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363A - Quarry tunnel structure and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Quarry tunnel structure and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8363A KR20210158363A KR1020210162940A KR20210162940A KR20210158363A KR 20210158363 A KR20210158363 A KR 20210158363A KR 1020210162940 A KR1020210162940 A KR 1020210162940A KR 20210162940 A KR20210162940 A KR 20210162940A KR 20210158363 A KR20210158363 A KR 202101583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ne
- shaft
- transport
- mountain
- tunn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7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615 aggre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41/00—Methods of underground or surface mining; Layouts therefor
- E21C41/16—Methods of underground mining; Layou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4—Transport of mined material in gravity inclines; in staple or inclined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nd a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및 조각용 재료로 사용되는 석재는 석산에서 채석되고 있다.Stones that are generally used as materials for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sculpture are quarried in Seoksan.
특히, 화강암류의 경우 대부분 석산에서 채취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석산의 정상부에서 점차 아래로 채석하는 계단식 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ranites, most of them are collected from Mt. Seoksan, and in general, the stepwise quarrying method of quarrying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to the bottom is mainly used.
즉,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정상부에서 자연상에 노출되어 있는 나출암반(裸出岩盤)을 주 대상으로 찾은 뒤, 버너작업(Jet Burner)을 통해 자유면(自由面)을 형성하여 한 후, 암반에 발파를 위한 천공작업(穿孔作業)을 시행한 다음, 발파작업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자유면(自由面)의 개수를 늘려서 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In other words, in the stepwise quarrying method, the main target is to find the bare rock exposed in nature at the top of Mt. After carrying out the drilling for blasting in the bedrock, the quarrying operation is being carried out by artifici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free surfaces through the blasting operation.
그리고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허리를 감싸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트럭 등으로 채석물을 지상으로 운반하고 있다. In the stepwise quarrying method, quarries are transported to the ground by trucks along a sloping road that wraps around Seoksan's waist.
종래의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허리를 감싸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트럭 등으로 채석물을 지상으로 운반하여 운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트럭 등의 차량을 이용하는 비용이 발생되어 석재의 생산량이 저하되고, 석재의 채석 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엇다.In the conventional cascading quarrying method, the quarry is transported to the ground by trucks along the sloped road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mountain,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nsport, and the cost of using a vehicle such as a truck is incurr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stone production,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quarrying the stone.
또한, 종래의 계단식 채석 방법은 석산의 허리를 감싸는 경사진 도로를 따라 트럭 등으로 채석물을 석산의 지상으로 운반하고, 지상에서 다시 채석이 필요한 곳으로 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이루어지는 채석 장소의 인근 주민에게 채굴과 운반에 따른 소음·진동이나 분진 등과 같은 공해피해를 주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cading quarrying method, the quarry is transported to the ground of Seoksan by a truck along the inclined road surrounding the waist of Seoksan, and the process is sent from the ground back to the place where quarrying is required.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inflicting pollution damage on residents such as noise, vibration, and dust caused by mining and transportation.
이에 따라 채석 장소의 인근에 주민들이 사는 경우 채석 장소의 인근 주민들과의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주민들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when residents live in the vicinity of the quarry site, there is a problem that disputes with the residents nearby the quarry site occur frequently, and a lot of time and money is consumed to resolve the dispute with the resid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ransporting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by naturally dropping the stone material quarri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through a tunnel located at an angle in the in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a tunnel structure for quarrying and the same To provide a quarrying method u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pollution damage such as noise, vibration, and dust generated when the stone material collected from the stone mountain is transported to the ground by naturally dropping the stone material quarri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through a tunnel located at an angle inside the stone mountai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structure for quarrying and a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갱도를 분기시켜 석산에서 채취되는 석재의 배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이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nd a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select the discharge location of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quarry by branching the shaft to improve transport efficienc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석재가 매장되어 있는 석산 내에 위치되는 갱도이며, 상기 석산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석산의 상부에 위치되는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ft located in a stone mountain in which a stone is buried, and is inclined inside the stone mountain and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ne mounta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aft for transporting the stone material collected at the collection site, which rolls from the inside and falls freely to the ground.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는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상기 석산의 토양층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t of the tunnel for stone transport is located at a height of 10 to 20 m above the ground as an extra height, and may be formed with a depth of 10 to 20 m as an extra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of the stone mountain.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경사 각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aft for stone transport may be formed so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width is 1: 0.5 to 1: 1.2.
본 발명에서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뚫려 형성되는 갱도 시공용 보조굴 및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시공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tunnel for tunnel construction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soil layer and the stone layer from the side of the stone mountain to the position where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is formed,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n oyster filling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transport shaft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port shaft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본 발명에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는 제1이송용 갱도,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는 제2이송용 갱도, 제1이송용 갱도와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3이송용 갱도는 각각 기울기가 다른 제1기울기, 제2기울기, 제3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3이송용 갱도의 제3기울기는 상기 제1이송용 갱도의 제1기울기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의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transport shaft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upper end is opened to the top to become the entrance, the first transport shaf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lower end is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tone mountain to collect stones a second transport shaft serving as an outlet for dropping to the ground, and a third transport shaft connecting the first transport shaft and the second transport shaft, the first transport shaft, the second transport shaft; The third shaft for transport has a first slope, a second slope, and a third slope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respectively, and the third slope of the third shaft for transport is the first slope and the second slope of the first shaft for transport. It has a greater slope than the second slope of the shaft for transport, the first slope may have a slope greater than the second slope.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이송용 갱도부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부의 경계에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이는 단턱부가 통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boundary of the third shaft for transport and the second shaft for transport, a stepped portion for reducing the transport speed of the stone collected may be positioned to protrude into the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석산의 정상부에서 석재의 채취가 가능한 석재의 채취 장소를 정리하는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후 석산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채취 장소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하단부 측이 석산의 하부 측에서 측면으로 개방되어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 낙하되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 채취 장소에서 중장비로 석재를 채취하는 석재 채취단계, 상기 석재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석재를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입구로 투입시켜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통해 자유 낙하시켜 석재 이송 갱도부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석재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lection site foundation step of arranging a collection site for stones that can be collected at the top of a stone mountain, and after the collection site foundation step, it is inclined inside the stone mountain A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site and the lower end is opened to the si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stone collected at the collecting site rolls and freely falls from the inside. Stone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stone with heavy equipment at the collection site, stone material collected in the stone extraction step is put into the entrance of the stone transport shaft, and free fall through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stone transport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석산의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형성하는 보조굴 시공과정, 상기 보조굴 시공과정 후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일부분 또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전체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및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for transport is a sub-dung construction process of forming an auxiliary pit for tunnel construction from the side of the stone mountain through the soil layer and the stone layer of the mountain to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part for transporting the stone is formed, the auxiliary burrow After the construction process, a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process of constructing a part of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or the whole of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after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an oyster filling process for blocking the auxiliary tunnel for tunnel construction after the transport shaft construction process. .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for transport, the shaft for transporting stone may be constructed so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width has an inclination angle of 1: 0.5 to 1: 1.2.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에서 출구의 하단부가 지상을 기준으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고, 출구의 상단부가 토양층의 표면을 기준으로 10 ~ 20m 깊이를 여유 깊이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tunnel for trans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utlet at the outlet of the tunnel for transferring the stone is positioned to have a height of 10 to 20 m above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of the outlet is 10 based on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haft for transporting stones to a depth of ~ 20m with an extra depth.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며 제1기울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며 제2기울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1이송용 갱도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며 제3기울기를 가지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도록 시공하고, 상기 제3기울기는 상기 제1기울기와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tunnel for transpor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the upper end is opened to the top to become the entrance, and the first transport shaft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lop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lower end is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tone mountain to become an outlet for dropping the collected stones to the ground, and connects a second transport shaft having a second inclination angle, the first transport shaft and the second transport shaft Constructed to include a third transport shaft having three gradients, the third gradient has a greater gradient than the first gradient and the second gradient, and the first gradient has a greater gradient than the second gradient can be constructed.
본 발명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여 석재의 채취 효율을 향상시키고, 석재의 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stone collection by greatl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ransporting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by naturally dropping the stone material quarri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through a tunnel located at an angle inside the stone mountain. ,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transport efficiency of stone.
본 발명은 석산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여 석산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pollution damage such as noise, vibration, and dust generated in transporting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by naturally dropping the stone material quarried from the stone mountain to the ground through a tunnel located at an angle inside the stone mountain.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residents living in the vicinity and minimizing damage to the residents.
본 발명은 갱도를 분기시켜 석산에서 채취되는 석재의 배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채취된 석재를 다른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ransporting the collected stone to another point by branching the tunnel to select the discharge location of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stone mountain.
본 발명은 낙석으로 인해 장비와 작업자가 다치는 상해 사고나 덤프트럭이나 굴삭기 등이 석산에서 석재를 이송 시에 굴러 떨어지는 사고 등을 예방하여 산업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reatly contributing to industrial safety by preventing an accident in which equipment and workers are injured due to a rockfall, or an accident in which a dump truck or an excavator rolls down while transporting a stone from a stone mounta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의 유압 실린더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tunnel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ydraulic cylinder part of the tunnel opening and closing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unn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석재가 매장되어 있는 석산(10) 내에 위치되는 갱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ft located in 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석산(10)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석산(10)의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포함한다.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is inclinedly arranged inside the
석산(10)은 토양층(11), 토양층(11)의 내부에 위치되는 석재층(12)을 포함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석재층(12)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상단부 측이 석산(10)의 정상부에 위치된 채취 장소에서 상면으로 개방되게 위치되고, 하단부 측이 지상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높이범위 내에서 개방되게 위치된다.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직경은 채취되는 채취 석재의 크기에 따라 채취 석재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ameter of the
또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채취 장소의 중심에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포함하여 한쌍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석산(10)의 하부 측 외측 둘레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tone transporting
한쌍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석산(10)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출구를 가짐으로써 채취 석재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채취 석재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The pair of
석산(10)의 정상부는 해당 석산(10)의 채석 위치에서 최상부에 위치된 부분으로 석재를 채취하기 위해 사전 정리된 부분인 것을 일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top of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 측은 정상부에서 채취된 채취 석재가 내부로 투입되는 입구가 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하단부 측은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가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The upper end side of the
석재의 정상부에서 채취된 채취 석재는 정상부에 위치된 불도우저, 포크레인, 덤프 트럭 등의 중장비를 통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입구로 투입될 수 있다.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top of the stone may be fed into the entrance of the
채취 석재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입구로 투입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따라 굴러 아래로 이송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로 배출되어 지상으로 낙하되어 채석된 정상부에서 지상으로 간단하게 이송될 수 있다. After being put into the inlet of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는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토양층(11)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exit of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직경은 2.0m ~4.0m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직경이나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또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 각도는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너무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1.2 초과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우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가 너무 느려 흙일 경우 작은 입자가 자유 낙하하지 못해 채석물의 원활한 흐름을 가로 막을 수 있다.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일 예로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2의 경사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하는 경우 채취 석재가 자유 낙하하기 어려워 갱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For example, when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이상의 경사는 하단부(바닥을)를 안쪽으로 많이 절삭해야 하는 비능률적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In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석산(10)의 하단부 측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가 위치되는 출구 가이드 벽부(101)가 위치된다.At the lower end side of the
출구 가이드 벽부(101)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아래 쪽으로 지상에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하단부까지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며,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부터 토양층(11)의 표면까지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시공된다. The exit guide wall 101 has an extra height of 10 to 20 m from the ground to the lower end of the
출구 가이드 벽부(101)는 지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출구에서 배출된 채취 석재가 지상에 충분히 쌓일 수 있는 여유 높이를 확보하고, 채취 석재가 원활하게 쌓이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 측에서 빈공간을 형성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에서 배출된 후 쌓이는 채취석재를 덤프 트럭 등의 이송수단으로 다른 위치로 운송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xit guide wall 10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o secure a sufficient height at which the collected stones discharged from the exit can be sufficiently accumulated on the ground, and serves to support the smooth stacking of the collected stones, as well as for stone transport An empty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기울어져 석산(10)의 정상부 및 지상의 10 ~ 20m 높이 지점에서 토양층(11)까지 뚫려야 하므로 한번에 시공이 불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at once because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석산(10)의 토양층(11)과 석재층(12)을 관통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 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는 굴 채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unnel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e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지상의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높이 차이를 두고 복수로 위치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길이에 따라 갯수와 높이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와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일단부 측이 석산(10)의 토지층에서 개방되고, 타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 시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정상부로 관통되어 기울어져 석산(10)의 정상부 및 지상의 10 ~ 20m 높이 지점에서 토양층(11)까지 뚫려야 하므로 한번에 시공이 불가능하다.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 측으로 개방된 타단부 측으로 굴러 이송 중인 석재가 일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굴 채움부(300)로 개방된 타단부 측이 막혀딘다.
굴 채움부(30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돌덩이를 쌓아 촘촘히 채워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도 있고, 콘크리트로 시공될 수도 있고,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시공될 수도 있으며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시공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타단부 측을 막을 수 있는 공지의 시공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굴 채움부(300)는 석재층(12)까지만 채워지고, 토양층(11)은 노출된 상태로 위치시켜 추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의 위치를 석산(10)의 토지층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실제 석채의 채굴이 이루어지는 정상부에서 지상까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석재를 굴려 자유 낙하시켜 이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tunnel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ported by rolling the stone through the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를 참고하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그리고, 복수의 이송용 갱도 중 출구가 위치된 이송용 갱도의 경사 각도가 가장 작게 형성되어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여 배출 시 적절한 속도로 배출되어 지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port shaft where the exit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shafts is formed to be the smallest, so that the transport speed of the collected stones is adjusted so that they are discharged at an appropriate speed when discharged and fall to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이용하여 갱도 내에서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를 더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in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conveying shaft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to more efficiently transport the collected stone materials that are rolled and conveyed in the shaft.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석산(1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는 제1이송용 갱도(110), 석산(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10)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는 제2이송용 갱도(120), 제1이송용 갱도(110)와 제2이송용 갱도(120)를 연결하는 제3이송용 갱도(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제1이송용 갱도(110), 제2이송용 갱도(120), 제3이송용 갱도(130)는 각각 기울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각각 기울기가 다른 제1기울기(α), 제2기울기(β), 제3기울기(θ)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제3이송용 갱도(130)의 제3기울기(θ)는 제1이송용 갱도(110)와 제2이송용 갱도(120)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갱도로써 제일 큰 경사각도로 형성되어 이송속도가 가장 빠른 구간이 된다.The third slope (θ) of the
제1이송용 갱도(110)의 제1기울기(α)는 제3이송용 갱도(130)의 제3기울기(θ)보다는 작고 제2이송용 갱도(120)의 제2기울기(β)보다 큰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초기 이송 속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가 제3이송용 갱도(130)에서 안정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lope (α) of the
제2이송용 갱도(120)는 석재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위치되는 갱도로 제1기울기(α)보다 작은 제2기울기(β)로 형성되어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여 배출 시 안전한 속도로 채취 석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취 석재가 과도한 속도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채취 석재를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게 한다. The
또한, 제3이송용 갱도(130)와 제2이송용 갱도(120)의 경계에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이는 단턱부(121)가 통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적절하게 줄일 수 있고, 제3이송용 갱도(130)와 제2이송용 갱도(120)의 경계 부분에서 채취 석재가 원활하게 통과되어 최종적으로 제2이송용 갱도(120)를 통해 안정적인 이송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로 구성하여 채취 석재의 평균 이송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하고, 안전한 이송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취 석재의 채취 및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min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transport shafts with different inclinations for the stone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는 기울기가 다르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이송용 갱도(100a, 100b, 100c)를 포함하여 석산의 채취 장소에서 채취 석재가 유입되는 입구와 지상과 근접한 석산의 하부 측에서 갱도를 통해 이송되는 채취 석재가 배출되는 출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갱도의 방향 전환을 통해 채취 석재의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5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unnel opening and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에서 분기되어 석산(10)의 외측 둘레에서 다른 방향의 출구를 형성하는 분기 갱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nother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분기 갱도부(400)는 지상을 기준으로 첫번째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이 위치된 지점에서 분기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와 다른 방향의 출구를 형성한다. The branching
분기 갱도부(400)는 지상을 기준으로 첫번째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이 위치된 지점에서 분기되어 시공 비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으로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여 시공될 수 있다. The
분기 갱도부(400)는 일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와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석산(10)의 측면으로 관통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와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는 출구로 채취 석재가 배출되어 지상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ranching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와 분기 갱도부(400)와 연결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개폐하는 갱도 개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another embodiment of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of the entrance of the
갱도 개폐부(5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개폐하여 채취 장소 즉, 석산(10)의 정상부에서 채취 석재를 채취하는 작업 중에도 지상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unnel opening/
갱도 개폐부(500)는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는 개폐 블럭부재(510), 개폐 블럭부재(510)를 전, 후 이동시켜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열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는 직선 이동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opening/
직선 이동부(520)는 개폐 블럭부재(510)와 연결된 피스톤 로드(521b)가 실린더 본체(521a) 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521)인 것을 일 예로 한다.As an example, the linear moving
직선 이동부(520)는 유압 실린더(521)로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 실린더(521)를 작동시키는 유압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압 제어부를 통한 유압 실린더(521)의 작동은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linear moving
갱도 개폐부(500)는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 측에서 분기 갱도부(40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개폐 블럭부재(510)는 직선 이동부(520)와 연결되고 상면이 분기 갱도부(400)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블럭 본체부(511), 블럭 본체부(511)의 단부 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는 개폐용 돌출부(512)를 포함한다.The tunnel opening/
그리고, 개폐용 돌출부(512)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을 때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채취 석재를 분기 갱도부(400)로 안내하는 이송 안내용 경사면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 블럭부재(510)는 개폐용 돌출부(512)의 후측으로 분기 갱도부(400)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평면의 여유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opening/
개폐 블럭부재(510)는 일단부 측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에 밀착되면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게 되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따라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는 이송 안내용 경사면을 따라 분기 갱도부(400)로 안내되어 분기 갱도부(400)를 통해 이송되어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배출된다. The opening/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는 상부 측에 개폐용 돌출부(512)의 이송 안내용 경사면이 밀착되도록 테이퍼진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가 위치된다. At the entrance of the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는 개폐 블럭부재(510)가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을 때 경사면과의 사이에서 채취 석재가 이송될 수 있는 크기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개폐용 돌출부(512)는 상단부 측 일부분 즉, 이송 안내용 경사면의 상단부 측 일부분이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에 밀착되는 형태로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는다.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 블럭부재(510)는 실린더 본체(521a)와 밀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고, 개폐용 돌출부(512)의 이송 안내용 경사면과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410)의 사이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와 분기 갱도부(400)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가 형성된다. The opening/
개폐 블럭부재(510)가 유압 실린더(521)에 의해 이동되어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가 닫히는 경우 채취 장소에서 석재 이송용 갱도의 입구로 투입된 채취 석재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이송 중에 연결 통로를 통해 분기 갱도부(400)로 이송되고, 분기 갱도부(400) 내에서 굴러 최종적으로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배출된다. When the opening/
작업 관리자는 유압 실린더(521)의 작동 즉, 직선 이동부(520)의 작동을 제어하여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막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로 채취 석재를 배출시키거나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를 막아 분기 갱도부(400)의 입구를 열어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채취 석재를 배출시킬 수 있다. The operation manag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즉,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와 근접한 위치로 채취 석재를 운송하는 경우 해당 채취 석재를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고,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와 근접한 위치로 채취 석재를 운송하는 경우 해당 채취 석재를 분기 갱도부(400)의 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ransporting the collected stone to a location close to the exit of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갱도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갱도 개폐부(500)의 유압 실린더(521)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유압 실린더(521)는 실린더 본체(52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피스톤 로드(521b)와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521b)와 일체로 이동하여 피스톤 로드(521b)를 보호하는 로드 보호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로드 보호부(530)는 피스톤 로드(521b)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 커버부재(531), 보호 커버부재(531)와 피스톤 로드(521b)를 연결하는 커버 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커버 연결부재(532)는 피스톤 로드(521b)의 상부 측과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보호 커버부재(531)를 지지함으로써 채취 석재의 하중을 분산 지지함으로써 채취 석재의 하중에 의해 보호 커버부재(531)와 피스톤 로드(521b)의 변형을 방지한다. The
보호 커버부재(531)는 피스톤 로드(521b)가 인출되어 개폐 블럭부재(510)가 전진할 때 개폐 블럭부재(510)와 실린더 본체(521a)의 간격을 커버하여 인출된 피스톤 로드(521b)를 채취 석재로 부터 보호함은 물론 채취 석재가 분기 통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1, 도 2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석산(10)의 정상부에서 석재의 채취가 가능한 석재의 채취 장소를 정리하는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S100),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S100) 후 석산(10)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채취 장소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하단부 측이 석산(10)의 하부 측에서 측면으로 개방되어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 낙하되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 채취 장소에서 중장비로 석재를 채취하는 석재 채취단계(S300), 석재 채취단계(S300)에서 채취된 석재를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입구로 투입시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통해 자유 낙하시켜 석재 이송 갱도부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석재 이송단계(S40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FIG. 9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2 and 9 , an embodiment of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the top of (10), the collection site foundation step (S100) to organize the collection site of stone where the stone material can be collected, and the collection site foundation step (S100) are located inclined inside the stone mountain (10) and the upper end side is Tunnel construction for transport to construct a
또한,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산(10)의 측면에서 석산(10)의 토양층(11)과 석재층(12)을 관통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형성하는 보조굴 시공과정, 보조굴 시공과정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일부분 또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전체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는 굴 채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is a tunnel from the side of the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산(10)의 측면을 뚫어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시공한 후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일부 또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전체를 시공하여 기울어져 석산(10)의 정상부에서 지상의 10 ~ 20m 높이 지점까지 뚫리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전체를 시공한다. In the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for transport, a part of the
보조굴 시공과정과 이송용 갱도시공과정은 화약을 이용한 발파 과정으로 시공할 수 있고, 튜브를 압입하여 지면을 뚫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시공될 수도 있고, 드릴링 작업을 통해 시공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의 굴 시공 과정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auxiliary burrow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process can be constructed by blasting using gunpowder, by using a perforator that presses in a tube to penetrate the ground, or by drilling.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it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excavation process.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보조굴 시공과정과 이송용 갱도시공과정을 교대로 수행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을 완료한다.In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the auxiliary tunnel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transport shaft construction process are alternately perform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그리고,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굴 채움과정을 통해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아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에 의해 채취된 채취 석재의 이송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굴 채움과정은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의 일부만 채우고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과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계까지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In the oyster filling process, only a part of the
굴 채움과정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돌덩이를 쌓아 촘촘히 채워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 있고, 콘크리트로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도 있고,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굴 채움부(300)를 시공하여 갱도 시공용 보조굴(200)을 막을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시공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In the oyster filling process, the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한다. In the transporting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the stone transporting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너무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1.2 초과의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우 굴러 이송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가 너무 느려 흙일 경우 작은 입자가 자유 낙하하지 못해 채석물의 원활한 흐름을 가로 막을 수 있다.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일 예로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2의 경사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하는 경우 경사도가 낮아 채취 석재가 자유 낙하하기 어려워 갱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경사각도가 큰 경우 즉, 높이(h) 대비 가로(L)의 비율이 1 : 0. 5 이상의 경사는 하단부(바닥을)를 안쪽으로 많이 절삭해야 하는 비능률적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In ca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또한,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가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토양층(11)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the exit of the stone
즉,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에서 출구의 하단부가 지상을 기준으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고, 출구의 상단부가 토양층(11)의 표면을 기준으로 10 ~ 20m 깊이를 여유 깊이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한다. That is, in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at the exit of the stone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출구에서 상단부 측과 하단부 측에 각각 여유 높이(깊이)를 형성하여 채취 석재가 출구에서 배출된후 지상에 쌓일 수 있는 여유 높이를 확보함과 아울러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의 상단부 측에서 지상에 쌓인 채취석재를 덤프 트럭 등의 이송수단으로 다른 위치로 운송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an extra height (depth) is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and the lower end side, respectively, at the exit of the stone
또한,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가 연결된 석재 이송용 갱도부(100)를 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ransporting tunnel construction step ( S200 ), a plurality of transporting shaft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may be constructed of the stone transporting
더 상세하게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S200)는 석산(1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며 제1기울기(α)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1이송용 갱도(110), 석산(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10)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며 제2기울기(β)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2이송용 갱도(120), 제1이송용 갱도(110)와 제2이송용 갱도(120)를 연결하며 제3기울기(θ)를 가지는 제3이송용 갱도(130)를 포함하도록 시공하고, 제3기울기(θ)는 제1기울기(α)와 제2기울기(β)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제1기울기(α)는 제2기울기(β)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시공한다. In more detail, the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step (S2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이에 기울기가 가장 큰 제3이송용 갱도(130)를 통해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극대화한 후 기울기가 가장 낮은 제2이송용 갱도(120)로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여 배출 시 안전한 속도로 채취 석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취 석재가 과도한 속도로 배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채취 석재를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게 하여 채취 석재의 이송 효율과 이송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maximizing the transport speed of the mined stone through the
본 발명은 석산(10)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10)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하여 석재의 채취 효율을 향상시키고, 석재의 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transport the stone collected from the
본 발명은 석산(10)에서 채석되는 석재를 석산(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갱도를 통해 지상으로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석산(10)에서 채취된 석재를 지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분진 등의 공해 피해를 최소화하여 석산(10)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material quarried in the
본 발명은 갱도를 분기시켜 석산(10)에서 채취되는 석재의 배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채취된 석재를 다른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운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discharge location of the stone material collected from the
본 발명은 낙석으로 인해 장비와 작업자가 다치는 상해 사고나 덤프트럭이나 굴삭기 등이 석산에서 석재를 이송 시에 굴러 떨어지는 사고 등을 예방하여 산업 안전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contribute to industrial safety by preventing an accident in which equipment and workers are injured due to rockfall, or an accident in which a dump truck or an excavator rolls down while transporting stones from a stone mountain.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석산
11 : 토양층
12 : 석재층
100 : 석재 이송용 갱도부
101 : 출구 가이드 벽부
110 : 제1이송용 갱도
120 : 제2이송용 갱도
121 : 단턱부
130 : 제3이송용 갱도
200 : 갱도 시공용 보조굴
300 : 굴 채움부
400 : 분기 갱도부
410 : 통로 확장용 테이퍼부
500 : 갱도 개폐부
510 : 개폐 블럭부재
511 : 블럭 본체부
512 : 개폐용 돌출부
520 : 직선 이동부
521 : 유압 실린더
521a : 실린더 본체
521b : 피스톤 로드
530 : 로드 보호부
531 : 보호 커버부재
532 : 커버 연결부재
S100 :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S200 :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
S300 : 석재 채취단계
S400 : 석재 이송단계10: Seoksan 11: Soil layer
12: stone layer
100: shaft for stone transport 101: exit guide wall
110: shaft for the first transfer 120: shaft for the second transfer
121: step 130: shaft for third transfer
200: auxiliary oyster for tunnel construction 300: oyster filling part
400: branch shaft part 410: taper part for passage expansion
500: tunnel opening and closing part 510: opening and closing block member
511: block body 512: protrusion for opening and closing
520: linear moving part 521: hydraulic cylinder
521a:
530: rod protection 531: protective cover member
532: cover connecting member
S100: Collecting site foundation stage
S200: Construction stage of the tunnel for transport
S300: Stone extraction stage
S400: stone transfer step
Claims (12)
상기 석산의 내부에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석산의 상부에 위치되는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낙하되어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It is a tunnel located in the stone mountain where stones are buried.
and a shaft for transporting the stone, which is located at an angle in the inside of the stone mountain so that the stone collected at the extraction sit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ne mountain rolls from the inside and falls freely to the ground.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는 지상에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로 두고 위치되고, 상기 석산의 토양층의 표면에서 10 ~ 20m의 깊이를 여유 깊이로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it of the shaft for transporting the stone is located at a height of 10 to 20 m above the ground as an extra height, and a depth of 10 to 20 m from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of the stone mountain as an extra depth.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경사 각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aft for stone transport is formed so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width is 1: 0.5 to 1: 1.2.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뚫려 형성되는 갱도 시공용 보조굴; 및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시공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uxiliary tunnel for tunnel construction formed by penetrating the soil layer and the stone layer from the side of the stone mountain to a position where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is formed; and
The tunnel structure for qu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yster filling part for blocking the auxiliary oyster for tunnel constru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haft part for stone transport.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이송용 갱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quarry shaft structure for the ston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ransport shaft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는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는 제1이송용 갱도,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는 제2이송용 갱도, 제1이송용 갱도와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3이송용 갱도는 각각 기울기가 다른 제1기울기, 제2기울기, 제3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3이송용 갱도의 제3기울기는 상기 제1이송용 갱도의 제1기울기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의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the top to become the entrance, the first transport shaf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to the side direction of the stone mountain to drop the collected stones to the ground It includes a second shaft for transport that serves as an exit, and a third shaft for transport that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shafts for transport,
The first transport shaft, the second transport shaft, and the third transport shaft each have a first gradient, a second gradient, and a third gradient with different inclinations,
The third slope of the shaft for the third transfer has a greater slope than the first slope of the shaft for the first transfer and the second slope of the second shaft for the second transfer, and the first slope is greater than the second slope. A shaft structure for qu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상기 제3이송용 갱도부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부의 경계에는 채취 석재의 이송 속도를 줄이는 단턱부가 통로 안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
7. The method of claim 6,
The quarrying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boundary of the third transporting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transporting shaft portion, a stepped portion for reducing the transport speed of the collected stone is positioned to protrude into the passage.
상기 채취 장소 기초화 단계 후 석산의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채취 장소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하단부 측이 석산의 하부 측에서 측면으로 개방되어 채취 장소에서 채취된 석재가 내부에서 굴러 자유 낙하되는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
상기 채취 장소에서 중장비로 석재를 채취하는 석재 채취단계; 및
상기 석재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석재를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입구로 투입시켜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통해 자유 낙하시켜 상기 석재 이송 갱도부의 출구로 배출시키는 석재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
A collection site foundation step of arranging a collection site for stones capable of extraction of stones from the top of the stone mountain;
After the grounding step of the collecting site, it is tilted inside the stone mountain, the upper end side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site, and the lower end side is open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to the side, so that the stone collected at the collecting site rolls inside and freely falls a transport shaft construction step of constructing a shaft for stone transport;
a stone extraction step of collecting stones with heavy equipment at the collection site; and
and a stone conveying step in which the stone collected in the stone collecting step is put into the entrance of the stone conveying shaft, and free fall through the stone conveying shaf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stone conveying shaft. A method of quarrying using structures.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산의 측면에서 석산의 토양층과 석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가 형성되는 위치까지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형성하는 보조굴 시공과정;
상기 보조굴 시공과정 후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일부분 또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전체를 시공하는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과정 후 상기 갱도 시공용 보조굴을 막는 굴 채움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struction step of the tunnel for transport is,
an auxiliary hole construction process of forming an auxiliary hole for tunnel construction from the side of the stone mountain to a position where the stone material transport shaft part is formed through the soil layer and the stone layer of the stone mountain;
a transport tunnel construction process of constructing a part of the stone transport shaft part or the entire stone transport shaft part after the auxiliary tunnel construction process;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yster filling process for blocking the auxiliary oyster for tunnel construction after the transporting tunnel construction process.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높이 대비 가로의 비율이 1 : 0. 5 ~ 1: 1.2 사이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haft for transport includes constructing the shaft for transporting the stone so that the ratio of height to width has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1: 0.5 and 1: 1.2.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재 이송용 갱도부의 출구에서 출구의 하단부가 지상을 기준으로 10 ~ 20m 높이를 여유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고, 출구의 상단부가 토양층의 표면을 기준으로 10 ~ 20m 깊이를 여유 깊이를 가지도록 석재 이송용 갱도부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tunnel for transport, the lower end of the outlet at the exit of the tunnel for transporting stone is positioned to have a height of 10 to 20 m above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of the outlet is 10 to 20 m deep based on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part for transporting stones is constructed to have an extra depth.
상기 이송용 갱도 시공단계는 상기 석산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단부가 정상부로 개방되어 입구가 되며 제1기울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1이송용 갱도, 상기 석산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석산의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채취 석재를 지상으로 낙하시키는 출구가 되며 제2기울기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제2이송용 갱도, 상기 제1이송용 갱도와 상기 제2이송용 갱도를 연결하며 제3기울기를 가지는 제3이송용 갱도를 포함하도록 시공하고, 상기 제3기울기는 상기 제1기울기와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기울기는 상기 제2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석용 갱도 구조체를 이용한 채석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tunnel for transport, the first transport shaf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upper end is opened to the top to become the entrance, and the first transport shaft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lop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ne mountain and the lower end is the stone mountain is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o be an outlet for dropping the stone material to the ground, and a second transport shaft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slope, connecting the first transport shaft and the second transport shaft, and forming a third slope The branch is constructed to include a third transport shaft, the third slope has a larger slope than the first slope and the second slope, and the first slope is constructed to have a larger slope than the second slope A quarrying method using a quarrying shaf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940A KR102414912B1 (en) | 2020-06-23 | 2021-11-24 | Quarry tunnel structure and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173A KR102414911B1 (en) | 2020-06-23 | 2020-06-23 | Quarry tunnel structure |
KR1020210162940A KR102414912B1 (en) | 2020-06-23 | 2021-11-24 | Quarry tunnel structure and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173A Division KR102414911B1 (en) | 2020-06-23 | 2020-06-23 | Quarry tunnel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8363A true KR20210158363A (en) | 2021-12-30 |
KR102414912B1 KR102414912B1 (en) | 2022-06-29 |
Family
ID=791788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173A KR102414911B1 (en) | 2020-06-23 | 2020-06-23 | Quarry tunnel structure |
KR1020210162940A KR102414912B1 (en) | 2020-06-23 | 2021-11-24 | Quarry tunnel structure and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173A KR102414911B1 (en) | 2020-06-23 | 2020-06-23 | Quarry tunnel structur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4170126A4 (en) |
KR (2) | KR102414911B1 (en) |
WO (1) | WO2021261649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172A (en) | 1998-09-18 | 2000-04-15 | 변상지 | Quarrying method of long wall type multiple stairway |
KR20020036990A (en) * | 2002-04-04 | 2002-05-17 | 장준영 | benchcut method for cover wall and automatic carry tunnel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330519C (en) * | 1969-10-31 | 1977-01-24 | S T Henriksson | SEE FOR MINING WITH ACCORDING TO THE DAYME METHOD |
US3904244A (en) * | 1972-01-20 | 1975-09-09 | John C Haspert |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zed seam mining |
US4103972A (en) * | 1973-12-03 | 1978-08-01 | Kochanowsky Boris J | Open pit mine |
CA1074083A (en) * | 1975-02-20 | 1980-03-25 | Ernest R. Ellithorpe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lting block sulphur |
JPH08158777A (en) * | 1994-12-03 | 1996-06-18 | Fumi Ishida | Ore quarry method and device thereof |
JP2007144255A (en) * | 2005-11-24 | 2007-06-14 | Komatsu Ltd | Crusher |
JP5398883B1 (en) * | 2012-07-25 | 2014-01-29 | 西松建設株式会社 | Silencing device, silencing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caused by blasting |
CN104975875B (en) * | 2015-07-01 | 2017-09-12 | 昆明理工大学 | A kind of branch's drop shaft ore discharging apparatus |
-
2020
- 2020-06-23 KR KR1020200076173A patent/KR10241491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0-07-17 WO PCT/KR2020/009417 patent/WO2021261649A1/en unknown
- 2020-07-17 EP EP20941554.6A patent/EP4170126A4/en active Pending
-
2021
- 2021-11-24 KR KR1020210162940A patent/KR1024149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172A (en) | 1998-09-18 | 2000-04-15 | 변상지 | Quarrying method of long wall type multiple stairway |
KR20020036990A (en) * | 2002-04-04 | 2002-05-17 | 장준영 | benchcut method for cover wall and automatic carry tun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70126A4 (en) | 2024-07-24 |
WO2021261649A1 (en) | 2021-12-30 |
KR20210157984A (en) | 2021-12-30 |
EP4170126A1 (en) | 2023-04-26 |
KR102414912B1 (en) | 2022-06-29 |
KR102414911B1 (en) | 2022-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481539B (en) | From kerve tight-face blasting caved stopes | |
CN110295908B (en) | Mining method for gentle dip medium-thickness ore body in fluctuating sectional roadway | |
ES2902703T3 (en) | underground mining | |
CN113530558B (en) | Double-drop shaft-inclined drift combined layered construction method for high-large chamber | |
CN104847356A (en) | Mining method of thin and small ore body | |
CN102182461A (en) | Efficient mining method for thick metal ore body in slanting | |
BG67116B1 (en) | Method of underground mining of mineral resources | |
CN107975373A (en) | A kind of lower continuous digging hard-rock mine method of mechanization of liquid-gas phase transition induction | |
CN112177614B (en) | High-step multi-layer mining method for surface mine | |
CN107191191A (en) | A kind of rock gangway fast digging technique of the breaking rock gangway anchor driving machine of three hammering blows | |
CN104806243A (en) | Wedge transferring transition method for transferring from open-pit mining to underground mining | |
CN116034210A (en) | Patio breakout method for mining ore from ore bodies, mining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machine, control system and data medium | |
RU2322583C2 (en) | Development method for steep and inclined deposit having low and medium thickness | |
US4072352A (en) | Method for mining of rock or ore according to the block caving principle in massive formations | |
CN109505604B (en) | Slope ramp arrangement method applied to stope adopting upward layered filling mining method | |
CN105370280B (en) | A kind of double-deck thin jade ore deposit nondestructive blasting mining methods of underground low-angle dip | |
KR102414912B1 (en) | Quarry tunnel structure and quarry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05952449B (en) | A kind of new method of Tailings dry type back production | |
CN112050697A (en) | Super-huge type dangerous rock treatment construction method | |
Sokolov et al. | Rational design of ore discharge bottom in transition from open pit to underground mining in udachny mine | |
RU2443864C1 (en) | Method to mine mineral deposits | |
CN111852473B (en) | Mining method of thin vein | |
Plotnikov et al. | Features of new sites designing on quarry fields of the existing open pit mines of Kuzbass | |
CN212202124U (en) | Broken conveying system of drop shaft | |
RU2367793C1 (en) | Recovery method of miner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