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690A - xDSL 케이블 - Google Patents

xDSL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690A
KR20070103690A KR1020070037635A KR20070037635A KR20070103690A KR 20070103690 A KR20070103690 A KR 20070103690A KR 1020070037635 A KR1020070037635 A KR 1020070037635A KR 20070037635 A KR20070037635 A KR 20070037635A KR 20070103690 A KR20070103690 A KR 2007010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xdsl
diameter
copp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구엘 모란떼
수자나 꺄마라
또마 아에네르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07010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02Pair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05Quad constructions

Landscapes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외장(5)에 삽입된 개별적으로 절연된 구리 도체(2)의 다수의 꼬인 그룹(4)을 포함하는 xDSL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2)는 0.4 +/- 0.05 mm의 구리 직경을 갖고, 케이블(1)의 PSACR은 1 km의 길이에 대해 1 Mhz에서 30 dB이상이거나, 도체(2)는 0.5 +/- 0.05 mm의 구리 직경을 갖고, 케이블(1)의 PSACR은 1 km의 길이에 대해 1 Mhz에서 34 dB이상이고, 꼬인 그룹(4)은 20 mm이상의 일정한 꼬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xDSL 케이블, 구리, 도체, PSACR

Description

xDSL 케이블{xDSL CA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도체의 확대 세부도(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작동 감쇠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배선.
도 4는 첫 번째 유형의 본 발명의 케이블과 종래 기술을 비교한 테이블.
도 5는 두 번째 유형의 본 발명의 케이블과 종래 기술을 비교한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에 대한 종래 기술의 케이블의 길이에 대한 비트 전송률의 비교 성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높은 페어(pair)의 카운트 케이블과 그 다발의 두 개의 상이한 배열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전화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치전송에 사용되고 xDSL 시스템에 최적화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기통신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는 고성능 디지털 전송 시스템(줄여서 xDSL로 불림)을 도입하는 것이다. xDSL은 높은 비트 전송률(bit rate)을 가지고 서로 연결된 사용자 사이에서 종래의 전화 네트워크와 케이블을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모든 전통적인 전화 운영자는 오랫동안 전화 케이블 설계내역을 확립해왔고, 이는 케이블이 네트워크에서 설치되어야 하는 명목상의 최소한의 필요성을 정의한다. 이러한 설계내역은 초기에 만족스러운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치되었으며, 이 전화 서비스의 주파수 범위는 3400 Hz로 또는 일부 네트워크에서는 4000 Hz까지 제한된다.
이러한 운영자에게 팔고자하는 모든 케이블 제조업자는 가능하면 최저가로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그들의 제품을 최적화시켜왔다. 즉, 잘라낸 부분 또는 운영자의 검사에 의해 거절된 케이블이 너무 많지 않게 하면서 최소한의 요구사항만을 만족시키도록 제조상의 오차를 엄격히 함으로서 제품을 최적화시켜왔다.
xDSL의 문제는 오늘날 점점 더 요구되는 적용분야에 대처하기 위해 가능하면 가장 높은 데이터 비트 전송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xDSL 시스템은 데이터가 수 Mbit/s로 전송되도록 한다. 가장 발전된 xDSL 시스템은 짧은 거리이기는 하지만 30 Mhz 까지의 주파수에서 작동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더 높은 주파수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사용 상황은 전화 장치중 하나와 매우 상이하다.
xDSL 시스템 판매자가 그들의 시스템이 거의 모든 케이블에서 작동하도록 설 계되어 있다고 주장할지라도,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요소가 이러한 주장을 의심스럽게 만들고 있다:
- xDSL 시스템은 초기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높은 "필레이트(fill rate)"(케이블 내에서 동일한 페어(pair)를 이루는 다발(bundle)에서 작동되는 xDSL 시스템의 수)를 가져오는 결과에 직면하였다. 사실, xDSL 운영자 모뎀(DSLAM)에 일반적으로 연결시키기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은 100%의 xDSL 필을 포함한다.
- 운영자 사이의 경쟁은 운영자로 하여금 어쩔수 없이 "무제한 xDSL"을, 즉, 가능한 최대의 비트 전송률에서 작동되는 xDSL을 제공하게끔 하였고, 한편 최초에 제공였던 것이 너무 작은 값으로 제한된 소프트웨어였다. 따라서, 더 높은 비트 전송률을 제공하는 것은 운영자에게 상당히 경쟁력 있는 이점이며, 나아가 특히 고해상도 텔레비젼의 경우와 같이 높은 비트 전송률을 요구하는 IP에서의 TV가 현재 제공되고 있다.
종래 전화 케이블은 비교적 낮은 주파수에 대해 최적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결함이 있다. 따라서, 증가된 비트 전송률을 유지할 수 있는 xDSL에 적합한 케이블로 교체해야할 필요성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다룰 때에, 데이터 전송 세계(지역내 정보통신망(LAN))로부터 추출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다.
실내용 케이블이든 실외용 케이블이든, 케이블에 대한 세부사항은, 종래의 매개변수, 즉 누화(crosstalk)와 반사손실(return loss) 모두에 대해 보다 엄격한 요구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두 경우 모두에 대해, 최소한의 필요사항이 더 높이 설정되고, 더 높은 시험 주파수가 특정되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비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고, 좀처럼 달성하기 어려운 빛의 개선이 너무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미국특허 US 2005/173144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꼬인 도체를 갖는 케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케이블은 10 내지 80 mm의 범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는 일련의 피치(pitch)와 유전상수 1.87의 도체 직경에 비해 2.0 내지 2.2 배의 두께를 갖는 도체 절연부를 동시에 사용한다. 피치의 특별한 시퀀스는 감쇠를 줄이고, 디지털 전송에서 누화와 관련된 점을 개선한다.
이 미국특허 문서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용 통신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동일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피치가 기하학적 진행에 따라 달라지는 점에서 완전히 상이한 접근법이 사용된다.
피치의 이러한 기하학적 진행을 얻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면에서 받아들이기 어렵다. 대신, 본 발명은 케이블 분야에서 일반적인 일정한 피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에 삽입된 개별적으로 절연된 구리 도체의 다수의 꼬인 그룹을 포함하는 xDSL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는 0.4 +/- 0.05 mm의 구리 직경을 갖고, 케이블의 PSACR은 1 km의 길이에 대해 1 Mhz에서 30 dB이상이거나, 도체는 0.5 +/- 0.05 mm의 구리 직경을 갖고, 케이블의 PSACR은 1 km의 길이에 대해 1 Mhz에서 34 dB이상이고, 꼬인 그룹은 20 mm이상의 일정한 꼬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해결책은 대부분의 장치에서 사용되고 추구되고 있는 케이블(데이터 형태) 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xDSL 성능을 크게 증가시키는 케이블을 생산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해결책은 xDSL 비트 전송률을 크게 향상시킬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은 바람직하게 특히 먼 거리에서 xDSL 통화량이 종래의 케이블 보다 100% 더 높은 비트 전송율을 가지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개선된 성능의 케이블은 또한 현존하는 전화 사업자의 설계내역을 충족시킨다. 이는 사업자가 설계내역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할 때 매우 유리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의 도체는 페어로 또는 쿼드로 꼬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리 도체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의 직경의 비율은 쿼드 그룹의 도체에 대해 1.8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리 도체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의 직경의 비율은 페어 그룹의 도체에 대해 1.9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과 상기 도체의 그룹 사이에 스크린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과 상기 도체의 그룹 사이에 방수 충전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리 도체는 폼, 폼-스킨, 스킨-폼-스킨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의 재료로 절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은 PVC, PE, LSZH 화합물 중 하나의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은 Al과 Al + PET 중 하나의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그룹은 개별적으로 스크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DSL 케이블을 특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최소의 필요한 비트 전송률과 케이블의 관련된 최소의 PSACR을 한정하는 단계,
b) 도체(2)의 구리 직경에 대해 최소값을 선택하는 단계,
c) 일정한 꼬임 길이에 대해 최대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구리 도체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의 직경의 비율에 대해 최소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구체적인 내용 및 이점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을 보면, 전화 케이블(1)은 일반적으로 구리로 만들어진 다수의 도체(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도 1의 A의 확대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체(2)는 둘레의 절연체(3)에 의해 개별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절연된 도체(2)는 그룹(4)으로 제조된다. 각각의 그룹(4)은 개별적으로 꼬여있다. 다수의 그룹(4)은 케이블(1)을 형성하도록 다발로 또는 동심 층으로 모여있다. 각각의 다발은 스크린(screen)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케이블(1)은 64개의 도체 또는 그 이상으로 된 다수의 도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도체는 도체(2)를 보호하는 외장(5)에 삽입된다.
도체(2)의 구리 직경이 증가하면 더 좋은 전송 특성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리는 값이 비싼 금속이고, 너무 큰 직경을 갖는 도체로 케이블을 제조하지 않도록 경제적인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1)은 현재의 전화 네트워크 케이블을 점차적으로 교체하도록 되고 있다. 모든 주위의 네트워크 또는 유지보수 장치와 함께 이러한 현존하는 케이블은 0.4 또는 0.5 mm의 구리 직경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경제적인 측면과 관습적인 측면의 두 가지 이유로, 본 발명의 케이블(1)은 바람직하게 동일한 범위에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주요 아이디어는, 누화가 (매우 느린 제조속도를) 수행하기에 비용이 많이 드는 특성이 있고 또한 성능을 향상시키기에 비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점 에서 출발한다. 케이블의 감쇠를 줄임으로써 비트 전송률에 있어서 더 높은 이득을 (이론적으로 실험적으로)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는 데이터 케이블에 대해 직관적이지 않은 해결방안이다. 왜냐하면 반사손실이 증가되고, 반사파(echo)가 생성되고, 임피던스 불일치 손실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xDSL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양 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반사 손실과 반사파에 대한 내구력이 강하다. 게다가, 높은 손실은 네트워크에서 깊이 생성되는 반사파와 반사 손실을 효과적으로 엄폐한다(즉, 모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임피던스 불일치 손실은 긴 케이블 길이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지 xDSL 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다: 즉, 전송 손실의 감소는 불일치 손실을 상쇄하는 것 이상이다. 이러한 것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100 미터로 제한되는 데이터 케이블에서, 사실이 아니다. 도 3을 참고하면, 반사 손실을 포함하는 작동 감쇠 ab는 아래의 관계식에 의해 케이블 a의 감쇠에 대하여 표현될 수 있다:
aB = a + 20log│q1│ + 20log│q2│ + 20log│w│
Figure 112007029267603-PAT00001
Figure 112007029267603-PAT00002
Figure 112007029267603-PAT00003
여기에서:
a는 반사 손실이 없는 케이블의 감쇠이고,
ab는 케이블의 작동 감쇠이고,
q1 및 q2는 시스템 임피던스로부터 케이블 임피던스까지의 단계에 의한 불일치 손실이고,
w는 다중 반사에 의한 상호작용 손실이고,
γ는 케이블의 복합(복소수) 감쇠 상수이고,
l은 케이블의 길이이고,
Z0는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이고,
Z1은 발생기의 임피던스이고,
Z2는 수신기의 임피던스이다.
일반적인 값인 시스템 임피던스에 대한 100 옴과 케이블 임피던스에 대한 130 옴에 대해, 불일치 손실 q는 0.1 dB이고, 이것은 케이블 감쇠의 증가에 비해 무시할만 하다.
긴 케이블 길이 또는 높은 감쇠에 대해, 상호작용 손실 w는 1, 즉 0 dB이 되며, 이는 xDSL 장치에서 일반적인 사실이다.
이전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더 높은 비트 전송률을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을 최적화하려고 할 때, 출원인은 바람직하게 PSACR 값의 최소측정값이 케이블(1)의 비트 전송률의 성능과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PSACR은 혼선의 감쇠 비율(ACR)로서 정의된다. 이 ACR은 PSACR을 얻기 위해 파워섬(PS)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PSACR 측정은 표준 문서 IEC 61156-1 Ed. 1.2에 그리고 위원회 초안 46C/757/CD Ed 3.0의 섹션 3.11에 기재되어 있다. 청구 발명의 목적을 위해, 케이블 내의 각 페어의 PSACR은 1km의 케이블 길이에 대해 1 M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다(dB). 이러한 측정을 위해, 쿼드(quad)는 두 개의 페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PSACR이 1Mhz에서 지정되어 있어도, 100 KHz 내지 10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된다. 이것은 측정된 곡선 위에서 포락선을 그릴 수 있고, 이 포락선으로부터 값을 취할 수 있도록 행해진다. 이것은 PSACR, 각각 PSNEXT 측정값이 측정 길이를 바꿀 때 변하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내는 종속적인 길이 및 주파수이기 때문에 필수적인 것이다.
꼬임 길이는 성능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매개변수이다. 꼬임 길이는 그룹(4) 내에서 도체(2)의 꼬임 주기의 평균 측정값이다. 더욱 꼬여 있는 그룹(4)은, 즉 꼬임 길이가 더 짧은 경우에는, 더 좋은 성능에 이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값의 꼬임 길이에 있어서 꼬임 작업의 비용은 너무 비싸진다. 본 발명은 성능의 결과가 20 mm 또는 그 이상의 일정한 꼬임 길이를 가지고 얻어질 수 있게 한다.
꼬인 도체(2)의 그룹(4)은 네 개의 도체(2)를 포함하는 쿼드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두 개의 도체(2)를 포함하는 페어가 될 수도 있다.
성능과 관련된 또 다른 매개변수는 절연된 구리 도체(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3)의 직경의 비율이다. 성능은 절연체(3)의 상대적인 양이 증가할 때 증가한다. 이런식으로는, 케이블의 전체 직경과 가격이 또한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성능이 많이 향상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쿼드 그룹의 도체에 대해 1.8의 절연비와 페어로된 그룹의 도체에 대해 1.9의 절연비로 최소 구리를 가지고 최종적인 성능을 얻도록 한다.
케이블(1)은 도체(2)의 그룹(4)과 외장(5) 사이에 스크린(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의 임계적으로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1)은 또한 외장(5)과 도체(2)의 꼬인 그룹(4) 사이에 방수 충전재(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체의 절연체(3)용 재료는 일반적으로 폼(foam), 폼-스킨(foam-skin), 또는 스킨-폼-스킨(skin-foam-skin)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고형 폴리에틸렌의 예로서 Repsol에서 만든 제품 TR-210 Alcudia®이 있다. 폼-스킨 폴리에틸렌의 예로서 Borealis에서 만든 제품 HE1344가 있다.
절연층(5)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SCAPA S500 또는 POLYONE ECCOH 5860과 같은,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및 난연무독성(Low Smoke Zero Halogen; LSZH) 화합물을 갖거나 갖지 않는,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스크린(7)은 외부 장치용으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 테이프로 제조된다. 이 경우 금속 테이프의 일반적인 두께는 약 0.15 내지 0.2 mm이다.
내부 장치용으로, 스크린(7)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과 폴리에스테르(PET)와 같은 금속과 플라스틱의 조합으로 제조된 샌드위치 형태이다. 샌드위치 형태의 일반적인 두께는 이 경우 약 0.05 m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xDSL 케이블은 다수의 그룹(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룹(4) 중 일부는 다발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발은 스크린 될 수 있다.
높은 페어의 수(예를 들어 128 페어)에 대해, 다수의 이러한 페어 또는 쿼드는 다발로 함께 제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32 페어의 4 다발). 이러한 다발로 된 페어는 동심 층(예를 들어 5 + 11 + 16)으로 또는 하위 다발(예를 들어 8 페어의 다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발 또는 하위 다발의 각각은 스크린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23 페어의 케이블 및 128 페어의 케이블에 대해 각각 다발로 된 조립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을 특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에 의해 처리된다: 최소로 필요한 비트 전송률에 대해 최소의 PSACR이 연결된다. 이러한 최소의 PSACR은 실제 구리 케이블 시설에서 xDSL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필요한 최소 PSACR에 대해, 최소의 도체(2)의 구리 직경과 최소의 꼬임 길이가 선택된다. 이렇게 얻어진 PSACR 성능은 비트 전송률에서 관련된 성능을 보장한다.
나아가, 절연체(3)의 직경에 대한 구리 도체(2)의 직경의 비율의 최대값은 최대 꼬임 길이를 특정하는 단계로 진행되기 전에 주어질 것이다.
비용에 대하여 구리 직경이 미치는 영향이 페어의 꼬임 길이보다 크기 때문에(구리 직경이 증가되면 절연체 직경도 증가되고, 즉 동일한 비율로 증가되고, 최 종적으로 케이블의 직경이 증가된다), 최소의 PSACR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하면 가장 작은 구리 직경이 선택된다.
도 4 및 도 5의 테이블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에 대한 실제의 예가 되는 샘플을 제공한다. 이 테이블은 또한 종래 케이블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을 제공한다.
도 4의 테이블은 실내의 페어를 이루는 충전재가 없는 케이블을 보여준다. 두 개의 종래기술의 케이블이 첫 번째 열 내과 두 번째 열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세 번째 열과 마지막 열에 나타나 있다.
도 5의 테이블은 실외의 쿼드식 충전재가 있는 케이블을 보여준다. 세 개의 종래 기술의 케이블이 첫 번째 열 내지 세 번째 열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마지막 열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6은 케이블 길이(수평축, km)에 대한 비트 전송률(수직축, Mbit/s)의 비교 성능 곡선을 보여준다. 아래의 곡선은 종래 기술의 케이블에 대응하고, 위의 곡선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대부분의 장치에서 사용되고 추구되고 있는 케이블(데이터 형태) 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xDSL 성능을 크게 증가시키는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xDSL 비트 전송률을 크게 향상시킬 가능성을 제공하여, xDSL 시스템에 최적화된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외장(5)에 삽입된 개별적으로 절연된 구리 도체(2)의 다수의 꼬인 그룹(4)을 포함하는 xDSL 케이블에 있어서,
    - 도체(2)는 0.4 +/- 0.05 mm의 구리 직경을 갖고, 케이블(1)의 PSACR은 1 km의 길이에 대해 1 Mhz에서 30 dB이상이거나,
    - 도체(2)는 0.5 +/- 0.05 mm의 구리 직경을 갖고, 케이블(1)의 PSACR은 1 km의 길이에 대해 1 Mhz에서 34 dB이상이고;
    - 꼬인 그룹(4)은 20 mm이상의 일정한 꼬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4)은 페어 또는 쿼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구리 도체(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3)의 직경의 비율은 쿼드 그룹의 도체(2)에 대해 1.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구리 도체(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3)의 직경의 비율은 페어 그룹의 도 체(2)에 대해 1.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5)과 상기 도체(2)의 그룹(4) 사이에 스크린(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5)과 상기 도체(2)의 그룹(4) 사이에 방수 충전재(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도체(2)는 폼, 폼-스킨, 스킨-폼-스킨 폴리올레핀 중 하나의 재료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은 PVC, PE, LSZH 화합물 중 하나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7)은 Al과 Al + PET 중 하나의 재료로 제조된 테이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그룹(4)이 다발로 함께 제조되고 이러한 다발은 스크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그룹(4)은 개별적으로 스크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
  12. a) 최소의 필요한 비트 전송률과 케이블의 관련된 최소의 PSACR을 한정하는 단계;
    b) 도체(2)의 구리 직경에 대해 최소값을 선택하는 단계;
    c) 일정한 꼬임 길이에 대해 최대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DSL 케이블(1)을 특정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구리 도체(2)의 직경에 대한 절연체(3)의 직경의 비율에 대해 최소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37635A 2006-04-19 2007-04-17 xDSL 케이블 KR20070103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300377.6 2006-04-19
EP06300377A EP1848007A1 (en) 2006-04-19 2006-04-19 XDSL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690A true KR20070103690A (ko) 2007-10-24

Family

ID=3693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635A KR20070103690A (ko) 2006-04-19 2007-04-17 xDSL 케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848007A1 (ko)
KR (1) KR20070103690A (ko)
CN (1) CN1010716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9274B1 (fr) * 2009-08-19 2012-03-23 Nexans Cable de communication de donne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00850A (pt) * 2002-03-18 2003-11-11 Pirelli Telecomunicacoees Cabo Cabo de condutores metálicos trançados de superior desempenho elétrico para uso em sistemas digita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8007A1 (en) 2007-10-24
CN101071659A (zh)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7659B2 (en) High performance data cable
KR100302533B1 (ko) 케이블부설매체및근거리통신망
KR100503688B1 (ko) 케이블접속매체와통신신호캐리어와근거리통신망
KR970004552B1 (ko) 케이블링 장치
US7053310B2 (en) Bundled cable using varying twist schemes between sub-cables
US20080105449A1 (en) Periodic Variation of Velocity of Propagation to Reduce Additive Distortion Along Cable Length
CN1070282A (zh) 用于传输高频信号的耐高温电缆
US10950368B2 (en) I-shaped filler
US10741305B2 (en) Double P jacket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KR20120027947A (ko) 난연 차폐 테이프를 구비하는 통신용 케이블
KR20070103690A (ko) xDSL 케이블
US11551830B2 (en) Telecommunications cable with twin jacket and barrier
US10347399B2 (en) M-jacket for a telecommunications cable
EP1848008A2 (en) XDSL cable
KR20230125890A (ko) 가동용 이더넷 케이블
US10566110B2 (en) Channeled insulation for telecommunication cable
RU196042U1 (ru) Кабель связи
JPH0950715A (ja) 通信ケーブル
KR200190771Y1 (ko) 펄스부호변조 다중화 장비의 국내배선용 단자함과 교환기단자반의 접속 케이블
JP2001143542A (ja) 多対ケーブル
Lampen et al. Transmission techniques: Wire and cable
Self Transmission Techniques: Wire and Cable: Handbook for Sound Engineers by Glen Ball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