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548B1 -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548B1
KR102012548B1 KR1020170012253A KR20170012253A KR102012548B1 KR 102012548 B1 KR102012548 B1 KR 102012548B1 KR 1020170012253 A KR1020170012253 A KR 1020170012253A KR 20170012253 A KR20170012253 A KR 20170012253A KR 102012548 B1 KR102012548 B1 KR 10201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area
sensing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7768A (en
Inventor
이창현
송현섭
우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548B1/en
Publication of KR2018008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G05D1/0295Fleet control by at least one leading vehicle of the fl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은 로봇의 센싱모듈이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제1영역을 센싱하는 단계, 센싱모듈이 센싱한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로봇의 제어부에게 센싱한 값 및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로봇의 제어부는 제1영역에 대한 정보 및 맵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낮은 경우, 로봇의 제어부는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an accessible area of a robot and a robot implemen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dentifying an accessible area of a robot is provided in which a sensing module of the robot is disposed outside the robot. Sensing the first area,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rea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corresponds to a candidate for the non-entry area, transferring the sensed value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area to the controller of the robo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rea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to calculate an entry probability into the first area, and when the entry probability to the first area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the controller of the robot And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rea in the map storage unit.

Figure R1020170012253
Figure R1020170012253

Description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dentifying an accessible area of a robot and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the robot.

공항, 학교, 관공서, 호텔, 사무실, 공장 등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공간에서 로봇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체 공간에 대한 맵을 가져야 한다. 한편, 맵에서 진입 가능한 공간으로 표시되어도 해당 공간에 로봇이 진입하기는 적합하지 않은 공간이 있다. 특히, 공항이나 항만, 기차역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동하는 공간에서는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장애물이 배치된 것은 아니지만 로봇이 진입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공간들이 많으므로, 이를 로봇이 식별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이동을 로봇이 방해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로봇이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일정부분 개방된 공간이 진입 가능한 공간인지를 식별하여 이를 분석하여 로봇이 이동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In order to operate a robot in a space wher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re actively occurring, such as an airport, a school, a public office, a hotel, an office, a factory, a map of the entire space must be provided. 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displayed as an accessible space on the map, there is a space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robot to enter the space. In particular, in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move, such as airports, harbors, and train stations, there are many obstacles such as moving walks and escalators, but there are many places that are not suitable for robots to enter. This can cause problems with the robot's movement.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method in which a robot moves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whether the robot is a space into which a partly open space, such as a moving walk and an escalator, can enter.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입 가능한 영역과 불가능한 영역을 센서들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method for identifying and avoiding 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may be provided by using sensors to check an accessible area and an impossible area during a robot movement. I would like to.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로봇이 진입 불가능한 영역이 가지는 물리적 특징들을 확인하여, 이러한 특징들이 센싱될 경우 진입이 불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by identifying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robot is impossible to enter, by determining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area that cannot be enter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은 로봇의 센싱모듈이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제1영역을 센싱하는 단계, 센싱모듈이 센싱한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로봇의 제어부에게 센싱한 값 및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로봇의 제어부는 제1영역에 대한 정보 및 맵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낮은 경우, 로봇의 제어부는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dentifying an accessible area of a robot, wherein the sensing module of the robot senses a first area disposed outside of the robot, and wherein the first area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is located in an inaccessible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ndidate is a candidate, transferring the sensed value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region to the controller of the robot, and the controller of the robot compa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gion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and compares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region. Calculating a probability of entry into the first region; and if the probability of entering the first region is lower than a preset criterion, the controller of the robo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gion in a map storage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지를 센싱 및 판단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싱모듈,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로봇의 이동에 필요한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 및 센싱모듈, 이동부, 맵 저장부를 제어하며 센싱모듈이 제공하는 정보 및 맵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for identifying an accessible area may sense and determine whether a first area disposed outside of the robot corresponds to a candidate for the non-accessible area, and move a sensing module and a robot that provide sensing information. A moving unit, a map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the robot, and a sensing module, a moving unit, and a map storage unit, and compar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ing module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to the first are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by calculating an entry prob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로봇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입 가능한 영역과 불가능한 영역을 센서들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로봇 및 다른 로봇들이 해당 영역을 회피할 수 있다.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e robots and other robots avoid the area by checking and avoiding the accessible area and the impossible area using the sensors while the robot moves and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rea. can do.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로봇이 진입 불가능한 영역이 가지는 물리적 특징들을 확인하는 센서를 제공하며, 이들 센서를 이용하여 진입 불가능한 영역의 물리적 특징을 센싱하여 로봇이 사람 혹은 사물들의 이동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ensor for identif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n-accessible area of the robot described above, and by using these sensors to sens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n-accessible area so that the robot does not collide with the movement of people or objects. Can be.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deriv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입 불가 영역을 판단하는 센싱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을 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 맵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센싱모듈이 진입 불가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센싱모듈이 진입 불가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센싱모듈이 진입 불가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센싱모듈의 각 센싱된 값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진입 불가 영역을 판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맵 정보가 업데이트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를 로봇의 일측면에 다수 배치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의 높이와 방향을 조절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서버 또는 인접한 로봇 사이에 통신을 통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제어부가 맵을 이용하여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ing module for determining a non-ent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map including unit area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non-entry area by a sensing modul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non-entry area by a sensing module of a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non-entry area by a sensing module of a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obot operates by using each sensed value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id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non-entrance area by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updated map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side sensing units disposed on one sid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of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id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haring information on a non-ent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 server or an adjacent robot.
16 is a diagram in which a controller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non-entry area using a map.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are not limited in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by subdividing the compon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is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can also be implemented separately.

이하,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특정한 목적(청소, 보안, 모니터링, 안내 등)을 가지거나 혹은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의 특성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며 이동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로봇은 소정의 정보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보유하며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obot includes a device having a specific purpose (cleaning, security, monitoring, guidance, etc.) or provid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robot moves. Therefore, the robo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llectively refers to a device that holds a moving means that can move us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a sensor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function.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맵을 보유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맵은 공간에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고정된 벽, 계단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로봇은 맵 위에 별도의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벽에 부착된 안내 플랫폼, 새로이 설치된 자판기 등은 고정된 물체는 아니지만 일정 시간동안 고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는 맵에 추가적인 고정물로 저장되는 것이 필요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obot may move while holding a map. The map refers to information about fixed walls, stairs, etc. that are found to not move in space. In addition, the robot may store information about separate objects on the map. For example, a guide platform attached to a fixed wall, a newly installed vending machine, etc., are not fixed objects, but they are fixed for some time, so they need to be stored as additional fixtures on the map.

또한,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맵에서 확인된 개방된 공간이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진입 공간인 경우, 이를 진입 불가한 공간이라는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open space identified in the map is an entrance space of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the robot may set this as information that cannot be entered.

이하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진입 공간이 개방되어 있으나 로봇의 진입이 불가능한 영역을 진입 불가 영역으로, 그 외에 로봇의 진입이 가능한 영역을 진입 가능 영역으로 지시한다.Hereinafter, an entrance space, such as a moving walk and an escalator, is opened, but an area in which the robot cannot enter is designated as an inaccessible area, and an area in which the robot can enter as an accessibl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입 불가 영역을 판단하는 센싱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로봇에 하나 또는 다수가 장착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ing module for determining a non-ent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robots can be mounted.

센싱모듈(100)은 측면 센싱부(110), 하면 센싱부(120), 그리고 뎁스 센싱부(130)와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를 포함한다. 센싱모듈(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논리적 구성요소들이므로, 이들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 내에 구현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측면 센싱부(110)는 로봇의 측면에 배치되고, 하면 센싱부(120)는 로봇의 아래 부분에 배치되며, 뎁스 센싱부(130)는 로봇의 전면에 배치되며, 이들 각각의 센싱부들과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는 데이터 링크 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센싱부들은 다양한 센서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센싱부(110)가 측면에서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센싱하는 경우, 물리적으로 적외선 수광부가 다수 배치되는 것을 논리적으로 측면 센싱부(110)로 지시할 수 있다. The sensing module 100 includes a side sensing unit 110, a bottom sensing unit 120, a depth sensing unit 130, and a sensing data analysis unit 150. Since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nsing module 100 are logical components, they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physically implemented in one device. For example, the side sensing unit 110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robot, the lower sensing unit 12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bot,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robot. The sensing units and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may transmit and receive the sensed information through a data link or a wireless signal. In addition, each sensing unit may be a collection of various sensors. For example, when the side sensing unit 110 senses an infrared signal received from the side, the side sensing unit 110 may logically indicate that a plurality of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are physically disposed.

센싱모듈(100)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특정한 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지를 센싱 및 판단하고, 센싱한 정보를 로봇에게 제공한다. 특히,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전술한 세 가지의 센싱부들(110, 120. 130)이 각각 취합한 정보를 토대로 센싱모듈(100)이 1차적으로 판단하고, 판단에 사용한 센싱된 정보들을 로봇의 제어부(도 2의 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ensing module 100 senses and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area disposed outside of the robot corresponds to a candidate of an inaccessible area, and provide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robot. In particular, the sensing module 100 primarily determines,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hree sensing units 110, 120.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of the robot (900 of FIG. 2).

각각의 센싱부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each sensing unit in detail as follows.

측면 센싱부(110)는 진입 불가 영역에 배치된 구조물을 센싱한다.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에는 사람들이 진입하는 공간과 진출하는 공간에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110)는 전술한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센싱부(110)는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가 배치되는 막대형의 구조물을 센싱할 수 있다. The sid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structure disposed in the non-entry area. Moving walks and escalators may be arranged to place a sensor for detecting the human body in the space and the space entering, the side sens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nse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above-described human body Can be. In addition, the side sensing unit 110 may sense a rod-shaped structure in which a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is disposed.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가 적외선 송수신을 이용한 센서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110)는 적외선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은 맵을 통해 별도의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식별하지만, 측면 센싱부(110)가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에서 송신하는 적외선과 같은 신호를 수신할 경우, 해당 공간은 진입 불가 영역으로 식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human body is a sensor using infrar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side sens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In this case, the robot identifies that there is no separate obstacle through the map, but when the side sensing unit 110 receives a signal such as infrared rays transmitted from a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the corresponding space is identified as an inaccessible area. Information about this can be stored.

하면 센싱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면, 즉 바닥 공간의 재질의 변화를 확인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진입 불가 영역은 주변에 금속 재질의 바닥을 설치하게 된다. 이는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의 기계적 조작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면 센싱부(120)는 로봇의 하면에 배치되어 바닥의 재질이 급격하게 변경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바닥의 재질을 확인하거나, 혹은 금속이 바닥에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금속 탐지형 센서가 하면 센싱부(1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includes a sensor for confirming a change in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fl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accessible areas such as moving walks and escalators will have metal floors installed around them. It is installed to protect the mechanical operating part of the moving walk or escalator. Therefore, the lower sensing unit 12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to identify a point at which the material of the floor is suddenly changed. In an embodiment, the metal detecting sensor for checking the material of the floor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checking whether the metal is disposed on the floor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20.

뎁스 센싱부(130)는 뎁스 카메라를 이용하는 센싱부로,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에는 사람들이 진입하는 공간과 진출하는 공간에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가 배치되는 막대형의 구조물을 식별할 수 있다. 이들 구조물은 포스트 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뎁스 센싱부(130)는 이를 인식하여 전방에 진입 불가 영역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와 같이 진입 불가 영역의 진입부 또는 진출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을 포스트 빔이라고 지시한다.The depth sensing unit 130 is a sensing unit that uses a depth camera. The depth sensing unit 130 may identify a rod-shaped structure in which a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is disposed in a moving walk and an escalator in a space into which a person enters and enters a space. These structures may have a post beam shape,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may recognize this and confirm that there is an inaccessible area in the front. Hereinafter, a structure consisting of one or two pillars at the entrance or exit of the non-entry area, such as an escalator and a moving walk, is referred to as a post be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로봇(1000)은 외부의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를 센싱하는 센싱모듈(100),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200),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부(300), 로봇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400), 다른 로봇과 맵 또는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진입 불가 영역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00), 카메라부(600), 그리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이동부(300)는 바퀴와 같이 로봇(1000)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로봇(1000)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900)는 맵 저장부(200)에 저장된 영역에서 로봇(10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부(300)에 이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모듈(100)에서 센싱된 외부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900)가 분석하여 진행 방향에 진입 불가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이동부(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기능부(400)는 로봇의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소 로봇인 경우 기능부(400)는 청소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안내 로봇인 경우 기능부(400)는 안내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기능부(400)는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1000 includes a sensing module 100 for sensing an external moving walk or an escalator, a map storage unit 200 for storing a map, a moving unit 300 for controlling movement, and a function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robot. The controller 400, a communicator 5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an inaccessible area such as a map or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with another robot, a camera unit 600, and a controller 900 for controlling each of these components is provided. Include. The moving unit 300 is a means for moving the robot 1000 like a wheel, and moves the robot 10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900 may check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1000 in an area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and provide a movement signal to the moving unit 3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0 may analyze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object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0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accessible area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300. The functional unit 400 is meant to provide specialized functions of the robo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leaning robot, the function unit 400 includes components necessary for cleaning. In the case of a guide robot, the function unit 400 includes components required for guidance. The function unit 40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provided by the robot.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 영역이 전술한 센싱모듈(100)에서 감지하거나 제어부(900)가 판단하면, 로봇이 속도를 줄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카메라부(600)는 바닥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이를 분석하여 진입 가능한 영역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하면 센싱부(120)가 바닥의 재질을 확인한다면, 카메라부(600)는 바닥의 이미지적인 특징을 추출하여 이를 차분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진입 불가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센싱모듈(100)에서 센싱된 정보들과 맵의 정보들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카메라부(600)의 일 실시예로는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가 될 수 있다. When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area is detected by the sensing module 100 or the control unit 900 determines, the robot reduces the speed. In this process, the camera unit 600 captures the movement of the floor and analyzes it to enter. You can check whether this is a possible area. Previously, if the sensing unit 120 checks the material of the floor, the camera unit 600 may extract an image characteristic of the floor and determine the inaccessible area by using the differential image technique. Accordingly, bot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00 and the information of the map may be used. An embodiment of the camera unit 600 may be a vision camera.

맵 저장부(200)는 맵을 저장한다. 맵은 로봇(100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맵은 전체 공간을 세분화된 단위 영역으로 나누어 단위 영역에 고정 객체가 배치되어 있는지, 혹은 해당 고정 객체의 높이나 재질이 무엇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맵 저장부는 맵 뿐만 아니라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워크의 측면의 유리 벽은 맵에 고정 객체로 배치될 수 있으나, 무빙워크의 진입 및 진출 영역은 고정 객체가 없으므로 맵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로봇(1000)은 도 1의 센싱모듈(100)을 이용하여 진입 불가 영역으로 판단한 영역에 대해서 고정 객체와는 구별되는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에 저장할 수 있다. The map storage unit 200 stores the map. The map means information about a space in which the robot 1000 can move. The map divides the entire space into subdivided unit areas and stores whether a fixed object is disposed in the unit area, or the height or material of the fixed object. In addition, the map storage unit may store not only a map but also information on an inaccessible area. For example, the glass wall on the side of the moving walk may be disposed as a stationary object on the map, but the entrance and exit areas of the moving walk may not be displayed on the map because there is no stationary object. Therefore, the robot 1000 may store information on an inaccessible area distinguished from the fixed object in the map for the area determined as the inaccessible area by using the sensing module 100 of FIG. 1.

맵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체 공간을 X 및 Y축으로 하고, 일정한 단위 영역으로 나누어 각 단위 영역에 고정된 객체가 존재하는지, 혹은 진입 불가 영역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ap can be constructed in a variety of ways. In an embodiment, the entire space may be divided into X and Y axes, and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whether the fixed object or the non-entryable area exists in each unit area by dividing the entire space into constant unit areas.

도 2에서 맵 저장부(200)는 로봇(1000) 내에 포함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맵 저장부(200)가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1000)은 실시간으로 혹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서버에 저장된 맵을 서버의 통신부와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로봇(1000)이 추가로 저장해야 할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In FIG. 2, the map storage unit 200 is included in the robot 1000,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ap storage unit 200 may be disposed in the server. In this case, the robot 1000 may receive a map stored in the server in real time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using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In addition, the robot 1000 may further transmit information to be stored to the server.

또한, 맵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맵은 라이다(Lidar)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추가적으로 라이다 센서가 배치되어 로봇은 지속적으로 맵을 생성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센서가 열린 공간으로 판단하는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해서는 측면 센싱부(110), 하면 센싱부(120), 뎁스 센싱부(130) 등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p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may be generated using a Lidar sensor. For example, in addition to FIG. 1, a lidar sensor may be disposed so that the robot can continuously generate and update a map. In addition, the inaccessible areas such as moving walks and escalator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LiDAR sensor as an open space may be identified using the side sensing unit 110, the bottom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을 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 맵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210과 같이 단위 영역을 20x20으로 구성하여 맵의 단위 영역의 컬러가 검은 색인 경우 벽, 유리 등과 같은 고정 객체가 배치된 공간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맵의 단위 영역이 하얀 색인 경우 해당 공간은 장애물과 같은 객체가 존재하지 않아 로봇(100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도 3의 210은 일종의 비트맵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의 비트맵에서 각 비트가 하나의 단위 영역을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 단위 영역은 좌측 하단을 (0, 0)으로, 우측 상단을 (19, 19)로 지시할 수 있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map including unit areas. As shown in 210 of FIG. 3, when the unit area is 20x20 and the color of the unit area of the map is black,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a space in which a fixed object such as a wall or glass is disposed. When the unit area of the map is white, the corresponding space is a space in which the robot 1000 can move because an object such as an obstacle does not exist. 210 of FIG. 3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bitmap. Each bit in the bitmap of an image file can be configured to represent one unit area. Each unit region may indicate a lower left side as (0, 0) and an upper right side as (19, 19).

또한, 맵 저장부(200)는 고정된 객체들로 구성된 맵(210) 외에도 장애물은 없지만 로봇이 진입할 수 없는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storage unit 200 may store information on an inaccessible area in which the robot cannot enter in addition to the map 210 including fixed objec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센싱모듈이 진입 불가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센싱모듈 중 측면 센싱부(110)와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맵 저장부(200)에 저장된 맵을 이용하여 로봇의 제어부(900)가 진입 가능한 영역인지 진입 불가능한 영역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맵 저장부(200)에 저장하는 과정도 함께 보여준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non-entry area by a sensing modul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side sensing unit 110 and the sensing data analyzing unit 150 identify a non-entry area of the sensing module. In addition, by using the map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unit 900 is an accessible area or an inaccessible area and also shows the process of storing it in the map storage unit 200.

로봇은 주행 상태에서(S111) 측면 센싱부(110)가 제1영역에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S112). 수신한 적외선 신호는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에 전달되고,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수신된 적외선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113). 이 과정에서 로봇의 주행을 정지시키거나 주행 속도를 낮출 수 있다. The robot receives the infrared signal in the first area at the side sensing unit 110 in a driving state (S111) (S112).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and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S113). In this process, the robot can be stopped or the driving speed can be lowered.

적외선 신호의 유효성 판단은 포스트 빔과 같은 구조물에서 인체를 감지하기 위해 송신하는 적외선 신호인지 아니면 외부의 다른 구조물에서 전송한 적외선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러한 구분은 적외선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유효한 적외선 신호인 경우(S114),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는 제어부(900)에게 적외선 수신 상태를 통지한다(S115).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는 S112 단계에서 적외선 신호가 센싱된 것으로 확인되면 이를 별도의 유효성 판단 과정 없이 제어부(900)에게 적외선 수신 상태를 통지할 수도 있다. 만약 S114에서 유효하지 않은 적외선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시 S111 단계로 가서 로봇의 주행 상태를 복원 또는 유지한다. 또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재차 확인하기 위해 측면 센싱부는 전후 혹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후술한다. In one embodiment, the validity of the infrared signal is determined by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by a structure such as a post beam to detect a human body or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by another external structure. This division may use the frequency of the infrared signal. If it is a valid infrared signal (S114), the sensing data analysis unit 150 notifies the control unit 900 of the infrared reception state (S115).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rared signal is sensed in step S112,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may notify the controller 900 of the infrared reception state without a separate validity determination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rared signal is not valid in S114, go back to step S111 to restore or maintain the running state of the robot. In addition, the side sensing unit may move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to check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agai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4.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로봇의 주행을 정지하고(S156),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통지된 제1영역과 맵을 비교한다(S157). 비교한 결과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인 것으로 식별되면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이라는 정보를 맵 저장부(200)에 저장한다(S158). 이후 로봇의 주행방향을 재설정하여(S158) 로봇이 제1영역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S157에서 비교한 결과 제1영역이 진입 가능 영역인 것으로 식별되면 계속 진행 방향으로 로봇을 진행시키도록 제어부(900)가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nfrared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stops running of the robot (S156), and compares the map with the first area notified that the infrared signal has been received (S157).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first region is identified as an inaccessible reg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gion as an inaccessible region is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S158). After tha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bot is reset (S158) so that the robot does not enter the first area.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7 that the first region is the accessible region, the controller 900 may control the robot to move in the continuous direction.

S158은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회피 동작을 수행하도록 맵 저장부(200)에 저장된 맵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S158 means updating the map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to perform an evasion operation on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진입부와 진출부에는 사람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동감지센서가 배치되어 진입 또는 진출에 따라 운행을 시작하거나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자동감지센서는 포스트빔의 구조물에 배치되며, 일 실시예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 이용하고 이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의 측면 센싱부(110)는 이러한 포스트빔에 배치된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진입을 하지 않도록 로봇(1000)에게 센싱된 정보를 제공한다.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moving walk or escalator, an automatic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s movement is arranged to start or stop driving according to entry or exit. In particular, the automatic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in the structure of the post beam, and in one embodiment transmits and uses an infrared signal. The side sensing unit 11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enses a signal transmitted by a sensor disposed in the post beam and provides information sensed to the robot 1000 so as not to enter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센싱모듈이 진입 불가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센싱모듈 중 하면 센싱부(120)와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non-entry area by a sensing module of a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bottom surface sensing unit 120 and a sensing data analysis unit 150 of the sensing module show a process of checking an entry impossible area.

로봇은 주행 상태에서(S121) 하면 센싱부(120)가 제1영역에서 하면의 재질을 센싱한다(S122). 하면 센싱부(120)는 근거리의 금속을 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면 센싱부(120)가 센싱한 하면의 재질 정보는 누적하여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저장할 수 있다. 하면, 즉 바닥의 재질이 금속이거나 또는 하면의 재질이 진입 불가 영역에 대응하는 재질인 것으로 센싱되면 센싱된 정보는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에 전달되고,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센싱된 하면의 재질의 분석한다(S123). When the robot is in the driving state (S121), the sensing unit 120 senses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in the first area (S122). The sens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that detects metal in a short distance. In addition, the material information of the lower surface sensed by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may be accumulated and stored by the sensing data analysis unit 150. If the bottom surface is made of metal or if the bottom material is sensed to be a material corresponding to an inaccessible area, the sens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and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is sensed.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is analyzed (S123).

전술한 분석 과정에서 로봇의 주행을 정지시키거나 주행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분석은 이전에 누적하여 저장된 하면의 재질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전에 금속이 배치되지 않은 바닥의 재질로 센싱되었고, 제1영역에서 새로이 금속이 배치된 바닥으로 센싱한 경우, 하면의 재질에 변화가 발생한 것이며, 이를 진입 불가 영역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는 제어부(900)에게 제1영역의 하면 재질 변경을 통지한다(S125). 이후 S156 내지 S159 단계는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하게 진행된다. 즉. 제어부(900)는 하면의 재질이 금속으로 변화된 것으로 통지된 제1영역을 맵과 비교하고(S157) 비교한 결과에 따라 S158 및 S159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S124에서 하면의 재질이 진입 불가 영역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S121 단계로 가서 로봇의 주행 상태를 복원 또는 유지한다. In the above-described analysis process, the robot may be stopped or the driving speed may be decr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previously accumulated material information of the lower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metal is previously sensed with the floor material on which no metal is placed, and the metal is sensed by the floor on which the metal is newly placed in the first area, a change has occurred in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corresponds to an inaccessible area. . Therefore,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notifies the controller 900 of the lower surface material change of the first region (S125). Subsequent steps S156 to S159 proce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900 may compare the first area notified that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is changed to metal with the map (S157) and proceed to steps S158 and S159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in S124 does not correspond to the entry impossible area, go back to step S121 to restore or maintain the running state of the robot.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센싱모듈이 진입 불가 영역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센싱모듈 중 뎁스 센싱부(130)와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non-entry area by a sensing module of a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sensing data analysis unit 150 identify an inaccessible area of the sensing module.

로봇은 주행 상태에서(S131) 뎁스 센싱부(130)가 제1영역에서 포스트 빔 형태의 구조물을 센싱한다(S132). 이는 뎁스 센싱부(130)가 제1영역의 구조물의 뎁스를 센싱하는 것을 포함한다. 뎁스 센싱부(130)는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를 이용하여 촬영된 전방의 이미지의 뎁스(depth)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 결과 전방에 에스컬레이트 또는 무빙워크에 세워진 포스트 빔 형태의 구조물이 센싱되면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는 센싱된 구조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133). 즉, 센싱된 구조물의 뎁스에서 포스트 빔이 센싱되었는지 여부를 센싱 데이터 분석부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에서 두 개의 막대형 기둥이 센싱되며, 두 기둥의 거리를 나타내는 뎁스가 같고, 이들 기둥의 크기가 포스트 빔의 유효 크기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포스트 빔이 센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running state (S131), the depth sensing unit 130 senses a post beam structure in the first region (S132). This includes the depth sensing unit 130 sensing the depth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The depth sensing unit 130 may calculate a depth value of the front image photographed using the vision camera.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when a post beam structure erected on an escalate or moving walk is sensed in front of the sensing data,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ensed structure (S133). That is, the sensing data analyz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ost beam is sensed in the depth of the sensed structure. For example, if two bar pillars are sensed in the captured image, and the depths representing the distances of the two pillars are the same, and the size of the pillars is within the effective size range of the post beam,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st beam is sensed. Can be.

전술한 판단 과정에서 로봇의 주행을 정지시키거나 주행 속도를 낮출 수 있다. 판단 결과 두 개의 기둥으로 판단된 구조물이 유효한 포스트 빔 구조물인 것으로 판단되면(S134), 제어부(900)에게 제1영역에서의 포스트 빔 구조물의 센싱을 통지한다(S135). 한편 두 개의 기둥으로 판단되었으나 짧은 시간을 두고 다시 센싱한 결과 기둥의 위치가 바뀌었거나 기둥이 이동하는 등 포스트 빔 구조물로 판단하기 어려운 객체가 센싱된 경우에는 다시 S131 단계로 가서 로봇의 주행 상태를 복원 또는 유지한다. In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process, the driving of the robot may be stopped or the driving speed may be lowe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ucture determined to be two pillars is a valid post beam structure (S134), the controller 900 notifies the sensing of the post beam structure in the first region (S135). On the other hand, if it was determined to be two pillars, but again sensed after a short time, if the objec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st beam structure, such as the position of the column is changed or the column is moved, go to step S131 again to check the driving state of the robot Restore or maintain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가 제어부(900)에게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의 포스트 빔이 배치된 것으로 S135와 같이 통지한 후 S156 내지 S159 단계는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하게 진행된다. 즉. 제어부(900)는 포스트 빔 구조물이 배치된 것으로 통지된 제1영역을 맵과 비교하고(S157) 비교한 결과에 따라 S158 및 S159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After the sensing data analysis unit 150 notifies the control unit 900 that the post beam of the region into which the first region cannot be entered is disposed as shown in S135, steps S156 to S159 proce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900 may compare the first area notified that the post beam structure is disposed with the map (S157) and proceed to steps S158 and S159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로봇의 센싱모듈이 3 가지의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센싱 데이터 분석부(150)는 각각의 센싱부들(110, 120, 130)이 센싱한 정보들을 모두 이용하거나 각각의 센싱한 정보에 가중치를 두어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S. 4 to 6, a process in which the sensing module of the robot identifies a non-entry area using three types of sensed information is described. However, the sensing data analyzer 150 may use the information sensed by each of the sensing units 110, 120, and 130 or may assign a weight to each of the sensing information to identify an entry impossible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1000)은 측면 센싱부(110)가 로봇의 측면에 배치되고 포스트빔에서 전송한 적외선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9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하면 센싱부(120) 또는 뎁스 센싱부(130)가 센싱한 정보와, 맵 저장부(200)의 맵 및 로봇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로봇이 진입 가능한지 혹은 진입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봇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obot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side sensing unit 110 to the controller 900 when the side sensing unit 110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robot and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st beam is detected. The controller 900 may use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ttom sensing unit 120 or the depth sensing unit 130, the map of the map storage unit 200, the position of the robot, and the like to determine whether the robot is accessible or not. The movement of the robot can be controll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특히,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에 배치된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작 등으로 인해, 로봇의 측면 센싱부(110)가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뎁스 센싱부(130)와 맵 저장부(200)의 맵을 이용하여 진입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맵 저장부(200)에서 특정한 패턴(길게 늘어선 벽이 배치되며 양쪽이 개방된 공간)의 고정된 구조물이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뎁스 센싱부(130)의 데이터로 로봇 진입 방향의 양쪽에 포스트빔 구조물이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면 센싱부(120) 역시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 영역에 배치된 금속 재질을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map storage unit 200 may be detected even when the side sensing unit 110 of the robot does not receive an infrared signal due to a malfunction of a sensor that detects a person disposed on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You can check the availability of the map using the map. In the map storage unit 200, it is confirmed that a fixed structure of a specific pattern (a space in which a long lined wall is arranged and open on both sides) is arranged, or post beam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obot entry direction with data of the depth sensing unit 130. You can identify moving structures or escalator areas by checking if the structure is placed. In addition, the lower sensing unit 120 may also check the metal material disposed on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are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센싱모듈의 각 센싱된 값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obot operates by using each sensed value of a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서 살펴보았던 각각의 센싱부들(110, 120, 130)의 정보에 가중치를 주는 등 조합을 통하여 진입 가능한 영역과 진입 불가능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Accessible areas and non-accessible areas may be identified through a combination such as weighting the information of each of the sensing units 110, 120, and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제어부(900)는 이동부(300)를 제어하여 로봇의 주행을 제어한다(S710). 따라서 이동부(300)는 로봇의 주행 상태를 유지한다(S711). 이후 센싱모듈(100)을 구성하는 센싱부들(110, 120, 130)이 각각 주변에 대한 사물들에 대해 센싱을 진행하고(S721, S722, S723), 센싱된 결과를 제어부(900)에게 송부한다(S731, S732, S733).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측면 센싱부(110)는 적외선 신호를 센싱하여(S721), 적외선 신호를 센싱한 결과를 송부한다(S731). 하면 센싱부(120)는 하면의 재질이 변경되었음을 센싱하여(S722), 하면 재질의 변경에 관한 센싱 결과를 송부한다(S732). 뎁스 센싱부(13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를 토대로 포스트 빔 구조물이 배치되는지를 센싱하여(S723), 포스트 빔 구조물의 센싱 결과를 송부한다(S733). The controller 90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obot 300 to control driving of the robot (S710). Therefore, the moving unit 300 maintains the running state of the robot (S711). Afterwards, the sensing units 110, 120, and 130 constituting the sensing module 100 perform sensing on objects of the surroundings (S721, S722, S723), and transmits the sensed result to the controller 900. (S731, S732, S733). In more detail, the side sensing unit 110 senses an infrared signal (S721) and transmits a result of sensing the infrared signal (S731).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senses that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is changed (S722) and transmits a sensing result regarding the change of the lower surface material (S732). The depth sensing unit 130 senses whether the post beam structure is arranged based on th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S723), and transmits a sensing result of the post beam structure (S73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센싱부들(110, 120, 130)이 주변을 센싱하고, 센싱한 결과를 제어부(900)에게 제공하는 과정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센싱부들(110, 120, 130)이 센싱한 결과는 제어부(900)에게 송부되어 제어부(900)가 수신된 정보를 누적하여 주변에 진입 불가 영역이 배치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s 110, 120, and 130 may sense the surroundings, and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900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Accordingly, the sensing results of each of the sensing units 110, 120, and 130 may be sent to the control unit 900 to accumulate the receive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n inaccessible area is disposed in the vicinit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센싱부들(110, 120, 130)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센싱부(110)가 적외선 신호의 센싱 여부에 따라 하면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의 센싱된 결과를 조합하여 센싱모듈(100)이 제어부(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면 센싱부(120)가 하면의 재질 변경을 센싱하면, 여기에 따라 측면 센싱부(110) 및 뎁스 센싱부(130)의 센싱된 결과를 조합하여 센싱모듈(100)이 제어부(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뎁스 센싱부(130)가 포스트 빔 구조물을 센싱하는 경우에 측면 센싱부(110) 및 하면 센싱부(120)의 센싱된 결과를 조합하여 센싱모듈(100)이 제어부(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ensing units 110, 120, and 130 may have a priority based on a preset criterion. For example, when the side sensing unit 110 senses an infrared signal, the sensing module 100 provides the control unit 900 by combini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can do. In addition, when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senses a material change of the lower surface, the sensing module 100 combines the sensing results of the side sensing unit 11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sensing unit 100. Can be provided to In the same manner, when the depth sensing unit 130 senses the post beam structure, the sensing module 100 combines the sensing results of the side sensing unit 110 and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to the control unit 900. Can provide.

제어부(900)는 수신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로봇의 주변에 진입 불가영역이 배치될 가능성이 있음을 감지하고 수신된 정보와 맵을 기반으로 진입 불가영역을 판별한다(S740). 예를 들어, 무빙워크의 양측에 배치되는 벽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양측에 배치되는 벽이 맵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맵(210)에서 (10, 5)에서 (10, 14)에 검게 표시된 부분과 (13, 5)에서 (13, 14)에 검게 표시된 부분 사이에 공백으로 되어 있는 영역이 무빙워크의 영역으로 판별할 경우, 이들의 진입 및 진출 영역 근처에서 센싱된 정보를 토대로 진입 불가 영역을 판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900 detects the possibility that an inaccessible area is arranged around the robo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determines an inaccessible area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map (S74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wal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walk or the wal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escalator are arranged on the map. In the map 210 of FIG. 3, a blank area is defined between a portion marked black in (10, 5) to (10, 14) and a portion marked black in (13, 5) to (13, 14) of the moving walk. In the case of determining the area, the area that cannot be enter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sensed near the entrance and exit areas thereof.

즉, 로봇의 제어부(900)는 수신된 제1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을 산출하기 위해, 맵 저장부(200) 또는 저장된 맵을 이용하여 제1영역 주변에 고정된 구조물이 배치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구조물의 길이가 설정된 기준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입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진입 확률은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기준이 된다. That is, the controller 900 of the robot determines whether a fixed structure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area by using the map storage unit 200 or the stored map to calculate a probability of entering the received first area. Then, by checking whether the length of the identified struc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refere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region is an inaccessible region and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entry. An entry probability is a criterion for identifying an entry possible area.

진입 확률은 0에서 10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 로봇이 주행하면서 맵 저장부(200)에 벽이나 유리와 같은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대한 진입 확률이 10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센싱모듈(100)이 센싱한 값에 따라 해당 영역에 대한 진입확률을 줄일 수 있다. 각 센서들에 가중치를 제공할 수 있는데, 센싱모듈(100) 중에서 측면 센싱부(110)가 포스트빔 구조물에서 전송한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진입 확률을 -50으로 하고, 뎁스 센싱부(130)가 포스트빔 구조물을 센싱하는 경우 진입 확률을 -20으로 하고, 하면 센싱부(120)가 하면의 재질이 금속과 같은 물질로 재질변경이 발생하면 -2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가 전술한 센싱모듈(100)에서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로 산출한 영역을 맵 저장부(200)와 비교하여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벽이나 유리 등이 배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진입확률을 0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로봇이 해당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이를 토대로 진입확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The entry probability may have a value from 0 to 100.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structure such as a wall or glass in the map storage unit 200 while the robot is driving, the entry probability for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100. Then, according to the value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00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entry into the area. Each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When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st beam structure is received by the side sensing unit 110 among the sensing modules 100, the entrance probability is set to −5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is provided. When the post beam structure is sensed), the probability of entry is -20, and when the material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1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the material change may be -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0 compares the area calculated as a candidate of the inaccessible area by the sensing module 100 with the map storage unit 200 to arrange a wall or glass for estimating the presence of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If it is confirmed, the probability of entry can be zero. Alternatively, if another robo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area, the probability of entry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is.

정리하면, 센싱된 정보들 중에서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주어서 센싱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나 포스트 빔 구조물이 전혀 센싱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면 재질만 변경된 경우 진입 불가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900)는 진입 확률을 낮은 값 또는 0으로 설정하지 않는다. In summary, the sensed information may be selected by giving priority or weight among the sensed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infrared signal or the post beam structure is not sensed at all, it may not be determined as an inaccessible area when only the material is chang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900 does not set the entry probability to a low value or zero.

또한, 제어부(900)는 센싱모듈(100)이 적외선 신호, 하면 재질 변경, 포스트 빔 구조물 등이 센싱된 결과를 제공하면 우선적으로 로봇의 속도를 낮추면서 보다 정확하게 주변을 센싱하도록 이동부(300)와 센싱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module 100 provides a result of sensing an infrared signal, a lower surface material change, a post beam structure, and the like, the moving unit 300 may sense the surroundings more accurately while lowering the speed of the robot first. And the sensing module 100 can be controlled.

전술한 판별 과정을 통하여 제어부(900)가 진입 불가영역, 예를 들어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라고 판단한 경우 로봇의 동작을 제어한다(S745). 예를 들어, 청소 로봇이며 물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진행 중인 경우, 이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먼지나 쓰레기를 흡입하는 청소를 진행 중인 경우,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흡입압을 조절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unit 900 determines that it is an entry impossible area, for example,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through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robot is controlled (S745). For example, if you are a cleaning robot and you are cleaning with a mop, you can stop it. In addition, when cleaning to inhale dust or garbage, the suction pressure can be adjusted so as not to affect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그리고 로봇이 진입 불가 영역을 회피하도록 이동부(300)를 제어한다(S750). 또한, 해당 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이라는 정보를 맵에 업데이트한다(S760). Then, the robot controls the moving unit 300 to avoid an entry impossible area (S75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s updated on the map that the corresponding area is an inaccessible area (S760).

반면,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로봇의 동작을 유지한다(S770). 이 과정에서 로봇의 속도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변화가 발생할 경우(S773), 이동부(300)는 속도 변화를 제어부(900)에게 통지한다(S775). 예를 들어, 무빙워크의 내부로 진입할 경우, 무빙워크의 역주행 또는 정주행 상황에 따라 로봇의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빨라질 수 있다. 이에 제어부(900)는 로봇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센싱모듈(100)을 통해 주변 정보를 센싱한다(S777). 이후 앞서 살펴본 S721 내지 S740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not determined as a moving walk or escalator maintains the operation of the robot (S770). In this process, if an abnormal change in the speed of the robot occurs (S773), the moving unit 300 notifies the control unit 900 of the speed change (S775).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inside of the moving walk, the speed of the robot may be suddenly slowed down or accelerated depending on the reverse driving or constant driving situation of the moving walk. In response, the controller 900 stops driving of the robot and senses the surrounding information through the sensing module 100 (S777). Thereafter,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S721 to S740 may be performed.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공항, 터미널, 병원 등과 같이 대면적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인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에 배치된 IR 센서를 이용하여 로봇이 진입할 수 없는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로봇은 하면 센싱부(120)와 뎁스 센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robot can not enter the area by using an IR sensor disposed on a moving walk, an escalator, or a structure arranged in a large area such as an airport, a terminal, or a hospital.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the robot may include a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and a depth sensing unit 130.

한편, 전술한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양측 혹은 일측에 배치된 IR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측면 센싱부(110)를 로봇의 측면에 다수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측면 센싱부(110)가 로봇의 측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curatel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IR sensor dispos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above-mentioned moving walk or escalator, a plurality of side sensing unit 11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bot. Alternatively, the side sensing unit 110 may be disposed to move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robot.

도 4 내지 도 7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로봇(1000)의 센싱모듈(100)이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제1영역을 센싱하고(S112, S122, S132, S721, S722, S723), 센싱모듈(100)이 센싱한 제1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로봇(1000)의 제어부(900)에게 센싱한 값 및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S115, S125, S135, S731, S732, S733). 그리고 로봇(1000)의 제어부(900)는 제1영역에 대한 정보 및 맵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S157, S740)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을 산출한다. 진입 확률을 산출하는 실시예로는, 제1영역이 무빙워크이거나 에스컬레이터로 판단한 경우 진입 확률을 0 또는 매우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낮은 경우, 로봇(1000)의 제어부(900)는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S158, S760)한다. 4 to 7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nsing module 100 of the robot 1000 senses the first area disposed outside the robot (S112, S122, S132, S721, S722, S723), and the first area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00 enters the robo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ndidate corresponds to the impossible region, the sensor 900 transmits a value sensed to the controller 900 of the robot 1000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gion (S115, S125, S135, S731, S732, and S733). The controller 900 of the robot 1000 compa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rea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p (S157 and S740) and calculates an entry probability into the first area. In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the entry probability, when the first area is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the entry probability is set to 0 or a very low value. When the probability of entry into the first area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the controller 900 of the robot 100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rea in the map storage unit (S158 and S760).

진입 확률은 이전에 누적된 뎁스 센싱부(130)와 하면 센싱부(120)에서 제공한 센싱 정보가 진입 불가 영역으로 판단한 경우에 진입 확률의 값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뎁스 센싱부(130)와 하면 센싱부(120)에서 제공한 센싱 정보로는 진입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하였는데,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이는 진입 확률의 값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의 파장이나 주파수, 혹은 신호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포스트 빔 구조물에서 송신한 적외선 신호와 그렇지 않은 적외선 신호를 구별하여 이를 진입 확률의 값에 반영할 수 있다. The entrance probability may decrease the value of the entry probab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viously accumulated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ing unit 120 are not accessible. On the other h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is an accessible area. If an infrared signal is received, this may increase the value of the entry probability. In addition, by using the wavelength or frequency of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st beam structure and the other infrared signal may be distinguished and reflected in the entry probability valu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로봇(1000)의 측면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부(810a, 810b)는 측면 센싱부(110)의 일 실시예이다. 또한, 로봇(1000)의 하면에 배치된 하면 센싱부(120)는 로봇의 진행 방향의 바닥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로봇(1000)의 전면에 배치된 뎁스 센싱부(130)는 전면에 배치된 포스트 빔(890)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8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id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810a and 810b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bot 1000 are one embodiment of the side sensing unit 110.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bot 1000 may sense information on the floor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The depth sensing unit 13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bot 1000 may check the shape of the post beam 89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적외선 수광부(810a, 810b)는 포스트 빔(890)에 배치되는 적외선 송신부(891a, 891b)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적외선 신호가 수신될 경우, 포스트 빔(890)을 통과하는 것이므로, 제어부(900)에게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부(900)는 앞서 살펴본 과정에 따라 로봇의 주행을 중단하고 방향을 바꿀 수 있다. The infrared light receivers 810a and 810b may detect infrare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s 891a and 891b disposed in the post beam 890.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0 may provi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frared signal has been received, and the controller 900 may stop the driving of the robot and change its dire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적외선 수광부(810a, 810b)는 로봇(10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수광부(810a, 810b)는 상하로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810a and 810b may b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robot 1000. In addition, the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s 810a and 810b can variably adjust the position up and down.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진입 불가 영역을 판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로봇이 주행하는 방향을 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9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non-entrance area by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figure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travels.

도 9에서 로봇(1000)은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에 배치된 포스트 빔(890, 990)에 근접하여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먼저 뎁스 센싱부(130)가 진행 방향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뎁스를 산출한다. 그 결과, 동일한 뎁스를 가지는 사물이 포스트 빔의 형태(수직으로 길게 배치됨)로 확인되는 경우(930 참조),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900)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 9에서 로봇(1000)의 하면 센싱부(120)는 진행 방향의 바닥(901)의 재질을 센싱한다. 센싱된 정보 역시 제어부(900)에게 제공되거나, 혹은 센싱모듈(100)이 정보를 보유하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공된 정보와 현재 로봇(1000)이 주행 중인 영역의 특징을 맵(210)에서 확인하고 로봇의 동작 혹은 로봇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FIG. 9, the robot 1000 moves close to the post beams 890 and 990 disposed on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In this process, the depth sensing unit 130 first calculates the depth from the photographed image by photographing the moving direction with the camera. As a result, when the object having the same depth is identified in the form of a post beam (vertically disposed vertically) (see 930), the sens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900. Meanwhile, in FIG. 9,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of the robot 1000 senses the material of the bottom 901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sens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900 or the sensing module 100 may hold and determine the information. The controller 900 may check the provided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which the robot 1000 is currently traveling on the map 210 and adjust the operation of the robot or the moving speed of the robot.

도 10에서 로봇(1000)은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에 배치된 포스트 빔(890, 990)에 보다 근접하여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뎁스 센싱부(130)는 도 9에서 센싱된 영상(930)과 도 10에서 센싱된 영상(1030)을 비교한다. 즉, 제1뎁스 영상(930)과 제2뎁스 영상(1030)은 로봇(1000)의 주행 과정에서 저장되고, 저장된 두 개의 영상들(930, 1030)을 비교하여 센싱된 구조물이 보다 근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촬영된 영상(930)에서 확인된 구조물의 폭(w1)과 도 10에서 촬영된 영상(1030)에서 확인된 구조물의 폭(w2)이 상이하거나 w2가 w1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에서 촬영된 영상(930)에서 확인된 구조물의 높이(h1)와 도 10에서 촬영된 영상(1030)에서 확인된 구조물의 높이(h2)가 상이하거나 h2가 h1보다 클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카메라부(600)에서 촬영한 전방 이미지도 함께 비교할 수 있다. In FIG. 10, the robot 1000 moves closer to the post beams 890 and 990 disposed on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In this process, the depth sensing unit 130 compares the image 930 sensed in FIG. 9 with the image 1030 sensed in FIG. 10. That is, the first depth image 930 and the second depth image 1030 are stor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robot 1000, and compared with the stored two images 930 and 1030, the sensed structure is closer. You can check it. For example, the width w1 of the structure identified in the image 930 photographed in FIG. 9 and the width w2 of the structure identified in the image 1030 photographed in FIG. 10 may be different or w2 may be greater than w1. have. Similarly, the height h1 of the structure identified in the image 930 photographed in FIG. 9 and the height h2 of the structure identified in the image 1030 photographed in FIG. 10 may be different or h2 may be larger than h1. In this process, the front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600 may also be compared.

한편, 도 9에서 촬영된 영상(930)에서 확인된 구조물 사이의 거리(d1)와 도 10에서 촬영된 영상(1030)에서 확인된 구조물 사이의 거리(d2)가 이하거나 d2가 d1보다 클 수 있다. 뎁스 센싱부(130)에서 센싱한 정보는 센싱모듈(100) 내에서 저장하거나, 혹은 제어부(9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로봇(1000)의 하면 센싱부(120)는 진행 방향의 바닥의 재질을 센싱한다. 센싱된 정보 역시 제어부(900)에게 제공되거나, 혹은 센싱모듈(100)이 정보를 보유하고 판단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닥의 재질이 금속임이 유지된다는 센싱 정보를 센싱모듈(100)이 제어부(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공된 정보와 현재 로봇(1000)이 주행 중인 영역의 특징을 맵(210)에서 확인하고 로봇의 동작 혹은 로봇의 이동 속도를 도 9보다 낮추도록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tructures identified in the image 930 photographed in FIG. 9 and the structure d2 between the structures identified in the image 1030 photographed in FIG. 10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d1. hav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may be stored in the sensing module 100 or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00.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of the robot 1000 in Figure 10 senses the material of the bottom of the travel direction. The sens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900 or the sensing module 100 may hold and determine the information. As in FIG. 9, the sensing module 100 may provide the control unit 900 with sens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aterial of the floor is maintained as metal. The controller 900 may check the provided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which the robot 1000 is currently traveling on the map 210 and adjust the robot's operation or the robot's movement speed to be lower than that of FIG. 9.

도 9 및 도 10에서 로봇(1000)이 청소 로봇인 경우, 로봇은 청소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속도를 줄임으로써, 로봇이 진입 불가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하는 즉시 방향을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9 and 10, when the robot 1000 is a cleaning robot, the robot may maintain cleaning. However, by reducing the speed, the robot can turn in the direction immediately after confirming that the robot has entered an inaccessible area.

도 9 및 도 10의 영상은 뎁스 센싱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부(600)가 촬영한 영상을 도 9 및 도 10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의 영상이 뎁스 센싱부(130)가 촬영한 결과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의 영상이 카메라부(600)에서 촬영한 결과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의 영상은 카메라부(600) 및 뎁스 센싱부(130)가 촬영한 결과물을 조합한 것을 포함한다. The images of FIGS. 9 and 10 may show the results of depth sens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600 may be checked as shown in FIGS. 9 and 10.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FIGS. 9 and 10 includes a result photograph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FIGS. 9 and 10 includes a result captured by the camera unit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FIGS. 9 and 10 includes a combination of the result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60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도 11에서 로봇(1000)이 포스트 빔(890, 990) 사이를 통과하면서 포스트 빔(890, 990)의 적외선 송신부(891a, 891b)에서 송신한 적외선 신호가 로봇(1000)의 양측에 배치된 적외선 수광부(810a, 810c)에 수신되는 경우, 센싱모듈(100)은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정보를 제어부(900)에게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센싱모듈(100)은 이전의 뎁스 센싱부(130) 및 하면 센싱부(120)가 센싱한 정보를 함께 제어부(9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센싱모듈(100)은 지속적으로 뎁스 센싱부(130) 및 하면 센싱부(120)가 센싱한 정보를 제어부(900)에게 제공하고 제어부(900)는 누적된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In FIG. 11,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s 891a and 891b of the post beams 890 and 99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bot 1000 while the robot 1000 passes between the post beams 890 and 990. When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s 810a and 810c, the sensing module 100 provides the control unit 900 with information that an infrared signal has been received. In this process, the sensing module 100 may provide the control unit 900 with information previously sens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odule 100 continuously provides the control unit 900 with information sens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900 holds accumulated information. can do.

제어부(900)는 센싱모듈(100)로부터 제공된 정보와 맵(210)에서 확인되는 로봇의 위치 등을 종합하여, 진입 불가 영역인지를 확인하고,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진입 불가 영역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맵(210)에 저장하고, 로봇을 후진시켜 다른 곳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부(300)를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900)는 센싱모듈(100)로부터 적외선 센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주행을 곧 중단하고 진입 불가 영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900 checks whether the area is not accessible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module 100 and the location of the robot identified in the map 2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is not accessible, such as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The information about this is stored in the map 210, and the moving unit 300 is controlled to move the robot backward. Alternatively,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rared sensing is provided from the sensing module 100, the controller 900 may stop the driving soon and determine whether it is an entry impossible area.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맵 정보가 업데이트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과정을 통해 제어부(900)는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210에서 살펴본 맵은 도 12의 1210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1201 부분은 로봇(1000)이 도 9 내지 도 11의 과정을 진행하며 확인한 진입 불가 영역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updated map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rough 11, the control unit 900 may update the map. For example, the map described with reference to 210 of FIG. 3 may be updated to 1210 of FIG. 12. The portion 1201 is an inaccessible area that the robot 1000 checks while performing the processes of FIGS. 9 to 11.

한편, 제어부(900)는 1201의 영역이 진입 불가 영역이므로, 그 반대편인 1202 영역 역시 진입 불가 영역으로 맵(121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벽(혹은 유리)가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쪽이 개방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1201)이 진입 불가 영역으로 확인될 경우, 다른 한쪽의 개방된 영역도 진입 불가 영역으로 설정하여, 별도의 탐색 과정 없이도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진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의 구조가 상이하므로, 제어부(900)는 무빙워크의 벽으로 판단할 만큼의 벽의 길이 Length_MW가 무빙워크의 최소 길이로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5미터)보다 길거나 같을 경우에는 진입 불가 영역을 양측(1201, 1202)에 설정하고,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라도, 꼭대기 층 혹은 가장 낮은 층이 아니라면 에스컬레이터가 양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로봇(1000)이 배치된 층의 구조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로 판단되어도, 양쪽이 개방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1201)이 진입 불가 영역으로 확인될 경우, 다른 한쪽의 개방된 영역도 진입 불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900 may update the map 1210 as an inaccessible area, because the area of 1201 is an inaccessible area. That is, when two walls (or glas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one of the areas where both sides are open is identified as an inaccessible area, the other open area is also set as an inaccessible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entry into moving walks or escalators without a separate search process. However, since the structures of the escalator and the moving walk are different, the control unit 900 may have a length Length MW of the wall as long as the wall of the moving walk is longer than or equal to a length (for example, 5 meters) set as the minimum length of the moving walk. In this case, the inaccessible areas may be set at both sides 1201 and 1202, and if not, it may be determined as an escalator. In addition, even if the escalator is not the top floor or the lowest floor, the escalator may be arranged in both directions, so even if it is determined as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loor in which the robot 1000 is arranged, any one area 1201 of the open area is open. ) Is identified as an inaccessible area, the other open area may also be set as an inaccessible area.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를 로봇의 일측면에 다수 배치한 도면이다. 로봇(1000)의 측면에는 4개의 적외선 수신부들(1310a~1310d)이 배치되어 있다. 로봇(1000)의 전면에는 하면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적외선 수신부들(1310a~1310d)이 측면 센싱부(1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적외선 수신부들(1310a~1310d)은 높이가 상이한 포스트 빔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로봇(1000)의 하단에는 이동부(1330a, 1330b)가 배치되어 로봇을 이동시킨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side sensing units disposed on one sid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our infrared receivers 1310a to 1310d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bot 1000.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bot 1000. Four infrared receivers 1310a to 1310d may constitute the side sensing unit 110, and these infrared receivers 1310a to 1310d may receive infrared signals of post beams having different heights. At the lower end of the robot 1000, moving units 1330a and 1330b are disposed to move the robot.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측면 센싱부의 높이와 방향을 조절하는 도면이다. 로봇(1000)의 측면에는 2개의 적외선 수신부들(1410a, 1410b)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적외선 수신부들(1410a, 1410b) 모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확대하여 살펴보면, 적외선 수신부(1410a)를 1480과 같이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1420a)에 적외선 수신부(1410a)가 결합되어 있다. 14 is a view of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id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infrared receivers 1410a and 1410b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obot 1000. Both of these infrared receivers 1410a and 1410b can move up and down. In an enlarged manner, the infrared receiver 1410a is coupled to the moving support 1420a for moving the infrared receiver 1410a up and down as shown in 1480.

일 실시예로 하면 센싱부(120) 또는 뎁스 센싱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싱부에서 진입 불가한 영역으로 판단하였으나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로봇(1000)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적외선 수신부들(1410a, 1410b)을 상하로 이동시켜 적외선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이는 적외선 신호가 송신되는 위치가 상이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로봇(1000)이 측면 센싱부(110)를 구성하는 적외선 수신부들(1410a, 1410b)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sensing unit 120 or the depth sensing unit 130 is inaccessible but the infrared signal is not received, the infrared receivers are simultaneously moved while moving the robot 1000 back and forth. The infrared signals may be sensed by moving the 1410a and 1410b up and down. This may include the robot 1000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infrared receivers 1410a and 1410b constituting the side sensing unit 110 when the positions where the infrared signals are transmitted are differen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센싱부(110)는 포스트빔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잘 수신할 수 있도록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측면 센싱부(110)가 1490과 같이 좌우로 각도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side sensing unit 110 may adjust the up and down angles so that the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st beam may be well received. 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side sensing unit 110 may move an angle from side to side, such as 1490.

맵과 뎁스 센싱부(130), 하면 센싱부(120) 등에서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가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에 로봇(1000)이 근접하여 이동하는 경우, 적외선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센싱하기 위해 측면 센싱부(110)의 전후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robot 1000 moves closer to the area where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is estimated to be disposed in the map, the depth sensing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sensing unit 120, the side sensing unit may sense the infrared signal more accurately. It can be adjusted before or after 110.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서버 또는 인접한 로봇 사이에 통신을 통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로봇의 제어부(900)가 맵 저장부(200)에 진입 불가 영역으로 식별된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로봇의 통신부(500)를 이용하여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서버가 다수의 로봇들로부터 취합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진입 불가 영역은 앞서 도 3 및 도 12에서 살펴본 좌표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haring information on a non-ent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 server or an adjacent robot. FIG. 1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troller 900 of the robo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first area, which is identified as an inaccessible area to the map storage 200, to another robot or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500 of the robot. In this process, the server may perform a download transfer of information about an entry impossible area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rob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on-accessible area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12.

서버(2000)는 다수의 로봇들(1000a, ..., 1000z)에게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S1501, S1502) 송신한다. 로봇들(1000a, ..., 1000z)은 수신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 저장부(200)에 업데이트한다. 서버(2000)는 다수의 로봇들(1000a, ..., 1000z)이 전송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중복하여 센싱된 정보는 새로이 업데이트 하여 하나의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The server 2000 transmits information (S1501, S1502) about the entry impossible area to the plurality of robots 1000a, ..., 1000z. The robots 1000a,..., 1000z update the received map information in the map storage unit 200. The server 2000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inaccessible area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robots 1000a, ..., 1000z, and updates the information sensed in duplicate at the same location by newly updating the information on one inaccessible area. Can be stored as

이후 로봇들(1000a, ..., 1000z)은 주행 과정에서 진입 불가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510, S1520). 일 실시예로 각 로봇이 보유하는 맵 저장부(200)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로봇 중에서 인접하여 위치하는 로봇 사이에게 새로이 습득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이를 공유하는 쉐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S1515). 이때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의 쉐어링은 일정한 범위 내에 근접해있는 로봇들에게만 한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로봇 이후에 해당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예정된 로봇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robots 1000a,..., 1000z update the non-entrance area information during the driving process (S1510, S1520). In one embodiment, it includes updating the information of the map storage unit 200 held by each robot.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a newly acquired non-accessible area may be transmitted to or shared between robot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S1515). At this time, the sharing of information on the inaccessible area may be provided only to robots that are in close proximity to a certain range. Alternatively, moving to the space after the robot may be provided to the predetermined robot.

그리고 각각의 로봇들(1000a, ..., 1000z)은 주행 중 취득한 진입 불가 영역 정보를 서버로 업로드(S1511, S1521) 송신한다. Each of the robots 1000a,..., 1000z uploads non-entrance area information acquired while driving to the server (S1511, S1521).

서버(2000)는 수신한 진입 불가 영역 정보를 업데이트 하며(S1530) 이 과정에서 중복된 정보를 하나의 객체에 대한 정보로 정리하여 새로운 진입 불가 영역 정보를 다수의 로봇들(1000a, ..., 1000z)에게 다운로드한다(S1531, S1532). 진입 불가 영역 정보를 다운로드 과정에서는 맵에 대한 변동 정보도 함께 다운로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rver 2000 updates the received non-entrance area information (S1530). In this process, the duplicated information is organized into information about one object, and new robots do not enter the area information. 1000z) (S1531, S1532). In the downloading process, the non-entrance area information may be downloaded along with the variation information on the map.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제어부가 맵을 이용하여 진입 불가 영역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하여 로봇이 1601로 지시되는 영역에서 센싱모듈(100)의 센싱된 값들 혹은 카메라부(600)의 촬영된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가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맵에서는 길게 배치된 벽 사이의 개방된 공간이 진입 불가한 영역이므로 그 반대편인 1602 영역도 진입 불가능한 영역으로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16 is a diagram in which a controller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non-entry area using a map.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is arranged using the sensed values of the sensing module 100 or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amera unit 600 in the area indicated by the robot 1601. . In this case, since the open space between the long walls is not accessible, the map 1602 may be updated to an unaccessible area.

뿐만 아니라, 무빙워크가 이어져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사한 형태로 벽이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1605 영역에 대해서도 무빙워크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1605의 진입/진출 영역(1603, 1604) 모두 진입 불가능한 영역으로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ving walk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ving walk may be determined for the area 1605 where the wall is determined to be installed in a similar manner. In this case, all of the entry / exit areas 1603 and 1604 of 1605 may update the map.

따라서, 로봇(1000)이 무빙워크의 주변을 탐색하지 않아도, 어느 한 영역에서 무빙워크임을 확인하고 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로봇(1000)이 1601에서 무빙워크를 센싱하지 못하여 1601을 통과하여 무빙워크로 진입할 경우, 로봇의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빨라짐을 감지하면 해당 구간을 맵에서 확인하고 1601 및 1602를 진입 불가 영역으로 등록한다. 또한 연달아 배치되는 1605 영역 역시 맵에 기반하여 무빙워크가 배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1602에서 진출하면 속도를 줄이면서 우회하여 회피하거나 보다 상세히 1605의 공간에 대해 센싱을 수행할 수있다. Therefore, even if the robot 1000 does not search the periphery of the moving walk, the robot 1000 may check the moving walk and update the map. In addition, when the robot 1000 does not sense the moving walk at 1601 and passes through the 1601 to enter the moving walk, when the robot suddenly detects a slow or fast speed, the robot 1000 checks the corresponding section and enters 1601 and 1602. Register as an invalid area. In addition, the 1605 areas that are arranged in succession are also determined to have a moving walk based on a map, and when the vehicle moves to 1602, the 1605 areas may be detoured while avoiding speed, or the sensing of the 1605 space may be performed in more detail.

한편 도 16에서 로봇(1000)은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입과 진출 사이의 거리가 크지 않은 경우, 이를 에스컬레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1000)은 무빙워크에 대해서는 청소 혹은 보안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빙워크가 동작하지 않거나, 사람이 없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점에 무빙워크로 진입하여 청소 혹은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맵 상에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를 달리 저장할 수 있다. 즉, 에스컬레이터는 진입이 불가능한 곳으로, 무빙워크는 진입가능시간이 별도로 있는 것으로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16, the robot 1000 may distinguish a moving walk and an escalator.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entry and exit is not large, it may be determined as an escalator. In this case, the robot 1000 may perform a function for cleaning or security on the moving walk. For example, the moving walk does not operate or a moving walk is performed by using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re is no person. You can enter to perform cleaning or security functions. Therefore, the moving walk and the escalator may be stored differently on the map. That is, the escalator is a place where entry is impossible, and the moving walk may be stored as a separate entry time.

한편, 포스트빔과 같은 구조물 외에도,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를 구별하고, 전술한 무빙워크만 선별적으로 청소/보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뎁스 센싱부(130)는 상행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전방에 벽이 배치된 것으로 센싱할 수 있고, 하행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전방이 아무 것도 없는 것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이 정보와 에스컬레이터를 구성하는 측면 벽의 길이를 이용하여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를 구분하여 맵에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a structure such as a post beam, the depth sensing unit 130 may be used to distinguish the moving walk and the escalator, and only the moving walk may be selectively cleaned / secured. The depth sensing unit 130 may sense that the wall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 escalator, and sense that there is nothing in the front of the down escalator. Using this information and the length of the side walls that make up the escalator, the moving walk and the escalator can be distinguished and stored in the map.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전술한 맵 저장부(200)에 저장되는 맵이 라이다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벽과 유리를 이용하여 생성된 고정된 구조물만을 기준으로 로봇(1000)이 이동할 경우, 본 발명의 센싱모듈(100)은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를 식별하므로 그 결과, 로봇이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로봇이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로 진입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로봇의 손상 또는 로봇에 사람이 상해를 입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공항, 터미널, 항구, 기차역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장소에 있는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에 청소로봇, 안내로봇과 같은 자율 주행 로봇이 진입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p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map storage unit 200 is configured with a lidar sensor, when the robot 1000 moves based only on a fixed structure generated using walls and glass, The sensing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moving walk and the escalator, and as a result, the robot does not en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robot caused by the robot entering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or an accident of human injury to the robot. In particula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 autonomous robot such as a cleaning robot or a guide robot may not enter the moving walk or escalator in a place where many people come and go, such as an airport, a terminal, a port, a train st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로봇의 진입 불가 영역인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과 같은 영역에 배치된 인체 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혹은 맵을 이용하여 무빙워크나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을 제어하는 것에 보다 정확성을 제공하고, 맵의 오류 혹은 맵이 유실되는 문제, 이미지 센서의 오작동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센싱부들(110, 120, 130)를 적용하여 로봇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으며 로봇의 이동에 정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robot may be controlled by using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disposed in an area, such as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 which is an inaccessible area of the robot. In addition, various sensing units 110 and 120 provide more accuracy in controlling entry to a moving walk or escalator by using an image or a map, and prepare for an error of a map or a loss of a map or a malfunction of an image sensor. , 130) to control the entry of the robot and can increase the accuracy and stability in the movement of the robot.

특히,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로봇이 맵을 작성하고 업데이트 할 뿐만 아니라, 진입이 불가능한 영역에 대해서도 로봇이 자동으로 판단하여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항, 항만, 터미널, 기차역과 같이 대규모로 사람들이 이동하는 공간에서는 무빙워크와 에스컬레이터가 반드시 배치되어 있으며, 이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로봇이 진입하지 않도록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robot may not only create and update a map, but also control the robot not to enter the moving walk or the escalator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a region that cannot be entered. Moving spaces and escalators are necessarily arranged in large-scale people moving spaces such as airports, harbors, terminals, and train st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ccurately determine this and prevent robots from enter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ll th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selectively.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 storage medium including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semiconductor recording element.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modul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an external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the level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센싱모듈 110, 810: 측면 센싱부
120: 하면 센싱부 130: 뎁스 센싱부
200: 맵 저장부 500: 통신부
600: 카메라부 900: 제어부
1000: 로봇
100: sensing module 110, 810: side sensing unit
120: lower surface sensing unit 130: depth sensing unit
200: map storage unit 500: communication unit
600: camera unit 900: control unit
1000: robot

Claims (13)

로봇의 센싱모듈이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제1영역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모듈이 상기 센싱한 제1영역이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 중 어느 하나인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로봇의 제어부에게 센싱한 값 및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정보 및 맵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모듈의 측면 센싱부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인체 감지 센서에서 송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외선 신호의 유효성을 센싱 데이터 분석부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Sensing, by the sensing module of the robot, a first area disposed outside the robot;
If the sensing module determines that the sensed first area corresponds to a candidate of an inaccessible area that is one of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transmitting a value sensed to the controller of the robot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area; ;
Calculating, by the controller of the robot, an entry probability into the first area by compa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rea and information stored in a map storage unit; And
If the probability of entry into the first region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the controller of the robot includes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gion in a map storage unit,
The sensing step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a human body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area by a side sensing unit of the sensing module; And
And determining, by the sensing data analyzer, the validity of the infrared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수신한 적외선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인체 감지 센서에서 송신한 유효한 적외선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rmining step
The sensing data analyzer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is a valid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man body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모듈의 뎁스 센싱부가 상기 제1영역의 구조물의 뎁스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에서 센싱된 구조물의 뎁스에서 포스트 빔의 센싱 여부를 상기 센싱 데이터 분석부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빔은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와 같이 진입 불가 영역의 진입부 또는 진출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step
Sensing a depth of a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by a depth sensing unit of the sensing module; And
The sensing data analyzer determines whether the post beam is sensed at the depth of the structure sensed in the first area, wherein the post beam is one of the entrance part or the exit part of the inaccessible area such as an escalator and a moving walk. Or a structure consisting of two pilla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뎁스 센싱부가 제1시점에서 두 개의 포스트 빔의 제1뎁스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뎁스 센싱부가 제2시점에서 상기 두 개의 포스트 빔의 제2뎁스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뎁스 영상과 상기 제2뎁스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두 개의 포스트 빔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rmining step,
Storing, by the depth sensing unit, first depth images of two post beams at a first time point;
Storing, by the depth sensing unit, second depth images of the two post beams at a second time point; And
And comparing the first depth image with the second depth image and determining that the two depths are close to the two post bea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모듈의 하면 센싱부가 상기 진입 불가 영역의 바닥에 배치된 금속 재질을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nsing the metal material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non-entry area of the sensing module, the sensing module, the accessible area of the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봇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의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oring in the map storage unit, the controller of the robot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first area to another robot or a server by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robot. How to.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제1영역이 무빙워크 또는 에스컬레이터 중 어느 하나인 진입 불가 영역의 후보에 해당하는지를 센싱 및 판단하고 센싱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싱모듈;
상기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로봇의 이동에 필요한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 및
상기 센싱모듈, 상기 이동부, 상기 맵 저장부를 제어하며 상기 센싱모듈이 제공하는 정보 및 상기 맵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을 산출하여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인체 감지 센서에서 송신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측면 센싱부; 및
상기 적외선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센싱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A sensing module configured to sense an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region disposed outside the robot corresponds to a candidate of the entry impossible region, which is either a moving walk or an escalator, and provide sensing information;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robot;
A map storage unit for storing a map required for movement of the robo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by controlling the sensing module, the moving unit, and the map storage unit, calculating the probability of entry into the first area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ing module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Include,
The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side sens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a human body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And a sensing data analyz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infrared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으로의 진입 확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영역에 대한 정보가 상기 맵 저장부에 저장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area is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when the probability of entry into the first area is lower than a preset criter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수신한 적외선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인체 감지 센서에서 송신한 유효한 적외선 신호인지 판단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ing data analysis unit identifies the accessible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is a valid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man body sens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제1영역의 구조물의 뎁스를 센싱하는 뎁스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제1영역에서 센싱된 구조물의 뎁스에서 포스트 빔의 센싱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포스트 빔은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와 같이 진입 불가 영역의 진입부 또는 진출부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depth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depth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gion,
The sensing data analyzer determines whether the post beam is sensed at the depth of the structure sensed in the first region,
The post beam is a robot for identifying the accessible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consisting of one or two pillars in the entrance or exit of the entry-free area, such as the escalator and moving wal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뎁스 센싱부가 제1시점에서 저장한 두 개의 포스트 빔의 제1뎁스 영상과 제2시점에서 저장한 상기 두 개의 포스트 빔의 제2뎁스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두 개의 포스트 빔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nsing data analysis unit
The depth sensing unit compares the first depth image of the two post beams stored at the first time point with the second depth image of the two post beams stored at the second time point and determines that the two depths are close to the two post beams. , Robot identifying the accessible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진입 불가 영역의 바닥에 배치된 금속 재질을 센싱하는 하면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 metal material disposed on a bottom of the inaccessible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맵 저장부에 저장된 진입 불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로봇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진입 가능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of the robot identifies the accessible area, which is controlled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robot so as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entry impossible area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to another robot or a server.



KR1020170012253A 2017-01-25 2017-01-25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KR102012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53A KR102012548B1 (en) 2017-01-25 2017-01-25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53A KR102012548B1 (en) 2017-01-25 2017-01-25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68A KR20180087768A (en) 2018-08-02
KR102012548B1 true KR102012548B1 (en) 2019-08-20

Family

ID=6325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53A KR102012548B1 (en) 2017-01-25 2017-01-25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5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77A1 (en) * 2020-08-27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rob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3605A1 (en) * 2018-12-11 2020-06-18 Brain Corporatio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cting escalators
KR102302239B1 (en) * 2019-07-18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cart-robot in restricted area and cart-robot of implementing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340A (en) * 2002-07-01 2004-02-0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Robot vacuum cleaner and robot vacuum cleaner control program
JP2007041656A (en) 2005-07-29 2007-02-15 Sony Corp Moving body control method, and moving body
KR101487684B1 (en) 2013-11-2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leaning sta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987B1 (en) * 1993-11-29 1995-10-24 엘지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running of auto-run deaner for avoiding obstacles
KR20020080900A (en) * 2001-04-18 2002-10-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Obstacle detecting apparatus of robot cleaner and method therefor
KR20110046291A (en) * 2009-10-26 2011-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obot driving method and device
KR101641232B1 (en) * 2009-11-16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641244B1 (en) * 2010-02-02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044768A (en) * 2010-10-28 2012-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864322B1 (en) * 2013-07-23 2018-06-04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Robot control system
KR102326479B1 (en) * 2015-04-16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340A (en) * 2002-07-01 2004-02-0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Robot vacuum cleaner and robot vacuum cleaner control program
JP2007041656A (en) 2005-07-29 2007-02-15 Sony Corp Moving body control method, and moving body
KR101487684B1 (en) 2013-11-21 2015-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leaning st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77A1 (en) * 2020-08-27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68A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37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US10948913B2 (en) Method of identifying unexpected obstacle and robot implementing the method
JP66720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device
KR102326077B1 (en) Method of identifying movable obstacle in 3-dimensional space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KR102461938B1 (en) Method of identifying obstacle on a driving surface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US20180210448A1 (en) Method of identifying functional region in 3-dimensional space, and robot implementing the method
JP4802112B2 (en) Tracking method and tracking device
US10783363B2 (en) Method of creating map by identifying moving object, and robot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754407B1 (en) Car parking incoming and outgoing control system
KR102012548B1 (en) Method of identifying enterable region of robo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JP4368317B2 (en) Mobile robot
JPWO2011064821A1 (en) Autonomous mobile bod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30996B2 (en) Mobile robot
CN105137994A (en) Robot obstac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0657915B1 (en) Corn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14370881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bstacle and sensor subsystem thereof
KR20220055167A (en) Autonomous robot, world map management server of autonomous robot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using the same
JP4411248B2 (en) Mobile surveillance robot
CN111538338B (en) Robot welt mo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2347876A (en) Obstacl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TOF camera and cleaning robot
KR20180031153A (en) Airport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server connected thereto
KR102329674B1 (en) Method of configuring position based on identification of fixed object and moving objec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US11774983B1 (en) Autonomous platform guidance systems with unknown environment mapping
KR102420090B1 (en) Method of drawing map by identifying moving objec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KR102135369B1 (en) Distance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