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86B1 -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386B1
KR102589386B1 KR1020230059559A KR20230059559A KR102589386B1 KR 102589386 B1 KR102589386 B1 KR 102589386B1 KR 1020230059559 A KR1020230059559 A KR 1020230059559A KR 20230059559 A KR20230059559 A KR 20230059559A KR 102589386 B1 KR102589386 B1 KR 10258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ive work
personal
work management
nf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이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이상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연네트웍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2Providing warrant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고정형 이미지, 사진, 그림을 포함하는 캔버스 형태의 개인 창작물에 대하여 QR 코드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호출한 후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작품 판매, 지분 판매, 전시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reation by Using QR Code and NF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종래의 기술에서 미술품의 제작에 사용되는 액자 및 캔버스는 창작자가 그림을 그려서 사용하거나 사진 등을 삽입해서 사용했다. 전술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디지털 액자가 개발되었으나 디지털 액자는 휴대폰, 태블릿, TV 등에서 그 기능을 흡수함에 따라 시장이 축소되었고 아날로그 제품인 액자와 캔버스만이 시장에 남게 되었다.
미술품 소장의 가치와 소장시 원본 진위를 일반인이 판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미술품의 가격이 일반인들이 접하기에 부담스러운 면이 있어서 일반에 거래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미술품 시장의 확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수성에 의해 거래가 불투명하여 국가의 세금 체계와 불건전 거래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일반인의 미술품 판단에 도움을 주고, NFT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환경에서 편리한 거래를 제공함과 동시에 거래시 지분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높은 가격에 의한 일반인들의 접근은 해소하고자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고정형 이미지, 사진, 그림을 포함하는 캔버스 형태의 개인 창작물에 대하여 QR 코드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호출한 후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작품 판매, 지분 판매, 전시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되며, 기 설정된 경로(Path)로 접속되도록 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 NFT(Non-Fungible Token)를 저장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를 포함하는 캔버스(Canvas); 상기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경로(path)로 접속하며, 상기 NFC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상기 NFT를 확인하는 단말기;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창작물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형 이미지, 사진, 그림을 포함하는 캔버스 형태의 개인 창작물에 대하여 QR 코드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호출한 후 NFT를 이용하여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작품 판매, 지분 판매, 전시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b,c,d는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및 NFC 태그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관리 서버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교육 창작물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전문작가 창작물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졸업 앨범, 웨딩 앨범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k-pop 앨범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1:1로 NFT와 개별 토큰 아이디 매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1:N으로 공통 토큰 아이디별 개별 토큰 아이디 매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상의 스마트 컨트랙트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블록 체인 간의 거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b,c,d는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및 NFC 태그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QR(Quick Response) 코드(112)와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을 디지털 매체인 메타버스 등과 연계하여 개인 창작물을 소유, 공유, 전시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개인 간의 거래와 지분 거래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개인 창작물의 원본 진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거래이력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창작물은 디지털로 스캔 또는 사진을 이용하여 디지털화되어 NFT를 생성하고 이를 재사용하기 위한 거래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디지털화된 개인 창작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보 보관,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디지털화된 개인 창작물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의 에셋화한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미술품 마켓을 형성하고, 마켓을 이용하여 거래의 투명화 및 지분 거래를 가능하도록 한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QR 코드(112)를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에 대한 정보, 추가 미디어 등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평면적인 개인 창작물에 미디어를 접목 시킨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공개목적의 미디어와 비공개 목적의 미디어를 구분하여 실물 제품의 NFT를 보안 인증키로 사용할 수 있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고정형 이미지, 사진, 그림 등과 같은 개인 창작물에 대하여 NFT를 이용하여 원본 진위 판단과 실물 미술작품을 디지털화하여 메타버스에 연계하여 작품을 판매하거나 지분판매를 포함하여, 공유, 전시 등과 같은 소셜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은 캔버스(110),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캔버스(Canvas)(110)는 액자, 인쇄용 액자, 주문형 액자, 회화용 캔버스, 양산형 캔버스, 주문형 캔버스를 포함한다. 캔버스(110)는 고정형 이미지, 사진, 그림을 포함하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다. 캔버스(110)는 개인 창작물에 대한 QR 코드(112)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114)를 포함한다.
캔버스(110)는 액자형과 캔버스형을 모두 포함한다. 캔버스(110)는 무선형태의 고유번호 인식이 가능한 NFC 태그(114)를 내장한다. 캔버스(110)는 QR 코드(112)를 내장한다. 캔버스(110)는 QR 코드(112)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NFC 태그(114)를 포함한다. 캔버스(110)는 내부에 NFC 태그(114)를 내장한다.
캔버스(110)는 양산형 캔버스, 주문형 캔버스로 구현된 경우, QR 코드(112)를 양산형 캔버스, 주문형 캔버스의 기 설정된 위치에 부착하고, NFC 태그(114)를 양산형 캔버스, 주문형 캔버스의 기 설정된 영역에 내장시킬 수 있다.
QR 코드(112)는 생산시 인쇄되어 출고될 수 있고,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생산되어 사용자가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110)는 직물과 직물 사이에 NFC 태그(114)를 삽입한 구조를 갖는다. 캔버스 직물의 표면에 변형 불가능한 형태로 프린팅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110)는 직물과 구조물 사이에 NFC 태그(114)를 삽입한 구조를 갖는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110)는 구조물과 구조물 사이에 NFC 태그(114)를 삽입한 구조를 갖는다.
캔버스(110)는 회화용 캔버스로 구현된 경우, 다층 구조의 면 또는 아사천(삼베로 만든 천) 사이에 NFC 태그(114)를 내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NFC 태그(114)는 교체 가능한 틀에 내장되는 것이 아니라 교체가 불가능한 천 사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110)는 탈착이 불가능한 구조로 NFC 태그(114)를 내장한다. 캔버스(110)는 주문형 또는 양산형 캔버스로 구현되는 경우, 인쇄면에 NFC 태그(114)를 내장할 수 있도록 틀과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NFC 태그(114)는 틀과 천의 부착면에 삽입되거나 이중구조화로 틀에 삽입될 수 있다.
캔버스(110)는 회화용 캔버스로 구현되는 경우, 직물을 다층 구조로 하여 내부로 NFC 태그(114)를 내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캔버스(1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되며, 기 설정된 경로(Path)로 접속되도록 하는 QR 코드(112), NFT를 저장하는 NFC 태그(114)를 포함한다.
캔버스(110)는 QR 코드(112)를 기 설정된 위치에 부착하고, NFC 태그(114)를 기 설정된 영역에 내장한다. 캔버스(110)는 NFC 태그(114)를 다층 구조의 면 또는 천 사이에 내장하여 교체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캔버스(110)는 다층 구조를 갖는 면 또는 천 사이에 기 설정된 영역 NFC 태그(114)를 내장한다. 캔버스(110)는 면 또는 천의 겉면에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한다.
캔버스(110)는 면 또는 천의 겉면의 기 설정된 위치에 QR 코드(112)를 부착한다. 캔버스(110)는 QR 코드(112)를 부착한 상태로 면 또는 천의 겉면 특수 필름을 코팅한다.
캔버스(110)는 면 또는 천의 겉면에 특수 필름을 코팅한다. 캔버스(110)는 특수 필름을 코팅한 면 또는 천의 겉면의 기 설정된 위치에 QR 코드를 부착한다.
QR 코드(112)는 트리거 및 정보 전달을 수행한다. QR 코드(112)는 기 할당된 미디어(예컨대, 영상, 이미지, 음악, 텍스트)로 연결되는 링크 또는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NFT를 이용하여 보안인증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안 인증을 기반으로 차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NFC 태그(114)는 NFT를 이용하여 복제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NFC 태그(114)는 사진, 그림 등을 포함하는 개인 창작물의 원본 진위를 판단하기 위한 NFT를 내장한다.
NFT는 인증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구성하여 보안을 확보하고,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NFC 태그(114)는 기 할당된 NFT(Non-Fungible Token)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캔버스(110)에 탈착이 불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의 일종을 의미한다. NFT는 각각 고유한 특성과 식별 가능한 정보를 갖는 디지털 자산으로, 가상화폐(예컨대, 이더리움(ethereum))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NFT는 각각의 일련번호를 가지며, 중복 없이 유일한 가치를 지닌다.
NFT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보장한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은 전자 서명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블록체인에서 각각의 NFT는 거래 내역을 포함한 분산 원장에 저장되므로, 소유권을 증명하거나 거래할 때 합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는다.
NFT는 디지털 아트, 음악, 동영상, 게임 아이템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자산으로 발행될 수 있다. NFT는 유일성과 희소성을 갖는 것으로 각각의 NFT는 그 자체로 존재할 가치가 있다. NFT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과 가치를 증명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NFT를 이용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과 가치 증명으로 디지털 자산의 활용과 거래를 이용할 수 있다.
NFT는 디지털 아트 작품의 소유권을 증명하고 거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작품은 디지털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NFT를 이용하여 디지털 아트 작품을 소유할 수 있다. 디지털 아트 작품을 NFT로 발행하면, 작품의 고유성과 소유권이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고,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작품의 진위성과 신뢰성이 보장된다.
NFT로 발행된 디지털 아트 작품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소유자는 작품을 전시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작품을 판매하거나 경매에 참여할 수 있다. NFT를 이용하여 작품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작가가 NFT를 발행하여 복수 개의 디지털 아트 작품을 한정판으로 출시하는 경우, 한정판 중 하나의 작품을 소유하게 된 소유자가 한정판 작품이 유일한 것임을 증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품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 NFT는 디지털아트 뿐만이 아닌 실물의 작품과 연결되어 현실 세상의 가치를 디지털의 가치와 결합 가능하다.
NFT는 캔버스(110)에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되면, 개인 창작물을 인증하기 위해 생성된다. NFT는 캔버스(110)를 판매하거나 소유한 경우, 캔버스(110)가 작가의 진품임을 나타내고, 실물 소유를 인증하기 위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생성한 인증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으로 통해 NFT를 실물 NFT와 디지털 NFT의 개념으로 분리 시킬 수 있고, 거래를 통하여 디지털NFT의 소유 또는 사용권, 실물 NFT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의 지분의 판매 또는 전체의 판매를 가능하게 한다. 실물 NFT의 소유권 거래를 1:1 또는 1:N으로 가능하게 하고 디지털 NFT의 사용권 거래를 1:1, 1:N, N:N으로 할 수 있다.
개인 창작물은 교육 창작물, 전문작가 창작물, 비전문가 창작물(영정사진, 개인작품), 졸업 앨범, 웨딩 앨범, k-pop 앨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NFT는 교육 창작물 또는 전문작가 창작물과 1:1로 매칭된다. NFT는 졸업 앨범, 웨딩 앨범, k-pop 앨범과 1:N으로 매칭된다.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단말기(120)는 캔버스(110)의 QR 코드(112)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QR 코드(112)를 인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를 구비한다. 단말기(120)는 캔버스(110)의 NFC 태그(114)를 인식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하고, NFC 태그(114)를 인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를 구비한다.
단말기(12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단말기(12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전용기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120)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주기능으로 하는 CORE를 내장한 모듈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탑재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QR 코드(112)가 인식되면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경로(path)로 접속하며, NFC 태그(114)가 인식되면 NFC 태그(114)에 저장된 NFT를 확인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캔버스(110)에 포함된 QR 코드(112)를 인식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인식된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호출한다. 여기서, 미디어는 영상, 이미지, 음원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영상, 이미지, 음원 또는 텍스트 중 하나 이상을 호출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캔버스(110)에 부착된 QR 코드(112)를 인식한다. 단말기(120)는 QR 코드(112)가 인식되면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구동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호출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부착된 QR 코드(112)를 인식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미디어를 수신한 후 개인 창작물에 추가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로 인해 개인 창작물에 대한 추가적인 스토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QR 코드(112)가 인식되면,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수신한 후 미디어에 포함된 개인 창작물에 대응하는 영상, 이미지, 음원 또는 텍스트를 기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 상에 출력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캔버스(110)에 포함된 NFC 태그(114)를 인식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캔버스(110)로부터 인식된 NFC 태그(114)에 대응하는 NFT를 확인한다. 단말기(120)는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 NFT를 전송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NFT에 대응하는 실물 인증 정보(실물 구매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실물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캔버스(110)에 삽입된 NFC 태그(114)를 인식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NFC 태그(114)를 인식하여 획득한 NFT를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 전송하여 인증받는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내장된 NFC 태그(114)를 인식하여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단말기(120)는 NFC 태그(114)가 인식되면,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NFT에 대응하여 원본 진위를 판별하여 인증한 실물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기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 상에 출력한다.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단말기(120)에 탑재되어 동작한다.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메타버스와 연동 가능하다.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소유권 인증을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소유권 관리를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공유, 판매(지분 판매, 제품 판매)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관리 서버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 인증 시스템은 캔버스(110), 단말기(120), 창작물 관리 서버(210)를 포함한다. 개인 창작물 인증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장치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추출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하며,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미디어는 개인 창작물에 대한 추가 스토리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음원, 텍스트를 포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평면상에 존재하는 개인 창작물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QR 코드(112)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과 관련된 스토리를 QR 코드(112)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개인 창작물에 대한 추가 정보, 미디어를 저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 중 공개 미디어와 비공개 미디어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를 기반으로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보안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보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말기(120)로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내장된 NFC 태그(114)에 저장된 NFT를 요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를 확인하고, 미디어가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만,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를 기반으로 캔버스(110)에 대한 보안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캔버스(110)에 대한 보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120)로 캔버스(110)에 대한 NFT를 요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단말기(120)로부터 NFT를 수신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NFT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실물 인증 정보(실물 구매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실물 인증 정보(실물 구매 인증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C 태그(114)에 저장된 NFT를 실물 제품의 보안 인증키로 이용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C 태그(114)에 저장된 NFT를 이용하여 실물 소장품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만 접근 가능한 미디어 공간을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C 태그(114)에 저장된 NFT를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의 원본 진위를 판단한 인증을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평면상에 존재하는 개인 창작물의 가치에 대응하는 NFT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원본 진위를 판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를 이용하여 실물 소장품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만 접근이 가능한 미디어 공간을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의 원본 진위를 판별한 결과를 기반으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시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가치평가가 가능하도록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지분 거래, 공동지분을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해 한 사람의 가치 판단이 아닌 복수의 사람의 가치 판단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지분 거래, 공동지분, 복수의 사람의 가치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가격을 책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거래 이력을 디지털화하여 세금 징수가 자동화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보관 정보, 판매 정보, 전시 공간 정보를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고가로 책정된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를 지원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를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보안, 인증, 소유권확인, 실물제품인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와 NFC 태그(114)로 인증된 개인 창작물은 다시 디지털화한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다시 NFT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서 다시 원본 진위를 판단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기록, 소유자 정보, 가격정보를 추가로 저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 원본 진위 판단, 지분투자, 복수의 가치평가 결과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고가의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 지분 투자로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소유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 공동 지분으로 복제없이 지분권자들만의 소유가 되도록 관리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동 지분을 갖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 각 지분 소유자가 전시, 수익 분배, 재판매를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메타버스와 연결하여,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디지털 상에서 판매, 전시, 공유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온라인 판매, 지분 거래, 공동 지분 소유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소유권 정보, 원본 진위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한 후 NFT로부터 캔버스(110)에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개인 창작물을 디지털화한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추출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기록, 소유자 정보, 가격 정보를 추가로 매칭하여 관리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실물 인증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만 디지털 개인 창작물로 접근 가능한 가상의 미디어 공간을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전시, 보관, 판매, 거래 내역이 확인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판매가 이루어지면,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이력을 갱신하고, 거래 이력을 기반으로 세금이 자동으로 징수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복수의 단말기로 인한 가치평가를 수행한 가치평가 결과를 생성한 후 가치평가 결과를 복수의 단말기로 공유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가격을 새롭게 책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원본 진위를 추가로 판별한 디지털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가 이루어질 때, 일반 거래, 지분 거래, 공동 지분 소유, 지분 투자 방식, 수익 분배, 재판매 중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유료 전시를 수행한 후 유료 전시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공동으로 소유한 공동 소유자로 수익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실물 NFT의 판매 방식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NFT의 판매도 가능하게 하며 실물 NFT를 통해 등록된 생산물의 판매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창작물 관리 서버()에서 개인 창작물 거래시 가상화폐로 거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화폐, 신용카드 거래을 적용하여 거래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기(120)는 구비된 카메라가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를 비추도록 한다. 단말기(120)는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부착된 QR 코드(112)를 인식한다(S310).
단말기(120)는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부착된 QR 코드(112)가 인식되면,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구동한다(S312).
단말기(120)는 단계 S310과 단계 S312는 순서를 바꿔서 동작 가능하다. 단계 S312에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은 구동할 때 로그인을 수행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인식된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링크 또는 다이렉션 정보에 해당하는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 접속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링크 또는 다이렉션 정보에 해당하는 미디어를 추출한 후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314).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영상, 이미지, 음원 또는 텍스트)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미디어(영상, 이미지, 음원 또는 텍스트)를 출력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개인 창작물을 확인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개인 창작물에 보안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개인 창작물에 보안이 필요하다고 확인되면, 단말기(120)로 실물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16).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실물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실물 인증을 요청하는 안내를 출력한다(S318).
단말기(120)는 실물 인증을 요청하는 안내에 따라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내장된 NFC 태그(114)를 인식한다(S320).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NFC 태그(114)에 저장된 NFT를 확인한다(S322). 단계 S322에서,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술로 NFT 인증을 실시한다.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NFT를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 전송한다(S324).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단말기(120)로부터 NFT를 수신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인증한 인증 완료 정보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인증한 인증 완료 정보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326).
단말기(120)는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122)을 이용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210)로부터 NFT에 대응하는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인증한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20)는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인증한 인증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단하여 인증한다(S328).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28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교육 창작물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캔버스(110)는 학생이 교육자가 준비한 특정 음악을 청취하거나 영상을 시청하면서 창작한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캔버스(110)는 학생이 창작한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한다. 캔버스(110)는 학생이 창작한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할 때, QR 코드(112)와 NFC 태그(114)를 부착한다.
캔버스(110)는 학교에서 수업 또는 강의를 진행하면서, 학생이 특정 음악을 청취하거나 영상을 시청하면서 창작한 고유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112)는 학생이 고유 그림을 그릴 때, 청취했던 음악, 시청했던 영상에 대한 링크,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QR 코드(112)는 학생들이 직접 시를 낭독한 음원에 대한 링크,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학생이 창작한 고유 그림을 인증하기 위한 NFT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학생이 본인 창작물에 대해 인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생성된 NFT를 포함한다.
교육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의 경우, NFT는 교육 창작물과 1:1로 매칭하여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110)에 개인 창작물로 교육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될 때,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교육 창작물에 부착된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교육 과정에서 청취한 음원, 시정한 영상, 시 낭송 음원을 포함하는 미디어를 추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전문작가 창작물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캔버스(110)는 전문작가 창작한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캔버스(110)는 전문작가의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한다.
캔버스(110)는 전문자가의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할 때, QR 코드(112)와 NFC 태그(114)를 부착한다. 이때, QR 코드(112)는 전문작가가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과 관련된 음악 또는 영상에 대한 링크,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전문작가가 창작한 고유 창작물(그림, 사진, 이미지 등)을 인증하기 위한 NFT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전문작가의 고유 창작물을 실제로 구매한 것을 인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생성된 NFT를 포함한다.
전문작가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의 경우, NFT는 전문작가 창작물과 1:1로 매칭하여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110)에 개인 창작물로 전문작가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될 때,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전문작가 창작물에 부착된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전문작가가 기 설정한 영상, 이미지, 음원, 텍스트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추출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졸업 앨범, 웨딩 앨범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캔버스(110)는 졸업 앨범, 결혼 앨범 각각에 대한 커버 또는 단체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졸업 앨범, 결혼 앨범 각각은 한 장 또는 복수 개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캔버스(110)는 졸업 앨범, 결혼 앨범 각각에 대한 사진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한다. 캔버스(110)는 졸업 앨범, 결혼 앨범 각각에 대한 사진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할 때, QR 코드(112)와 NFC 태그(114)를 부착한다. 이때, QR 코드(112)는 졸업 앨범, 결혼 앨범 각각에 대한 사진과 관련된 음악 또는 영상에 대한 링크,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QR 코드(112)는 졸업식 영상, 결혼식 영상에 대한 링크,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졸업 앨범, 결혼 앨범을 실제로 구매한 것을 인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생성된 NFT를 포함한다.
졸업 앨범, 결혼 앨범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의 경우, NFT는 졸업 앨범, 결혼 앨범과 1:N으로 매칭하여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110)에 개인 창작물로 졸업 앨범 또는 결혼 앨범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될 때,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졸업 앨범 또는 결혼 앨범에 부착된 QR 코드(112)에 대응하는 졸업식 영상, 졸업 사진, 졸업식 축사 음원, 결혼식 영상, 결혼식 스냅 사진, 결혼식 축가 음원을 포함하는 미디어를 추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창작물이 k-pop 앨범인 경우의 인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캔버스(110)는 k-pop 앨범 각각에 대한 커버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캔버스(110)는 k-pop 앨범 각각에 대한 커버 사진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한다.
캔버스(110)는 k-pop 앨범 각각에 대한 커버 사진을 특수 필름지로 코팅할 때, QR 코드(112)와 NFC 태그(114)를 부착한다. 이때, QR 코드(112)는 k-pop 커버와 관련된 사진, 음원, 뮤직 비디오에 대한 링크, 다이렉션 정보를 포함한다. NFC 태그(114)는 k-pop 앨범을 실제로 구매한 것을 인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생성된 NFT를 포함한다.
k-pop 앨범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캔버스(110)의 경우, NFT는 k-pop 앨범과 1:N으로 매칭하여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버스(110)에 개인 창작물로 k-pop 앨범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될 때,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k-pop 앨범에 부착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k-pop 뮤직 비디오, 커버 사진, k-pop 음원을 포함하는 미디어를 추출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1:1로 NFT와 개별 토큰 아이디 매칭을 나타낸 도면이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단말기(120)에서 인식한 QR 코드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추출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 후 단말기(120)에서 인식한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단말기(120)에서 인식한 NFT에 대한 거래, 조회, 스마트 컨트랙트를 하나의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단말기(120)에서 인식한 NFT와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상에 기록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와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Transaction) 데이터를 블록 상에 기록한다.
제품정보는 제품의 TOKEN(UUID), 소유자 정보, 창작자 정보를 포함한다. 소유자 정보는 소유자 UUID LIST, 소유자별 지분율, 거래 내역 및 금액(현금 또는 가상화패)을 포함한다. 창작자 정보는 성명, 별명, 제작자 UUID(복수일수 있음)를 포함한다. 제품별 컨텐츠 정보는 영상, 사진, 텍스트 등을 포함한다. 각 정보는 DB에 보관되거나 스토리지서버에 저장 될 수 있다. 소유자 정보는 UUID를 통한 DB기록 정보로 이름, 별명, 비밀번호, 주소, 이메일, 사진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NFT를 거래하는 경우, 가상화폐 정보, 판매자(사용자 A), 구매자(사용자 B), 거래 날짜, 거래 조건을 기록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 상에 기록한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여기서,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화폐뿐 아니라 현금,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NFT 거래가 가능하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거래 조건(예컨대, 가상화폐 100개)을 만족하는 경우, 판매자(사용자 A), 구매자(사용자 B)에게 NFT를 판매하는 거래 이력을 생성한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일종의 코드 정보를 의미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를 거래할 때, NFT마다 각각의 식별자인 개별 토큰 ID를 매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 하나마다 식별자를 부여하여, NFT마다 식별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원래 원본 소스 URL 정보, 거래 내역 정보, 창작자 정보를 포함한 NFT를 블록 체인에 등록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마다 매칭된 개별 토큰에 대한 옵션(비공개 옵션, 공개 옵션)이 NFT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 옵션값이 스마트 컨트랙트화되어 블록 체인상이 저장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공개 여부를 특정하여 사용자가 NFT 공개 여부를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타입을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마다 1:1로 식별 가능한 NFT를 매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예컨대, 전문작가 창작물) 마다 식별 가능한 NFT를 매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식별 가능한 NFT마다 토큰 아이디를 매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 소유자의 제어 또는 명령에 의해 토큰 아이디별로 NFT에 대응하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의 공개 여부 또는 비공개 여부를 별도로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노출(Reveal) 여부를 특정하여 특정 액션(가상화폐 지불)을 수행한 사용자가 NFT 공개에 대한 옵션을 주는 타입을 제공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 소유자에 의해 설정된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거래 조건(예컨대, 가상화폐 1개 지불)이 만족하는 경우, 비공개로 설정된 NFT를 거래 조건(옵션)에 만족하는 계정에 한하여 공개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가 특정 지갑 소유자에게만 공개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특정 지갑 소유자를 확인하고, 특정 지갑 소유자 계정에 한하여 비공개로 설정된 NFT를 공개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를 조각화하여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1:N으로 공통 토큰 아이디별 개별 토큰 아이디 매칭을 나타낸 도면이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이 졸업 앨범, 웨딩 앨범, k-pop 앨범인 경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공통의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를 매칭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의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에 추가적으로 추가 컨텐츠(추가 음원, 춤 영상, 아티스트 사인 등)에 매칭된 개별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를 매칭한다. 여기서, 추가 컨텐츠가 개인이 생성한 컨텐츠 또는 제작사가 별도로 추가한 보너스 컨텐츠를 포함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창작물의 경우, 공통 토큰 ID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별 NFT를 공통 NFT와 연계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NFT의 토큰 ID와 개별 NFT의 토큰 ID를 기준으로 새로운 ID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새로운 NFT가 결합되는 경우, 해당 ID를 개별 처리하거나 기존 ID에 결합하여 트랜잭션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NFT에 결합된 NFT를 개별로 거래 가능하도록 하고, 추후 공통 NFT에 결합된 NFT가 분리하거나 재결합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NFT에 결합된 NFT를 특정 개인 간에만 볼 수 있도록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와 개별로 추가되는 추가 컨텐츠에 대한 개별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를 함께 패키지 형태로 거래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와 개별로 추가되는 추가 컨텐츠에 대한 개별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를 분리하여 각각 거래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와 개별로 추가되는 추가 컨텐츠에 대한 개별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를 분리한 후 개별 토큰 아이디를 갖는 NFT만을 거래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공통 토큰 아이디와 개별 토큰 아이디를 묶어서 관리하다가 옵션에 따라서 공통 토큰 아이디와 개별 토큰 아이디를 분리한 후 개별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
도 10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상의 스마트 컨트랙트 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복수의 NFT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블럭 체인을 생성한 후 복수의 블럭을 그룹핑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그룹별로 스마트 컨트랙트(공개여부, 거래 가능 여부, 제한된 접근 여부) 등을 설정하여 관리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그룹별로 개별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사용자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개별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한을 설정하여 특정 시점까지 유효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특정 그룹 내에 차별화를 위해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를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종속되어 동작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다르게 설정된 경우, 새로운 NFT 그룹으로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조각화시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를 그대로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조각화를 서로 다른 타입으로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컨트랙트 제어 권한을 고정형, 비고정형, 선택형 중 하나로 선택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서 소유자가 보유한 복수의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응하는 NFT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복수의 디지털 개인 창작물 각각에 대응하는 NFT1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1 내지 NFT5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5를 그룹 A로 그룹핑하고, 그룹 A에 대해 공개, 거래 가능으로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복수의 디지털 개인 창작물 각각에 대응하는 NFT6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6 내지 NFT14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14를 그룹 B로 그룹핑하고, 그룹 B에 대해 비공개, 거래 불가능으로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복수의 디지털 개인 창작물 각각에 대응하는 NFT15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15 내지 NFTn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n를 그룹 C로 그룹핑하고, 그룹 C에 대해 특정인만 공개, 경쟁 입찰 가능으로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그룹 C에 대해 지갑주소를 기반으로 특정인에게만 NFT15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15 내지 NFTn에 매칭된 토큰 아이디n를 갖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공개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그룹별로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와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분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기본 룰 정보(공개 여부, 거래 가능 여부, 거래 기한)를 추출하고, 기본 룰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관리한다. 여기서,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기본 룰 정보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기본 룰 정보를 설정할 때, 공개 여부, 거래 가능 여부, 거래 기한을 모두 설정하거나 하나 이상만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추출된 기본 룰 정보가 공개, 거래 가능인 경우, 해당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추출된 기본 룰 정보를 확인하여 거래 기한까지만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기본 룰 정보에 종속적인 하위 룰 정보(세부 항목별 거래 가능 여부)를 추출하고, 하위 룰 정보를 이용하여 기본 룰 정보와 관련하여 세부 사항을 점검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추출된 기본 룰 정보가 공개, 거래 가능인 경우, 해당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다가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추출된 하위 룰 정보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가격 이하에는 거래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추출된 기본 룰 정보가 공개, 거래 가능인 경우, 해당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다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만 남은 경우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추출된 하위 룰 정보를 확인하여 경쟁 입찰을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선택된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부가할 수 있는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가 제한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종속적인 관계를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한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하나의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복수의 구매자(예컨대, 100명)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원본에 대해 복수의 구매자 수만큼 NFT를 조각화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원본에 대해 복수의 구매자 수만큼 조각화된 NFT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복수의 구매자 수만큼 조각화된 NFT를 그룹핑한 후 그룹별로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공개 여부, 거래 가능 여부, 거래 기한)와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그룹별로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복수의 구매자 수만큼 조각화된 NFT 중 일부는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거래가 불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조각화된 NFT를 그룹별로 설정된 메인 스마트 컨트랙트와 서브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거래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블록 체인 간의 거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이기종 블록 체인간 거래를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 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스마트 컨트랙트 상에 가상의 NFT를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가상의 NFT가 거래되는 경우, 원본 NFT와 연결하여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원본 NFT의 메인 체인도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원래 원본 소스 URL 정보, 거래 내역 정보, 창작자 정보를 포함한 NFT를 제1블록 체인에 등록하여 관리하다가 제2 블록 체인으로 옮기고자 하는 경우, 제1 블록 체인에 대한 가상화를 수행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가 보유한 복수의 NFT에 대한 정보를 가상화한 가상화 블록을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제1 블록 체인을 제2 블록 체인으로 옮기고자 하는 경우, 제1 블록 체인 상에 기존에 존재했던 모든 블록을 기록들을 통합해 가상화 블록을 생성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제1 블록 체인 상에 존재하는 오리지날 블록을 통합하여 복사한 가상화 블록의 내용이 제2 블록 체인상으로 옮겨지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제2 블록 체인 상에서 동일한 NFT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제2 블록 체인 상에서 NFT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시 가상화 블록으로 생성하여 제1 블록 체인에 반영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NFT에 대한 거래 이력을 제1 블록 체인과 제2 블록 체인에 동시 반영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제1 블록 체인과 제2 블록 체인 중 하나를 오리지널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소유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제2 블록 체인을 오리지널로 결정하는 경우, 제1 블록 체인에 가상화 블록을 반영되도록 한다. 이때, 창작물 관리 서버(210)는 제1 블록 체인과 제2 블록 체인 모두에 블록 체인의 변경 이력을 저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캔버스
120: 단말기
130: 창작물 관리 서버

Claims (6)

  1.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되며, 기 설정된 경로(Path)로 접속되도록 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 NFT(Non-Fungible Token)를 저장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를 포함하며, 다층 구조를 갖는 면 또는 천 사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NFC 태그를 내장하고, 상기 면 또는 상기 천의 겉면에 개인 창작물이 페인팅되거나 인쇄되며, 상기 면 또는 상기 천의 겉면의 기 설정된 위치에 상기 QR 코드를 부착하고, 상기 QR 코드를 부착한 상태로 상기 면 또는 상기 천의 겉면 특수 필름을 코팅하거나 상기 면 또는 상기 천의 겉면에 특수 필름을 코팅하고, 상기 특수 필름을 코팅한 상기 면 또는 상기 천의 겉면의 기 설정된 위치에 상기 QR 코드를 부착하는 캔버스(Canvas);
    상기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호출하여 출력하며, 상기 NFC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상기 NFT를 확인하는 단말기;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미디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NFT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소유권 정보, 원본 진위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상기 NFT에 대한 원본 진위를 판별한 상기 실물 인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NFT로부터 상기 캔버스에 페인팅되거나 인쇄된 개인 창작물을 디지털화한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추출하고,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기록, 소유자 정보, 가격 정보를 추가로 매칭하여 관리하며,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원본 진위를 추가로 판별한 디지털 인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실물 인증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만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로 접근 가능한 가상의 미디어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전시, 보관, 판매, 거래 내역이 확인되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판매가 이루어지면,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거래 이력을 갱신하고, 상기 거래 이력을 기반으로 세금이 자동으로 징수되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복수의 단말기로 인한 가치평가를 수행한 가치평가 결과를 생성한 후 상기 가치평가 결과를 복수의 단말기로 공유하며, 상기 가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가격을 새롭게 책정하며, 상기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해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가 이루어질 때, 일반 거래, 지분 거래, 공동 지분 소유, 지분 투자 방식, 수익 분배, 재판매 중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가상의 미디어 공간에서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에 대한 유료 전시를 수행한 후 상기 유료 전시로 인해 발생한 수익을 상기 디지털 개인 창작물을 공동으로 소유한 공동 소유자로 수익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창작물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상기 개인 창작물에 대한 추가 스토리를 설명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음원,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미디어를 수신한 후 상기 미디어에 포함된 상기 개인 창작물에 대응하는 영상, 이미지, 음원 또는 텍스트를 기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NFC 태그가 인식되면,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NFT에 대응하여 원본 진위를 판별하여 인증한 상기 실물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기 탑재된 창작물 관리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미디어에 대한 공개 또는 비공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미디어가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미디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QR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캔버스에 대한 보안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캔버스에 대한 보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상기 캔버스에 대한 상기 NFT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KR1020230059559A 2023-03-07 2023-05-09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KR102589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648 2023-03-07
KR20230029648 2023-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386B1 true KR102589386B1 (ko) 2023-10-16

Family

ID=8850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559A KR102589386B1 (ko) 2023-03-07 2023-05-09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99A (ko) * 2010-06-15 2011-12-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Qr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8271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비주얼넷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KR20230017496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마이템즈 Nft를 이용한 사용자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99A (ko) * 2010-06-15 2011-12-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Qr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8271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비주얼넷 블록체인과 정품인증 태그 기술을 사용한 제품 진위성 검증 및 소유권 변경이력관리 시스템
KR20230017496A (ko) *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마이템즈 Nft를 이용한 사용자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0906B2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20220294630A1 (en) Physical asset corresponding to a digital asset
KR20190127512A (ko)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공간 플랫폼
US20220215382A1 (en) Blockchain-based product authentication system
US20130117156A1 (en) Fractional ownership using digital assets
KR20220014052A (ko) 오리진 실물을 거래하는 디지털 트윈 장치 및 방법
KR20200062640A (ko) 블록체인 기반 미술작품 거래정보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의 노드 장치
Murray NFTs and the art world-What's real, and what's not
US20220358186A1 (en) Generating and issuing secondary digital assets based on ownership of primary assets
US20200082471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ding of synthetic assets
KR20210004256A (ko) 아트 아카이브 시스템
US201402226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Limited Edition Digital Artwork
US2023011831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moting and validating a non-fungible token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715B1 (ko) 중고 명품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50019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fractional ownership of physical goods
KR102589386B1 (ko) Qr 코드 및 nft를 이용한 개인 창작물 관리 시스템
US202301963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smart contracts for multiple ledger non-fungible token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same
US20230419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NFT Marketplace
JP6599214B2 (ja) 写真販売管理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Barbon et al. Non-fungible tokens
US201503179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ystore video recordings and embedded text
KR102107315B1 (ko)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US20240135414A1 (en) Method for monetizing data for a religious organization
US20240078536A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digital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