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403B1 -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403B1
KR102631403B1 KR1020230107187A KR20230107187A KR102631403B1 KR 102631403 B1 KR102631403 B1 KR 102631403B1 KR 1020230107187 A KR1020230107187 A KR 1020230107187A KR 20230107187 A KR20230107187 A KR 20230107187A KR 102631403 B1 KR102631403 B1 KR 10263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lief
head
unit
wearing
su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규
Original Assignee
김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규 filed Critical 김복규
Priority to KR102023010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9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42B1/225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with openings f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썬캡의 머리착용부에 머리착용부와 이마를 이격시켜주는 유연한 재질의 솔을 장착시켜줌과 동시에 머리착용부와 차양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일부에 모자를 착용시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완화해주는 압력완화부를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시켜주는 썬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발명에 따르면, 압력완화부와 이격유지용 솔을 장착한 썬캡을 제공함으로써, 썬캡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썹캡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덜 받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격유지용 솔에 의해 썬캡과 사용자의 머리에 소정의 공간이 생겨 통풍이 잘되어 땀을 덜 흘리게되고 땀이 나더라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Sun cap with improved wearing comfort}
본 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썬캡의 머리착용부에 머리착용부와 이마를 이격시켜주는 유연한 재질의 솔을 장착시켜줌과 동시에 머리착용부와 차양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일부에 모자를 착용시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완화해주는 압력완화부를 형성하여 착용감을 향상시켜주는 썬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썬캡은 착용시 오랫동안 착용시 머리의 양측에 맞닿는 썬캡의 다리부가 머리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과, 이마가 맞닿는 썬캡의 이마지지부가 오염에 취약하며, 통풍이 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썬캡의 착용으로 의해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완화해주는 압력완화부와 썬캡과 이마가 맞닿는 부분을 이격시켜주어 통풍성을 높여주는 이격유지용솔을 장착한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을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4799710호 (2016.03.22)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압력완화부를 장착한 썬캡을 제공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압력완화부가 제공된 썬캡을 사용자가 착용할시 썬캡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압력완화부를 장착한 썬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이격유지용 솔을 장착한 썬캡을 제공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이격유지용 솔이 장착된 썬캡을 사용자가 착용할시 사용자의 머리와 썬캡이 직접적으로 맞닿지않고 이격유지용 솔에 의해 이격되어 그 사이로 통풍이 잘되어 땀이 덜나게 되며 땀이 나더라도 빠르게 증발될 수 있게하는 이격유지용 솔을 장착한 썬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햇볕을 가릴 수 있게 형성된 차양부(100); 상기 차양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머리착용부(200); 상기 머리착용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격유지용솔(300);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유지용솔(300)은 상기 머리착용부(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310)의 후측에 유연한 재질로 복수개가 소정의 길이(H)를 가지고 각각 소정의 간격(G)을 가지며 밀접하게 돌출형성되는 돌기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완화부와 이격유지용 솔을 장착한 썬캡을 제공함으로써, 썬캡을 착용하는 사용자가 썹캡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덜 받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격유지용 솔에 의해 썬캡과 사용자의 머리에 소정의 공간이 생겨 통풍이 잘되어 땀을 덜 흘리게되고 땀이 나더라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방에서 바라본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의 하면도이다.
도 7은 이격유지용 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썬캡을 사용자가 착용시 이격유지용 솔이 사용자의 이마에 의해 압력을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썬캡이 머리에 가하는 압력이 압력완화부에 의해 완화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방(Fr)과 후방(Be) 및 내측방향(In)과 외측방향(Ou)은 도 1에서 제시된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창살부(131)의 가로길이란 도 3 에서 제시된 제1압력완화부(130)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된 것이며, 제2창살부(151)의 가로길이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제1창살부(131)와 동일한 형태이기에 도 3에서 제시된 제1압력완화부(130)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되었다 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기부(330)들의 가로길이(T)와 세로길이(H)는 도 9에서 제시된 이격유지용 솔(300)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된 것이며, 이마지지부(210)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는 도 2 에서 제시된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을 전방에서 바라본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된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전방에서 바라본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C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의 하면도이고, 도 7은 이격유지용 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이격유지용 솔이 사용자의 이마에 의해 압력을 받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압력완화부가 압력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썬캡의 머리착용부에 머리착용부와 이마를 이격시켜주는 유연한 재질의 솔을 장착시켜줌과 동시에 머리착용부와 차양부가 연결되는 지점의 일부에 모자를 착용시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완화해주는 압력완화부를 형성하여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에 대해 설명한다.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은 차양부(100)와, 머리착용부(200)와, 이격유지용솔(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차양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차양부(100)는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이마로부터 전방(Fr)을 향하게 위치하며 햇볕을 가릴 수 있게 형성된다.
차양부(100)는 차양몸체부(110)와 제1압력완화부(130)와 제2압력완화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차양몸체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차양몸체부(110)는 전측이 둥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양몸체부(110)는 공기홀(118)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공기홀(118)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홀(118)은 후술할 제1압력완화부(130)와 제2압력완화부(150)의 사이 및 차양부(100)와 머리착용부(200)가 연결되는 지점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홀(118)의 일부는 후술할 이마지지부(210)에도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차양몸체부(110)에 형성된 공기홀(118)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마지지부(210)에 형성된 공기홀(118)의 일부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 11과 같이 차양몸체부(110)에만 공기홀(118)이 반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홀(118)의 크기는 1~3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공기홀(118)간의 간격은 5mm정도 이격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한 후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공기홀(118)을 통해 Ai방향으로 지나게되어 통풍이 효과적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해도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도 1 내지 도2 참조)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압력완화부(130)는 차양몸체부(110)의 후측일면에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압력완화부(130)는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Hd)는 후술할 머리착용부(200)로부터 받는 압력(P1)을 완화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후술할 머리착용부(220)가 사용자의 머리(Hd)에 가하는 압력(P1)의 일부인 압력(P1a)는 제1압력완화부(130)로 분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썬캡을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두통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 수 있다.(도 10 참조)
제1압력완화부(130)는 제1창살부(131)와 제1개방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창살부(131)에 대해 설명한다.
제1창살부(131)는 제1압력완화부(1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창살부(131)의 가로길이(L1)는 후술할 제1개방부의 가로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도 3 참조)
또한, 제1창살부(131)의 세로길이는 최소길이(In)에서부터 점점 커지다가 최대길이(Im)에 도달한 이후부터 점점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상기 제1개방부(133)에 대해 설명한다.
제1개방부(133)는 상기 복수개의 제1창살부(131)의 사이마다 각각 제1창살부(131)의 길이방향(Sa)을 따라 타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때, 전술한대로 제1개방부의 가로길이(L2)는 제1창살부의 가로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 참조)
이어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않지만 제1개방부(133)의 세로길이 또한 제1창살부(1310의 세로길이와 같이 최소길이에서부터 점점 커지다가 최대길이에 도달한 이후부터 점점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또한, 제1창살부(131)와 제1개방부(133)는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력완화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압력완화부(150)는 제1압력완화부(130)와 대향되는 위치인 차양몸체부(110)의 후측타면에 제1압력완화부(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제2압력완화부(150)는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Hd)는 후술할 머리착용부(200)로부터 받는 압력(P2)을 완화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후술할 머리착용부(220)가 사용자의 머리(Hd)에 가하는 압력(P2)의 일부인 압력(P2a)는 제2압력완화부(150)로 분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썬캡을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두통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 수 있다.(도 10 참조)
제2압력완화부(150)는 제2창살부(151)와 제2개방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전술한 제1압력완화부(130)와 형태가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머리착용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머리착용부(200)는 차양부(100)의 일측에 둥근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2 참조)
이때, 머리착용부(200)는 이마지지부(210)와, 제1머리고정부(230)와, 제2머리고정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마지지부(210)에 대해 설명한다.
이마지지부(210)는 차양부(100)의 후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이마지지부(210)의 세로길이는 사용자의 이마를 충분히 지지해줄 수 있을정도의 길이로 형성되고, 가로길이는 사용자의 이마를 충분히 감싸줄 수 있을정도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머리고정부(2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머리고정부(230)는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일끝단에 연장형성되며, 사용자 머리(Hd)의 일측을 후술할 제2머리고정부(250)와 함께 충분히 고정시켜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썬캡을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 참조)
제1머리고정부(230)는 제1머리보호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머리보호부(233)에 대해 설명한다.
제1머리보호부(233)는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일끝단에 외측방향(Ou)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제1머리보호부(233)의 상측 끝단과 하측 끝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머리에 상해가 가는 것을 예방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 참조)
상기 제2머리고정부(2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머리고정부(250)는 제1머리고정부(230)와 대향되는 위치인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타끝단에 연장형성되며, 사용자 머리(Hd)의 타측을 제1머리고정부(230)와 함께 충분히 고정시켜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썬캡을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도 2 참조)
제2머리고정부(250)는 제2머리보호부(25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머리보호부(253)에 대해 설명한다.
제2머리보호부(253)는 상기 제1머리보호부(233)와 대향되는 위치인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타끝단에 외측방향(Ou)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제2머리보호부(253)의 상측 끝단과 하측 끝단은 라운드 처리되어 사용자가 썬캡을 착용시 머리가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 참조)
상기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격유지용 솔(300)에 대해 설명한다.
이격유지용 솔(300)은 사용자의 이마 및 측두부에 맞닿는 머리착용부(200)의 표면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격유지용" 이라는 말의 뜻은 머리착용부(200)와 머리착용부(200)와 맞닿는 사용자의 이마 및 측두부의 사이를 이격시켜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격유지용 솔(300)은 썬캡을 사용 후 오염된 부분을 물로 세척할 수 있게 방수가 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결합부(310)와 돌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결합부(310)는 머리착용부(200)의 후면에 결합되고 그 표면에는 돌기부들이 형성된다. 결합부(310)의 소재로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어있지 않지만 결합부(310)의 세로길이는 머리착용부(200)의 세로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머리착용부(2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330)에 대해 설명한다.
돌기부(330)는 결합부(310)의 표면에 유연한 재질로 복수개가 소정의 길이(H)를 가지고 각각 소정의 간격(G)을 가지며 밀접하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단 끝부분이 둥근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도 9 참조)
이때, 복수개의 돌기부들간 간격(G)은 1mm ~ 3mmm 정도가 바람직하고, 만약 해당 수치를 벗어나게 간격(G)이 형성된다면 복수개의 돌기부(330)들이 착용자의 이마와 썬캡을 제대로 이격시켜주지 못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복수개의 돌기부들의 길이(H)는 7mm ~ 10mm 정도가 바람직하고, 만약 해당 수치를 벗어나게 길이(H)가 형성된다면 복수개의 돌기부(330)들의 탄성복원력이 적당하게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 (도 9 참조)
그리고, 복수개의 돌기부들의 폭(T)은 1mm ~ 2mm 정도가 바람직하고, 만약 해당 수치를 벗어나게 폭(T)이 형성된다면 복수개의 돌기부(330)들의 탄성복원력이 적당하게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어서, 복수개의 돌기부(330)는 사용자가 착용시 압력을 받아 R1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을 해제시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R2방향으로 원상복귀될 수 있다.(도 9 참조)
따라서, 돌기부(330)가 유연한 재질의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차양부
110 : 차양몸체부
118 : 공기홀
130 : 제1압력완화부
131 : 제1창살부
133 : 제1개방부
150 : 제2압력완화부
151 : 제2창살부
153 : 제2개방부
200 : 머리착용부
210 : 이마지지부
230 : 제1머리고정부
233 : 제1머리보호부
250 : 제2머리고정부
253 : 제2머리보호부
300 : 이격유지용 솔
310 : 결합부
330 : 돌기부
Fr : 전방
Be : 후방
In : 내측방향
Ou : 외측방향
Ai : 공기진행방향
L1 : 제1,2창살부의 가로길이
L2 : 제1,2개방부의 가로길이
ln : 제1,2창살부의 최소 세로길이
lm : 제1,2창살부의 최대 세로길이
H : 복수개의 돌기부들의 세로길이
T : 복수개의 돌기부들의 가로길이
G : 복수개의 돌기부들간 사이간격
R1 : 압력에 의해 돌기부가 움직이는 방향
R2 : R1이 해제된 돌기부의 탄성복원력 방향

Claims (4)

  1. 햇볕을 가릴 수 있게 형성된 차양부(100);
    상기 차양부(100)의 후측에 형성되는 머리착용부(200);
    상기 머리착용부(200)의 표면외측에 형성되는 이격유지용솔(300);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유지용솔(300)은
    상기 머리착용부(2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310)의 표면에 복수개가 소정의 길이(H)를 가지고 각각 소정의 간격(G)을 가지며 밀접하게 유연한 재질로 돌출형성되고 상단 끝부분이 둥근형태로 형성되는 돌기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부(100)는
    상기 머리착용부(200)의 하단일측에 후단부가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차양몸체부(110)와,
    상기 차양몸체부(110)의 후측 일면에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제1압력완화부(130)와,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와 대향되는 위치인 차양몸체부(110)의 후측 타면에 제1압력완화부(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압력완화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는
    제1압력완화부(1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1창살부(13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창살부(131)의 사이마다 각각 제1창살부(131)의 길이방향(Sa)을 따라 타공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개방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압력완화부(150)는
    제2압력완화부(15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2창살부(151)와,
    상기 복수개의 제2창살부(151)의 사이마다 각각 제2창살부(151)의 길이방향(Sb)을 따라 타공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개방부(1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창살부(131,151)의 길이(I)는 최소길이(In)에서부터 점점 커지다가 최대길이(Im)에 도달한 이후부터 점점 줄어들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창살부(131)와 제1개방부(133)는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창살부(151)와 제2개방부(153)는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양몸체부(110)는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와 제2압력완화부(150)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홀(118)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홀(118)은 차양몸체부(110)의 후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착용부(200)는
    상기 차양부(100)의 후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마지지부(210)와,
    상기 이마지지부(210)의 일끝단에 연장형성되는 제1머리고정부(230)와,
    상기 제1머리고정부(230)와 대향되는 위치인 이마지지부(210)의 타끝단에 연장형성되는 제2머리고정부(2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머리고정부(230)는
    상기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일끝단에 외측방향(Ou)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 제1머리보호부(23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머리고정부(250)는
    상기 제1머리보호부(233)와 대향되는 위치인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타끝단에 외측방향(Ou)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 제2머리보호부(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100)는
    상기 머리착용부(200)의 하단일측에 후단부가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차양몸체부(110)와,
    상기 차양몸체부(110)의 후측 일면에 형성되는 제1압력완화부(130)와,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와 대향되는 위치인 차양몸체부(110)의 후측 타면에 제1압력완화부(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압력완화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는
    제1압력완화부(1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1창살부(13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창살부(131)의 사이마다 각각 제1창살부(131)의 길이방향(Sa)을 따라 타공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개방부(1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압력완화부(150)는
    제2압력완화부(15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2창살부(151)와,
    상기 복수개의 제2창살부(151)의 사이마다 각각 제2창살부(151)의 길이방향(Sb)을 따라 타공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개방부(1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창살부(131,151)의 길이(I)는 최소길이(In)에서부터 점점 커지다가 최대길이(Im)에 도달한 이후부터 점점 줄어들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창살부(131)와 제1개방부(133)는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창살부(151)와 제2개방부(153)는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몸체부(110)는
    상기 제1압력완화부(130)와 제2압력완화부(150)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홀(118)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홀(118)은 차양몸체부(110)의 후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330)는
    상단 끝부분이 둥근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착용부(200)는
    상기 차양부(100)의 후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마지지부(210)와,
    상기 이마지지부(210)의 일끝단에 연장형성되는 제1머리고정부(230)와,
    상기 제1머리고정부(230)와 대향되는 위치인 이마지지부(210)의 타끝단에 연장형성되는 제2머리고정부(2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머리고정부(230)는
    상기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일끝단에 외측방향(Ou)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 제1머리보호부(23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머리고정부(250)는
    상기 제1머리보호부(233)와 대향되는 위치인 이마지지부(210)의 후측 타끝단에 외측방향(Ou)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 제2머리보호부(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KR1020230107187A 2023-08-16 2023-08-16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KR10263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187A KR102631403B1 (ko) 2023-08-16 2023-08-16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187A KR102631403B1 (ko) 2023-08-16 2023-08-16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403B1 true KR102631403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187A KR102631403B1 (ko) 2023-08-16 2023-08-16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4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724A (ja) * 1996-08-10 1998-03-03 Setsuko Kato 鍔に通風孔を有する帽子
KR20100004347U (ko) * 2008-10-18 2010-04-28 문성흠 모자
JP2013019088A (ja) * 2011-07-11 2013-01-31 Birumateru Kk ルーバー機構付き帽子
KR20150004340U (ko) * 2014-05-26 2015-12-04 정동희 미끄럼방지용 돌기장식구가 부착된 썬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724A (ja) * 1996-08-10 1998-03-03 Setsuko Kato 鍔に通風孔を有する帽子
KR20100004347U (ko) * 2008-10-18 2010-04-28 문성흠 모자
JP2013019088A (ja) * 2011-07-11 2013-01-31 Birumateru Kk ルーバー機構付き帽子
KR20150004340U (ko) * 2014-05-26 2015-12-04 정동희 미끄럼방지용 돌기장식구가 부착된 썬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10B2 (en) Headband having integrated functional cushion case
JP4420669B2 (ja) 保護ヘッドギア
US20180192723A1 (en) Protective Headgear
KR100508347B1 (ko) 탄성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모자
US5943703A (en) Detachable ear-protector for use with eyeglasses and sunglasses
KR100703878B1 (ko) 크기조절보온용귀마개
KR102631403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썬캡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0548032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 및 이를 구비한 차양모자
US20170360137A1 (en) Cap with tiltable visor
US20060090235A1 (en) Modular headwear assembly
KR102273182B1 (ko) 모자 사이즈 조절유닛
KR200459823Y1 (ko) 모자
KR200175904Y1 (ko) 모자
KR101613949B1 (ko)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484579Y1 (ko) 차양모의 머리띠용 탄성띠심재
KR200390302Y1 (ko) 차양모자
KR200439768Y1 (ko) 탄성 밴드
KR100563643B1 (ko) 귀가림부를 구비한 썬캡
KR200201484Y1 (ko) 차양 모자
KR102032530B1 (ko) 차양모자
KR200152258Y1 (ko) 히란야 모형이 부착된 모자
KR200327891Y1 (ko) 일회용 차양모자
KR200180272Y1 (ko) 모발 눌림 방지용 모자
KR200251970Y1 (ko) 머리카락 눌림 방지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