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904Y1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904Y1
KR200175904Y1 KR2019990019943U KR19990019943U KR200175904Y1 KR 200175904 Y1 KR200175904 Y1 KR 200175904Y1 KR 2019990019943 U KR2019990019943 U KR 2019990019943U KR 19990019943 U KR19990019943 U KR 19990019943U KR 200175904 Y1 KR200175904 Y1 KR 200175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wearing
air
cool
wea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림
Original Assignee
알파색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색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파색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9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공기가 통풍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모자 내의 공기를 항상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모자에 있어서, 모자 착용부(2)의 상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둘레를 따라 소정폭을 갖고 형성된 망사부(10)와, 이 망사부(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24)이 형성되도록 착용부(2)의 내부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20)를 포함하며, 모자 착용부(2)의 상면은 반사율이 높은 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모자 내에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되는 여름철에 착용자의 머리를 시원하게 유지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모자 {Cap}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모자의 상측과 내측면을 개선하여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머리부분에 외부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강한 직사광선으로부터 머리부위와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나, 오늘날에는 그 형상과 모양이 다양하게 제작되어 눈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을 넘어 하나의 패션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날씨와 장소에 관계없이 모자를 착용한다.
각 계절에 따라서 바람과 찬 기온으로부터 열의 방출을 적게 하여 추위를 이길 수 있도록 한 방한모나, 될 수 있는 한 가볍게 착용하여 무더운 여름철에 강한 햇빛이나 더운 열기를 차단할 수 있는 하계용 모자가 있으며, 그 외 각 용도에 맞는 모자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모자 중 대다수 착용하는 모자의 형태는 스포츠형 모자를 선호하여 착용하는 이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모자는 여름철 통풍을 위한 목적으로 망사로 처리된 천을 재봉 처리하여서 된 모자를 착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자는 망사로 처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머리에 밀착되도록 눌러 착용하므로, 모자의 내측이 머리에 밀착된 상태이어서 착용자의 머리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방출시킬 수 있을 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통풍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일반적인 모자와 같이 쾌적함을 줄 수 없게 된다.
즉, 착용자의 머리에서 나오는 열과 내려 쬐는 햇볕에 의하여 모자 속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모자를 쓰지 않을 때보다 더위를 더 빨리 느끼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며 흘러내리는 땀으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자챙과 머리띠로만 구성된 모자가 시판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모자는 강한 직사광선으로부터 눈은 보호할 수 있으나 머리에는 직사광선이 직접 내려 쬐기 때문에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면 두피에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모자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용자의 머리가 밀착되는 모자의 내부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통풍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자에 있어서, 모자 착용부의 상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둘레를 따라 소정폭을 갖고 형성된 망사부와, 이 망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이 형성되도록 착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착용부 4: 모자챙
10: 망사부 20: 간격유지부재
22: 띠 24: 통풍공간
25: 부착판 26: 간격유지핀
27: 지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모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자는 모자 착용부(2)의 전방부에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4)이 일체로 형성되며, 모자 착용부(2)의 상부에는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모자 착용부(2) 내로 유입되거나 모자 착용부(2) 내의 더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망사부(1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망사부(10)는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가지며, 구멍의 지름도 공기가 잘 통과하도록 충분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망사부(10)를 기준으로 모자 착용부(2)의 상부는 외부의 열이 모자 착용부(2) 내로 침투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은박 등의 반사율이 높은 천으로 구성된다.
또한, 모자 착용부(2) 내에는 망사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24)이 형성되도록 간격유지부재(2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간격유지부재(20)는 양단이 모자 착용부(2)의 밑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상부로 볼록하게 휘어진 한 쌍의 띠(22)가 십자모양으로 엇갈려서 설치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띠(22)로 구성하였으나, 한 쌍이 아니라 여러 개의 띠(22)를 엇갈리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간격유지부재(20)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 한 쌍의 띠(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자 착용부(2)의 저면과 착용자의 머리사이에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24)이 형성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도 3에서는 간격유지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간격유지부재(20)는 모자 착용부(2)의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판(25)과, 이 부착판(25)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된 다수의 간격유지핀(26)들과, 간격유지핀(26)의 자유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7)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유지핀(26)은 모자를 썼을 때 휘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착용감을 좋게 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모자를 착용하였을 때 안정감을 주기 위해 간격유지핀(26)측의 지지부(27)가 갖는 저면형상은 전체적으로 호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모자의 착용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망사부(10)의 일측을 통해 통풍공간(24)으로 유입되면, 착용자의 머리에서 나오는 열로 인해 통풍공간(24)에 존재하고 있는 더운 공기는 유입되는 시원한 공기에 밀려 망사부(10)로 자유스럽게 배출되며, 따라서 통풍공간(24)은 항상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통풍공간(24)에는 항상 새로운 공기가 유통되므로 모자를 통상적으로 눌러 착용한 상태에서도 시원함을 느끼게 되며,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시원한 공기 중 어느 정도의 양은 착용자의 머리로 이동하여 땀 발생을 억제시켜 주기 때문에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는 운동경기 등에 쾌적함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모자 내에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되는 여름철에 착용자의 머리를 시원하게 유지하여 줌은 물론, 착용자가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땀 흘림이 적기 때문에 운동경기 및 평상시 모자를 착용함에 있어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여 모자의 착용에 따른 불쾌감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자에 있어서,
    모자 착용부(2)의 상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둘레를 따라 소정폭을 갖고 형성된 망사부(10)와, 이 망사부(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공간(24)이 형성되도록 착용부(2)의 내부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20)를 포함하는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20)는 양단이 상기 모자 착용부(2)의 밑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상부로 볼록하게 휘어진 한 쌍의 띠(22)가 십자모양으로 엇갈려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20)는 상기 모자 착용부(2)의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판(25)과, 이 부착판(25)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소정길이로 연장 형성된 다수의 간격유지핀(26)과, 이 간격유지핀(26)의 자유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4. 제 1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 착용부(2)의 상부는 은박 등의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2019990019943U 1999-09-16 1999-09-16 모자 KR200175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43U KR200175904Y1 (ko) 1999-09-16 1999-09-16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43U KR200175904Y1 (ko) 1999-09-16 1999-09-16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904Y1 true KR200175904Y1 (ko) 2000-03-15

Family

ID=1958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943U KR200175904Y1 (ko) 1999-09-16 1999-09-16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9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99B1 (ko) * 2015-10-16 2017-02-27 박왕용 휴대가 용이한 모자
KR20220000840U (ko) 2020-10-12 2022-04-19 윤희성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699B1 (ko) * 2015-10-16 2017-02-27 박왕용 휴대가 용이한 모자
KR20220000840U (ko) 2020-10-12 2022-04-19 윤희성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560B1 (en) Hat/visor with brim vent
US6199214B1 (en) Headgear ventilation device
US5054122A (en) Structure of hat with cooling system for the head
US5175887A (en) Absorbent headband
KR100703878B1 (ko) 크기조절보온용귀마개
US7131148B1 (en) Combined bandana and goggles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200175904Y1 (ko) 모자
KR100656895B1 (ko) 모자
KR20200000853U (ko) 냉각 모자
KR200403609Y1 (ko) 모자용 냉각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모자
US6012173A (en) Attachment for headgear to ventilate while clamping wearer's head
KR200426051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0282400Y1 (ko) 모자
KR102631403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KR960006375Y1 (ko) 모자
KR200201484Y1 (ko) 차양 모자
US20040163158A1 (en) Ventilated head covering
US5978968A (en) Attachment for headgear to ventilate while clamping wearer's head
KR200180272Y1 (ko) 모발 눌림 방지용 모자
KR200245341Y1 (ko) 통기구조를 갖는 차양모자
KR200299484Y1 (ko) 통기성을 가지는 모자
KR200281389Y1 (ko) 귀마개
KR200370268Y1 (ko) 머리빗을 구비하는 통풍 가능한 모자 밴드
KR200348895Y1 (ko) 얼굴보온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