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030A -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030A
KR20210157030A KR1020200074802A KR20200074802A KR20210157030A KR 20210157030 A KR20210157030 A KR 20210157030A KR 1020200074802 A KR1020200074802 A KR 1020200074802A KR 20200074802 A KR20200074802 A KR 20200074802A KR 20210157030 A KR20210157030 A KR 2021015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augmented realit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518B1 (ko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5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복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 및 배포하도록 구축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복수종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집하도록 진행되는 수집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고유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식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집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이후,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How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based experience services to improve cognitive development in kids}
본 발명은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아동의 인지발달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인지발달 단계를 선택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반적인 키즈 시장의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우리 아이들이 놀며 즐길 수 있는 실내 놀이문화나 공간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며, 현재의 국내외 경제의 성장과 소비여력 확대 증가 등을 봤을 때 키즈 세대를 위한 복합놀이문화 공간(디지털테마파크)의 시장의 성장성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 키즈 산업 시장규모는 2002년 8조원에서 2012년 27조원, 현재 약 40조원으로 급성장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성장의 원인으로 저출산으로 인한 ‘골드키즈(귀하게 자란 외동)’ 증가와 핵가족화 및 맞벌이 부부 증가에 따른 돌봄 서비스 수요 증대로 꼽고 있다. 최근 이러한 키즈 시장에 AI·AR을 활용한 디지털콘텐츠 시장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은 이러한 기술개발에 경쟁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편, 유아동기 때의 동영상 위주의 앉아서 보기만 하는 콘텐츠는 완전한 인지 발달 단계가 형성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음에 따라, 유아동들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험형 컨텐츠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304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자 다른 인지발달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유아동, 즉 사용자 개인에게 현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인지발달단계를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복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 및 배포하도록 구축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복수종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집하도록 진행되는 수집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고유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식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집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이후,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는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 측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복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 모듈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 모듈 정보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인식한 정보인 모션 정보와, 사용자의 손짓을 인식한 정보인 제스쳐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한 정보인 전류값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가속도값을 측정한 정보인 가속도값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도록 진행되는 코드 인식 단계 및 복수개의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호 매칭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인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매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매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체 진행 시간 및 진행 방법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 포맷, 문자 포맷, 이미지 포맷 및 동영상 포맷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인지발달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사용자 평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평가 단계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평가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테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테스트 정보 제공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상기 테스트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정보인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답변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집한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인지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테스트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인지발달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사용자가 요구하는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인지발달단계 중, 특정 인지발달단계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만족도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지 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사용자의 활동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인지발달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지 모듈 정보로써, 모션 정보, 제스쳐 정보, 전류값 정보 및 가속도값 정보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를 경험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감지를 구분 진행하여, 다양한 종류의 인지발달단계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인지발달단계를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드 인식 단계 및 매칭 단계의 진행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보다 간편하게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으로,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체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칭 단계 진행 시, 매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도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사용자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에게도 안내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으로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대응되는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체 진행 시간 및 진행 방법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고 간편하게 사용자가 선택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문자, 이미지 및 동영상 포맷과 같이, 다양한 형식의 포맷으로 이용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으로 상기 이용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평가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인지발달단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인지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반한 테스트 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진행되는 사용자의 인지발달 평가단계를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보다 적합한 종류의 인지발달 진행을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진행 순서를 도식화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순서를 보다 상세히 도식화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서버(200),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a, 300b, 300c, 300d…300n)는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서, 각각의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a)를 통해서는, 유아동의 여러 인지발달 단계(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중, 전조작적 사고 단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b)를 통해서는, 구체적 사고단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 3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c)를 통해서는, 형식 조작적 단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다수의 단계로 구분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 각각의 단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컨텐츠 내의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도록 출력되는 제 1 컨텐츠, 사용자의 동작 진행을 유도하는 제 2 컨텐츠 및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물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출력되는 제 3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면서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시뮬레이터와 같이, 탑승물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선택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 모듈과, 상기 출력 모듈과 통신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상기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재생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가 상기 탑승물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탑승물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 자전거와 같이, 특정 공간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들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는 상술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감지 모듈, 사용자의 손짓을 감지하기 위한 제스쳐 감지 모듈, 상기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 모듈,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의 설치구역의 조도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조도 감지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가 탑승가능한 탑승물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탑승물의 구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본 발명을 통해 제공되는 체험 서비스 플랫폼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등록되는 상품의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등록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에 제공 및 설치되는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실행모듈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정보의 누적 및 관리를 진행하는 관리모듈과,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S1000)은, 수집 단계(S100), 사용자 인식 단계(S200),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S300), 컨텐츠 이용정보 출력 단계(S400) 및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컨텐츠 내의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을 유도하도록 출력되는 제 1 컨텐츠, 사용자의 동작 진행을 유도하는 제 2 컨텐츠 및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물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도록 출력되는 제 3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상기 수집 단계(S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수집 단계(S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내로 상기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집 및 저장하도록 진행된다.
또한, 상기 수집 단계는 감지 모듈 정보 수집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감지 모듈 정보 수집 단계(S11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감지 모듈 정보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 모듈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구성하는 감지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정보이다.
특히, 상기 감지 모듈 정보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인식한 정보인 모션 정보와, 사용자의 손짓을 인식한 정보인 제스쳐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한 정보인 전류값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가속도값을 측정한 정보인 가속도값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감지 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대응되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사용자의 활동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인지발달단계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감지 모듈 정보로써, 모션 정보, 제스쳐 정보, 전류값 정보 및 가속도값 정보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를 경험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감지를 구분 진행하여, 다양한 종류의 인지발달단계 중,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인지발달단계를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S2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고유 정보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고유 정보는, 고유 아이디, 사용자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컨텐츠 이용내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출력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S200) 이후,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보다 적합한 종류의 인지발달 진행을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평가 단계(S210)를 진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평가 단계(S21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현재 인지발달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사용자 평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상기 사용자 평가 단계(S210)는 사용자 테스트 정보 제공 단계(S211), 답변 정보 수집 단계(S212) 및 사용자 인지발달 평가 단계(S2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 테스트 정보 제공 단계(S211)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테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답변 정보 수집 단계(S212)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상기 테스트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정보인 답변 정보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이후 진행되는 상기 사용자 인지발달 평가 단계(S213)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수집한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인지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테스트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전송하도록 진행된다.
이처럼, 상술한 사용자 평가단계(S210)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인지발달단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인지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기반한 테스트 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진행되는 사용자의 인지발달 평가단계를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보다 적합한 종류의 인지발달 진행을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S3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이때,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를 선택한 신호이며,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 마다 부여되는 고유 코드를 기반으로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 구분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에 대한 선택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특히,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S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 중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를 선택하도록 진행되는 단계로, 코드 인식 단계(S310), 매칭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코드 인식 단계(S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매칭 단계(S320)는, 상기 코드 인식 단계를 진행하여 복수개의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300)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호 매칭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인 매칭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된다.
위와 같이, 코드 인식 단계 및 매칭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S300)의 진행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보다 간편하게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컨텐츠의 이용 방법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S40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S400)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S4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체 진행 시간 및 진행 방법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음성 포맷, 문자 포맷, 이미지 포맷 및 동영상 포맷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사용자 측으로,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체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문자, 이미지 및 동영상 포맷과 같이, 다양한 형식의 포맷으로 이용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으로 상기 이용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사용자 측으로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와 대응되는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체 진행 시간 및 진행 방법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고 간편하게 사용자가 선택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S5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S400) 이후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별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S500)는, 상술한 단계를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 측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복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에서 출력 가능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S5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 모듈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진행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컨텐츠 선별 출력단계(S50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인지발달단계 중, 특정 인지발달단계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만족도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진행 순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집 단계(S100)의 진행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집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로부터 감지 모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 연결된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 측으로 감지 모듈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는 상기의 요청 신호를 제공받아, 감지 모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감지 모듈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 (200)측에서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 모듈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인식한 정보인 모션 정보와, 사용자의 손짓을 인식한 정보인 제스쳐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한 정보인 전류값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가속도값을 측정한 정보인 가속도값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 인식 단계(S200)를 진행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S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서비스 서버(200)간에서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측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수집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지발달단계를 테스트하기 위한 사용자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전송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테스트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테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답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생성된 상기 답변 정보를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답변 정보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인지발달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테스트 완료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생성된 테스트 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측으로 전송되며, 상기의 테스트 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우선적으로 체험이 필요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S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상호 매칭하도록 진행된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인식하도록 진행된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고유코드 인식을 위해, QR 코드인식을 진행할 수 있으며, NFC 태그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통신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된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고유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 측으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저장된 다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상기 고유코드와 대응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검색, 선택하여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상호 매칭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생성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측으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매칭 정보는 제 1 매칭 정보 및 제 2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매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매칭 정보이며, 상기 제 2 매칭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매칭 정보이다.
이처럼, 매칭 정보의 출력 진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측으로도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보다 간편하게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이용정보 출력 단계(S40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체험 서비스를 이용하기전에, 상기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증강현실 컨텐츠의 이용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매칭된 상기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의 이용방법을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된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술한 이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 받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이용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증강현실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S500)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매칭된 특정 컨텐츠 제공 단말기(300)측으로 증강현실 컨텐츠를 재생하는 신호인 컨텐츠 제공 단말기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증강현실 컨텐츠(AR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사용자가 요구하는 종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제어 알고리즘의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서로 순서가 바뀌어 실행될 수 있고, 이렇게 순서가 바뀌어 실행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서비스 서버
300 : 컨텐츠 제공 단말기
S1000 :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S100 : 수집 단계
S110 : 감지 모듈 정보 수집 단계
S200 : 사용자 인식 단계
S210 : 사용자 평가 단계
S220 : 사용자 테스트 정보 제공 단계
S230 : 답변 정보 수집 단계
S240 : 사용자 인지발달 평가 단계
S300 :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S310 : 코드 인식 단계
S320 : 매칭 단계
S400 : 컨텐츠 이용정보 출력 단계
S500 :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

Claims (1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복수의 증강현실 컨텐츠를 저장 및 배포하도록 구축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복수종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수집하도록 진행되는 수집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고유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인식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집하는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이후,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는,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 측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복수의 증강현실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서 출력 가능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선별 출력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 모듈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 정보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인식한 정보인 모션 정보와, 사용자의 손짓을 인식한 정보인 제스쳐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한 정보인 전류값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를 통한 입력 신호의 입력 진행 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에 인가되는 가속도값을 측정한 정보인 가속도값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도록 진행되는 코드 인식 단계; 및
    복수개의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제공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호 매칭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인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매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매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 선택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이용 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의 전체 진행 시간 및 진행 방법을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 포맷, 문자 포맷, 이미지 포맷 및 동영상 포맷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의 현재 인지발달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사용자 평가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가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테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테스트 정보 제공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상기 테스트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정보인 답변 정보를 수집하는 답변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집한 답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인지발달 단계를 평가하는 정보인 테스트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인지발달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74802A 2020-06-19 2020-06-19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1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02A KR102411518B1 (ko) 2020-06-19 2020-06-19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02A KR102411518B1 (ko) 2020-06-19 2020-06-19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030A true KR20210157030A (ko) 2021-12-28
KR102411518B1 KR102411518B1 (ko) 2022-06-21

Family

ID=7917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802A KR102411518B1 (ko) 2020-06-19 2020-06-19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047A (ko) 2015-12-18 2017-06-28 김영아 Iot 시스템을 이용한 블록놀이 방법
KR20180012192A (ko) * 2016-07-26 2018-02-05 (주)소셜네트워크 유아동용 학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4228A (ko)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58909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토킹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상황별 언어 학습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047A (ko) 2015-12-18 2017-06-28 김영아 Iot 시스템을 이용한 블록놀이 방법
KR20180012192A (ko) * 2016-07-26 2018-02-05 (주)소셜네트워크 유아동용 학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4228A (ko)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58909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토킹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상황별 언어 학습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토익(TOEIC) 시험 접수부터 후기까지!", [online], 2019년 1월 28일, [2021년 12월 8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iecway/2214528711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518B1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6145B2 (en) Question and answer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CN106461397B (zh) 车辆停车和位置的自动检测
JP6231362B2 (ja) プラント監視サーバーおよびプラント監視方法
US10991462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CN100432913C (zh) 信息采集和处理系统及其方法
US10176255B2 (en) Mobile terminal, recommend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method
CN106471463A (zh) 用于音频输入监视的装置指定
CN104272709A (zh) 推断的上下文的日程表匹配和标签传播
EP27064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apparatus
US20200088533A1 (en)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009114B (zh) 预测性地呈现搜索能力
KR20190043319A (ko) 사용자의 활동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1126697A (zh) 人员情况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2192743A (zh) 一种景区导航装置及导航系统
US11455833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cking user activ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75647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ce recognition
KR102411518B1 (ko) 유아동의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 기반의 체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124479A (zh) 地图标注的方法、装置、云端服务器、终端及应用程序
KR102578119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스마트 안경 작동 방법
CN114817742B (zh) 基于知识蒸馏的推荐模型配置方法、装置、设备、介质
KR20200083157A (ko)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12664A (ko) 위치 판단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164491A (ko) 음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JP70950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529190B1 (ko)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