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271A -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271A
KR20210158271A KR1020200076791A KR20200076791A KR20210158271A KR 20210158271 A KR20210158271 A KR 20210158271A KR 1020200076791 A KR1020200076791 A KR 1020200076791A KR 20200076791 A KR20200076791 A KR 20200076791A KR 20210158271 A KR20210158271 A KR 20210158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wnership
product
authenticity
tag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주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주얼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주얼넷
Priority to KR102020007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271A/ko
Publication of KR2021015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271A/ko
Priority to KR1020220087220A priority patent/KR20220113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를 활용해 소유자의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화하고,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에셋(True Asset)으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P2P 분산(decentralized) 저장기술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실제 자산 인 제품의 정품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을 확인하는 디지털 인증 기반으로 실물 자산의 소유권과 진위성,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추적성을 검증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System to provide genuinity verification and ownership change records of product esset by using a blockchain and a genuine authentiation tag technologies}
본 발명은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에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된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소유권자의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의 트루 스톡(TrueStock)의 트루 에셋(True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하여 디지털 자산화하고(실물 자산에 대한 브랜드 제조사의 진위성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 저장),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에셋(True Asset)에 저장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제품의 진위성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디지털 자산 인증 기반의 실물 자산과 제품의 진위성과 소유권,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추적성을 검증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모조품 시장도 같이 확대되어 글로벌 시장에서 자신만의 브랜드 및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제조사 및 소유자들은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등)의 진위성과 소유권을 투명하게 검증하고 관리하는‘신뢰 기반의 검증 및 변경이력 관리 체계’를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위ㆍ변조 방지를 위한 정품인증 정보 및 제품이력 데이터를 중앙 집중화된(centralized) 자체 서버에 기록ㆍ보관하고 있고, 서버에 정품인증 정보 및 제품이력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해킹이나 데이터 위ㆍ변조 등의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자체 보유 중인 인증 서버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 부담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OECD 연구에 따르면, 위조 동향이 크게 증가하여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총 국제 무역량 중 위조가 차지하는 규모가 1.9%에서 2.5%로 증가했으며, 이는 4천6백억 달러 이상의 거래에 해당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IT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데이터 저장에 있어서, 위조 및 도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제품의 진위성과 소유권의‘신뢰의 문제’를 블록체인 기술의 출현으로 상당 부분이 해결되고 있는 추세이다.
위조 및 도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귀중품과 제품의 특성상 브랜드 진위성과 소유자 신뢰성/투명성 확보가 최우선시 되어야 하며, 정품인증 태그와 블록체인의 위ㆍ변조가 불가능한 특성을 활용해 제품의 진위 여부와 소유권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등록번호 10-18136580000에서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등록되어 있다.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은 의약품/식음료/명품잡화/주류 등의 모조품(짝퉁) 방지 및 신분증/계약서/공증문서 등의 중요문서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무선전자태그(RFID 태그)를 사용함에 있어서, 정품인증 처리 서버에서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와 가변적인 정품인증 암호를 RFID 라이터/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RFID 태그에 저장하고 이를 위한 정품인증 처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동시 저장함으로써 RFID 태그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정품인증 암호를 사용화여 정품 여부를 판단하며, 정품인증 시도할 때 또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정품인증 처리 서버로부터 RFID 라이터/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RFID 태그에 정품인증 암호를 수시로 변경해 줌으로써 타인이 위/변조 목적으로 무선전자태그(RFID) 자체를 복제하여도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가변적인 정품인증 암호에 의해 복제품의 정품인증 시도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서비스 흐름도이다.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방법은, (a) RFID 태그 식별번호,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 정품인증 암호를 RFID 태그에 저장하고, 제품 또는 문서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 거리 내에서 RFID 라이터와 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가 RFID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RFID 라이터와 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는 상기 정품인증 처리 서버와 접속되도록 와이파이(Wi-Fi) 통신부 또는 CDMA, LTE 이동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RFID 라이터와 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정품인증 처리 서버로 인식된 RFID 태그와 상기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를 요청하고, 상기 정품인증 처리 서버가 정품인증 정보 저장장치에 조회하여 해당 RFID 태그에 대한 접속 권한을 확인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상기 RFID 태그에 대한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RFID 태그로 상기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를 전송하고, 상기 RFID 태그는 이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유무선 단말기가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RFID 태그 식별번호와 상기 정품인증 암호를 인식하며, 이를 상기 정품인증 처리 서버로 전송하여 정품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정품인증 처리 서버가 정품인증정보 저장장치에 저장된 정품인증을 요청한 RFID 태그의 제품 상세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정품인증 암호가 상기 정품인증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정품인증 암호와 상호 일치하면,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정품인증 인증 성공 응답과 제품 상세 정보 및 새로운 정품인증 암호를 전송하고, 상기 새로운 정품인증 암호를 상기 정품인증 정보 저장 장치로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유무선 단말기에서 정품 인증 성공과 상기 제품 상세 정보를 상기 유무선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하고,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RFID 태그로 상기 새로운 정품 인증 암호를 전송하며, 상기 RFID 태그가 상기 새로운 정품 인증 암호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RFID 태그는 고유의 RFID 태그 식별번호, 무선전자태그 접속암호, 정품인증 암호가 저장되고, 일정주기 주기적으로 또는 정품인증 시도 시마다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가변적으로 갱신되는 새로운 정품인증 암호가 저장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d)와 (e) 단계에서, 상기 정품인증 처리 서버에 의해 일정 주기 주기적으로 또는 정품인증 시도 시마다 상기 RFID 태그 식별번호와 상기 정품인증 암호에 따라 상기 유무선 단말기로 정품인증 확인과 제품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제품 또는 문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정품인증 암호를 정품인증 처리 서버의 자체 정품인증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 또는 문서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라이팅하여 갱신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f) 상기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정품 인증 앱이 설치된 서버 감시 단말기에 의해 정품 인증 앱이 설치된 상기 RFID 라이터와 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와 상기 정품인증 처리 서버 및 상기 정품인증 정보 저장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RFID 태그가 부착된 의약품/식음료/명품잡화/주류 등의 모조품(짝퉁)을 방지하며, RFID 태그가 부착된 신분증/계약서/공증문서 등의 중요문서 위/변조 방지할 수 있다. 정품인증 처리 서버(300)는 일정 주기 주기적으로 또는 정품인증 시도 시마다 상기 RFID 라이터와 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단말기(200)를 통해 해당 RFID 태그의 새로운 정품인증 암호를 갱신함으로써 제품과 문서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위변조를 방지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2로써, 특허공개번호 10-2020-0063959에서는 "IoT 플랫폼과 블록체인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IoT 플랫폼과 블록체인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세스템은
상기 IoT 플랫폼과 프록시 사이에서 경량 메시지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에서 상기 경량 메시지 프로토콜에 따른 제1 데이터와 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로토콜에 따른 제2 데이터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과 상기 프록시 사이에서 상기 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로토콜에 따른 상기 제2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재, 위ㆍ변조 방지를 위한 정품인증 정보 및 제품이력 데이터를 중앙 집중화된(centralized) 자체 서버에 기록ㆍ보관하고 있고, 서버에 정품인증 정보 및 제품이력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해킹이나 데이터 위ㆍ변조 등의 많은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또한, 자체 보유 중인 인증 서버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 부담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허 등록번호 10-18136580000 (등록일자 2017년 12월 22일),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주식회사 비주얼넷 특허 공개번호 10-2020-0063959 (공개일자 2020년 06월 05일), "IoT 플랫폼과 블록체인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에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된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소유권자의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의 트루 스톡(TrueStock)의 트루 에셋(True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하여 디지털 자산화하고(실물 자산에 대한 브랜드 제조사의 진위성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 저장),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에셋(True Asset)에 저장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제품의 진위성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디지털 자산 인증 기반의 실물 자산과 제품의 진위성과 소유권,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추적성을 검증하는, 블록체인 기술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활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의 제품의 정품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되고,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IoT 모듈;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의 제품의 정품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되고,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에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된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소유권자의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의 트루 스톡(TrueStock)내의 트루 에셋(True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하여 디지털 자산화하고(실물 자산에 대한 브랜드 제조사의 진위성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 저장),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에셋(True Asset)에 저장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제품의 진위성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디지털 자산 인증 기반의 실물 자산과 제품의 진위성과 소유권,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추적성을 검증하는 효과가 있다.
제품의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이력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기술을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 솔루션 적용하여 현재 세계 최초로 정품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광학 태그)한 VisualTag®를 개발하였으며,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분산(decentralized) 저장기술을 적용하여 위ㆍ변조가 불가능한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확인 및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였으며, 독자적인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인증기술과 융합하여 실물자산의 복제방지 기능을 강화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과 정품인증 태그를 활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주요 경쟁업체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솔루션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STEP1 육안으로 정품 확인 - 화면이다.
도 5는 STEP2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로 정품 인증 -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신뢰 플랫폼(Blockchain Trust Platform) 구성도(TrueBloc)이다.
도 7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계층도 및 구성 요소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아키텍처(V1.0)이다.
도 9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프로토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물 자산 인 제품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Certification Service) 흐름도(소유자 중심)이다.
도 11은 스마트 계약 기반의 물품 판매ㆍ양도 트랜잭션 처리 개념도이다.
도 12a는 블록체인 기반의 정품인증 태그 개발(해시 암호화 정보 탑재)된 사진이다. 도 12b는 당사 정품인증 태그를 보인 제품 사진이다.
도 13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망 구성도이다.
도 14는 블록체인 기반의 물품 추적성(이력관리) 검증 시나리오로써, 물품의 추적성에는 ‘소유권 이력관리’ 외에 ‘유통 이력관리’에도 적용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 이력 관리(원산지부터 유통 전 과정의 실시간 유통이력 추적/조회 과정)을 보인 사진이다.
도 15는 정품인증 태그 VisualTag® 기술 및 최적화된 트랙잭션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통한 정품 인증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블록제인 트랙잭션 융합기술 개념도이다.
도 16은 트랙잭션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통한 정품 인증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블록제인 트랙잭션 융합기술의 SWOT 분석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과 정품인증 태그를 활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에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된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소유권자의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의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하여 디지털 자산화하고(실물 자산에 대한 브랜드 제조사의 실물 자산의 진위성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 저장),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에셋(True Asset)에 저장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실물 자산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자, 원산지 증명을 확인하는 디지털 자산 인증 기반의 실물 자산과 제품의 진위성과 소유권,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추적성을 검증한다.
실물 자산(Real Asset)은 귀중품, 제품, 물품, 또는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축수산물이 포함된다.
실물 자산에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가 부착되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된다.
디지털 자산은 실물 자산에 대한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원산지 증명서를 더 포함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플랫폼 시스템은 실물 자산에 대한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된다.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전은 실물 자산의 현재 소유권자(양도인)와 양수인의 개인키/공개키 디지털 서명에 의해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능을 사용하여 현재 소유권자(실물 자산의 양도자)로부터 양수인으로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 또는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축수산물)과 디지털 자산(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의 소유권이 이전되며,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전 시점에서 현재 소유권자(양도인)의 디지털 자산(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은 삭제되고, 실물 자산의 소유권을 양도받은 양수인은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 인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를 양수인의 트루 에셋(True 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되며, 거래 정보(실물 자산의 양도인 정보, 양수인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롯폼 시스템은 소유권 변경이력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귀중품, 제품, 물품,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축수산물 등의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 또는 상기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IoT 모듈;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바코드 리더, 13.56MHz RFID 리더)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통신망(Wi-Fi, 3G/LTE 4G/5G, IoT 통신망)을 통해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저장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의 실물 자산의 정품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하고, 원산지 증명, 유통 이력,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제품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의 제품의 정품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되고,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IoT 모듈;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실물 자산의 정품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되고,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참여 권한이 허가된 참여자에게 분산원장에 데이터를 기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하며, 처음 참여시 Enrollment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하고 호출시 랜덤으로 생성되는 Network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받아 블록체인 노드에 신원을 확인하여 개인키(자격 증명)를 발급하는 신원 확인(idetify);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요소써 합의 프로토콜(ordering service)에 의해 분기되는 블록체인 노드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합의 프로토콜에 의해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검증,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 거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거래(Transaction); 실물자산의 소유권 변경시 현재 소유권자와 거래 당사자와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제공하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한다.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검증,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는 스마트 인증 서비스 스마트 자산 관리,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시 스마트 계약 관리를 제공한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바코드, QR 코드(Secured-QR코드), 13.56MHz RFID 태그(Crypto-RFID) 중 하나 이상이 융합되어 하나의 정품인증 태그에 사용된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암호화 한 해시 암호화 정보를 탑재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되며, 해시 알고리즘은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블록 정보를 암호화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바코드 리더와 연결되거나, QR 코드 인식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13.56MHz RFID 리더와 연동된다.
도 3은 주요 경쟁업체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솔루션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STEP1 육안으로 정품 확인 - 화면, 도 5는 STEP2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로 정품 인증 - 화면이다.
당사는 현재 세계 최초로 정품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광학 태그인 VisualTag®를 개발하였으며,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 기반의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위ㆍ변조가 불가능한 모바일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관리 솔루션 개발하였다.
당사는 현재 차세대 정품인증 솔루션(VisualTag® 태그 및 플랫폼)을 개발하여 글로벌 판매 중이며, Private 블록체인 기반 인증서비스를 개발하여 자사 플랫폼에 융합하였다.
초미세 반도체 제조공정을 사용한 정품인증 태그 제품을 설계하였으며, 차세대 정품인증 솔루션을 위해 마이크로광학 및 초정밀금형, 첨단 ICT융합, 그리고 초미세 반도체공정을 사용한 제품을 설계 제작하였다.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 솔루션 적용하여 현재 세계 최초로 정품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광학 태그)한 VisualTag®를 개발하였으며,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분산(decentralized) 저장기술을 적용하여 위ㆍ변조가 불가능한 모바일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관리 솔루션 개발하였으며, 독자적인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인증기술과 융합하여 복제방지 기능을 강화하였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바코드, QR 코드(Secured-QR코드), 13.56MHz RFID 태그(Crypto-RFID) 중 하나 이상이 융합되어 하나의 정품인증 태그에 사용된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암호화 한 해시 암호화 정보를 탑재하여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며, 해시 알고리즘은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블록 정보를 암호화한다.
당사 오프라인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초정밀 광학ㆍ금형 기술로 복제가 불가능하며, 현재 이와 관련된 특허는 등록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신뢰 플랫폼(Blockchain Trust Platform) 구성도(TrueBloc)이다.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이력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분산원장 저장기술을 제공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였다.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보안이 유지되고 제3자가 인증서를 변경할 수 없으며, 제조사가 등록한 실물 자산의 소유자 제품 전체 정보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트루에셋(TrueAsset)(120 k)의 블록체인 노드들의 분산 저장소로 사용되며, 암호화되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트루 스톡(TrueStock)(110);
각각의 트루블록(TrueBloc) 블록체인에 등록된 실물 자산에 대한 디지털 자산 인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가 저장되고, 제품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증명, 기타 제품 정보들(원산지 정보, 품질 정보, 유통 정보, 평가 정보 등)이 모두 저장되며, 각 디지털 자산은 고유하고, 제3자가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변경할 수 없는 트루 에셋(TrueAsset)(120 k);
실물 자산(제품)의 소유자는 어떤 데이터를, 어떤 조건으로, 누구와 공유할지가 선택되며, 소유자의 요청에 따라 트루스톡에 등록된 제품 진위성 검증, 소유권을 검증할 수 있으며, 간단한 읽기 권한부터 권한 위임까지 다양한 작업 유형을 허용할 수 있으며, 실물 자산의 소유자가 트루블록에 대한 권한을 제어하는 연동 서버로 사용되는 트루 링크(TrueLink)(100); 및
외부 제조사, 제3자와 블록체인 플랫폼 간 상호 연동의 줌심 역할을 하는 트루 허브(TrueHub)(130)를 포함한다.
상기 트루 허브(TrueHub)(130)는 제조사가 인증한 제품의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관리 모듈; 제조사ㆍ소유자ㆍ사용자와 연결하고, 그 요구를 처리하는 외부 연동 모듈;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의 윤용 및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운용 센터 모듈을 포함한다.
⑴ 트루 스톡(TrueStock) : 블록체인 분산 저장소(제3자가 인증서를 변경할 수 없음)
. 등록된 실물 자산의 소유자의 제품 전체 정보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안 저장소
. 제조사가 등록한 실물 자산(제품)의 진위성 정보, 소유자가 등록한 제품 소유권 정보 저장
. 기타 제품 정보(원산지 정보, 품질 정보, 유통 정보, 평가 정보 등) 저장
. 검증된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되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개인정보)를 보호함
⑵ 트루 에셋(TrueAsset) : TrueBloc 블록체인에 등록된 제품의 표시 (디지털 자산)
. 실물 자산 인 제품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증명, 기타 제품 정보들(원산지 정보, 품질 정보, 유통 정보, 평가 정보 등)이 모두 포함됨
. 각 디지털 자산은 고유하고, 제3자가 실물 자산의 소유권을 변경할 수 없으며, 트루에셋 사이에 전송 가능함
⑶ 트루링크(TrueLink) : 소유자가 트루블록에 대한 권한을 제어하는 연동 서버
. 실물 자산의 소유자는 어떤 데이터를, 어떤 조건으로, 누구와 공유할지를 선택할 수 있음
. 간단한 읽기 권한부터 권한 위임까지 다양한 작업 유형을 허용할 수 있음
. 소유자의 요청에 따라 트루스톡(TrueStock)에 등록된 제품 진위성 검증, 소유권을 검증할 수 있음
. 디앱(Dapp)인 'TrueApp' 을 통한 권한 검증 후 '연동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동됨
⑷ 트루허브(TrueHub) : 외부(제조사, 제3자)와 블록체인 플랫폼 간 상호 연동의 중심
. 제품 관리 모듈 : 제조사가 인증한 제품의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모듈
. 외부 연동 모듈 : 제조사ㆍ소유자ㆍ사용자와 연결하고 요구를 처리하는 모듈
. 운용 센터 모듈 :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의 윤용 및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모듈
[기술 개발 목표]
-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에서 처리속도가 개선되고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만 참여 가능한 프라이빗(Private)형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 플랫폼 개발
- 스마트폰의 소유자 디앱(Owner’s dApp) 개발
ㆍ허가된 소유자들은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dApp)을 사용하여 트루 스톡 생성하기를 통해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자신의 개인키와 정품인증 태그의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서를 해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들의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에 접근할 수 있다.
ㆍ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읽기 접근 권한 허용하기, 신규 자산 추가하기, 실물 자산의 대여 또는 양도하기 같은 소유자 기본 권한을 수행할 수 있다
ㆍ특히, 실물 자산인 소유자의 제품 분실이나 도난도 신고할 수 있으며, 공개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 프라이빗 블록체인 신뢰 플랫폼(Blockchain Trust Platform) 개발 (Hyperledger-Fabric 연동된다.
- 프라이빗(Private)형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
- 블록체인 기반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Certification Service) 개발
-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 실물 자산의 현재 소유권자(양도인)와 거래 당사자(양수인)와의 결제 처리후에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개발(Hyperledger-Fabric 기반)
-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정품인증 태그(Authentication Tag) 개발 (Hyperledger-Fabric 연동)
도 7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계층도 및 구성 요소를 보인 도면이다.
- 프라이빗(Private)형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
* 블록체인 주요 구성요소
⑴ P2P 네트워크 : 블록체인 참여자들간 정보공유는 P2P(Peer to Peer)네트워크를 통해 탈중앙화 분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참여자들은 자신과 물리적으로 가장 인접한 IP를 유지 한다.
⑵ 암호화 기술 : 블록체인에서는 거래의 부인방지를 위한 공개키 기반 디지털 서명 기법*이 사용됨 (* 사전에 비밀키를 나누어 가지지 않은 참여자들도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는 암호화 기술)
⑶ 분산 장부(합의 알고리즘ㆍ채굴) : 참여자들간의 합의에 의해 복제되고 공유, 동기화되는 정보의 기록을 저장하는 정보저장소이며, 블록체인에서는 특히 모든 참여자가 발생하는 모든 거래, 정보들을 검증 및 보존함
⑷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 계약 조건에 따라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양도인과 양수인이 자동으로 디지털 계약을 이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거래 정보가 저장되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며 조작을 방지한다.
도 8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아키텍처(V1.0)이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아키텍처는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에 멤버십 서비스에 기 등록된 신원 확인,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에 저장되는 진위성을 검증하고 소유권을 확인하여 거래되는 실물 자산의 거래(transaction), ordering service(합의 프로토콜), Endorsement Validation 보안과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갖는 합의(Consensus) 서비스를 제공하며, 실물자산의 소유권 변경시에 소유권 이전의 비지니스 로직 서비스, 보안 컨테이너와 보안 레지스트리를 통해 현재 소유권자와 차기 소유권자와의 계약을 제공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 이루어진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가장 큰 특징은 허가형(permissioned)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공인인증서(X.509 PKI 공인인증서 사용) 방식으로 허가된 참여자만 접근을 허용한다.
. 비작업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지정된 보증 피어만 증명작업 실행)
. 성능을 높이기 위해 병렬 실행 방법을 사용한다(목표는 초당 만 트랜잭션 처리)
. 전체 시스템을 모듈 구조로 설계하여 합의 프로토콜을 바꿀 수 있다
.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전 거래가 만들어지면, 먼저 거래를 실행하고, 결과를 블록체인 노드들에게 전송된다.
도 9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프로토콜 처리 흐름도이다.
소유권자와 거래 당사자와의 제품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MSP(Membership Service Provider)로 1)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블록체인 노드의 신원 확인(identify, 참여 권한이 허가된 참여자에게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데이터를 기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하며, 처음 참여시 Enrollment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하고 호출시 랜덤으로 생성되는 Network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받아 블록체인 노드의 신원을 확인하여 개인키(자격 증명)를 발급] 후,
2) 소유권자의 클라이언트(client)가 거래(transaction)를 생성하여 3) 거래 당사자의 피어(peer)에 거래 보증 요청을 하며, 4) 피어(Feer)는 '체인 코드'를 '실행'하고 endorser에 의해 거래 실행 결과 보증하며, 5) 해당 피어(peer)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client)로 거래 보증 응답을 전송하고, 6) 클라이언트가 거래 제안 생성(transaction - proposal) 후 합의 프로토콜(Ordering Service) 관리부로 거래 제출을 실행하면, 합의 프로토콜 관리부는 8) 거래들을 순서화하여 해당 소유권자와 거래 당사자와의 해당 거래 '합의'를 처리하며, 9) 합의 프로토콜 관리부로부터 피어로 거래 확정 요청(block 형태로 거래와 상태 갱신 정보의 '검증'을 요청함)을 전송하고, 10) 해당 피어(peer)는 거래의 해당 실물 자산(제품, 물품 등)의 진위성과 소유권을 확인하여 문제가 없는지 '검증' 후 committer에 의해 거래를 확정(commit)하여 거래(transaction)가 이루어진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요소써 합의 프로토콜(ordering service)에 의해 분기되는 블록체인 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관리되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합의 프로토콜에 의해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검증,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 거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거래(Transaction); 실물자산의 소유권 변경시 현재 소유권자와 거래 당사자와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이 사용된다.
참고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가상화폐를 사용하는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거래 기록을 볼 수 있는 반면,
하이퍼레저(HyperLedger)는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이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허가된 정해진 조직이나 개인만 참여하고 거래 기록을 볼 수 있다.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여러 기업들이 사용하는 하이퍼레저는 대표적인 프라이빗 블록체인용 플랫폼이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기업 비즈니스에서 내부에서만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사용된다.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은 최근 2.0 버전을 출시했으며, 허가받은 사용자만 참여할 수 있는 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하나이며, 금융, 보험, 의료, 사물인터넷(IoT), 공급망, 제조, 디지털 음악 전송 기술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합의 및 회원 서비스와 같은 구성요소를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방식으로 지원한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Java, GO, Node.js)의 로직을 구성하는 "체인 코드(Chain Code)"라는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는 분산 원장 플랫폼이다.
도 10은 실물 자산인 제품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Certification Service) 흐름도(소유자 중심)이다.
-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Certification Service) 개발
- 소유권 변경 시,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개발 (Hyperledger-Fabric 기반)
- 블록체인 기반의 정품인증 태그(Authentication Tag) 개발 (Hyperledger-Fabric 연동)
1) TrueStock 생성하기 :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한다.
개인키(private key)는 트루 스톡(TrueStock)을 액세스하기 위한 개인키이다. 공개키(public key)는 TrueStock 주소 역할을 한다.
2) TrueAsset 추가하기: 제품을 등록하고, 트루 스톡(TrueStock)에 추가하여 트루에셋(TrueAsset)을 생성한다. 트루에셋(TrueAsset)을 생성하면, 소유권 변경 이력에 '소유권 인증서'가 생성된다.
소유권 인증서는 제3자가 위조가 불가능하며, 그 실물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고유한 증빙을 하며, 이는 그 소유권자가 그 제품의 정당한 소유자라는 것에 대한 증빙이다.
3) 실물 자산의 물품 진위성 검증 받기: 트루 링크(TrueLink)를 통해 브랜드 제조사에 연결되며, 브랜드 제조사와 TrueAsset ID를 공유한다.
브랜드 제조사에서 연결된 제품이 진품임이 확인되면 트루에셋(TrueAsset)에 '진위성 인증서'를 추가하게 된다.
4) 제3자 서비스 이용: 소유자는 선택에 따라 제3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실물 자산 관련 보험 가입, 전문가 감정 등
- 보험 가입 대상 실물 자산(제품)의 가치를 추정하고, 보험료를 산정한다.
- 실물 자산(제품) 판매, 제품 매각하기를 위해 판매가 견적의 전문가 감정을 받을 수 있다
5) 이벤트 정보 받기: 소유자에게 직접 연결되어 있는 메시지 전달 채널을 이용
트루 허브(TrueHub)를 통해 브랜드 제조사로부터 새로운 제품 정보 동의 이벤트 정보를 받을 수 있다.
6) 실물 자산 인 제품 매각하기: 한 TrueStock으로부터 다른 TrueStock으로 소유권 인증서가 양도되며, 해당 실물 자산의 소유권자(양도인)와의 거래 당사자(양수인)가 대금 지급 시, 디지털 자산인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릴리스 한다는 조건을 지정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생성하여 양수인에게 실물 자산의 소유권이 변경되며, 해당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이력이 한/다른 트루스톡에 모두 저장하여 관리된다.
도 11은 스마트 계약 기반의 물품 판매ㆍ양도 트랜잭션 처리 개념도이다.
실물 자산의 현재 소유권자(양도인)는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 기능을 활용하여 현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문서, 물품, 농축수산물 등)을 또 다른 사용자(양수인)에게 신뢰 기반의 판매, 양도가 가능하다.
트루 블록(TrueBloc) 블록체인 플랫폼에 등록된 자신의 디지털 자산인 트루 에셋(TrueAsset)에서 또 다른 사용자로의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시 트루에셋(TrueAsset)으로 현재 소유권자(양도인)와 거래 당사자(양수인)와의 스마트 계약을 제공한다.
실물 자산(Real Asset)은 귀중품, 제품, 물품, 또는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축수산물이 포함된다.
실물 자산에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가 부착되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된다.
디지털 자산은 실물 자산에 대한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원산지 증명서를 더 포함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플랫폼 시스템은 실물 자산에 대한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된다.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전은 실물 자산의 현재 소유권자(양도인)와 양수인의 개인키/공개키 디지털 서명에 의해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능을 사용하여 현재 소유권자(실물 자산의 양도자)로부터 양수인으로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 또는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축수산물)과 디지털 자산(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의 소유권이 이전되며,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물 자산의 소유권 이전 시점에서 현재 소유권자(양도인)의 디지털 자산(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은 삭제되고, 실물 자산의 소유권을 양도받은 양수인은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 인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를 양수인의 트루 에셋(True Asset) 디지털 저장소에 저장되며, 거래 정보(실물 자산의 양도인 정보, 양수인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롯폼 시스템은 소유권 변경이력을 알 수 있다.
도 12a는 블록체인 기반의 정품인증 태그 개발(해시 암호화 정보 탑재)된 사진이다. 도 12b는 당사 정품인증 태그를 보인 제품 사진이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바코드, QR 코드(Secured-QR코드), 13.56MHz RFID 태그(Crypto-RFID) 중 하나 이상이 조합하여 함께 같이 구비되어 하나의 정품인증 태그에 사용된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고, 암호화 한 해시 암호화 정보를 탑재하여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며, 해시 알고리즘은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블록 정보를 암호화한다.
실시예에서는, 정품인증 태그는 기존에 당사가 개발 판매하고 있는 정품인증 태그 중에서 ‘비주얼태그_QR코드’, ‘비주얼태그_RFID’ 등을 사용한다.
정품인증 태그에 해시(Hash) 암호화 정보를 탑재하여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된다.
* (Vc-Tag®QR) 정품인증 태그인 Vc-Tag®에 QR코드가 융합되어 있는 정품인증용 라벨
* (Vc-Tag®RFID) 정품인증 태그인 Vc-Tag® 에 RFID가 융합되어 있는 정품인증용 라벨
* (Vc-Tag®PRIME) 정품인증 태그인 Vc-Tag®에 바코드, QR코드, RFID가 모두 융합되어 있는 정품인증용 라벨
* (Vc-Tag®STIC) 정품인증 태그인Vc-Tag®을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에 적용하여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보호
[표1] 블록체인 신뢰 플랫폼 엔드-투엔드 노드 연결 구성
Figure pat00001
실물자산에 부착되는 복제방지 태그/센서로써, 정품인증 태그를 사용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바코드, QR 코드(Secured-QR코드), 13.56MHz RFID 태그(Crypto-RFID) 중 하나 이상이 조합하여 함께 같이 구비되어 하나의 정품인증 태그에 사용된다. 정품인증 태그는 스마트 기기 또는 연결된 전용 리더기에 의해 정품인증 태그 정보가 인식된다.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또는 IoT 디바이스를 사용하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바코드 리더, 13.56MHz RFID 리더)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QR 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는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고, 해시 암호화 정보를 탑재하여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며, 해시 알고리즘은 256비트의 hash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블록 정보를 암호화한다.
통신망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Wi-Fi, 3G/LTE 4G/5G를 사용하며, IoT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IoT 통신망(LoRa RF, LTE NB-IoT)를 사용한다.
* IoT 디바이스(LoRa RF 디바이스) - LoRa 기지국 - LoRa 네트워크 서버(가입자/세션 관리) - ThingPlug(IoT 플랫폼) -Application server -client
IoT 디바이스의 통신부로써 LoRa' RF(LoRaWAN)를 사용하는 경우, ThingPlug(IoT 플랫폼)는 LoRa' RF(LoRaWAN) 프로토콜과 TCP/IP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IoT 게이트웨이를 구비한다.
* NB-IoT 단말 -> 이동통신 기지국(eNodeB) -> IoT EPC -> IoT 플랫폼 -> 서버(Application Server) - 클라이언트(client)로 통신된다.
* IoT 디바이스- IoT 게이트웨이 - 라우터(router)를 통해 서버-클라이언트로 연결된다. IoT 게이트웨이는 IoT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인증 플랫폼)은 블록체인 노드들(nodes)이 구비된 블랙체인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하여 ID 관리,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과 소유권 증명,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이력의 거래 데이터를 트루스톡(TrueStock) 내의 트루에셋(True Asset)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응용 서비스는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증명, 소유권 변경이력관리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응용 서비스는 블록 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실물 자산의 유통이력관리를 제공하여 실물 자산의 추적성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를 활용해 소유자의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화하고,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으로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실물자산의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참조하여 실물 자산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디지털 인증 기반으로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과 물품, 농축수산물)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검증하며,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실물 자산의 추적성을 검증한다.
도 13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망 구성도이다.
정품 인증 태그는 복제 방지 태그로 사용된다.
블록체인 기술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활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인증 플랫폼이 ID 관리,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을 연동하며, 응용 서비스로써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증명, 소유권 변경 이력 관리를 제공한다.
도 14는 블록체인 기반의 물품 추적성(이력관리) 검증 시나리오로써, 물품의 추적성에는 ‘소유권 이력관리’ 외에 ‘유통 이력관리’에도 적용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이용한 농수산물 유통 이력 관리(원산지부터 유통 전 과정의 실시간 유통이력 추적/조회 과정)을 보인 사진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물품 추적성(이력관리) 검증 시나리오로써, 실물 자산 인 물품의 추적성은 실물 자산의‘소유권 이력관리’ 외에 ‘유통 이력관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물 자산이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봉지 단위/박스 단위의 농수산물인 경우, 원산지부터 농수산물 유통 전 과정의 실시간 추적/조회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수산물 유통 이력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5는 정품인증 태그 VisualTag® 기술 및 최적화된 트랙잭션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통한 정품 인증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블록제인 트랙잭션 융합기술 개념도이다.
블록체인 기술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활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은 당사의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를 활용해 소유자의 실물 자산(귀중품, 제품, 물품)을 TrueAsset 디지털 저장소에 디지털 자산화하고(실물 자산에 대한 브랜드 제조사의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 저장), 제품 ID와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에셋(True Asset)으로 Private 블록체인(blockchain) 플랫폼 시스템 기반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에 저장ㆍ공유함으로써 실물 자산인 제품과 물품의 정품인증을 통해 제품의 정품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디지털 인증 기반으로 실물 자산의 진위성과 소유권,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여 실물 자산의 추적성을 검증한다.
도 16은 트랙잭션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통한 정품 인증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관리를 위한 블록제인 트랙잭션 융합기술의 SWOT 분석 그림이다.
정품인증 태그(VisualTag®) 기술 및 최적화된 트랙잭션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사용한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원산지 증명, 소유권 확인, 소유권 변경이력 관리를 위한 블록제인 트랙잭션 융합기술을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의 QR 코드(2차원 이미지) 보다 고도화된 증강현실(AR)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정품인증에 대한 호기심 유발 및 제품 정보의 광고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SW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제공할 수 있다.
정품인증 시장 규모는 346억달러(2018년도)로서, 매년 가품이 늘어남에 따라 연평균 13%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전 세계 가품시장의 규모는 약 4,610억(2018년)로, 그로 인한 피해액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자사 제품 보호를 위한 정품인증 시스템 및 물류 추적 시스템에 대한 업체들의 비즈니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트루 링크(True Link)
110: 트루 스톡(True Stock)
120k: 트루 에셋(True Asset)
130: 트루 허브(True Hub)

Claims (12)

  1.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실물 자산의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되며,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
    을 포함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태그는
    바코드, QR 코드(Secured-QR코드), 13.56MHz RFID 태그(Crypto-RFID) 중 하나 이상이 같이 구비되어 하나의 정품인증 태그에 사용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태그는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고, 암호화 한 해시 암호화 정보를 탑재하여 상기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과 연동되며, 해시 알고리즘은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바코드 리더와 연결되거나, QR 코드 인식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13.56MHz RFID 리더와 연동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자산(Real Asset)은 귀중품, 제품, 물품, 또는 봉지 단위/박스 단위 농축수산물이 포함되며,
    상기 실물 자산에 위ㆍ변조 방지 정품인증 태그(VisualTag®)가 부착되며, 상기 정품인증 태그는 제품ID,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디지털 자산은 실물 자산에 대한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원산지 증명서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참여 권한이 허가된 참여자에게 분산원장에 데이터를 기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하며, 처음 참여시 Enrollment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하고 호출시 랜덤으로 생성되는 Network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받아 블록체인 노드의 신원을 확인하여 개인키(자격 증명)를 발급하는 신원 확인(idetify);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요소써 합의 프로토콜(ordering service)에 의해 분기되는 블록체인 노드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합의 프로토콜에 의해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검증,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 거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거래(Transaction); 실물자산의 소유권 변경시 현재 소유권자와 거래 당사자와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실물 자산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검증, 원산지 증명, 소유권 변경이력을 관리하는 스마트 인증 서비스 스마트 자산 관리,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시 스마트 계약 관리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보안이 유지되고 제3자가 인증서를 변경할 수 없으며, 제조사가 등록한 실물 자산의 소유자 제품 전체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분산 저장소로 사용되며, 암호화되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트루스톡(TrueStock);
    트루블록(TrueBloc) 블록체인에 등록된 실물 자산에 대한 디지털 자산 인 진품 인증서, 소유권 인증서가 저장되고, 제품의 진위성 검증, 소유권 증명, 기타 제품 정보들(원산지 정보, 품질 정보, 유통 정보 등)이 모두 저장되며, 각 디지털 자산은 고유하고, 제3자가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변경할 수 없는 트루에셋(TrueAsset);
    실물 자산(제품)의 소유자는 어떤 데이터를, 어떤 조건으로, 누구와 공유할지가 선택되며, 소유자의 요청에 따라 트루스톡에 등록된 제품 진위성 검증, 소유권을 검증할 수 있으며, 간단한 읽기 권한부터 권한 위임까지 다양한 작업 유형을 허용할 수 있으며, 실물 자산의 소유자가 트루블록에 대한 권한을 제어하는 연동 서버로 사용되는 트루링크(TrueLink); 및
    외부 제조사, 제3자와 블록체인 플랫폼 간 상호 연동의 줌심 역할을 하는 트루허브(TrueHub);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루허브(TrueHub)는
    제조사가 인증한 제품의 인증정보를 관리하는 제품 관리 모듈;
    제조사ㆍ소유자ㆍ사용자와 연결하고, 그 요구를 처리하는 외부 연동 모듈;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의 윤용 및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운용 센터 모듈;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 기반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Certification Service)는 소유권 변경 시, 블록체인 기반의 정품인증 태그(Authentication Tag)가 부착된 실물 자산의 소유권자와 거래 당사와의 Hyperledger-Fabric 기반의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 이루어지며,
    1) TrueStock 생성하기 :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하기
    트루 스톡(TrueStock)을 액세스하기 위한 개인키(private key)와 TrueStock 주소 역할을 하는 공개키(public key)를 생성하며,
    2) TrueAsset 추가하기: 실물 자산인 제품을 등록하고, 트루 스톡(TrueStock)에 추가하여 트루에셋(TrueAsset)을 생성하며, 트루에셋(TrueAsset)을 생성하면, 소유권 변경 이력에 고유의 '소유권 인증서'가 생성되고
    3) 실물 자산의 제품/물품 진위성 검증 받기: 트루 링크(TrueLink)를 통해 브랜드 제조사에 연결되며, 브랜드 제조사와 TrueAsset ID를 공유하며, 상기 브랜드 제조사에서 연결된 제품이 진품임이 확인되면 트루에셋(TrueAsset)에 '진위성 인증서'를 추가하게 되며,
    4) 제3자 서비스 이용: 소유자는 선택에 따라 제3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 실물 자산과 관련된 보험 가입, 전문가 감정
    - 보험 가입 대상 제품의 가치를 추정하고, 보험료를 산정하며,
    - 제품 판매를 위해 판매가 견적의 전문가 감정을 받을 수 있으며,
    5) 이벤트 정보 받기: 소유자에게 직접 연결되어 있는 메시지 전달 채널을 이용하여 트루 허브(TrueHub)를 통해 브랜드 제조사로부터 새로운 제품 정보 동의 이벤트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6) 실물 자산 인 제품 매각하기: 한 트루 스톡(TrueStock)으로부터 다른 트루 스톡(TrueStock)으로 소유권 인증서가 양도되며, 해당 실물 자산의 소유권자(양도인)와의 거래 당사자(양수인)가 대금 지급 시, 디지털 자산인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릴리스 한다는 조건을 지정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생성하여 양수인에게 실물 자산의 소유권이 변경되며, 해당 실물 자산의 소유권 변경이력이 한/다른 트루스톡에 모두 저장하여 관리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11. 실물 자산에 부착되며, 제품 ID와 제품 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암호화된 hash 값 정보가 포함된 정품인증 태그가 부착된IoT 모듈;
    상기 정품인증 태그를 인식하는 전용 리더기를 구비하거나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정품인증 태그를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실물 자산의 제품 ID와 제품 정보, 진품 인증서와 소유권 인증서를 트루 스톡(True Stock) 내의 트루 에셋(True Asset)의 분산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실물 자산의 진위여부가 확인되고 소유권이 확인되며, 상기 실물 자산과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변경 시에 스마트 계약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소유권 변경 이력관리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의 소유권ㆍ진위성ㆍ추적성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
    을 포함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품인증 태그는
    바코드, QR 코드(Secured-QR코드), 13.56MHz RFID 태그(Crypto-RFID) 중 하나 이상이 같이 구비되어 하나의 정품인증 태그에 사용되는,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KR1020200076791A 2020-06-23 2020-06-23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KR20210158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91A KR20210158271A (ko) 2020-06-23 2020-06-23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KR1020220087220A KR20220113307A (ko) 2020-06-23 2022-07-14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91A KR20210158271A (ko) 2020-06-23 2020-06-23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20A Division KR20220113307A (ko) 2020-06-23 2022-07-14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271A true KR20210158271A (ko) 2021-12-30

Family

ID=791786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791A KR20210158271A (ko) 2020-06-23 2020-06-23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KR1020220087220A KR20220113307A (ko) 2020-06-23 2022-07-14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220A KR20220113307A (ko) 2020-06-23 2022-07-14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582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063A (zh) * 2022-03-21 2022-06-24 矩阵时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传统哈希算法的数字资产溯源方法
KR102589386B1 (ko) * 2023-03-07 2023-10-16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EP4290442A1 (en) * 2022-06-06 2023-12-13 1Trueid S.R.L.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em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a product
KR20240029183A (ko) 2022-08-26 2024-03-05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태그, nft,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
KR20240029179A (ko) 2022-08-26 2024-03-05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태그, nft,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KR102647859B1 (ko) * 2022-12-29 2024-03-20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물품정보가 인코딩된 컬러코드의 생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2611A1 (en) * 2022-09-26 2024-04-04 Brandon Cook Instant provenance platfo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58B1 (ko) 2017-08-25 2018-01-30 주식회사 비주얼넷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3959A (ko) 2018-11-27 2020-06-05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IoT 플랫폼과 블록체인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58B1 (ko) 2017-08-25 2018-01-30 주식회사 비주얼넷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3959A (ko) 2018-11-27 2020-06-05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IoT 플랫폼과 블록체인 플랫폼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063A (zh) * 2022-03-21 2022-06-24 矩阵时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传统哈希算法的数字资产溯源方法
CN114666063B (zh) * 2022-03-21 2023-09-19 矩阵时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传统哈希算法的数字资产溯源方法
EP4290442A1 (en) * 2022-06-06 2023-12-13 1Trueid S.R.L.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em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a product
KR20240029183A (ko) 2022-08-26 2024-03-05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태그, nft,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
KR20240029179A (ko) 2022-08-26 2024-03-05 쓰리에이로직스(주) Nfc 태그, nft,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품 인증 방법
KR102647859B1 (ko) * 2022-12-29 2024-03-20 보이스아이 주식회사 물품정보가 인코딩된 컬러코드의 생성 방법
KR102589386B1 (ko) * 2023-03-07 2023-10-16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307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84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rce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blockchain protocols and smart contracts
US10887098B2 (en) System for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methods of use
KR20210158271A (ko)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US101714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identity and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consumer conducting online business
US20210243023A9 (en) System and method, which using blockchain and mobile devices, provides the validated and authenticated identity of an individual to a valid and authenticated requestor
US91674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entities by means of terminals
US20190044700A1 (en) Registry blockchain architecture
JP202151948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内でコード及びイメージを用い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105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pplications using Blockchain.
WO2018043599A1 (ja) 情報共有システム
US200701068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using privacy enhancing techniques
WO2016128569A1 (en) Digital identity system
CA32119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EP3295388A1 (en) Computer-implemented tracking mechanism and data management
US20210365584A1 (en) Portable reputation brokering using linked blockchains and shared events
WO201906351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IDENTITY, DIGITAL IDENTITY, METHOD FOR CREA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DOCUMENT AND ELECTRONIC TRANSACTION DOCUMENT
US10867326B2 (en) Reputation system and method
US11171781B2 (en) System and method which using blockchain protects the privacy of access code and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seeking online access
Ehioghae et al. Enhanced drug anti-counterfeiting and verification system for the pharmaceutical drug supply chain using blockchain
CN116057554A (zh) 管理交易数据组的方法、参与者单元、交易登记册和支付系统
CA2920718A1 (en) Portable verifiable credentials and methods thereof
US20230401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of multi-platform accounts
US2015020612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near field secure electronic token transaction
Jakobsson Discouraging Counterfeiting
JP2023182553A (ja) マルチプラットフォームアカウントの認証及び関連付け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