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605A -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605A
KR20210157605A KR1020200075609A KR20200075609A KR20210157605A KR 20210157605 A KR20210157605 A KR 20210157605A KR 1020200075609 A KR1020200075609 A KR 1020200075609A KR 20200075609 A KR20200075609 A KR 20200075609A KR 20210157605 A KR20210157605 A KR 2021015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weight
parts
powder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혜영
윤혜원
윤여훈
Original Assignee
윤혜영
윤혜원
윤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영, 윤혜원, 윤여훈 filed Critical 윤혜영
Priority to KR102020007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605A/en
Publication of KR2021015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mugwort flavor by using mugwort, in which smoke generation during combustion is minimized while the deodorization effect is excellent through the optimal composition while excluding the addition of chemicals, generated ash is not finely divided and dispersed into the air, and a mild fragrance and a smell of mugwort, which is beneficial to a human body, are released for a long ti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mugwort flavor by using mugwort, including: (a) preparing mugwort powder and juniper powder; (b) mixing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62 to 90 parts by weight of starch, and 31 to 45 parts by weight of luxurious starch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c) adding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xture and kneading; (d) extruding and molding the kneaded dough; and (e) drying the molded product to prepare a fragrance of mugwort.

Description

쑥을 이용한 참쑥향 및 그 제조 방법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mugwort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학약품 첨가를 배제하면서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시 연기 발생이 최소화되며 탈취 효과가 뛰어나며, 발생하는 재가 공기 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않고, 은은한 향 냄새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쑥 냄새가 오랜 시간 발산되도록 한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mugwort flavor using mugwort, and specifically, through an optimal composition while excluding the addition of chemicals, smoke generation is minimized during combustion, the deodorization effect is excellent, and the generated ash is finely divided into the air and is not dispersed. ,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mugwort incense using mugwort, which allows the odor of mugwort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o be emitted for a long time along with a subtle incense odor.

일반적으로 향은 제사 또는 이와 유사한 제전에 사용되어 향에 불을 붙이게 되면 서서히 연소되면서 향내를 발산함으로써 신에 대한 예의를 갖추고 주변을 깨끗이 정화하는 것으로서 고전적인 방식의 향은 향나무를 가루로 분쇄하여 숯불에 조금씩 태워 향냄새가 나도록 하였고, 그 후에는 식물향풀을 분쇄하여 접착제와 함께 압축한 후 세봉 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여 왔다.Generally, incense is used for ancestral rites or similar ceremonies, and when the incense is lit, it burns slowly and emits incense to show respect for the gods and purify the surroundings. It was burned little by little to give off an incense smell. After that, the plant incense paste was crushed and compressed with an adhesive, and then it was molded into a fine rod shape and used.

일반적으로 쓰이는 향은 긴 선모양으로 되어 있고 가늘어서 사용중에 잘 부러지는 단점이 있으며, 습기를 먹으면 잘 타지 않으면서 그로 인해 연기가 많아지는 단점도 있다,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잘 부러지지 않는 나무심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나무심재를 사용한 향의 제조방법(국내 등록특허 제10-0280845호, 특허문헌 1)은 나무심재에 물을 바른 후 분말의 향재료에 기계적으로 굴려서 일정 두께로 성형한 후 굳혀서 다시 건조하여 향을 제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나무심재를 사용하므로 잘부러지는 단점은 극복할 수 있었지만, 습기를 먹으면 잘타지 않으면서 연기가 많아지는 단점은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Generally used incense has a long line shape and is thin, so it breaks easily during use. When it gets wet, it does not burn well and smokes because of it. Heartwood is also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incense using wood heart material (Korean Patent No. 10-0280845, Patent Document 1), after water is applied to the wood heart material, it is mechanically rolled on the powdered fragrance material, molded to a certain thickness, and then hardened and dried again to produce incense. Techniques for making it are described. Because wood heartwood is used, the weakness of brittleness could be overcome, but the drawback of not burning well when wet and increasing smoke was still not overcome.

또한, "향"(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993-0013166호, 특허문헌 2)에는 분말 또는 칩으로 형성한 향나무를 연소조절용 약품을 혼합한 숯가루와 함께 혼합하여 세봉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숯이 일반적인 연소 재료와 달리 서서히 연소되는 특성을 갖는 점을 활용하여 분말상의 향나무가 서서히 연소되면서 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숯은 그 종류에 따라 연소되는 속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2에는 연소조절용 약품을 첨가하게 되는데, 기존의 연속촉진제는 질산나트륨, 질산가리와 같은 수용성 화합물이나, 석유와 같은 기름에 녹는 유용성 유기화합물을 사용하였다. In addition, in "Incens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3-0013166, Patent Document 2), juniper wood formed as powder or chips is mixed with charcoal powder mixed with a chemical for combustion control and extrusion molding into a thin rod shape. this is disclosed. This technology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charcoal burns slowly unlike general combustion materials, so that the powdery juniper is slowly burned to generate scent. However, since the combustion rate of charcoal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 in Patent Document 2, a chemical for controlling combustion is added. Existing continuous accelerators are water-soluble compounds such as sodium nitrate and potassium nitrate, or oil-soluble organic substances such as petroleum. compound was used.

수용성이나 유용성 연소촉진제는 향재료에 골고루 첨가하기 위해서는 향재료를 연소촉진제가 녹아 있는 용액에 침적시키거나 연소촉진제가 함유된 용액을 향재료에 뿌려서 잘 반죽해야만 가능하였으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침적과정이나 반죽과정에서 향재료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향성분을 변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했다. In order to evenly add a water-soluble or oil-soluble combustion accelerator to a fragrance material,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deposition process or During the kneading process, a chemical reaction with the fragrance material caused a problem in changing the fragrance component.

게다가 최근에 는 가격은 비싸지만 인체에 해롭지 않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천연향이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의 수용성 화합물이나 유용성 화합물은 미량이더라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Moreover, in recent years, although expensive, natural fragrances using natural material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are mainly used.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280845호 (2000. 11. 13.)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280845 (2000. 11. 13.)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13166호 (1993. 07. 26.)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3-0013166 (1993. 07. 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화학약품 첨가를 배제하면서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시 연기 발생이 최소화되며 탈취효과가 뛰어난 참쑥향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o manufacture mugwort incense with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while minimizing smoke generation during combustion through an optimal composition while excluding the addition of chemicals.

또한, 연소 시 발생하는 재가 공기 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않고 덩어리로 떨어지는 참쑥향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sh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s finely divided into the air to produce a mugwort fragrance that falls into a lump without being dispersed.

또한, 연소 시 은은한 향 냄새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쑥 냄새가 오랜 시간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is is to allow the odor of mugwort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o be emit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long with a mild incense odor during combus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쑥 분말과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전분 62 내지 90 중량부 및 호화전분 31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넣고 반죽하는 단계, (d)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참쑥향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참쑥향이 제조된다.(a) preparing mugwort powder and juniper powder, (b) mixing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62 to 90 parts by weight of starch, and 31 to 45 parts by weight of luxurious starch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Step, (c) adding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xture and kneading, (d) extruding and molding the kneaded dough; and (e) ) Through the step of drying the molded product to produce mugwort flavor, the mugwort flavor is produc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n step (b), 12 to 64 parts by weight of arborvitae powd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mixed.

또한, 상기 (a) 단계의 쑥 분말은 팬 또는 가마솥에 쑥을 투입하고 205 내지 220℃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0 내지 195℃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15 내지 135℃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mugwort powder of step (a), put mugwort in a pan or cauldron, first roast at 205 to 220°C for 1 to 5 minutes, and then second roast at 180 to 195°C for 5 to 10 minutes, 115 It can be prepar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3 to 9% by weight by roasting and drying the third roasting in the order of 8 to 12 minutes at 135°C to 135°C.

또한, 상기 (c) 단계의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쑥 분말을 280 내지 330 bar의 압력,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of step (c) was prepared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into the mugwort powder prepared in step (a) at a pressure of 280 to 330 bar and a temperature of 35 to 45° C. for 25 to 35 minutes to produc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t can be prepared by extraction.

또한, 상기 (e) 단계의 건조는 상기 (d) 단계에서 성형된 성형물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9.04~9.18㎛ 파장의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in step (e) may be dried using far-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9.04 to 9.18 μm that is selectively absorbed by the molding formed in step (d).

또한, 본 발명은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agebrush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쑥 분말 향나무 분말 및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및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혼합하여 참쑥향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쑥 분말은 팬 또는 가마솥에 투입하고 205 내지 220℃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0 내지 195℃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15 내지 135℃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고,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쑥 분말을 280 내지 330 bar의 압력,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ethod for preparing a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includes the steps of (a) preparing mugwort powder juniper powder and arborvitae powder, (b)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prepared above. (c) extracting the mixed mixture, (d)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ed extract A step of preparing a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by mixing parts by weight, wherein the mugwort powder is put in a pan or cauldron, first roasted at 205 to 220°C for 1 to 5 minutes, and then at 180 to 195°C for 5 to 10 minutes Second roasting during the second roasting, 8 to 12 minutes at 115 to 135° C. for 8 to 12 minutes, and drying to prepare a moisture content of 3 to 9% by weight, and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prepared in step (a) The powder may be prepared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at a pressure of 280 to 330 bar and a temperature of 35 to 45° C. for 25 to 35 minutes and extracting it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화학약품 첨가를 배제하면서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시 연기 발생이 최소화되며 탈취 효과가 뛰어난 참쑥향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mugwort fragrance with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while minimizing smoke generation during combustion through an optimal composition while excluding the addition of chemicals.

또한, 연소 시 발생하는 재가 공기 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않고 덩어리로 떨어지는 참쑥향을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sh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s finely divided into the ai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a mugwort fragrance that falls into a lump without being dispersed.

그리고 연소 시 은은한 향 냄새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쑥 냄새가 오랜 시간 발산되는 효과가 있다.Also, when burning, the scent of mugwort, which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s emitted for a long time along with a mild incense smell.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 단계를 거친 성형물의 적외선 투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the infrared transmittance of a molding that has undergone a mold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Further,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화학약품 첨가를 배제하면서 최적의 조성을 통해 연소 시 천천히 연소하고 연기 발생이 최소화되며, 발생하는 재가 공기 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않고, 은은한 향냄새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쑥 냄새가 오랜 시간 발산되도록 한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mugwort aroma using mugwort, specifically, through an optimal composition while excluding the addition of chemicals that control the combustion rate, combustion slowly and smoke generation is minimized, and the generated ash is finely divided into the air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mugwort fragrance using mugwort that is not dispersed and emits a pleasant wormwood odor along with a subtle scent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쑥 분말과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전분 62 내지 90 중량부 및 호화전분 31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넣고 반죽하는 단계, (d)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참쑥향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참쑥향이 제조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of (a) preparing mugwort powder and juniper powder, (b)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62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starch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prepared above. (c) adding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xture and kneading the mixture, (d) kneading the kneaded starch The mugwort flavor is produced through the steps of extruding and molding the dough and (e) drying the molded product to prepare the mugwort flavor.

또한 본 발명은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쑥 분말 향나무 분말 및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및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혼합하여 참쑥향 조성물이 제조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sagebrush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In more detail, the method for preparing a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includes the steps of (a) preparing mugwort powder juniper powder and arborvitae powder, (b)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prepared above. (c) extracting the mixed mixture, (d)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ed extract By mixing parts by weight, a composition for the fragrance of mugwort mugwort is prepared.

이하에서는 위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above ste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참쑥향을 제조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쑥 분말 및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The first step to prepare mugwort flavor is to prepare mugwort powder and juniper powder.

쑥은 국화과 식물로 학명은 Artemisia princeps Pamp이며, 양지바른 곳에서 높이 1 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고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자란다. 줄기에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줄기잎은 타원형이고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꽃은 한 여름부터 가을까지 원추꽃차례로 핀다. 꽃송이는 여러 개의 꽃이 총포 안에 쌓여 있다. 어린 순을 식용하고 성숙한 것은 약용한다. Mugwort is a plant in the Asteraceae family, scientific name Artemisia princeps Pamp . It is a perennial plant that grows to 1 m in height in a sunny place. The leaves run alternately on the stem, and the stem leaves are oval and deeply split like a feather. Flowers bloom in panicles from midsummer to autumn. A cluster of flowers is stacked in a gun barrel. Young shoots are edible and mature ones are medicinal.

쑥은 섬유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을 개선해주며, 콜레스테롤을 제거해주고, 강력한 해독 작용이 있어 독으로 가득 찬 몸 속을 깨끗하게 해주는 해독장용이 있으며, 간 기능 개선과 노화방지, 소염작용,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각종 부인병 및 위장과 장에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Mugwort contains a large amount of fiber, which improves high blood pressure, removes cholesterol, has a strong detoxification effect, and is a detoxifying agent that cleanses the body full of toxins. It is known to help with various gynecological diseases and the stomach and intestines.

상기 쑥 분말은 건조된 쑥을 팬 또는 가마솥에 투입하고 205 내지 220℃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0 내지 195℃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15 내지 135℃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The mugwort powder is prepared by putting dried mugwort in a pan or cauldron, first roasting at 205 to 220° C. for 1 to 5 minutes, then second roasting at 180 to 195° C. for 5 to 10 minutes, 115 to 135° C. 8 It can be prepar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3 to 9% by weight by roasting and drying in the order of third roasting for 12 minutes to 12 minutes.

상기 건조된 쑥을 덖는 단계는 쑥의 향을 증가시키고, 수분을 제거하여 산화효소가 불활성화되어 발효를 차단되게 하기 위함이며, 인체에 유효한 성분을 충분히 발현시키며, 전반적인 향취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The step of peeling the dried mugwort is to increase the aroma of mugwort, remove moisture to inactivate the oxidase to block fermentation, fully express ingredients effective in the human body, and increase overall flavor.

쑥을 덖는 단계에서 쑥은 팬 또는 가마솥에 투입하고 115 내지 220℃에서 덖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of peeling mugwort, it is preferable to put the mugwort in a pan or cauldron, roast it at 115 to 220°C, and dry it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3 to 9% by weight.

상기 덖는 온도는 210 내지 215℃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5 내지 19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20 내지 130℃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 처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roasting temperature is 210 to 215° C. for 1 to 5 minutes, followed by second roasting at 185 to 190° C. for 5 to 10 minutes, and roasting in the order of 8 to 12 minutes at 120 to 130° C. and 3rd roasting.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상기 덖는 온도를 상기 기재된 온도보다 낮게 처리하는 경우, 쑥 고유의 향취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적어 본 발명에 의한 참쑥향의 향취를 증대시키기 어렵고, 상기 덖는 온도를 상기 기재된 온도보다 높게 처리하는 경우, 상기 쑥의 유효한 성분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으며 쑥의 쓴 향취가 강해져 본 발명에 의한 참쑥향의 고유의 쑥 향취가 해쳐질 우려가 있어 상기 3차 조건으로 덖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roast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aroma of the mugwort flav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inherent aroma of mugwort is small, and when the roasting temperature is treated higher than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Since the effective ingredients of mugwort are not sufficiently expressed and the bitter odor of mugwort is strong, there is a risk that the inherent mugwort flavor of the mugwort flav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aired, so it is preferable to change it under the tertiary condition.

또한, 상기 덖음 단계를 거친 쑥을 65 내지 75℃에서 5 내지 60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5.5 내지 7.5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다음에 수행되는 참쑥향의 제조단계를 실시하기에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dry the mugwort, which has undergone the roasting step, at 65 to 75° C. for 5 to 60 minute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5.5 to 7.5 wt %, for carrying out the next step of preparing the mugwort fragrance. have.

상기 쑥의 덖음 단계 이전에 쑥을 건조하는 과정은 채취된 쑥을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먼저 건조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시간 내지 3일 정도 쑥을 건조시키며, 1일 내지 2일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rying mugwort before the roasting step of the mugwort, the collected mugwort may be dried first in a cool and well-ventilated shade, preferably, the mugwort is dried for 15 hours to 3 days, and 1 to 2 days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dry during the time.

또한, 상기 쑥 분말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쑥은 약쑥, 참쑥, 개똥쑥, 인진쑥(사철쑥), 제비쑥, 산쑥, 뺑쑥, 황해쑥, 싸주 아리쑥, 사자발쑥, 비쑥, 제비쑥, 물쑥 등의 다양한 종류의 쑥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약쑥, 참쑥, 개똥쑥, 인진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약쑥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gwor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mugwort powder includes various types of mugwort, such as wormwood, wormwood, wormwood, Injin mugwort, wormwood, wild wormwood, wormwood, yellow wormwood, sage wormwood, sagebal wormwood, non-wormwood, mugwort mugwort, and mugwort mugwort. Mugwort may be used, and it may be preferable to use mugwort, mugwort, wormwood, and wormwood,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wormwood.

상기 덖음 처리된 쑥은 75 내지 11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최적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85 내지 10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oasted mugwort is pulverized to a size of 75 to 115 mesh to prepare mugwort powder in order to maximize the optimal odor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produced later, and to a size of 85 to 105 mesh.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ulverize to prepare mugwort powder.

향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 향나무속의 상록교목으로 학명은 Juniperus chinensis이며 나무의 높이는 약 20m까지 자란다. 새로 돋아나는 가지는 녹색이고 3년생 가지는 검은 갈색이며 7∼8년생부터 비늘 같은 부드러운 잎이 달리지만 새싹에서는 잎사귀에 날카로운 침이 달려있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가지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밀생한다.Juniperus chinensis is an evergreen tree of the genus Juniperus chinensis, and the height of the tree grows to about 20m. Newly sprouting branches are green, 3 year old branches are black brown, 7~8 year olds have soft leaves like scales, but in buds, sharp stingers are attached to the leaves. The leaves are opposite or alternate and grow so densely that branches cannot be seen.

향나무 잎이나 줄기에는 α-pinene이나 limonene 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향료 또는 고혈압, 심한 복통, 곽란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The leaves and stems of juniper trees contain a lot of ingredients such as α-pinene and limonene, so they are used as flavorings or as a treatment for high blood pressure, severe abdominal pain, and constipation.

상기 향나무 분말은 45 내지 65℃에서 35 내지 155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5 내지 6.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85 내지 12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95 내지 11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juniper powder is dried at 45 to 65 ° C. for 35 to 155 minute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3.5 to 6.5 wt%, and then pulverized to 85 to 125 mesh size to prepare juniper powder. It is preferable to maximize the odor effect of the mugwort flav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epare a juniper powder by pulverizing it to a size of 95 to 115 mesh.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측백나무 분말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In the powder manufacturing step, in order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further adding and mixing arborvitae powder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측백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 측백나무속의 상록교목으로 학명은 Platycladus orientalis이며 나무의 키는 약 20m, 직경 1m까지 클 수 있으며, 주로 충북 단양, 경북 안동과 같은 석회암 지대에 천연 분포하여 석회암지대 지표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늘 푸르른 싱그러움을 느끼게 하는 측백나무의 작고 납작한 잎은 비늘처럼 나란히 포개지고, 4월에 달걀 모양의 암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에서 핀다. 큰 가지가 옆으로 퍼지는 눈측백, 피라미드형의 서양측백, 황금색 잎을 가진 황금측백, 수형이 둥근 모양인 둥근측백 등 관상용으로 육성된 여러 품종들이 있다. 또한 측백나무와 사촌쯤 되는 편백과 화백이 있는데, 생선 비늘 형태의 부드러운 잎을 가진 것을 편백, 가지가 대체로 수평이며 거칠고 뾰쪽한 잎을 가진 것이 화백이다. 측백나무는 탈취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Arborvitae is an evergreen arboreous tree of the genus Arboraceae and of the genus Arboraceae, and its scientific name is Platycladus orientali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urface plant of limestone zone due to its distribution. The small, flat leaves of the cypress tree, which gives a feeling of evergreen freshness, are stacked side by side like scales, and egg-shaped female and male flowers bloom on the same tree in April. There are several varieties cultivated for ornamental purposes, such as the large branch spreading out sideways, the pyramid-shaped western arborvitae, the golden arborvitae with golden leaves, and the round arborvitae with the round shape of the tree. Also, there are cypress and cypress, which are cousins to cypress, the cypress is the one with the soft leaves in the form of fish scales, and the cypress is the one that has rough, sharp leaves with generally horizontal branches. Arborvitae is known for its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상기 측백나무 분말은 45 내지 65℃에서 35 내지 155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5 내지 6.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85 내지 12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95 내지 11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arborvitae powder is dried at 45 to 65° C. for 35 to 155 minute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3.5 to 6.5 wt%, and then pulverized to a size of 85 to 125 mesh to prepare arborvitae powder. It is preferable to maximize the fragrance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epare arborvitae powder by pulverizing it to a size of 95 to 115 mesh.

또한,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연소 시 탈취 효과 및 연기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owder manufacturing step, in order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and smoke reduction effect during combustion of mugwort ince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further adding and mixing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바이오차(biochar)는 산소공급이 제한된 조건에서 각종 씨앗, 목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매스를 열분해 시켜 만들 수 있는 고체물질을 통칭한다.Biochar is a generic term for a solid material that can be made by thermally decomposing various types of biomass, including seeds and wood, under conditions of limited oxygen supply.

블랙카본은 이러한 바이오차를 초임계장치를 이용한 고온습식 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농업부산물을 직접 탄화한 바이오차에 비해 보다 높은 양이온 치환능력, 질소이용 효율 증대 등의 기능성이 증대되어 표면적은 700배 이상, 기공성은 95배 이상, 유기화합물에 대한 흡착력은 120배 이상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Xiao et al.. 2018).Black carbon can be obtained through high-temperature and wet treatment using a supercritical device, and the surface area is 700 because of higher functionalities such as higher cation substitution capacity and nitrogen use efficiency, compared to biochar that is directly carbonized by agricultural by-produc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orosity is increased by more than 95 times, and the adsorption capacity for organic compounds is increased by more than 120 times (Xiao et al.. 2018).

종래에 일반적으로 향을 만들 때 종종 쓰이는 숯은 습기를 먹으면 잘 타지 않으면서 연기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Charcoal, which is often used when making incense i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burn well when wet and smoke increases.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은 종래에 향 제조 시 사용되는 숯 대신 왕겨 블랙카본을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왕겨를 탄화처리 후 고온습식 처리하여 생성된 무수한 기공으로 강한 흡착력을 발휘해 악취 제거에 일반 숯보다 훨씬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일반 숯으로 제조된 향보다 연기가 많이 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e mugwort ince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rice hull black carbon as a material instead of charcoal used in conventional incense production, and it exhibits strong adsorption power with countless pores generated by carbonizing rice hull and then high-temperature and wet treatment to remove odors, compared to general charcoal. It has a much superior effect, and it does not emit much smoke than the incense made with ordinary charcoal.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은 분쇄한 왕겨를 215 내지 255℃의 온도와 2.3 내지 2.6MPa의 압력, N2, 150 내지 250 mL/min 조건 하에서 130 내지 160분 동안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된 왕겨를 100 내지 110℃의 수증기(steam)로 45 내지 55분 동안 증기 활성화처리한 후 탈수 및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 내지 7 중량%인 블랙카본을 제조할 수 있다.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is carbonized for 130 to 16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15 to 255 ° C, a pressure of 2.3 to 2.6 MPa, N2, and 150 to 250 mL/min of the pulverized rice hull, and 100 Black carbon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4 to 7% by weight can be prepared by steam activation treatment for 45 to 55 minutes with steam at a temperature of 110°C to 45 to 55 minutes, followed by dehydration and drying.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를 225 내지 245℃의 온도와 2.4 내지 2.5MPa의 압력, N2, 180 내지 220 mL/min 조건 하에서 140 내지 150분 동안 탄화 처리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연소 시 미연 발생 및 탈취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carbonization treatment of rice hulls for 140 to 15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25 to 245° C., a pressure of 2.4 to 2.5 MPa, N2, and 180 to 220 mL/min. and to enhance the deodorizing effect.

상기 왕겨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왕겨 입자의 크기는 0.8 내지 1.2mm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the rice hull, the size of the rice hull particles may be preferably pulverized to a particle size of 0.8 to 1.2 mm.

상기 탄화 처리된 왕겨는 100 내지 110℃의 수증기(steam)로 45 내지 55분 동안 증기 활성화처리한 후 탈수 및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 내지 7 중량%인 블랙카본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arbonized rice hull is steam activated for 45 to 55 minutes with steam at 100 to 110° C., and then dehydrated and dried to produce black carbon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4 to 7 wt %.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탄화처리 및 증기 활성화된 왕겨 블랙카본을 제조하는 것이 미연 발생 및 탁월한 탈취 효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ferable to most effectively increase the generation of smoke and the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to produce black carbon that is carbonized and steam-activated under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상기 제조된 왕겨 블랙카본은 115 내지 19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145 내지 16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pared rice hull black carbon is pulverized to a size of 115 to 195 mesh to prepar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in order to maximize the fragrance effect of mugwort flav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duced later, and has a mesh size of 145 to 165.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ulverize the rice hull to prepare black carbon powder.

상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제조된 분말에 전분 및 호화전분을 혼합하는 단계이다.The next step of the step of preparing the powder is a step of mixing starch and pregelatinized starch with the prepared powd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전분 62 내지 90 중량부 및 호화전분 31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조된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61 내지 73 중량부, 전분 72 내지 80 중량부 및 호화전분 36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62 to 90 parts by weight of starch, and 31 to 45 parts by weight of the luxurious starch may b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and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later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mix 61 to 7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72 to 80 parts by weight of starch, and 36 to 40 parts by weight of luxurious starch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to maximize the odor effect of .

상기 측백나무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경우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분량부에 상기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2 내지 44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연소 시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When mixing the arborvitae powder by further including the arborvitae powder, it is preferable to add 12 to 64 parts by weight of the arborvitae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and mix, and it is preferable to mix by adding more 32 to 44 parts by weight.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upon combustion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경우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은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분량부에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 75 내지 13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95 내지 11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연소 시 탈취 효과 및 연기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When mixing 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by further including 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it is preferable to add 75 to 135 parts by weight of 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and mix, and 95 to 115 parts by weight Mixing by adding more parts may be more preferable in order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and smoke reduction effect when burning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분은 물과 혼합되게 되면 상기 혼합된 분말이 고르게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When the starch is mixed with water, it acts as an adhesion assistant so that the mixed powder can be evenly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호화전분 역시 동일한 접착 보조 역할을 하게 되는데, 호화전분은 상온에서의 수분 흡수율이 높아 전분에 비해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게 해준다.The pregelatinized starch also plays the same adhesion auxiliary role, and the pregelatinized starch has a higher water absorption rate at room temperature, so that it can be evenly dispersed compared to starch.

상기 혼합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쑥 정유 추출물 및 물을 넣고 반죽하는 단계이다. The next step of the mixing step is a step of kneading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water into the mixed mixtur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넣고 반죽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may b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xture and kneaded.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쑥 분말을 280 내지 330 bar의 압력,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조된 쑥 분말을 300 내지 310 bar의 압력, 38 내지 42℃의 온도에서 28 내지 33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can be prepared by extracting the mugwort powder prepared in the powder preparation step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at a pressure of 280 to 330 bar and a temperature of 35 to 45° C. for 25 to 35 minutes.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s produced by introducing the prepared mugwort powder at a pressure of 300 to 310 bar and a temperature of 38 to 42° C.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epare by extraction using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을 첨가하는 이유는 인체에 유효한 쑥 성분을 충분히 발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전반적인 향취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adding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is to maximize the overall flavor of the mugwort flav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fficiently expressing the mugwort ingredient effective in the human body.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쑥 정유 추출에 대해서 추출 과정에서 화학적 유기 용매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쑥의 유효성분을 극대화하여 추출할 수 있는 초임계 인산화탄소 추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ercritical carbon phosphate extraction method was used for extracting the mugwort essential oil by minimizing the use of chemical organic solvents in the extraction process and maximizing the active ingredients of mugwort.

상기 반죽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탈취 효과와 발생되는 향의 지속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문비 나무 잎과 가지 꽃 정유 추출물의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In the kneading step, in order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urability of the generated fragrance, a process of adding and mixing spruce leaf and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s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넣고 반죽한 다음 상기 가문비 나무 잎 정유 추출물 2 내지 6 중량부, 상기 가지 꽃 정유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가문비 나무 잎 정유 추출물 3 내지 5 중량부, 상기 가지 꽃 정유 추출물 2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mixed in the mixing step and kneaded, and then 2 to 6 parts by weight of the spruce leaf essential oil extract, the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1 to 4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may be added and mixed, and 3 to 5 parts by weight of the spruce leaf essential oil extract, 2 to 3 parts by weight of the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 to maximize the aroma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later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mix by adding parts.

가문비 나무는 감비나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가문비(假紋榧), 당회(唐檜), 어린송(魚鱗松), 삼송(杉松), 사송(沙松) 등으로 쓴다. 어린송이란 이름은 나무껍질이 고기비늘 모양을 한 데서 얻어진 것이다. 학명은 Picea jezoensis CARR.이다. 높이는 40m, 지름은 1m에 달하고 수피는 비늘처럼 벗겨지며 수관은 원추형이다. 잎은 1, 2㎝ 길이로 편평한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꽃은 황갈색이며, 암꽃은 자줏빛으로, 그 길이는 15㎜ 정도이다. 열매는 황록색의 타원체로서 밑으로 처진다. 길이는 4∼7.5㎝로 실편이 떨어지지 않는다. 강한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방출하며, 공기 정화와 유해 물질 중화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 spruce tree is also called the gambit tree. In Chinese characters, it is written as spruce (假紋榧), tanghui (唐檜), young pine (魚鱗松), samsong (杉松), and sasong (沙松). The name young pine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bark of the tree has the shape of meat scales. The scientific name is Picea jezoensis CARR. to be. The height is 40m, the diameter reaches 1m, the bark is peeled off like scales, and the crown is conical. The leaves are 1 or 2 cm long, flat, linear, and have a pointed tip. Male flowers are yellowish brown, female flowers are purple, and the length is about 15 mm. The fruits are yellow-green ellipsoids and droop downwards. The length is 4 to 7.5 cm, and the thread does not fall off. It emits strong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ir purification and neutralization of harmful substances.

가지는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인도 원산이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에 해당하며 학명은 Solanum melongena 이다. 높이는 60∼100cm로, 식물 전체에 별 모양의 회색털이 나고 가시가 나기도 한다. 줄기는 검은 빛이 도는 짙은 보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5∼35cm로 잎자루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의 마디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여러 송이의 연보라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은 자줏빛이다. 열매의 모양은 달걀 모양, 공 모양, 긴 모양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긴 모양 긴가지를 재배한다. 가지 꽃은 식용으로도 사용되며 탈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ranches are annuals in temperate zones and perennials in tropics. Native to India, it is cultivated in tropical to temperate zones. It is a dicotyledonous plant and belongs to the order Solanum melongena . The height is 60-100 cm, and the entire plant has gray, star-shaped hairs and sometimes thorns. Stems are dark purple with a blackish tinge. The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egg-shaped, 15-35cm long, have petioles, and have a sharp tip. Flowers bloom from June to September, and stalks appear between the nodes of the stem and branches, and several pale purple flowers hang, and the calyx is purple. The shape of the fruit varies depending on the variety, such as egg-shaped, ball-shaped, or long-shaped, and long branches are mainly cultivated in Korea. Eggplant flowers are also used for food and are known to have a deodorizing effect.

상기 정유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수 추출 방식, 초음파 추출(예를 들어 물 초음파 추출, 주정 초음파 추출 등 포함), 주정 추출 등을 통해서 정유 추출물을 준비(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to prepare the essential oil extr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ot water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including, for example, ultrasonic water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of spirits, etc.), alcohol extrac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pare (or obtain) an essential oil extract through the

상기 반죽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단계이다. The next step of the kneading step is a step of extruding and molding the kneaded dough.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일반적인 향 제조를 위한 원형 압출 통로가 구비된 성형틀에 투입하여 그 굵기는 1.5 내지 4mm, 길이는 14 내지 25cm 로 압출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스틱형상이 아닌 원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틀로 성형할 수도 있다.In more detail, the kneaded dough may be put into a molding die provided with a circular extrusion passage for general flavor production and extruded to a thickness of 1.5 to 4 mm and a length of 14 to 25 cm, and other stick shapes It can also be molded with a mold corresponding to the shape so as to be mold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one shape instead of a cone shape.

상기 성형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참쑥향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The next step of the molding step is a step of drying the molded product to produce mugwort fragrance.

상기 건조단계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 방식과 일반 건조방식으로 건조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연소 시 재가 공기 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않고 덩어리로 떨어지는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원적외선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drying step can be dried by a drying method using far-infrared rays and a general drying method, and dried with far-infrared rays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ash is finely divided into the air and not dispersed during combustion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duced later. It may be desirable to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는 상기 성형 단계에서 성형된 성형물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9.04 내지 9.18㎛ 파장의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drying may be performed using far-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9.04 to 9.18 μm that are selectively absorbed by the molding formed in the molding step.

원적외선으로 가열하는 경우 살균효과가 있으며, 상기 성형물 표면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내부까지 골고루 건조시켜 상기 성형물 내외부 조직의 결합력을 높여 더욱 견고하게 굳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연소 시 재가 공기 중으로 미분되어 분산되지 않고 덩어리로 떨어지는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When heated with far-infrared rays, there is a sterilizing effect, and it is effective to dry not only the surface of the molded product but also the inside in a short tim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tissues of the molded product to make it more solid.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the effect of falling into lumps without being finely divided into the middle and not dispersed.

원적외선은 특정 물질에 대한 파장 선택성이 있으며 분자 고유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지 않는 파장의 원적외선은 그 분자를 투과 또는 반사하게 된다. 그리하여 특정 물질이 흡수하는 고유한 원적외선 파장을 분석하여 그 파장을 최대로 강하게 방출하는 온도에서 물질을 원적외선으로 가열하면 물질의 내부까지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미생물의 살균효과도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ar-infrared rays have wavelength selectivity for specific substances, and far-infrared rays with wavelengths that do not match the intrinsic natural frequency of a molecule transmit or reflect the molecule. Therefore, by analyzing the intrinsic far-infrared wavelength absorbed by a specific material and heating the material with far-infrared rays at a temperature at which the wavelength is maximally strongly emitted, the inside of the material can be uniformly heated and the sterilization effect of microorganisms can be achieved more efficiently. .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분광분석법(시험예 1)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성형물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원적외선 파장 범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듯이 1089.3~1106.1(wavenumber, cm-1) 즉 9.04~9.18㎛의 원적외선 파장이 상기 성형물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파장이라는 것을 알아내었고, 시험예 1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9.04~9.18㎛ 적외선 파장을 가장 최대로 강하게 방출하는 온도는 42.57~47.31℃라는 것을 알아내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velength range of far-infrared rays selectively absorbed by the manufactured molding was analyzed using infrared spectroscopy (Test Example 1).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 it was found that a far-infrared wavelength of 1089.3 to 1106.1 (wavenumber, cm -1 ), that is, 9.04 to 9.18 μm, is a wavelength selectively absorbed by the molding, and using Equation 1 of Test Example 1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infrared wavelength of 9.04~9.18㎛ was most strongly emitted was 42.57~47.31℃.

상기 성형된 성형물은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건조 방식으로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된 일반 건조 방식은 20 내지 40℃에서 7 내지 24 시간 동안 수분 함량이 12 내지 18%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원활한 연소 효과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The molded article may be dried in various drying methods other than the drying method using far-infrared rays, and in the general drying method described above, drying is perform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12 to 18% at 20 to 40° C. for 7 to 24 hour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mooth combustion effect of the wormwood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탈취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건조 단계 다음으로 코팅 단계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ating step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the drying step.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된 참쑥향을 스멕타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참쑥향의 표면을 코팅 처리하는 것이 상기 참쑥향의 탈취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it may be preferable to further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mugwort fragrance dried in the drying step using smectite.

스멕타이트(DHS, dioctahedral smectite)는 천연 점토광물의 일종으로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판상구조를 갖는 다공질의 규산염으로, 강한 흡착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장내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 그리고 이들의 독소를 흡착하여 체내로 배출시키는 강력한 수렴작용과 흡착작용을 갖고 있어, 급성설사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Smectite (DHS, dioctahedral smectite) is a kind of natural clay mineral. It is a porous silicate with a plate-like structure composed mainly of aluminum and magnesium. It is known to have strong adsorption activity, It has a strong astringent and adsorption action that is discharged into the body, so it is also used in the treatment of acute diarrhea.

상기 스멕타이트는 흡착활성이 매우 뛰어나 악취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천연 점토광물이므로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공업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아 안심할 수 있다.The smectite has excellent adsorption activity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odors, and since it is a natural clay mineral, it is safe to use industrial materials that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상기 스멕타이트는 소정의 두께로 상기 참쑥향의 외주면 전 둘레에 도포하여 상기 참쑥향의 외부 표면을 코팅 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smectite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ugwort fragrance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coating layer by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ugwort fragrance.

그리고 본 발명은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wormwood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상기 참쑥향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쑥 분말 및 향나무 분말 및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The first step for preparing the mugwort flavor composition is to prepare mugwort powder, juniper powder, and arborvitae powder.

상기 쑥 분말은 건조된 쑥을 팬 또는 가마솥에 투입하고 205 내지 220℃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0 내지 195℃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15 내지 135℃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The mugwort powder is prepared by putting dried mugwort in a pan or cauldron, first roasting at 205 to 220° C. for 1 to 5 minutes, then second roasting at 180 to 195° C. for 5 to 10 minutes, 115 to 135° C. 8 It can be prepar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3 to 9% by weight by roasting and drying in the order of third roasting for 12 minutes to 12 minutes.

쑥을 덖는 단계에서 쑥은 팬 또는 가마솥에 투입하고 115 내지 220℃에서 덖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of peeling mugwort, it is preferable to put the mugwort in a pan or cauldron, roast it at 115 to 220°C, and dry it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3 to 9% by weight.

상기 덖는 온도는 210 내지 215℃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5 내지 19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20 내지 130℃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 처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roasting temperature is 210 to 215° C. for 1 to 5 minutes, followed by second roasting at 185 to 190° C. for 5 to 10 minutes, and roasting in the order of 8 to 12 minutes at 120 to 130° C. and 3rd roasting.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상기 덖는 온도를 상기 기재된 온도보다 낮게 처리하는 경우, 쑥 고유의 향취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적어 본 발명에 의한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를 증대시키기 어렵고, 상기 덖는 온도를 상기 기재된 온도보다 높게 처리하는 경우, 상기 쑥의 유효한 성분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으며 쑥의 쓴 향취가 강해져 본 발명에 의한 참쑥향 조성물의 고유의 쑥 향취가 해쳐질 우려가 있어 상기 3차 조건으로 덖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roast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aroma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inherent aroma of mugwort is small, and when the roasting temperature is treated higher than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 The effective component of mugwort is not sufficiently expressed, and the bitter odor of mugwort is strong,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inherent odor of mugwort flavor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aired.

또한, 상기 덖음 단계를 거친 쑥을 65 내지 75℃에서 5 내지 60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5.5 내지 7.5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다음에 수행되는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단계를 실시하기에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would be more preferable to dry the mugwort that has undergone the roasting step at 65 to 75° C. for 5 to 60 minute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5.5 to 7.5% by weight to carry out the next step of preparing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can

상기 쑥의 덖음 단계 이전에 쑥을 건조하는 과정은 채취된 쑥을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먼저 건조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시간 내지 3일 정도 쑥을 건조시키며, 1일 내지 2일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rying mugwort before the roasting step of the mugwort, the collected mugwort may be dried first in a cool and well-ventilated shade, preferably, the mugwort is dried for 15 hours to 3 days, and 1 to 2 days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dry during the time.

또한, 상기 쑥 분말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쑥은 약쑥, 참쑥, 개똥쑥, 인진쑥(사철쑥), 제비쑥, 산쑥, 뺑쑥, 황해쑥, 싸주 아리쑥, 사자발쑥, 비쑥, 제비쑥, 물쑥 등의 다양한 종류의 쑥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약쑥, 참쑥, 개똥쑥, 인진쑥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gwor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mugwort powder includes various types of mugwort, such as wormwood, wormwood, wormwood, Injin mugwort, wormwood, wild wormwood, wormwood, yellow wormwood, sage wormwood, sagebal wormwood, non-wormwood, mugwort mugwort, and mugwort mugwort. Mugwort may be used,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mugwort, mugwort, wormwood, and wormwood in order to maximize the scent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덖음 처리된 쑥은 75 내지 11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최적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85 내지 10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쑥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roasted mugwort is preferably pulverized to a size of 75 to 115 mesh to prepare mugwort powder in order to maximize the optimal odor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prepared later, and has a mesh size of 85 to 105.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ulverize the mugwort powder to prepare mugwort powder.

상기 향나무 분말은 45 내지 65℃에서 35 내지 155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5 내지 6.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85 내지 12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95 내지 11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juniper powder is dried at 45 to 65 ° C. for 35 to 155 minute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3.5 to 6.5 wt%, and then pulverized to 85 to 125 mesh size to prepare juniper powder. It is preferable to maximize the odor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epare a juniper powder by pulverizing it to a size of 95 to 115 mesh.

상기 측백나무 분말은 45 내지 65℃에서 35 내지 155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5 내지 6.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85 내지 12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95 내지 11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arborvitae powder is dried at 45 to 65° C. for 35 to 155 minute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3.5 to 6.5 wt%, and then pulverized to a size of 85 to 125 mesh to prepare arborvitae powder. It is preferable to maximize the fragrance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epare arborvitae powder by pulverizing it to a size of 95 to 115 mesh.

또한,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탈취 효과 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wder manufacturing step, a process of further adding and mixing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은 분쇄한 왕겨를 215 내지 255℃의 온도와 2.3 내지 2.6MPa의 압력, N2, 150 내지 250 mL/min 조건 하에서 130 내지 160분 동안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된 왕겨를 100 내지 110℃의 수증기(steam)로 45 내지 55분 동안 증기 활성화처리한 후 탈수 및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4 내지 7 중량%인 블랙카본을 제조할 수 있다.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is carbonized for 130 to 16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15 to 255 ° C and a pressure of 2.3 to 2.6 MPa, N 2 , and 150 to 250 mL/min of the pulverized rice hull, and the carbonized rice husk After steam activation treatment for 45 to 55 minutes with steam at 100 to 110° C., dehydration and drying may be performed to prepare black carbon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4 to 7 wt %.

상기 왕겨 블랙카본을 제조하는 첫 번째 단계인 열분해 단계에서는 왕겨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분쇄한 왕겨를 215 내지 255℃의 온도와 2.3 내지 2.6MPa의 압력, N2, 150 내지 250 mL/min 조건 하에서 130 내지 160분 동안 탄화 처리할 수 있다.In the pyrolysis step, which is the first step of producing the rice hull black carbon,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rice hull are removed and the pulverized rice hull is subjected to a temperature of 215 to 255° C. and a pressure of 2.3 to 2.6 MPa, N2, 150 to 250 mL/min. It can be carbonized for 130 to 160 minutes under the conditions.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를 225 내지 245℃의 온도와 2.4 내지 2.5MPa의 압력, N2, 180 내지 220 mL/min 조건 하에서 140 내지 150분 동안 탄화 처리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탈취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In more detail, carbonization treatment of rice hulls at a temperature of 225 to 245° C., a pressure of 2.4 to 2.5 MPa, N2, and 180 to 220 mL/min conditions for 140 to 150 minutes is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st desirable to augment.

상기 왕겨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왕겨 입자의 크기는 0.8 내지 1.2mm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ulverizing the rice hull, the size of the rice hull particles may be preferably pulverized to a particle size of 0.8 to 1.2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화 처리된 왕겨를 103 내지 107℃의 수증기(steam)로 48 내지 52분 동안 증기 활성화처리한 후 탈수 및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5 내지 6 중량%인 블랙카본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arbonized rice hull is steam activated for 48 to 52 minutes with steam at 103 to 107 ° C., and then dehydrated and dried to produce black carbon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5 to 6 wt %. may be desirab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탄화처리 및 증기 활성화된 왕겨 블랙카본을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탈취 효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ferable to most effectively increas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pare carbonized and steam-activated rice hull black carbon under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상기 제조된 왕겨 블랙카본은 115 내지 19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며, 145 내지 165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왕겨 블랙카본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pared rice hull black carbon is pulverized to a size of 115 to 195 mesh to prepar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in order to maximize the flavor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later, and 145 to 165 mesh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grind to size to prepar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상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제조된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이다.The next step of preparing the powder is mixing the prepared powd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및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조된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61 내지 73 중량부 및 측백나무 분말 32 내지 4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and 12 to 64 parts by weight of the arborvitae powder may b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prepared above, and the fragrance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later can be maximized.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mix 61 to 7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and 32 to 44 parts by weight of the arborvitae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탈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왕겨 블랙카본을 더 추가로 첨가할 경우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분량부에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 75 내지 13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95 내지 11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When the black carbon is further added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it is preferable to add 75 to 135 parts by weight of 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and mix, and 95 to 115 parts by weight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add more and mix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상기 혼합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The next step of the mixing step is the step of extracting the mixed mixture.

상기 혼합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추출 효율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수 추출 방식, 초음파 추출, 주정 추출 등을 통해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Extracting the mixture using an organic solvent is most preferable in terms of extraction effici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ethod of extraction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alcohol extraction, etc. may be used.

상기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65 내지 75% 에탄올을 350 내지 1050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Vacuum reactor에서 1 내지 8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지(Advantec No.2)를 이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In the extraction step, 350 to 1050 parts by weight of 65 to 75% ethanol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mixed in the mixing step, and then extracted while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1 to 8 hours in a vacuum reactor, and the extracted extract is filtered (Advantec). No. 2) can be used for filtration.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67 내지 72% 에탄올을 450 내지 750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Vacuum reactor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15 내지 25℃에서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여과하는 것이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다. More preferably, it is effective to mix 450 to 750 parts by weight of 67 to 72% ethanol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mixed in the mixing step, and then extract and filter while stirring at 15 to 25° C. for 3 to 4 hours in a vacuum reacto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ingredients.

상기 추출 단계의 다음 단계는 상기 추출된 추출물에 쑥 정유 추출물 및 물을 혼합하여 참쑥향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The next step of the extraction step is to prepare a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by mixing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water with the extracted extract.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혼합하여 참쑥향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In more detail,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xture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mugwort fragrance.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쑥 분말을 280 내지 330 bar의 압력,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조된 쑥 분말을 300 내지 310 bar의 압력, 38 내지 42℃의 온도에서 28 내지 33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can be prepared by extracting the mugwort powder prepared in the powder preparation step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at a pressure of 280 to 330 bar and a temperature of 35 to 45° C. for 25 to 35 minutes.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into the prepared mugwort powder at a pressure of 300 to 310 bar and a temperature of 38 to 42 ° C.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prepare by extraction using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쑥 정유 추출에 대해서 추출 과정에서 화학적 유기 용매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쑥의 유효성분을 극대화하여 추출할 수 있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was used for extracting the mugwort essential oil by minimizing the use of chemical organic solvents in the extraction process and maximizing the active ingredient of mugwort.

상기 반죽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문비 나무 잎과 가지 꽃 정유 추출물의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In the kneading step, in order to maximize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adding and mixing spruce leaf and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상기 가문비 나무 잎 정유 추출물 2 내지 6 중량부, 상기 가지 꽃 정유 추출물 1 내지 4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추후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참쑥향 조성물의 향취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기 가문비 나무 잎 정유 추출물 3 내지 5 중량부, 상기 가지 꽃 정유 추출물 2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mixed in the mixing step, and then 2 to 6 parts by weight of the spruce leaf essential oil extract, the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 1 to 4 parts by weight can be added and mixed, and 3 to 5 parts by weight of the spruce leaf essential oil extract, 2 to 3 parts by weight of the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 to maximize the fragrance effect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epared later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mix by adding parts.

상기 정유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수 추출 방식, 초음파 추출(예를 들어 물 초음파 추출, 주정 초음파 추출 등 포함), 주정 추출 등을 통해서 정유 추출물을 준비(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to prepare the essential oil extr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hot water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including, for example, ultrasonic water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of spirits, etc.), alcohol extrac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pare (or obtain) an essential oil extract through the

상기 제조된 참쑥향 조성물은 참쑥향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수 및 향 발생 스프레이, 소독제, 가려움 치료제 등 다양한 용도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도 있다.The prepared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may be used to prepare mugwort fragr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for various uses, such as perfume and fragrance generating spray, disinfectant, and itch remedy.

이하, 본 발명의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을 하기의 시험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gwort flavor using mugwo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test examples and examples.

<시험예 1> 적외선 분광 분석<Test Example 1> Infrared spectroscopic analysis

본 발명의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적외선 범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FT-IR(Frontier, PerkinElmer, UK)를 사용하여 ATR(attenuated total reflection)법으로 400~4000cm-1 파수의 범위에서 적외선의 투광도(transmittance)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analyze the range of infrared rays selectively absorbed by the moldings formed in the mold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T-IR (Frontier, PerkinElmer, UK) is used in the ATR (attenuated total reflection) method in the range of 400 to 4000 cm -1 wavenumber. Infrared transmittance was measured.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1089.3~1106.1cm-1에서 최저의 적외선 투광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파수(wavenumber)를 역수의 값으로 계산한 결과 9.04~9.18㎛ 범위의 적외선 파장이 상기 성형물에 가장 높게 흡수되는 적외선 파장 범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 , the lowest infrared transmittance was confirmed at 1089.3 to 1106.1 cm -1 , an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wavenumber as a reciprocal value, the infrared wavelength in the range of 9.04 to 9.18 μm was absorbed the most by the molding.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infrared wavelength range was

9.04~9.18㎛ 범위의 파장을 가장 강하게 방출하는 온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Wien의 변위 법칙을 이용하여 최적 온도를 계산하였다. Wien의 변위 법칙은 흑체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파장의 전자파 가운데 에너지 밀도가 가장 강한 것의 파장은 흑체의 절대 온도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이다. Wien의 변위 법칙인 하기 수학식 1에서 λmax는 흑체 스펙트럼의 최대 방사강도를 나타내는 파장이며, K는 특정 파장을 가장 강하게 방출하는 절대온도를 뜻한다.In order to find out the temperature that most strongly emits the wavelength in the range of 9.04~9.18㎛, the optimum temperature was calculated using Wien's displacement law. Wien's Displacement Law is a law that states that the wavelength of the one with the strongest energy density among various wavelengths of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a black bod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bsolute temperature of the black body. In Equation 1, which is Wien's displacement law, λ max is a wavelength representing the maximum radiation intensity of a blackbody spectrum, and K means an absolute temperature at which a specific wavelength is most strongly emitted.

[수학식 1][Equation 1]

λ max ·T = 2.898ㅧ10-3 m·Kλ max T = 2.898ㅧ10 -3 m K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9.04~9.18㎛ 파장을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 42.57~47.31℃ (315.72~320.46K)의 온도가 9.04~9.18㎛ 파장을 가장 강하게 방출하는 온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calculating by substituting a wavelength of 9.04 to 9.18 μm by Equation 1, it was confirmed that a temperature of 42.57 to 47.31° C. (315.72 to 320.46 K) wa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9.04 to 9.18 μm wavelength was most strongly emitted.

<실시예 1> - 본 발명의 참쑥향의 제조<Example 1> - Preparation of mugwort flavor of the present invention

왕겨 블랙카본 분말, 측백나무 분말, 쑥 분말 및 향나무 분말을 먼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왕겨 블랙카본 분말은 분쇄한 왕겨를 235℃의 온도와 2.4MPa의 압력, N2, 150 내지 250 mL/min 조건 하에서 145분 동안 탄화 처리하고, 상기 탄화 처리된 왕겨를 105℃의 수증기(steam)로 50분 동안 증기 활성화처리한 후 탈수 및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5 중량%인 블랙카본을 제조하였다. 상기 쑥 분말은 건조된 쑥을 팬에 투입하고 212℃에서 3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8℃에서 7분 동안 2차 덖음, 125℃에서 10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6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향나무 분말과 측백나무 분말은 55℃에서 95분 동안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5.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105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arborvitae powder, mugwort powder and juniper powder were first prepared in the following manner. 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is carbonized for 145 minutes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5 ° C and a pressure of 2.4 MPa, N2, and 150 to 250 mL/min of the pulverized rice hull, and the carbonized rice hull is treated with steam at 105 ° C. After steam activation treatment for 50 minutes, dehydration and drying were performed to prepare black carbon having a water content of 5% by weight. For the mugwort powder, dried mugwort is put in a pan, and then roasted first at 212°C for 3 minutes, second roasted at 188°C for 7 minutes, and roasted at 125°C for 10 minutes for 10 minutes, then roasted and dried to moisture content It was prepared so that it might be this 6 weight%. The juniper powder and arborvitae powder were dried at 55° C. for 95 minute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5.5 wt%, and then pulverized to a size of 105 mesh.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65 중량부, 측백나무 분말 38 중량부, 상기 왕겨 블랙카본 분말 105 중량부, 전분 75 중량부 및 호화전분 38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5 중량부 및 물 137 중량부를 넣고 반죽하였으며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제조된 쑥 분말을 305 bar의 압력, 4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65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38 parts by weight of the arborvitae powder, 105 parts by weight of the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75 parts by weight of starch and 38 parts by weight of the luxurious starch we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mugwort powder prepared above, and then the mixed mixture 15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7 parts by weight of water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and kneaded, and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was extracted in the following manner.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was prepared by extracting the mugwort powder prepared above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at a pressure of 305 bar and a temperature of 40° C. for 30 minutes.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굵기는 2mm, 길이는 12.5cm 로 압출하여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9.04~9.18㎛ 파장의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향을 제조하였다.The kneaded dough was extruded to a thickness of 2 mm and a length of 12.5 cm, and then the molded product was dried using far-infrared rays of a wavelength of 9.04 to 9.18 μm to prepare a fragrance.

<실시예 2> - 본 발명의 참쑥향의 제조<Example 2> - Preparation of mugwort flavor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2는 향 제조 시 상기 반죽 단계에서 가문비 나무 잎과 가지 꽃 정유 추출물의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2, a process of adding and mixing spruce leaf and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s was additionally carried out in the kneading step during the manufacture of incense, and the other process wa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xample 1 to prepare a fragrance.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죽 단계에서 반죽된 반죽물에 상기 가문비 나무 잎 정유 추출물 4 중량부, 상기 가지 꽃 정유 추출물 2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상기 가문비 나무 잎과 가지 꽃 정유 추출물은 실시예 1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방식을 사용하였다.In more detail, 4 parts by weight of the spruce leaf essential oil extract and 2 parts by weight of the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 were added to the dough kneaded in the kneading step and mixed, and the spruce leaf and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 was prepared in Example 1. 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was used.

<실시예 3> - 본 발명의 참쑥향의 제조<Example 3> - Preparation of mugwort flavor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3은 향 제조 시 마지막에 스멕타이트 코팅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2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3, the smectite coating process was additionally performed at the end of the fragranc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fragranc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Example 2 above.

<실시예 4> - 본 발명의 참쑥향의 제조<Example 4> - Preparation of mugwort flavor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4는 향 제조 시 분말 제조 단계에서 왕겨 블래카본 대신 일반 숯을 사용하였으며 측백나무 분말을 제외하였고,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4, general charcoal was used instead of rice hull black carbon in the powder manufacturing step in preparing incense, and arborvitae powder was excluded, and the other process wa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xample 1 to prepare incense.

<실시예 5> - 본 발명의 참쑥향의 제조<Example 5> - Preparation of mugwort flavor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5는 향 제조 시 분말 제조 단계에서 왕겨 블래카본 대신 일반 숯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5, ordinary charcoal was used instead of rice hull black carbon in the powder manufacturing step when preparing incense, and the incens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xample 1, other than that.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은 분말 제조 단계에서 쑥 분말 제조 시 쑥 덖음 공정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1, the mugwort extract was not treated when the mugwort powder was prepared in the powder preparation step, and the fragranc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Example 1, except for the process.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는 반죽 단계에서 쑥 정유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2,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was not added in the kneading step, and the fragranc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for the rest of the process.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3은 건조 단계에서 원적외선 건조 방식으로 처리하지 않고 30℃에서 13 시간 동안 수분 함량이 15%가 되도록 건조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Comparative Example 3 was dri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was 15% at 30° C. for 13 hours without treatment with a far-infrared drying method in the drying step, and the other process wa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xample 1 to prepare a fragrance.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4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760호 (2004. 05. 19.)에 기재되어 있는 공정으로 향을 제조하였다.Comparative Example 4 was prepared incense by the process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1760 (May 19, 2004).

<시험예 2> - 관능시험<Test Example 2> - Sensory test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향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관능검사는 향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냄새(향)에 대한 기호도 및 쑥향의 강도와, 30분 간격으로 세차례 향을 맡게 하여 향의 지속력 여부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A sensory test of the fragrances prepa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erformed and compared. The sensory test was evaluated by using the 9-point rating method to classify the preference for the smell (scent) generated by burning incense and the intensity of the mugwort scent, and whether the scent lasts three times at 30-minute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age and gender, a total of 40 males and females in their teens and 40s were selected, 10 for each age group.

향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Sensory test results for fragrance 향 전반적 기호도Fragrance overall preference 쑥향 강도mugwort flavor strength 향 지속력fragrance lasting 실시예 1Example 1 8.18.1 8.48.4 7.57.5 실시예 2Example 2 8.28.2 8.68.6 8.68.6 실시예 3Example 3 8.68.6 8.98.9 8.78.7 실시예 4Example 4 6.36.3 8.28.2 4.54.5 실시예 5Example 5 7.37.3 8.38.3 7.27.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25.2 3.53.5 5.15.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76.7 4.34.3 5.65.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7.17.1 8.18.1 6.36.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4.64.6 3.13.1 4.24.2

* 관능 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변화가 없음, 5 : 보통임 0 : 아주 나쁨, 변화가 있음)* Sensory test value (9: very good, no change, 5: moderate 0: very bad, there is a change)

상기 표 1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들의 향이 비교예들에 비해 전반적인 향 기호도가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4가 쑥향 강도가 매우 낮게 발생되었다는 결과로 보아 쑥 덖음 공정과 쑥 정유 추출물 첨가 공정이 쑥 향취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rom the results of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fragrances of the Examples have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fragrance preference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n particular, from the results that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4 produced very low mugwort aroma, it was found that the mugwort decoction process and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ddition process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mugwort odor.

또한 향의 지속력 여부에 대한 결과에서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향 지속력이 뛰어난 결과로 보아 가문비 나무 잎과 가지 꽃 정유 추출물의 첨가로 인해 향 지속력의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whether the fragrance lasts or not, it was found that the fragrance persistence of Examples 2 and 3 was excellent.

<시험예 3> - 육안 관찰 실험<Test Example 3> - Visual observation experiment

이어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향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Next, the fragranc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visually observed and compared.

관찰된 항목은 표 2에 나타냈다. 관찰 항목은 향 표면의 재 형상 유지 여부, 발생 연기 감소 여부를 나타냈다.The observed items are shown in Table 2. Observation items indicated whether the reshaping of the incense surface was maintained and whether the smoke generated was reduced.

재 형상 여부는 연소될 때 재가 3cm 이상 유지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발생 연기 감소 여부는 연기 적음은 1, 연기 보통 2, 연기 많음은 3으로 표시할 때 1을 O로 표시하였고 2와 3은 X로 표시하였다. Ash form i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ash is maintained over 3cm when burned, and for smoke reduction, 1 is indicated as O, 2 and 3 for low smoke, 2 for normal smoke, and 3 for high smoke. is denoted by an X.

육안 관찰 결과Visual observation results 재 형상 유지
(유지: ○, 분산: X)
reshape
(Maintenance: ○, Dispersion: X)
발생 연기 감소
(있음: ○, 없음: X)
Reduce smoke generated
(Yes: ○, No: X)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XX 실시예 5Example 5 XX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XX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XX XX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소 후 재가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지의 여부와 발생 연기 감소 여부를 살펴본 결과, 비교예 3과 비교예 4는 재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고 공기 중에 쉽게 분산되는 바, 원적외선 건조로 인해 재 형상 유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4, 실시예 5 및 비교예 4는 연소 시 연기가 저감되지 않는 바, 왕겨 블랙카본 사용으로 인한 발생 연기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s shown in Table 2 above,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ash maintains its shape after combustion and whether or not the generated smoke is reduced,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do not maintain the shape of the ash and are easily dispersed in the air. Due to th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ash shape, and in Examples 4, 5 and Comparative Example 4, smoke was not reduced during combus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reducing smoke generated by the use of rice hull black carbon.

<시험예 4> - 탈취 실험<Test Example 4> - Deodorization test

이어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향의 탈취 효과를 비교하였다. 관찰된 항목은 표 3에 나타냈다. 관찰 항목은 향 연소 시 탈취 효과 여부를 나타냈다.Next,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fragrance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compared. The observed items are shown in Table 3. Observation items indicated whether there was a deodorizing effect during incense burning.

탈취 효과는 체적 2m2의 밀폐용기 내부에 50mm(H) X 150mm(V) X 10mm(T) 크기의 유리판을 안착시키고, 그 유리판의 상부면에 48 μmol/mol의 농도의 포름알데히드를 도포하고 그 내부에서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의 향을 연소시키고, 시험 전후의 포름알레히드 방출량을 측정하여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을 측정하되, 시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10회 이상 반복하여 시험의 평균값을 기록한다. 시험 조건은 온도 25±0.5℃, 상대습도 25±5%이며 상기 포름알레히드 방출량이 85% 이상이면 탈취효과가 있음, 90% 이상이면 탈취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재하였다.For the deodorizing effect, a glass plate of 50mm(H) X 150mm(V) X 10mm(T) is seated inside an airtight container with a volume of 2m 2, and formaldehyde with a concentration of 48 μmol/mol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plate. The incense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burned inside, and the formaldehyde removal rat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formaldehyde released before and after the test. Record the average. The test conditions were a temperature of 25±0.5°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25±5%. If the amount of formaldehyde released was 85% or more, there was a deodorizing effect, and if it was 90% or more, it was described as having an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탈취 효과deodorizing effect 탈취 효과
(뛰어남: ○, 있음: △, 없음: X)
deodorizing effect
(Excellent: ○, Yes: △, No: X)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XX 실시예 5Example 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XX

향의 탈취 효과에 대한 결과에서는 실시예 1, 실시예 5,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탈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왕겨 블랙카본 분말과 측백나무 분말의 사용으로 인해 향 탈취 효과가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탈취 효과가 뛰어난 결과로 보아 가문비 나무 잎과 가지 꽃 정유 추출물의 첨가와 스멕타이트 코팅으로 인해 향 탈취 증대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In the results for the deodorizing effect of incens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deodorizing effect of Examples 1,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ndicating that the deodorizing effect was increased due to the use of rice hull black carbon powder and arborvitae powder. As a result of the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of Examples 2 and 3, the addition of spruce leaf and eggplant flower essential oil extracts and smectite coating showed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Claims (6)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은
(a) 쑥 분말과 향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전분 62 내지 90 중량부 및 호화전분 31 내지 4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넣고 반죽하는 단계;
(d)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여 참쑥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mugwort flavor using mugwor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gwort flavor using the mugwort is
(a) preparing mugwort powder and juniper powder;
(b) mixing 51 to 83 parts by weight of the juniper powder, 62 to 90 parts by weight of starch, and 31 to 45 parts by weight of luxurious starch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c) adding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mixture and kneading the mixture;
(d) extruding and molding the kneaded dough; and
(e) drying the molded product to produce mugwort flavor; a method for producing mugwort flavor using mugwor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쑥 분말은 팬 또는 가마솥에 쑥을 투입하고 205 내지 220℃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0 내지 195℃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15 내지 135℃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ugwort powder of step (a) is prepared by putting mugwort in a pan or cauldron, first roasting at 205 to 220°C for 1 to 5 minutes, and then second roasting at 180 to 195°C for 5 to 10 minutes, 115 to 135 A method of producing a mugwort flavor using mugw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ontent is 3 to 9% by weight by roasting and drying at a temperature of 8 to 12 minutes in the order of third roas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of producing a mugwort flavor using mugw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12 to 64 parts by weight of arborvitae powder in step (b) and mixes 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쑥 분말을 280 내지 330 bar의 압력,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of step (c) is obtained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into the mugwort powder prepared in step (a) at a pressure of 280 to 330 bar and a temperature of 35 to 45° C. for 25 to 35 minut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 method for producing wormwood flavor using mugw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extra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건조는 상기 (d) 단계에서 성형된 성형물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9.04~9.18㎛ 파장의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참쑥향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rying in step (e) is a method of producing mugwort fragrance using mugw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ed using far-infrared rays with a wavelength of 9.04 to 9.18 μm that are selectively absorbed by the molding formed in step (d).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쑥 분말, 향나무 분말 및 측백나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쑥 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향나무 분말 51 내지 83 중량부 및 측백나무 분말 12 내지 6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쑥 정유 추출물 12 내지 19 중량부 및 물 134 내지 142 중량부를 혼합하여 참쑥향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쑥 분말은 팬 또는 가마솥에 투입하고 205 내지 220℃에서 1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한 후, 180 내지 195℃에서 5 내지 10분 동안 2차 덖음, 115 내지 135℃에서 8 내지 12분 3차 덖음 순으로 덖음하고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3 내지 9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고,
상기 쑥 정유 추출물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쑥 분말을 280 내지 330 bar의 압력,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을 이용한 참쑥향 조성물의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using the mugwort is
(a) preparing mugwort powder, juniper powder and arborvitae powder;
(b) mixing 51 to 83 parts by weight of juniper powder and 12 to 64 parts by weight of arborvitae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mugwort powder;
(c) extracting the mixed mixture;
(d) mixing 12 to 19 parts by weight of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and 134 to 142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ed extract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mugwort fragrance; including,
The mugwort powder is put in a pan or cauldron, first roasted at 205 to 220°C for 1 to 5 minutes, then second roasted at 180 to 195°C for 5 to 10 minutes, at 115 to 135°C for 8 to 12 minutes 3 Prepared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3 to 9% by weight by roasting and drying in the order of roasting,
The mugwort essential oil extract is prepared by extracting the mugwort powder prepared in step (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at a pressure of 280 to 330 bar and a temperature of 35 to 45° C. for 25 to 35 minutes. A method for producing a mugwort fragrance composition using mugwor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00075609A 2020-06-22 2020-06-22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576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09A KR20210157605A (en) 2020-06-22 2020-06-22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09A KR20210157605A (en) 2020-06-22 2020-06-22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05A true KR20210157605A (en) 2021-12-29

Family

ID=7917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609A KR20210157605A (en) 2020-06-22 2020-06-22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60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166U (en) 1991-12-13 1993-07-26 이석규 incense
KR100280845B1 (en) 1998-12-24 2001-09-22 조호근 Method for producing incense with wood co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166U (en) 1991-12-13 1993-07-26 이석규 incense
KR100280845B1 (en) 1998-12-24 2001-09-22 조호근 Method for producing incense with wood c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8126A (en) Machine-made charco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465627B1 (en) Eco-friendly, elastic and shape-retaining fabric
CN103932385A (en) Method for preparing cigarette with agilawood type special-grade taste
KR101561579B1 (en) Hinoki Cypress, cinnamon, flaxseed oil for massage to the type of cosmetic composition as the mai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129609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annextion containing oil of cypress and food containing the annextion by the same
KR102001590B1 (en) Incense stick using mother chrysanthem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419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ermented oil of houttuynia cordata comprising wood-cultivated ginseng ingredient and fermented oil of houttuynia cordata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14081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cense using juniper
CN107737361A (en) A kind of anti-infection sterilization stacte of high intens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10157605A (en) Incense stick using artemis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18941B1 (en) Hwangtokorean loess-based facial soap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1950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bustion and bath material of moxibustion and incense using lead
KR100563269B1 (en) Rice having useful ingredients for bod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385257B1 (en) Deodorant composition
KR102214493B1 (en) Brass colouring method
KR20150029672A (en) My skin health and beauty using the functional bio-ceramic and 107 kinds of native grasses
KR20100026669A (en) Low temperature ermentation maturation black garlic manufacturing method
KR101443114B1 (en) Manufacturing methods For rice moxibustion using rice and rice bran
KR20180056903A (en) Rice hull powder moxibus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4867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organism using medical properties of a plant and obtained by fermentation of sulfu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secticide, germicide and deodorizer using thereof
KR20100100144A (en) Mokcho sap powder composition comprising lavender oil powder and mokcho sap patch using the same
KR20120138968A (en) Grain-moxa combustor mainly brown rice
CN109924330A (en) A kind of Selenium-enriched fermentation rice-pudding perfume (or spice) vine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564783B1 (en) Moxibus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method using seaweed
KR20140111364A (en) My skin health and beauty using the functional bio-ceramic and 107 kinds of native gr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