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193A -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193A
KR20210156193A KR1020210011624A KR20210011624A KR20210156193A KR 20210156193 A KR20210156193 A KR 20210156193A KR 1020210011624 A KR1020210011624 A KR 1020210011624A KR 20210011624 A KR20210011624 A KR 20210011624A KR 20210156193 A KR20210156193 A KR 20210156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user
location
evacu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3262B1 (en
Inventor
박영심
Original Assignee
박영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심 filed Critical 박영심
Publication of KR2021015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isaster evacu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provided are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and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have difficulty evacuating immediately when a disaster such as an unexpected fire, earthquake or the like occurs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building or the like, or f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securing visi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ublic or visually impaired person located in a building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executes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to a control room, by provi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on the building drawing of the building, the user is allowed to quickly evacuated from the disaster site.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및 이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본 발명은 재난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등의 실내 공간에서 예기치 못한 화재, 지진 등의 재난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피가 어려운 시각 장애인 또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및 이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evacu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and disaster evacuation thereof for the visually impaired or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securing visibility when an unexpected fire or earthquake occurs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building It relates to a service provision method.

일반적으로, 화재 등의 비상시를 대비하여 지하철이나 지하도, 학교, 병원,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각종 건물에는 각종 건물의 출입구나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비상구 유도등 등의 대비 안내 수단이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in preparation for emergencies such as fire, in various building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subways, underpasses, schools, hospitals, department stores, etc., preparation guide means such as emergency exit guidance lamps for guiding the entrances and exits of various buildings are compulsory. has been

그러나,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고온의 연기는 건물내의 공간에서 위쪽부터 차게 되고, 산소는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있어 연기나 화염에 의해 위급한 상황에 처한 상태에서 대피자들은 벽이나 높은 문 위에 부착된 유도등을 볼 수 없는 상황임에 따라, 비상구 유도등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시야가 불편한 시각 장애인 등은 유도등의 식별에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되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However,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the high-temperature smoke fills up from the top in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and oxygen is located downward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see the guidance lamps that have been installed,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s of the emergency exit guidance lamps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visually impaired, etc., who have difficulty in vision, may have mor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guidance lights, and may cause great damage by not recognizing them properly.

또한, 대피자의 위치정보와 건물내 화재 발생 장소에 대한 정보가 상호 연관성이 결여되어 효율적인 대피를 보장할 수 없음에 따라, 탈출구를 향하며 이동하는 경로가 재난 발생지점을 경유하는 경로가 될 수 있으므로 대피 경로를 제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고, 일반적인 시설물 이용자들이 자신의 대피 경로를 충분히 숙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ee and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ire in the building are not correlated with each other, efficient evacuation cannot be guaranteed. It cannot be said to be an effective method of suggesting an evacuation rout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for general facility users to fully understand their own evacuation route.

이러한 재난 대피 시스템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466호는 행사장이나 대형백화점 또는 공공기관에 있는 고객을 감지하여 고객의 위치좌표 및 이동방향 등의 고객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측위기기와, 위치 측위기기에서 고객의 정보를 수신 받아 분석 및 보관하고, 위치 측위기기를 통해 공공장소와 같은 공간 전체에 있는 고객의 정보를 통제하는 서버를 구비하고, 서버로부터 분석받은 정보를 수신받아 비상구로 분산유도 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such a disaster evacuation system,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6466 discloses a location measuring device that detects customers in an event hall, large department store, or public institution and collects customer information such as the customer's location coordinates and direction of movement. , having a server that receives, analyzes and stores customer information from a positioning device, controls customer information in the entire space, such as a public place, through a positioning device, and receives the analyz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goes to the emergency exit Disclosed are the contents of an application configured to induce dispers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시각 장애인이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사람은 긴박한 상황에서 화면의 안내 내용을 확인하는 것과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며 이에 신속한 대피가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 if the user has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he visually impaired or a person having difficulty in securing a field of view has difficulty in checking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in an urgent situa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evacuation is not easy.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466호(공개일자: 2016.08.16.)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6466 (published date: 2016.08.1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재난 이 발생한 건물 내 층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해당 층의 피난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의 탈출을 돕는 동시에, 구조자의 단말기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구조활동에 도움을 주는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floor in the building where the disaster has occurred to the server, and transmits the evacu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loor received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o enable the user to escap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task to provide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that helps rescue activities by transmitt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scuer's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긴급상황에서 주변상황과 사용자 단말의 식별 및 조작이 어려운 시각 장애인이 어플리케이션을 즉시 실행하고 피난 상황실에 지시를 받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 및 절차에 따른 피난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체계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vac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utomatic execution and procedure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who has difficulty in identifying and operat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the user terminal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immediately execute the application and quickly escape by receiving instructions from the evacuation control room. Another challenge is to provide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that provides a simple yet structured interface that can be printed.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은,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신호를 획득하여 건물 내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재난 발생시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물 내 긴급상황 발생을 접수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건물의 각 층별 건물도면에 매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위치에 따른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신하는 상황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obtains the location signal, calculat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a building, and when a disaster occurs One or more user terminals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nd receiv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within the building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ituation room server that maps to the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determine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returns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GPS 장치가 수신한 위치신호 또는, 건물 내 설치되고 복수의 비콘 단말이 송출하는 위치신호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 location signal received by a GPS devic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or a location signal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하나 이상의 가상버튼 및 물리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 실행부,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실 연동부 및 상기 가상버튼이 구현되는 터치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피난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one or more virtual buttons and physical buttons, an input unit receiving a user's operation, and evacuation of the disaster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on the input unit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that executes an application,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acquires the location signal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ccesses the situation room server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o request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room interlock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touch display on which the virtual button is implemented, and a screen providing unit for displaying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on a screen.

상기 사용자는 일반인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상기 입력부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자동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s classified as either a general user or a visually impaired user, and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when a special operation specified in advance by the user is inputted to the input unit,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It may further include an execution unit.

상기 사용자는 일반인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동일 건물에 등록된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과 단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난 발생이 접수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그룹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s classified as either a general user or a visually impaired user, and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forms a terminal group with other user terminals of other users registered in the same building, and the other user terminals When a disaster occurrence is received by , it may further include a grouping unit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상기 상황실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건물에 대한 재난 발생 접수 요청시 해당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장소로 등록하는 재난 접수부, 재난 관리 대상인 다수의 건물 및 각 층별 건물도면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위치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는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tuation room server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 disaster reception unit that registers the building and disaster occurrence area as a disaster site when a disaster occurrence request for a specific building is requested from the connected user terminal;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each floor through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s subject to disaster management and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are stored,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building registered as a disaster site, and the location determination Path to create an evacuation route by matching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ed by the department and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and connec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emergency exit and the building exit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 to the shortest distance to avoid the disaster area It may include a generator.

상기 상황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난 대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등록을 요청받고, 위치정보 및 재난 발생 장소를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 및 상기 재난 발생 장소 내부 또는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구조자 단말에 재난 장소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출동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tuation room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user registration for the disaster evacuation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register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and a disaster location, and at least one rescuer terminal located inside or adjacent to the disaster location as a disaster lo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atch request unit for requesting the dispatch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에 의한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황실 서버가 접수된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발생 장소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상황실 서버가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실 서버가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는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실 서버가 상기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by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user terminal executing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urrently obtaining a location signal for a location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ntrol room server to request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registering as a disaster location, the situation room serve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each floor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building registered as a disaster location, and each user determined by the situation room server Creating an evacuation route by match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with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and connec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emergency exit and the building exit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 with the shortest distance to avoid the disaster area, and the situation room server is the evacuation It may include transmitting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입력부에 사용자에 의한 미리 지정된 특수 조작이 입력되면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includes,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when a predetermined special operation is input by the user into the input unit can do.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동일 건물에 등록된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과 단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난 발생이 접수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manipulation,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forms a terminal group with other user terminals of other users registered in the same building, and the other user terminals When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is received by , the method may include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탑재된 GPS 장치를 통해 위치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건물 내 설치되고 복수의 비콘 단말이 송출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btaining a location signal for the current location by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receiving a location signal through a mounted GPS device, or receiving a location signal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may include steps.

상기 상황실 서버가 상기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황실 서버가 상기 재난 발생 장소 내부 또는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구조자 단말에 재난 장소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ituation room server transmits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 situation room server requests one or more rescuer terminals located inside or adjacent to the disaster site to dispatch to the disaster site.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 위치한 일반인 또는 시각 장애인이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상황실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건물의 건물도면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피난경로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게 재난 장소에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ublic or visually impaired person located in a building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executes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ituation room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building drawing of the building. By providing the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 in real tim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evacuate from the disaster site.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인 이외에도 시야가 불편한 시각 장애인이 미리 지정된 제스처에 따라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그룹화된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한 재난 발생 접수에 의해 자동으로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직관적인 UI를 제공함으로써 피난 상황실에 지시를 받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uitive UI tha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execute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 pre-specified gesture in addition to the general public, or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by receiving a disaster occurrence by other grouped user terminals. It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minimizing human casualties by providing prompt evacuation by receiving instructions from the evacuation control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전체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상황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에 의한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화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nection structure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ituation room server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by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by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server" and "...system"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Meaning, it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embodiment" is meant to serve as an illustration, example, or illustration, but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examples. Also, although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and other similar terms are used, when used in the claims, "comprising" is an open transition word that does not exclude any additional or other elements. It can be used generically in a manner similar to the term "Comprising".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where appropriat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Server" and "...System" likewise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i.e. hardware ,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in execution may be treated as equivalent. In addition, each function executed in th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module units,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may be recorded while being dispers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recording media.

이하의 설명에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고,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용어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약식 표시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may be abbreviated as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or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erm of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application" " may be abbreviated as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및 이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a method of providing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전체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nection structure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은,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신호를 획득하여 건물 내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재난 발생시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 및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건물 내 긴급상황 발생을 접수하고,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건물의 각 층별 건물도면에 매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위치에 따른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회신하는 상황실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고, 건물 내 위치신호를 제공하는 비콘 단말(300), 재난 발생시 피난자 구조를 지원하는 구조자가 소지하는 구조자 단말(400), 상황실에 설치되어 현재 재난 장소에 대한 건물도면 및 현재 피난 상황을 표시되는 상황실 모니터(500) 및 사용자 단말(100)과 전화 연결을 통해 상황실 관리자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황실 전화 등과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1, in the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obtains the location signal to calcul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a building, and disaster evacuation in case of a disaster Upon execution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0 and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s that gener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executing th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in the building,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ituation room server 200 that maps to a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determine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returns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uilding A beacon terminal 300 that provides my location signal, a rescuer terminal 400 possessed by a rescuer who supports evacuation rescue in case of a disaster, and a situation room monitor installed in the situation room to display the building drawings and the current evacuation situation for the current disaster location 500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ntrol room phone that enables a call with a control room manager through a phone connection.

사용자 단말(100)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건물 내부에 위치한 일반인 또는 시각 장애인 등이 소지하고 있고, 전용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 장치로서, 공지의 스마트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황실 서버(200)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의 접수를 요청하고, 이후 상황실 서버(200)로부터 생성된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possessed by the general public or the visually impaired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o be monitored, and as a terminal device in which a dedicated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 known smart phone may be used, and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executed, accesses the control room server 200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to request the reception of a disaster, and then receives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generated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20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를 위해,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인 잠금화면을 해제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찾아 터치하는 절차에 따른 방법 이외에도, 재난 발생시 미리 지정된 특수 조작방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상황실에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user who feels difficulty in operating the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unlocking the lock screen, which is a general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finding and touch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con, ,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 special operation method specified in advance when a disaster occurs and requesting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to the control room.

일례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탑재된 어느 하나의 물리버튼과, 사용자 단말(100)의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동시에 누르는 동작 만으로도 잠금화면이 해제되는 동시에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ock screen may be released and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may be executed at the same time by just pressing any one of the physical button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100 and an area of the touch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0 at the same time.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휴대가 용이한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 a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ll kinds of handheld-based application programs, and portable computing devices such as stationary PCs and notebook computers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타 사용자 단말과의 그룹화를 통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through grouping with other user terminals located in an adjacent area.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동일 건물 내 또는 그 건물과 인접한 장소에 위치한 시각 장애인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일반인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102)이 일정거리 내에 존재한다고 할 때, 두 사용자 단말(101, 102)는 서로 단말 그룹(GP)으로 그룹화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first user terminal 101 of the visually impaired user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of the general user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or in a place adjacent to the building are scheduled. Assuming that they exist within a distance, the two user terminals 101 and 102 may be grouped into a terminal group (GP).

이후, 일반인 사용자가 특정 건물에 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을 목격하고, 자신의 제2 사용자 단말(102)에서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2 사용자 단말(102)이 상황실 서버(200)에 재난 발생을 접수하는 동시에, 제1 사용자 단말(101)이 재난 발생이 접수됨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설치된 재난 발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직접 재난 발생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시각 장애인 사용자도 제2 사용자 단말(102)의 그룹(GP)에 속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피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when a general user witnesses a fire in a specific building and executes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his/her second user terminal 102 ,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reports a disaster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 At the same time, the first user terminal 101 detects that the disaster has been received, and by executing the automatically installed disaster occurrence application, the visually impaired user who has not directly checked whether the disaster has occurred is also a group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 By belonging to the (GP), it is possible to receive evac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01 .

이러한 그룹화에 따르면, 각 사용자들의 이동에 따라 그룹(GP)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수시로 갱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grouping, the user terminal 100 belonging to the group GP may be updated frequent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each user.

상황실 서버(200)는 국가, 시 또는 법인 등에서 운영하는 재난 상황실에 설치 및 운영되는 서버 장치로서, 각 지역의 건물들에 대한 건물도면이 층별로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있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지역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받아 재난 장소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황실 서버(200)는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들의 건물 내 현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층별 건물도면에 매핑(mapping)하여 현재위치에서부터 탈출구까지의 최단 거리에 따른 피난 경로를 생성하여 피난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is a server devic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disaster situation room operated by a country, city, or corporation, and the building drawings for buildings in each region are converted into a database for each floor, and users in each region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register as a disaster place by receiving a request for receiving a disaster occurrence from the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0 located in a building registered as a disaster site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users in the building, and map it to a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A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exit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form of evacuation information.

전술한 정보통신망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LTE (long-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 (Wireless Broadband), Or, it may be any one of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재난 시스템은 재난 대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더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disas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utilize various devices to provide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의 각 층에는 건물 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복수의 비콘 단말(300)이 설치될 수 있고, 비콘 단말(300)은 실시간으로 위치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실내에서 GPS신호를 감지할 수 없는 사용자 단말(100)이 현재위치를 계산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300 for more accuratel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building may be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to which the system is applied, By transmitting a location signal in real time, the beacon terminal 300 may support the user terminal 100 that cannot detect a GPS signal indoors to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and calculat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황실 서버(200)에는 다수의 구조대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조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특정 건물에 대하여 재난 상황 발생시, 그 건물 내부 또는 인접한 지역에 등록된 구조자의 구조자 단말(400)에 재난 발생 장소에 대한 정보 및 현재 대피중인 피난자의 위치정보 등을 전송함으로써 구조자가 즉시 현장에 투입되어 피난자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scuers who can act as a plurality of rescuers are registered in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and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with respect to a specific building, the rescuer terminal 400 of the rescuer registered in the building or adjacent area is a disast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occurrenc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vacuees who are currently evacuating, rescuers are immediately put to the scene to help evacuees.

또한, 상황실에는 전술한 상황실 서버(200) 이외에도, 현장확인과 피난자를 위한 장치로서, 상황실 모니터(500) 및 상황실 전화(60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황실 모니터(500)는 상황실 서버(200)와 연결되어 현재 접수된 재난 장소에 대하여 지도상의 위치 및 그 건물의 각 층별 피난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described above, the situation room may include a situation room monitor 500 and a situation room phone 600 as devices for on-site confirmation and evacuees. The situation room monito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to display a location on a map and a location of an evacuee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in real time with respect to the currently received disaster site.

또한, 상황실 전화(600)는 현장의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호 연결시 그 사용자 단말(100)과 직접 전화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상황실 관리자가 피난중인 사용자와 직접 통화하여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피난 경로를 구두로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tuation room phone 6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a call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on the site, and accordingly, the situation room manager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evacuating user to confirm the location and at the same time You can verbally tell the evacuation rout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은, 각 지역의 건물에서 예기치 못한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황실 서버에 재난 발생을 접수하고, 상황실에서는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현장에 대한 모니티링 및 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현장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피난경로를 제공받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n the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such as an unexpected fire occurs in a building in each area, the user uses his/her user terminal to enter the situation room The server receives a disaster, and the situation room recogni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monitors and rescues the site. In addition, the user at the site is provided with an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an evacuate quickl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r terminal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110), 하나 이상의 가상버튼 및 물리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120), 입력부(1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 실행부(130),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140),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실 연동부(150), 가상버튼이 구현되는 터치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황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피난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제공부(16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입력부(120)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자동 실행부(170), 동일 건물에 등록된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과 단말 그룹을 형성하고,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난 발생이 접수되면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그룹화부(180) 및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상황실 전화번호로 즉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연결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one or more virtual buttons and physical buttons, and a user's operation The input unit 120 that receives the input, 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130 that executes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on the input unit 120, and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btain a location signal and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to access the control room server to request a disaster occurrence, and the control room linkage unit 150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touch display in which a virtual button is implemented, The screen providing unit 160 that displays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ituation room server on the screen, if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when a special operation specified in advance by the user is input to the input unit 120,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An automatic execution unit 170 that forms a terminal group with other user terminals of other users registered in the same building, and a grouping unit 180 that automatically executes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when a disaster is received by other user terminals and disasters It may include a call connection unit 190 that immediately attempts to connect a call to the situation room 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evacuation application.

단말 통신부(1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황실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피난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110)는 원거리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함에 따라 BL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건물 내 설치된 복수의 비콘단말이 송출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에서 현재 위치좌표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room server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may transmit/receive various data related to evacu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location signal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installed in a building using the BLE protocol as it supports short-distance as well as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coordinates indoors,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can do.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제어 및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각 기능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에 탑재되는 터치디스플레이, 물리버튼 및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구동을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to receiv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each func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may be selected.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touch display, a physical button, and a microphon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100 , and may recognize a user's manipulation and request an application to drive the same.

어플 실행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인 아이콘 선택 이외에도, 시각 장애인 들의 시야 제약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잠금상태인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130 may execute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selecting an icon, which is a known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 interface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in a locked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field restrictions of the visually impaired.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에는 터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볼륨조절 및 실행취소 등을 위한 물리버튼이 더 탑재될 수 있고, 볼륨조절 버튼과 동시에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터치하거나, 둘 이상의 물리버튼을 동시에 수초 누르는 동작 등으로 어플 실행부(130)는 잠금해제 및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어플 실행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에 탑재되는 둘 이상의 터치디스플레이, 물리버튼 등의 조합에 의해 자동 실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equipped with a physical button for volume control and undo as well as a touch display, and may touch an area of the touch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volume control button, or two or more physical buttons By simultaneously pressing for several seconds, etc., 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130 may perform unlocking and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s. That is, the application execution unit 130 may provide an automatic execution function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ouch displays and physical button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100 .

위치정보 처리부(140)는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정보 처리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에 탑재되는 GPS 모듈로부터 위치신호를 참조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단, 사용자 단말(100)이 건물 내부와 같이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암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좌표를 산출할 수 없음에 따라, 건물 내부에 설치된 비콘 단말이 송출하는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좌표를 산출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nd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To this e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may calculate the location coordinates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signal from the GPS modul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100 . However,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a dark area that does not receive GPS satellite signals, such as inside a building, location coordinates cannot be calculated. Coordinates can be calculated an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상황실 연동부(15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등록된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황실 서버와의 연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현재 재난 상황을 상황실에 알림과 동시에, 연결된 상황실 서버에 생성된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재난발생 지역 및 장소와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며, 이후 상황실에서 생성한 피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The situation room interworking unit 150 may perform interworking with the application by accessing the control room server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interworking with the situation room server, the user terminal 100 notifies the situation room of the user's current disaster situ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ed control room server to determine the disaster area and place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n, the evacu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ntrol room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화면 제공부(16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재난 대피와 관련한 UI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상에 현재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사용자의 현재위치 및 제공되는 피난정보를 지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탈출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장소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The screen providing unit 160 may display a UI an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continuously displays the user's current location updated in real time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vided evacu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location of the escape route to escape from the disaster site. will support

자동 실행부(170)는 재난 발생시 신속하게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자동 실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일반인의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직접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는 어려움을 느끼지 못하나, 시야가 불편한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긴박한 상황에서 직접 조작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The automatic execution unit 170 may provide an automatic execution function so that an application can be quickly execut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particular, the general public does not feel difficulty in directly manipulating the user terminal 100 to execute the application, but in the case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having difficulty in vision, it may feel difficult to execute the application by direct manipulation in an urgent situation.

이에, 자동 실행부(170)는 아이콘 선택 등과 같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실행방식이 아닌,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제스처가 발생하면 즉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omatic execution unit 170 may provide a function of immediately executing an application when a preset user gesture occurs, rather than a general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such as icon selection.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터치디스플레이, 물리버튼 등이 탑재될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한 터치 행위, 물리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반복적인 흔듦 등의 여러 양태의 제스처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을 활성화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equipped with a touch display, a physical button, and the like, and the user performs a touch action on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display, a touch on the touch display while pressing the physical button, and the user terminal 100 ), automatic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activated by presetting various types of gestures, such as repeated shaking for

또한, 자동 실행을 위한 제스처의 다른 양태로서, "재난 발생" 및 "도움 요청" 등의 사용자 단말(100)의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자동 실행 기능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gesture for automatic execution, an automatic execution function utiliz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such as “disaster occurrence” and “request for help” may also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단 대피 어플리케이션은 타 단말과의 그룹화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피난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ndation evacuation application can support the evac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grouping with other terminals.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그룹화부(180)는 사용자 단말(100)과 동일 건물 내에 위치하거나,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타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의 연계를 통해, 상황실에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거나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 상황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동일 건물 및 인접 지역에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 단말과의 그룹화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탈출 완료시까지 재난장소 및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공유할 수 있다.As a configuration for this, the grouping unit 180 may notify the situation room of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or support rescue through linking with an application of another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as the user terminal 100 or located in an adjacent street. have. When running, the application can broadcas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same building and adjacent area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situation room server, and through grouping with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it, the corresponding user It is possible to share the disaster location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until the terminal 100 is evacuated.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그룹화부(180)는 단말 구동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메모리에 상주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긴급상황 발생시 그룹화되어 상황실 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화면 제공부(160)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 grouping unit 180 of the application may reside in the memory as a background process when the terminal is driven and maintain a standby state, and in case of an emergency, the grouping unit 180 coll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rom the situation room server in real time. Thus,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screen providing unit 160 .

또한, 동일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100)들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나머지 사용자 단말(100)들에서도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서로가 현재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피난 및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any one user terminal 100 , the user terminals 10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utomatically execute the application in the other user terminals 100 , so that each other can quickly check the current situation. Recognize and assist in evacuation and rescue.

호 연결부(190)는 재난 상황 발생시, 상황실 서버 이외에 상황실에 구비된 상황실 전화로의 호 연결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전화망을 통한 전화 연결이 가능한 모뎀 등이 탑재될 수 있고, 사용자가 호 연결기능을 선택하면, 호 연결부(190)는 설정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황실 전화로 사용자가 상황실 관리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The call connection unit 190 may automatically or manually attempt to connect a call to a situation room phone provided in the situation room in addition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equipped with a modem capable of making a telephone connection through a telephone network, and when the user selects a call connection function, the call connection unit 190 uses the set telephone number to allow the user to communicate with the situation room manager. You can connect to make a cal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상황실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ituation room server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의 상황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ituation room server of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실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210),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특정 건물에 대한 재난 발생 접수 요청시 해당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장소로 등록하는 재난 접수부(220), 재난 관리 대상인 다수의 건물 및 각 층별 건물도면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230),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240), 위치 판단부(240)에 의해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면서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25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재난 대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등록을 요청받고, 위치정보 및 재난 발생 장소를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260) 및 재난 장소 내부 또는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구조자 단말(400)에 재난 장소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출동 요청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 room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from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nected user terminal 100 . When a disaster occurrence request is made for a specific building, the disaster reception unit 220 that registers the building and the disaster area as a disaster site, a database 230 that stores a number of buildings subject to disaster management and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and registration as a disaster site Each user terminal ( 100) match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and connec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emergency exits and building exits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s to the shortest distance while avoiding the disaster area to generate an evacuation route 250 and the user A user registration for the disaster evacuation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register 260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location and one or more rescuers terminal 400 located inside or adjacent to the disaster location are sent to the disaster location. It may include a dispatch request unit 270 for requesting the dispatch of the .

서버 통신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 특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통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 요청에 연결을 승인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피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0, in particular,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is running,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may approve the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n receive data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evacuation information. can

재난 접수부(220)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서버 통신부(210)로부터 전달받아 재난 발생을 접수할 수 있다. 재난 발생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황실 서버(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상황실 서버(200)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에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재난 접수부(220)는 해당 위치, 즉 건물에 대한 재난 발생을 접수하고 재난 발생 장소로 등록 할 수 있다.The disaster reception unit 22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user terminal 100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10 to receive the disaster. An applica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and the application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 Accordingly,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nected user terminal 100 , and the disaster reception unit 220 may receive a disaster occurrence at a corresponding location, that is, a building, and register it as a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접수부(220)는 화재 등 재난이 실제 발생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이외에도, 그 장소에 인접하여 위치한 사용자에 의한 재난 접수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동일 그룹에 속한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eception unit 220 may receive not only a user located in a building where a disaster such as a fire actually occurred, but also a disaster reception by a user located adjacent to the place, and thus to the same group. All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100 may be collected according to automatic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which it belongs.

일례로서, 제1 사용자 단말(101)이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02)이 그 건물에 인접한 장소에 위치한다고 할 때, 제1 사용자 단말(101)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은 서로 동일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사용자가 아직 화재발생 여부를 인지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나, 제2 사용자 단말(102)의 사용자가 그 건물의 화재 발생을 직접 목격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그룹화 기능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101)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도 현재 위치정보를 상황실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재난 접수부(220)는 재난 상황을 접수함과 아울러 제2 사용자 단말(102)뿐만 아니라, 제1 사용자 단말(101)의 위치정보도 수집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101 is located in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is located in a place adjacent to the building, the first user terminal 101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may be set to the same group as each other. And, when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1 does not yet recogniz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directly witnesses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building and executes the application, the According to the grouping function, the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101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ly, the disaster reception unit 220 receives the disaster situ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etermined by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1 as well as the second user terminal 102 .

데이터 베이스(230)는 시스템에 등록된 다수의 건물에 대한 내부 구조, 즉 재난 관리 대상인 다수의 건물 및 각 층별 건물도면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건물도면은 재난 발생 장소가 건물일 경우, 건물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의 피난경로를 도면상에 매핑하여 표시함으로써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도 직관적으로 탈출구의 위치를 확인 및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The database 230 may store internal structures for a plurality of buildings registered in the system, that is, a plurality of buildings that are targets for disaster management and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If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is a building, these building drawings accurately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of user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nd map and display their evacuation routes on the drawing to intuitiv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escape route even in the absence of light conditions. and to make it navigable.

또한, 데이터 베이스(230)에는 본 발명의 피난 대피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후술하는 구조자에 관한 계정, 단말 전화번호 및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23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 evacua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ccount, a terminal phone numb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rescuer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데이터 베이스(230)는 상황실 서버(200)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230 may store various setting values for operating the control room server 200 .

위치 판단부(240)는 재난 접수부(220)에 의해 접수된 건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는 GPS 좌표 및 비콘에 송출하는 위치신호에 의한 건물 내 좌표를 포함하고, 위치 판단부(240)는 해당 건물의 지도상의 위치 및 건물 내 각 층별 도면에서의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40 may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se received by the disaster reception unit 220 us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GPS coordinates and coordinates within the building by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beacon, and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40 is located on the map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and in the drawings for each floor in the building. location will be determined.

경로 생성부(250)는 위치 판단부(240)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면, 경로 생성부(250)는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 및 그 건물의 층에 대한 건물도면을 추출하고, 층별 건물도면의 해당 위치에 사용자의 위치를 매핑 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 생성부(250)는 건물도면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출구 등의 탈출구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250)는 사용자 위치로부터 탈출구의 최단경로를 산출하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재난 발생위치를 회피하여 피난경로를 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피난 경로는 둘 이상이 도출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의 실제 이동경로에 따라 최적의 경로로 갱신 및 제공될 수 있다.The route generator 250 may generate the user's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calculated by the location determiner 240 . Whe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identified, the route generator 250 extracts the building drawing for the building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and maps the user's location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can In addition, the route generating unit 250 may generate an evacuation route by connecting the locations of escape routes, such as emergency exits and exits,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 from the user's location on the building drawing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route generating unit 250 calculates the shortest route of the escape route from the user's location, but avoids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calculate the evacuation route. Here, two or more evacuation routes may be derived, and thereafter, an optimal route may be upda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actual movement route.

사용자 등록부(260)는 본 발명의 재난 대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최초 실행함에 따라 사용자 정보 입력, 계정 설정 등의 회원등록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록부(260)는 일반 사용자와는 별도로 시스템 운영측과 협약된 재난 구조 전문 요원과 관련된 구조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황실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자 정보는 이후 재난 발생시 피난자 지원을 위한 구조자 단말(400)의 호출에 활용될 수 있다.The user registration unit 260 may provide a member registration procedure such as user information input and account setting as a user who wants to use the disaster evacua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d first runs an application on his/her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user registration unit 260 may receive information on rescuers related to disaster relief specialists contracted with the system operation side separately from the general users and register them in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and such rescuer information is then provided to evacue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can be utilized to call the rescuer terminal 400 for support.

출동 요청부(270)는 상황실 서버(200)에서 재난 발생을 접수함에 따라, 해당 재난 건물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구조자 단말(400)에 구조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구조자 단말(400)을 소지한 구조자는 시스템 운영측의 협약에 따라 재난 장소에 출동하여 사용자의 피난을 지원하게 되며, 출동 요청부(270)는 해당 피난자에 대한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실시간으로 구조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Upon receipt of a disaster from the situation room server 200 , the dispatch request unit 270 may request rescue assistance from the rescuer terminal 400 located adjacent to the disaster building. The rescuer who possesses the rescuer terminal 400 mobilizes to the disaster site according to the agreement of the system operator to support the user's evacuation, and the dispatch request unit 270 provides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evacue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scuer terminal 400 in real tim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에 의한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by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에 의한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 및 상황실 서버와, 그 구성부가 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by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the execution subject of each step becomes the user terminal and the situation room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ituent part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100),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사용자 단말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20), 상황실 서버가 접수된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장소로 등록하는 단계(S130), 상황실 서버가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40), 상황실 서버가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는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150) 및 상황실 서버가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disaster evac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S100), the user terminal acquires a location signal for the current lo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step of generating (S110),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control room server, requesting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S120), registering the building and disaster occurrence area where the control room server is received as a disaster site (S130), the situation room serve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each floor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registered as a disaster site (S140),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ed by the situation room server Creating an evacuation route by matching the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with the current location and connecting the emergency exits and building exits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s with the shortest distance to avoid the disaster area (S150) and the situation room server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S160).

먼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100)로서, 건물 등에 위치한 사용자가 화재 등 재난 발생을 인지하고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을 수동 조작하는 방식 이외에도 그룹화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황실 서버와 연결된다.First, as a step (S100) of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manipulation, a user located in a building, etc.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and operates his/her user terminal to execute the application. In addition, in this step, the application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through grouping in addition to the method in which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user terminal manuall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room server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GPS 또는 비콘 단말에 의한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Next, in the step (S110) of the user terminal obtaining a location signal for the current location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location signal by a GPS or a beac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current location. do.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등록된 계정을 통해 상황실 서버에 접속 및 연결되고, S110 단계에서 생성된 위치정보를 상황실 서버에 전송한다. 이러한 S120 단계에서의 위치정보 전송을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Next, in the step (S120) of the user terminal accessing the control room server to request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room server through an account registered in the system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S110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room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in step S120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다음으로, 상황실 서버가 접수된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장소로 등록하는 단계(S130)로서, 상황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따라 재난 장소를 판단하고 그 장소를 재난 장소로 시스템에 등록하고, 또한 상황실 서버가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는 S120 단계에서 수집한 사용자별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Next, as a step (S130) of the situation room server registering the received building and disaster area as a disaster site, the situation room server determines the disaster pla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ts the place as a disaster site in the system. In the step (S140) of registering and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each floor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building where the situation room server is registered as a disaster sit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collected in step S120 Thu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이때, 사용자는 2층 이상의 건물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상황실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각 건물의 층별 건물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몇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건물 내 사용자 위치를 판단할 때에는 위치정보에 포함된 비콘 신호좌표가 활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be located in a building having two or more floors, and the control room server may determine on which floor the user is located by referring to the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of each building registered in the database. In particular, whe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building, the beacon signal coordinate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tilized.

다음으로, 상황실 서버가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는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황실 서버가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재난 발생 등록된 건물의 층별 건물도면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해당 층의 건물도면에 매핑하게 된다. 또한, 상황실 서버는 사용자의 위치가 매핑된 건물도면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각 탈출구간을 최단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한다.Next, the situation room server matches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with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and connects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emergency exits and building exits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 to the shortest distance to avoid the disaster area to create an evacuation route In step S150, the situation room server extracts the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registered with the disaster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and map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o the building drawings of the corresponding floor. In addition, the situation room server creates an evacuation route by connec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each escape section on the building drawing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is mapped with the shortest distance.

다음으로, 상황실 서버가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60)에서는 건물도면상에 매칭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황실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동일 그룹에 속한 타 사용자 단말 및 인접한 장소에 위치한 구조자 단말 등에 아직 피난하지 못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여 지원 또는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Next, in the step (S160) of the situation room server transmit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in whic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matched on the building drawing is displayed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situation room server may request assistance or dispatch by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a user who has not yet evacuated to other user terminal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user terminal and to a rescuer terminal located in an adjacent place.

전술한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는 사용자가 탈출구에 도달할 때까지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황실 서버는 사용자가 탈출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재난 상황을 종료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eps S140 to S16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by upda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 real time until the user reaches the exit, and the situation room server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reached the exit, causing a disaster fo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You can end the situ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a user terminal by the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화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provided to a user terminal by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내부적으로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internally generat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s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executed, and an intuitive user interface (UI)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function. can provid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화면에는 주요 기능을 한번의 터치만으로 실행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UI로는 "피난경로 확인하기(W110)", "상황실로 전화걸기(W120)" 및 "내 위치 전송하기(W130)" 등이 있다.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creen may provide a UI for executing a main function with a single touch, and such UIs include "check evacuation route (W110)" and "call to control room (W120)" " and "Transmit my location (W130)" and the like.

피난 경로 확인하기(W110) 기능은, 선택에 따라 상황실에서 제공하는 피난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기능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이 현재 생성한 위치정보를 상황실 서버에 전송함에 따라 상황실 서버가 건물도면에 현재위치를 매핑하고 피난경로를 생성하면 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function of checking the evacuation route (W110) is a function of displaying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rol room on the screen according to selection. As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currently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room server, the control room server is If the current location is mapped on the drawing and an evacuation route is created, it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상황실로 전화하기(W120) 기능은,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실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선택에 따라 상황실에 구비된 상황실 전화로 직접 호 연결을 시도하는 기능이다.The call to the situation room (W120) function is a function to directly connect a call to the situation room phone provided in the situation room according to selection by referring to one or more situation room phone numbers preset in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내 위치 전송하기(W130) 기능은,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황실에 즉시 전송함으로써 전술한 피난정보를 요청하는 기능 이외에도, 상황실을 통해 구조자 단말에 현재 사용자 즉 피난자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requesting the evacua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by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signal to the control room, the function to transmit my location (W130)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current user, that is, the evacuee, to the rescuer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room. It is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transmit.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위치정보를 상황실 서버에 전송하고, 상황실 서버로부터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room server, receiv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이러한 피난정보에 포함되는 피난경로는, 상황실 서버에 구축된 건물들의 각 층별 건물도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고, 피난 경로 화면(W200)의 건물도면에는 방, 계단 및 통로 등이 표시됨과 아울러, 소화전, 소화기 및 심장 충격기 등의 비상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The evacuation route included in the evacu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control room server, and the building drawings of the evacuation route screen W200 display rooms, stairs and passages, etc. Locations of facilities available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hydrants, fire extinguishers and defibrillators, may be displayed.

또한, 피난 경로 화면(W200)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비상구를 비롯한 탈출구로의 이동경로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즉시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피난경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대피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cuation route screen W200 may display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the movement route to the exit including the emergency ex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evacuation route from his or her current location and evacuate. .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Although many matters a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se should be construed as examples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 사용자 단말 110 : 단말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어플 실행부
140 : 위치정보 150 : 상황실 연동부
160 : 화면 제공부 170 : 자동 실행부
180 : 그룹화부 190 : 호 연결부
200 : 상황실 서버 210 : 서버 통신부
220 : 재난 접수부 230 : 데이터 베이스
240 : 위치 판단부 250 : 사용자 등록부
260 : 출동 요청부 300 :비콘 단말
400 : 구조자 단말 500 : 상황실 모니터
600 : 상황실
100: user terminal 11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application execution unit
140: location information 150: control room interlocking unit
160: screen providing unit 170: automatic execution unit
180: grouping unit 190: call connection unit
200: control room server 210: server communication unit
220: disaster reception unit 230: database
240: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50: user register
260: dispatch request unit 300: beacon terminal
400: rescuer terminal 500: control room monitor
600: control room

Claims (12)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신호를 획득하여 건물 내 현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재난 발생시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물 내 긴급상황 발생을 접수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건물의 각 층별 건물도면에 매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위치에 따른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신하는 상황실 서버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one or more user terminals in which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obtain the location signal to calcul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a building,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execute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when a disaster occurs to gener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within the building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etermined by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 control room server that returns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GPS 장치가 수신한 위치신호 또는, 건물 내 설치되고 복수의 비콘 단말이 송출하는 위치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btained through a location signal received by a GPS devic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or a location signal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하나 이상의 가상버튼 및 물리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 실행부;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상황실 연동부; 및
상기 가상버튼이 구현되는 터치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피난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virtual button and a physical button, and receiving a user's operation;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the location signal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 situation room interworking unit for accessing the situation room server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requesting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screen providing unit including a touch display on which the virtual button is implemented, and displaying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room server on a screen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일반인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상기 입력부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자동 실행부
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ser is classified as either a general user or a visually impaired user,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an automatic execution unit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when a special operation specified in advance by the user is input to the input unit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일반인 사용자 또는 시각 장애인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고,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동일 건물에 등록된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과 단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난 발생이 접수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그룹화부
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ser is classified as either a general user or a visually impaired user,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a terminal group is formed with another user terminal of another user registered in the same building, and when a disaster is received by the other user terminal, a grouping unit that automatically executes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건물에 대한 재난 발생 접수 요청시 해당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장소로 등록하는 재난 접수부;
재난 관리 대상인 다수의 건물 및 각 층별 건물도면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위치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는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tuation room server,
a server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 disaster reception unit that registers a disaster occurrence area as a disaster site when a disaster occurrence request for a specific building is requested from a connected user terminal;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s subject to disaster management and building drawings for each floor are stored;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each floor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building registered as a disaster site; and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ed b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are matched, and the emergency exit and the building exit included i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building drawing are connected with the shortest distance to avoid the disaster area to determine the evacuation route. path generator to create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난 대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등록을 요청받고, 위치정보 및 재난 발생 장소를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 및
상기 재난 발생 장소 내부 또는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구조자 단말에 재난 장소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출동 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ituation room server,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a user registration request for the disaster evacuation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disaster location; and
A dispatch request unit that requests dispatch to the disaster site from one or more rescuers terminals located inside or adjacent to the disaster site
A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기재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재난 대피 시스템에 의한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황실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 발생 접수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황실 서버가 접수된 건물 및 재난 발생 구역을 재난 발생 장소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상황실 서버가 재난 장소로 등록된 건물 내 위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를 통해 각 층별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실 서버가 판단된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와 층별 건물도면을 매칭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건물도면에 포함된 비상구 및 건물출구를 재난 발생 구역을 회피하는 최단 거리로 연결하여 피난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실 서버가 상기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 disaster evacuation service by the location-based disaster evacu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claim 1,
executing, by the user terminal,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obtaining, by the user terminal, a location signal for a current location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to a situation room server, requesting a disaster occurrence recep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ing, by the situation room server, the received building and disaster area as a disaster location;
determining, by the situation room server,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each floor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building registered as a disaster site; and
The situation room server matches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with the building drawing for each floor, and connects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emergency exit and the building exit included in the building drawing to the shortest distance to avoid the disaster area to create an evacuation route step; and
transmitting, by the situation room server,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disaster evacuation services, includ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입력부에 사용자에 의한 미리 지정된 특수 조작이 입력되면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If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automatically executing a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when a predetermined special operation by the user is input to the input unit
A method of providing disaster evacuation services, includ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 사용자인 경우, 동일 건물에 등록된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과 단말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재난 발생이 접수되면, 상기 재난 대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user is a visually impaired user, forming a terminal group with another user terminal of another user registered in the same building, and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isaster evacuation application when a disaster is received by the other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disaster evacuation services, includ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획득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탑재된 GPS 장치를 통해 위치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건물 내 설치되고 복수의 비콘 단말이 송출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obtaining a location signal for the current location by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es:
Receiving a location signal through a mounted GPS device, or receiving a location signal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beacon terminals
A method of providing disaster evacuation services, includ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 서버가 상기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피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상황실 서버가 상기 재난 발생 장소 내부 또는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구조자 단말에 재난 장소로의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난 대피 서비스 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ituation room server transmits the evac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by the situation room server, to dispatch to the disaster site to one or more rescuers terminals located in or adjacent to the disaster site
Disaster evacu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KR1020210011624A 2020-06-17 2021-01-27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KR1025232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56 2020-06-17
KR20200073656 2020-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193A true KR20210156193A (en) 2021-12-24
KR102523262B1 KR102523262B1 (en) 2023-04-21

Family

ID=7917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24A KR102523262B1 (en) 2020-06-17 2021-01-27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26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750A (en) 2022-02-15 2023-08-22 허성강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that provides evacuation rout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KR20230122749A (en) 2022-02-15 2023-08-22 허성강 Fire detection and evacuation system using route search algorithm
KR102617070B1 (en) * 2023-01-25 2023-12-27 (주)멀틱스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66A (en) 2015-02-05 2016-08-16 김대용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JP2016184286A (en) * 2015-03-26 2016-10-20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Evacuation guiding navigation device
JP2017004213A (en) * 2015-06-09 2017-01-05 清水建設株式会社 Evacuation guidance device, evacuation guidance method, and evacuation guidance program
KR101971892B1 (en) * 2018-07-18 2019-04-24 디토닉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vacuation Path Navigation Through Evacuees Group Gene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66A (en) 2015-02-05 2016-08-16 김대용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s
JP2016184286A (en) * 2015-03-26 2016-10-20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Evacuation guiding navigation device
JP2017004213A (en) * 2015-06-09 2017-01-05 清水建設株式会社 Evacuation guidance device, evacuation guidance method, and evacuation guidance program
KR101971892B1 (en) * 2018-07-18 2019-04-24 디토닉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vacuation Path Navigation Through Evacuees Group Gene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750A (en) 2022-02-15 2023-08-22 허성강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that provides evacuation rout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KR20230122749A (en) 2022-02-15 2023-08-22 허성강 Fire detection and evacuation system using route search algorithm
KR102617070B1 (en) * 2023-01-25 2023-12-27 (주)멀틱스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262B1 (en)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741B2 (en) Emergency response augmented reality-based notification
US10560831B2 (en) Providing assistance in an emergency
US9683856B2 (en) Evacuation navigation device
US202302840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US20160049064A1 (en) Responder-ready reporting network
EP3803774A1 (en)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11127282B2 (en) Contextualized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US2003001234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emergency services
US202104099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11122162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event and location information
US20160335882A1 (en) Computerized school safety system
US115571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20190069155A1 (en) Emergency determination support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an emergency determination support program
US20150312739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providing emergency services
JP2008027208A (en) Evacuation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KR102523262B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CN110832409B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building management device
KR20180134748A (en) User program stored on recording medium, system and method for evaction guide including the same
US11595521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event and location information
JP6691571B2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Sravani et al. Recue Wings: Mobile Computing and Emergency Survival Services
US20240027228A1 (en) System and method of publishing ai map data to an end user based on location data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CN107466017A (en) A kind of user interaction approach and its system based on fire-fighting evacuation system
US101942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emergency no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