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72U - 이더넷 케이블 - Google Patents

이더넷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72U
KR20220000572U KR2020200003332U KR20200003332U KR20220000572U KR 20220000572 U KR20220000572 U KR 20220000572U KR 2020200003332 U KR2020200003332 U KR 2020200003332U KR 20200003332 U KR20200003332 U KR 20200003332U KR 20220000572 U KR20220000572 U KR 20220000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net cable
ethernet
cable
pitch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호
신상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3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572U/ko
Publication of KR20220000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02Pair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00 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추가 허브 등의 증폭장치 없이도 이더넷 전원공급(POE, Power over Ethernet) 기능을 제공하며, 직경이 최소화된 이더넷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더넷 케이블{ETHERNET CABLE}
본 고안은 이더넷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200 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추가 허브 등의 증폭장치 없이도 이더넷 전원공급(POE, Power over Ethernet) 기능을 제공하며, 직경이 최소화된 이더넷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더넷 전원공급(PoE) 기능은 IEEE 802.3af 및 802.3at 표준에 의해 정의된 전력 공급이 가능한 네트워킹 기능을 의미한다. 이더넷 전원공급(PoE) 규격을 만족하는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면 기존 데이터 연결을 위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력까지 공급할 수 있어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더넷 전원공급(Po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더넷 케이블 양단은 전력을 공급하는 장비(PSE)와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PD)로 연결하여 이더넷 통신과 함께 전력도 공급될 수 있다.
전력을 공급하는 장비(PSE)는 네트워크 스위치 형태로 구성되거나, POE 기능이 없는 스위치의 경우, 해당 스위치에 부가되는 이더넷 전원공급(PoE) 인젝터이고,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PD)는 VoIP 전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IP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종래 소개된 PoE 이더넷 케이블은 그 전력 전송거리는 100m 정도였다. 그러나, 전력 전송거리 100m 제한으로 인해 활용성이 떨어져, 최근에는 전송거리 100m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100m 이상의 장거리 전력 전송을 위하여, 이더넷 케이블을 구성하는 심선의 도체경을 늘려 심선의 저항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PSE) 또는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PD) 이외에도 별도의 추가 허브 등의 전력 증폭장치 등을 사용하였으나, 이더넷 케이블의 직경이 증가되고, 추가 장비가 필요하여 결국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200 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추가 허브 등의 증폭장치 없이도 이더넷 전원공급(POE, Power over Ethernet) 기능을 제공하며, 직경이 최소화된 이더넷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2 AWG 내지 24 AWG 직경의 도체 및 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한 쌍의 도선이 대연피치를 갖도록 꼬여 구성된 4개의 페어유닛; 및,
상기 페어유닛 전체를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페어유닛 각각의 대연피치 최소 대연피치는 12mm 내지 15mm 이며, 최대 대연피치는 상기 최소 대연피치의 2배 이상으로 구성되어,
최대 200 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1Gbps 전송 속도 및 POE+ (Power Over Ethernet) 전력전송 특성을 만족하는 이더넷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개의 페어유닛의 대연피치의 평균은 17 내지 22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페어유닛의 집합피치는 80 밀리미터(mm) 내지 12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의 외경은 6.0 밀리미터(m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어유닛의 도체 직경은 23 AWG이며, 200미터 기준 도체 저항은 12.5 옴(ohms) 이하이며, 200 미터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PD) 기준 전송 전력은 25W 이상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에 의하면, 이더넷 케이블의 도체과 각 페어유닛의 대연피치를 제어하여 추가 허브 등의 증폭장치 없이도 최대 200미터에 이르는 거리에서 1Gbps 전송 통신 특성 및 POE+ (Power Over Ethernet Plus) 전력전송 특성을 만족하는 직경 증대를 최소화 된 이더넷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각각 200미터 시험 대상 케이블 양측에 연결하여 도체저항(R), 근단누화(NEXT) 및 삽입손실(IL)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FLUKE社 DSX-8000, TP 케이블 인증기)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네트워크 스위치와 IP 카메라 간 이더넷 케이블 길이를 100m 부터 200m까지 10m 단위로 순차적으로 늘리며, IP 카메라의 정상동작 여부를 통해 이더넷 케이블의 PoE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본 고안의 200미터 기준의 삽입손실의 시험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본 고안의 실시예의 페어별 근단누화(NEXT)와 삽입손실의 관계의 시험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도체(11) 및 이를 감싸는 절연체(12)를 포함하는 한 쌍의 도선(10)이 대연피치를 갖도록 꼬여 구성된 4개의 페어유닛(20); 및 상기 페어유닛(20) 전체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더넷 케이블(100)은 UTP(언실드 트위스티드 페어(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100)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FTP(Foiled Twisted Pair), STP (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등 LAN 케이블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랜카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표준 신호선이다.
이러한 이더넷 케이블은 복수의 페어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어(C)와 그 코어(C)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케이블 자켓(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더넷 케이블(100)은 통신 신호의 전송속도(Mbps)와 전송대역(MHz)의 수준에 따라 카테고리(Category; 약자로 Cat.으로 표현)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Cat. 3 내지 Cat.8 등으로 등급의 통신 케이블이 소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케이블에 의하여 전송되는 전송속도(Mbps)와 전송대역(MHz)이 높아 질수록 더 높은 등급(Category)에 해당된다.
Cat.5e 등급의 이더넷 케이블은 400Mbps의 전송속도와 100MHz의 전송대역을 가지며 Cat.6 등급의 이더넷 케이블은 1Gbps의 전송속도와 250MHz의 전송대역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도체(11)가 절연체(12)로 피복되어 형성된 도선(10) 한 쌍을 미리 결정된 각각의 대연피치를 갖도록 꼬아 페어유닛(20)을 구성하고, 4개의 페어유닛(20)이 케이블 자켓(30)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선(10)의 도체(11)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구리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12)는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FEP(Flourinated Ethylene Prophylene) 등의 유전율이 낮고 가공이 용이한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상기와 같이 꼬여진 4개의 페어유닛(20)을 감싸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자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자켓(30)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PVC, 또는 올레핀(Olefin)계 고분자 물질 등의 절연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0.4 ~ 0.5mm 범위의 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체(11)의 직경이 통상적인 이더넷 케이블(100)보다 크게 구성되면서도 이더넷 케이블(100)의 전체 외경(D)은 통상적인 이더넷 케이블(100)과 같이 6밀리미터(mm) 이하로 구성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자켓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자켓(30)은 복수 개의 페어유닛(20)을 기계적으로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타 케이블이나 기타 전자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외계 간섭(Alien Crosstalk)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영향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종래 최대 100 미터(m) 정도의 거리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이더넷 전원공급(PoE)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체(11) 직경을 증대시키되 이더넷 케이블(100)의 외경을 종래의 이더넷 케이블(100) 수준, 약 6밀리미터(mm)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페어유닛(20) 중심부에 배치되던 세퍼레이터를 생략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이 100m 이상 바람직하게 200m까지 이더넷 전원공급(PoE)을 제공하기 위하여, 22 AWG 내지 24 AWG, 바람직하게는 23 AWG 직경의 도체(11) 및 이를 감싸는 절연체(12)를 포함하는 한 쌍의 도선(10)을 꼬아 페어유닛(2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선(10)을 구성하는 도체(11)의 직경이 증가되면, 순차적으로 R(레지스턴스)값 감소되고, 감쇄량 감소(마진개선)되고, 임피던스값이 감소되며, 반면 상기 도체(11)의 직경이 감소되면, R(레지스턴스)값 증가되고, 감쇄량 증가(마진감소)되고, 특성 임피던스값(Zo)이 증가되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도선(10)의 직경인 절연외경(d)과 관련하여, 절연외경(d)이 증가되면, 순차적으로 통신 케이블의 C(캐피시턴스)값 감소, 감쇄량 감소(마진개선), 특성 임피던스값(Zo)이 증가되며, 반면 절연외경(d)이 감소되면, C(캐피시턴트)값 증가, 감쇄량 증가(마진감소), 특성 임피던스값(Zo)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PoE 전송거리 확대를 위해서 도체(11)의 직경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결국 도체(11) 저항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도체(11) 저항은 도체(11)의 길이와 비례하고 이더넷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도체(11)의 길이는 대연피치와 반비례하므로, 결국 PoE 전송거리 확대를 위해서는 대연피치를 길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연피치의 경우 통신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더넷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페어유닛(20)의 대연피치를 무조건 길게 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이더넷 전원공급(PoE) 기능 외에도 통상적인 이더넷 통신기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연피치를 제어하였다.
아래의 표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과 일반적인 2종의이더넷 케이블(100)의 간단한 스펙과 성능 시험 비교표를 도시한다.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성능 시험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험장비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도 2는 각각 200미터 시험 대상 케이블 양측에 연결하여 도체저항(R), 근단누화(NEXT) 및 삽입손실(IL)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FLUKE社 DSX-8000, TP 케이블 인증기)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네트워크 스위치와 IP 카메라 간 이더넷 케이블 길이를 100m 부터 200m까지 10m 단위로 순차적으로 늘리며, IP 카메라의 정상동작 여부를 통해 이더넷 케이블의 PoE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테스트 장비에 시험 대상 이더넷 케이블을 200미터 길이로 연결하고, 도체저항(R), 근단누화(NEXT) 및 삽입손실(IL)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스위치(300)과 IP 카메라(400)을 연결하는 이더넷 케이블의 길이를 100미터에서 200미터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된 PC 등을 통해 IP 카메라에서 제공된 영상을 확인하여 IP 카메라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였다. 여기서, 네트워크 스위치(300)는 8개 포트 구비한 POE+ 규격을 지원하는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POE+ 규격상 하나의 포트당 최대 30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IP 카메라의 경우 full HD급(1080p) 촬영이 가능하고, 전원 규격은 12V DC 및 소비전류 1A인 제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PC(400) 등을 통해 영상이 정상적으로 전송되는지, 영상 식별 또는 시간 지연 발생 여부를 통해 전력 공급 또는 데이터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의 비교예 1은 페어유닛(20) 도선(10)을 구성하는 도체(11) 직경이 24 AWG이며, 케이블 중심부에 페어유닛(20)을 분리 이격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생략되고, 케이블 외경은 5.0 밀리미터(mm)의 CAT5e 규격의 이더넷 케이블(100)이다.
비교예 2는 페어유닛(20) 도선(10)을 구성하는 도체(11) 직경이 마찬가지로 24 AWG이며, 케이블 중심부에 페어유닛(20)을 분리 이격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케이블 외경은 5.8 밀리미터(mm)의 CAT6 규격의 이더넷 케이블(100)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페어유닛(20) 도선(10)을 구성하는 도체(11) 직경이 23 AWG이며, 케이블 중심부에 페어유닛(20)을 분리 이격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생략되고, 케이블 외경은 5.9 밀리미터(mm)의 PoE 이더넷 케이블(100)이다.
도체
직경
[AWG]
세퍼레이터 완성
외경
[mm]
대연 피치
(평균)
[mm]
200m
도체
저항
[Ω]
200m
소모전력
(P=I2R)
[W]
PD
전송
전력
[W]
PoE CCTV
영상전송시험
비교예1 24 X 5.0 12~15 18.52 5.60 24.40 최대 170m 전송
(불합격)
비교예2 24 O 5.8 12~15 16.76 5.07 24.93 최대 180m 전송
(불합격)
실시예 23 X 5.9 17~22 12.41 3.75 26.25 최대 200m 전송
(합격)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는 각각 4개의 페어유닛(20)을 구비하고, CAT6 등급의 비교예 2의 경우에만 각각의 페어유닛(20)을 분리 이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가 구비되었으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모두 케이블 외경이 6 밀리미터(mm)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본 고안의 실시예의 경우, 세퍼레이터가 생략되나 비교예 1과 비교예 2와 달리 더 큰 직경(23 AWG)의 도체(11)가 사용되고 4개의 페어유닛(20)의 평균 대연피치는 더 크게 구성되었다.
PoE 규격은 버전별로 IEEE 802.3af PoE (2003년) 버전 규격과 IEEE 802.3at PoE+ (2009년) 버전 규격으로 구분될 수 있고, 양 버전규격 모두 100 미터(m) 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PD) 기준 13W(PSE 최대송신전력 15.4W 기준) 및 25.5W(PSE 최대송신전력 30W 기준) 정도의 전송 전력을 스펙으로 요구한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모두 100 미터(m) 기준의 IEEE 802.3at PoE+ 규격의 PD 기준 전송 전력 조건은 만족하였지만,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IEEE 802.3at PoE+ 규격 거리보다 더 장거리 200미터 기준의 테스트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PD) 기준 전송 전력 조건인 25.5W는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본 고안의 실시예는 23AWG 도체(11)로 구성되고 평균 대연피치 역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12 내지 15 밀리미터(mm)보다 긴 17 내지 22 밀리미터(mm)로 구성되어 200 미터 도체 저항이 IEEE 802.3at PoE+ (2009년) 규격 저항인 12.5옴(Ω) 이하인 12.41 (Ω)를 만족한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24AWG 도체가 적용되고 대연피치도 길어, 100미터 IEEE 802.3at PoE+ (2009년) 규격 저항인 12.5옴(Ω) 조건을 200미터 거리에서는 만족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200미터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PD) 기준 전송 전력이 25.5W 보다 큰 26.25W로 측정되어 200미터 장거리 전력 전송 조건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본 고안의 200미터 기준의 삽입손실의 시험그래프를 도시한다.
모든 신호는 소스로부터 멀리 전달됨에 따라 점점 약해지며, 케이블을 따라 흐르는 이더넷 통신 신호도 마찬가지이다.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삽입손실(Insertion Loss) 또는 감쇄율이라 한다. 이더넷 케이블(100)이 설계 길이보다 길게 연결되는 경우 삽입손실이 증가하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더넷 케이블(100)을 통한 전력 전송 측면에서는 도체(11) 저항의 측면에서 최대한 대연피치를 길게 설계하는 것인 바람직하지만, 후술하는 삽입손실 및 근단누화 등을 고려하는 경우 대연피치의 정교한 설계가 요구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4개의 페어의 대연피치의 다양한 조합의 시험을 통해 4개의 페어유닛(20) 각각의 대연피치 최소 대연피치는 12mm 내지 15mm 이며, 최대 대연피치는 상기 최소 대연피치의 2배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 평균 대연피치가 14 밀리미터(mm) 이하로 구성되지만, 본 고안은 4개의 페어유닛(20)의 대연피치 평균이 19 밀리미터(mm) 이상이되, 최소 대연피치와 최대 대연피치가 2배 이상의 차이가 나도록 설계하여야 저항을 충분히 낮추면서도 삽입손실 또는 근단누화 등의 통신특성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삽입손실의 측면에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200미터 정도의 길이에서 통상적인 이더넷 케이블(100)의 통신성능을 제공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의 경우 도체(11) 직경을 적절히 선정하여 저항을 낮춤과 동시에 삽입손실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의 경우, 위에서 제안된 피치를 적용하는 경우 세퍼레이터(크로스 필러)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통신 특성(200m에서 1Gbps 전송속도) 만족하여 케이블 외경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본 고안의 실시예의 페어별 근단누화(NEXT)와 삽입손실의 관계의 시험 그래프를 도시한다.
근단누화(NEXT)란 임의의 한 회선에서 인접 회선으로 유기되는 노이즈를 제외한 전달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통신 케이블의 인접 페어 간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의 결합을 알아보는 척도로서 신호의 결합이 적을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내며, 신호전력 손실량(손실 신호전력 / 원 신호전력)을 dB값으로 표현되는데, dB값이 커질수록 신호의 간섭이 적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더넷 케이블(100)의 페어유닛(20)별 대연피치 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커질수록 근단누화(NEXT) dB값이 감소될 수 있다.
삽입손실(Insertion Loss)과 근단누화(NEXT)는 모두 케이블 또는 회로의 연결시 발생되는 노이즈로 가정할 수 있고 이는 ACR(attenuation-to-crosstalk ratio) ; 감쇠-근단누화비)로 표현될 수 있다. ACR은 도선 또는 전송 매체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감쇠와 근단 누화 간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신 회선의 수신측 종단에서 감쇠된 신호가 누화에 비해 얼마나 강한가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이고, 이론적으로 근단누화와 삽입손실이 교차되는 주파수 대역까지 정상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즉, 이더넷 케이블(100)의 길이가 길어지고 데이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삽입손실과 근단누화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손실의 합이 이더넷 케이블(100)의 데이터 통신라인 전체 채널가 노이즈로 인해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본 고안의 실시예의 페어별 근단누화(NEXT)와 삽입손실 그래프에서 비교예 1은 약 121MHz, 비교예 2는 약 135MHz,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약 151MHz 근방에서 삽입손실과 근단누화 손실이 교차하므로, 200미터 길이에서 각각 121MHz, 135MHz 그리고 151MHz 정도의 주파수 대역까지 통신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200미터 IEEE 802.3at PoE+ 규격의 전력 전송 능력도 만족함과 동시에 통상적인 1Gbps 전송속도를 만족하는 CAT6 등급 이더넷 케이블(100)의 동등 이상 수준의 통신 성능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로 100 미터를 넘는 거리에서 데이터와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상용 CCTV 구동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최대 170 미터 및 180미터까지 정상적인 영상 데이터 전송과 구동 전력 공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케이블(100)은 200미터 거리에서도 영상 데이터 전송과 구동 전력 공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이더넷 케이블
10 : 도선
11 : 도체
12 : 절연층
20 : 페어유닛
30 : 케이블 자켓

Claims (5)

  1. 22 AWG 내지 24 AWG 직경의 도체 및 이를 감싸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한 쌍의 도선이 대연피치를 갖도록 꼬여 구성된 4개의 페어유닛; 및,
    상기 페어유닛 전체를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페어유닛 각각의 대연피치 최소 대연피치는 12mm 내지 15mm 이며, 최대 대연피치는 상기 최소 대연피치의 2배 이상으로 구성되어,
    최대 200 미터 까지의 거리에서 1Gbps 전송 속도 및 POE+ (Power Over Ethernet) 전력전송 특성을 만족하는 이더넷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페어유닛의 대연피치의 평균은 17 내지 22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페어유닛의 집합피치는 80 밀리미터(mm) 내지 12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케이블의 외경은 6.0 밀리미터(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유닛의 도체 직경은 23 AWG이며, 200미터 기준 도체 저항은 12.5 옴(ohms) 이하이며, 200 미터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PD) 기준 전송 전력은 25W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케이블.
KR2020200003332U 2020-09-09 2020-09-14 이더넷 케이블 KR202200005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32U KR20220000572U (ko) 2020-09-09 2020-09-14 이더넷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363 2020-09-09
KR2020200003332U KR20220000572U (ko) 2020-09-09 2020-09-14 이더넷 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363 Division 2020-09-09 2020-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72U true KR20220000572U (ko) 2022-03-08

Family

ID=8081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32U KR20220000572U (ko) 2020-09-09 2020-09-14 이더넷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57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1239B2 (en) Alien crosstalk suppression with enhanced patch cord
US6875928B1 (en) Local area network cabling arrangement with randomized variation
US8928425B1 (en) Common mode detector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3908376B2 (ja) ケーブル媒体及び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US5952607A (en) Local area network cabling arrangement
US8425260B2 (en)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s cable having reduced susceptibility to modal alien crosstalk
US10950368B2 (en) I-shaped filler
KR20220000572U (ko) 이더넷 케이블
KR20220029517A (ko) PoE 케이블
US20230335314A1 (en) Poe cable
US10291285B2 (en) Methods for performing multi-disturber alien crosstalk limited signal-to-noise ratio tests
US10601185B2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module
US20210272720A1 (en) Telecommunications cable with twin jacket and barrier
JP3644736B2 (ja) 通信ケーブル
KR20100021093A (ko) 유티피 케이블
KR100917284B1 (ko) 유티피 케이블
US7354316B1 (en) Category 5e compliant patch panel
KR101848929B1 (ko) 통신 케이블
KR20070103690A (ko) xDSL 케이블
Buchanan et al. Cable Specifications
Buchanan et al. Cable Specifications
MXPA98000866A (en) Wiring arrangement of a network for area 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