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264A -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264A
KR20210157264A KR1020200075344A KR20200075344A KR20210157264A KR 20210157264 A KR20210157264 A KR 20210157264A KR 1020200075344 A KR1020200075344 A KR 1020200075344A KR 20200075344 A KR20200075344 A KR 20200075344A KR 20210157264 A KR20210157264 A KR 20210157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yment
product
central serv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182B1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20007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1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06K9/00221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안창이 구비된 무인 판매; 상기 무인판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판매의 일측에 사용자인식카메라(10)가 설치된 키오스크(20); 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2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촬상하면 사용자 정보가 상기 무인 판매 내부에 설치된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고, 사용자 정보 기 저장시 상기 무인판매에서 구매할 상품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결제수단 역시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2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된 후,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상기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상기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ce unmanned sales payment system with facial or iris recognition}
본 발명은 생체인식(안면 또는 홍채 등)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판매기는 동전이나 지폐 등의 화폐를 투입하거나 카드를 이용하여 음료, 식품, 담배, 티켓, 신문, 잡지, 우표, 양말, 휴지, 위생용품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거나 세탁기, 인형뽑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무인판매기는 무인매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판매기와 같은 무인판매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하거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직접 결제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NFC를 포함하여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 전자결제 방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무인판매기에 대한 대금을 결제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폰 결제서비스는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통해 결제를 승인하고, 해당 모바일폰의 통화요금에 인터넷 컨텐츠 사용요금을 통합 부과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현금이나 카드 등의 결제수단이 없을 때에도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모바일폰을 이용한 결제 방식은 자동판매기가 인터넷 회선 등으로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결제서버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연결 필요하므로 케이블설치, 유선연결 등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인판매기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무인판매기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지불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전자 결제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무인 판매에서 상품을 구입한 후 별도로 스마트폰의 결제 앱을 연 뒤 다시 결제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상품을 구입하는 자가 상품을 구입하기만 하면 바로 결제 앱이 연동되어 결제가 구현디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안면인식 기술과 홍채 인식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등을 제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결제 시스템이 대두되어 사용자가 직접 결제하지 않더라도 비대면 방식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어 졌다.
KR 10-2019-0108245(2019.09.24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결제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무인 판매에 설치된 상품을 구입하고 보안창을 닫게 되면 즉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결제 방식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더 나아가 안면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미리 결제수단을 저장하는 경우 안면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한 뒤, 미리 저장한 결제수단을 통해 단순히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고 보안창만 닫으면 바로 결제가 되는 새로운 구조의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안창이 구비된 무인 판매; 상기 무인판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판매의 일측에 사용자인식카메라가 설치된 키오스크; 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촬상하면 사용자 정보가 상기 무인 판매 내부에 설치된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고, 사용자 정보 기 저장시 상기 무인판매에서 구매할 상품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결제수단 역시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된 후,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상기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상기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무인판매에 설치된 보안창을 오픈하고 원하는 상품을 구입한 뒤 보안창이 닫는 경우 즉시 결제가 이루어져 결제의 간편성 및 편리함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반품 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이를 관리하는 종업원이 필요 없어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된 뒤 미리 저장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져 사용자는 별도의 결제 행위를 하지 않는 비대면 방식의 결제가 완전히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장소의 출입문에 사용자가 안면 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할 수 있는 실시예,
도 4와 도 5는 중앙서버와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개시된 전체 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장소의 출입문에 사용자가 안면 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할 수 있는 실시예, 도 4와 도 5는 중앙서버와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개시된 전체 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안창이 구비된 무인 판매, 무인판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무인판매의 일측에 사용자인식카메라(10)가 설치된 키오스크(20)를 포함하되, 키오스크(2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촬상하면 사용자 정보가 무인 판매 내부에 설치된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고, 사용자 정보 기 저장시 무인판매에서 구매할 상품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면 결제수단 역시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키오스크(2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된 후,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비대면 방식으로 무인판매에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되고, 결제수단 역시 기 저장되며, 후에 해당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만 인식하게 되며, 기 저장된 결제수단으로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인 판매가 설치되는 장소의 입구에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는 출입문인식카메라(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출입문인식카메라(40)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가 촬상되면 그 사용자정보가 중앙서버에 저장되고,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출입문인식카메라(40)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된 후,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중앙서버는 도면상 무인판매기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장소에 해당 중앙서버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생체인식 등록 방법은 키오스크 또는 별도의 생체인식 등록기에서 가능하고, 해당 생체인식 등고 방법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즉, 해당 무인판매가 설치된 장소의 입구에도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는 출입문인식카메라(40)가 더 설치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매장을 출입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 신호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어 어떤 사용자가 현재 매장 내에 들어왔는지 중앙서버는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역시 기 저장된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를 사용자가 승인하고, 상품을 픽업한 후 보안창을 닫는 즉시, 결제가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중앙서버에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시,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의 이름, 스마트폰 번호, 주소, 아이디가 중앙서버에 저장되되,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역시 기 저장되어 사용자의 성인 인증 여부도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해당 무인판매에서 주류 판매시 성인 인증이 이루어져 해당 상품의 구매 가능성도 비대면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일 지점에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가 형성된 보안창(110)이 구비된 무인 판매(100)가 개시된다.
무인 판매(100)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수단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설치되고,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시키는 경우 보안창이 열릴 수도 있지만, 더 나아가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 정보가 무인판매의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어, 사용자가 무인판매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시킨 뒤 기 저장된 결제수단을 통한 결제 수단 확인한 뒤에 보안창을 오픈시킬 수 있다.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 이외에 사용자가 소지한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공지 기술인 신용카드 리더기가 무인 판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신용카드를 이용한 상품 구매는 일반적인 공지된 구성인바 이하에서는 해당 카드를 이용한 상품 구매 과정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무인판매의 일측에 사용자인식카메라(10)가 설치된 키오스크(20)가 설치된다. 키오스크(20) 이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창 정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30)에 사용자인식카메라(10)가 설치된다.
키오스크(20)나 디스플레이부(30)에는 무인판매에 설치된 상품의 종류와 가격을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안창(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개가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보안창(110)에 개폐센서(710)들이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된 위치 각각에는 복수개의 상품 구입 여부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별도의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300)에 의해 무인 판매(100)에 구비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하는 경우 보안창(110)이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앙서버(500)는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하기 전의 상품이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고, 무인 판매(100)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 후 무인 판매(100)의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즉시 상품이 픽업된 상태의 상품의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앱(310)에는 무인 판매(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안창(110)이 닫히는 경우 그 신호가 스마트폰(300)으로 전송되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안면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통해서도 상품 구입이 가능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오스크(2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홍채를 촬상하면(키오스크(20) 이외에 이미 설명한 보안창 정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0)에 위치하는 사용자인식카메라(10)로도 촬상 가능하다.)사용자 정보가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를 기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해당 무인판매를 이용시 보안은 물론이고, 결제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무인판매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 이외에 기 설명한 디스플레이부(3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로도 사용자의 인식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한편,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중앙서버와 연동되어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홍채를 촬상시 그 정보가 중앙서버에 전송되어 사용자 정보가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시 중앙서버와 연동되어 앱에서 실행되는 모든 작동관계나 저장 정보가 중앙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앱을 실행한 뒤, 사용자의 안면(얼굴)을 촬상하거나, 홍채를 촬상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저장됨은 물론이고,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홍채가 기 저장된다.
또한, 중앙서버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됨은 물론이고, 해당 무인판매를 통해 상품 구입시 결제수단을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앱을 통해 무인판매에서 구매할 상품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면 결제수단이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제수단은 저장은 앱을 통해 중앙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고, 키오스크(20) 주변에 설치된 카드리더기를 통해서도 저장될 수 있다. 결제수단은 어느 하나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결제 수단으로 등록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결제수단이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면 사용자가 상품 구매시 매번 결제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결제되어 그 편리성은 물론이고, 비대면 결제 시스템이 완성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과 홍채 즉, 생체 정보가 저장되고, 상품 구매시 결제할 결제수단 역시 중앙서버에 저장된 후의 결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키오스크(20)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되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 후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된다.
즉, 중앙서버는 기 저장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그 후,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되는데, 이 과정은 무인판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0)나 키오스크(20)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음성으로도 알려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앱 실행시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기 저장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할지를 알려주게 된다.
사용자는 앱을 통하거나, 키오스크(20) 화면 혹은 디스플레이부(30)에 있는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기 저장된 결제수단으로 결제함에 동의할 수 있고, 다른 결제 수단으로 결제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 경우, 어떠한 결제수단으로 할지를 결정하게 되면, 보안창이 오픈되고, 보안창 오픈된 뒤 상품 픽업한 뒤 다시 보안창을 닫게 되면,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결제에 따른 영수증은 키오스크(20)에서 발행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중앙서버에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시, 앱을 통해 사용자의 이름, 스마트폰 번호, 주소, 아이디가 중앙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역시 기 저장되어 사용자의 성인 인증 여부도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인판매에는 성인만이 구입할 수 있는 주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성인임을 인증받기 위해 인증기관을 연동하거나 사용자의 정보 기입시 주민등록번호 역시 기입하도록 되어 무인판매에서 성인만이 구입할 수 있는 상품 역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본원발명의 구성과 작동관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는 다양한 결제 수단이 앱(310)이 설치된다. 이 앱(310)은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중앙서버(500)와 연동된다.
스마트폰(300)에는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QR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앱(310)이 있거나 이를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스마트폰(300)을 이용해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즉시 무인 판매(100)의 보안창이 오픈된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보안창이 오픈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인증되고, 결제수단을 선택한 경우 오픈창이 오픈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수단이 앱(310)이 활성화 즉 실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하 후술할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개폐센서(121)가 스마트폰(300)을 이용해서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보안창이 오픈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풀리고, 그 신호가 중앙서버(500)에 전송되어 현재 보안창이 오픈되어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인식하게 한다.
이를 위해 개폐센서(121)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300)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보안창(110)의 오픈과 닫힘의 상태를 바로 중앙서버(500)가 센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센서(121)가 설치될 수 있고, 이 개폐센서(121)는 중앙서버(500)와 바로 연동된다.
한편,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중앙서버(500)에 저장되고, 중앙서버(500)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스마트폰(300)의 앱(310) 실행시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젼카메라(400)로 그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품의 구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앱(310) 실행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인지하게 되면 보안창(110)을 오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앱(310)에는 무인 판매(100)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집계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을 결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안창이 오픈되고,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한 뒤 보안창(110)을 닫게 되면, 즉시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앱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생체정보와 결제수단이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고, 생체정보가 인증되고, 사용자가 기 저장된 결제수단 또는 다른 결제수단을 선택한 경우 보안창이 오픈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고, 상품을 픽업한 후 보안창을 닫는 즉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비젼카메라(400)에 의해 상품이 구입되기 전의 상품의 진열 상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보안창(110)을 오픈하고 상품을 구입한 뒤 보안창을 닫게 되면,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개폐센서(121)가 현재 보안창이 닫혔다는 신호를 중앙서버(500)에 전송하고 중앙서버(500)는 즉시 상품이 빠져나간 상태의 상품 진열 상태 이미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와 상품이 빠져나간 상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가 어떤 상품을 구입하였는지 즉시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가 중앙서버(50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중앙서버(500)는 현재 구입한 상품의 브랜드, 가격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함은 물론이고, 보안창이 닫힌 경우 개폐센서(121)가 현재 보안창이 닫힌 상태를 인식하여 그 신호를 중앙서버(500)에 전송하고, 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도 그 닫힌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은 보안창이 닫힌 신호를 일종의 사용자의 결제 컨펌으로 인식하여 바로 결제된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열어 해당 상품의 종류 및 가격을 확인하지 않고서도 즉시 보안창을 닫게 되면 바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보안창을 오픈하게 되면 결제 앱(310)이 결제를 위해 활성화되고, 보안창을 닫게 되면 별도의 추가적인 결제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바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에 개시된 '700'번 부재에는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가 위치하는 곳이나 반드시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600'번 부재는 무인 판매(100)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광고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30)이다.
한편,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판매(100)의 일측에는 일종의 디스플레이부(30)가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부(30)는 그 예로 테블릿PC일 수 있다.
해당 무인 판매(100)가 설치된 매장을 찾은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번호가 지정된 테이블 번호가 활당된다. 즉 사용자가 해당 매장을 찾은 경우 카운터의 POS기(800)에 사용자가 착석할 테이블을 안내하고 해당 테이블번호를 POS기(80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해당 테블릿PC에 접속할 수도 있고, 매장 직원이 테블릿PC에 접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테블릿PC에 테이블번호와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무인 판매(100)의 보안창이 열리게 되고,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품의 구입이 완료된 후 보안창을 닫게 되면 그 신호가 즉시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중앙서버(500)에 저장됨은 물론이고 POS기(800)에 그 신호가 전송된다.
POS기(800)는 보안창이 닫힌 신호와 동시에 현재 테이블번호와 해당 테이블번호에서 구입한 상품명과 가격이 저장되며, 사용자는 카운터에서 POS기(800)로 전송된 상품과 가격을 확인하여 결제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태블릿PC(200)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 신호가 중앙서버(500)로 전송되고, 해당 중앙서버(500)는 상기 개폐센서(121)로 오픈 신호가 전송되어 보안창(110)이 오픈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보안창(110)을 열 수 있다. 개폐센서(121)는 센서로 명칭되어 있지만 내부에 보안창(110)을 락킹/언락킹 하는 구조(120)도 개시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무인판매에 설치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스마트폰(300)으로 촬상하게 되면, 즉시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이 활성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으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촬상하게 되면 무인 판매(100)의 보안창이 열리게 되고, 사용자가 매장을 출입한 경우 POS기(8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이 연동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으로 테이블번호가 전송된다.
이 테이블번호는 바로 연동되어 사용자가 무인판매(100)에 설치된 QR 코드(122) 또는 바코드(122)를 촬상하게 되면 현재 어떤 테이블번호의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보안창(110)을 오픈하였는지 실시간으로 센싱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보안창(110)을 오픈한 후 상품을 구입하게 되면 즉시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중앙서버(500)에서는 비젼카메라(400)를 통해 현재 구입한 상품명과 상품 가격이 저장되고, 보안창(110)을 닫게 되면 즉시 그 신호가 구매 의사로 추정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개폐센서(121)가 중앙서버(500), 스마트폰(300) 및 POS기(800)와 연동된다.
POS기(800)에서는 현재 스마트폰(300)으로 결제된 모든 정보가 전송되고, POS기(800)에 매장 직원이 없어도 상품의 결제가 이루어지며, 추후 결제 정보가 잘못된 경우 그 내역이 저장되어 있는바, 정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인 판매(100)는 여러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복수개의 무인 판매(100)에 설치된 각각의 중앙서버(50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인중앙서버와 연동된다.
이를 통해 중앙서버(500)에서 집계된 브랜드별 매출정보, 선호도, 구매시간대, 인기지역 등의 정보가 메인중앙서버에 전송된다.
즉,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수단인 앱(31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인적정보가 중앙서버(500)에 전송되고, 이 인적정보는 역시 메인중앙서버에 전송되어 해당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대가 즉시 메인중앙서버에 집계된다.
또한, 상품을 구입한 무인 판매(100)가 설치된 지역은 물론이고 구입 시간과 상품의 브랜드 역시 중앙서버(500)를 통해 메인중앙서버로 전송될 수 있어, 선호고객층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대의 무인판매(100)를 설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무인 판매(100)가 복수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무인 판매(100)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런 경우는 각각의 무인 판매(100)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카테고리가 다른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무인 판매(100)에는 화장품 종류만을 팔 수 있고, B라는 무인 판매(100)에는 음료수 종류만을 팔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물론 A 무인 판매(100)에서 진열된 상품의 종류와 B 무인 판매(100)에서 진열된 상품의 종류가 다른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한 대의 무인 판매(100)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와 동일하며, A 무인 판매(100)에서 상품을 구입 후 다시 B 무인 판매(100)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을 담을 수 있는 카트를 통해 상품 구매 과정이 구현될 수도 있다.
매장형태의 구매 방식은 카트에 카드 또는 큐알 또는 페이로 사용자 인증한 뒤, 사용자 인증된 카트를 판매 옆으로 이동하여 판매에 카드 또는 큐알 또는 페이로 다시 사용자 인증 하면 보안창이 열리고 물건을 카트에 담으면 판매에서 빠진 물품이 카트에 담기면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에는 별도의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폰(300)에 의해 카트에 설치된 별도의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시 사용자가 인증되고, 인증된 카트에 상기 무인 판매(100)에서 구매한 상품이 담겨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 앱(310)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카트에 해당 상품의 투입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무게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도 있고, 해당 상품별 바코드를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카트에 해당 상품의 투입 여부를 바로 센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판매(100)에서 구입한 상품을 다시 반품하는 경우 별도의 반품용 무인 판매(100)가 설치되어 해당 반품용 무인 판매(100)에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반품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별도의 결제 앱(310)에서 결제 취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개의 무인 판매(100) 중 어느 선택된 무인 판매(100)는 반품용 무인 판매(100)로, 상기 반품용 무인 판매(100)에도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가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300)을 통해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시 반품용 무인 판매(100)의 보안창이 오픈되고, 오픈된 무인 판매(100)에 반품하고자 하는 상품을 투입시 상기 중앙서버(500)에 의해 반품된 상품의 가격이 저장되고, 상기 반품용 무인 판매(100)의 보안창을 닫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310)을 통해 자동적으로 반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인식카메라(10) 혹은 출입문인식카메라(40)를 통해 사용자의 홍채 또는 안면 인식시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상기 중앙서버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홍채 또는 안면 인식시 앱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무인판매를 통해 구매한 이력 정보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30)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의 구매 횟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품 구매 가격 할인 정보도 역시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할인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할인구매쿠폰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이 할인구매쿠폰을 무인판매에 설치된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인식하는 경우 할인된 가격으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입문인식카메라(40)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되면 출입문이 열리고, 그 열림과 동시에 중앙서버에는 사용자 정보가 활성화되어 현재 어떤 사용자가 들어왔는지 인지하게 된다.
재차 사용자가 선택한 무인판매에서 사용자인식카메라(1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되고, 기 저장된 결제수단을 통한 결제 확인을 키오스크(2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확정하게 되면, 보안창이 오픈되며,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고 보안창을 닫는 즉시, 결제가 이루어진다.
10: 사용자인식카메라 20 : 키오스크
30 : 디스플레이부 40 : 출입문인식카메라

Claims (5)

  1.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안창이 구비된 무인 판매;
    상기 무인판매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판매의 일측에 사용자인식카메라가 설치된 키오스크; 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촬상하면 사용자 정보가 상기 무인 판매 내부에 설치된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고, 사용자 정보 기 저장시 상기 무인판매에서 구매할 상품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결제수단 역시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된 사용자인식카메라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된 후,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상기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상기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인 판매가 설치되는 장소의 입구 또는 별도의 장소에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인식할 수 있는 출입문인식카메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출입문인식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가 촬상되면 그 사용자정보가 상기 중앙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무인판매 이용시 사용자가 상기 출입문인식카메라를 통해 안면 또는 홍채를 통해 사용자로 인식된 후,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상기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상기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의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인판매의 일 지점에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 또는 신용카드 리더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인 판매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수단이 수행될 수 있는 별도의 앱이 설치되고, 무인 판매에 설치된 보안창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상품이 진열된 위치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상품 구입 여부를 감지하는 비젼카메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젼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은 상기 중앙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품이 진열된 영상과 상품이 진열되지 않은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상기 스마트폰의 앱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상기 무인 판매에 구비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보안창이 오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하기 전의 상품이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있고, 상기 무인 판매에서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 후 상기 무인 판매의 보안창이 닫히는 경우 즉시 상품이 픽업된 상태의 상품의 진열된 영상이 기 저장되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상품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에는 상기 무인 판매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와 상품의 가격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젼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 가격이 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시 상기 중앙서버와 연동되어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 촬상시 그 정보가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되어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앱을 통해 상기 무인판매에서 구매할 상품에 대한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결제수단이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실행 후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또는 홍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된 후,
    상기 중앙서버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한 구매 여부 확인 뒤, 상품 픽업 후 상기 보안창이 닫히는 즉시, 상기 결제수단을 통해 상품이 결제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에 사용자 정보가 기 저장시,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의 이름, 스마트폰 번호, 주소, 아이디가 상기 중앙서버에 저장되되,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역시 기 저장되어 사용자의 성인 인증 여부도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안창이 닫히는 경우 그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결제수단인 앱을 통해 결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인 판매의 일측에는 상기 보안창의 오픈 및 닫힘을 센싱할 수 있는 개폐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센서의 센싱 신호는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한 상기 QR 코드 또는 바코드의 인식시 상기 보안창이 오픈되되, 그 오픈에 의한 상기 개폐센서의 신호가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상기 결제 수단인 앱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센서에 의한 상기 보안창의 닫힘 신호도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결제 수단인 앱에 전송됨과 동시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KR1020200075344A 2020-06-19 2020-06-19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KR10239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344A KR102398182B1 (ko) 2020-06-19 2020-06-19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344A KR102398182B1 (ko) 2020-06-19 2020-06-19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264A true KR20210157264A (ko) 2021-12-28
KR102398182B1 KR102398182B1 (ko) 2022-05-13

Family

ID=7917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344A KR102398182B1 (ko) 2020-06-19 2020-06-19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15A1 (ko) * 2022-06-13 2023-12-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무인 판매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245A (ko) 2018-03-14 2019-09-24 (주)한국이.디.에스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R20200023990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의 결제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5800A (ko) * 2018-09-27 2020-04-06 박진석 유무인 스토어 보안 및 자동 결제 시스템
KR102124569B1 (ko) * 2019-11-06 2020-06-18 주식회사 라스컴 무인판매 및 자동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245A (ko) 2018-03-14 2019-09-24 (주)한국이.디.에스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R20200023990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의 결제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5800A (ko) * 2018-09-27 2020-04-06 박진석 유무인 스토어 보안 및 자동 결제 시스템
KR102124569B1 (ko) * 2019-11-06 2020-06-18 주식회사 라스컴 무인판매 및 자동결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915A1 (ko) * 2022-06-13 2023-12-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무인 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182B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5344B (zh) 無人商店系統、控制無人商店系統之方法、執行其方法之電腦程式與無人結帳裝置
US7669757B1 (en)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US7883007B1 (en)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US6386323B1 (en) Cash dispensing method and system for merchandise delivery facility
US6390367B1 (en) Fraud prevention arrangement
US8959029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currency processing control and redemption
CN107123006A (zh) 一种智能购物系统
US6845907B1 (en) Cash delivery apparatus for motor fuel dispenser or other self service facility
US7143065B1 (en) Cash dispensing method for self-service facility such as motor fuel dispensing facility
CN113646811A (zh) 费用计算和支付装置以及无人值守商店系统
CN113632150A (zh) 无人值守商店系统和无人值守商店管理方法
JP202308896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店舗システム
KR102398182B1 (ko)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KR101970003B1 (ko)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US20130338823A1 (en) Vending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commercial products
CN207198912U (zh) 一种智能购物系统
KR102229829B1 (ko) 인공지능 무인 매대 결제 시스템
TWM570489U (zh) 智慧商店購物系統
TWI760521B (zh) 智慧商店購物系統及使用其之購物方法
CN113646812A (zh) 费用计算和支付装置以及无人值守商店系统
CN113785336A (zh) 费用计算和支付装置以及无人值守商店系统
KR20230053265A (ko) 사용자가 수행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포함하지 않는 무인 결제 시스템
JP2007328575A (ja) 取引処理装置
KR20010088024A (ko) 연령제한 자동판매기
KR102303495B1 (ko) 다중 이용 시설 무인 관리 및 보안 식별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