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57A -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57A
KR20220000857A KR1020210083949A KR20210083949A KR20220000857A KR 20220000857 A KR20220000857 A KR 20220000857A KR 1020210083949 A KR1020210083949 A KR 1020210083949A KR 20210083949 A KR20210083949 A KR 20210083949A KR 20220000857 A KR20220000857 A KR 20220000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terminal
data
sm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134B1 (ko
Inventor
마용승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크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크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크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2000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트 각 전문 분야의 설계를 통합하며, 시공과 관련 데이터를 가공, 정렬, 집합 및 2D 도면화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해당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각 전문분야의 관리자 및 실무자가 동일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수기 식 관리 등의 행위의 데이터화를 통해 다인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여 1 인이 작업을 시행하는 방식보다 작업의 혁신적인 효율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며,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전문분야업체설정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실무자단말기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설정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고, RFID 카드 정보를 관리하는 RFID부,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해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공정비율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시공계획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공사관련자료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작업완료부,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RFID정보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대시보드부 및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준공서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NSTRUCTION PLATFORM}
본 발명은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트 각 전문 분야의 설계를 통합하며, 시공과 관련 데이터를 가공, 정렬, 집합 및 2D 도면화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해당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각 전문분야의 관리자 및 실무자가 동일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수기 식 관리 등의 행위의 데이터화를 통해 다인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여 1 인이 작업을 시행하는 방식보다 작업의 혁신적인 효율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빌딩(Building)은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고, 정보(Information)는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모델링(Modeling)은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 관리, 출판을 제공하는 통합 도구 및 플랫폼을 의미한다.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한 선, 면 작업이 아닌 선의 시작과 끝점을 잇는 길이의 데이터가 발생되어지고 면은 닫힌 면의 기준으로 면적이 데이터화 된다. 그리고 길이와 면적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체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BIM은 빌딩 객체들인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이 각각의 속성을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즉시 건물설계에 반영한다. 설계할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상관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활용한다.
전세계적으로 3차원 건물모델의 수요가 증가하고, 3차원 건물모델을 이용한 활용분야가 다양해지면서, 3차원 건물모델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도시모델 단위의 공간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모델의 경우 수많은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차원 모델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시화 방안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제한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대용량 3차원 객체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 렌더링 성능의 한계로 인해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3차원 실사모델에 대한 상세 단계(LOD) 모델 구성을 통해 데이터를 경량화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세 단계 즉, LOD(Level Of Detail)는 보통 정보를 모델링할 때의 상세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BIM 수행 시 서로 협의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상세 단계(LOD) 모델의 구성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이해 당사자들간 건설 정보를 모델링할 때 많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상세 단계(LOD)의 기본 아이디어는 어떤 물체가 작거나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여하는 것이 없을 경우에 좀 더 간략하게 표현된 것을 사용하자는데 있다. 예를 들어, 대략 10,000개의 삼각형들로 이루어진 자세한 3차원 객체모델의 경우 관측자가 객체에 가깝게 있을 때 사용된다. 관측자가 객체에서 멀어지면 100개 정도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단순화된 모델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원본 모델과 거의 비슷하게 보여질 수 있다.
현재 플랜트 공사에서 흔히 쓰는 3D 프로그램은 LOD 200까지만 되는 프로그램으로 기본 설계 및 각 전문 분야 2D 도면을 추출하여 시공 진행하고 있다.
플랜트공사는 LOD 200으로 된 기본 설계 내용 기반에 각자 따로따로 필요한 내용을 재설계 하여 시공을 진행한다. 각 전문 분야 업체에서 따로따로 재설계 하여 시공 제작을 한 후 설치 현장납품을 하여 현장 설치 진행 시 다른 분야의 제품과 간섭사항이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간섭사항이 발생함으로써 공정 준공 일정 때문에 현장에서 수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이 다수 발생 하고 있다.
배관 서포트는 LOD 100 단계에서 시공 작업이 이루어져 전체 현장 맞춤 작업으로 진행함으로써 비용증가 및 공정 지연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전기계장배관은 LOD 200으로 된 기본 설계 도면으로 인하여 전기 계장 업체에서 2D 로 제작 및 설치 도면을 작성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시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전기배관 과 일반 배관 간섭 사항이 다수 발생하여 현장수정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 계장 서포트는 현재 경력자가 설치 현장에서 실제 철 구조물을 파악한 후 경험상 계장 서포트를 현장 맞춤 작업을 하고 있다. 전기 계장 서포트는 타 분야 보다 제작이 단순 하다 보니 타 분야 보다 현장 설치가 빠르게 이루어 진다. 따라서 일반 배관 보다는 항상 우선 적으로 설치 작업이 진행이 된다. 후 공정인 일반 배관의 설치 작업 진행 시 일반 배관이 지나 가야 할 위치에 전기 계장 배관 혹은 전기 계장 배관 서포트가 설치 되여 서 현장 수정 작업이 다수 발생한다.
또한 플랜트 공사에는 시공 도중에 기계 사향 변경 및 발주처 요구 사항 변경 등 변경 사항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변경 사항 발생 시 시공사에서는 변경 내용대로 모든 연관된 도면을 변경하여 출도 후 각 전문 분야 업체에 전달 되도록 되어 있다. 전문 분야 업체는 이러한 변경 도면을 받고 각자 해당 내용을 수정하여 작업지시를 진행한다. 시공사의 설계 담당자는 그 중 연관된 도면 중 하나를 관리 부재로 수정 누락 또는 관련 도면중 수정사항을 간과하고 출도 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배관 수정 포인트는 30개를 수정하여야 하는데 그중 28개만 수정하여 출도 경우 가 많다. 출도 시 각 전문 분야 업체들은 그 누락된 2포인트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상세 설계는 각자의 것만 하기 때문에, 철골은 철골 만 보고, 철골끼리 간섭 사항이 발생하지 않으면 철골에서는 그냥 맞다고 판단하여 시공을 진행한다. 배관은 2D로 작업하기 때문에 설치된 후에만 간섭 구간이 확인되니 사전 간섭 검토가 어려워 현장 수정 작업이 많이 발생 한단.
현장 수정 문제 들은 FCN(field Change Notice) 처리함으로써 공사 비용 증가 및 공사 공정 지연 내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동일한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모든 분야의 내용을 통합하여 가상 준공을 하고 모든 내용을 통합 적으로 관리하여 각 전문 분야 업체에서는 동일한 서류로 시공을 해야 관리 부재 상황이 완화됨으로써 공정 진행도 완화된다.
현재는 플랜트 건설의 모든 전문 분야의 공정 관리 업무를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엑셀에 전담하여 각각의 일인이 데이터 생성 및 관리를 단독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철골공정에서 업무의 협동이 안되며, 데이터를 수기로 작성관리 함으로 인한 오류 및 실시간의 공유가 어려우며, 데이터 관리는 작업자의 종이로 적은 데이터를 일일이 수기로 작성하여 일일이 옮겨 엑셀에 기입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종이 문서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데에 있어 분실 및 자료의 공유에 어려움과 종이의 과도한 사용으로 환경에 많이 좋지 않은 영향이 있다.
한편, 현재의 플랜트 건설현장에서는 통계에 대한 부분은 전무하다. 공무관리가 각 공정의 담당자에게 일일이 받아 엑셀 파일을 취합하여 취합된 자료로 엑셀의 표 만들기 또는 그래프 만들기로 작성이 되며, 실시간 업무 수행이 가능치 않아 한달에 한번 정도 작성을 하다 보니 실시간 경영 평가는 힘들고, 문제점, 및 협업이 가능하지 않으며, 가장 중요한 실행 평가가 힘들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력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날씨, 공지사항,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Dash Board화하여 사용자가 많은 Data를 일일이 찾는 번거로움을 없애며, Dash Board의 전체화면에서 각각의 통계 자료를 클릭함으로 더 상세한 Dash Board를 나타내어 주며, 깊이 들어가 Dash Board로 표현이 될 수 없을 시 각 인력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등의 최종 Data를 도표화하여 나타내 줌으로 인하여 관리의 단순화된 자료를 보며, 찾는 Data를 내부의 자료를 일일이 찾을 필요없이 한눈에 나타내어 실시간 공정 및 대응을 빠르게 실행에 옮길 수 있다.
현재의 플랜트 건설 현장에서의 업무 보고서란 아주 중요한 업무이며, 금일에 일어난 업무를 일목요연하게 작성하여 공유하기 위하여 매일 작성 보관하여야 하는 업무이나, 종이서류로 되어 있어 확인이 힘들고 작성하는 과정도 각각의 공정 담당자에게 투입인력, 인력 배치, 장비사용량, 물량 집계, 금일 작업내역, 명일 작업 내역, 특이사항 등을 직접 받아 공사 담당자가 취합을 하며 각공정의 담당자에게 메일 또는 메시지 기능으로 매일 받아야 작성이 가능 하였지만, 그 마저도 정확한 데이터가 오질 않아 문제점이 많았다.
현재의 플랜트 건설 현장에서 출고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노무자가 제품의 차량에 탑재되는 제품을 일일이 확인하고 종이서류에 작성하여 공사 담당자에게 전달하며, 공사의 담당자는 그 내용을 엑셀에 기입하고, 운송업체에게 전화를 하여 차량의 인적사항 및 제반서류를 받아 출력을 하여 운송을 하며 운송된 제품을 받는 장소에서는 종이 서류에 인수 사인을 하여 확인하고, 다시 출고된 장소의 담당자에게 종이 서류를 가져다주는 방식으로 출고를 확인하고 있다. 현재의 방식을 사용하게 될 시 차량 종이 서류 때문에 오고 가는 일이 빈번하고, 타 공정에서는 어떤 제품이 입고, 출고되었는지 모르고 찾으려면, 종이 서류를 또한 봐야 되며, 종이서류의 분실로 인한 공정간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5479호 (2014년11월26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5483호 (2014년11월26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703호 (2015년08월24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트 각 전문 분야의 설계를 통합하며, 시공과 관련 데이터를 가공, 정렬, 집합 및 2D 도면화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해당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각 전문분야의 관리자 및 실무자가 동일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수기 식 관리 등의 행위의 데이터화를 통해 다인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여 1 인이 작업을 시행하는 방식보다 작업의 혁신적인 효율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며,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전문분야업체설정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실무자단말기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설정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고, RFID 카드 정보를 관리하는 RFID부,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해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공정비율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시공계획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공사관련자료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작업완료부,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RFID정보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대시보드부 및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준공서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시공 시작 전 또는 시공 진행 중 사용될 장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장비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간, 상기 실무자단말기 간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 간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화상회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엑셀 또는 PDF로 변환하는 데이터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다운로드부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 상기 엑셀 또는 상기 PDF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은,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여,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한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되고,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플랜트 각 전문 분야의 설계를 통합하며, 시공과 관련 데이터를 가공, 정렬, 집합 및 2D 도면화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해당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의 각 전문분야의 관리자 및 실무자가 동일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수기 식 관리 등의 행위의 데이터화를 통해 다인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여 1 인이 작업을 시행하는 방식보다 작업의 혁신적인 효율이 발생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저장부가 신규 프로젝트를 추가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분야업체설정부가 신규 업체를 등록하여 저장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한설정부가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 권한을 설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Web 기능 중 공사 기본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공사 기본설정 중 철골 공정의 기본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시공계획부가 설정하는 전체 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체 계획 중 철골 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관련자료부에 의해 관리되는 공사자료 관리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철골 분야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철골 분야의 통계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전문 분야의 공정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의 철골 분야의 공정관리 대표도이다.
도 17은 철골 분야 공정관리 중 Cuttin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철골 분야 공정관리 중 원자재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철골 분야 공정관리 중 공정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철골 분야 공정 관리 중 BOM 관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철골 분야의 업무보고서의 대표도이다.
도 22는 업무보고서의 제작 일일 보고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철골 분야의 출고관리 대표도이다.
도 24는 출고관리의 제작장 출고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철골 분야 검사신청관리 대표도이다.
도 26은 원자재 검사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철골 분야 설계 대표도이다.
도 28은 제작 도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배관 분야 공정관리 대표도이다.
도 30은 철골 검사 신청 대표도이다.
도 31은 철골 분야 장비관리 대표도이다.
도 32는 장비 통합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장비 사용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1000)은, 도 1을 참조하면, 전문 분야 업체의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10), 전문 분야 업체의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20), 상기 관리자단말기(10)와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20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이하, ‘플랫폼 서버(100)’라 함)를 포함한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클라우드 서버(200)에 데이터를 송신하며, 클라우드 서버(200)는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가 설정된 권한에 따라 읽기, 쓰기 및 지우기가 가능하다.
클라우드 서버(200)와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플랫폼 서버(100)를 통해 서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플랫폼 서버(1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플랫폼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플랫폼 서버(100)와 클라우드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플랫폼 서버(100)는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은 회원관리, 프로젝트관리, 업체관리, 권한관리 등 기능을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은, 범용의 3D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3D 프로그램을 통해 건설용 2D 도면을 LOD 400 까지 통합 설계한 후 그 시공 관련 데이터를 가공, 정렬, 집합 및 2D 도면화(이하, ‘가공 등’이라 함)하며, 가공 등을 한 데이터를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에 자동 업로드 및 저장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가공 등을 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로 제공한다. 이때 플랫폼 서버(100)는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로 Web 및 Mobile 용 앱을 통해 가공 등을 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Web에서는 회원가입, 기계관리, 철골관리, 토목관리, 배관관리, 비계관리, 전기계장관리 품질서류관리, 공사 기본설정, 공사 계획, 공사자료, 장비관리, 화상회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Mobile 용 앱에서는 Web과 비교하여 공사 기본설정 및 공사 계획을 제외한 회원가입, 기계관리, 철골관리, 토목관리, 배관관리, 비계관리, 전기계장관리 품질서류관리, 공사자료, 장비관리, 화상회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는, 건설용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101);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02);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및 상기 실무자단말기(20)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설정부(104);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고, RFID 카드 정보를 관리하는 RFID부(105);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한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공정비율부(106);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시공계획부(107);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는 공사관련자료부(108);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작업완료부(109);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는 RFID정보부(110);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대시보드부(111); 및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준공서류부(1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생성부(101)는,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며,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 및 가공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생성부(101)가 작업 및 가공하여 생성하는 데이터는, 플랜트 건설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LOD 400까지 작업하여 관련 제작 Data 및 2D 제작 도면을 추출한다. 설계 내용에 따른 LOD 단계는 다음과 같다. 플랜트 건설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토목 설계는 LOD 400, 기계 형상 설계는 LOD 200(기술기밀 문제 때문에 400단계까지 안됨), 철골 설계는 LOD 400, 배관은 LOD 400, 배관서포트는 LOD 400, 배관 및 철골 설치용 비계는 LOD 400, 전기계장 배관은 LOD 400, 전기계장 배관 서포트는 LOD 400, 안전 관리 용 센서는 LOD 400까지 작업 및 가공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생성부(101)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 정렬, 집합 및 2D 도면화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저장부(102)가 신규 프로젝트를 추가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데이터저장부(102)는 데이터생성부(101)가 생성한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한다. 한편, 데이터저장부(102)는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클라우드 서버(200)를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02)는 전술한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규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클라우드 서버(200)를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도 3을 참조하면, 신규 프로젝트를 추가하고, 해당 전문분야 업체를 지정한 후, 구축한 서버의 IP를 지정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02)는 신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가 신규 업체를 등록하여 저장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는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저장부(102)가 생성한 데이터에 따른 신규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한다.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는 전술한 컴퓨터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업체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할 수 있다.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는 신규 업체를 등록하여 저장한다.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가 등록 및 저장한 신규업체는 데이터저장부(102)가 신규 프로젝트를 추가한 후 해당 전문분야 업체를 지정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한설정부(104)가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 권한을 설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권한설정부(104)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및 상기 실무자단말기(20)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한다. 권한설정부(104)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권한관리 기능을 통해 각 전문분야 업체의 관리자 및 실무자의 각각 쓰기/읽기/지우기 권한을 설정한다. 권한설정부(104)가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게 설정하는 권한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 되고. 권한을 설정할 때에는 그룹식으로 권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전문 분야의 작업자는 타 전문 분야 공정내용의 오 체크를 방지 하기 위한 기능이다.
RFID부(105)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고, RFID 카드 정보를 관리한다. RFID부(105)는 관리자 및 실무자 별 RFID 카드를 링크를 하여 RFID 카드를 각각 부여한다.
도 6은 Web 기능 중 공사 기본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공사 기본설정 중 철골 공정의 기본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정비율부(106)는,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해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한다. 공정비율부(106)는 전술한 Web 기능 중 공사 기본설정을 통하여 각 전문분야의 통계를 위한 각 공정별 비율 설정 및 시공 중 각종 전문 분야에 맞게 필요한 내용을 설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Web 공사 기본 설정에서 각 전문 분야의 업체는 해당 권한을 부여된 페이지에 진입하여 통계를 위한 각 상세 공정별 비율을 기입을 한다. 또한 통계를 작업 Stage별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는 작업 Stage명칭을 기입한다. 또한 시공 중 검사위치 명칭 및 site(설치현장) 및 야적장 명칭을 필요 한 대로 기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명칭을 저장하는 목적은 시공 중 각종 보고서 생성시 그 명칭을 일일이 타이핑하여 기입하는 게 아니라 선택방식으로 작업 진행시에는 오타 없이 가장 정확한 보고서 자동 생성을 위한 기능이다.
한편, 공사 기본설정은 프로젝트 기본 상황, 토목 기본 설정, 철골 기본 설정(도 7 참조), 기계 기본 설정, 배관 기본 설정, 배관 서포트 기본 설정, 전기 계장 기본 설정(전기 계장 서포트 포함), 비계 기본 설정, 검사 별 기본 설정을 포함한다.
도 8은 시공계획부(107)가 설정하는 전체 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전체 계획 중 철골 계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시공계획부(107)는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시공계획부(107)는 전술한 Web 기능 중 공사 계획을 통하여 각 전문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한다.
공사 계획은, 전체 계획을 포함하며, 전체 계획은 토목 계획, 철골 계획, 기계 계획, 배관 계획, 서포트 계획, 전기 계장 계획(전기 계장 서포트 포함), 비계 계획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체 계획은 각 전문 분야에서 시공 계획을 설정한 후 <신규 계획 생성> 버튼을 클릭 하면 자동으로 최신 계획이 생성된다. (시공 중 계획은 변수 사항이 이루어지는 대로 변화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각 전문 분야의 계획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전문 분야 업체는 프로젝트 공사를 시공 계약을 했을 경우에는 각자 시공 계획을 작성하게 되어 있다. 해당 프로젝트 관리자는 이러한 계획으로 공사 준공 일정을 관리한다. 각 전문 분야 업체는 공사 시공 계약 시 물량을 본 공사 계획의 해당 위치에 기입하여 계획의 월별, 주별, 일별 선택하여 원하는 대로 시공 계획을 설정하여 완료 버튼을 클릭 시 해당 설정 계획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이 된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내용으로 상기 <전체 계획>이 생성 된다. 또한 이러한 각 전문 분야 업체의 상세 계획을 기입함으로써 통계에서의 계획과 현황이 매일 비교가 된다. 따라서 해당 프로젝트 관리자는 공사 준공 관리하기에 편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관련자료부(108)에 의해 관리되는 공사자료 관리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사관련자료부(108)는,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한다. 공사관련자료부(108)는, 프로젝트의 각종 주의사항 및 시공 중 각종 공사 관련 자료를 Web 공사자료 기능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한다.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는 각자 시공 시 필요한 자료를 업로드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한다.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는 설정된 권한에 따라 읽기, 쓰기 및 삭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공사 관련 자료는 공무 자료, 공사 자료, 품질 자료, 자재 자료, 일반 자료를 포함한다.
작업완료부(109)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에 의해 입력된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각 전문 분야의 실무자는 부여된 권한 한에서 Web 또는 Mobile을 통해 작업 완료 체크를 하여 공정 진행 상황이 클라우드에 저장된다.
도 11은 철골 분야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철골 분야의 통계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문 분야의 공정 관리 예시로서 도 11에 도시된 철골 분야의 공정 관리는, 통계, 근태관리, 인력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업무보고서, 출고관리, 검사신청, 설계, Rev(수정)관리, 업로드 요청을 포함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철골 분야의 통계 이미지를 통해 전문 분야의 통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시보드부(111)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한다.
대시보드부(111)는 인력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날씨, 공지사항의 Dash Board화하며 실시간 최신 Data로 표현하여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대시보드부(111)는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Dash Board화하여 전체화면에서 각각의 실시간 통계 자료를 클릭함으로 더 상세한 Dash Board를 나타내어 주며, Dash Board로 표현이 될 수 없을 시 각 인력관리, 장비관리, 공정관리 등의 최종 Data를 도표화하여 표현해 줌으로 인하여 관리의 단순화된 자료를 보며, 찾는 Data를 내부의 자료를 일일이 찾을 필요없이 한눈에 나타내어 실시간 공정 및 대응을 빠르게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철골 주간 작업량은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실무자단말기(20)가 Web, Mobile 용 앱에서 작업완료 체크하면 작업완료부(109)에 의해 주간 단위 별로 자동으로 계산하여 통계에 표현된다. 공사 진행 시 특이 사항 빨간색의 원에 표시가 됨으로써 플랜트 관리자는 어떠한 특이사항이 발생하였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플랫폼 서버(100)는 작업완료부(109) 및 대시보드부(111)에 의해 클라우드에서 집합된 Data 로 자동 취합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Dash Board화 및 4D BIM으로 표현한다.
RFID정보부(110)는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한다. 부여된 RFID 카드로 공구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를 RFID 리더기로 체크하여 모든 관련 Data를 클라우드에 저장한다.
RFID정보부(110)는 각 전문 분야 업체의 관리자 및 실무자에 부여된 RFID 카드로 출퇴근 전용 RFID 리더기 근처에 접근하면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카메라 기능이 작동 되어 사진을 촬영한 후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해당 RFID 카드의 링크된 사용자의 출퇴근 기록이 되고, 사진은 관련 자료로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되며 언제든지 이미지 형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RFID정보부(110)는 근태 관리 Data로 각 상세 공정별 투입 인원 취합 및 합산 하여 표현한다. 또한 해당 투입 인원의 각종 증명서류 및 국자 자격증도 관리할 수 있다.
도 16은 전문 분야의 공정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의 철골 분야의 공정관리 대표도이고, 도 17은 철골 분야 공정관리 중 Cutting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철골 분야 공정관리 중 원자재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철골 분야 공정관리 중 공정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철골 분야 공정 관리 중 BOM 관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철골 분야의 공정관리는 Cutting, 원자재관리, 공정체크 및 BOM관리를 포함한다.
Cutting은 도 17을 참조하면, 데이터저장부(102)가 클라우드 서버(200)에 Data를 저장 완료 후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로스율이 최소화된 Cutting Plan를 자동 취합 및 계산하여 자동으로 list 생성한다.
원자재관리는 도 18을 참조하면, Cutting Plan을 이용하여 원자재 발주를 진행하여 원자재 입고까지 관리할 수 있다.
공정체크는, 도 19를 참조하면, 데이터생성부(101)가 생성한 데이터 중 철골 제작 관리 assembly List를 표현하며 시공 실무자단말기(20)는 해당 부재 번호에 완료 체크 하면 클라우드 서버(200)에 작업자, 작업일이 자동으로 저당되며, 실무자는 체크 완료 동시에 통계의 Dash Board에 자동계산 하여 통합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ssembly 란 가공된 수많은 단품을 조립 및 용접하여 한 개 부품으로 작업된 부품을 말한다.
BOM(Bill of material)관리는, 도 20을 참조하면, 데이터생성부(101)가 생성한 데이터 중 모든 품목에 대해 상위 품목과 부품의 관계와 사용량, 단위 등의 List 표시하며 assembly 중 Cutting 가공과 Plate 가공 완료 체크하면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되고 동시에 assembly 작업을 위한 단품 준비가 완벽하게 되였는지 자동 판단을 하여 표시한다.
도 21은 철골 분야의 업무보고서의 대표도이고, 도 22는 업무보고서의 제작 일일 보고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업무보고서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플랜트 건설의 시공 진행중의 업무보고서는 크게 2가지로 제작 장 업무보고서 와 설치 현장 업무보고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보고서를 일일 업무보고서, 주간 업무보고서, 월간 업무보고서 로 작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보고서는 일일 보고서 자동 생성하는 기능이다. 그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해당 권한을 부여된 작업자는 업무보고서의 신규 작성 버튼을 클릭 시 금일작업 내용 기입란, 명일 작업 기입란, 특이 사항 기입란 3가지 내용에 작업내용을 기입하여 저장 하면,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되고, 클라우드 서버(200)에서는 자동으로 인력관리 기능으로 취합 및 합산한 인력 Data, 장비관리 기능으로 취합 및 합산 장비 사용 등록된 Data, 공정관리 기능에서 공정 완료 체크한 Data 기반으로 공사기본설정 기능의 각 상세 공정 비율로 자동 계산 한 Data 및 공사 계획 기능으로 생성된 계획 Data, 상기 모든 Data를 통합 사용하여 가장 정확하고 디테일한 업무보고서 가 자동 생성 된다. 또한 이미지 업로드 기능도 포함한다. 작업자는 해당 작업 사진을 카메라 로 촬영하여 당일 작업 자진을 업무보고서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엑셀다운 기능도 있다. 제작 일일 보고서와 설치 일일 보고서의 기능은 동일 하다.
도 23은 철골 분야의 출고관리 대표도이고, 도 24는 출고관리의 제작장 출고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철골 분야 출고관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플랜트 건설의 철골제품은 제작 완료 후 부식 방지를 위하여 도장 작업을 한다. 이러한 도장 작업은 전문 도장 작업 업체가 있으므로 철골제작 업체에는 제작 완료 후 제작장에서 출고하여 도장 작업 업체로 입고 하여 도장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장 작업장에 입고하여 해당 도장 작업을 완성한 후 출고하고 설치 현장으로 입고하여 설치 작업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제품이 출고 시 packing list를 통화여 출입관리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고 관리 기능은 Packing List를 공정관리의 실무자 작업 완료 체크한 Data와 연동되며 해당 출고 완료 가능한 제품만 자동 산출하여 출고할 수 있는 부재를 선택하여 저장 하면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됨 과 동시에 Packing List 자동 생성한다.
또한 Packing List 작성 시 운송 차량 기입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관리 중 운송장비 관리를 통하여 버튼 하나로 운송 차량을 선택하여 Packing List에 기입된다. Packing List 가 생성되면, 해당 차량은 입고 장소에 도착 시에는 해당 작업자는 출고 관리 화면에 진입하고 해당 Packing List를 확인하여 인수 체크와 동시에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다.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Data는 통계의 Dash Board에도 통합 데이터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Packing List로 출고와 입고를 클라우드에 저장된다. 또한 이미지 업로드 기능 및 엑셀 다운 기능도 포함 된다.
도 25는 철골 분야 검사신청관리 대표도이고, 도 26은 원자재 검사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철골 검사 신청은, 원자재 검사, 도장 검사, Visual Insp 검사, NDE 검사, 볼트 체결 검사, 수직도 검사, 최종 검사, 기타 검사를 포함한다.
모든 건설에는 각 공정별로 상세한 검사를 진행하고 검사 통과하여야 다음 공정이 진행된다. 또한 이러한 검사진행 내용을 문서화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의 검사진행시 필요한 검사 신청서를 출고관리와 동일한 기능으로 공정관리의 실무자가 작업 완료 체크한 Data와 연동이 되여 해당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부재만 산출하여 버튼 하나로 검사 신청서를 생성한다. 생성된 각 검사 신청서를 기준으로 하여 각 검사업체들은 제품의 검사를 진행하고 그의 검사 결과를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검사 결과 체크 후 통과한 제품은 후 공정이 진행되고 미 통과한 제품은 수정작업 혹은 재작업으로 공정관리 화면의 작업현황에 표시된다. 또한 이미지 업로드 기능 및 엑셀 다운 기능도 포함 된다.
도 27은 철골 분야 설계 대표도이고, 도 28은 제작 도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설계관리는 데이터생성부(101)가 생성한 제작 Data 및 2D 제작 도면을 취합하여 압축 한 파일을 다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설계관리 중 3D 모델링은 BIM 프로그램으로 가상 준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을 다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3D 모델링 파일은 클라우드 서버(200)의 모든 Data와 연동이 되여 4D 모델링으로 확인도 가능하다.
철골 분야 REV(수정)관리와 관련하여, 플랜트 건설 시공 시 기계사향 변경 및 발주처 요구 사항 변경 내용이 발생 시에는 제작 Data 및 관련 2D 제작 도면을 수정하여 제작 수정 또는 신규 제작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정 작업 후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여 REV 화면 창에 list 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수정 내용을 클라우드 서버(200)에는 저장함과 동시에 클라우드 서버(200)에서는 수정 내용을 기존 Data 와 자동 비교하여 폐기해야 할 제품 과 수정해야 할 제품을 및 신규 제작해야 할 제품, 폐기 자재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제품 등을 자동 판단하여 List 화하여 표현한다.
철골 분야 업로드 요청과 관련하여, 플랜트 건설 시공 진행 시 설치 현장 조건에 따라 도면에 관해 상의할 수 있는 경우도 다수 발생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 현장 관리자는 공사감독관과 상의를 하여 준공 일정을 맞추기 위하여 설치 현장에서 처리조치 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한다. 이러한 내용을 설치 현장 관리자는 기존 도면을 수기로 수정하여 업로드 요청 창에 변경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내용을 확인 후 수정 작업 후 철골 분야 REV(수정)관리를 통해 작업이 진행된다.
준공서류부(112)는,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한다. 준공서류부(112)에 의한 준공서류 생성에 의해 공사 준공의 마무리 작업 이 된다. 준공 서류 생성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모든 관련 Data를 취합 및 목록을 생성하여 해당 목록의 파일을 목록 List에 링크, 디지털화 하여 자동 생성 및 쉽게 원하는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도 29는 배관 분야 공정관리 대표도이고, 도 30은 철골 검사 신청 대표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배관 분야 공정관리는, Cutting, 원자재관리, Welding Log, Punch, 보온 log, Paint Log, Hydro Log, BOM 관리를 포함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철골 검사 신청은, 원자재 검사, 도장 검사, 전 열처리, 후 열처리, Rt 검사, Ut 검사, Pt 검사, Mt 검사, Pmi 검사, 경도 검사, Hydor 검사, 최종 검사, 기타 검사를 포함한다.
도 31은 철골 분야 장비관리 대표도이고, 도 32는 장비 통합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3은 장비 사용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플랫폼 서버(100)는 장비관리부(113)를 더 포함한다. 장비관리부(113)는,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시공 시작 전 또는 시공 진행 중 사용될 장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여, 시공 시 장비에 대한 검토 및 관리를 제공한다. 플랜트 공사의 장비는 크게 중장비, 운송장비 및 작업(공구)장비인 3가지로 나누어 진다. 각 플랜트 시공 업체 및 장비업체에서 시공 시작 전 또는 시공 진행 중에 각종 장비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시공 시 쉽고 빠르게 관련 자료를 검토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작업(공구)장비 같은 경우에는 재사용 가능 공구들은 RFID를 부착하여 해당 공구를 등록하여 시공 중 공구 반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장비관리부(113)의 공구 반출입관리는 RFID 카드가 부착되어 있는 공구를 RFID 리더기를 통하여 공구를 인식한 후 관리자 또는 실무자의 RFID 카드를 리더기를 통하여 인식되면 해당 RFID 카드를 소지한 관리자 또는 실무자는 해당 공구를 반입 혹은 반출 기록으로 클라우드 서버(200)에 자장 되면서 공구 반출일 관리한다. 관리자는 각종 장비 Data 중 당일 사용된 장비를 장비 사용을 등록한다. 장비 사용 등록 작업이 진행된 동시에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자동으로 취합 및 통합이 되므로 통계의 Dash Board에도 통합 데이터가 확인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화상회의부(114)를 더 포함한다. 화상회의부(114)는 관리자단말기(10) 간, 실무자단말기(20) 간 또는 관리자단말기(10)와 실무자단말기(20) 간 화상통화를 제공한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화상통화를 통한 화상회의를 위해 회의 참석자의 음성 레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음성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음성감지센서는 입력되는 음성 및 음성 레벨을 감지하여 일정시간 동안 일정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의 음성 레벨이 감지될 경우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소유자가 회의에서 발언을 시작 또는 종료한 것으로 자동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화상회의부(114)는,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 음성, 영상 및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발언 시작/종료 이벤트 정보, 참석자의 입장/퇴장 이벤트 정보, 프리젠테이션 페이지 전환 이벤트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로부터 추출한 키워드 정보를 출력하고 이벤트 정보들을 이용하여 회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회의록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참석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구비한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화상회의부(114)와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화상회의부(114)는 음성 녹취록 파일 및/또는 회의록을 작성하기 위한 회의록작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각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 입력되는 음성 및 음성 레벨을 감지하여 일정 레벨 이상 또는 이하의 음성 레벨이 감지될 경우, 각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소유자가 회의에서 발언을 시작 또는 종료한 것으로 자동 인식되도록 이루어진다.
각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마이크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A/D 컨버팅되면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토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각각의 음성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마이크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높은 음성 레벨이 발생하거나, 유효한 정보가 없는 음성 레벨일 경우 단말의 소유자가 발언을 시작한 것으로 오인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각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적소에 음성 레벨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음성 감지센서가 포함된다.
더불어, 각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소정위치에 소유자가 발언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종의 이유로 높은 음성 레벨이 감지된 경우 이를 단말의 소유자가 발언을 시작한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오인 감지센서가 포함된다.
각각의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각 회의 참석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음성 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성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이면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소유자가 회의에서 발언을 시작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일정 시간 동안 일정 레벨 이하이면 발언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한다.
회의록작성부는 이들 참석자가 소유한 각각의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가 보낸 음성 정보를 발언시간 정보에 따라 시간의 순서대로 정렬한다.
한편, 두 명 이상의 참석자가 동시에 발언할 경우 두 음성 데이터가 겹치는 시간의 구간이 발생되며, 발언을 하지 않을 경우 음성 데이터가 없는 시간의 구간이 발생되기도 한다. 회의록작성부는 각 참석자의 발언을 정렬된 음성 정보로 통합하여 하나의 음성 녹취록 파일로 생성한다.
이렇게 여러개의 분산된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의 마이크로부터 추출된 음성 정보를 통해 생성된 음성 녹취록 파일은 회의장의 특정 지역에 설치된 단일 마이크를 통하여 추출된 음성 정보만으로 생성된 음성 녹취록 파일에 비하여 각 발언자의 발언을 보다 선명하게 녹음 및 녹취할 수 있게 된다.
회의록작성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 녹취록 파일에는 음성이 수록되어 있다. 회의록작성부는 음성 녹취록 파일에 수록된 음성을 처리하여 텍스트화 하고, 텍스트를 분석하여 회의록을 작성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엑셀 또는 PDF로 변환하는 데이터다운로드부(115)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다운로드부(115)는,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로 상기 엑셀 또는 상기 PDF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제공한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은,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10),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20), 상기 관리자단말기(10)와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20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로부터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가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여,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가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01),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가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는 단계(S102),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한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단계(S103), 상기 관리자단말기(10)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에게 RF ID 카드를 부여하는 단계(S104),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한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S105),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S106), 상기 관리자단말기(10)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는 단계(S107),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여 저장되고, 상기 실무자단말기(20)가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하는 단계(S108),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단계(S109) 및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100)가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각 단계에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단계 외에도, 전술한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이 포함된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플랜트 공사 관련 전문 분야는 기계, 철골, 토목, 배관, 배관 서포트, 전기계장, 전기계장 배관, 전기계장 배관 서포트를 포함한다.
플랜트 공사는 기계 위주로 하여 모든 내용이 이루어진다. 기계 설치 위하여 철골 구조물이 설치된다. 철골설치를 위하여 토목 공사를 진행한다. 기계와 기계 또는 기계와 용기 탱크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배관을 설치한다. 배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배관 서포트 설치한다. 배관과 철골 설치 시 안전작업을 위하여 비계를 설치한다. 기계를 작동하기 위하여 전기계장을 시공한다. 전기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기 계장 배관을 설치한다. 전기계장 배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기 계장 배관 서포트를 설치한다.
3D BIM LOD(Level of Detail or Development)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OD 100은 Conceptual design (개념설계) 이다. LOD 100은 개념설계 (스케치) 단계에 적용하는 단순 외형의 모델링으로 수량산출 및 간섭체크 등을 하지 않는다.
LOD 200은 Schematic design or design development (기본설계) 이다. LOD200은 전체적인 형상 간섭 체크 가능하고 개략적 수량 산출가능하다.
LOD 300은 Traditional construction documents and SHOP Drawing (실시설계) 이다. LOD300은 실시설계 모델링 수준으로 외부 형상 및 내부 형상을 모두 모델링하여 각종 물리적 간섭 확인 및 견적을 위한 수량산출이 가능하다.
LOD 400은 For fabrication and assembly (시공상세도) 이다. LOD400은 모델을 보고 실 시공이 가능하며, 현장 SHOP-dwg에 준하여 세부적 모델링의 실시가 가능하다.
LOD 500은 For as-built conditions (유지관리용 도면) 이다. LOD500은 실제 시공이 발생한 모든 객체를 세부 모델링하며, 각 설계 및 시공 관련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유지 관리자가 모델에서 건설 관련 정보 모두 파악가능하며, 관리 내용을 추가 기록할 수 있는 수준이다.
본 명세서에서 4D는 ‘3D + 시간’을 의미한다.
안전관리 용 센서는, 3D 설계할 때 안전 관리 센서 위치 및 정보를 설계에 포함하여 해당 제품에 안전 관리 센서 및 카메라를 설치하여 실무자의 안전장비 착용, 안전작업 기준 준수 및 안전 작업 공간확보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단말기(10) 및 실무자단말기(20)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등 유선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은,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단말기(10), 실무자단말기(20), 플랫폼 서버(100) 및 클라우드 서버(200)(200)는 각각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생성부(101), 데이터저장부(102), 전문분야업체설정부(103), 권한설정부(104), RFID부(105), 공정비율부(106), 시공계획부(107), 공사관련자료부(108), 작업완료부(109), RFID정보부(110), 대시보드부(111), 준공서류부(112), 장비관리부(113), 화상회의부(114), 데이터다운로드부(115)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최근의 건설 산업은 체계적인 건설 시스템과 3차원 기반 기술이 급격히 발전을 하였고, 건물 정보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트윈을 위한 건물 데이터 자산화가 더욱 더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젠 건설 산업에서 3차원 건물 형상을 가상으로 건설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을 넘어 실제 건축물의 정밀한 위치 정보와 시공 오차까지 반명 된 As-Built-BIM 데이터의 유효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방식으로는 불가능했던 As-Built-BIM이 다양한 고정밀 3차원 스캐닝 장비들로 복잡한 비정형 건축물도 실제 시공 현장을 반영된 As-Built-BIM으로 구체화 시킬 수 있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생성부는, 관리자단말기 또는 실무자단말기로부터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여,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생성부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BIM에서 더욱 더 심화된 As-Built-BIM으로 데이터를 더 구체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생성부가 데이터를 생성할 때, BIM의 LOD 뿐만아니라, 모델링 정확도를 의미하는 LOA(Level of Accuracy)를 복합적으로 함께 이용하여 As-Built-BIM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생성부의 비정형 건축물 관리 및 분석을 위한 As-Built-BIM의 구축 과정 정리를 위해 BIM의 모델링 심화 단계를 설명하고, As-Built-BIM 데이터의 단계별로 서술 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BIM 모델링의 심화 단계 등은 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BIM
BIM은 디지털로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정보를 담은 “3차원 모델”을 구현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특히 BIM의 핵심요소는 정확한 시공 정보를 담는 기술이며, BIM으로 건축 설계 정보를 생애 주기별로 데이터들을 정제 시켜서, 사업 단계별로 실무자들에게 정보가 공유되는 것이 성공적인 BIM의 목적이 된다.
BIM의 심화 단계 LOD (Level of Development)
BIM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BIM의 심화 단계 LOD(Level of Development)로 BIM 가상 형상을 건설의 과정에 따라 정보의 단계들을 정리 할 수 있다. BIM의 심화단계 LOD는 본래 정밀한 시설물 관리와 물량산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상세단계라고 불리는 ‘Level of Detail’에서 발전된 시스템이다. BIM에서 형상 정보뿐만 아니라 비형상 정보들 관리를 위한 ‘Level of Inform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LOD는 ‘Level of Detail’과 ‘Level of Information’이 합쳐져서 발전 되었다. 그러므로 BIM의 심화 단계 LOD는 건물의 형상과 정보가 융합된 형태로, 프로젝트관련 실무자들이 설계 및 시공 과정에 맞추어 명확한 건설과 건설 관리를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BIM의 심화 단계 LOD들은 시공 과정에 따라 크게 여섯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 LOD 100 : 기획설계 Pre-Design Stage
- LOD 200 : 개념설계 Schematic Design Stage
- LOD 300 : 기본설계 Detailed Design Stage
- LOD 350 : 실시설계 Construction Documentation
- LOD 400 : 시공감리설계 Construction Stage
- LOD 500 : 유지관리 Facilities Management Stage
LOD 100 : 기획설계 Pre-Design
LOD 100 단계의 BIM은 사업 착수를 준비하기 위해 사업성 검토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모델은 건물의 제일 기본적인 정보들을 담은 형태이다. 이시기에는 사업의 방향성을 정의하고, 사업에 관련된 계약들을 위해 사업 자금을 확보하고 단계이다.
이 단계의 BIM 모델은 사업 대상 대지에 대한 이해를 위해 지적도, 도시계획도, 측량도 같은 거시적인 자료들을 담으며, 모델에 상세한 정보를 담고 이 단계에서 앞서 설계를 시작하기보다는 사업의 본질과 내용 파악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축적하는 형태로 모델을 구축한다. 보편적으로는 복잡하고 규모가 큰 사업일수록 일찍 사업 관련 업체들을 계약하여 협의된 BIM 모델을 구축시키는 것이 권해지며, 이 시기에 핵심 정보들이 많이 공유될수록 사업의 다음 단계가 순조롭게 진행될 확률이 높아진다.
LOD 200 : 개념설계 Schematic Design
LOD 200 단계의 BIM은 건축주 혹은 사업주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건물 설계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BIM에는 사업의 의도와 설계 개념이 담겨있어야 하며, 건축, 구조, 재료, 설비 등 총체적인 정보들이 협의되고 결정될 수 있게 BIM의 정보들이 정리되는 단계이다.
보편적으로, 이 단계에서 정식 도면들이 작성되기 시작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BIM의 3차원 형상으로 추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홍보 및 선전용 조감도들을 만들기도 한다.
LOD 300 : 기본설계 Detailed Design
LOD 300 단계의 BIM은 개념설계를 발전시켜 실시설계로 넘어가는 과정의 BIM이다. 개념설계에서 협의된 결과들을 세세하게 정리하며, 건물의 형상과 자재들에 대한 정보들이 정해지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세부적으로 정해진 3차원 형상과 시스템이 정해지기 시작하며, 이후로는 외부설계에 큰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 BIM은 자재들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수량의 정보들이 확정되기 시작하며, BIM으로 구조, 배관, 전기, 난방, 환기, 에너지 분석 및 기타 시스템들의 정보가 협업 사들에게 서로 자주 공유 되는 것이 바람직한 BIM 업무 방식이다. 이 단계가 완료된 BIM은 설계가 구체화되며, 물량의 추정치 정보가 확립되어 대체적인 사업비용을 파악 할수 있게 된다.
LOD 350 : 실시설계 Construction Documents
LOD 350 단계의 BIM의 큰 두 가지의 목적은 도시와 당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위함이 있고, 아직은 가상의 형상인 건물을 실제로 건설하기 위한 공사용 BIM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래서 BIM을 허가용 BIM과 공사용 BIM으로 분리 시켜서 업무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 단계의 BIM은 건축에서 구축한 상세 설계 BIM, 토목 설계 BIM과 구조 설계 BIM이 연결된(Linked) 상태로 구성된다.
이 단계의 BIM을 구성할 때에 서로 다른 형식의 BIM형상들이 하나로 합쳐지거나 연결이 되기 때문에 형상 간에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 세밀한 검토과정이 요구된다. 이 단계에서 출력되는 도면들은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지기에, BIM 형상이 건축법에 준수하게 형성 되어야한다.
LOD 400 : 시공감리설계 Construction Stage
LOD 400 단계의 BIM에서는 형상이 건설되는 대로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의 BIM은 수량, 크기, 모양, 위치 및 방향뿐만이 아니라 제조, 조립 및 상세 도면이 포함된다.
이 단계에서 BIM으로 형성한 가상의 형상이 현실에 최대한 밀접하게 건설되어야 공사 기간이나 추가 공사비가 발생하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 이 단계에서 BIM은 형상이 정밀해야 효과적이며, 사업에 따라서 시공 오차가 3-4mm 이내여야 하는 프로젝트들도 있기에 토탈 스테이션과 3D 스캐너 같은 3차원 정밀 측량장비들이 동원되기도 한다. 이 단계에서 BIM의 가상의 형상이 현실에 최소한의 오차로 건설되는 위해서는 시공사와의 협조와 원활한 협의가 이루어져야하며. 이 단계에서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BIM을 기반으로 실시간에 가까운 건설 관리와 생장형 건설 운영을 시스템으로 구축하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과 가까운 BIM이 된다. 아직은 BIM으로 시시각각 발생하는 변수들에 모두 반응하고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은 어렵지만, 중요한 공정 과정별로 As-Built-BIM을 구축하여 LOD 400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확하고 정밀한 제조 및 조립을 진행할 수 있다.
LOD 500 : 유지관리 Facilities Management Stage
LOD 500 단계의 BIM은 건설 후 효과적인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위한 필수 정보들을 파악하여 BIM을 강력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LOD 500 BIM의 핵심이다. 이 단계에서 건축주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정보들만 추출하여 효율적인 공간 사용과 기계설비 운영을 실시간 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하면 디지털 트윈이 된다.
이 단계에서 구조체 안전 관리 및 유지관리 정보를 시스템화 시키고 실황 계측 센서로 구조체 위험신호 감시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을 구축하면 SHM(Structural Health Monitoring)이 된다.
건물이나 시설물의 대대적인 보수 보강이 필요한 시점이 되면 건축물의 시공 오차까지 반영된 As-Built-BIM을 구축하게 된다. 많은 이들이 LOD 500단계를 As-Built-BIM이라고 알고 있는데, As-Built-BIM이 LOD 500에 포함된 개념이거나 국한된 명칭은 아니다. 앞선 LOD 단계들에서 As-Built-BIM이 구축되어 효율적인 시공을 진행하는 경우들이 흔하며, 앞서 효율적으로 구축된 As-Built-BIM을 활용하면 전반적인 프로젝트의 효율이 상승한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 속해있는 BIM을 As-Built-BIM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오해이다.
As-Built-BIM과 모델링 정확도 LOA (Level of Accuracy)
BIM이 단순한 3차원 비정형 설계 수단이 아니라 효과적인 건축물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써 사용이 되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BIM 구축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전체적인 건물 수명주기 연장, 비용 관리를 포함한 지원 절차 효율화, 건설 현장 관리, 시설 운영 관리에 사용될 수 있는 실존적인 데이터베이스가 형성이 될 수 있다. 부분적이거나 일시적인 As-Built-BIM 구축도 가능하기에 필요에 따라서 유연하게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이 현명한 BIM 운용방식이다. As-Built-BIM는 실제 건축물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시공 오차까지 반영이 된 BIM을 뜻하지만, 시공 오차는 언제나 존재한다. 고정밀 3차원 스캐너를 사용하여 As-Built-BIM을 구축하더라도 시공 오차와 설계 데이터 오차의 간극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어느 정도까지의 정밀하고 정확하게, 어느 정도의 정밀도 단계 LOA를 사용하여 BIM을 구축할지 사전에 협의가 필요하다.
As-Built-BIM의 정밀도 (Accuracy and Precision)
As-Built-BIM의 모델링 정확도 LOA (Level of Accuracy)를 이해하고 실용하기에 앞서 데이터의 정확도와 정밀도(Precision and Accuracy)의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모두가 정밀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원하지만, 현실적으로 아무 오차 없는 완벽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는 없다.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날씨와 온도 그리고 바람과 같이 환경적인 오차는 항상 존재하며, 아무리 고사양의 측량기를 사용하더라도 기계적 오차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계측 상황과 사용된 기계에 의해서 취득한 데이터는 정밀하지만 정확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평균적인 데이터는 정확하지만 정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As-Built-BIM의 모델링 정확도 LOA를 알맞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밀도(Precision)와 정확도(Accuracy)의 이해가 필요하다.
데이터의 정밀도(Precision)
정밀도(Precision)는 반복재현성(Repeatability) 이라고 하며, 측정을 반복 했을 시 얼마나 비슷한 수치가 일관성 있게 측정되는지를 뜻한다. 정밀하게 취득된 데이터란, 측정된 데이터들이 얼마나 조밀하게 분포되어있는지를 말하며, 목표하는 실제 치수와의 관계는 거의 무관하다. 각각의 측정된 데이터들이 이루는 유사성의 정도가 정밀도의 척도이다. 예시로 10.0mm를 측정한다고 하였을 시 측정값이 11.2mm, 11.3mm, 11.2mm, 11.3mm으로 나오는 것이 결과 값이 10.1mm, 10.3mm, 10.1mm, 9.8mm인 것보다 더 정밀한 측정이다. 정밀하나 실제 수치와 벗어나 치우쳐져 있는 경우는 측량 방법이나 기계의 보정을 통해서 원하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데이터의 정확도(Accuracy)
정확도(Accuracy)가 높은 데이터는 값의 치우침(Bias)이 적고 목표하는 실제 수치와 가까운 값들이 측량들이다. 즉, 정확도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나타내며, 3차원 스캐너 사용 시 취득한 점 구름 데이터가 실존하는 형상과 얼마나 가깝게 분포하는지를 의미하기에 As-Built-BIM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척도이다. 정확도가 높은 기계는 데이터가 방대할수록 실제 현상과 비슷해지기에, 3차원 스캐너로 가능한 많은 데이터를 취득할수록 실제 형상과 비슷한 PCD를 얻을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 데이터 취득할 때 중요 구간은 시간을 더 할애하여 더 많은 PCD를 꼼꼼하고 조밀하게 취득하여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여 실제와 더 가까운 As-Built-BIM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모델링 정확도 LOA (Level of Accuracy)
정확도는 측정된 수치의 실제 수치(True value)와의 차이의 편차를 말한다. 즉, 모델링 정확도 LOA는 가상 형상이 얼마나 실제 형상에 가깝게 구축이 되었는지를 뜻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시 요구 상황에 따라 가상 형상을 얼마나 실제 수치와 똑같이 구축할지 분명하게 정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프로젝트 작업자들이 통일된 정보를 공유하며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하다. 미국 건설 문서 협회(USIBD)에서는 모델링 정확도 LOA를 다섯 가지의 단계로 정의한다.
- LOA10 오차율 50mm 이상
- LOA20 오차율 50mm ~ 15mm
- LOA30 오차율 15mm ~ 5mm
- LOA40 오차율 5mm ~ 1mm
- LOA50 오차율 1mm 이하
3D 스캐닝으로 As-Built-BIM을 구축하면 LOA30이나 LOA40을 목표로 한다. LOA50을 적용한 모델을 구축하려면 정밀한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기에 효율성에서 떨어진다.
BIM을 이용한 데이터 생성에서 LOD와 LOA의 정의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As-Built-BIM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요에 따라서 LOD300이지만 LOA40이 적용된 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으며, LOD500이지만 LOA10인 프로젝트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현명하게 구축된 As-Built-BIM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강력한 자산이 되며, 건축물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 관리자단말기 20 : 실무자단말기
100 : 플랫폼 서버 101 : 데이터생성부
102 : 데이터저장부 103 : 전문분야업체설정부
104 : 권한설정부 105 : RFID부
106 : 공정비율부 107 : 시공계획부
108 : 공사관련자료부 109 : 작업완료부
110 : RFID정보부 111 : 대시보드부
112 : 준공서류부 113 : 장비관리부
114 : 화상회의부 115 : 데이터다운로드부
200 : 클라우드 서버
1000 :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Claims (5)

  1.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며,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전문분야업체설정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실무자단말기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설정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고, RFID 카드 정보를 관리하는 RFID부;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해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공정비율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시공계획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공사관련자료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작업완료부;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RFID정보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대시보드부; 및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준공서류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시공 시작 전 또는 시공 진행 중 사용될 장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장비관리부;
    를 더 포함하여, 시공 시 장비에 대한 검토 및 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간, 상기 실무자단말기 간 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 간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화상회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엑셀 또는 PDF로 변환하는 데이터다운로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다운로드부는,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 상기 엑셀 또는 상기 PDF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5.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 실무자가 소지하는 실무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송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건설용 2D 도면을 수신하여, 수신한 건설용 2D 도면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범용 3D 프로그램으로 3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OD(Lavel of Development) 작업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상기 생성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한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건설을 수행할 전문 분야 업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읽기, 쓰기 및 지우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 및 실무자단말기에게 RFID 카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의 통계를 위한 각 공정별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문 분야의 시공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 또는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시공 계획에 따른 주의사항 및 공사 관련 자료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공정에 대한 작업 완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되고, 상기 실무자단말기가 상기 RFID 카드를 통해 공구 출입 관리 및 출퇴근 관리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 및 가공하여 전체 공정의 진행율 및 통계를 대시보드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건설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전문 분야 업체의 시공 중 발생한 검사 서류를 취합 및 가공하여 준공서류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방법.
KR1020210083949A 2020-06-26 2021-06-28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0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21 2020-06-26
KR20200078721 2020-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57A true KR20220000857A (ko) 2022-01-04
KR102370134B1 KR102370134B1 (ko) 2022-03-04

Family

ID=7934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949A KR102370134B1 (ko) 2020-06-26 2021-06-28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11066A (zh) * 2022-12-21 2023-04-25 浙江柒和环境艺术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建筑设计方法及系统
KR102618033B1 (ko) * 2023-03-15 2023-12-27 주식회사 선진 사료 생산 관리에 대한 스마트 haccp 운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20B1 (ko) 2022-04-06 2023-02-16 김용희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관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454A (ja) * 2008-03-05 2009-09-17 Hitachi Ltd 施工確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設計支援システム
KR20100020060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두올테크 세션 기반의 bim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465479B1 (ko)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빔(bim) 기반의 건축물 데이터를 표시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465483B1 (ko)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505093B1 (ko) * 2009-11-12 2015-03-2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공사 공정 작성 시스템 및 공사 공정 작성 방법
KR101546703B1 (ko) 2014-12-04 2015-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용량 건물 bim데이터의 시각화 시스템
KR20180095261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454A (ja) * 2008-03-05 2009-09-17 Hitachi Ltd 施工確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設計支援システム
KR20100020060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두올테크 세션 기반의 bim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505093B1 (ko) * 2009-11-12 2015-03-2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공사 공정 작성 시스템 및 공사 공정 작성 방법
KR101465479B1 (ko)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빔(bim) 기반의 건축물 데이터를 표시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465483B1 (ko)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546703B1 (ko) 2014-12-04 2015-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용량 건물 bim데이터의 시각화 시스템
KR20180095261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11066A (zh) * 2022-12-21 2023-04-25 浙江柒和环境艺术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建筑设计方法及系统
CN116011066B (zh) * 2022-12-21 2023-07-11 浙江柒和环境艺术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建筑设计方法及系统
KR102618033B1 (ko) * 2023-03-15 2023-12-27 주식회사 선진 사료 생산 관리에 대한 스마트 haccp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134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98379B (zh) 项目管理方法、平台、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Hwang et al. Integrated Digital Delivery: Implementation status and project performance in the Singapore construction industry
Ma et al.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based on a collaborative system using BIM and indoor positioning
Li et al. An Internet of Things-enabled BIM platform for on-site assembly services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CN109559069B (zh) 基于装配式建筑平台的生产管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Navon Research in automated measurement of project performance indicators
Bohn et al. Benefits and barriers of construction project monitoring using high-resolution automated cameras
Nguyen et al. Application of BIM and 3D laser scanning for quant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US109909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bile workers
Re Cecconi et al. Leveraging BIM for digital built environment asset management
Chen et al. Bridging BIM and building (BBB)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 construction: The underlying mechanism and implementation
KR101816609B1 (ko) 철거 공사 견적 및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hen et al. Exploiting digitalization for the coordination of required changes to improve engineer-to-order materials flow management
Xu et al. Integrating IoT and BIM for tracking and visualising embodied carbon of prefabricated buildings
Disney et al. Total BIM on the construction site: a dynamic single source of information.
Sanchez Gomez et al. Perth Children's Hospital-case study report
WO2020056671A1 (zh) 装配式建筑建造平台的数据生长方法和装置
Mahamadu et al. Attributes that determine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capability maturity of quantity surveying practice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Action Research Study on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to Enhance Offsite Manufacturing (Osm) Productivity
Nakagawa Real time performance information system using mobile phone
Wang et al. An investigation of digital technology implementation in off-site construction: current practice, challenges and expectations
El-Omari Automated data acquisition for tracking and control of construction projects
YILMAZ et al. The Use of Mobile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aeed Review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Software Packages Based on Asset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