 지칭한다.
본체부(11)는 면, 모, 인견, 벨벳, 기모 등의 직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자외선 차단과 방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물이라면 재질에 있어서 제한은 없다.
개방부(12)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11) 상에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수단(15: 15a, 15b)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고정 수단(15)은 상호 맞물려 체결되는 제1 단위 고정부(15a) 및 제2 단위 고정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수 형태의 똑딱이 단추(15a, 15b)가 고정 수단(15)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추와 단추가 걸리는 고리(15a, 15b)가 고정 수단(15)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위 고정부(15a)가 제2 단위 고정부(15b)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반대로 제2 단위 고정부(15b)가 제1 단위 고정부(15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고정 수단(15)은 상호 부착력을 가지고 연결되는 제1 단위 고정부(15a) 및 제2 단위 고정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부착되는 밸크로 테이프(찍찍이 테이프)(15a, 15b)가 고정 수단(15)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호 자력으로 부착되는 반대 극성의 자석(N극, S극)(15a, 15b)이 고정 수단(15)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위 고정부(15a)가 제2 단위 고정부(15b)에 부착되어 고정되거나, 반대로 제2 단위 고정부(15b)가 제1 단위 고정부(15a)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수단(15)을 연결하기 위해 개방부(12)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11)를 내측으로 접을 수 있다. 개방부(12)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11)의 부분은 대략 착용자의 양볼, 양눈의 옆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 수단(15)을 통해 본체부(11)이를 위해 고정 수단(15)은 본체부(11) 내측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도 2의 상태에서 본체부(11)를 내측으로 접으면서 고정 수단(15)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체부(11)가 내측으로 접힘에 따라 착용자의 얼굴 부분에 본체부(11)가 더 긴밀히 접촉하여 방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부(11)를 내측으로 접어 고정함에 따라 본체부(11) 내측과 착용자 얼굴 사이에 빈 공간을 메워주는 것이다. 방한 효과에 더불어 대략 착용자의 양볼, 양눈 옆 부분에 있는 본체부(11)를 내측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착용자의 시야 각도가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스포츠, 레저 활동을 함에 있어서 후드의 착용으로 인해 시야가 방해받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체부(11)를 외측으로 접으면서 고정 수단(15)을 체결할 수도 있다. 이 점에서 고정 수단(15)은 본체부(11)의 외측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한 효과는 내측으로 접는 것보다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방한 효과가 필요없는 온도 상태에서는 유리하며, 착용자의 시야 확보에는 여전히 강점을 가지게 된다.
본체부(11)는 아무 부분이나 접혀져서는 안전후드 본연의 기능을 다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본체부(11)의 윗 부분이 접히는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에 대한 효과가 없어질 수 있고, 본체부(11)의 다소 아래 부분인 턱 부분이 접히는 경우라면 여전히 양 눈 옆을 본체부(11)가 가리기 때문에 시야 확보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체부(11)의 최상단을 0, 최하단을 100(도 1의 D1)이라고 할때, 고정 수단(15)의 수직상 배치 위치는 30 내지 70 사이(도 1의 D2)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사이일 수 있다. 이 위치는 착용자의 대략 양 눈, 양 볼 측에 대응한다.
또한, 본체부(11)의 전단을 0, 후단을 100(도 3의 D3)이라고 할때, 고정 수단(15)의 수평상 배치 위치는 0 내지 40 사이인(도 3의 D4)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사이일 수 있다. 이 위치는 착용자의 양 눈, 양 볼에 근접한 정도로 본체부(11)가 접힐 수 있는 값이다. 만약, 한 쌍의 고정 수단(15: 15a, 15b)이 본체부(11)에서 너무 깊게 있다면(예를 들어, 0과 50의 위치에 배치), 고정 수단(15)에 의해 본체부(11)가 너무 많이 접히게 되어 착용자의 얼굴이 과다하게 노출되므로 자외선 차단, 방한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한 쌍의 고정 수단(15: 15a, 15b)이 본체부(11)에서 너무 얕게 있다면(예를 들어, 0과 10의 위치에 배치), 고정 수단(15)에 의해 본체부(11)가 접히는 정도가 낮아, 방한 효과 및 시야 확보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고정 수단(15)은 본체부(11) 각 측에 한 쌍을 배치할 수 있으나, 고정력을 강하게 하거나 다양한 위치에 대한 고정이 필요하다면 간격을 두어 복수 쌍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일반 후드 및 본 고안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정면 착용 상태를 대비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일반 후드 및 본 고안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의 측면 착용 상태를 대비한 도면이다.
도 4 (a)를 참조하면, 일반 후드는 본체부의 내측과 착용자의 머리 사이에 빈 공간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된 빈 공간이 많기 때문에 귀 부분이 벌어져 방한 효과가 상당히 낮아지게 되며 노출된 틈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도 4 (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 후드(10)는 고정 수단(15)에 의해 본체부(11)가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착용자의 볼, 눈 부분에 밀착됨을 확인할 수 있다. 노출된 공간이 없고, 귀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방한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 (a)를 참조하면, 일반 후드는 본체부가 착용자의 두상을 감싸는 양쪽 옆면이 직선으로 내려오는 형태이므로, 착용자의 양 눈 측면을 가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시야각이 좁아지고 외부 활동에 지장을 받게 되며, 보행이나 운전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 후드(10)는 고정 수단(15)에 의해 본체부(11)가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양 눈 측면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착용자의 시야각이 넓어지고 외부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10)는 시야를 좁혀 활용도가 떨어지는 일반 후드에 대해 넓은 시야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건조 및 피부 관련 질환을 방지하는 가림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일반 후드로 연출하다가 필요에 따라 운동 및 야외 활동에서 고정 수단(15)을 탈부착함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방한 효과를 향상시키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고안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안전 후드
11: 본체부
12: 개방부
13: 커버부
15: 고정 수단
15a, 15b: 제1, 2 단위 고정부
16: 커버부 고정 수단

Claims (7)

  1.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로서,
    적어도 전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본체부;
    개방부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수단;
    을 포함하는, 안전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상호 맞물려 체결되는 제1 단위 고정부 및 제2 단위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전 후드.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상호 부착력을 가지고 연결되는 제1 단위 고정부 및 제2 단위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전 후드.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단추, 똑딱이 단추, 밸크로 테이프, 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안전 후드
  5. 제1항에 있어서,
    개방부의 좌측 및 우측에서 이어지는 본체부가 내측으로 접히면서 고정 수단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고정되는, 안전 후드.
  6.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최상단을 0, 최하단을 100이라고 할때,
    고정 수단의 수직상 배치 위치는 30 내지 70 사이인, 안전 후드.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의 전단을 0, 후단을 100이라고 할때,
    고정 수단의 수평상 배치 위치는 0 내지 40 사이인, 안전 후드.
KR2020200004255U 2020-10-23 2020-11-24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 KR2022000095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819 2020-10-23
KR20200003819 2020-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50U true KR20220000950U (ko) 2022-05-02

Family

ID=8158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255U KR20220000950U (ko) 2020-10-23 2020-11-24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9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042B1 (en) Headgear system that includes easily coupled cap and outer head covering and that helps to protect against vision obstruction
US20160374415A1 (en) Garment
WO2001024649A2 (en) Hooded garment with storable mask or goggles
US20200397083A1 (en) Skin protecting garment
US6052830A (en) Combined cape and cover for visor or the like
US9320310B1 (en) Clothing garment with combination hat and hood
KR200476397Y1 (ko) 안면 마스크
US20220000190A1 (en) Hooded garment with embedded side views
KR20220000950U (ko) 시야 확보가 가능한 안전 후드
JP3110940U (ja) 帽子
US10798983B2 (en) Hooded clothing arrangement and cap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US10165808B2 (en) Supremely adjustable facial mask
KR200295965Y1 (ko) 마스크 부착형 자외선 차단 모자
KR200451397Y1 (ko) 황사대비용 멀티 캡
KR20050060944A (ko) 마스크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US20140053308A1 (en) Face Shield Attachment for Winter Jacket Hoods
KR20080000934U (ko) 햇빛 가리개
JP3236101U (ja) フェイスガード付き日除け帽子
KR101261478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KR200289891Y1 (ko) 분리형 차양판을 갖는 차양 모자
KR102550334B1 (ko) 네크워머 기능을 가지는 야외용 마스크
KR200235983Y1 (ko) 방제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