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123A -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123A
KR20210157123A KR1020200075017A KR20200075017A KR20210157123A KR 20210157123 A KR20210157123 A KR 20210157123A KR 1020200075017 A KR1020200075017 A KR 1020200075017A KR 20200075017 A KR20200075017 A KR 20200075017A KR 20210157123 A KR20210157123 A KR 20210157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evention device
hole
pressur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584B1 (ko
Inventor
박성현
김선구
Original Assignee
휴콘스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김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콘스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김선구 filed Critical 휴콘스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01L7/08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phrag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단부에 밸브시트가 형성된 밸브아세이가 다이아프램의 운동에 의해 상하운동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형성된 입출구 노즐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승압방지장치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강제 개방되도록 동작되게 구성함으로써, 제품 설치 후 기밀검사를 진행하고, 기밀검사가 종료된 후 즉시 승압방지장치를 정상 사용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검사를 위해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추가 비용 발생없이 기밀시험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STEP UP PREVENTION DEVICE EQUIPPED WITH FORCED CONFIDENTIAL TEST MODULE}
본 발명은 승압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기밀 시험용 모듈을 설치하고 기밀 테스트후에 간단한 조작으로 승압방지장치를 정상동작시킬 수 있는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 점차 초고층화되면서 공기보다 비중이 낮은 천연가스를 고층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가스압력이 상승하여 가스 기기의 사용 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가스연소조건 및 가스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건물의 경우 승압방지장치 설치가 필요한 건물높이를 규정하고 그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승압방지장치를 설치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승압방지장치란 일정 높이 이상의 건물에서 가스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연소기에 실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연소기의 최고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건물에 압력 상승에 의한 가스누출, 이상연소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승압방지장치가 없는 가스배관의 경우 한번의 기밀 검사로 작업이 완료되지만 승압방지장치가 설치되면 밸브시트를 기준으로 입구측과 출구측을 각각 기밀 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입구측에 기밀압력을 가해도 밸브시트가 닫혀 출구측에 모두 전달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구측으로 기밀압력을 가해도 밸브시트가 닫혀 입구측으로 기밀압력이 일부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밀시험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입구측과 출구측 양쪽에 각각 기밀시험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JP공개특허공보 제1999-210991호(1999.08.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제품에 고정핀, 복귀스프링, 로드를 추가하여 기밀압력을 입구측 또는 출구측 어느곳에서 가해도 밸브시트가 강제열림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기밀검사가 종료된 후 고정핀을 간단히 제거하여 정상 사용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한 승압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단부에 밸브시트가 형성된 밸브아세이가 다이아프램의 운동에 의해 상하운동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형성된 입출구 노즐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승압방지장치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강제 개방되도록 동작되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밀시험용 모듈 제거시 상기 밸브아세이가 다이아프램의 동작에 의하여 입출구 노즐을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기밀 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핀홀, 승하강동작하는 로드, 및 일단부는 상기 핀홀에 삽설되고 타단부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이 핀홀에 삽설되면 상기 고정클립의 일면이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강제 하강시키고 상기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는 볼트형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는 상기 로드의 헤드부가 하강하는 동작에 의하여 압박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클립제거시 상기 로드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밸브아세이와 상기 로드를 이격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밀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관통홀에 삽설되어 승하강동작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캡을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에서 노출된 로드의 일단부에 상기 볼트캡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로드의 타단부가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밀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삽설고정되며 온동작시 돌기가 돌출되며 오프동작시 돌기가 복귀되는 푸쉬버튼, 및 상기 푸쉬버튼에 의하여 승하강 동작하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이 온(ON)되면 상기 돌기가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강제 하강시키고 상기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은 고정용 핀 삽입용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이 온(ON)되어 상기 돌기가 하강되면 상기 삽입용 홀에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상기 돌기가 복귀하지 못하도록 돌기의 상단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에 의하면, 제품 설치 후 기밀검사를 진행하고, 기밀검사가 종료된 후 즉시 승압방지장치를 정상 사용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밀검사를 위해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 비용 발생없이 기밀시험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제거한 상태에서 가스 사용시 승압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기밀시험용 모듈을 제거한 상태에서 가스 미사용시 승압방지장치의 단면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기밀시험용 모듈의 주요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시험용 모듈(100)이 기존의 승압장치(10)의 상부에 탑재된 채로 승압방지장치가 필요한 건물에 설치하고, 가스 배관을 연결한 다음 별다른 조작없이 바로 기밀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승압방지장치는 일단부에 밸브시트(21)가 형성된 밸브아세이(20)가 다이아프램(12)의 운동에 의해 상하운동하여 다이아프램(12)의 하부에 형성된 입출구 노즐(31)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승압방지장치(10)에 기밀시험용 모듈(100)을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승압방지장치(10)는 몸통(11)에 입출구노즐(31)을 구비하고 다이아프램(12)의 상하운동에 의해 일단부에 결합된 밸브아세이(20)가 상하운동하게 되고 밸브아세이(20)의 하부에 구성된 밸브시트(21)의 상하운동에 의해 입출구노즐(31)이 개폐되어 가스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다이아프램(12)은 가스압력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 것으로 밸브아세이(20)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23)가 다이아프램(12)의 일측에 결합되어 다이아프램(12)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결국 밸브아세이(20)가 상하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밀시험용 모듈(100)은 설치 후 바로 기밀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밸브아세이(20)를 강제로 하강시켜 입출구 노즐(31)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된다.
도 1의 승압방지장치는 설치 전 즉 기밀시험을 시행하기 전 장치로, 입출구 노즐(31)이 밸브시트(21)에 의하여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방 동작은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구비된 기밀시험용 모듈(100)이 강제로 밸브아세이(20)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하강시켜 입출구 노즐(31)이 강제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기밀시험용 모듈(100)은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 홀(112)이 형성된 커버캡(110)과 관통 홀(112)의 상단에서 이격된 위치의 내주연에 형성된 핀홀(113), 일단부(121)는 핀 홀(113)에 삽설되고 타단부(123)는 손잡이로 구성하고, 그 중앙은 꺽임부(122)를 구성한 고정클립(12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고정클립(120)의 타단부(123)가 커버캡(110)에 밀착되도록 회전시켜 핀홀(113)에 삽입된 고정클립의 일단부(121)가 밸브아세이(20)가 하강되도록 로드(150)를 강제로 하강시켜 입출구 노즐(31)이 개방되는 것이다.
도 4의 커버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면, 커버캡(110)은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통상의 병뚜껑 형상이면서 중앙이 하부로 연장된 돌출부(117)를 구성하고, 돌출부(117)의 중앙에 관통홀(112)을 형성한다.
또한, 관통홀(112)의 상단에서 내부로 이격된 위치의 내주면에 핀홀(113)을 형성한다.
핀홀(113)은 한 쌍의 핀홀(113a,113b)로 구성하여 고정클립(120)의 양 단부(121)가 삽설회전되게 구성한다.
또한, 커버캡(110)의 하부 내측에는 돌기(115)로 구성하여 승압방지장치(10)의 단부에 삽입과 동시에 돌기(115)가 끼움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의 고정클립의 상세 구성도를 보면, 고정클립(120)은 일단부(121)가 핀홀(113)에 삽설되도록 양 핀 형상으로 구성하고 타단부(123)는 기밀시험 후 모듈 해제시 손으로 잡고 해제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하고, 그 중앙은 꺽임부(122)를 구성하여 대략 "┗━"자 형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관통홀(112)의 하부에는 로드(150)의 볼트형 헤드(151)가 고정클립(120)에 의하여 압박되어 일정거리 하강하거나 또는 압박이 해제되면 일정 거리 상승하도록 동작되어 결국 고정클립(120)에 의하여 로드(150)가 상하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고정클립(120)의 단부(121)가 관통홀(112)의 핀홀(113)에 결합된 상태(압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로 동작하는 타단부(123)를 커버캡(110) 쪽으로 밀착시켜 강제 열림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면 된다.
한편, 건물에 본 발명의 강제기밀시험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를 설치하여 기밀시험을 실행한 후에는 손잡이로 동작하는 고정클립의 타단부(123)를 커버캡(110) 면에서 이격시킨 다음, 단부(121)를 핀홀(113)에서 해제시키면 로드(150)가 상승하게 되고, 결국 로드(150)에 의하여 강제 압박되고 있던 밸브아세이(20)는 외압이 제거되어 정상 동작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클립은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타단부(123)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형으로 되어 있어 결국 핀홀(113)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단부(121)는 타단부를 기준으로 탄성운동을 하게 된다.
즉, 타단부(123)에 외압을 가하여 한 쌍의 단부(121)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면 핀홀(113)에서 단부가 탈거되고 외압을 제거하면 핀홀(113)에 삽설되어 로드를 강제 압박하는 것이다.
도 6의 로드의 구성도를 보면, 로드(150)는 고정클립(120)에 의해 압박 또는 해제되는 볼트형 헤드(151)와 몸통(153) 그리고 밸브아세이(20)의 강제 압박하거나 해제시키는 단부(152)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를 건물에 설치 후 기밀시험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고정클립의 타단부(123)를 커버캡(110) 면에서 이격시킨 다음, 단부(121)를 핀홀(113)에서 해제시켜 밸브아세이(20)에 가해지고 있던 외압을 제거하여 정상 동작 상태에서 가스연소기를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일단부(121)는 핀홀(113)에 삽설되고 타단부(123)는 손잡이로 구성하고, 그 중앙은 꺽임부(122)를 형성한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로드의 승하강을 제어하였으나, 이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고정클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예로 상술한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고정핀을 핀홀(113)에 삽입시켜 로드의 볼트형 헤드를 압박하고 있다가, 기밀시험 완료 후 외력으로 고정핀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가 고정클립을 제거하여 가스 배관이 연결되어 가스 사용 상태인 경우의 승압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즉, 도 2는 배관 및 기밀검사가 완료된 상태의 조정기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커버캡(110)의 관통홀(112)에서 고정클립(120)이 제거되어 밸브의 헤드(23)와 로드(15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로드의 단부(152)와 밸브의 헤드(23) 상단부가 일정 거리(h1)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h1의 높이는 고정클립(120)으로 로드를 압박할 때 밸브아세이가 하강한 높이에 다이아프램(12)의 하강동작에 의하여 밸브가 열린 높이와 동일하며, 고정클립(120) 해제시 로드의 헤드(151)에 의해 압박되던 스프링(130)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승된다.
물론 로드는 로드의 상승을 방지하는 스토퍼(140)가 설치된 위치까지 상승한다.
결국, 로드는 스토퍼(140)가 승하강하는 높이만큼 승하강하게 된다.
또한, h1의 높이는 밸브아세이(20)가 하강되어 입출구 노즐(31)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로드 단부(152)와 밸브의 헤드(23) 상단부 거리이고 도 3의 기밀시험용 모듈을 제거한 상태에서 가스 미사용시 승압방지장치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밸브 폐쇄시 로드 단부(152)와 밸브의 헤드(23) 상단부 거리는 h2로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게 된다.
또한, 다이아 프램(12)의 승하강높이와 로드 단부(152)와 밸브의 헤드(23) 상단부 거리(h2)와의 합이 로드(150)의 승하강 높이 h1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는 가스 사용상태에서 입출구노즐(31)을 폐쇄하기 위하여 밸브가 상승한 거리만큼 짧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로드의 승하강 높이는 "h1"이 되어야 하고 "h2"보다는 커야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커버캡과 로드 그리고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기밀시험을 진행하고 해제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은 기밀시험용 모듈을 기존 제품에 설치하여 기밀시험을 진행하고 이를 해제하여 정상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즉, 기밀시험용 모듈을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관통홀에 삽설되어 승하강동작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캡으로 구성하고, 상기 관통홀에서 노출된 로드의 일단부에 상기 볼트캡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로드의 타단부가 상기 밸브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켜 기밀시험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즉 볼트캡의 회전이 나사체결된 로드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기밀시험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볼트캡을 밸브하강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드를 상승시키면 밸브와 이격되어 정상상태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기밀시험용 모듈을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삽설고정되며 온동작시 돌기가 돌출되며 오프동작시 돌기가 복귀되는 푸쉬버튼, 및 상기 푸쉬버튼에 의하여 승하강 동작하는 로드를 포함하게 구성하면, 상기 푸쉬버튼이 온(ON)되면 상기 돌기가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강제 하강시키고 상기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밸브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에 고정용 핀 삽입용 홀을 더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푸쉬버튼이 온(ON)되어 상기 돌기가 하강되면 상기 삽입용 홀에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상기 돌기가 복귀하지 못하도록 돌기의 상단을 고정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승압방지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먼저, 도 1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를 설치가 필요한 건물에 설치한다.
이후, 가스 배관을 승압방지장치의 가스 입구(30)와 출구(40)에 연결하고 기밀시험테스트를 진행한다.
기밀시험 후에는 손잡이로 동작하는 고정클립의 타단부(123)를 커버캡(110) 면에서 이격시킨 다음, 타단부(123)를 압박하여 단부(121)를 핀홀(113)에서 탈거시키면 로드(150)가 상승하게 되고, 결국 로드(150)에 의하여 강제 압박되고 있던 밸브아세이(20)는 외압이 제거되어 정상 동작 상태가 된다.
도 2가 가스배관이 연결되어 가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승압방지장치를 도 3이 가스배관이 연결되어 있으나,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의 승압방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밀시험을 위한 승압방지장치를 사용하면 기존 제품에 간단한 기밀시험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설치시 별다른 조작없이 기밀시험을 실시하고 간단히 기밀시험모듈을 제거함으로써, 승압방지장치를 정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승압방지장치
20 :밸브아세이 21 : 밸브시트
12 : 다이아프램
30 : 입구 31 : 입출구노즐
40 : 출구
100 : 기밀시험용 모듈
110 : 커버캡 112 : 관통홀
113 : 핀홀 120 : 고정클립
121 : 일단부 123 : 타단부
130 : 스프링 140 : 고정링
150 : 로드 151 : 헤드
-

Claims (7)

  1. 일단부에 밸브시트가 형성된 밸브아세이가 다이아프램의 운동에 의해 상하운동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형성된 입출구 노즐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밀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강제 개방되도록 동작되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시험용 모듈 제거시
    상기 밸브아세이가 다이아프램의 동작에 의하여 입출구 노즐을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
    상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관통홀에 형성된 핀홀;
    승하강동작하는 로드; 및
    일단부는 상기 핀홀에 삽설되고 타단부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고정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이 핀홀에 삽설되면 상기 고정클립의 일면이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강제 하강시키고 상기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볼트형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는 상기 로드의 헤드부가 하강하는 동작에 의하여 압박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클립제거시 상기 로드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밸브아세이와 상기 로드를 이격시키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관통홀에 삽설되어 승하강동작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캡;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에서 노출된 로드의 일단부에 상기 볼트캡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로드의 타단부가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시험용 모듈은
    상기 승압방지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삽설고정되며 온동작시 돌기가 돌출되며 오프동작시 돌기가 복귀되는 푸쉬버튼;및
    상기 푸쉬버튼에 의하여 승하강 동작하는 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이 온(ON)되면 상기 돌기가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강제 하강시키고 상기 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밸브아세이를 강제로 하강시켜 상기 입출구 노즐이 개방되도록 동작시키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고정용 핀 삽입용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이 온(ON)되어 상기 돌기가 하강되면 상기 삽입용 홀에 고정용 핀을 삽입하여 상기 돌기가 복귀하지 못하도록 돌기의 상단을 고정하는 기밀시험용 모듈을 구비한 승압방지장치.












KR1020200075017A 2020-06-19 2020-06-19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KR10240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017A KR102401584B1 (ko) 2020-06-19 2020-06-19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017A KR102401584B1 (ko) 2020-06-19 2020-06-19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123A true KR20210157123A (ko) 2021-12-28
KR102401584B1 KR102401584B1 (ko) 2022-05-24

Family

ID=7917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017A KR102401584B1 (ko) 2020-06-19 2020-06-19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82A (ko) 2022-10-06 2024-04-15 화 현 손 기밀시험용 캡이 장착된 승압방지 조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900A (ja) * 1994-05-20 1995-11-28 Yazaki Corp ガス漏洩検知装置
JPH11210991A (ja) 1998-01-29 1999-08-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気化器昇圧防止装置
KR20040042697A (ko) * 2002-11-15 2004-05-20 주식회사 디에이텍 전자식 밸브
KR102094849B1 (ko) * 2018-12-11 2020-03-30 정동진 푸시버튼식 개폐수단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900A (ja) * 1994-05-20 1995-11-28 Yazaki Corp ガス漏洩検知装置
JPH11210991A (ja) 1998-01-29 1999-08-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気化器昇圧防止装置
KR20040042697A (ko) * 2002-11-15 2004-05-20 주식회사 디에이텍 전자식 밸브
KR102094849B1 (ko) * 2018-12-11 2020-03-30 정동진 푸시버튼식 개폐수단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84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84B1 (ko) 강제기밀시험 모듈을 장착한 승압방지장치
US3036592A (en) Valve assembly
JPS60191315A (ja) ガス減圧装置
KR101367880B1 (ko) 감압토출 방지 벨로우즈 펌프 용기
US5234015A (en) Gas supply mechanism with safety device
US2211237A (en) Siphonless valve
US3002522A (en) Air valves
JPS5993960A (ja) 燃料噴射ノズル
US2294421A (en) Valve structure
KR102108100B1 (ko) 고압 가스 개폐 밸브
KR20090127859A (ko) 체크 일체형 감압밸브
US6564827B1 (en) Shut-off device for the filling device of a pressure tank
JP2012193778A (ja) 燃料電池用圧力開放弁及び燃料電池用燃料タンク
JP4641955B2 (ja) ガスガバナ
KR20180012998A (ko) 가스 차단 밸브
KR20080028926A (ko) 압력 조정기
KR102223955B1 (ko) 고압 가스 밸브
KR101966415B1 (ko) 일체형 타이어 밸브
KR20200101673A (ko) 안전밸브
KR100441633B1 (ko)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장치
KR200253623Y1 (ko) 압력밥솥의탑커버열림보조장치
KR200363899Y1 (ko) 냉각수 보조탱크내의 진공 자동 해지장치
JP7313235B2 (ja) 吐出器
CN217502718U (zh) 正高压开启型一体式阻火呼吸阀
JPS59194178A (ja) 圧力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