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070B1 -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 Google Patents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070B1
KR102617070B1 KR1020230009493A KR20230009493A KR102617070B1 KR 102617070 B1 KR102617070 B1 KR 102617070B1 KR 1020230009493 A KR1020230009493 A KR 1020230009493A KR 20230009493 A KR20230009493 A KR 20230009493A KR 102617070 B1 KR102617070 B1 KR 10261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sign language
location
langua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수
Original Assignee
(주)멀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멀틱스 filed Critical (주)멀틱스
Priority to KR102023000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0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0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인 여부, 외국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110)와, 재난문자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입력받는 재난 정보 수집부(130)와, 상기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애인 단말기에게 전송될 수어 영상 정보(I1)를 생성하는 수어 영상 생성부(140, 수어 영상 처리부, 수어 영상 저장부 )와, 상기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에게 전송될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생성하는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 외국어 번역 서버)로 구성된 서비스 서버(100)와;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어 영상 정보(I1) 또는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including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that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using the application is hearing impaired or a foreigner, and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text.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hat receives input, 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a sign language image processing unit, a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that generat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to be transmitted to a hearing-impaired terminal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a service server 100 composed of a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er) that generates disaster information (I2)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to be transmitted to foreigners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An application program (200a) that receiv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or translated disaster information (I2) from the service server 100, displays it on a display, and creates a user interface (UI) for interfac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 relates to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 terminal 200 installed.

Description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Real 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

본 발명은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국가 및 지역 재난, 민방공 상황 발생 시 재난안전문자 발송으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때 문장 해독을 어려워하는 재난약자의(청각장애인, 외국인) 정보제공능력 사각지대가 발생한다.In the event of a national or regional disaster or civil air defense situ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disaster safety text messages, but at this time, blind spots occur in the ability to provide information to disaster-vulnerable people (the hearing impaired, foreigners) who have difficulty deciphering sentences.

또한, 청각장애인이나 외국인이 국가재난, 지역재난 및 민방공 상황 발생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는 때 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데이터 정보(문자)인 CBS 수신을 통해 전달하는 기본 재난문자 방송 정보를 취득하여도 정확한 인지가 어려운 상황이다.In addition, when hearing-impaired people or foreigners are expected to suffer damage to life or property due to national disasters, local disasters, or civil air defense situations, they receive basic disaster text message broadcast information delivered through CBS reception, which is data information (text) to prevent damage. Even if acquire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it.

재난정보 획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각장애인과 외국인의 신속한 대피가 어렵기 때문에 스스로 재난정보 실시간 전달을 통한 재난 인지 및 대피 유도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정보제공 시스템 마련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한국어 재난문자 전달방식은 청각장애인과 외국인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국가적 재난 시스템운영으로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며, 현재까지도 개선되지 않은 사회적 문제로 존재하는 상황이다.Since it is difficult for hearing-impaired people and foreigners who have difficulty obtaining disaster information to evacuate quick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hat will minimize casualties by recognizing disasters and encouraging evacuation through real-time delivery of disast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Korean disaster text delivery method needs room for improvement as it is a national disaster system oper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s of the hearing impaired and foreigners, and remains a social problem that has not been improved to this day.

등록특허 제10-2472431호(특허권자 : 주식회사 동일아이씨) 청각장애인 재난안전 긴급 알림 시스템은 청각장애인이 거주하는 댁내의 침실에 구비되어 청각장애인이 수면시 진동을 발생시켜 재난 경보를 알려주는 스마트 베개; 서로 다른 복수 색상의 광원을 발생하는 램프로 이루어져서 청각장애인에게 현재 발생한 재난 상황을 종류 또는 등급별로 표시하는 스마트 램프; 현재 발생한 재난 상황을 청각장애인이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픽토그램 및 수화 영상으로 표시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및 청각장애인이 거주하는 댁내에 설치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재난안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재난 정보를 파싱하고, 파싱한 결과에 따른 재난 정보를 스마트 디스플레이, 스마트 램프 및 스마트 베개에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댁내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픽토그램은 외곽 테두리를 구비하고, 외각 테두리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재난 등급을 표시하며, 스마트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픽토그램의 터치시 상세한 재난 정보가 담긴 수화 동영상을 출력하는 청각장애인 재난안전 긴급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Registered Patent No. 10-2472431 (Patent Holder: Dongil IC Co., Ltd.) The hearing-impaired disaster safety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is a smart pillow that is installed in the bedroom of the hearing-impaired person's home and generates vibration while sleeping to notify the hearing-impaired person of a disaster alert; A smart lamp that consists of a lamp that generates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rs and displays the currently occurring disaster situation by type or level to the hearing impaired; A smart display that displays the current disaster situation with pictograms and sign language images that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by the hearing impaired, and is installed in the house where the hearing impaired lives, and provides disaster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disaster safety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ncludes an in-house gateway that parses and transmits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the parsed results to smart displays, smart lamps, and smart pillows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ictogram has an outer border, and the color of the outer border is It displays the disaster level by varying it, and the smart display is made up of a touch screen, and provides a disaster safety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that outputs a sign language video containing detailed disaster information when the pictogram on the smart display is touched.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에게 수어 영상을 제공하고, 외국인에게 국가별 모국어 기반의 온라인 재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that can provide sign language images to the hearing impaired and an online disaster notification service based on the native language of each country to foreigners.

본 발명은 화재 지진 기상 악화(미세먼지, 태풍) 전염병 등의 재난상황에서 발생되는 지자체 또는 중앙부처 발송 재난문자, 재난상황별 대처요령(교육자료), 재난 발생 위치, 소방서 위치, AED 위치, 소방차량 실시간 위치 등을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모바일 애플레케이션을 통하여 재난약자(청각장애인, 외국인)에게 수어 영상 및 이미지 등 직관적인 UI, 국가별 언어 번역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재난 약자가 재난상황을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하여 재난인지 상황파악 능력을 높이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ter text message sent by local governments or central ministries that occurs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earthquake, bad weather (fine dust, typhoon), epidemic, etc., response tips for each disaster situation (educational materials), location of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of fire station, location of AED, fire department, etc.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l-time location of vehicles, is provided to the vulnerable (hearing impaired, foreigner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in the form of intuitive UI such as sign language videos and images, and language translations for each country, so that the vulnerable can immediately understand the disaster situ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vulnerable people that increases their ability to recognize disaster situations and understand disaster situations.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인 여부, 외국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110)와, 재난문자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입력받는 재난 정보 수집부(130)와,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that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using the application is hearing impaired or a foreigner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hat receives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text,

상기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애인 단말기에게 전송될 수어 영상 정보(I1)를 생성하는 수어 영상 생성부(140, 수어 영상 처리부, 수어 영상 저장부 )와, 상기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에게 전송될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생성하는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 외국어 번역 서버)로 구성된 서비스 서버(100)와;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sign language image processing unit,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that generat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to be transmitted to a hearing-impaired terminal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a foreign language to be transmitted to foreigners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a service server 100 consisting of a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er) that generates translated disaster information (I2);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어 영상 정보(I1) 또는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lication program (200a) that receiv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or translated disaster information (I2) from the service server 100, displays it on a display, and creates a user interface (UI) for interfac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terminal 200 installed.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100)는 모바일 앱 데이터 저장부(151) 및 재난 상황 대처 정보(대처 방법 교육자료)를 수어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 수어 영상 저장부(155)로 구성된 데이터 베이스(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 service server 100 generates the mobile app data storage unit 151 an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education material on coping methods) as a sign language image.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a database 120 consisting of a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55 that stores the sign language image.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지자체 또는 중앙부처에 의해 생성된 화재, 지진, 기상,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생성된 재난문자를 재난 데이터 정보 API를 통해 수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generates information in relation to fire, earthquake, weather, and fine dust generated by local governments or central ministries. It is desirable to receive disaster text messages through the disaster data information API.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재난 발생 위치 정보와, 긴급 구조를 위한 소방서 출동 정보와, 긴급 구조를 위해 출동한 소방 차량의 위치 정보와, 지도 제공 서비스 서버(네이버, 카카오, 구글)부터 지도 정보를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API를 통해(연동하여) 수신하고, 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includes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fire department dispatch information for emergency rescue, and dispatch for emergency rescue. Location information of a firefighting vehicle and map information from a map service server (Naver, Kakao, Google) are received through (linked to) an API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재난 발생 위치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재난 (위치) 지도 생성부(160)와,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소방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실시간 소방 차량 위치 생성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rvice server 100 includes a disaster (location) map generator 16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disaster location on a map using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th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al-time firefighting vehicle location generator 17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on a map using the map information.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소방서 위치 정보, AED 위치 정보를 API를 통해 더 수신하고,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further receives fir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PI,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소방서 위치 위치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소방서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소방서 위치 생성부(180)와, 상기 AED 위치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AED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AED 위치 생성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이 바람직하다.The service server 100 includes a fire station location generator 18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on a map us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and a fire station location generator 18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on a map using the AED loc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ED location generator 19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AED location on a map.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어 영상 생성부(140)는 재난 문자 중 상황이 바뀌어도 내용이 변하지 않는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을 저장하는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 저장부(143)와, 재난 문자 중 상황이 바뀌는 경우 변하는 비정형 데이터(예를들어, 숫자, 위치)에 관한 수어 영상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비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 생성부(144)와, 상기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과 비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을 합성하고 동작 연결을 위한 보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수어 합성부(142)와, 상기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수어 합성부(142)로부터 전달된 수어 영상을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수어 영상 스트림 생성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stores a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whose content does not change even if the situation changes among disaster texts. A storage unit 143, an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4 that stores or generates a sign language image related to unstructured data (e.g., numbers, locations) that changes when the situation changes among disaster texts, and the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4. A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synthesis unit 142 that synthesizes video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s and performs an interpolation process for motion connection, and generates a stream of sign language images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synthesis unit 142.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ign language video stream generator 141.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는 입력된 상기 재난 문자를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로 송신하고 상기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로부터 수신된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문자를 수신하여 국어로 된 재난 문자를 외국어로 번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disaster text to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It is desirable to receive a disaster text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translate the disaster text from the Korean language into a foreign language,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00.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청각 장애인에게 수어 영상을 제공하고, 외국인에게 국가별 모국어 기반의 온라인 재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및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and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for disaster victims are provided that can provide sign language images to hearing impaired people and online disaster notification services based on the native language of each country to foreigners.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화재 지진 기상 악화(미세먼지, 태풍) 전염병 등의 재난상황에서 발생되는 지자체 또는 중앙부처 발송 재난문자, 재난상황별 대처요령(교육자료), 재난 발생 위치, 소방서 위치, AED 위치, 소방차량 실시간 위치 등을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난약자(청각장애인, 외국인)에게 수어 영상 및 이미지 등 직관적인 UI, 국가별 언어 번역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재난 약자가 재난상황을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하여 재난인지 상황파악 능력을 높이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및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aster texts sent by local governments or central ministries that occur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earthquake, bad weather (fine dust, typhoon), and infectious diseases, response tips for each disaster situation (educational materials), location of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of fire station, and AED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real-time location of fire trucks, etc., is provided to disaster vulnerable people (hearing impaired, foreigners)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in the form of an intuitive UI such as sign language videos and images, and language translations for each country, so that disaster vulnerable people can understand the disaster situation.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and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are provided for those vulnerable to disasters, which enhances disaster awareness and situational awareness by enabling immediate understanding.

도 1(a, 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전체 개념도.
도 2,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 상세도 및 데이터 베이스 상세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의 정형 데이터 및 비정형 데이터 개념 설명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 상세 과정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상세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우선 순위 설정 메뉴(M_10), 푸시 방식의 알림 재난 종류 설정 메뉴(M_20), 개인 정보 설정 메뉴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대처 정보 화면(M_40)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상세 화면(M_50) 상세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위치 등이 표시된 지도 화면(M_60) 상세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 위치 정보 및 AED 위치 정보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P 제공 메뉴 화면 상세도.
Figure 1(a, b)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detailed view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nd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c is a detailed process explanation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diagram of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ter information priority setting menu (M_10), push-type notification disaster type setting menu (M_20), and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creen (M_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ter safety detail screen (M_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etailed view of a map screen (M_60) displaying disaster locations,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etailed view of firefigh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E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etailed view of the APP provision menu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전체 개념도, 도 2,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 상세도 및 데이터 베이스 상세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의 정형 데이터 및 비정형 데이터 개념 설명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 상세 과정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어 영상 생성부 상세도 및 데이터 베이스 상세도이다.Hereinafter,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1(a, b)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ntir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diagrams of the entir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FIG. 4A is a detailed diagram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nd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C is a detailed process explanatory diagram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etailed diagram of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and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b),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서비스 서버(100)와 가입자 정보 저장부(110)와 재난 정보 수집부(130)와 수어 영상 생성부(140)와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 b), 2, and 3,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ervice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200. It consists of a service server 100,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a sign language image generation unit 140, and a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가입자 정보 저장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인 여부, 외국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1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 청각 장애인 여부, 외국인 여부와 외국인 인 국적을 저장한다. 거주지, 직장(학교), 제3자에 관한 사항(등록 보호자, 거주지 등)을 기록할 수 있다.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using the application is hearing impaired or a foreign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stores the user's smartphone number, whether he or she is hearing impaired, whether he or she is a foreigner, and the nationality of the foreigner. You can record residence, workplace (school), and third party information (registered guardian, residence, etc.).

<재난 정보 수집부><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도 1(a, b),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재난문자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1(a, b),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지자체 또는 중앙부처에 의해 생성된 화재, 지진, 기상,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생성된 재난문자를 재난 데이터 정보 API를 통해 수신한다.As shown in FIGS. 1 (a, b), 2, and 3,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receives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text. As shown in FIGS. 1 (a, b) and 2,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collects disaster texts generated in relation to fire, earthquake, weather, and fine dust generated by local governments or central ministries into disaster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API.

도 1(a, b),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재난 발생 위치 정보와, 긴급 구조를 위한 소방서 출동 정보와, 긴급 구조를 위해 출동한 소방 차량의 위치 정보와, 지도 제공 서비스 서버(네이버, 카카오, 구글)부터 지도 정보를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API를 통해(연동하여) 수신한다.As shown in FIGS. 1 (a, b), 2, and 3,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provides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fire department dispatch information for emergency rescue, and fire department dispatched for emergency rescue. The vehicle's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map service servers (Naver, Kakao, Google) through (linked to) the API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기(20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어 영상 정보(I1) 또는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이 설치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로 모바일 스마트 폰, Android, IOS 체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갤럭시나 애플 워치 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or translated disaster information (I2) from the service server 100, displays it on the display, and generates a user interface (UI) for interfac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The application program 200a is installed. The user terminal 200 may mainly use a mobile smart phone, Android, or IOS system, and may be a Galaxy or Apple Watch.

<수어 영상 생성부 : 서버><Sign language video generation unit: server>

도 2, 도 3,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어 영상 생성부(140)는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애인 단말기에게 전송될 수어 영상 정보(I1)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S. 2, 3, and 4A,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generat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to be transmitted to a hearing-impaired terminal based on disaster information.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어 영상 생성부(140)는 재난 문자 중 상황이 바뀌어도 내용이 변하지 않는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을 저장하는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 저장부(143)와, 재난 문자 중 상황이 바뀌는 경우 변하는 비정형 데이터(예를들어, 숫자, 위치)에 관한 수어 영상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비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 생성부(144)와,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과 비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을 합성하고 동작 연결을 위한 보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수어 합성부(142)와,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수어 합성부(142)로부터 전달된 수어 영상을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수어 영상 스트림 생성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서 재난 문자를 수어 영상으로 맵핑함에 있어서 표현의 정확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4A, 4B, and 4C,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includes a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43 that stores a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whose content does not change even if the situation changes among disaster texts; An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4 that stores or generates a sign language image related to unstructured data (e.g., numbers, locations) that changes when the situation changes among disaster texts, and synthesizes the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and the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a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synthesis unit 142 that performs an interpolation process for motion connection, and a sign language image stream generator 141 that generates a stream of the sign langu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synthesis unit 142. It is composed including. As a result, the accuracy of expression can be increased when mapping disaster texts to sign language images.

<수어 영상 표시 : 앱><Sign language video display: app>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상세 화면(M_50) 상세도이다.Figure 8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ter safety details screen (M_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수어 영상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재난 문자에 대한 수어 영상 스트림을 청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재난 안전 상세 화면(M_50)를 제공한다.The service server 100 transmits the sign language video stream for the disaster text generated by the sign language video generator 140 to the user terminal 200 recognized as being used by the hearing impaired. As shown in FIG. 8, 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disaster safety details screen (M_50) upon the user's request.

상기 재난 안전 상세 화면(M_50)는, 재난 문자와 함께 수어영상 보기 버튼(M_50a)을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상기 수어영상 보기 버튼(M_50a)으로부터 온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재난 안전 상세 화면(M_50)는 상기 수어 영상 저장부(140)로부터 생성된 재난 문자에 대한 수어 영상 스트림을 수어 영상 화면부(M_50a)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The disaster safety details screen (M_50) displays the sign language video view button (M_50a) on the display along with the disaster text, and when a signal from the sign language video view button (M_50a) is detected, the disaster safety details screen (M_50)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 language video stream for the disaster text generated from the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40 is displayed on the sign language video screen unit (M_50a).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Department>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는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에게 전송될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생성하는 구성된다.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는 입력된 상기 재난 문자를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로 송신하고 상기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로부터 수신된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문자를 수신하여 국어로 된 재난 문자를 외국어로 번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는 네이버 papago 개방 API를 사용하였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is configured to generate disaster information (I2)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to be transmitted to foreigners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disaster text to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receives the disaster text translated into the foreign language received from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translates the disaster text in the Korean language into the foreign languag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Send to (2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used was the Naver papago open API.

<데이터 베이스 : 앱 메뉴, 상황대처 수어 영상 ><Database: App menu, situation response sign language vide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모바일 앱 데이터 저장부(151) 및 재난 상황 대처 정보(대처 방법 교육자료)를 수어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 수어 영상 저장부(155)로 구성된 데이터 베이스(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5, 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100 converts the mobile app data storage unit 151 an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education material on how to respond) into sign language images.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a database 120 consisting of a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55 that generates and stores the sign language image.

<재난 위치 및 종류 아이콘식 표시 : 서버 및 앱><Disaster location and type icon display: server and app>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에서, 서비스 서버(100)는 재난 (위치) 지도 생성부(160)와 실시간 소방 차량 위치 생성부(170)를 더 포함한다. 재난 (위치) 지도 생성부(160)는 재난 발생 위치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실시간 소방 차량 위치 생성부(170)는 소방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소방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ure 2, 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100 further includes a disaster (location) map generator 160 and a real-time firefighting vehicle location generator 170. do. The disaster (location) map generator 160 uses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to generate an image representing the disaster location on a map. The real-time fire-fighting vehicle location generator 170 uses th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and the map information to generate an image represent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on the map.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위치 등이 표시된 지도 화면(M_60) 상세도이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안전 상세 화면(M_50)는 재난 문자와 함께 지도 보기 버튼(M_50a)을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상기 지도 보기 버튼(M_50b)으로부터 온 신호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지도 정보에 재난 위치(M_60a)가 재난 종류를 표시하는 아이콘(도안)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시된 지도 화면(M_60)을 팝업 시키고, 아이콘(도안)은 재난 종류별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재난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도안으로 별도로 제작된다.Figure 9 is a detailed view of a map screen (M_60) displaying disaster locations,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disaster safety details screen (M_50) displays a map view button (M_50a) along with disaster text on the display, and when a signal from the map view button (M_50b) is detected, the user 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terminal 200 pops up a map screen (M_60) where the disaster location (M_60a) is visually displayed in the map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con (design) indicating the type of disaster, and the icon (design) represents the disaster. Each type is produced separately with a design that allows users to easi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정보 우선 순위 설정 메뉴(M_10), 푸시 방식의 알림 재난 종류 설정 메뉴(M_20), 개인 정보 설정 메뉴 상세도이다.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ter information priority setting menu (M_10), the push-type notification disaster type setting menu (M_20),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M_10 : 재난 종류 설정 메뉴><Figure 6 M_10: Disaster type setting menu>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재난 정보 우선 순위 설정 메뉴(M_10)를 제공하되,The application program 200a provides a disaster information priority setting menu (M_1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상기 재난 정보 우선 순위 설정 메뉴(M_10)는,The disaster information priority setting menu (M_10) is,

제1 지역(거주지), 제2 지역(근무지, 학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 메뉴를 제공하거나 개인 정보에서 주소를 업로드 하여 복수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input menu to select the first region (residence) and second region (workplace, school) or by uploading the address from personal information to select and receive disasters that occur within multiple regions.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도 6 M_20 : 재난 종류 설정 메뉴><Figure 6 M_20: Disaster type setting menu>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푸시 방식의 알림 재난 종류 설정 메뉴(M_20)를 제공하되,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push notification disaster type setting menu (M_20) upon user request,

상기 푸시 방식의 알림 재난 종류 설정 메뉴(M_20)는,The push-type notification disaster type setting menu (M_20) is,

화재 알림, 미세먼지 알림, 지진 알람, 태풍 알림, 및 안전 알림에 대한 푸시 방식의 선택 버튼(M_20a)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push-type selection button (M_20a) for fire notification, fine dust notification, earthquake alarm, typhoon notification, and safety notification.

<재난 상황 대처 정보><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 대처 정보 화면(M_40) 상세도이다.,Figure 7 is a detailed view of the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creen (M_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데이터 베이스(120)는 재난 상황 대처 정보(대처 방법 교육자료)를 수어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 수어 영상 저장부(125)를 구비하고,The database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25 that generates and stores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education material on coping methods) as a sign language image,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재난 상황 대처 정보 화면(M_40)를 제공하되,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creen (M_40) upon user request,

상기 재난 상황 대처 정보 화면(M_40)는, 청각 장애인의 경우 상기 제2수어 영상 저장부(155)로부터 송출된 재난 상황 대처 정보 수어 영상을 수어 영상 화면부(M_40b)에 표출하며, 수어영상 보기 및 수어 영상 닫기 버튼(M_40a)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미리 저장된 재난 상황 대처 문자 정보(M_40c)를 함께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The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creen (M_40) displays the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ign langu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55 in the case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on the sign language image screen unit (M_40b), and displays the sign language image screen unit (M_40b),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that additionally displays a sign language video close button (M_40a) on the display and also displays pre-stor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text information (M_40c).

<소방서 및 AED 위치><Fire station and AED loc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방 위치 정보 및 AED 위치 정보 상세도이다.Figure 10 is a detailed view of firefigh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E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본 발명의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에서,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소방서 위치 정보, AED 위치 정보를 API를 통해 더 수신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소방서 위치 생성부(180)와 AED 위치 생성부(190)를 더 포함한다. 2, in the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further receives fir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PI. The service server 100 further includes a fire department location generator 180 and an AED location generator 19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서 위치 생성부(180)는 소방서 위치 위치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소방서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AED 위치 생성부(190)는 AED 위치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AED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fire station location generator 180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on a map us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The AED location generator 190 uses the AED loc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to generate an image representing the AED location on the map.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PP 제공 메뉴 화면 상세도이다. 도 11의 좌측 재난 안전 리스트의 경우, 기간에 따라 발생한 재난 문자를 목록을 보여주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세 내용을 보여준다. 도 12의 중앙은 재난 정보 공유 화면이며, 도 12의 우측 화면은 재난 알림 정보 화면으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아이콘이 중앙 하부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준다.Figure 11 is a detailed view of the APP provision menu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disaster safety list on the left side of Figure 11, it shows a list of disaster texts that occurred depending on the period and shows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center of FIG. 12 is a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creen, and the right screen of FIG. 12 is a disaster notification information screen, showing an icon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fire located in the lower center.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which ar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ing to .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t is stated that the drawing symbols used in the patent claims below are merely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do not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the scope of rights.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narrowly interpreted based on the drawing symbols.

110 : 가입자 정보 저장부
120 : 데이터 베이스
121 : 모바일 앱 데이터 저장부
121a : 모바일 APP 메뉴 저장부
121b : 모바일 APP 사용법 저장부
125 : 제2 수어 영상 저장부
130 : 재난 정보 수집부
140 : 수어 영상 생성부
150 :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
160 : 재난 지도 생성부
170 : 실시간 소방 차량 위치 생성부
180 : 소방서 위치 생성부
190 : AED 위치 생성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00a : 애플리케이션
110: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database
121: mobile app data storage unit
121a: Mobile APP menu storage unit
121b: Mobile APP usage storage unit
125: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30: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140: Sign language image generation unit
150: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department
160: Disaster map generation unit
170: Real-time firefighting vehicle location generator
180: Fire station location generation unit
190: AED location generator
200: user terminal
200a: application

Claims (10)

재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각 장애인 여부, 외국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110)와,

재난문자를 포함하는 재난정보를 입력받는 재난 정보 수집부(130)와,

상기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청각 장애인 단말기에게 전송될 수어 영상 정보(I1)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수어 영상 생성부(140)와,

상기 재난 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에게 전송될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생성하는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 외국어 번역 서버)로 구성된 서비스 서버(100)와;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어 영상 정보(I1) 또는 번역된 재난 정보(I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모바일 앱 데이터 저장부(151) 및 재난 상황 대처 정보(대처 방법 교육자료)를 수어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 수어 영상 저장부(155)로 구성된 데이터 베이스(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지자체 또는 중앙부처에 의해 생성된 화재, 지진, 기상,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생성된 재난문자를 재난 데이터 정보 API를 통해 수신 하고,

상기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재난 발생 위치 정보와,
긴급 구조를 위한 소방서 출동 정보와,
긴급 구조를 위해 출동한 소방 차량의 위치 정보와,
지도 제공 서비스 서버(네이버, 카카오, 구글)부터 지도 정보를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API를 통해(연동하여)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재난 발생 위치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재난 (위치) 지도 생성부(160)와,

상기 소방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소방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실시간 소방 차량 위치 생성부(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난 정보 수집부(130)는,
소방서 위치 정보, AED 위치 정보를 API를 통해 더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소방서 위치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소방서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소방서 위치 생성부(180)와,

상기 AED 위치와 상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AED 위치를 지도상에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AED 위치 생성부(19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어 영상 생성부(140)는
재난 문자 중 상황이 바뀌어도 내용이 변하지 않는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을 저장하는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 저장부(143)와,
재난 문자 중 상황이 바뀌는 경우 변하는 비정형 데이터(예를들어, 숫자, 위치)에 관한 수어 영상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비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 생성부(144)와,
상기 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과 비정형 데이터 수어 영상을 합성하고 동작 연결을 위한 보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수어 합성부(142)와,
상기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수어 합성부(142)로부터 전달된 수어 영상을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수어 영상 스트림 생성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국어 번역 서비스부(150)는 입력된 상기 재난 문자를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로 송신하고 상기 외국어 번역 서비스 API로부터 수신된 외국어로 번역된 재난 문자를 수신하여 국어로 된 재난 문자를 외국어로 번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앱 데이터 저장부(121)는
모바일 APP 메뉴 저장부(121a)와 모바일 APP 사용법 저장부(121b)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재난 정보 우선 순위 설정 메뉴(M_10)를 제공하되,

상기 재난 정보 우선 순위 설정 메뉴(M_10)는,
제1 지역(거주지), 제2 지역(근무지, 학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 메뉴를 제공하거나 개인 정보에서 주소를 업로드 하여 복수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푸시 방식의 알림 재난 종류 설정 메뉴(M_20)를 제공하되,

상기 푸시 방식의 알림 재난 종류 설정 메뉴(M_20)는,
화재 알림, 미세먼지 알림, 지진 알람, 태풍 알림, 및 안전 알림에 대한 푸시 방식의 선택 버튼(M_20a)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120)는 재난 상황 대처 정보(대처 방법 교육자료)를 수어 영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 수어 영상 저장부(125)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a)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재난 상황 대처 정보 화면(M_40)를 제공하되,

상기 재난 상황 대처 정보 화면(M_40)는, 청각 장애인의 경우 상기 제2수어 영상 저장부(155)로부터 송출된 재난 상황 대처 정보 수어 영상을 수어 영상 화면부(M_40b)에 표출하며, 수어영상 보기 및 수어 영상 닫기 버튼(M_40a)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출하고, 미리 저장된 재난 상황 대처 문자 정보(M_40c)를 함께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약자를 위한 실시간 재난정보 시스템.
In th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method,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that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using the application is hearing impaired or a foreigner;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that receives disaster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text,

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that generates and provid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to be transmitted to a hearing-impaired terminal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a service server 100 composed of a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er) that generates disaster information (I2)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to be transmitted to foreigners based on the disaster information;

An application program (200a) that receives sign language image information (I1) or translated disaster information (I2) from the service server 100, displays it on a display, and creates a user interface (UI) for interfacing with the service server 100. ) is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terminal 200 installed,

The service server 100 is
It further includes a database 120 consisting of a mobile app data storage unit 151 and a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55 that generates and stores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education material on how to respond) as a sign language image. ,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Receive disaster text messages related to fire, earthquake, weather, and fine dust generated by local governments or central ministries through the disaster data information API,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Fire department dispatch information for emergency rescue,
Location information of firefighting vehicles dispatched for emergency rescue,
M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ap service server (Naver, Kakao, Google) through (linked to) the API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100,
A disaster (location) map generator 16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disaster location on a map using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A real-time firefighting vehicle location generator 17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on a map using th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vehicle and the map information.
It is composed further including,

The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0,
Receive additional fire departm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PI,

The service server 100,
a fire station location generator 18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on a map using the fir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An AED location generator 190 that generates an image representing the AED location on a map using the AED loc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It is composed further including,

The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0
A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43 that stores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s whose contents do not change even if the situation changes among disaster texts,
An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generator 144 that stores or generates a sign language image related to unstructured data (e.g., numbers, locations) that changes when the situation changes among disaster texts, and
a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synthesis unit 142 that synthesizes the 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and the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image and performs an interpolation process for motion conn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gn language image stream generator 141 that generates a stream of the sign langu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sign language synthesis unit 142,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disaster text to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receives the disaster text translated into the foreign language received from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API, and translates the disaster text in the Korean language into the foreign language for the user. transmit to the terminal 200,

The mobile app data storage unit 121 is
It consists of a mobile APP menu storage unit (121a) and a mobile APP usage storage unit (121b),

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disaster information priority setting menu (M_10) upon user request,

The disaster information priority setting menu (M_10) is,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n input menu to select the first region (residence) and second region (workplace, school) or to upload addresses from personal information to select and receive disasters that occur within multiple regions.

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push notification disaster type setting menu (M_20) upon user request,

The push-type notification disaster type setting menu (M_20) is,
Provides push-type selection buttons (M_20a) for fire notification, fine dust notification, earthquake alarm, typhoon notification, and safety notification,

The database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25 that generates and stores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education material on coping methods) as a sign language image,

The application program 200a of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a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creen (M_40) upon user request,

The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creen (M_40) displays the disaster situation response information sign langu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ign language image storage unit 155 in the case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on the sign language image screen unit (M_40b), and displays the sign language image screen unit (M_40b), A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for disaster victims that additionally displays a sign language video close button (M_40a) on the display and also displays pre-stored disaster situation response text information (M_40c).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09493A 2023-01-25 2023-01-25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KR102617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493A KR102617070B1 (en) 2023-01-25 2023-01-25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493A KR102617070B1 (en) 2023-01-25 2023-01-25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070B1 true KR102617070B1 (en) 2023-12-27

Family

ID=8937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493A KR102617070B1 (en) 2023-01-25 2023-01-25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07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422A (en) * 2011-10-20 2013-04-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KR101810477B1 (en) * 2016-09-01 2017-12-19 국방과학연구소 Apparatus for simulating massive image input
KR20210097872A (en) * 2020-01-30 2021-08-10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KR20210156193A (en) * 2020-06-17 2021-12-24 박영심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KR20220059405A (en) * 2020-11-02 2022-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porting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KR102472431B1 (en) * 2021-12-13 2022-12-01 주식회사 동일아이씨티 disaster and safety urgent alarm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422A (en) * 2011-10-20 2013-04-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KR101810477B1 (en) * 2016-09-01 2017-12-19 국방과학연구소 Apparatus for simulating massive image input
KR20210097872A (en) * 2020-01-30 2021-08-10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KR20210156193A (en) * 2020-06-17 2021-12-24 박영심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vacuation service
KR20220059405A (en) * 2020-11-02 2022-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reporting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KR102472431B1 (en) * 2021-12-13 2022-12-01 주식회사 동일아이씨티 disaster and safety urgent alarm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 et al. IoT-enabled emergency information supply chain architecture for elderly people: The Australian context
US9728052B2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emergency alerting method using same
US20090309742A1 (en) Disaster alert display (dad) emergency and natural disaster warn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if people are caught in an emergency or disaster, determines if they are ok, and notifies their emergency contacts
US2003001234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emergency services
US2011022773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US20150195676A1 (en) System and method through which people involved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communicate and share real-time, electronic, informa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with each other and with public safety personnel during emergency situations
US2018029549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40072994A (en)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ing information and managing method thereof
US20140143729A1 (en) Emergency contact system
JP2013211727A (en) Multiple dwelling house information system
Ellcessor In case of emergency: How technologies mediate crisis and normalize inequality
Chaves et al. Public warning applications: Requirements and examples
JP20231784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617070B1 (en) real time diaster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the diaster weak
Lendholt et al. Generic information logistics for early warning systems
Sørensen Lack of alignment in emergency response by systems and the public: a Dutch disaster health literacy case study
JP2020198511A (en) Disaster information contribution processing system, disaster information contribution processing method, and disaster information contribution processing server device
KR20210010099A (en) Text and Voice guid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ublic interest information of government office using mobile terminal
Batarseh et al. Context-aware user interfaces for intelligent emergency applications
JP3179006U (en) Report simultaneous transmission device and report simultaneous transmission system
JP6192983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JP2011146011A (en) Electronic mail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mail termina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KR20200017940A (en) Deep running based silver bel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Mitchell et al. Wireless emergency alerts: An accessibility study.
JP74274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