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62U -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 Google Patents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62U
KR20220000362U KR2020200002833U KR20200002833U KR20220000362U KR 20220000362 U KR20220000362 U KR 20220000362U KR 2020200002833 U KR2020200002833 U KR 2020200002833U KR 20200002833 U KR20200002833 U KR 20200002833U KR 20220000362 U KR20220000362 U KR 202200003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 storage
plate
diary
r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명
Original Assignee
박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명 filed Critical 박현명
Priority to KR2020200002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362U/ko
Publication of KR20220000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5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과 후면에 이중으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카드삽입구가 형성된 다양한 다이어리 커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직한 일정 크기의 후면판(51)과; 후면판(51)의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 하부에 이격되어 후면판(51)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양측면과 하단부가 접착되어, 후면판(51)의 전면부와의 사이에 제1카드수납공간(61)이 형성되는 카드수납판(52);으로 이루어지며,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와 접혀진 후면판(51)의 사이에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Diary cover}
본 고안은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과 후면에 이중으로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느 카드수납케이스를 다양한 다이어리 커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첩 등을 포함하는 다이어리는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 든지 편리하게 메모 등을 하게 되는데, 통상 표지와 이 표지에 제본된 기록내지를 포함하여 이 기록내지를 통해 메모 등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기능성을 요구하는 근래의 추세에 따라 다이어리에는 지갑, 주민등록증 또는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기능이 더 추가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카드 수납용 속지를 구성하기도 한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622877호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제조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이면에 핫멜트필름이 접합되거나 또는 핫멜트처리되는 카드수납부 원지를 준비하는 카드수납부 원지 준비단계(S10)와, 상기 카드수납부 원지 이면으로 위치 고정될 다수의 카드 포켓지를 준비하는 카드 포켓지 준비단계(S20)와, 상기 카드수납부 원지와 대응되는 마감지와, 다수의 카드 포켓지와 상기 카드수납부 원지를 지그에 순차적으로 안착하며 위치 고정하는 카드 포켓지 및 카드수납부 원지 고정단계(S30)와, 상기 지그에 안착되는 카드수납부 원지 외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날개부로 되는 파지편을 절첩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어 상기 카드 포켓지의 일측을 파지하는 카드 포켓지 파지 단계(S40)와, 상기 카드 포켓지 파지 단계(S40)에 의해 일측이 파지되며 상기 지그에 고정되며 안착된 카드수납부 원지와 카드 포켓지를 열프레스로 열융착하는 열융착단계(S50)로 이루어지는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30)의 상면으로는 이격 되며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핀(31)을 상기 지그(30)에 다수 형성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탄지되는 가이드홈에 끼워져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마감지, 다수의 카드 포켓지, 카드수납부 원지가 순차적으로 위치 고정되도록 한 후, 일시에 열프레싱 열융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양의 카드의 수납이 불가능하면 수납된 카드의 유실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622877호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제조방법"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면판의 전면에 카드수납판을 접합하고 후면판을 접도록 구성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면서도 재료비를 절감하도록 할 수 있는 카드수납판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카드를 이중으로 삽입할 수 있는 카드수납케이스를 다이어리 커버의 내부에 설치하여 많은 카드 및 명함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수납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안은 일정 크기의 표지부(10)와; 복수의 카드삽입구(21)가 절개되어 구성되며 표지부(10)의 내측면에 겹쳐져 테두리의 일부가 접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드수납부(20)와; 수직한 일정 크기의 후면판(51)과; 후면판(51)의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 하부에 이격되어 후면판(51)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양측면과 하단부가 접착되어, 후면판(51)의 전면부와의 사이에 제1카드수납공간(61)이 형성되는 카드수납판(52)로 이루어지며,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와 접혀진 후면판(51)의 사이에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는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의 후면판(51) 전면 상단부가 카드삽입구(21) 내측면의 상부에 접합되고,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삽입구(21)의 내측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나의 카드삽입구(21)에서 제1카드수납공간(61) 및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드 수납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카드 수납판(52)의 전면의 상부에는 카드 수납판(52)의 상단부보다 상부로 돌출하도록 색인부(53)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이어리용 이중 카드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색인부(53)는 카드수납판(52)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카드수납부(20)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신분증 삽입구(22)가 형성되고, 신분증 삽입구(22)의 하부면에는 일정 크기로 개구되고 투명필름(23)으로 마감되며, 신분증 삽입구(22)의 내측면에서 투명필름(23)의 후면에는 상단부가 신분증 삽입구(22)의 내측면에 접합되는 카드 분리판(2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이용한 다이어리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는 후면판의 전면에 카드수납판을 접합하고 후면판을 접도록 구성하여 카드수납판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카드를 이중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면서도 재료비를 절감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이어리 커버의 내부에 끼워져 카드 및 명함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수납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 커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는 본 고안은 수직한 일정 크기의 후면판(51)과; 후면판(51)의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 하부에 이격되어 후면판(51)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양측면과 하단부가 접착되어, 후면판(51)의 전면부와의 사이에 제1카드수납공간(61)이 형성되는 카드수납판(52)으로 이루어진다.
카드수납판(52)의 양측 단부와 하단부만이 후면판(51)의 전면부의 상부에 접착되도록 하여 내부에 카드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카드수납판(52)의 상단부는 후면판(51)의 상단부에서 일정거리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다이어리 커버에 구성시에 카드수납판(52)의 상부에 위치한 후면판(51)의 전면부가 다이어리 커버의 카드수납부(20)의 내측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는 도 2에서와 같이, 절개선(59)을 기준으로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와 접혀진 후면판(51)의 사이에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는 카드수납판(52)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제1 카드 수납공한(61) 및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절개선(59)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후면판(51)의 양측 단부를 별도로 접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잇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접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카드수납판(52)의 전면의 상부에는 카드수납판(52)의 상단부보다 상부로 돌출하도록 색인부(53)가 접합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다이어리 커버의 카드삽입구(21)의 외측으로 색인부(53)가 돌출하도록 하여 색인부(53)를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카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색인부(51)는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의 상단부에 접합되도록 한다.
특히, 색인부(53)는 카드수납판(52)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부에서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함과 동시에 카드의 분리 수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이어리 커버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는 다양한 다이어리 커버에 적용될 수 있는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일정 크기의 표지부(10)와; 복수의 카드삽입구(21)가 절개되어 구성되며 표지부(10)의 내측면에 겹쳐져 테두리의 일부가 접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드수납부(20)가 구성되는 다이러이 커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어리 커버에는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가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의 후면판(51) 전면 상단부가 카드삽입구(21) 내측면의 상부에 접합되고,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삽입구(21)의 내측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나의 카드삽입구(21)에서 제1카드수납공간(61) 및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색인부(5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색인부(53)가 카드삽입구(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카드수납부(20)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신분증 삽입구(22)가 형성되고, 신분증 삽입구(22)의 하부면에는 일정 크기로 개구되고 투명필름(23)으로 마감되도록 하여, 내부에 신분증 삽입시에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신분증 삽입구(22)의 내측면에서 투명필름(23)의 후면에는 상단부가 신분증 삽입구(22)의 내측면에 접합되는 카드 분리판(24)이 구성되도록 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신분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카드 분리판(24)은 투명필름(2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테두리 부분이 카드수납부(20)의 내측면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어리 커버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카드(80)가 하나의 카드삽입구(21)에서 카드수납판(52)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이중으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는 후면판의 전면에 카드수납판을 접합하고 후면판을 접도록 구성하여 카드수납판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에 각각 카드를 이중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 시키면서도 재료비를 절감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이어리 커버의 내부에 끼워져 카드 및 명함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수납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표지부 20 : 카드수납부
21 : 카드삽입구 50 :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
51 : 후면판 52 : 카드수납판
53 : 색인부 61 : 제1카드수납공간
62 : 제2카드수납공간

Claims (4)

  1. 일정 크기의 표지부(10)와; 복수의 카드삽입구(21)가 절개되어 구성되며 표지부(10)의 내측면에 겹쳐져 테두리의 일부가 접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드수납부(20)와; 수직한 일정 크기의 후면판(51)과; 후면판(51)의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 하부에 이격되어 후면판(51)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양측면과 하단부가 접착되어, 후면판(51)의 전면부와의 사이에 제1카드수납공간(61)이 형성되는 카드수납판(52)로 이루어지며,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와 접혀진 후면판(51)의 사이에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는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50)의 후면판(51) 전면 상단부가 카드삽입구(21) 내측면의 상부에 접합되고, 후면판(51)의 전면의 하단부가 카드수납판(52)의 전면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면판(51)이 접혀져 카드삽입구(21)의 내측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나의 카드삽입구(21)에서 제1카드수납공간(61) 및 제2카드수납공간(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카드수납판(52)의 전면의 상부에는 카드수납판(52)의 상단부보다 상부로 돌출하도록 색인부(53)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색인부(53)는 카드수납판(52)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카드수납부(20)에는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신분증 삽입구(22)가 형성되고, 신분증 삽입구(22)의 하부면에는 일정 크기로 개구되고 투명필름(23)으로 마감되며, 신분증 삽입구(22)의 내측면에서 투명필름(23)의 후면에는 상단부가 신분증 삽입구(22)의 내측면에 접합되는 카드 분리판(24)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용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이용한 다이어리 커버.
KR2020200002833U 2020-08-03 2020-08-03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KR202200003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833U KR20220000362U (ko) 2020-08-03 2020-08-03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833U KR20220000362U (ko) 2020-08-03 2020-08-03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62U true KR20220000362U (ko) 2022-02-10

Family

ID=8025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833U KR20220000362U (ko) 2020-08-03 2020-08-03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3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0517S1 (en) * 2022-08-24 2023-10-03 Qun Yu Notebook co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877B1 (ko) 2015-06-18 2016-05-20 주식회사 나래프린팅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 수납부 제조방법 및 그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877B1 (ko) 2015-06-18 2016-05-20 주식회사 나래프린팅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 수납부 제조방법 및 그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0517S1 (en) * 2022-08-24 2023-10-03 Qun Yu Notebook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6015A (en) Binde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602447A (en) Window envelope for card file having guide rails
KR20220000362U (ko) 이중 카드수납케이스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JP2006212838A (ja) 小冊子の製造方法、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データページ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小冊子
US9987870B2 (en) Arrangements and assembly methods for a media binder and its components
WO2012166129A1 (en) Arrangements and customization methods for a case assembly
KR101622877B1 (ko)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 수납부 제조방법 및 그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KR101431767B1 (ko) 봉투형 카드 꽂이가 구성된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0850291B1 (ko) 노트
KR101427482B1 (ko) 서류 홀더
KR100483647B1 (ko) 지갑 및 카드꽂이 기능을 갖는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JP3223839U (ja) 朱印帳および朱印紙収納シート
KR100659135B1 (ko) 지갑 및 카드꽂이 기능을 갖는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5098B1 (ko) 잠금해제가 용이한 홍보용 수첩
JP7046884B2 (ja) カード入れ
JP3051781U (ja) ホルダー
JP3243528U (ja) カードキーのケース
KR20180001232U (ko) 다이어리용 카드 수납 케이스
KR200456339Y1 (ko) 책갈피 삽입형 씨디케이스
KR200383589Y1 (ko) 다단 포캣을 구비한 파일시트
KR20180001254U (ko) 다이어리용 카드 수납 케이스
KR200459757Y1 (ko) 책갈피 삽입형 씨디케이스
KR200459756Y1 (ko) 책갈피 삽입형 씨디케이스
KR100857277B1 (ko) 다층용지 및 상기 다층용지를 이용한 정보지
JP3040844U (ja) 多機能システム手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