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930U - 음식물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30U
KR20220000930U KR2020200003776U KR20200003776U KR20220000930U KR 20220000930 U KR20220000930 U KR 20220000930U KR 2020200003776 U KR2020200003776 U KR 2020200003776U KR 20200003776 U KR20200003776 U KR 20200003776U KR 20220000930 U KR20220000930 U KR 202200009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body
sealing member
handle
f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식
Original Assignee
조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식 filed Critical 조현식
Priority to KR2020200003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930U/ko
Publication of KR20220000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식당에서 음식물을 진열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식물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 용기(100)는 음식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일정부피를 가지는 상광하협의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120)와, 상기 손잡이부의 가장자리 전구간을 감싸도록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보관 중인 음식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의 컬러를 가진 탄성소재의 실링부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보관 용기{Contaner for storing food}
본 고안은 주로 식당에서 음식물을 진열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식물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 뷔페식당 및 학교급식 등 대량소비의 음식점의 주방이나 홀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바트(bat)라고 불리우는 음식물 보관 용기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식 보관용기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 보관 용기(1)는 음식물이 변질되고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수시로 보관 중인 음식물을 꺼내 조리할 수 있도록 오픈된 상태로 별도의 진열대에 거치되거나, 완성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홀에 진열하여 서빙하기 용이하도록 오픈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보관 용기(1)는 미 사용시 뚜껑(2)을 덮어 놓고 보관하게 되는데, 스테인레스로 제작된 관계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뚜껑(2)과의 밀착면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이 경우, 뚜껑(2)과 긴밀히 밀착되지 못해 보관 중인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종래의 음식물 보관 용기(1)는 재질이 스테인레스인 관계로 불투명하기 때문에 내부에 보관 중인 음식물이 무엇인지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음식물 보관 용기(1)는 보관해야 할 음식물이 다수일 경우에 주로 다층으로 적층하여 보관되는데, 아래층에 보관중인 음식물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부득이 상부에 적층된 음식물 보관용기를 모두 내려 놓아야 하므로 매우 수고스러울 뿐만 아니라, 자칫 주의를 게을리 할 경우 보관 중인 음식물을 바닥에 쏟게 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크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보관 용기는 얇은 두께의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므로 취급시 용기 상단을 따라 형성된 손잡이부의 날카로운 단면에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아울러, 종래의 음식물 보관 용기는 미사용시 상하로 겹쳐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보관용기(1)들끼리 긴밀히 밀착되면서 추후 사용시 겹쳐 있는 음식물 보관 용기(1)를 분리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09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관중인 음식물의 파악이 용이하고, 음식물의 외부 공기와의 차단을 통하여 변질 또는 온도와 습도의 변화로부터 음식 맛을 지키는데 기존의 것보다 우수하며, 날카로운 용기 상단 가장자리에 의한 부상의 위험이 없으며, 미사용시 겹쳐 보관중이던 용기들끼리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음식물 보관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 용기는 음식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일정부피를 가지는 상광하협의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가장자리 전구간을 감싸도록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보관 중인 음식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의 컬러를 가진 탄성소재의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용기본체의 손잡이부를 커버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를 감싸는 외측밀착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용기본체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내측밀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이 더 구비되며, 상기 뚜껑의 저면에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게 대응 형성된 탄성소재의 밀폐부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는 용기본체에 형성된 손잡이부의 가장자리 전구간을 감싸도록 고유의 컬러를 가진 탄성소재의 실링부재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실링부재의 컬러를 통해 뚜껑을 열지 않고도 보관 중인 음식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탄성소재의 실링부재로 용기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경우 뚜껑의 무게만으로도 생활밀폐가 이루어지고 용기를 여러 개 다층으로 적층한 경우 밀폐효과는 배가되어 용기 안에 있는 내용물의 성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크고, 취급시 날카로운 용기본체의 단부에 손을 다치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사용 중 떨어뜨리는 등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실링부재가 쿠션역할을 되면서 손잡이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 겹쳐 보관하더라도 상기 실링부재에 의하여 용기본체끼리 과다하게 밀착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되므로 겹쳐서 보관 중인 용기본체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용기와의 착탈이 용이하여 손쉽게 분리 세척 및 소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 보관용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 분해사시도로서, 뚜껑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를 미사용시 겹쳐서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하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 용기(100)는 용기본체(110)와 손잡이부(120)와 실링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음식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도록 일정부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110)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특성상 인체에 무해하고 부식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강도가 우수하여 외부 충격시 깨지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인체에 무해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나 PC(Polycarbonate) 소재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하로 겹쳐서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용기본체(110)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용기본체(110)를 이동시킬 때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일정 넓이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10)를 별도의 진열대에 거치시킬 때 거치부로 활용된다.
상기 손잡이부(120)에는 실링부재(1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실링부재(130)는 손잡이의 가장자리 전구간을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자체 탄성력을 가진 링 형태의 부재로서,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이나 우레탄 또는 고무 소재로 제작된다.
아울러, 상기 실링부재(130)는 고유의 컬러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컬러는 실링부재(130) 제조시 원재료를 착색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링부재(130) 외부에 별도의 컬러도료를 도포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사용 중 컬러도료가 실링부재(130)로부터 벗겨지면서 보관 중인 음식물에 유입될 위험이 있고, 컬러스티커를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사용 및 세척 과정에서 실링부재(130)로부터 쉽게 탈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130)가 고유의 컬러를 갖게 되면, 용기본체(110)에 서로 다른 실링부재(130)를 결합시킨 후에 실링부재(130)의 컬러 별로 음식물 및 음식재료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뚜껑(140)을 열고 용기본체(110) 내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용기본체(110)에 보관된 음식물이 무엇인지 실링부재(130)의 컬러를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진된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130)는 용기본체(110)의 손잡이부(12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중앙부(131)와, 상기 중앙부(1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120)의 단부를 감싸는 외측밀착부(132)와, 상기 중앙부(131)로부터 용기본체(110)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1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내측밀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밀착부(132)는 손잡이부(120)의 상단과 측단과 하단을 동시에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링부재(130)는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1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부(120)에 결합할 경우에는 양손으로 외측밀착부(132)와 내측밀착부(133)를 잡고 바깥쪽으로 벌린 상태에서 중앙부(131)를 손잡이부(120)의 상단에 밀착시키고 양손을 놓게 되면 외측밀착부(132)와 내측밀착부(133)가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부(120)의 단부와 용기본체(110)의 내벽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매우 쉽고 간편하게 손잡이부(120)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0)에 결합된 실링부재(130)는 손잡이부(120)에 긴밀히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1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실링부재(130)는 용기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용기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 분해사시도로서 뚜껑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뚜껑(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140)의 저면에는 상기 실링부재(130)에 밀착되게 대응 형성된 탄성소재의 밀폐부재(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밀폐부재(150)에 실링부재(130)와 동일한 컬러를 형성시켜 외부에서 육안으로의 인식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식물 보관 용기(100)는 음식물 보관시 용기본체(110)에 뚜껑(140)을 덮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뚜껑(140)의 자중에 의해 뚜껑(140)과 실링부재(130) 사이가 긴밀히 밀착되므로 항시 신선한 상태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링부재(130)가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관 용기(100)의 사용 중 외부 충격으로 손잡이부(120)가 손상되더라도 뚜껑(140)과의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항상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용기본체(110)를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할 시, 밀폐력이 배가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보관이 보장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를 미사용시 겹쳐서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사용시 용기본체(110)를 상하로 겹쳐서 보관할 때, 상기 실링부재(130)에 의하여 용기본체(110)들끼리 과다하게 밀착되지 않고 각 손잡이부(12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겹쳐서 보관 중인 용기본체(110)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실링부재(130)가 손잡이부(12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보관 용기(100)를 취급할 때 손잡이부(120)의 날카로운 단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이로 인한 부상의 위험이 전혀 없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 중 떨어뜨리는 등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실링부재(130)가 쿠션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손잡이부(120)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130)의 내측밀착부(133)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벽면 상단에는 상기 홈부(134)에 끼워지는 돌기(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재(130)의 결합력이 상기 홈부(134)와 돌기(111)의 결합을 통해 배가되므로 상기 실링부재(140)는 외부의 충격에도 용기 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음식물 보관 용기 110...용기본체
120...손잡이부 130...실링부재
131...중앙부 132...외측밀착부
133...내측밀착부 140...뚜껑
150...밀폐부재

Claims (3)

  1. 음식물을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일정부피를 가지는 상광하협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가장자리 전구간을 감싸도록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보관 중인 음식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의 컬러를 가진 탄성소재의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 보관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용기본체의 손잡이부를 커버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를 감싸는 외측밀착부; 및
    상기 중앙부로부터 용기본체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내측밀착부로 이루어진 음식물 보관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이 더 구비되며;
    상기 뚜껑의 저면에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게 대응 형성된 탄성소재의 밀폐부재가 부착된 음식물 보관 용기.
KR2020200003776U 2020-10-22 2020-10-22 음식물 보관 용기 KR202200009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76U KR20220000930U (ko) 2020-10-22 2020-10-22 음식물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76U KR20220000930U (ko) 2020-10-22 2020-10-22 음식물 보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30U true KR20220000930U (ko) 2022-04-29

Family

ID=8138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76U KR20220000930U (ko) 2020-10-22 2020-10-22 음식물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93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94Y1 (ko) 2016-01-29 2017-04-03 오용훈 밀폐형 찬바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094Y1 (ko) 2016-01-29 2017-04-03 오용훈 밀폐형 찬바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75551A1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of use
CA1239379A (en) Container for packaging and counting surgical sponges
US20050082307A1 (en) Cutlery dispenser system
US20070051726A1 (en) Package for storing personal care items
US20050211712A1 (en) Container with hand-gripping bands and stainless steel flask
KR101649585B1 (ko) 접이식 식판
US20100059524A1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for disposable tissues
CA3021264C (en) Container having a retained, externally displaceable drain insert
KR20220000930U (ko) 음식물 보관 용기
US6076698A (en) Molded storage container with dual compartments
KR20150002551U (ko) 환상 돌기가 구비된 물컵
KR101358360B1 (ko) 일회용 밀폐용기
CN103717504A (zh) 热饮料容器的组件、插件、及方法
KR20100004359U (ko) 식품용기
US10214327B1 (en) Hinged lid
KR101389697B1 (ko)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KR101849497B1 (ko) 비닐장갑 포장용 박스
US20220402655A1 (en) Flexible protection sleeve for container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CA2427069A1 (en) Nail polish container
US20090008270A1 (en) Personal care products storage caddy and usage apparatus
KR102240235B1 (ko)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한 수납용기 뚜껑
KR102037393B1 (ko) 접이식 식품 용기 및 이의 캐리어
KR200465756Y1 (ko) 생활용품 보관통
KR100784111B1 (ko) 음료수 캔 개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8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08

Effective date: 20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