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89U -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 Google Patents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89U
KR20220000589U KR2020200003228U KR20200003228U KR20220000589U KR 20220000589 U KR20220000589 U KR 20220000589U KR 2020200003228 U KR2020200003228 U KR 2020200003228U KR 20200003228 U KR20200003228 U KR 20200003228U KR 20220000589 U KR20220000589 U KR 202200005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blocking film
hole
coup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화석
Original Assignee
윤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화석 filed Critical 윤화석
Priority to KR2020200003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589U/ko
Publication of KR20220000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고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모자와 상호 간섭되지 않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말 및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얼굴에 착용하는 얼굴 가리개로서, 얼굴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걸칠 수 있게 이루어진 다리부를 포함하여 안경테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얼굴의 눈 아래부분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지고, 상부 양측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프레임의 다리부에 형성된 결합유닛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얼굴 차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상부 양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FACE COVER FOR SHIELD OF SPRAY AND ULTRAVIOLET RAYS}
본 고안은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고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모자와 상호 간섭되지 않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로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1%의 오존층이 파괴되면 1~2%의 UV 광선이 지구상에 더 도달하게 되며, 피부암 발생률은 5% 정도 증가한다고 한다.
이러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야외에서 주로 모자나 차광모자, 천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있다.
모자나 차광 모자의 경우 주로 위에서 아래로 내리 쬐는 자외선을 차단해 줄 수는 있지만, 눈, 얼음, 모래, 콘크리트, 물 등은 자외선을 80% 까지 반사시키기 때문에 해수욕을 하거나 스키를 타거나 아스팔트 위를 걷는 경우에는 두 배 가까이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눈, 얼음, 모래, 콘크리트, 물 등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완전히 차단했다고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반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모자나 썬캡 등을 내려쓰더라도 반사되는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을 뿐더러 시야를 가려 행동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반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모자와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동시에 착용할 수도 있지만,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의 섬유 부분이 얼굴 피부에 밀착되어 여성들의 경우 화장이 지워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호흡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유행하고 있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 novel Coronavirus, 2019-nCoV)는 2019년 12월 발생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의 원인 바이러스로, 인체 감염 7개 코로나 바이러스 중 하나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 및 기침이나 호흡 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도 드물게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 24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보다는 낮지만,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보다는 높은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도 1의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착용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얼굴 차단 필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얼굴 차단 필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얼굴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져서 양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프레임(100)의 양측 결합유닛(U)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얼굴 차단 필름(200)은 UV 차단 및 습기 방지 기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얼굴 차단 필름(200)이 얼굴 전체(이마부터 턱 아래까지)를 감싸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로부터의 비말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는, 얼굴 차단 필름(200)의 상단이 착용자의 이마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 모자의 챙 부분이 얼굴 차단 필름(200)의 상단에 맞닿아 모자와 얼굴 차단 필름(200)이 상호 간섭하게 되어 사용상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G)을 쓴 상태에서 착용하게 되면 얼굴 차단 필름(200)에 의해 시야가 흐려지게 되어 외부 물체 또는 사람들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 형태의 프레임(100)이 얼굴 차단 필름(200)에 반사되어 생기는 반사광이 착용자의 눈에 안좋은 영향을 주어 눈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137590 B1 (2020.07.24.공고)
인터넷 사이트 : https://smartstore.naver.com/reandd/products/2333673779?NaPm=ct%3Dkei1cwyo%7Cci%3D00d6a180292c66408550ed4af21a291beb3caed6%7Ctr%3Dimg%7Csn%3D517012%7Chk%3D366cfbe945f7af2187280c89f292805083bd7427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경을 쓴 상태에서도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아 외부 물체 또는 사람들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모자의 챙과 얼굴 차단 필름 상단이 상호 간섭되지 않아 사용하는데 편리한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테 형태의 프레임이 얼굴 차단 필름에 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의 눈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말 및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얼굴에 착용하는 얼굴 가리개로서, 얼굴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걸칠 수 있게 이루어진 다리부를 포함하여 안경테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얼굴의 눈 아래부분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지고, 상부 양측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프레임의 다리부에 형성된 결합유닛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얼굴 차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상부 양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제공한다.
이러한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다리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다리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와 반대쪽 방향으로 상기 결합공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다리부에 장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공과 돌출부 사이에 얼굴 차단 필름의 관통공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관통공, 결합공의 순으로 상기 돌출부를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일직선 상으로 끼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에서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는 회전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돌출부 사이에 상기 회전 끼움공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회전 끼움공, 결합공의 순으로 상기 돌출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하단을 상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홈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관통공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양측 단부로부터 회전 끼움공 중심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APET(antistat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고, UV 차단 코팅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항균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안경테 형태의 프레임이 얼굴 차단 필름에 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의 눈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경을 쓴 상태에서도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아 외부 물체 또는 사람들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얼굴 차단 필름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하여 얼굴의 눈 아래부분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지도록 한 다음 프레임의 다리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모자의 챙과 얼굴 차단 필름 상단이 상호 간섭되지 않아 사용하는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도 1의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착용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프레임과 얼굴 차단 필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얼굴 차단 필름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의 다리부에 형성된 결합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프레임이 얼굴 차단 필름에 형성된 회전 끼움공에 끼워져 얼굴 차단 필름의 하단이 상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얼굴 차단 필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제2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제3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고안자가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고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고안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프레임과 얼굴 차단 필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비말 및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얼굴에 착용하는 얼굴 가리개(1)로서, 안경테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과,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얼굴의 눈 아래부분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져서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얼굴 차단 필름(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얼굴 차단 필름(20)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하여 얼굴의 눈 아래부분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지도록 한 다음 프레임(10)의 다리부(14)에 결합시킴으로써,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모자의 챙과 얼굴 차단 필름(20) 상단이 상호 간섭되지 않아 사용하는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프레임(10)은 경량인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얼굴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지부(12)와, 지지부(12)의 양단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걸칠 수 있게 이루어진 다리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12)의 중앙 부분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한 쌍의 코받침부재(12a)가 마련되어 프레임(10)을 얼굴에 착용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10)은 안경테 형태로 이루어져 벗고 쓰기가 용이하고 장시간 착용시에도 답답함을 느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얼굴 차단 필름(20)은 상부 양측에 관통공(24)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24)에는 프레임(10)의 다리부(14)에 형성된 결합유닛(CU)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1)는,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지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형 마트, 식당의 주방, 호텔 룸 서비스, 미용실, 식품 공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얼굴 차단 필름의 제1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얼굴 차단 필름(20)은 상부 양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안경테 형태의 프레임(10)이 얼굴 차단 필름(20)에 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의 눈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경(G)을 쓴 상태에서도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아 외부 물체 또는 사람들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얼굴 차단 필름(20)의 상부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24)과 일직선 상으로 끼움홈(2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끼움홈(26)에는 후술할 결합유닛(CU)의 결합부재(16)가 끼워지게 된다.
한편, 얼굴 차단 필름(20)은 APET(antistat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얼굴 차단 필름(20)에는 UV 차단 코팅이 되어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고, 얼굴 차단 필름(20)의 내측면에는 김서림 방지 코팅이 될 수 있다.
또한, 얼굴 차단 필름(20)은 항균 필름으로 형성되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얼굴 차단 필름(20)의 상부 양측에는 관통공(24)이 복수로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얼굴 차단 필름(2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때, 얼굴 차단 필름(20)에 형성된 끼움홈(26)에 끼워지는 결합유닛(CU)의 결합부재(16)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프레임(10)의 다리부(14)의 길이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프레임의 다리부에 형성된 결합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결합유닛(CU)은, 프레임(10)의 지지부(12)와 다리부(14)가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다리부(14)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14a)과, 결합공(14a)을 기준으로 지지부(12)와 반대쪽 방향으로 결합공(14a)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다리부(14)에 장착되는 결합부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재(16)는, 프레임(10)의 다리부(14)에 띠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부(16a)와, 고정부(16a)로부터 결합공(14a)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b)와, 연장부(16b)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공(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16c)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6a)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다리부(14)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리부(14)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돌출부(16c)가 복수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에 결합되도록 하여 얼굴 차단 필름(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16a)를 다리부(14)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띠 형태의 고정부(16a) 일단에는 홈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돌기를 형성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방법으로도 얼마든지 구현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다리부(14)에 형성된 결합공(14a)과 결합부재(16)의 돌출부(16c) 사이에 얼굴 차단 필름(20)의 관통공(24)을 위치시킨 다음 관통공(24), 결합공(14a)의 순으로 돌출부(16c)를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얼굴 차단 필름(20)의 상부 양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26)에 결합유닛(CU)의 결합부재(16)가 끼워져 얼굴 차단 필름(20)에 결합부재(16)가 결합된 상태에서 얼굴 차단 필름(20)의 상하로 결합부재(16)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프레임이 얼굴 차단 필름에 형성된 회전 끼움공에 끼워져 얼굴 차단 필름의 하단이 상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얼굴 차단 필름(20)의 상부 양측에서 관통공(24)의 하부에는 회전 끼움공(28)이 각각 형성되는데, 관통공(24)의 중심과 회전 끼움공(28)의 중심은 대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얼굴 차단 필름(20)에 형성된 끼움홈(26)의 내측 단부로부터 관통공(24) 중심까지의 거리(a)와, 얼굴 차단 필름(20)의 양측 단부로부터 회전 끼움공(28) 중심까지의 거리(b)는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전 끼움공(28)을 결합공(14a)과 돌출부(16c)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회전 끼움공(28), 결합공(14a)의 순으로 돌출부(16c)를 결합시킴으로써, 얼굴 차단 필름(20)의 하단을 필요에 따라 상방으로 일정 각도 젖힐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의 얼굴 차단 필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제2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제3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얼굴 차단 필름(20)은 상부 양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22)이 형성되는데, 절개홈(22)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하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절개홈(22)은 쌍하트, 직사각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이처럼 얼굴 차단 필름(20)에 절개홈(22)을 형성함으로써, 안경테 형태의 프레임(10)이 얼굴 차단 필름(20)에 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의 눈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경(G)을 쓴 상태에서도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아 외부 물체 또는 사람들을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 : 얼굴 가리개
10 : 프레임
12 : 지지부
12a : 코받침부재
14 : 다리부
14a : 결합공
CU : 결합유닛
16 : 결합부재
16a : 고정부
16b : 연장부
16c : 돌출부
20 : 얼굴 차단 필름
22 : 절개홈
24 : 관통공
26 : 끼움홈
28 : 회전 끼움공

Claims (7)

  1. 비말 및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얼굴에 착용하는 얼굴 가리개로서,
    얼굴 상측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귀에 걸칠 수 있게 이루어진 다리부를 포함하여 안경테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얼굴의 눈 아래부분 전체를 감싸듯이 말아지고, 상부 양측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프레임의 다리부에 형성된 결합유닛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얼굴 차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상부 양측으로부터 중앙까지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다리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다리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와 반대쪽 방향으로 상기 결합공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다리부에 장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리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공과 돌출부 사이에 얼굴 차단 필름의 관통공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관통공, 결합공의 순으로 상기 돌출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과 일직선 상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에서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는 회전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돌출부 사이에 상기 회전 끼움공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회전 끼움공, 결합공의 순으로 상기 돌출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하단을 상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홈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관통공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양측 단부로부터 회전 끼움공 중심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APET(antistatic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C(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고, UV 차단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은 항균 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굴 차단 필름의 상부 양측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KR2020200003228U 2020-09-04 2020-09-04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KR202200005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28U KR20220000589U (ko) 2020-09-04 2020-09-04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28U KR20220000589U (ko) 2020-09-04 2020-09-04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89U true KR20220000589U (ko) 2022-03-11

Family

ID=8081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28U KR20220000589U (ko) 2020-09-04 2020-09-04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58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90B1 (ko) 2019-05-03 2020-07-24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90B1 (ko) 2019-05-03 2020-07-24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smartstore.naver.com/reandd/products/2333673779?NaPm=ct%3Dkei1cwyo%7Cci%3D00d6a180292c66408550ed4af21a291beb3caed6%7Ctr%3Dimg%7Csn%3D517012%7Chk%3D366cfbe945f7af2187280c89f292805083bd7427
인터넷 사이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8886A1 (en) Wearable Microbe Protective Shield
US5220689A (en) Sportglasses with cheek covering portions
US20160143378A1 (en) Medical face shield
JPH03501572A (ja) 外科用保護顔マスク
US20100033671A1 (en) Eye Goggles Having Opaque or Restricted View Lenses
KR101614439B1 (ko) 피부 관리용 마스크
US10960238B1 (en) Face mask
KR20210011129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00589U (ko) 비말 및 자외선 차단용 얼굴 가리개
AU2004101064A4 (en) Facemask-Inbuilt Medical Hood Structure
JP2022014933A (ja) フェイスガード
JP2005292750A (ja) 遮光用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及びサングラス
KR102206754B1 (ko) 일회용 안면 보호 마스크
KR200368016Y1 (ko) 귀마개 달린 마스크
KR20090131315A (ko) 마스크를 착용하기 편리한 안경의 렌즈구조
KR20210026312A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KR20210109117A (ko) 마스크에 부착가능 한 일회용 보안경
JP3235657U (ja) 携帯型ウイルス対策簡易装置
US20090257018A1 (en) Eyeglasses
CN207286227U (zh) 一种消防防护眼罩
JP2022032882A (ja) 透明性の化学素材等を活用して素顔を維持しやすいグラス型のマスクシート。
JP2013169346A (ja) フルフェースマスク
KR200234938Y1 (ko) 안경 김서림 방지용 방한대
KR20210109118A (ko) 마스크에 부착가능 한 일회용 평면 보안경
KR20180000582U (ko) 기능성 선그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