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008U -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008U
KR20220000008U KR2020200002212U KR20200002212U KR20220000008U KR 20220000008 U KR20220000008 U KR 20220000008U KR 2020200002212 U KR2020200002212 U KR 2020200002212U KR 20200002212 U KR20200002212 U KR 20200002212U KR 20220000008 U KR20220000008 U KR 202200000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patient
lips
moisturizing liquid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후드 나글러
오데드 엘리쉬
Original Assignee
에후드 나글러
오데드 엘리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후드 나글러, 오데드 엘리쉬 filed Critical 에후드 나글러
Priority to KR2020200002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008U/ko
Publication of KR20220000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10Wearable devices, e.g. garments, glasses or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2039/0009Assemblies therefor design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e.g. contrast or saline injection, suction or irrigation
    • A61M2039/0018Assemblies therefor design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e.g. contrast or saline injection, suction or irrigation designed for flushing a line, e.g. by a by-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적용기가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적용기는 선택적으로 액체 공급 장치에 적용기를 연결하고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액체 공급 장치와 적용기 사이의 배출 개구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지 않는 물질이 플러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체 공급 장치와 적용기 사이에 점적 챔버가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용기의 적어도 부분이 환자의 윗 입술과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의 입술들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전개되도록 상기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지지 구조체가 공급된다. 선택적으로, 적용기 및/또는 지지 구조체의 상보적 피쳐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탄성 스냅-록킹 구성을 갖는 클램핑 커넥터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배출 개구는 선택적으로 상기 클램핑 커넥터의 부분이다.

Description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OISTURIZING LIQUID TO LIPS OF A SUBJECT}
본 고안은 예를 들어 마취 및/또는 수술을 겪은 후에 건조한 입술로부터 고통당하는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입술이 심각하게 건조하게 될 수 있고 그 사람이 스스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수도 있는 많은 상황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암 환자, 노인 환자 및/또는 기능장애 침샘을 갖는 사람들은 건조한, 몹시 건조한 입술로 인해 상당히 고통을 당할 수도 있다. 수술로부터 회복 중인, 특히 전신마취로부터의 회복하는 동안의 환자들이 건조하거나 갈라진 입술로 부터 고통을 당하는 것은 통상적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문제는 수술 후 수일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 회복 기간 동안, 환자는 통상적으로 구토를 유발하는 위험 때문에 매우 제한된 양의 물 또는 깨진 얼음만이 허용된다. 입술의 건조함에 의해 유발되는 불편은 통상 수동으로 입술에 보습하거나 소량의 시원한 물 또는 깨진 얼음을 제공하는 간호사나 가족 구성원의 빈번한 개입에 의해 다루어진다. 이러한 개입은 헬스케어 스태프에게 추가된 짐이고, 항상 실행가능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여러 다른 상황들이 특히 건조하거나 갈라진 입술을 야기하는 만성 및 단기 조건들로부터의 불편 및 고통을 야기하는 양로원 및 양로 시설들에서의 노쇠하고 병든 거주자들 및 환자들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
여러 디바이스들이 그러한 상황들 하에서의 입술 및/또는 구개에 보습하는 것에 대한 단기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예들은 미국 특허 번호 4,679,551; 4,838,882; 4,917,674; 5,055,108; 5,062,795; 및 6,536,423 을 포함한다. 이들 중, 미국 특허 번호 4,679,551 은 복잡하고 고가인 비접촉 초음파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머지 참조 문헌들은 모두 구강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위치되는 여러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다소 효과적일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그들의 입이 방해 받는 것을 느끼는 환자들에게는 인기가 없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들은 환자의 입술 사이에 연장되어, 입의 통상적인 폐쇄에 간섭하고 말하기를 재개할 환자의 능력을 방해한다.
따라서, 환자의 입술의 폐쇄를 방해하지 않고 건조한 입술로부터 고통당하는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건조한 입술로부터 고통당하는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이다.
본 고안의 교시에 따르면,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그 방법은: (A)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적용기의 적어도 부분이 환자의 윗 입술 및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 (recess) 와 맞물리도록 전개되도록 적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를 채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한 부분에 의해 주로 지지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는 환자의 볼과의 접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는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귀의 피쳐들과의 맞물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는 침대에 지지 구조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는 평탄한 표면 상에 배치될 때 자체 지지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용기는 보습 액체에 의해 축축해지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용기는 복수의 액체 방출 애퍼쳐를 갖는 도관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a) 소정 양의 보습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고; (b) 저장고 및 적용기와 유체 연통하여 적용기에 보습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액체 공급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체 공급 장치는 중력 공급 (gravity-fed) 액체 공급 장치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저장고는 대기압 위의 압력에서 보습 액체를 유지하며, 그 압력은 적용기로의 액체 유동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저장고는 저장고에 놓인 환자의 신체의 부분의 중량에 의해 가압되어, 적용기에 보습 액체를 공급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용기는 소정 양의 보습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고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교시에 따르면,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제공되며, 그 시스템은, (a) 소정 양의 보습 액체를 포함하기 위한 저장고; (b)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 (c) 저장고 및 적용기와 유체 연통하여 적용기에 보습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 및 (d)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며, 지지 구조체는 적용기의 적어도 부분이 환자의 윗 입술 및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전개되도록 환자의 신체의 부분에 대해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교시에 따르면,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제공되며, 그 시스템은, (a) 소정 양의 보습 액체를 포함하기 위한 저장고; (b)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 (c) 저장고 및 적용기와 유체 연통하여 적용기에 보습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 및 (d)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며, 적용기는 환자의 입 안으로의 적용기의 삽입 없이 입술과의 접촉을 통해 입술에 보습 액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로서만 설명된다.
도 1 은 건조한 입술로 고통을 당하는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시에 따른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 로서 여기서 지칭되는 영역을 그래픽적으로 도시하는 환자의 얼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 는 윗 입술과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는 적용기의 바람직한 포지셔닝을 도시하는, 각각 입이 개방된 및 폐쇄된 상태의 도 2 의 얼굴의 부분 측면도들이다.
도 4a 는 도 1 의 시스템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시에 따른 구성된 그리고 동작가능한 적용기 및 지지 구조체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4b 는 적용기의 흡수성 엘리먼트가 제거된 상태의 도 4a 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4a 의 적용기 및 지지 구조체를 채용한 도 1 의 시스템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시스템의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7a 는 도 1 의 시스템의 제 3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7b 는 도시된 도 7a 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 는 도 1 의 시스템의 제 4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8b 는 “A” 로 표시된 도 8a 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a 는 도 1 의 시스템의 제 5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9b 는 “A” 로 표시된 도 9a 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a 는 도 1 의 시스템의 제 6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b 는 도시된 도 10a 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a 는 도 1 의 시스템의 제 7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b 는 도시된 도 11a 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b 는 도 12a 의 실시형태로부터의 유동 제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 는 각각 관의 부착 전 및 후의 도 12a 의 실시형태로부터의 유동 제한 어셈블리의 확대된 어셈블리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14 는 축 단면을 따라 도 13b 로부터의 등각투영 절단도이다.
도 15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 (lip watering device) 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방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폐쇄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를 배출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를 배출한 후의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a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클램핑 커넥터의 직각면도 (orthogonal view) 이다.
도 20b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클램핑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1a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개구를 갖는 클램핑 커넥터의 직각면도이다.
도 21b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개구를 갖는 클램핑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건조한 입술로부터 고통당하는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원리 및 동작은 도면 및 첨부하는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은 환자 (14) 의 입술에 보습 액체 (12) 를 전달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시에 따른 일반적으로 10 으로 지정되는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반적인 말로, 시스템 (10) 은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 (16), 및 지지 구조체 (18) 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 (18) 는 적용기 (16) 의 적어도 부분이 환자의 윗 입술과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 (14) 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전개되도록 적용기 (16) 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입술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지만, 입술의 폐쇄를 방해하지 않는, 여기에 기술된 적용기 (16) 의 포지셔닝은 매우 이롭다. 한편으로, 입술에 대한 적용기 (16) 의 근접은 적용기 (16) 의 간단한 접촉 기반 구현의 사용을 허용하여, 복잡하거나 고가의 적용기 디바이스를 요구하지 않고 환자의 불편에 대한 연속적이고 메스 프리한 (mess-free) 경감을 제공한다. 동시에, 입술 사이의 접촉에 대한 임의의 방해를 피함으로써 스피치 또는 다른 보통의 구강 운동의 방해가 회피되어, 시스템을 가능한한 비침투적이게 만든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이들 다른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들을 더 상세히 다루기 전에,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소정의 용어를 정의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먼저, 용어 “리세스” 는 일 영역을 인클로징하기 위해 단일의 직선의 추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신체 부분의 아웃라인에 대응하는 2 차원의 기하학적 형태를 지칭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정의는 측면도로 (또는 단면도로) 취해진 얼굴 (14) 의 아웃라인이 점선 (20)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의 직선의 추가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입술들이 함께 폐쇄되는 동안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를 나타내는 도 2 에서 그래픽적으로 표현된다. 직선과 함께 신체 부분에 의해 인클로징되는 영역 (22) 은 “리세스 내” 인 것으로서 지칭된다.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물체는 그것이 반드시 리세스의 측면들과 연속적으로 접촉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리세스와 맞물리는” 것으로서 지칭된다. 위의 용어 모두에서, 그 정의들은 2차원으로만, 그리고 특히 입이 폐쇄된 상태에서 정중면 (sagittal plane) 에서의 단면에서 본 아웃라인에 관한 기하학적 관계들을 지칭한다. 명백하게, 인간 입의 기하학은 다소 사이드-투-사이드 (side-to-side)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위에서 지칭된 리세스는 3 차원에서 개방된 단부를 갖는 채널일 수도 있거나, 다르게는 그의 측면 에지를 향해 변화할 수도 있다.
“환자의 윗 입술과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포지셔닝되는 적용기를 참조하면, 이것은 입술이 임의의 개재하는 물체 또는 재료 없이 입의 전체 폭을 직접 가로질러 서로 접촉하는데 자유롭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따라서 입 안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갖는, 또는 입술 또는 치아에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모든 유형의 디바이스를 배제한다.
이제 도 1 에 도시된 시스템 (10) 의 개략 표현의 나머지 특징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여러 구현들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양의 보습 액체 (12) 를 포함하는 저장고 (24), 및 저장고 (24) 및 적용기 (16) 와 유체 연통하여 적용기 (16) 에 보습 액체 (12) 를 공급하는 유체 유동 도관 (26) 으로 여기서 도시된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액체 (12) 자체는 입술을 보습하기에 효과적인 임의의 비독성 액체일 수 있다. 액체는 통상 물 기반이고, 달콤한 맛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맛을 제공하는 첨가제, 건조한 입술의 치료를 위한 효험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첨가제를 가질 수도 있다. 첨가제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것들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형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맹물이 사용된다. 특정의 경우들에서, 특히 환자가 감염의 위험에 있는 경우, 멸균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경우에, 정규의 마시는 물이 충분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각각 환자의 입이 개방된 및 폐쇄된 동안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게 전개되는 적용기 (16) 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알수 있듯이, 적용기 (16) 는 바람직하게는 입의 운동 동안 입술에 근접하여 유지되지만, 입의 통상적인 개방 및 폐쇄 운동, 또는 스피치 또는 얼굴 표현을 위해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입의 임의의 다른 모션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제 도 4 내지 도 11b 를 참조하면, 위의 도 1 내지 도 3b 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기술된 시스템 (10) 은 다수의 실제의 구현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기술되는 공통의 기능적 특징들을 유지하면서, 적용기 (16), 지지 구조체 (18), 저장고 (24) 및 공급 장치 (26) 각각은 다수의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들의 범위의 몇몇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10) 은 7 개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구현들을 참조하여 더욱 예시될 것이다. 이들 중 처음 3 개는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한 부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머리의 부분에 의해 주로 지지되어, 환자가 상당히 돌아다닐지라도 환자의 입술에 대해 원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구조체 (18) 를 채용한다. 나중의 4 개의 실시형태들은 침대의 프레임 또는 다른 표면들, 정맥내 점적 (intravenous drip) 스탠드 또는 다른 근처의 가구와 협력하는 여러 지지 구조체들 (18) 을 채용한다.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시스템 (10) 의 각각의 컨포넌트의 여러 구현들은 실시형태들 사이에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에 예시된 특정의 조합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도 4a, 도 4b 및 도 5 를 참조하면, 이것은 시스템 (10) 의 제 1 실시형태를 예시하며, 여기서 지지 구조체 (18) 는 주로 환자 (14) 의 볼과의 접촉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지지 구조체 (18) 는 그립 엘리먼트 (44) 에 의해 제공되는 볼 접촉 영역 (42) 을 갖는 대략 활 형상으로 여기에 도시된 탄성 프레임 (40) 으로서 형성된다. 그립 엘리먼트 (44) 는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볼에 단단하지만 안락한 그립을 제공하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탕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립 엘리먼트 (44) 는 환자의 크기의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 (40) 의 아암들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프레임 (40) 은 통상적으로 저비용 사출성형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다.
프레임 (40) 의 중앙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내부로 돌출하여 활 형상의 내부의 일반적으로 오목한 만곡과 대조적인 복록한 컨투어를 형성하는 평탄화된 영역 (46) 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이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용기 (16) 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고, 적용기 (16) 의 형상을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적용기 (16) 는 모세관 작용을 통해 원하는 접촉 영역에 액체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는 액체 (12) 에 의해 축축해지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액체 (12) 는 입술들이 축축해진 흡수성 재료와 접촉함에 따라 그들에 적용된다. 여기에 예시된 바람직한 케이스에서 (도 4a), 흡수성 재료는 프레임 (40) 의 평탄화된 영역 (46) 주위에 감싸진 직조 또는 비직조 천 또는 오픈 셀 발포체 재료의 층 (48) 으로서 구현된다.
층 (48) 으로의 액체 (12) 의 공급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액체 방출 애퍼쳐 (50) 를 갖는 유체 유동 도관 (26) 을 통해 발생한다. 삽입구로서, 흡수성 재료가 없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체가, 선택적으로 입술에 걸쳐 더 균일하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복수의 개구들이 제공되는 적용기로서 직접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 도시된 도관 (26) 은 통상적으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클립들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어 프레임 (40) 의 일 측면을 따라 통과하고, 애퍼쳐 (50) 가 위치되는 평탄화된 영역 (46) 의 내향 에지 주위에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술을 향하는 평탄화된 영역 (46) 의 측면상의 흡수성 재료로의 유체 공급이 일차적으로 보장된다. 여기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도관 (26) 은 활 형상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단정하게 통과하도록 프레임 (40) 에 형성된 측방향 개구를 통과한다.
도 5 는 환자의 볼을 그립핑하는 그립 엘리먼트 (44) 및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에 맞물리지만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는 적용기 (16) 를 갖는 사용 중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 의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형태의 저장고 (24) 및 액체 공급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예에서, 정맥내 점적 (“I.V.”) 장치로부터 익숙한 유형의 매달린 유연성 저장고 “백 (bag)” 을 갖는 중력 공급 액체 공급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I.V. 세트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형인 간단한 유동 조절 제어 (52) 가 적절한 유속으로 유속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고안의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들은 유속을 적절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해 도관 (26) 내에, 또는 유동 경로를 따른 임의의 다른 지점에 통합된 유동 제한 엘리먼트 (53)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유속 제한 엘리먼트들이 공급 압력에서의 변동들에 크게 독립적으로 원하는 유속을 제공하는 점적 관개 시스템들 (drip irrigation system) 에서 공통인 잘 개발된 기술 (예를 들어, 플로우 래버린스 (flow labyrinth) 또는 압력 조절 다이어프램) 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유동 제한 엘리먼트의 하나의 특정의 예에 따르면, 모세관이 흐름 경로 내에 통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모세관은 약 0.05 mm 와 약 0.2 mm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 0.03 mm 의 내부 직경을 갖는다. 모세관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약 3 mm 외부 직경이 편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세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5 와 약 30 mm 사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 3 mm 이다. 그러한 모세관은 도관 (26) 의 말단에 편리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적용기 (16) 로의 출구를 정의하기 위해 전개될 수 있다.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실험에서, 내부 직경 0.1 mm 및 길이 8 mm 의 유리 모세관은 대략 시간당 100 cc 의 유속을 유지하기 위해 출구 위 70-110 cm 에 위치되는 주입 백 공급장치와 함께 사용될 때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도 6 을 이제 참조하면, 이 경우에 환자 (14) 의 정수리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모자 또는 헤드 밴드 (60) 로부터 적용기 (16) 를 매다는 지지 구조체 (18) 를 채용하는 시스템 (10) 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예시된 케이스에서는, 저장고 (24) 는 헤드 밴드 (60) 상에 직접 장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선택적으로, 저장고 (24) 는 저장고 (24) 의 편리한 리필을 위해 개구 (61) 를 가질 수도 있다. 적용기 (61) 는 임의의 적절한 현가 장치를 통해 헤드 밴드 (60) 로부터 매달릴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단단한 아암이 적용기를 제자리에 보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그 아암은 환자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적용기의 재포지셔닝을 허용하도록 변형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에 예시된 특히 바람직한 선택에 따르면, 도관 (26) 은 그 자체가 기술된 바와 같은 재포지셔닝 가능한 전개를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단단한 관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예시된 적용기 (16) 는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작은 개구들의 배열을 갖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인 중공 바디 (body) 이다. 개구들의 크기 뿐아니라 적용기의 코팅들 또는 다른 표면 특성들은 표면 장력 효과들을 통해 개구들에서 액체의 무점적 보유 (drip-free retention) 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액체는 그 후 환자의 입술에 대한 접촉에 의해 방출된다.
도 7a 및 도 7b 를 이제 참조하면, 이것은 지지 구조체 (18) 가 환자 (14) 의 적어도 하나의 및 바람직하게는 양쪽의 귀와 맞물리는 안경 타입 지지 프레임으로 구현되는 시스템 (10) 의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했다. 여기에 도시된 버전에서, 지지 구조체 (18) 는 또한 환자의 코의 브리지에 걸쳐 놓여 있는 브리지 부분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특징들은 함께 잘 정의된 지지 기하학을 제공하여,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 내에 적용기 (16) 의 정밀한 포지셔닝을 허용한다.
이러한 구현에 대한 하나의 매력적인 선택은 귀 위에 및/또는 뒤에 저장고 (24) 를 포지셔닝하는 것이다. 양 측면 사이의 안락한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귀에 하나가 놓이는 상태로, 지지 구조체의 대향 측면들상에 2 개의 유사한 저장고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유동 도관(들) (26) 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체 (18) 의 부분으로서, 또는 그 구조체 내를 통과하는 얇은 관으로서 구현된다. 저장고 (24) 로부터 적용기 (16) 로의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지지 구조체 (18) 의 미세 관들을 통해 적용기 (16) 로 끌어당기는 모세관 작용을 통해 달성된다.
도 7b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여기에 도시된 적용기 (16) 는 액적 방출 애퍼쳐를 갖는 관 주위에 전개되는 흡수성 재료를 갖는, 도 4a 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제 도 8a 및 도 8b 를 참조하면, 지지 구조체 (18) 가 침대의 표면과 같은 평탄한 표면상에 배치될 때 자체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갖는 조정가능한 조인티드 스탠드 (jointed stand) 인 시스템 (10) 의 구현을 보여준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취로부터 회복 중인 동안과 같이, 침대에 한정된 환자에 의한 단기 사용을 위해 적절한 위치에 적용기 (16) 의 포지셔닝을 허용한다. 도 8b 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적용기 (16) 는 도 6 의 그것과 유사한다.
저장고 (24) 는 여기서 스탠드 (18) 의 베이스에 또는 베이스 근처에 제공되고, 도관 (26) 을 통해 적용기 (16) 에 연결된다. 적용기 (16) 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력은 유연한 저장고 (24) 의 외부 표면들에 압력을 적용하도록 인가된 스프링-클램프 (80) 에 의해 제공된다. 스프링-클램프의 압력은 저장고 (24) 내의 보습 액체 (12) 를 대기압 위의 압력으로 유지하여, 적용기로의 액체 유동을 발생시킨다.
이제 도 9a 및 도 9b 를 참조하면, 이들은 침대 프레임의 부분에 클램핑함으로써 환자 위의 레벨에 저장고 (24) 를 유지하는 브래킷 (90) 상에 장착된 상승된 저장고 (24) 에 기초한 추가의 변형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적용기 (16) 는 여기서 적용기 (16) 를 저장고 (14) 에 연결하는 반강성 도관 (26) 의 말단에 형성된 다수의 애퍼쳐들을 갖는 관으로 도시된다.
도 10a 및 도 10b 는 도 8a 및 도 8b 와 일반적으로 유사하지만, 저장고 (24) 가 저장고 (24) 상에 놓이는 환자의 신체의 부분, 이 경우 머리의 중량에 의해 가압되어 적용기 (6) 에 보습 액체를 공급하는 구현을 도시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장고 (24) 는 환자에 의해 사용될 베개 내에 또는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적용기 (16) 자체는 도관 (26) 의 말단에 장착된 단일 액적 방출기로서 여기서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도 11a 및 도 11b 를 참조하면, 이전의 실시형태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 (24) 와 적용기 (16)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도관 (26) 을 반드시 모든 실시형태들이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대신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장고 (14) 는 적용기 (16) 의 통합된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디바이스는 따라서 본질적으로 그 저부에 형성된 적용기 (16) 를 갖는 매달린 저장고 (24) 이다. 디바이스는 적절한 스탠드로부터 매달려,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의 입술 사이의 리세스에 적용기 (16) 의 원하는 포지셔닝을 달성한다.
한번 다시, 여기에 도시된 시스템 (10) 의 상이한 엘리먼트들의 여러 구현들은 도시된 특정의 조합들에 제한되지 않는 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4a, 도 4b, 및 도 5 의 실시형태들은 도 6 에 도시되었던 것과 같은 헤드 장착 저장고, 또는 여러 다른 중력에 의해 공급되는, 사전 가압되는, 또는 신체 중량에 의해 가압되는 저장고 장치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수동 동작 가능 공급 장치 (예를 들어, 스퀴징가능한 저장고 또는 액체 비누 분배기들에서 공통인 작은 수동 동작 가능 펌프) 는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다.
이제 도 12a 내지 도 14 를 참조하면, 유사하게 라벨링된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갖는, 시스템 (10) 의 추가의 구현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구조체 (18) 는 환자의 적어도 하나의 및 바람직하게는 양쪽의 귀와 맞물리는 안경 유형 지지 프레임으로 구현된다. 본 고안의 여러 구현들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양의 보습 액체 (12) 를 포함하는 저장고 (24), 및 저장고 (24) 및 적용기 (16) 와 유체 연통하여 적용기 (16) 에 보습 액체를 공급하는 유체 유동 도관 (26) 으로 여기서 도시된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말로, 시스템 (10) 은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 (16), 및 탄성 프레임 (40) 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18) 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 (18) 는 적용기 (16) 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에 도시된 도관 (26) 은 프레임 (40) 의 일 측면을 따라 동과하고, 여기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도관 (26) 은 활 형상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단정하게 통과하도록 프레임 (40) 에 형성된 측방향 개구를 통과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고안의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들은 유속을 적절한 레벨로 제한하기 위해 도관 (26) 내에, 또는 유동 경로를 따른 임의의 다른 지점에 통합된 유동 제한 엘리먼트 (53)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a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지지 구조체 (18) 는 사용자의 귀에 또는 귀 위에 놓인 안경 프레임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사이드 아암들을 갖는 일래스틱 (elastic) 프레임 (40) 을 포함하고, 그 복수의 아암들은 환자의 입술 사이에 배열되는 적용기 (16) 를 지지하기 위해 직접 하향으로 만곡된며, 바람직하게는 그라운드는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에 대해 특히 안락하고 비침투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카테테르 (catheter) (26) 가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체 (18) 의 일 측면의 아웃라인을 따르도록 클램핑되어, 관을 단정하게 펴진 상태로 유지하면서 그리고 사용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의 머리 뒤로부터 단정하게 관을 주행시킨다.
이러한 구현의 다른 특히 바람직한 특징은 적용기 (16) 에 대한 직접적이고 단단한 부착을 위한 유동 제한 어셈블리 (53) 의 특히 컴팩트하고 편리한 전개에 관한 것이다. 그 설계는 선택적으로 그 구조를 공급 및/또는 전개하기에 더 컴팩트하고 및/또는 더 용이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그 구조는 공급 파이프상에 “매달린” 초과의 중량을 회피한다. 유동 제한 어셈블리는 도 12b 에서 분해도로 도시되고, 도 13a 및 도 13b 에서 카테테르 (26) 와 조립되어 및 분해되어 도시되며, 도 14 에서 축방향 단면도로 도시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구현의 유동 제한 어셈블리 (53) 는 적용기에 인접한 리세스에 수용되는 유동 제한 모세관 (54) 을 포함하고, 리세스는 일래스틱 프레임 (40) 및/또는 적용기 (16) 에 형성된다. 모세관 (54) 의 원위 단부는 선택적으로 조립 동안 적용기 (16) 에 대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원통형 시일 (56) 로서 여기서 도시된 실리콘 실링 엘리먼트에 하우징된다. 모세관 (54) 의 근위 단부는 선택적으로 클램핑 커넥터 (58) 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는 상보적 소켓에 수용된다. 클램핑 커넥터들의 여러 조합들은 프레임 (40) 및/또는 적용기 (16) 내의 리세스의 대응하는 피쳐들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 클립들 및 모세관 (54), 시일 (56), 및 클램프 커넥터 (58) 를 조립체와의 록킹 맞물림으로 록킹하기 위한 스냅 록킹 맞물림을 갖는다. 모세관 (54) 을 둘러싸는 클램핑 커넥터 (58) 의 전방 에지는 시일 (56) 이 삽입 및 록킹되는 경우 시일 (56) 을 압축하여, 모세관에 대한 시일 (56) 의 효과적인 밀봉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선택적으로, 적용기는 클램핑 커넥터 (58) 과 모세관 (54) 사이에 있다. 클램핑 커넥터 (58) 의 근위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유연성 관형 카테테르 (26) 의 실링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 성형된다.
도 15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개구 (102) 를 포함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 (lip watering device) 의 사시도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배출 개구는 입술 보습기로의 공급 라인을 세정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배출 개구 (102) 는 유체 공급 라인 밖으로 공기를 배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배출 개구는 유동 제한 엘리먼트 (153) 의 부분이고 및/또는 유동 제한 엘리먼트 (153) 근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배출 개구 (102) 는 커넥터의 부분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이것은 민감한 영역에서의 라인을 클리어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및/또는 민감한 영역에서의 오염을 회피 (예를 들어, 모세관 (54) 의 오염을 방지) 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유동 제한 엘리먼트 (153) 와 유체 저장고 (24) 사이에 점적 챔버 (152) 가 존재할 수도 있다. 점적 챔버 (152) 및/또는 배출 개구 (153) 는 공기 버블 배출 및/또는 적용기에의 물의 도착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유체 공급 장치와 적용기 사이에 존재한다.
도 16 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개방된 배출 개구 (102) 를 포함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배출 개구 (102) 는 캡 (1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캡 (104) 은 공기 및/또는 먼지가 라인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개방된다.
도 17 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폐쇄된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선택적으로, 캡 (104) 은 예를 들어 물이 개구 (102) 로부터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공기가 라인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사용 동안 폐쇄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공기 배출 개구는 밸브 및/또는 다른 유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밸브는 캡 (104) 을 대체할 수도 있다.
도 18 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를 배출하는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디바이스의 사용 전에, 입력 도관 (26) 은 클리어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출 개구 (102) 가 개방될 수도 있고 및/또는 액체 (106) 가 입력 도관 (26) 을 통해 및/또는 배출 개구 (102) 밖으로 플러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라인으로부터의 깨긋한 공기가 떠받쳐질 수도 있고 액체 (106) 가 상향으로 강제되어 도관을 통해 공기를 밀어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유동 제한 엘리먼트 (153) 는 액체로 채워진다 (108).
도 19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를 배출한 후의 립 워터링 디바이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깨끗한 액체로 가득찬 (108, 110) 유동 제한 엘리먼트 (153) 및/또는 입력 도관 (26) 에 의해, 액체는 도관 (26) 을 통해, 제한기를 통해, 적용기 (16) 밖으로 및/또는 사용자의 입술상으로 통과된다.
도 20a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클램핑 커넥터 (58) 의 클로즈업 직각면도 (orthogonal view) 이다. 도 20b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클램핑 커넥터 (58) 의 클로즈업 단면도이다.
도 21a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개구 (102) 를 갖는 클램핑 커넥터 (158) 의 클로즈업 직각면도이다. 도 21b 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 개구를 갖는 클램핑 커넥터 (158) 의 클로즈업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 (158) 는 커넥터 (58) 와 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들은 예로서 작용하도록만 의도된다는 것 및 다수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Claims (20)

  1.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상기 입술들에 상기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액체 공급 장치에 상기 적용기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액체 공급 장치와 상기 적용기 사이에 배출 개구 및 점적 챔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체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지 않는 물질을 플러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용기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환자의 윗 입술과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환자의 상기 입술들 사이의 리세스 (recess) 와 맞물리도록 전개되도록 상기 적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환자의 신체의 적어도 한 부분에 의해 주로 지지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장치는,
    소정 양의 상기 보습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고;
    상기 저장고 및 상기 적용기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적용기에 상기 보습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은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해서인,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장치는 중력에 의해 공급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대기압 위의 압력에서 상기 보습 액체를 유지하며, 상기 압력은 상기 적용기로의 액체 유동을 발생시키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저장고에 놓인 상기 환자의 신체의 부분의 중량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적용기에 상기 보습 액체를 공급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지 않는 물질은 기체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싱은 상기 배출 개구를 상기 공급 장치 위에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기는 2/10 mm 이하의 내부 직경을 갖는 모세관의 길이를 포함하는 유동 제한을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10.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소정 양의 상기 보습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고;
    상기 환자의 상기 입술들에 상기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적용기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적용기에 상기 보습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
    상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적용기 사이의 배출 개구 및 점적 챔버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적용기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환자의 윗 입술과 아랫 입술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환자의 상기 입술들 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전개되도록 상기 환자의 신체의 부분에 대해 상기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기에 연결된 일 단부 및 상기 공급 장치에 연결된 반대 단부를 갖는 유동 제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의 부분인,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는 상기 적용기 및 상기 지지 구조체 중 하나의 상보적 피쳐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탄성 스냅-록킹 구성을 갖는 클램핑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는 상기 클램핑 커넥터의 부분인,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는 상기 적용기 및 상기 지지 구조체 중 하나의 상보적 피쳐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는 상기 적용기의 입구와 단단히 상호연결되고,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보습 액체를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적용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한 어셈블리는 상기 적용기의 입구의 상보적 피쳐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는 커버를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2/10 mm 이하의 내부 직경을 갖는 모세관의 길이를 포함하는 유동 제한을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것 및 폐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9.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소정 양의 상기 보습 액체를 포함하는 저장고;
    상기 환자의 상기 입술들에 상기 보습 액체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기;
    상기 저장고 및 상기 적용기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적용기에 상기 보습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
    상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적용기 사이의 배출 개구; 및
    상기 적용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기는 상기 환자의 입 안으로 상기 적용기의 삽입 없이 상기 입술들과 접촉을 통해 상기 입술들 상으로 상기 보습 액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2/10 mm 이하의 내부 직경을 갖는 모세관의 길이를 포함하는 유동 제한을 포함하는, 환자의 입술들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KR2020200002212U 2020-06-25 2020-06-25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0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12U KR20220000008U (ko) 2020-06-25 2020-06-25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212U KR20220000008U (ko) 2020-06-25 2020-06-25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08U true KR20220000008U (ko) 2022-01-03

Family

ID=7934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212U KR20220000008U (ko) 2020-06-25 2020-06-25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0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8796A (zh) * 2022-05-21 2022-09-20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一种用于唇部黏膜病上药及唇部护理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8796A (zh) * 2022-05-21 2022-09-20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一种用于唇部黏膜病上药及唇部护理的装置
CN115068796B (zh) * 2022-05-21 2023-07-14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一种用于唇部黏膜病上药及唇部护理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0026B2 (ja) マスクシステム
US10123639B2 (en) Pillow and method for use with assisted breathing masks
AU2006342046B2 (en) Patient interface device with dampening cushion
US6886564B2 (en) Nasal mask with integral mouldable straps
AU2022287678A1 (en) Nasal Interfaces for Respiratory Therapy
ES2569880T3 (es) Administración de terapia respiratoria
ES2592677T3 (es) Administración de terapia respiratoria
JP7064445B2 (ja) 経口水分補給システム
USRE28873E (en) Scleral lens with attached tube
US86790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oisturizing liquid to lips of a subject
JP2019502529A5 (ko)
KR20220000008U (ko) 환자의 입술에 보습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7525490A (ja) Cpap加圧ガス透過性マスククッション
JP2019535596A (ja) 飲料容器
RU195989U1 (ru) Система доставки увлаж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к губам субъекта
US20220323191A1 (en) Device for distribution of a liquid in a user's mouth
SE462466B (sv) Implantabel anordning foer tillfoersel av saliversaettningsvaetska
CN110812652B (zh) 一种氧气管保护用烧伤耳罩
AU2001276152B2 (en) Nasal mask with integral mouldable straps
JPS6142618Y2 (ko)
AU2001276152A1 (en) Nasal mask with integral mouldable stra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