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40U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40U
KR20220000840U KR2020200003621U KR20200003621U KR20220000840U KR 20220000840 U KR20220000840 U KR 20220000840U KR 2020200003621 U KR2020200003621 U KR 2020200003621U KR 20200003621 U KR20200003621 U KR 20200003621U KR 20220000840 U KR20220000840 U KR 20220000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ventilation
coupling
ha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939Y1 (ko
Inventor
윤희성
Original Assignee
윤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성 filed Critical 윤희성
Priority to KR2020200003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3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햇빛이 차단되면서 통풍이 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자{Cap}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햇빛이 차단되면서 통풍이 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강한 햇빛으로부터 머리와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나, 오늘날에는 그 형상과 모양이 다양하게 제작되어 눈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을 넘어 하나의 패션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날씨와 장소에 관계없이 모자를 착용한다. 각 계절에 따라서 바람과 찬 기온으로부터 열의 방출을 적게 하여 추위를 이길 수 있도록 한 방한모나, 될 수 있는 한 가볍게 착용하여 무더운 여름철에 강한 햇빛이나 더운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하계용 모자가 있으며, 그 외 각 용도에 맞는 모자가 있다.
한편, 농사 일을 할 때에는 오랜 시간 햇빛에 노출되며 사용자에게서 땀과 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모자를 착용한다. 따라서 햇빛으로부터 가리기 위한 종래기술이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6627호(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4618917호(특허문헌 2)에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의 기술은 모자 아래쪽에 노출되는 얼굴과 목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이 모자에 탈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의 기술은 모자 속에 있는 열을 배출시킬 수 있는 통공이 없어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904호(특허문헌 3)에는 모자의 일부를 망사부로 형성하고 간격유지부재로 모자 내부와 외부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망사부를 통해 햇빛이 모자 내로 들어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6627호(2013.09.25) 일본 특허공보 제4618917호(2010.11.05)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904호(2000.01.12)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햇빛이 차단되면서 통풍이 되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리개의 결합이 용이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모자는, 내측에 머리가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과 연통되는 통풍부; 상기 본체 내지 상기 통풍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풍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리개; 상기 통풍부와 상기 가리개의 일부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통풍부와 연통되는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상기 가리개는 상기 통풍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가 상기 본체 중 상기 통풍부의 양측에 결합되며, 양측의 상기 연결부간에 폭은 상기 통풍부의 양측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마다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상기 가리개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양측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본체 중 상기 통풍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양측의 상기 제1결합부간에 폭은 양측의 상기 제2결합부간에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림부의 전측과 후측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의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리개의 양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리개는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고 전후측이 서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상기 본체는 머리를 둘러싸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후측 차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풍부는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착용부의 후측과 상기 후측 차양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통풍부와 상기 후측 차양부의 하측과 연통된다.
본 고안의 모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모자는, 가리개가 통풍부를 가리므로 햇빛이 사용자의 머리에 비치지 않고, 통풍부와 통로를 통해 모자 내부에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가리개는 양측이 대칭이고, 전후측이 대칭이므로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착용부의 후측과 후측 차양부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목 뒤에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고, 모자 내부의 열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모자를 전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모자를 후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모자에서 가리개를 제거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가리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모자의 내측을 도시하기 위해 모자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모자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모자는 내측에 머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본체(100), 본체(100)에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측 및 외측과 연통되는 통풍부(200), 상기 본체(100) 내지 상기 통풍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통풍부(200)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리개(400), 통풍부(200)와 가리개(400)의 일부가 이격되어 형성된 통로(4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모자는, 사용자(P)가 모자를 착용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가리개(400)가 통풍부(200)를 가리므로 햇빛이 사용자(P)의 머리에 비치지 않고, 통풍부(200)와 가리개(400)가 이격되므로 통로(450)를 통해 모자 내부에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본체(100)는 머리를 둘러싸는 착용부(101), 머리를 가리도록 착용부(101)에 연결된 차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측은 착용부(10)와 차양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착용부(101)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부(101)는 머리와 밀착되도록 탄성부, 본체(100)의 후측(103), 즉 착용부(101)의 후측(103)에는 버클(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양부재는 본체(100)의 상부와 측부와 전측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양부재는 본체(100)의 상부와 측부를 형성하는 제1차양부재(110), 본체(100)의 전측을 형성하는 제2차양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차양부재(300)는 착용부(101)의 전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차양부재(11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스냅(Snap)형 단추(도며부호 미도시)를 이용해 제2차양부재(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차양부재(110)는 머리의 측부와 상부를 가릴 수 있다.
제1차양부재(110)에는 본체(100)의 후측(103), 즉 착용부(101)의 후측(103)에 위치되는 후측 차양부(111)가 포함될 수 있다.
후측 차양부(111)는 본체(100)의 후측(103)에 위치되어 사용자(P)의 머리 후측을 가릴 수 있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모자의 후측, 구체적으로는 착용부(101)의 후측(103)과 후측 차양부(111)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120)은 상측이 통풍부(200)와 연통될 수 있고, 하측이 후측 차양부(111)의 하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사용자(P)의 머리 뒤에도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고, 모자 내부의 열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 2, 4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가리개(400)는 상기 통풍부(200)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림부(410), 상기 가림부(410)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가림부(410)는 대략 직사각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갖는다.
가림부(410)는 일타측으로 나란한 전면(411)과 후면(413), 전면(411) 및 후면(413)의 양측에 연결된 일측면 및 타측면(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림부(410)의 상기 일측면 및 타측면은 연결부(420)의 타측면 및 일측면(도면부호 미도시)에 각각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가림부(410) 및 연결부(4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가림부(410)의 양측의 폭(d9)은 통풍부(200)의 양측의 폭(d1)과 같거나 그 폭(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리개(400)의 전후면(411,413)간에 폭(d4)은 통풍부(200)의 전후측의 폭(d2)과 같거나 그 폭(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림부(410)가 통풍부(200)의 상부를 가리므로 햇빛이 사용자(P)의 머리 상부에 비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연결부(420)는 대략 사다리꼴의 수평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빗변이 후술될 제1곡면(435) 또는 제2곡면(445)으로 형성된 형상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연결부(420)는 가림부(410)의 전측과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부(420)는 양측의 전측 연결부(420)와 양측의 후측 연결부(420), 즉 4 개의 연결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420)는 가림부(410)에서 멀어질수록 전후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측 연결부(420)는 가림부(410)의 전면(411)과 나란하게 연결된 제1전면(431), 제1전면(431)의 단부와 대략 90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제1측면(433), 제1측면(433)의 후측 단부와 연결되는 측면인 제1곡면(4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곡면(435)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가림부(41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측 연결부(420)는 가림부(410)의 후면(413)과 나란하게 연결된 제1후면(441), 제1후면(441)의 단부와 대략 90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제2측면(443), 제2측면(443)의 전측 단부와 연결되는 측면인 제2곡면(4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곡면(445)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가림부(41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면(435)의 후측 단부와 제2곡면(445)의 전측 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가리개(400)는 양측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리개(400)의 전면은 가림부(410)의 전면(411)과 제1전면(4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리개(400)의 후면은 가림부(410)의 후면(413)과 제1후면(4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도 4의 도시와 같이 가리개(400)의 전면(411,431)과 후면(413,441)은 서로 일타측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4의 도시와 같이, 양측의 연결부(420)간에 최대폭(d3)은 통풍부(200)의 양측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측의 제1결합부(510)간에 폭(d5)은 양측의 제2결합부(520)간에 폭(d7)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측의 연결부(420)간에 최대폭(d3)은 가림부(410)의 양측의 최대폭이다.
한편, 전후측의 제1결합부(510)간에 폭(d6)은 전후측의 제2결합부(520)간에 폭(d8)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가리개(400)의 폭과 통풍부(200)의 폭의 차이로 인해, 제1결합부(510)와 제2결합부(520)를 결합시키면 도 1, 2의 도시와 같이 가리개(400)는 제1결합부(510)에서 가림부(410)의 중앙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볼록해질 수 있다.
또한, 제1곡면(435), 제2곡면(445)의 형상에 의해 가리개(400)는 양측의 중앙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통풍부(200)와 가리개(400)가 이격되어 통로(450)가 형성될 수 있고, 가리개(400)가 통풍부(200)를 가릴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통풍부(200)는 상기 가리개(400)의 일부, 즉 연결부(420)의 일부 및 가림부(410)가 이격되므로, 가리개(400)의 전후측 및 양측에 통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부호를 도시하진 않았지만, 전술된 제1,2결합부(510,520)의 폭을 고려하면 대각선에 배치된 제1결합부(510)들간에 폭은 대각선에 배치된 제2결합부(520)들간에 폭보다 큰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통로(450)의 하부는 통풍부(200)와 연통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다.
전술된 통로(450)와 통풍부(200)를 통해 본체(100)의 내측과 외측간에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P)의 머리 상부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모자 내부의 열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는 내부에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므로 더운 날씨에 착용하고 긴 시간동안 밭일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가리개(400)는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고, 전후측이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가리개(400)는 전후 방향에 관계 없이 본체(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가리개(400)의 전후측 중앙 및 양측 중앙이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풍부(200)는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풍부(200)는 착용부(10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부(200)는 제1차양부재(110)의 상부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통풍부(200)는 제1차양부재(110)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풍부(200)에 의해 본체(100)는 내측과 외측이 연통될 수 있다.
통풍부(200)는 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통풍부(200)의 전후측의 폭(d2)이 통풍부(200)의 양측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통풍부(200)는 전후로 길이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통풍부(200)는 전술된 모자 후측의 공간(120)과 보다 잘 연통될 수 있어 통풍에 도움이 된다.
통풍부(200)는 대략 직사각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통풍부(200)는 대응되는 형상의 가림부(410)에 용이하게 가려질 수 있다.
한편, 모자에는 가리개(40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스냅(Snap)형 버튼인 복수의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해 가리개(400)를 선택적으로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 2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결합부재 사이마다 통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결합된 복수의 연결부(420) 및 결합부 사이마다 통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는 가리개(40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부(510), 본체(100)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510)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결합부(510)는 양측의 연결부(42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20)는 상기 본체(100) 중 상기 통풍부(20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20)는 제1차단부재에 결합된다. 따라서 가림부(410)가 통풍부(200)를 최대한 확실하게 가릴 수 있다.
도 1, 2, 4의 도시와 같이, 제1결합부(510)는 제1전면(431)과 제1측면(433)이 만나는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 제1후면(441)과 제2측면(443)이 만나는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510)는 가리개(400) 당 4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차단부재에는 4 개의 제1결합부(510)가 각각 결합되는 4 개의 제2결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520)는 상기 본체(100) 중 상기 통풍부(2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520)는 통풍부(200)의 4 개의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10)와 제2결합부(520)는 각각 요(凹)부와 철(凸)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리개(400)는 적어도 외면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리개(400)는 햇빛을 차단하면서 반사도 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본체 101 : 착용부
103 : 본체의 후측 110 : 제1차양부재
111 : 후측 차양부 120 : 공간
200 : 통풍부 400 : 가리개
410 : 가림부 420 : 연결부
435 : 제1곡면 445 : 제2곡면
510 : 제1결합부 520 : 제2결합부

Claims (5)

  1. 내측에 머리가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과 연통되는 통풍부;
    상기 본체 내지 상기 통풍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풍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리개;
    상기 통풍부와 상기 가리개의 일부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통풍부와 연통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는 상기 통풍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림부, 상기 가림부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가 상기 본체 중 상기 통풍부의 양측에 결합되며,
    양측의 상기 연결부간에 폭은 상기 통풍부의 양측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마다 형성되는 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양측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본체 중 상기 통풍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양측의 상기 제1결합부간에 폭은 양측의 상기 제2결합부간에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림부의 전측과 후측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의 측면은 곡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리개의 양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리개는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고 전후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머리를 둘러싸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후측 차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풍부는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착용부의 후측과 상기 후측 차양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통풍부와 상기 후측 차양부의 하측과 연통되는 모자
KR2020200003621U 2020-10-12 2020-10-12 모자 KR200495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21U KR200495939Y1 (ko) 2020-10-12 2020-10-12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621U KR200495939Y1 (ko) 2020-10-12 2020-10-12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40U true KR20220000840U (ko) 2022-04-19
KR200495939Y1 KR200495939Y1 (ko) 2022-09-26

Family

ID=8138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621U KR200495939Y1 (ko) 2020-10-12 2020-10-12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3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8917Y1 (ko) 1967-07-24 1971-07-01
KR200175904Y1 (ko) 1999-09-16 2000-03-15 알파색채주식회사 모자
JP3186627U (ja) 2013-08-05 2013-10-17 株式会社ユニワールド 日除け帽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903Y1 (ko) * 2001-06-26 2001-11-16 박정은 차양모자
KR100756548B1 (ko) * 2006-06-08 2007-09-10 이도훈 모자용 햇빛가리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8917Y1 (ko) 1967-07-24 1971-07-01
KR200175904Y1 (ko) 1999-09-16 2000-03-15 알파색채주식회사 모자
JP3186627U (ja) 2013-08-05 2013-10-17 株式会社ユニワールド 日除け帽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39Y1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421A (en) Air ventilation helmet
US20170027250A1 (en) Ear sun protector
US20090255026A1 (en) Eye shade having conformable nose piece
US5054122A (en) Structure of hat with cooling system for the head
JP3004264B1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US6094750A (en) Modified safety helmet heat sink
US6247186B1 (en) Helmet with ventilation arrangement
KR200495939Y1 (ko) 모자
KR200420938Y1 (ko) 덮개가 부착된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US11957198B2 (en) Convertible hat
KR200459258Y1 (ko) 타올부재를 갖는 두건
KR200381724Y1 (ko) 차광을 겸한 위생 보호대
EP0903086A2 (en) Motorcyclist helmet provided with ventilating channels
CN219661026U (zh) 一种多功能的遮阳帽
KR102032530B1 (ko) 차양모자
CN220476992U (zh) 一种带有防撞发带的防撞帽
CN209846232U (zh) 一种多功能帽子
KR200286237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안전모
KR200379198Y1 (ko) 측면 가리개가 구비된 모자
KR100893922B1 (ko) 안전 헬멧용 턱 커튼
JP3106241U (ja) 防塵フード
KR200175900Y1 (ko) 작업용 모자
KR20240061689A (ko) 방호복용 후드가드
KR200342123Y1 (ko) 통기성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