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00U - 만화경 - Google Patents

만화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00U
KR20220000400U KR2020200002897U KR20200002897U KR20220000400U KR 20220000400 U KR20220000400 U KR 20220000400U KR 2020200002897 U KR2020200002897 U KR 2020200002897U KR 20200002897 U KR20200002897 U KR 20200002897U KR 20220000400 U KR20220000400 U KR 20220000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triangular tubular
triangular
kaleidoscop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879Y1 (ko
Inventor
이대석
Original Assignee
(주)선두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두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선두사이언스
Priority to KR2020200002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7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8Kalei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5/00Peep-shows, e.g. raree-shows; Kaleidoscopic or other opalescence exhib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만화경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거울면이 부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안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투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제1 삼각통체와; 일측에는 상기 제1 삼각통체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마감판과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슬릿부가 절개되어 있는 제2 삼각통체와; 상기 슬릿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삼각통체 속으로 삽입되는 문양부를 갖는 다수장의 문양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문양부의 종류와 삽입 깊이 및 제1 삼각통체의 삽입 깊이를 자유롭게 변경해 가면서 상기 접안구를 통해서 다양하고 아름다운 상(像)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만화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화경{kaleidoscope}
본 고안은 만화경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거울면이 부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안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투광막이 설치되어 있는 제1 삼각통체와; 일측에는 상기 제1 삼각통체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마감판과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슬릿부가 절개되어 있는 제2 삼각통체와; 상기 슬릿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삼각통체 속으로 삽입되는 문양부를 갖는 다수장의 문양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문양부의 종류와 삽입 깊이 및 제1 삼각통체의 삽입 깊이를 자유롭게 변경해 가면서 상기 접안구를 통해서 다양하고 아름다운 상(像)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만화경에 관한 것이다.
만화경(kaleidoscope)은 거울을 이용해서 여러가지 색상과 문양을 볼 수 있도록 고안된 시각적인 완구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길쭉한 3개의 평면거울을 삼각기둥 형태로 맞붙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삼각통체의 일측 단부는 반투명 필름으로 봉하고, 타측 단부에는 접안구가 마련된다.
상기 삼각통체 내부에 작은 색종이 조각이나 셀룰로이드 조각을 넣고, 반투명 필름을 밝은 쪽으로 향하게 한 다음, 상기 접안구를 통해서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상기 삼각통체를 천천히 돌리면, 반사에 의해 다양한 무늬가 변화하며 다양한 상(像)과 갖가지 아름다운 모양을 나타낸다.
종래에도 등록실용신안 제20-0190572호(2000년 05월 17일)에는, 소정의 형상과 문양이 인쇄된 활용카드를 만화경 몸체 내측으로 삽입하여 빛의 원리와 도형의 유추, 색의 조합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만화경이 소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63242호(2004년 09월 16일)에는, 원통 어항 속에서 움직이는 물고기와 기포 혹은 불빛이 반짝이 물질에 의해 3각 거울 내부에 현란하게 투영되도록 구성한 만화경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89526호(2005년 07월 04일)에는, 색종이 조각이나 셀룰로이드 조각을 넣어 관찰하는 배경통을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는 회전판을 구비한 만화경이 소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97866호(2005년 09월 30일)에는 고휘도 LED 등의 발광체를 이용하여 위에서 뿐만 아니라 옆에서도 볼 수 있도록 고안된 만화경이 소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90572호(2000년 05월 17일) 등록실용신안 제20-0363242호(2004년 09월 16일) 등록실용신안 제20-0389526호(2005년 07월 04일) 등록실용신안 제20-0397866호(2005년 09월 30일)
이처럼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의 만화경들이 개발되어 있고, 이들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구조와 형상을 변경하여 새로운 작용 효과를 나타내게 함으로써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에게 색다른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아름다운 상(像)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만화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만화경은,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3개의 거울면(11)이 부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안구(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투광막(13)이 설치되어 있는 제1 삼각통체(10)와; 상기 제1 삼각통체(10)를 장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투광막(13) 쪽 단부가 출입하는 개구부(2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마감판(22) 내면에 발광램프(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단변 방향으로 슬릿부(24)가 절개되어 있는 제2 삼각통체(20)와; 상기 슬릿부(24)를 통해서 상기 제2 삼각통체(20)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투광박(13)과 발광램프(23) 사이에 배치되는 문양부(31)와 이를 지지하는 손잡이부(32)로 구성되는 다수장의 문양카드(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만화경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이 스스로 제작 및 조립할 수 있는 학습교재용이나 놀이용으로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만화경은 사용자가 제2 삼각통체의 슬릿부에 삽입되는 문양부의 종류와 삽입 깊이, 그리고 제2 삼각통체에 삽입되는 제1 삼각통체의 삽입 깊이를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상기 접안구를 통해서 다양하고 아름다운 상(像)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경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만화경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상기 만화경을 구성하는 문양카드(30)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만화경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삼각통체(10)와 제2 삼각통체(20) 및 다수장의 문양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삼각통체(10)는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통상적인 만화경과 마찬가지로 내면에는 서로 비스듬히 대향하는 3개의 거울면(1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거울면(11)으로는 통상적인 거울시트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삼각통체(10)의 일측에는 접안구(1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투광막(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안구(12)는 사용자가 한쪽 눈을 갖다 대고 상기 제1 삼각통체(10)의 내부를 관찰하는 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투광막(13)은 예컨대 습자지나 한지처럼 뒤쪽이 비칠 만큼 얇은 투광성 백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삼각통체(20)는 상기 제1 삼각통체(10)를 장변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투광막(13) 쪽 단부가 출입하는 개구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삼각통체(20)의 타측은 마감판(22)에 의해 차단되어 있고, 상기 마감판(22)의 내면에 발광램프(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삼각통체(20)의 삼면 중 일면에는 단변 방향, 즉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릿부(24)가 절개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24)는 상기 발광램프(2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광램프(23)는 다색 점멸 기능을 갖는 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삼각통체(20)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램프(23)를 제어하는 스위치(23a)가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문양카드(30)는 상기 슬릿부(24)를 통해서 제2 삼각통체(20) 속으로 삽입되는 문양부(31)와 이를 지지하는 손잡이부(32)를 갖는다. 상기 슬릿부(24) 속으로 삽입된 문양부(31)는 상기 투광막(13)과 상기 발광램프(2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문양카드(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양부(31)의 모양이 서로 다른 다수장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직접 특수한 문양부(31)를 갖는 문양카드(30)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삼각통체(10)와 상기 제2 삼각통체(20) 및 상기 문양카드(30)는 각각 적당한 두께를 갖는 흑판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삼각통체(10)의 경우, 흑판지로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을 구성하고, 그 내면에 거울시트지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만화경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삼각통체(10)를 접안구(12) 쪽에서 장변 방향으로 제2 삼각통체(20)의 개구부(21) 속으로 삽입하고, 제2 삼각통체(20)의 슬릿부(24)에는 문양카드(30)의 문양부(31)를 삽입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문양부(31)가 제1 삼각통체(10)의 투광막(13)과 제2 삼각통체(20)의 발광램프(23) 사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발광램프(23)를 점등하면, 상기 문양부(31)의 그림자가 투광막(13)에 비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안구(12)를 통해서 제1 삼각통체(10)의 내부를 관찰하면, 상기 투광막(13)에 비친 문양부(31)의 그림자가 거울면(11)을 통해 서로 반사되면서 매우 다양하고 아름다운 상(像)이 관찰된다.
이때, 동일한 문양카드(30)를 사용하더라도 슬릿부(24)에 삽입되는 문양부(31)의 깊이에 따라 접안구(12)를 통해서 관찰되는 상(像)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제1 삼각통체(10)가 제2 삼각통체(20)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서도 접안구(12)를 통해서 관찰되는 상(像)이 다르게 나타난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발광램프(23)의 색상이 자동으로 변하면서 점멸하도록 구성하면, 훨씬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상(像)을 관찰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양카드(30)의 종류를 바꾸어 가면서 또한, 상기 문양부(31)와 제1 삼각통체(10)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금씩 바꾸어 가면서 다양하고 아름답게 변화하는 상(像)의 모양과 색상을 관찰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만화경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2 삼각통체(20)에서 문양카드(30)를 제거하고, 제1 삼각통체(10)를 제2 삼각통체(20) 속으로 완전히 수납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10)제1 삼각통체 (11)거울면
(12)접안구 (13)투광막
(20)제2 삼각통체 (21)개구부
(22)마감판 (23)발광램프
(23a)스위치 (24)슬릿부
(30)문양카드 (31)문양부
(32)손잡이부

Claims (4)

  1.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3개의 거울면(11)이 부착되어 있고, 일측에는 접안구(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투광막(13)이 설치되어 있는 제1 삼각통체(10)와;
    상기 제1 삼각통체(10)를 장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중공형 삼각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투광막(13) 쪽 단부가 출입하는 개구부(2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마감판(22) 내면에 발광램프(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단변 방향으로 슬릿부(24)가 절개되어 있는 제2 삼각통체(20)와;
    상기 슬릿부(24)를 통해서 상기 제2 삼각통체(20)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투광막(13)과 발광램프(23) 사이에 배치되는 문양부(31)와, 이를 지지하는 손잡이부(32)로 구성되는 다수장의 문양카드(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각통체(10)와 제2 삼각통체(20) 및 문양카드(30)는 흑판지로 구성되고, 상기 투광막(13)은 투광성 백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삼각통체(20)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램프(23)를 제어하는 스위치(23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램프(23)는 다색 점멸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경.
KR2020200002897U 2020-08-07 2020-08-07 만화경 KR200495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897U KR200495879Y1 (ko) 2020-08-07 2020-08-07 만화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897U KR200495879Y1 (ko) 2020-08-07 2020-08-07 만화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00U true KR20220000400U (ko) 2022-02-15
KR200495879Y1 KR200495879Y1 (ko) 2022-09-08

Family

ID=8025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897U KR200495879Y1 (ko) 2020-08-07 2020-08-07 만화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7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72Y1 (ko) 2000-02-01 2000-08-01 주식회사프뢰벨미디어 유희용 만화경
KR200363242Y1 (ko) 2004-07-07 2004-10-01 이재원 만화경
KR200389526Y1 (ko) 2005-04-06 2005-07-14 정영현 만화경
KR200397866Y1 (ko) 2005-06-28 2005-10-10 박정균 반사유리를 이용한 만화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893A (ja) * 1999-09-20 2001-04-06 Ochi International Kk 万華鏡
CN202815317U (zh) * 2012-06-28 2013-03-20 寿震森 带有led变幻彩灯的万花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72Y1 (ko) 2000-02-01 2000-08-01 주식회사프뢰벨미디어 유희용 만화경
KR200363242Y1 (ko) 2004-07-07 2004-10-01 이재원 만화경
KR200389526Y1 (ko) 2005-04-06 2005-07-14 정영현 만화경
KR200397866Y1 (ko) 2005-06-28 2005-10-10 박정균 반사유리를 이용한 만화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879Y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784B2 (en) Photo-chromic and phosphorescent toys
US20070054590A1 (en) Photo-chromic toys
KR100240288B1 (ko) 장식용 발광장치
EP3425616A1 (en) Back-lit lightbox
KR200495879Y1 (ko) 만화경
US6238261B1 (en) Light transmitting peg for use in a toy illuminating assembly
US20030099104A1 (en) Lighting fixture with image projection effects
US2748260A (en) Molded dougle-faced jack-omicron'-lantern
US5816883A (en) Fiber optic wand with illuminated figurehead
JP3113085U (ja) ソーラ式表示器具
US8376137B2 (en) Try me packaging for an ultraviolet reveal feature
KR19990015223A (ko) 조명방식의 광고겸용 장식용 액자
CN214680040U (zh) 一种光学玩具
WO1999026101A1 (en) Illumination system for kaleidoscopes
JP3160533U (ja) 照明付き額縁
KR200363242Y1 (ko) 만화경
JP4736600B2 (ja) 万華鏡
CN214853742U (zh) 一种多功能虫具
RU38968U1 (ru) Калейдоскоп (варианты)
CN209470064U (zh) 一种立体图案观赏灯
JPS5939715Y2 (ja) 星座学習装置
CN114859564A (zh) 一种实芯万花筒
KR20110003629U (ko) 전광식 보드
CN205680387U (zh) 一种发光牌
KR200263158Y1 (ko) 발광 인형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