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594A -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594A
KR20210156594A KR1020200074352A KR20200074352A KR20210156594A KR 20210156594 A KR20210156594 A KR 20210156594A KR 1020200074352 A KR1020200074352 A KR 1020200074352A KR 20200074352 A KR20200074352 A KR 20200074352A KR 20210156594 A KR20210156594 A KR 20210156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evice
abnormality
image data
track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3157B1 (en
Inventor
이창하
옥기윤
차희준
허시행
유규제
이동형
김주영
이승우
박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7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157B1/en
Publication of KR2021015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ystem for detecting the abnormality of a conveyor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The system for detecting the abnormality of a conveyor device comprises: a driving robot driving along a track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vice and obtaining and providing one or more image data of the photographed conveyor device for each predetermined interval unit; and a control server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robot on the track,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robo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o and from the driving robot, data required to detect whether the conveyor device is abnormal. Either or both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can detect whether the conveyor device is abnormal, and can detect a position where the conveyor device is abnormal, using the one or more image data. Therefore, provided are a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conveyor device has been damaged, using various kinds of image data and a method therefor.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Abnormal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veyor device

본 개시는 컨베이어 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와 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주행 로봇을 사용하여 컨베이어 장치 이상 발생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onvey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occurrence of a conveyor device using at least one image data and a traveling robot moving along a trajectory. .

다양한 산업 시설 또는 제조 시설에서, 물품 또는 재료의 효율적인 이송을 위하여, 컨베이어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화력 발전소에서는 석탄 등과 같은 원재료를 지속적으로 이송 및 공급할 필요가 있어 컨베이어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BACKGROUND ART In various industrial or manufacturing facilities, a conveyor device is used to efficiently transport articles or materials. In thermal power plan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transport and supply raw materials such as coal, so a conveyor device is widely used.

컨베이어 장치는 캐리어 롤러와 캐리어 밸트 등을 포함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교체없이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다. 캐리어 롤러와 캐리어 밸트 등이 파손될 경우, 캐리어 롤러와 캐리어 밸트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객체가 석탄 등과 같이 발화 가능성이 있는 재료일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Since the conveyor device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cluding a carrier roller and a carrier belt, it is generally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If the carrier roller and the carrier belt are damaged, heat may be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arrier roller and the carrier belt. also lose

산업 현장에서는, 컨베이어 장치의 파손 여부를 사람이 직접 확인 및 판단하고 있지만,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사고 위험이 높아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In industrial sites, a person directly checks and judges whether the conveyor device is damaged, but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and the risk of an accident is high, so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is required.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장치의 파손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conveyor device is damaged by using various types of image data.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지점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point where an abnormality occurs in a conveyor apparatus using various types of image data.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궤도를 따라 주행하고, 미리 정해진 구간 단위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주행 로봇; 및 상기 주행 로봇의 상기 궤도 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를 상기 주행 로봇과 송수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 및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may be provided. The system may include: a traveling robot that travels along a track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vice, and acquires and provides at least one image data photographing the conveyor devic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unit; and a control serve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on the track,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robo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required to detect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with the traveling robot, At least one of the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may detect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using the at least one image data, and may identify and provide a location where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occurs.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로봇을 통해 미리 정해진 구간 단위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 로봇의 상기 궤도 상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촬영한 촬영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a conveyor apparatus may be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a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conveyor devic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unit through a traveling robot that travels along a track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vice, and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using the at least one image data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 process of confirming a position where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has occurred based on a position on the track of the traveling robot and a photographing environment in which the at least one image data is captured, and the conveyor; and providing a location where the device abnormality occurred.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features briefly summariz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exemplary aspec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follow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장치의 파손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conveyor device is damaged by using various types of image data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직접 진입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지점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point where an abnormality occurs in a conveyor apparatus using various types of image data can be provided even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site.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컨베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에 구비된 주행 로봇의 기능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b는 도 1에 구비된 주행 로봇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1에 구비된 주행 로봇이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되는 관제 서버의 상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감지부가 화상 데이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롤러의 이상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촬영 환경의 일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촬영 환경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서 최소 거리 위치를 고려하여 주행 로봇의 위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감지부가 화상 데이터를 검출하는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롤러의 이상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벨트의 이상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벨트의 이탈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arrangement of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veyor apparatus of FIG. 2 .
4A is a block diagram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traveling robot provided in FIG. 1 .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veling robot provided in FIG. 1 .
4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raveling robot provided in FIG. 1 traveling along a track.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provided in a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image data by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an abnormality of a carrier roller by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hotographing environment of image data us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a photographing environment of image data us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in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distance position in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eration of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image data.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an abnormality of a carrier roller by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an abnormality of a carrier belt by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departure of the carrier belt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hematic arrangement of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hematic operation of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may also include.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one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can also be called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onen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re for clearly explaining each characteristic, and the components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separated. That is,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to form one hardware or software unit, or one component may be distributed to form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units. Accordingly,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such integrated or distributed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do not necessarily mean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may be optional components. Accordingly, an embodiment composed of a subset of components described in an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embodiments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component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컨베이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arrangement of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veyor device of FIG.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공간(20)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장치(30)의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평시 감시하면서 위험 상황을 검출하면 주행 로봇(300)을 위험 상황이 유발된 이상 발생 지점(40)에 근접한 지점으로 이동시켜 이상 상황을 통지하는 시스템이다.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10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ystem') monitors whether or not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in at least one conveyor device 30 disposed in the space 20 . It is a system that notifies the abnormal situation by moving the driving robot 300 to a point close to the abnormal occurrence point 40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is induced when a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장치로서 석탄 등과 같은 광물을 이송하는 광물 전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컨베이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conveyor device for transporting minerals for transporting minerals such as coal as a conveyor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onveyor devices.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광물 전송용 컨베이어 장치(30)는 광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캐리어 벨트(31) 및 캐리어 밸트(31)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캐리어 롤러(33)를 포함한다. 이때, 캐리어 벨트(31) 및 캐리어 롤러(33)를 통해 광물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야 하지만, 캐리어 벨트(31)의 ??어짐이 발생되거나, 캐리어 벨트(31)가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컨베이어 장치(30)가 파손되거나 광물 전송에 차질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컨베이어 장치(30)에 구비된 일부 캐리어 롤러(33)가 파손될 경우, 해당 롤러와 캐리어 벨트(31) 사이의 마찰로 인해 캐리어 벨트(31)가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캐리어 롤러(33)는 원할한 회전을 위해 내부에 베어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베어링 구조물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캐리어 롤러(33)가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conveyor device 30 for transporting minerals includes a carrier belt 31 on which minerals are loaded and transported, and a carrier roller 33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arrier belt 31 . At this time, the mineral must be transport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through the carrier belt 31 and the carrier roller 33, but when the carrier belt 31 is kinked or the carrier belt 31 deviates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veyor device 30 may be damaged or there may be a disruption in mineral transport. As another example, when some carrier rollers 33 provided in the conveyor device 30 are damag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rrier belt 31 may be damaged or a fire may occu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roller and the carrier belt 31 . have. As another example, the carrier roller 33 may include a bearing structure therein for smooth rotatio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earing stru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rrier roller 33 may be damaged or a fire may occur.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30)에서 발생되는 위험 상황, 특히, 캐리어 벨트(31) 또는 캐리어 롤러(33)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위험 상황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1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a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occurring in the conveyor device 30, in particular, a dangerous situation occurring due to an abnormality of the carrier belt 31 or the carrier roller 33 is required. In the descriptio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10 of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시스템(10)은 주행 로봇(300), 궤도 장치(400) 및 관제 서버(500)를 포함한다. The system 10 includes a traveling robot 300 , a track device 400 , and a control server 500 .

주행 로봇(300)은 컨베이어 장치(30)의 상부에 근접하게 마련된 궤도 장치(400)를 따라 주행하여,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여부를 평시 모니터링한다. 이때, 주행 로봇(300)은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 예컨대, 실화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또는 초음파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로봇(300)은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발생 지점(40)과의 최소 거리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상 발생 지점(40)을 촬영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raveling robot 300 runs along the orbital device 400 provided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device 30 , and monitors whether the conveyor device 30 is abnormal. In this case, the traveling robot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veyor device 30 is abnormal by analyzing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device provided therein, for example, a real image camera, a thermal image camera, or an ultrasonic camera. have. 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30 is detected, the traveling robot 300 may be controlled to move to a position at a minimum distance from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of the conveyor device 30 , and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 You can provide a video filmed.

다른 예로서, 주행 로봇(300)은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제 서버(500)에 전송하며, 관제 서버(500)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raveling robot 300 transmits an image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device provided therein to the control server 50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ontrol server 500 through at least one camera devic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veyor device 30 is abnormal.

나아가, 주행 로봇(300)은 궤도 장치(400)를 통해 제공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므로, 주행 로봇(300) 자체의 구동 부재의 제어값을 바탕으로,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관제 서버(5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주행 로봇(300)은 구동 부재의 제어값을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관제 서버(500)에 제공하고, 관제 서버(500)가 구동 부재의 제어값을 사용하여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Furthermore, since the traveling robot 300 moves along a path provided through the orbiting device 400 , the orbiting device 400 of the traveling robot 300 based on the control value of the driving member of the traveling robot 300 itself. The location of the image may be checked, and the confirmed lo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server 500 together with an image captur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device. As another example, the driving robot 300 provides a control value of the driving member together with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device to the control server 500 , and the control server 500 uses the control value of the driving member Thus,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300 on the orbiting device 400 may be confirmed.

도 4a는 도 1에 구비된 주행 로봇의 기능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4b는 주행 로봇에 관한 사시도이다. 4A is a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traveling robot provided in FIG. 1 ,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veling robot.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주행 로봇(300)은 구동부(302), 감지부(304), 이상 검출부(306), 팬틸트(pan-tilt) 조정부(308), 송수신부(310), 메모리(312), 경보부(314), 전원부(316) 및 프로세서(318)를 포함할 수 있다. 4A and 4B , the traveling robot 300 includes a driving unit 302 , a sensing unit 304 , an abnormality detecting unit 306 , a pan-tilt adjusting unit 308 , a transceiver 310 , It may include a memory 312 , an alarm unit 314 , a power supply unit 316 , and a processor 318 .

구동부(302)는 궤도 장치에 의해 경로가 설정된 궤도(402)를 따라 주행 로봇(300)이 주행가능하도록, 모터, 이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구동휠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재를 본체(328)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2)는 주행 로봇(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리프트를 구비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리프트는 주행 로봇(300)의 본체(328)와 지지체 사이에 팬터그래프 타입의 관절 구조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 조합된 유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driving unit 302 includes a driving member including a motor and a driving wheel mechanically connected thereto to the main body 328 so that the traveling robot 300 can travel along the orbit 402 set by the orbiting device. can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2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lift capable of moving the traveling robot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adjustment lift may include a pantograph-type joint structure or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combin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ain body 328 and the support of the traveling robot 300 .

감지부(304)는 지지체(330) 및 지지 조립체(332)를 통해 본체(328)와 결합되며, 컨베이어 장치(30)의 실화상과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320), 컨베이어 장치(30)의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 카메라(318), 및 컨베이어 장치(3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측정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하는 초음파 카메라(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304)는 실화상 카메라(320), 열화상 카메라(318), 및 초음파 카메라(322) 등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상 검출부(306)로 제공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상 검출부(306)는 이상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304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28 through the support 330 and the support assembly 332, and a real image camera 320 that acquires an image related to a real image of the conveyor device 30, the conveyor device ( 30) may include a thermal imaging camera 318 that detects heat, and an ultrasonic camera 322 that measures the sound generated by the conveyor device 30 and expresses it in a predetermined color. Then, the detection unit 304 provid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al image camera 320, the thermal imaging camera 318, the ultrasonic camera 322, etc. to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and based on this,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 306) may check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추가적으로, 감지부(304)는, 가스 센서, 온도 센서, 소리 인식 센서, 자외선 센서, 위치 센서, 전류/전압 측정기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sensing unit 304 may include a sensor module including various sensors such as a gas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sound recognition sensor, an ultraviolet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current/voltage meter.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카메라(320), 열화상 카메라(318), 및 초음파 카메라(32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발생 여부와, 이상 발생 지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검출부(306)는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324)와, 이상 발생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검출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30 based on data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the real image camera 320 , the thermal imager 318 , and the ultrasonic camera 322 , and the occurrence point of the abnormality location can be checked. Specifical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include an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that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30 and a position detection unit 326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an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이상 판단부(324)는 실화상 카메라(320)와 열화상 카메라(318)로부터 제공되는 실화상 데이터와, 열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 롤러 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의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판단부(324)는 실화상 카메라(320)와 초음파 카메라(322)로부터 제공되는 실화상 데이터와, 초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 롤러 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의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판단부(324)는 실화상 카메라(320)와 초음파 카메라(322)로부터 제공되는 실화상 데이터와, 초음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캐리어 벨트의 파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상 판단부(324)는 실화상 카메라(320)로부터 제공되는 실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벨트의 위치 이탈이나, 컨베이어 장치(30)를 통해 이동되는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또는 이탈을 검출할 수 있다.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analyzes the real image data and thermal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thermal image camera 318 to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damaged. can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analyzes the real image data and the ultrasonic data provided from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ultrasonic camera 322 to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damaged. can Also, 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324 may analyze the real image data and the ultrasonic data provided from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ultrasonic camera 322 to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belt is damaged. As anothe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analyzes the real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real image camera 320 , and the displacement of the belt or the object (eg, coal) moved through the conveyor device 30 . Falls or departures can be detected.

이상 판단부(324)의 이상 여부 판단 동작은 하기의 도 6 내지 도 1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operation of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below.

위치 검출부(326)는 구동부(302)가 제공하는 구동부재의 제어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동부재의 제어값에 기초하여 감지부(304)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검출부(326)는 감지부(304)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의 위치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 판단부(324)에 의해 이상 발생이 확인된 경우, 위치 검출부(326)는 주행 로봇(300)을 이상 발생 지점의 최근접한 궤도 위치를 확인하고, 최근접한 궤도 위치를 구동부(302)로 제공하여, 주행 로봇(300)의 최근접한 궤도 위치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sition detection unit 326 may check the control value of the driving member provided by the driving unit 302 , and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camera device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304 based on the control value of the driving member. . 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ion unit 326 may synchronize and manage at least one image data provided by the sensing unit 304 and the position data of the at least one camera device. In addition, whe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s confirmed by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 the position detection unit 326 uses the traveling robot 300 to determine the closest trajectory position of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and sets the closest trajectory position to the driving unit 302 . By providing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to the nearest orbital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300 .

또한, 위치 검출부(326)는 주행 로봇(300)이 최근접한 궤도 위치에 도달하면, 이상 발생 지점(40)을 촬영하여 주행 로봇(300)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거리 위치를 산출하는데 기여한다. In addition, when the traveling robot 300 arrives at the nearest orbital positio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326 captures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to calculate a minimum distance position required to control the traveling robot 300 .

위치 검출부(326)는 팬틸트 조정부(308)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접한 궤도 위치에서 이상 발생 지점(40)으로 근접할수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고정된 각도로 팬틸트된 감지부(304)와 이상 발생 지점(40)의 중심점 간에 수직이 되도록, 감지부(304)가 취득한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에서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발생 지점(40)이 위치되는 경우가 최소 거리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최소 거리 위치의 결정 및 위치/자세 제어의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position detection unit 326 may be contro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an/tilt adjustment unit 308 .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moving closer to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from the nearest orbital position, the sensing unit 304 pan-tilted at a predetermined fixed angle and the central point of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case in which the abnormal occurrence point 40 of the conveyor device 30 is located in the at least one image data acquired by the sensing unit 304 may be determined as the minimum distance posi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distance position and the position/posit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318), 실화상 카메라(320), 초음파 카메라(322) 등은 지지체(330)에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는데, 각각의 카메라(318, 320, 322)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는 팬틸트 구조체(318', 320', 322')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팬틸트 조정부(308)는 팬틸트 구조체(318', 320', 322')에 구비되는 구동부재를 제어하여 각각의 카메라(318, 320, 3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B , the thermal imaging camera 318 , the real image camera 320 , the ultrasonic camera 322 , etc. may be mounted and fixed to the support 330 , each of the cameras 318 , 320 , 322 . ) may be fixed through the pan-tilt structures 318', 320', 322' that can be rotationally driven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pan/tilt adjusting unit 308 may control driving members provided in the pan/tilt structures 318 ′, 320 ′, and 322 ′ to control driving of the respective cameras 318 , 320 , and 322 .

또한, 주행 로봇(300)은 본체(328)와 지지체(330) 사이에 마련되어 수직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팬 구동조정부(3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팬틸트 조정부(308)는 팬 구동조정부(334)의 구동을 제어하여 지지체(330) 전체의 회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veling robot 300 may include a fan driving adjustment unit 334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328 and the support body 330 to be rotatably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and the pan tilt adjustment unit 308 .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fan driving adjustment unit 334 to control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entire support 330 .

송수신부(310)는 주행 로봇(300)의 다양한 제어 정보, 컨베이어 장치(30)의 이상 여부와 관련한 감지부(304)의 감지 데이터 등을 관제 서버(500)와 송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관제 서버(5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의 경우에 근거리 통신으로서 WI-FI, 블루투스 및 지그비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receiver 310 may be a module that transmits/receives various control information of the traveling robot 300 , detection data of the detector 304 related to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30 , and the like with the control server 500 . The transceiver 310 may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500 , and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configured with WI-FI, Bluetooth, and Zigbee communication modules a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메모리(312)는 주행 로봇(300)을 제어함과 아울러서 관제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예컨대 복수의 객체 위치를 포함한 공간(20) 전체의 좌표와 같은 위치 데이터,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장치들(100~400)의 위치 데이터, 이상 발생 지점(40)의 위치 데이터, 이상 발생 지점(40)에 최근접한 궤도 위치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312 controls the driving robot 300 as well as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500 , for example, location data such as coordinates of the entire space 20 including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objects, and configures the system 10 . It is possible to store location data of the devices 100 to 400 , location data of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 orbital position data closest to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

경보부(314)는 이상 발생시에 공간(20) 내에 시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이상 발생 상황을 전파할 뿐만 아니라, 이상 발생 상황에 따른 다양한 방식으로 현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occurs, the alarm unit 314 may not only visually and/or audibly propagate the abnormality occurrence within the space 20, but may also propagate the current situa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abnormal occurrence situation.

전원부(316)는 주행 로봇(300)의 독립적인 동작과 기능이 가능하도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에 의해 공간(20) 내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주행 로봇(300) 스스로가 화재 발생 지점(40)에 근접하기 위한 위치 계산, 이동, 자세 제어 및 분사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주행 로봇(300)은 배터리의 잔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여 전원부(316)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316 may include a battery to enable the independent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driving robot 300, and even if the power supply in the space 20 is cut off due to an abnormal occurrence, the driving robot 300 itself is a fire point. Position calculation, movement, posture control, and injection for proximity to (40)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The driving robot 300 may move to a charging station to charge the power supply unit 316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프로세서(304)는 주행 로봇(300)의 상술한 부재의 기능을 제어하고 관제 서버(500)와 송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The processor 304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members of the traveling robot 300 and executes processing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ntrol server 500 .

도 4c는 주행 로봇이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veling robot traveling along a track.

궤도 장치와 관련하여 도 4c 및 도 13을 참조하면, 궤도 장치는 제1궤도(402) 및 제2궤도(408)를 구비함과 아울러서, 주행 로봇(300)이 제1 및 제2궤도(402, 408) 상호 간에 변경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전환 분기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궤도(408)는 제1궤도(402)와 상이한 높이 및 상이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궤도(402, 408)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공간(20)의 객체 위치 및 시공 환경에 따라 제1궤도(402)에 복수의 궤도들이 연결가능하며, 연결 부위마다 전환 분기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C and 13 in relation to the orbiting device, the orbiting device includes a first track 402 and a second track 408 , and the traveling robot 300 moves the first and second track 402 . , 408)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branch 410 that is provided to be changeable between each other. Here, the second track 408 may be installed to extend in at least one of a different height and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track 402 . Although only the first and second tracks 402 and 408 are exemplified in the embodiment of FIG. 13 , a plurality of orbits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ck 402 according to the object location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space 20 , and are connected A switching branch 410 may be installed for each part.

제1 및 제2궤도(402, 408)는 주기적으로 설치된 로드들(404)을 통해 공간(20)의 소정 개소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406)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관제 서버(500)의 설정에 따라, 제1궤도(402)는 주행 로봇(300)의 평시 감시 및 이상 발생시의 주행 경로 양쪽으로 전부 활용될 수 있도록 지정되고, 제2궤도(408)는 보조 주행 경로로 사용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관제 서버(500)의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궤도(402, 408) 전부 평시 감시 및 이상 발생시의 주행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제1궤도(402)와 상이한 높이 및/또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궤도(408)가 평시 감시의 경로로 이용되면, 평시 감시의 정확성 및 이상 발생의 신속한 확인이 발휘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tracks 402 and 408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upport frame 406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space 20 through periodically installed rods 404 .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 server 500, the first track 402 is designated to be utilized as both the normal monitoring of the traveling robot 300 and the traveling path when an abnormality occurs, and the second track 408 is an auxiliary driving It can be specified to be used as a path. In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 server 500 , all of the first and second tracks 402 and 408 may be used as normal monitoring and travel routes when abnormalities occur. If the second track 408 extending in a different height and/or direction from the first track 402 is used as a path for normal monitoring, the accuracy of normal monitoring and quick confirmation of abnormal occurrence can be exhibited.

제2궤도로의 진입이 결정된 경우에, 주행 로봇(300)은 제1궤도(402)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전환 분기부(410)를 통해 제1궤도에서 제2궤도 상의 궤도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원활한 궤도 전환 변경을 위해, 전환 분기부(410)에 인접한 제1 및 제2궤도(402, 408)는 전환 분기부(410)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로봇(300)이 제1궤도(402)로부터 전환 분기부(410)에 진입한 경우에, 전환 분기부(410)는 주행 로봇(300)이 제2궤도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제2궤도(408)와 연결되는데 기여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o enter the second track, the traveling robot 300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ck to the track position on the second track through the switching branch 410 in a situation where the robot 300 travels on the first track 402. have. For a smooth trajectory changeover, the first and second trajectories 402 , 408 adjacent to the diverting branch 41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iverting branch 410 . Accordingly, when the traveling robot 300 enters the switching branch 410 from the first track 402, the switching branch 410 rotates so that the traveling robot 300 can move to the second track side. It contributes to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track 408 .

한편, 주행 로봇(300)이 송수신부(310)를 통해 관제 서버(500)와 WI-FI 통신을 구현하는 경우에, 궤도(402, 408)는 CRA(Cable type WI-FI Radial Antenna)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robot 300 implements WI-FI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500 through the transceiver 310, the tracks 402 and 408 use a CRA (Cable type WI-FI Radial Antenna) cable. may include

CRA는 케이블형 WI-FI 방사형 안테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CRA는 전파가 외부로 방출되어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가 구비된 케이블일 수 있다. 일 예로, CRA에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슬롯(또는 홈,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슬롯은 안테나에 대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슬롯의 길이 또는 기울기 등에 기초하여 통신을 위한 방출되는 전파에 대한 주파수가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주행 로봇(300)이 동작하는 주파수는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주파수일 수 있으며, 슬롯은 상술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CRA에 대한 슬롯은 주파수를 고려하여 케이블에 설정될 수 있으며, 안테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CRA는 송신기와 송신 안테나 또는 수신 안테나와 수신기 사이를 연결하여 고주파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송 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은 CRA에서 획득한 전파 신호를 전송 선로를 통해 서버 또는 다른 장치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케이블은 서버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전송 선로를 통해 전달하고, CRA에서 전파로서 방출할 수 있다. 일 예로, CRA는 누설 동축 케이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CRA may mean a cable-type WI-FI radiation antenna. For example, the CRA may be a cable equipped with an antenna through which radio waves are emitted to the outside for communication. For example, a slot (or a home, an area) may exist in the CRA to enable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slot may perform a role for the antenna, and a frequency for a radio wave emitted for communication may be differently selected based on a length or a slope of the slot. For example, the frequency at which the traveling robot 300 operates may be a frequency for a local area network, and the slot may be designed to use the above-described frequency band. That is, the slot for the CRA may be set in the cable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and may serve as an antenna. More specifically, the CRA may refer to a transmission line used to transmit high-frequency power by connecting a transmitter and a transmitting antenna or a receiving antenna and a receiver. In this case, the cable may transmit the radio wave signal obtained from the CRA to a server or other device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lternatively, the cable may transmit a signal generated from a server or other device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may be emitted as a radio wave in the CRA. For example, the CRA may be a leaky coaxial c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주행 로봇(300)은 구비된 케이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주행 로봇(300)의 무게(또는 하중)는 케이블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궤도를 설치하지 않고, 일반 궤도를 통해 주행 로봇(300)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주행 로봇(300)은 구동부(302)를 통해 일반 궤도로서 기구비된 케이블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주행 로봇(300)은 일반 궤도에서 CRA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veling robot 300 may move along the provided cable. For example, the weight (or load) of the traveling robot 300 may be designed to be movable on a cable. That is, the traveling robot 300 may move through a general track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track. On the other hand, the traveling robot 300 may move the equipped cable as a general track through the driving unit 302 . In this case, the traveling robot 30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RA in a general orbit.

또 다른 일 예로, 주행 로봇(300)은 주행 로봇(300)이 포함하는 장비 또는 장치 등을 고려하여 CRA 및 지지선(또는 강선)을 궤도로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주행 로봇(300)은 케이블카와 같이 일정한 강선에 연결되어 주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주행 로봇(300)에 하중이 큰 장치가 탑재된 경우, 주행 로봇(300)은 CRA를 장착(또는 삽입)한 프로파일(e.g. 알루미늄 또는 강철)을 궤도로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다. 즉, 주행 로봇(300)은 CRA 삽입형 궤도로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궤도를 통해 주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raveling robot 300 may drive the CRA and the support line (or steel wire) on the track in consideration of equipment or devices included in the traveling robot 300 . At this time, the traveling robot 300 may be driven by being connected to a certain steel wire, such as a cable car. As another example, when a device with a large load is mounted on the traveling robot 300, the traveling robot 300 may travel using a profile (eg aluminum or steel) on which a CRA is mounted (or inserted) as a track. . That is, the traveling robot 300 can travel through a track that can withstand a large load as a CRA-inserted track.

이와 같이 궤도에 포함되는 CRA 케이블은 내연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통신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주행 로봇(300)이 전선 및 통신선에 접촉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었다. 다만, 주행 로봇(300)은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지하 시설이나 고온, 고압 등의 환경에서 주행할 수 있다. 이때, 기존과 같이 주행 로봇(300)이 접촉형 궤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술한 환경을 고려한 주행 로봇(300)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주행 로봇(300)은 CRA를 통한 무선 통신으로서 감지부(304)에서 획득한 정보를 서버(또는 CMS)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A cable included in the track has flame resistance, so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fir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 traveling robot 300 was able to transmit data by contacting the electric wi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However, the driving robot 300 may be driven in an environment such as an underground facility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an area difficult to access by humans. At this time, when the traveling robot 300 transmits data through the contact-type trajectory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limitation in implementing the traveling robot 300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traveling robot 300 may be designed to transmi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304 to the server (or CMS) a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RA.

도 5는 관제 서버의 기능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관제 서버(500)는 주행 로봇(300) 및 궤도의 전환 변경 등을 제어함과 아울러서, 주행 로봇(30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 발생 여부 판단, 이상 발생 지점(40) 등과 관련된 각종 위치 데이터, 이상 제거 과정 중의 주행 로봇(300)의 거동 제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500 controls the traveling robot 300 and the change of the trajectory, and, based on the sensed data received from the traveling robot 300 ,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and various types related to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40 , etc. Position data, behavior control of the traveling robot 300 during an abnormality removal process, and the like may be processed.

관제 서버(500)는 구체적으로 송수신부(502), 메모리(504), 및 프로세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500 may specifically include a transceiver 502 , a memory 504 , and a processor 510 .

송수신부(502)는 주행 로봇(300)과 정의된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주행 로봇(300)이 WI-FI로 통신하는 경우에, 송수신부(502)는 제1궤도(402)에 내장된 CRA 케이블을 이용하여 주행 로봇(300)과 통신할 수도 있다.The transceiver 502 may include a module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traveling robot 300 in a defined communic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traveling robot 300 using a CRA cable built into the first track 402 .

메모리(504)는 관제 서버(500)를 운영하는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감지 장치와 주행 로봇(300)이 평시 또는 이상 발생 지점 등에서 취득한 영상, 온도, 가스 유무, 소리 등의 감지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504 may store various data as well as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ontrol server 500 . The stored data may store location data, images acquired by the sensing device and the driving robot 300 at normal times or at an abnormality point, etc., sensing data such as temperature, gas presence, sound, and the like.

위치 데이터는 복수의 객체(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20) 전체의 좌표와 같은 위치 데이터,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장치들(300, 400)의 위치 데이터, 이상 발생 지점(40)의 위치 데이터, 이상 발생 지점(40)에 최근접한 궤도 위치 데이터 등일 수 있다. 공간 전체의 좌표는 컨베이어 장치(30)가 배치된 공간(20) 시공시에 기초가 된 건축도면 및 3차원 스캐너(예를 들어 Lidar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3차원 공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구축될 수 있다. The location data includes location data such as coordinates of the entire space 20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objects 30 , location data of devices 300 and 400 constituting the system 10 , and anomaly occurrence point 40 . ) may be position data, orbital position data closest to the anomaly occurrence point 40 . The coordinates of the entire space ar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architectural draw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space 20 in which the conveyor device 30 is disposed and 3D spatial information obtained by a 3D scanner (eg, Lidar scanner) can be built with

프로세서(510)는 관제 서버(500)의 상술한 부재의 기능을 제어하고, 주행 로봇(300), 궤도 장치(400)로부터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함과 아울러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processor 510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members of the control server 500 , process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traveling robot 300 and the orbital device 400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주행로봇(300)에 구비된 이상 판단부(324)가 컨베이어 장치(30)에 대한 이상 발생 여부 및 이상 발생 지점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관제 서버(500)는 실화상 카메라(320), 열화상 카메라(318), 초음파 카메라(322) 등으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장치(30)에 대한 이상 발생 여부 및 이상 발생 지점 위치를 확인하는 이상 검출부(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판단부(506)의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주행로봇(300)에 구비된 이상 판단부(324)의 구성 및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제 서버(500)가 이상 판단부(506)를 구비하는 경우, 전술한 주행로봇(300)에 구비된 이상 판단부(324)는 생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the abnormality determination unit 324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traveling robot 300 check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nd the position of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with respect to the conveyor device 30, but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5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30 and the occurrence point of the abnormality based on the data detected from the real image camera 320 , the thermal image camera 318 , the ultrasonic camera 322 , and the like. It may further include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506 for checking the loca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506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324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traveling robot 300 . As such, when the control server 500 includes 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506 , the abnormality determining unit 324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traveling robot 300 may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상 검출부(306, 506)가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과,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s 306 and 506 detect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nd an operation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감지부가 화상 데이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롤러의 이상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image data, and FIG. 7 is an abnormality detection of a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carrier roller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system.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비정상적인 마찰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상이 발생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는 정상 상태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주행 로봇(300)은 컨베이어 장치(30)의 상부에 마련된 궤도 장치(400)를 따라 이동되는데, 주행 로봇(300)에 구비된 감지부(304)는 미리 정해진 구간마다 실화상 카메라(320) 및 열화상 카메라(318)를 동작하여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를 획득하고, 이를 이상 검출부(306)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abnormal friction may occur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which causes the abnormality in the carrier roller (or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in a normal state may be generated in the bearing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roller). Based on this, the traveling robot 300 is moved along the orbital device 4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device 30 , and the sensing unit 304 provided in the traveling robot 300 is a real image camera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320 and the thermal imaging camera 318 to obtain real image data 601-1, 601-2, 601-n and thermal image data 605-1, 605-2, 605-n, This may be provided to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

우선,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로부터 객체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S701). 객체의 검출은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되는 캐리어 롤러의 영상 특징을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를 구성하는 RGB 픽셀에 기반하여 색상과 형태 등을 분석하여, 실화상에 존재하는 캐리어 롤러를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이상 검출부(306)는 기계학습을 통해 구축된 객체 검출 모델을 사용하여 캐리어 롤러를 검출할 수도 있다.First,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perform object detection from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S701). The detection of the object may be extracted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of a carrier roller provided in the conveyor device.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analyzes the color and shape based on the RGB pixels constituting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to detect a carrier roller present in the real image. can Furthermor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detect the carrier roller using an object detection model built through machine learning.

이후,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에서 객체가 검출된 영역을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으로 설정할 수 있다(S702). Thereafter,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set a region in which an object is detected in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as a region of interest (ROI) (S702).

한편,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는 각각 실화상 카메라(320) 및 열화상 카메라(318)를 통해 획득되는데, 각각의 카메라(320, 318)의 광학적 특성이나,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의 영상의 촬영 영역이나, 해상도 등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상 검출부(306)는 광학적 특성, 촬영 환경적 특성 등의 차이를 확인하고,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에 대한 시차 보정 및 화각 변환을 처리할 수 있다(S703). On the other hand,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601-n and the thermal image data 605-1, 605-2, 605-n are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thermal image camera 318, respectively. It is obtained through the real image data ( 601-1, 601-2, 601-n) and the thermal image data 605-1, 605-2, and 605-n may have differences in the imaging area, resolution, and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checks differences in optical characteristics, photograph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tc., and includes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and the thermal image data 605-1 and 605. -2, 605-n) may be corrected for parallax and angle-of-view conversion (S703).

이후,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의 ROI에 대응되는 영역으로서,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의 대응 ROI를 설정할 수 있다(S704). Thereafter,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corresponds to the thermal image data 605-1, 605-2, and 605-n as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OIs of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ROI can be set (S704).

그리고, 이상 검출부(306)는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의 대응 ROI 각각에 대한 온도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검출부(306)는 제1 내지 제4대응 ROI 각각에 대하여, 최고온도, 최저온도, 평균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고온도, 최저온도, 평균온도 등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705).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check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orresponding ROIs of the thermal image data 605-1, 605-2, and 605-n. For example,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may check the highest temperature, the lowest temperature, the average temperature, etc. fo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rresponding ROIs, and configure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highest temperature, the lowest temperature,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t can be (S705).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정상 온도 범위에 대한 데이터(표 1 참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정상 온도 범위를 기준으로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검출부(306)는 제1 내지 제4대응 ROI의 최고온도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대응 ROI의 해당 영역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706).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store and manage data (see Table 1) o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of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and set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can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determine whether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first to fourth corresponding ROIs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of the corresponding ROI exceeding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t can be determined (S706).

나아가,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대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주행 로봇(300)의 궤도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검출된 ROI와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를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표 2 참조).Furthermor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manage by assigning an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and considering the position on the track of the traveling robot 300 , the detected ROI and the carrier A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on the carrier roller) may be matched.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store and manage whether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see Table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나아가, 실화상 카메라(320) 및 열화상 카메라(318)의 광학적 특성,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등에 따라,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에 포함되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도 8a, 도 8b 참조). 이에 따라,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카메라(320) 및 열화상 카메라(318)의 광학적 특성,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검출된 ROI에 매칭되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를 결정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thermal imager 318, the fixed state, the shooting direction, the shooting angle, the shoot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ixed or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330, the driving robot 300 Depending on the position on the track device 400, etc., the carrier rollers (or bearing members provided on the carrier roller) may appear differently (refer to FIGS. 8A and 8B ). According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photographing environment such as optical characteristics, a fixed state, a photographing direction, a photographing angle, and a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of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thermal imager 318 . A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matching the detected ROI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300 on the track device 400 , and the like.

결국,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카메라(320) 및 열화상 카메라(318)의 광학적 특성,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상이 발생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검출부(306)는, 이상이 발생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detects photograph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optical characteristics, fixed state, photographing direction, photographing angle, and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of the real image camera 320 and the thermal imager 318 . ,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300 on the orbital device 400, etc. are checked,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According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광학적 특성이나, 촬영 환경적 특성,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등을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의 제약없이 다양한 형태로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can be check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position on the track device 400, and the lik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photographing Real image data 601-1, 601-2, 601-n and thermal image data 605-1, 605-2, 605-n in various forms without restrictions on angle, fixed or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330, etc. ) can be configured to obtain

나아가, 이상 검출부(306)는, 카메라의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을 다양하게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c를 참조하면, 이상 검출부(306)는, 카메라의 광학적 특성이나, 촬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및 열화상 데이터(605-1, 605-2, 605-n) 내에 최대한 많은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를 촬영할 수 있도록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카메라의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을 설정하고(801, 802), 이와 같이 설정된 환경(801, 802)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검출부(306)는 1차 검출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대응되는 최소 거리 위치(805)로 주행 로봇(3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이상 검출부(306)는 최소 거리 위치(805)에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을 제어하여 실화상 데이터 및 열화상 데이터를 재검출하고, 재검출된 실화상 데이터 및 열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상 검출부(306)는 1차적인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는 온도 정보의 제1임계값과, 최종적으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는 온도 정보의 제2임계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임계값은 제2임계값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임계값은 제2임계값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controls the camera's shooting direction, the shooting angle, and the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in various ways to effectively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C ,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includ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and a thermal image in consider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and photograph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position on the track device 400 of the traveling robot 300, and the camera to photograph as many carrier rollers (or bearing members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s) as possible in the data 605-1, 605-2, and 605-n The direction, the shooting angle, the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etc. are set (801, 802), and using the data captured in the environment 801, 802 set in this way, first, the carrier roller (or carrier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bearing member provided on the roller).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300 to the minimum distance position 805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red in the primary detection process. have. Thereafter,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re-detects the real image data and the thermal image data by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the photographing angle, and the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at the minimum distance position 805 , and re-detects By checking whether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using the real image data and thermal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finally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have. Furthermor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includes a first threshold value of temperatu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imary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and finally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member)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second threshold value o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For example,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set relatively low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set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감지부가 화상 데이터를 검출하는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롤러의 이상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abnormal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image data, Figure 10 is a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carrier roller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비정상적인 마찰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주행 로봇(300)은 컨베이어 장치(30)의 상부에 마련된 궤도 장치(400)를 따라 이동되는데, 주행 로봇(300)에 구비된 감지부(304)는 미리 정해진 구간마다 초음파 카메라(322) 및 실화상 카메라(318)를 동작하여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를 획득하고, 이를 이상 검출부(306)에 제공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an abnormal friction noise may be generated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Based on this, the traveling robot 300 is moved along the orbital device 4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device 30, and the sensing unit 304 provided in the traveling robot 300 includes an ultrasonic camera ( 322) and the real image camera 318 to obtain ultrasound data 901-1, 901-2, 901-n and real image data 903-1, 903-2, 903-n, and may be provided to the detection unit 306 .

우선,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를 사용하여,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비정상적인 마찰음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01). 이때,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가 비 정상적인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사전에 측정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First,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generates sound waves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friction sound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using the ultrasonic data 901-1, 901-2, and 901-n. It can be checked whether or not (S1001). At this time, in order to accurately check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an audio signal of a frequency band that may be generated in an abnormal state of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can be measured in advance, stored and managed.

비정상적인 마찰음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에 대한 시차 보정 및 화각 변환을 처리하여 영상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S1002). 예컨대, 한편,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는 각각 초음파 카메라(322) 및 실화상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데, 각각의 카메라(322, 320)의 촬영 범위나,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의 감지 영역이나, 해상도 등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상 검출부(306)는 전술한 특성 등의 차이를 확인하고,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에 대한 시차 보정 및 화각 변환을 처리할 수 있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a sound wave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fricative sound is generated,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includ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and 903-2. , 903-n), image registration may be performed by processing parallax correction and angle of view transformation (S1002). For exampl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are the ultrasound camera 322 and the real image camera 320, respectively. The ultrasound data 901 is acquired through -1, 901-2,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may have differences in sensing areas or resolutions.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checks the dif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includes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 n) can be processed for parallax correction and angle of view transformation.

이후,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와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를 조합하여,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에서 비정상적인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발생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S1003). Thereafter,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combines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with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n 1, 903-2, 903-n), a region in which a sound wave of an abnormal frequency band is generated may be displayed (S1003).

나아가,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는 비정상적인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발생되는 영역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카메라(322) 및 실화상 카메라(320)의,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이상이 발생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distance to a region where a sound wave of an abnormal frequency band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determines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ixed s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the photographing angle, the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and the traveling robot of the ultrasonic camera 322 and the real image camera 320 . The position of the carrier roller (or the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300 on the orbiting device 400 .

또한, 다른 예로서, 캐리어 벨트에 ??어짐이 발생될 경우, 캐리어 벨트와 캐리어 롤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마찰음이 발생될 수 있다. 감지부(304)는 미리 정해진 구간마다 초음파 카메라(322) 및 실화상 카메라(318)를 동작하여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를 획득하고,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를 사용하여 캐리어 벨트에 ??어짐 등의 이상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를 사용하여, 캐리어 벨트의 비정상적인 마찰음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01). 이때, 캐리어 벨트에 ??어짐 등의 이상 발생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캐리어 벨트에 ??어짐 등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사전에 측정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Also, as another example, when the carrier belt is strained, friction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arrier belt and the carrier roller. The detection unit 304 operates the ultrasound camera 322 and the real image camera 318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obtain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and 903. -2, 903-n), and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collects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It can be used to confirm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such as loosening of the carrier belt.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us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to determine whether a sound wave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fricative sound of the carrier belt is generated (S1101). At this time, in order to accurately check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such as kinking in the carrier belt, audio signals of a frequency band that may be generated in an abnormal state such as kinking in the carrier belt may be measured in advance, stored and managed.

비정상적인 마찰음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에 대한 시차 보정 및 화각 변환을 처리하여 영상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S1102). 예컨대,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는 각각 초음파 카메라(322) 및 실화상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데, 각각의 카메라(322, 320)의 촬영 범위나,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의 감지 영역이나, 해상도 등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상 검출부(306)는 전술한 특성 등의 차이를 확인하고,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 및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에 대한 시차 보정 및 화각 변환을 처리할 수 있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a sound wave 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fricative sound is generated,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includ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and 903-2. , 903-n), image registration may be performed by processing parallax correction and angle of view transformation (S1102). For exampl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are transmitted through the ultrasound camera 322 and the real image camera 320, respectively. The ultrasound data 901-1 is obtained due to differences in photograph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hotographing range of each camera 322 and 320, the fixed s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the photographing angle, and the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 901-2,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ection areas or resolutions.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checks the dif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includes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 n) can be processed for parallax correction and angle of view transformation.

이후,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와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를 조합하여, 실화상 데이터(903-1, 903-2, 903-n)에서 비정상적인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발생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S1103). Thereafter,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combines the real image data 903-1, 903-2, and 903-n with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the real image data 903-n 1, 903-2, 903-n), a region in which a sound wave of an abnormal frequency band is generated may be displayed (S1103).

나아가,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는 비정상적인 주파수 대역의 음파가 발생되는 영역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카메라(322) 및 실화상 카메라(320)의, 고정 상태,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적 특성, 주행 로봇(300)의 궤도 장치(400) 상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이상이 발생된 캐리어 벨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distance to a region where a sound wave of an abnormal frequency band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determines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ixed s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the photographing angle, the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support 330, and the traveling robot of the ultrasonic camera 322 and the real image camera 320 . The position of the carrier belt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300 on the orbital device 400 .

비록,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이나, 캐리어 벨트의 이상을 구분하여 검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이나, 캐리어 벨트의 이상을 검출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의 이상이나, 캐리어 벨트의 이상 검출은 같이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가 비 정상적인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사전에 측정하여 제1이상 주파수로서 저장 및 관리하고, 캐리어 벨트가 비 정상적인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사전에 측정하여 제2이상 주파수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검출부(306)는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로부터 제1이상 주파수 또는 제2이상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로부터 제1이상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가 검출될 경우,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롤러(또는 캐리어 롤러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에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식별하고, 초음파 데이터(901-1, 901-2, 901-n)로부터 제2이상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가 검출될 경우,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벨트에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Althoug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bnormality of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or an abnormality of the carrier belt has been exemplifie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rrier roller A method of detecting an abnormality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or an abnormality of the carrier belt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ity i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or an abnormality in the carrier belt. Specifical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easures an audio signal in a frequency band that may be generated in an abnormal state of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in advance, stores and manages it as a first abnormal frequency, An audio signal of a frequency band that may be generated in an abnormal state of the carrier belt may be measured in advance and stored and managed as a second or higher frequency.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determine whether an audio signal of the first abnormal frequency or the second abnormal frequency band is detected from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And, when the audio signal of the first abnormal frequency band is detected from the ultrasonic data 901-1, 901-2, and 901-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is installed on the carrier roller (or a b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carrier roller). When it is identifi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nd an audio signal of the second or higher frequency band is detected from the ultrasound data 901-1, 901-2, and 901-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detects an abnormality in the carrier belt. can be identifi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에 구비된 이상 검출부가 캐리어 벨트의 이탈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departure of the carrier belt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provided in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감지부(304)는 미리 정해진 구간마다 실화상 카메라(320)를 동작하여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를 획득하고, 이를 이상 검출부(306)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의 분석을 통해 캐리어 벨트의 이탈을 확인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304 may obtain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by operating the real image camera 3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ay provide it to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 . Accordingly,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confirm the departure of the carrier bel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구체적으로, 캐리어 벨트는 수직(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내에서 수직(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벨트가 배열된 위치를 분석하여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를 대상으로 윤곽선 검출(Edge Detction)을 수행하여,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S1201).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벨트는 수직(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되므로, 추출된 윤곽선 중에서 수직(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 이상의 값을 갖는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을 검출할 수 있다(S1202). Specifically, since the carrier belt is continuously moved alo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can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detect whether the carrier belt is separated by analyzing the arrangement position. For example, the anomaly detection unit 306 may perform edge detection on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to extract the outline of an object existing in the image. There is (S1201).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rrier belt is continuously distributed alo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vertical (or horizontal) lines 1201 and 1202 that are continuous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mong the extracted contour lines and have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ngth ) can be detected (S1202).

나아가, 궤도 장치(400)는 캐리어 벨트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실화상 카메라(320)는 궤도 장치(4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를 촬영하므로, 캐리어 벨트가 정상적인 위치에 존재할 경우,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내에서 정해진 영역에 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어 벨트가 정해진 경로를 이탈할 경우, 실화상 데이터(601-1, 601-2, 601-n) 내에서 정해진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이상 검출부(306)는 캐리어 벨트가 정상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기준선(1205, 1206)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준선(1205, 1206)과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S1203). 이때, 기준선(1205, 1206)과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 사이의 거리는 기준선(1205, 1206)과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이 위치한 영역의 픽셀 수의 차이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track device 400 is installed along a path along which the carrier belt moves, and the real image camera 320 moves along the track device 400 while moving along the track device 400 and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601-n. ), when the carrier belt is in a normal position, it can be distributed 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However, when the carrier belt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path, it may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real image data 601-1, 601-2, and 601-n. Based on this,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set the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in a state in which the carrier belt is in a normal position, and between the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the vertical (or horizontal line) 1201 and 1202 .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stance of (S1203).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the vertical (or horizontal) lines 1201 and 1202 is detect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ixels in the area where the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the vertical (or horizontal) 1201 and 1202 are located. can do.

이후, 이상 검출부(306)는 기준선(1205, 1206)과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캐리어 벨트의 이탈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 검출부(306)는 기준선(1205, 1206)과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 사이의 거리를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캐리어 벨트의 이탈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confirm the departure of the carrier belt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the vertical lines (or horizontal lines) 1201 and 1202 .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compares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the vertical lines (or horizontal lines) 1201 and 1202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exceeded. You can decide whether to leave or not.

나아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두개의 기준선(1205, 1206)과 두개의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을 사용하여 기준선(1205, 1206)과 세로선(또는 가로선)(1201, 1202)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검출부(306)는 제1기준선(1205)과 제1세로선(1201)만을 사용하여 두 선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캐리어 벨트의 외곽선에 기초하여 기준선을 설정하지 않고, 캐리어 벨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기준선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 벨트의 이탈 여부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선이나 세로선(또는 가로선)을 설정하는 기준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wo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two vertical lines (or horizontal lines) 1201 and 1202 are used to form reference lines 1205 and 1206 and vertical lines (or horizontal lines) 1201 and 1202 ) has been illustrated,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check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ines using only the first reference line 1205 and the first vertical line 1201 . As another example, instead of setting the reference line based on the outline of the carrier belt, the reference line may be set based on the center of the carrier belt. In another embodiment, a criterion for setting a reference line or a vertical line (or a horizontal line)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rrier belt is separated may be set with various modifica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이상 검출부(306)는 실화상 카메라(320), 열화상 카메라(318), 및 초음파 카메라(322) 등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캐리어 벨트 또는 캐리어 롤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이상 검출부(306)가 캐리어 벨트 또는 캐리어 롤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검출부(306)가 캐리어 벨트 또는 캐리어 롤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다양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거나,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selectively uses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al image camera 320 , the thermal imager 318 , and the ultrasonic camera 322 to determine whether the carrier belt or carrier roller is abnormal. can detect Furthermore, although the operation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detecting whether the carrier belt or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individually describe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306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for detecting whether the carrier belt or the carrier roller is abnormal, sequentially, simultaneously performing, or selectively perform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r condition.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3A to 1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hematic arrangement of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는 시스템(10)을 측방으로 바라볼 때의 궤도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b 및 도 13c는 시스템(10)을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바라볼 때의 궤도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13A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orbiting device when the system 10 is viewed from the side, and FIGS. 13B and 13C are the structures of the orbiting device when the system 10 is view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chematically shown.

컨베이어 장치(1300)를 통해 객체(예, 석탄 등)가 이송되면서, 컨베이어 장치(1300)를 벗어나 바닥(1301)으로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객체(예, 석탄 등)가 컨베이어 장치(1300)를 이탈할 경우, 객체(예, 석탄 등)의 분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되거나, 객체(예, 석탄 등)로 인한 분진이나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객체(예, 석탄 등)가 컨베이어 장치(1300)를 벗어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상태를 감지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은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object (eg, coal, etc.) i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device 1300 , a situation may occur that leaves the conveyor device 1300 and falls to the floor 1301 . As such, when an object (eg, coal, etc.) leaves the conveyor device 1300 , a fire occurs due to dust of the object (eg, coal, etc.) As a resul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worker is low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ct a state in which an object (eg, coal) leaves the conveyor device 1300 and falls to the floor, and the abnormal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 (eg, coal, etc.) It can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all of the.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은, 주행 로봇(300)이 제1궤도(402)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술한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제2궤도(408)를 따라 이동하면서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the above-described abnormality occurs while the traveling robot 300 moves along the first track 402, and the second track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while moving along 408 .

주행 로봇(300)이 제1궤도(402)의 이동을 통해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설명을 참조한다.An oper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300 detects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rst track 4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described above.

한편, 제2궤도(408)를 따른 이동이 요구되면, 주행 로봇(300)은 제1궤도(402)에서 제2궤도(408)로 이동 변환시키는 전환 분기부(410)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movement along the second track 408 is requested, the traveling robot 300 is moved to the switching branch 410 that converts the movement from the first track 402 to the second track 408 .

이어서, 전환 분기부(410)는 관제 서버(500) 등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어 주행 로봇(300)의 주행 경로가 제2궤도(408)로 연결되며, 주행 로봇(300)은 제2궤도(408)를 따라 이동된다.Then, the switching branch 410 is rot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rver 500, etc., so that the traveling path of the traveling robo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ck 408, and the traveling robo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ck ( 408).

계속해서, 주행 로봇(300)은 미리 정해진 구간 단위마다 실화상 카메라(320)를 동작하여 실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실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의 검출은 실화상 데이터로부터 객체(예, 석탄 등)를 검출하도록 학습된 객체 검출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driving robot 300 acquires real image data by operating the real image camera 320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unit, and analyzes the acquired real image data to detect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can do. In this case, the detection of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may be performed through an object detection model trained to detect an object (eg, coal, etc.) from real image data.

주행 로봇(300)이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를 검출할 경우, 주행 로봇(300)의 제2궤도상 위치와 실화상 카메라(320)의, 촬영 방향, 촬영 각도, 지지체(330)의 고정 또는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촬영 환경을 고려하여,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가 발생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When the traveling robot 300 detects a fall of an object (eg, coal, etc.), the position on the second track of the traveling robot 300 an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photographing angle, and support body 330 of the real image camera 320 . In consideration of a shooting environment such as a fixed or rotational angle of the , the location where the object (eg, coal, etc.) falls may be calculated.

한편, 주행 로봇(300)이 제2궤도(408) 상에서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 검출을 완료하였을 경우, 제2궤도(408)를 따라, 전환 분기부(410)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전환 분기부(410)는 관제 서버(500) 등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어 주행 로봇(300)의 주행 경로를 제1궤도(402)로 연결하여, 주행 로봇(300)이 제1궤도(40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veling robot 300 completes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on the second track 408 , it can be moved to the switching branch 410 along the second track 408 . In addition, the switching branch 410 is rot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rver 500, etc. to connect the traveling path of the traveling robot 300 to the first track 402, and the traveling robot 300 is rotated by the first track ( 401) so that it can be moved.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대략적인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4A and 1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hematic operation of a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a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can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은, 주행 로봇(300)이 제1궤도(402)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술한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제1궤도(402)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방향은 제1방향의 역방향일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the convey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the above-described abnormality occurs while the traveling robot 3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track 402 . and, while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first track 402,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주행 로봇(300)이 제1궤도(402)의 이동을 통해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설명을 참조한다.An oper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300 detects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rst track 4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described above.

한편, 주행 로봇(300)은 본체(328)에 결합되는 지지체(3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리프트를 구비할 수 있다. 주행 로봇(300)은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지지체(330)는 본체(328)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며,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지지체(330)는 본체(328)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veling robot 300 may include a height-adjustable lift capable of moving the support 330 coupled to the main body 328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driving robot 300 performs an operation for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he support 330 is fixed while maintaining a state close to the main body 328, and an operation of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During the operation, the support 330 may be fixed while maintaining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body 32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주행 로봇(300)이 제1지점(1401)에서 제1궤도(402)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지점(1402)에 도달하면,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완료하고,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행 로봇(300)은 지지체(330)를 본체(328)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전환하고, 실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객체(예, 석탄 등)의 낙하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은 도 13a 내지 도 13c의 설명을 참조한다. When the traveling robot 3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track 402 from the first point 1401 and reaches the second point 1402, it completes the operation of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nd the object An operation for detecting whether (eg, coal, etc.) has fallen may be initiated. To this end, the traveling robot 300 converts the support 330 to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32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alyzes the real image data to detect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can do. In this case, for the operation of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g, coal, etc.) has fallen, refer to the description of FIGS. 13A to 13C .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Example meth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pressed as a series of operations for clarity of description, bu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performed, and if necessary, each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 a different order.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other step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teps, other steps may be excluded from some steps, or additional other steps may be included except some step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o not list all possible combinations, but are intended to describe representativ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tter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implementation by hardwar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general purpose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general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software or machine-executable instructions (eg,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firmware, program, etc.) that caus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various embodiments to be executed on a device or computer, and such software 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in which instructions and the like are stored and executable on a device or computer.

Claims (15)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궤도를 따라 주행하고, 미리 정해진 구간 단위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획득 및 제공하는 주행 로봇; 및
상기 주행 로봇의 상기 궤도 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를 상기 주행 로봇과 송수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 및 제공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In the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a traveling robot that travels along a track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vice, and obtains and provides at least on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onveyor devic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and
A control serve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robot on the track,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robo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required to detect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onveyor device with the traveling robot,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using the at least one image data, and confirming and providing a location where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occurs,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는,
실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실화상 데이터,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 데이터, 및 초음파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초음파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image data comprises:
including real image data obtained through a real image camera, thermal image data obtained through a thermal imager camera, and ultrasound data obtained through an ultrasound camera,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실화상 데이터의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열화상 데이터의 대응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대응 관심 영역에 대한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detecting a region of interest from the real image data,
setting a corresponding ROI of the thermal image data a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OI of the real image data;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onveyor device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region of interest,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초음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음파가 발생되는 특징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특징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지점을 결정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Based on the ultrasound data, a characteristic region in which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s generated is identified;
determining an abnormality occurrence point of the conveyor device based on an area of the re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area,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초음파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제1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음파가 발생되는 제1특징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특징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의 영역에 기초하여 제1이상 발생 상황을 결정하고,
미리 정해진 제2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음파가 발생되는 제2특징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2특징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의 영역에 기초하여 제2이상 발생 상황을 결정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A first feature region in which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is generated is identified based on the ultrasound data, and a first abnormality occurs based on an area of the re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ature region to decide,
Identifying a second feature region in which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is generated, and determining a second abnormality occurrence situation based on an area of the re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ature region,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상 발생 상황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된 캐리어 롤러의 파손이 발생된 상황이고,
상기 제2이상 발생 상황은,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된 캐리어 벨트의 파손이 발생된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bnormal occurrence situation is,
A situation in which damage to the carrier roller provided in the conveyor device has occurred,
The second abnormal occurrence situation is,
Characterized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damage of the carrier belt provided in the conveyor device has occurred,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된 캐리어 벨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선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선을 고려하여 상기 캐리어 벨트의 이탈 여부를 결정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Detecting at least one transfer line corresponding to a carrier belt provided in the conveyor device from the real image data,
Determining whether to leave the carrier belt in consideration of the at least one transport line,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행 로봇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구비된 캐리어 벨트의 이송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이송 방향에 대응되는 기준선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선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캐리어 벨트의 이탈 여부를 결정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robot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arrier belt provided in the conveyor device, a reference line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direction is se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rrier belt is sepa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at least one transfer line,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행 로봇의 궤도 상의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의 촬영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결정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occur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n the trajectory of the traveling robot and the shooting environment of at least one camera device that captures the at least one image data,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객체의 낙하 여부 감지를 제어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Controlling detection of whether an object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device falls by analyzing the real image data,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는 제1궤도 및 제2궤도를 구비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제1 및 제2궤도 상호 간에 변경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전환 분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제1궤도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제2궤도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객체의 낙하 여부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ck includes a first track and a second track, and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branch provided so that the traveling robot can change and mov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cks,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Checking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onveyor devic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travels on the first track,
Controlling to detect whether an object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device fall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travels on the second track,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 및 상기 관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궤도를 따라 제1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궤도를 따라 제2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객체의 낙하 여부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t least one of the driving robot and the control serve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travels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track, it is checked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travels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track, controlling to detect whether an object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device falls.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로봇은 상기 궤도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높이 조절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제1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높이 조절 리프트는 상기 궤도에 근접하여 고정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주행 로봇이 상기 제2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높이 조절 리프트는 상기 지면에 근접하여 고정되도록 제어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veling robot includes a height-adjustable lift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track,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travels in the first direction, the height adjustment lift is controlled to be fixed close to the track,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veling robot travel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height adjustment lift is controlled to be fixed close to the ground.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conveyor devices.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로봇을 통해 미리 정해진 구간 단위마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행 로봇의 상기 궤도 상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촬영한 촬영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방법.
In the method of detecting abnormality of a conveyor device,
The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conveyor device for each predetermined section unit through a traveling robot that travels along a track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vice;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using the at least one image data;
a process of confirming a position where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based on a position on the track of the traveling robot and a photographing environment in which the at least one image data is captured;
Including the process of providing a location where the abnormality of the conveyor device occurred,
Methods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conveyor devic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은,
실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실화상 데이터,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 데이터, 및 초음파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초음파 데이터를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이상 감지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is,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nveyor device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real image data obtained through a real image camera, thermal image data obtained through a thermal image camera, and ultrasound data obtained through an ultrasound camera containing,
Methods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conveyor devices.
KR1020200074352A 2020-06-18 2020-06-18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3931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52A KR102393157B1 (en) 2020-06-18 2020-06-18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52A KR102393157B1 (en) 2020-06-18 2020-06-18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94A true KR20210156594A (en) 2021-12-27
KR102393157B1 KR102393157B1 (en) 2022-05-02

Family

ID=7917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52A KR102393157B1 (en) 2020-06-18 2020-06-18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15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4143A (en) * 2021-12-28 2022-04-05 华能汕头海门发电有限责任公司 Intelligent identification method for centralized control operation defect image of intelligent robot group in thermal power plant
CN114666541A (en) * 2022-03-18 2022-06-24 深圳市富菱楼宇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community peripheral track inspec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nd intelligent community
KR102486009B1 (en) * 2022-06-23 2023-01-10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Depaletizing automatic system and method using robot arm
KR102629321B1 (en) * 2023-03-29 2024-01-2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ming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oal conveyor using non-contact power pickup type smart linear transfer rob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496A (en) * 2011-01-11 2012-07-1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The method for fire warning using analysis of thermal image temperature
KR20150136370A (en) *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Transfer belt Incision surveillance system
KR101992220B1 (en) * 2019-03-27 2019-10-01 동산산업(주) Monitoring system for plant equipment
KR20200025175A (en) * 2018-08-29 2020-03-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veyer belt brea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496A (en) * 2011-01-11 2012-07-1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The method for fire warning using analysis of thermal image temperature
KR20150136370A (en) *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Transfer belt Incision surveillance system
KR20200025175A (en) * 2018-08-29 2020-03-1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veyer belt break
KR101992220B1 (en) * 2019-03-27 2019-10-01 동산산업(주) Monitoring system for plant equip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4143A (en) * 2021-12-28 2022-04-05 华能汕头海门发电有限责任公司 Intelligent identification method for centralized control operation defect image of intelligent robot group in thermal power plant
CN114666541A (en) * 2022-03-18 2022-06-24 深圳市富菱楼宇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community peripheral track inspec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nd intelligent community
KR102486009B1 (en) * 2022-06-23 2023-01-10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Depaletizing automatic system and method using robot arm
KR102629321B1 (en) * 2023-03-29 2024-01-29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ming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oal conveyor using non-contact power pickup type smart linear transfer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157B1 (en)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157B1 (en)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ity of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230311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and obstacl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in collision avoidance of railway applications
CN105473471B (en) Utilize the conveying machine check for the automatic driving vehicle for carrying sensor construction
US89774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manned surveillance, and robot control device for unmanned surveillance
US6868307B2 (en) Robot cleaner, robot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315715C (en) Camera for monitoring escalator and mobile footway
US8253792B2 (en) Vision system for monitoring humans in dynamic environments
US7184586B2 (en) Location mark detecting method for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er using the method
KR101895811B1 (en) A high performance large coverage surveillance system
KR101038581B1 (en) Metho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surveillance to power plant facilities using track-type mobile robot system
AU2015233890B2 (en) Longwall face support in an underground mine
CN103986913B (en) A kind of fully-mechanized mining working is with machine video switching at runtime monitoring system
EP3342548B1 (en) Robot surveillance system
CN111226178A (en) Monitoring device, industrial system, method for monitoring, and computer program
JPWO2019065045A1 (en) Object search system, object search device, and object search method
KR20120090387A (en) Guard and surveillance robot system and method for travelling of mobile robot
KR102430038B1 (en) System monitoring and removing the abnormality of an object and method thereof
KR20230080522A (en) Fire monitor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101717758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ransferring-pipe
KR102272780B1 (en) Facilities diagnosis robot and active avoidance method thereof
KR101736439B1 (en) Tunnel Rai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43684A (en) System for Managing Tunnel Using Movable CCTV
KR102012548B1 (en)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KR20170112714A (en) System for automatic monitoring of distributed area using flying photographing unit
CN112258398B (en) Conveyor belt longitudinal tearing det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TOF and binocular image 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