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099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099A
KR20210156099A KR1020200073812A KR20200073812A KR20210156099A KR 20210156099 A KR20210156099 A KR 20210156099A KR 1020200073812 A KR1020200073812 A KR 1020200073812A KR 20200073812 A KR20200073812 A KR 20200073812A KR 20210156099 A KR20210156099 A KR 20210156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pplication member
container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606B1 (ko
Inventor
한진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7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60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738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6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상기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공간을 제공하는 도포부재수용용기;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할 수 있는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제1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 없이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를 개방 가능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된 제2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한 후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를 개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두발 화장품, 방향성 화장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 중 색조 화장품은 기초화장을 한 이후에 피부의 여러 부위에 색을 입혀 특정 부위를 강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색조화장품의 종류로는 립스틱, 립글로즈,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블러셔 등이 있고, 각각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이중 립글로즈는, 입술을 보호하거나 입술을 건강하면서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립글로즈 용기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일반적으로, 립글로즈 용기는 화장료가 들어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상기 뚜껑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솔대 및 상기 솔대의 단부에 형성된 도포부재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종래의 립글로즈를 사용 시, 뚜껑을 개방하여 솔대 단부에 묻은 립글로즈를 입술에 묻혀 바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립글로즈 용기는 도포부재에 묻은 화장료를 입술에 바른 후 도포부재 및 솔대를 다시 용기본체에 넣는 과정에서 입술에 묻은 이물질이나 세균이 용기본체의 립글로즈 화장료와 섞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립글로즈 용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양보다 많은 양의 립글로즈 화장료가 도포부재에 묻어나오게 되어 필요한 양만큼 토출시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립글로즈 용기는 용기본체를 쓰러트릴 경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가 넘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한국 공개 특허공보 10-2019-0017534 (2019.02.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토출 시킬 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와 도포부재를 분리 보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를 도포부재에 묻히지 않고 도포부재를 본체에 대해 분리시키거나,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를 도포부재에 묻혀 도포부재를 본체에 대해 분리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상기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공간을 제공하는 도포부재수용용기;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할 수 있는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제1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 없이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를 개방 가능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된 제2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한 후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를 개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측에 기 설정된 경로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가 제공되는 내캡; 상기 내캡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내캡과 함께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제2 공간에 압력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피스톤; 및 상기 내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내측에 상기 제1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제공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기 설정된 경로가 형성된 외측 원통부재;상기 외측 원통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에 압력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내측 원통부재; 상기 외측 원통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나사선 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 홈이 제공되는 하부 원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원통부재의 하측으로 솔대와 상기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는 에어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솔대에는 상기 에어유통구와 연결되는 에어유통홀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경로는 내캡에 제공된 제1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홀로 제공되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로; 상기 제2 경로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경로; 및 상기 제3 경로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경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캡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대 이동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내캡 몸체; 상기 내캡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상기 외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동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외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부재; 및 상기 내캡 몸체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과 결합될 수 있는 피스톤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을 감쌀 수 있고, 상기 내캡이 상승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외캡 몸체; 상기 외캡 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캡에 제공된 상기 제1 부재를 가이드 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부재가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는, 상기 본체의 내측과 접촉하는 외벽; 상기 외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의 하측에는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는, 상기 토출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부재; 상기 중앙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과 접촉할 수 있는 외측부재; 상기 중앙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재와 상기 외측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공간에 있는 상기 유체를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연통홀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에는 패킹이 제공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패킹몸체; 상기 패킹몸체의 내측에 내공되고 상기 도포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패킹날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를 수용하되,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의 상측 내부 둘레에는 제1 끼움홈이 제공되고, 상기 상부 본체의 하측 내부 둘레에는 제2 끼움홈이 제공되고,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가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끼움홈과 상기 제2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덮개의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는 목부; 상기 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는 외부 하부 본체; 및 상기 외부 하부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에 제공되는 패킹의 상측을 누를 수 있는 내부 하부 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이동 될 수 있는 에어리스피스톤이 제공되고, 기 하부 본체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리스피스톤과 상기 상부 본체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홀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토출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와 도포부재를 분리 보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를 도포부재에 묻히지 않고 도포부재를 본체에 대해 분리시키거나, 유체(예를 들어, 화장료)를 도포부재에 묻혀 도포부재를 본체에 대해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장품 용기의 가이드부재의 외측 원통부재를 펼친 전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내캡을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외캡을 절개 후 절개면을 향해 바라본 외캡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화장품 용기를 조작함에 따라 본체와 덮개의 상대적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내캡과 외캡이 본체에 대해 동시에 상승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내캡이 외캡에 대해 상승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화장품 용기(1)의 가이드부재(320)의 외측 원통부재(320A)를 펼친 전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는 도 2의 내캡(340)을 하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외캡(360)을 절개 후 절개면을 향해 바라본 외캡(36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밸브(4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10); 제1 공간(S1)에 저장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공간(S2)을 제공하는 도포부재수용용기(20); 본체(10)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제2 공간(S2)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할 수 있는 도포부재(322)가 제공되는 덮개(30)를 포함하고, 본체(10)와 덮개(30)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제1 상태에서 덮개(30)를 본체(10)에 대해 상대 회전 시,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상기 제2 공간(S2)으로 이동 없이 상기 덮개(30)는 상기 본체(10)를 개방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와 덮개(30)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된 제2 상태에서 덮개(30)를 본체(10)에 대해 상대 회전 시,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유체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이동하고 덮개(30)는 본체(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덮개(30)의 외측은 외캡(360)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1 위치(M1)에 위치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는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2 위치(M2) 내지 제5 위치(M5)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시키지 않고, 덮개(30)를 본체(10)에 대해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포부재(322)에 화장료를 접촉시키지 않을 수 있는바, 화장료가 묻지 않는 도포부재(322)를 이용하여 화장을 고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한 후, 덮개(30)를 본체(10)에 대해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포부재(322)에 화장료를 묻힐 수 있는바, 화장료가 묻은 도포부재(322)를 이용하여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토출시켜, 도포부재(322)와 화장료를 접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유동성이 있는 화장료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는 일 물체에 묻혀 도포할 수 있는 모든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는 의약품, 음료, 공업용 그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z 방향을 상측, -z방향을 하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본체(10)는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하부 본체(120); 및 하부 본체(120)와 연결되는 상부 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도포부재수용용기(20)를 내측에 수용하되, 하부 본체(120)와 상부 본체(140)는 도포부재수용용기(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본체(120)의 상부에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하부가 결합될 수 있고, 상부 본체(140)의 하부에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본체(120)의 상측 내부 둘레에는 제1 끼움홈(122)이 제공되고, 상부 본체(140)의 하측 내부 둘레에는 제2 끼움홈(142)이 제공되고,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22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본체(120)에 형성되는 제1 끼움홈(122)과, 상부 본체(140)에 형성되는 제2 끼움홈(142)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222)에 결합됨으로써, 하부 본체(120)와 상부 본체(14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본체(120)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결합에 의해 제1 공간(S1)은 밀폐될 수 있다.
상부 본체(140)는 덮개(30)의 가이드부재(320)와 결합하는 목부(144); 목부(144)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부 본체(120)와 연결되는 외부 하부 본체(148); 외부 하부 본체(148)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에 제공되는 패킹(50)의 상측을 누를 수 있는 내부 하부 본체(146)를 포함할 수 있다.
목부(144)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도포부재(322)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143)가 형성될 수 있고, 목부(144)의 외측에는 가이드부재(320)의 내측과 체결될 수 있는 나사선 돌기(145)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부 본체(148)와 내부 하부 본체(146)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부 본체(146)의 하측에는 패킹(50)을 누를 수 있는 "ㄱ"또는 "ㄴ"자 형상(단면 형상)의 누름부(146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본체(120)의 내부에는 제1 공간(S1)의 압력 변화에 따라 이동 될 수 있는 에어리스피스톤(128)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본체(120)의 하측에는 에어리스피스톤(128)과 상부 본체(140)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홀(129)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리스피스톤(128)에 의해 본체(1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에어리스피스톤(128)은 본체(10)에 저장된 화장료가 토출된 양만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에어리스피스톤(128)의 이동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바, 본체(10)에 저장된 화장료가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도포부재수용용기(20)는 본체(10)의 내부에 결합가능하고,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도포부재(322)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공간(S2)이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에 저장된 화장료는 제2 공간(S2)으로 토출될 수 있고, 제2 공간(S2)에 토출된 화장료는 도포부재(322)에 묻혀져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도포부재수용용기(20)에 의해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322)와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바, 도포부재(322)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에도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가 도포부재(322)에 묻은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포부재수용용기(20)는 본체(10)의 내측과 접촉하는 외벽(221); 및 외벽(221)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공간(S2)을 형성하는 내벽(2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벽(224)의 하측에는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가 제2 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S3)가 형성될 수 있다.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외벽(221)에는 끼움돌기(22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돌기(222)에 의해 하부 본체(120)와 상부 본체(14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외벽(221)과 내벽(224)의 상측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에 패킹(50)이 끼워질 수 있다.
패킹(50)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포부재(322)의 외주면에 묻은 화장료를 훑을 수 있는바, 적당량의 화장료가 도포부재(322)에 묻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50)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벽(224)과 외벽(221) 사이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술한 내부 하부 본체(146)의 누름부(1461)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패킹몸체(510); 및 패킹몸체(510)의 내측에 제공되어 도포부재(322)와 접촉할 수 있는 패킹날개(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재(322)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에 삽입되었을 때, 패킹(50)에 의해 제2 공간(S2)이 밀폐되어 제2 공간(S2) 외부로 화장료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패킹몸체(510)는 도포부재수용용기(20) 내부에 끼워지고 상술한 내부 하부 본체(146)에 눌려질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날개(520)는 패킹몸체(510)의 내주면을 따라 도포부재(3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날개(520)는 도포부재(322)의 외주면을 용이하게 훑어낼 수 있도록 패킹(50)의 중심부를 향해 하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날개(520)는 도포부재(322)가 제2 공간(S2)에 삽입 시 도포부재(322)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패킹(5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plastic elastomer),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합성 고분자(synthetic polymer),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패킹(5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에는 토출구(S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40)가 제공될 수 있다.
밸브(40)는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공간(S1)에 있는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40)는 토출구(S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부재(410); 중앙부재(41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과 접촉할 수 있는 외측부재(420); 중앙부재(410)와 외측부재(4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재(410)와 상기 외측부재(420) 사이에는 제1 공간(S1)에 있는 상기 유체를 상기 제2 공간(S2)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연통홀(440)이 제공될 수 있다.
덮개(30)는 상측에 기 설정된 경로(3200)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도포부재(322)가 제공되는 가이드부재(320); 가이드부재(320)에 형성된 상기 기 설정된 경로(32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342)가 제공되는 내캡(340); 내캡(340)의 내측에 고정되고, 내캡(340)과 함께 승강함에 따라 제2 공간(S2)에 압력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피스톤(350); 내캡(3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내측에 제1 부재(342)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홈(362)이 제공되는 외캡(36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320)는 본체(10)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경로(3200)를 형성하여 내캡(340)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320)는 기 설정된 경로(3200)가 형성된 외측 원통부재(320A); 외측 원통부재(320A)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공간(S2)에 압력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피스톤(350)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내측 원통부재(320B); 외측 원통부재(320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본체(10)의 목부(144)에 형성된 나사선 돌기(145)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 홈(329)이 내측에 제공되는 하부 원통부재(32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20)는 내캡(340)과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1 경로(3202)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에 대해 상승할 수 있고,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2 경로(3204)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3 경로(3206)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에 대해 상승 및 회전할 수 있고,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4 경로(3208)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20)는 외캡(360)과도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1 경로(3202)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외캡(360)은 가이드부재(320)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2 경로(3204) 내지 제4 경로(3208)를 따라 이동할 때에는 외캡(360)은 가이드부재(3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외측 원통부재(320A)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캡(340)의 제1 부재(342)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경로(3200)가 형성될 수 있다. 기 설정된 경로(3200)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경로(3200)는 2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 쌍의 기 설정된 경로(320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캡(34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부재(342)가 한 쌍의 기 설정된 경로(3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바, 내캡(340)이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외측 원통부재(320A)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 개의 회전 가이드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돌기(321)는, 회전 가이드돌기(321)와 외캡(360)이 상대 회전 시, 외캡(360)의 내측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회전 가이드홈(364)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다.
기 설정된 경로(3200)는 내캡(340)에 형성된 제1 부재(342)가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경로(3200)는 홀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한다.
기 설정된 경로(320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경로(3202); 제1 경로(3202)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로(3204); 제2 경로(3204)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경로(3206); 및 제3 경로(3206)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경로(3208)를 포함할 수 있다.
내캡(340)에 형성된 제1 부재(342)는 제1 경로(3202) 내지 제4 경로(3208)를 따라 이동하며, 내캡(340)이 본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342)는 도 4에 도시된 제1 위치(M1), 제2 위치(M2), 제3 위치(M3), 제4 위치(M4)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내캡(340)이 본체(10)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M1), 제2 위치(M2), 제3 위치(M3), 제4 위치(M4)는 내캡(340)의 제1 부재(342)의 중심이 위치할 수 있는 가상의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내캡(340)의 상승과 함께 피스톤(350)이 상승하여, 제1 공간(S1)에 있는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내측 원통부재(320B)는 외측 원통부재(320A)의 내측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피스톤(350)은 내측 원통부재(320B)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내측 원통부재(320B)와 피스톤(350) 사이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될 수 있다.
하부 원통부재(320C)는 상부 본체(140)와 결합하여, 본체(10)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하부 원통부재(320C)는 외측 원통부재(320A)와 내측 원통부재(320B)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하부 원통부재(320C)의 내측에는 상부 본체(140)에 형성된 나사선 돌기(145)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 홈(329)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원통부재(320C)를 본체(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하부 원통부재(320C)는 본체(10)를 개방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하부 원통부재(320C)는 본체를 밀폐할 수 있다.
하부 원통부재(320C)의 내측 중앙을 따라 솔대(324)가 연장될 수 있으며, 솔대(324)의 단부에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도포부재(322)가 제공될 수 있다.
솔대(324)의 내측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통홀(325)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유통홀(325)의 일측 단부는 내측 원통부재(320B)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고, 에어유통홀(325)의 타측 단부는 도포부재(322)의 에어유통구(328)와 연결될 수 있다.
도포부재(322)에는 제2 공간(S2)과 연결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통구(328)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유통구(328)는 도포부재(322)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에어유통구(328)는 가이드부재(320)가 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제2 공간(S2)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공간(S2)에 있는 공기를 에어유통구(328)와 에어유통홀(325)을 통해 내측 원통부재(320B)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할 수 있는바(피스톤(350)의 이동에 의함), 제1 공간(S1)에 있는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 및 외캡(360)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캡(360)과 본체(10)의 상대이동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내캡(340)과 피스톤(350)은 서로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는바, 피스톤(350)의 이동은 내캡(340)이 이동과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320)가 본체(10)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캡(340)이 상승하는 경우 피스톤(350)도 동시에 상승하여 제1 공간(S1)에 있는 화장료가 제2 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캡(340)은 가이드부재(320)와 상대 이동 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내캡 몸체(341); 내캡 몸체(34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부재(320)의 기 설정된 경로(3200)와 외캡(36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62)을 동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342); 제1 부재(342)의 상측에 제공되고, 외캡(360)에 형성된 가이드홈(362)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부재(344); 및 내캡 몸체(341)의 내측에 제공되고, 피스톤(350)과 결합될 수 있는 피스톤 고정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내캡 몸체(34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320)와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대 이동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상대 회전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내캡 몸체(341)는 외측 원통부재(320A)와 내측 원통부재(320B) 사이에서 상승, 하강 및 회전할 수 있다.
제1 부재(342)는 내캡 몸체(34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320)의 기 설정된 경로(3200)에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342)는 외캡(360)에 상하 방향(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62)에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1 부재(342)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342)가 180도 간격으로 2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부재(342)는 120도 간격으로 3개 제공되는 것과, 90도 간격으로 4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부재(344)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362)의 상측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부재(344)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제2 부재(344)가 가이드홈(362)에 삽입될 수 있는바, 안정적으로 내캡(340)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피스톤 고정부재(346)는 내캡 몸체(341)의 내측에 제공되며, 피스톤 고정부재(346)의 단부에는 피스톤(350)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고정부재(346)와 피스톤(350)은 억지 끼움맞춤되거나, 나사선으로 결합되거나, 본딩 등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외캡(360)은 가이드부재(320) 및 내캡(340)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외캡(360)은 내캡(340)을 감쌀 수 있고, 내캡(340)이 상승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368)가 형성된 외캡 몸체(361); 외캡 몸체(361)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캡(340)에 제공된 제1 부재(342)를 가이드 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362); 가이드홈(362)의 하측에 제공되고, 제1 부재(342)가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턱(36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캡(360)은 가이드부재(320)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돌기(321)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링 형상의 회전 가이드홈(364)이 제공될 수 있다.
외캡 몸체(36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캡 몸체(361)와 본체(10)를 잡고 서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공간(S1)에 있는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이동없이 덮개(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제1 공간(S1)에 있는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이동시킨 후 덮개(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가이드홈(362)은 외캡 몸체(361)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362)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홈(362)은 2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기 설정된 경로(3200)와 제1 부재(342)와 가이드홈(362)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홈(362)에는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삽입되어, 내캡(34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62)의 상측 단부에는 제2 부재(34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62)의 하측에는 제1 걸림턱(366)이 형성될 수 있다.
외캡(360)이 상승하는 경우, 제1 걸림턱(366)이 내캡(340)에 형성된 제1 부재(342)를 밀어올릴 수 있는바, 내캡(340)은 외캡(360)과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를 조작함에 따라 본체(10)와 덮개(30)의 상대적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화장품 용기(1)의 내캡(340)과 외캡(360)이 본체(10)에 대해 동시에 상승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의 내캡(340)이 외캡(360)에 대해 상승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는 도 3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의 대응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는 도 9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에 대응하고, 도 8의 (c)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는 도 9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에 대응한다.
도3, 도 4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화장품 용기(1)의 사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화장품 용기(1)는 두 가지 상태(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본체(10)와 덮개(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덮개(30)와 본체(10)를 분리 시,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 덮개(30)와 본체(10)를 분리 시,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1 위치(M1)에 위치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와 덮개(30)의 외측(외캡(360)))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도 8(a) 참조).
또한, 제2 상태는 내캡(340)의 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2 위치(M2) 내지 제5 위치(M5)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와 덮개(30)의 외측(외캡(360))은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도 8(b) 및 도 8(c) 참조).
제2 위치(M2) 내지 제5 위치(M5) 사이의 위치는 제2 경로(3204), 제3 경로(3206), 및 제4 경로(3208)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와 덮개(30)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제1 상태(도 8(a) 및 도 3 참조)일 때, 본체(10)와 덮개(30)가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한손으로 본체(1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덮개(30)의 외측인 외캡(360)을 일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외캡(36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362)이 내캡(340)에 형성된 제1 부재(342)와 제2 부재(344)를 밀어 회전시키고, 내캡(340)에 형성된 제1 부재(342)는 가이드부재(320)에 형성된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1 경로(3202)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320)와 본체(10)가 상대 회전 될 수 있는바, 가이드부재(320)가 본체(10)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는 피스톤(350)의 상승이 일어나지 않는바,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되지 않는다. 그 후, 사용자는 가이드부재(320)에 제공된 도포부재(322)를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을 고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와 덮개(30)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된 제2 상태(도 8(b), 도8(c), 도 9 및 도 10 참조)일 때, 본체(10)와 덮개(30)가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한손으로 본체(1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덮개(30)의 외측인 외캡(360)을 상승시키는 경우(도 8(a)에서 도 8(b)로 상태 변경), 외캡(360)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걸림턱(366)이 내캡(340)의 제1 부재(34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내캡(340)의 제1 부재(342)는 가이드부재(320)에 형성된 제1 경로(3202)에 가이드되어 상승한다(제1 부재(342)가 기 설정된 경로(3200)의 제1 위치(M1)에서 제2 위치(M2)로 이동). 이 경우, 내캡(340)과 함께 피스톤(350)이 h1 만큼 상승하고, 피스톤(350)의 상승에 따라 에어유통구(328)와 솔대(324)의 에어유통홀(325)를 통해 제2 공간(S2)에 있는 공기를 내측 원통부재(320B)와 피스톤(350)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가, 밸브(40)에 형성된 연통홀(440)을 통과하여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한손으로 본체(1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덮개(30)의 외측인 외캡(360)을 회전시키는 경우(도 8(b)에서 도 8(c)로 상태 변경), 외캡(360)에 형성된 가이드홈(362)이 내캡(340)의 제1 부재(3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내캡(340)의 제1 부재(342)는 가이드부재(320)에 형성된 제2 경로(3204), 제3 경로(3206), 제4 경로(3208)를 따라 이동할수 있으며(제2 위치(M2), 제3 위치(M3), 제4 위치(M4), 제5 위치(M5)를 따라 이동), 제1 부재(342)가 제3 경로(3206)를 따라 이동할 때 내캡(340)이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캡(340)과 함께 피스톤(350)이 h2 만큼 더 상승하고, 피스톤(350)의 상승에 따라 에어유통구(328)와 솔대(324)와 에어유통홀(325)을 통해 제2 공간(S2)에 있는 공기를 내측 원통부재(320B)와 피스톤(350) 사이의 공간으로 더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도포부재수용용기(20) 내측에 제공된 밸브(40)가 상승하고,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가 밸브(40)에 형성된 연통홀(440)을 통과하고,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S2)에 있는 화장료는 도포부재(322)에 흡수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본체(10)와 덮개(30)를 더욱 회전시키는 경우, 가이드부재(320)가 본체(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포부재(322) 묻은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화장료를 도포부재(322)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화장품 용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시키지 않고, 덮개(30)를 본체(10)에 대해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포부재(322)에 화장료를 접촉시키지 않을 수 있는바, 화장료가 묻지 않는 도포부재(322)를 이용하여 화장을 고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제2 공간(S2)으로 토출한 후, 덮개(30)를 본체(10)에 대해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포부재(322)에 화장료를 묻힐 수 있는바, 화장료가 묻은 도포부재(322)를 이용하여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화장료를 제2 공간(S2)으로 토출시켜, 화장료를 도포부재(322)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재수용용기(20)에 의해 본체(10)의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를 도포부재(322)와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포부재(322)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에도 제1 공간(S1)에 저장된 화장료가 도포부재(322)에 묻은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바, 도포부재(322)를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재수용용기(20)으로 본체(10)에 저장된 화장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토출시킬 수 있는바, 화장료가 본체(10) 외부로 넘치거나, 낭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패킹(50)은 도포부재수용용기(20)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포부재(322)의 외주면에 묻은 화장료를 훑을 수 있다. 이 경우, 적당량의 화장료가 도포부재(322)에 묻어 있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품 용기 10: 본체
20: 도포부재수용용기 30: 덮개
320: 가이드부재 340: 내캡
360: 외캡 40: 밸브
50: 패킹

Claims (15)

  1.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상기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제2 공간을 제공하는 도포부재수용용기;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할 수 있는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제1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 없이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를 개방 가능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외측이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된 제2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 시, 상기 본체의 제1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한 후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를 개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측에 기 설정된 경로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가 제공되는 내캡;
    상기 내캡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내캡과 함께 승강함에 따라 상기 제2 공간에 압력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피스톤; 및
    상기 내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내측에 상기 제1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제공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기 설정된 경로가 형성된 외측 원통부재;
    상기 외측 원통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에 압력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상기 피스톤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내측 원통부재;
    상기 외측 원통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나사선 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 홈이 제공되는 하부 원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원통부재의 하측으로 솔대와 상기 도포부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는 에어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솔대에는 상기 에어유통구와 연결되는 에어유통홀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경로는 내캡에 제공된 제1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또는 홀로 제공되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경로;
    상기 제1 경로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로;
    상기 제2 경로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경로; 및
    상기 제3 경로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경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대 이동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내캡 몸체;
    상기 내캡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상기 외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동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외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부재; 및
    상기 내캡 몸체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과 결합될 수 있는 피스톤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은,
    상기 내캡을 감쌀 수 있고, 상기 내캡이 상승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외캡 몸체;
    상기 외캡 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캡에 제공된
    상기 제1 부재를 가이드 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부재가 걸릴 수 있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는,
    상기 본체의 내측과 접촉하는 외벽;
    상기 외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의 하측에는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토출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부재;
    상기 중앙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과 접촉할 수 있는 외측부재;
    상기 중앙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재와 상기 외측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공간에 있는 상기 유체를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연통홀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에는 패킹이 제공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패킹몸체;
    상기 패킹몸체의 내측에 내공되고 상기 도포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패킹날개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는 상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를 수용하되,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측 내부 둘레에는 제1 끼움홈이 제공되고,
    상기 상부 본체의 하측 내부 둘레에는 제2 끼움홈이 제공되고,
    도포부재수용용기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가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끼움홈과 상기 제2 끼움홈은 상기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덮개의 가이드부재와 결합하는 목부;
    상기 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 본체와 연결되는 외부 하부 본체; 및
    상기 외부 하부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도포부재수용용기의 내측에 제공되는 패킹의 상측을 누를 수 있는 내부 하부 본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이동 될 수 있는 에어리스피스톤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 본체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리스피스톤과 상기 상부 본체 사이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기유입홀이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200073812A 2020-06-17 화장품 용기 KR10266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12A KR102666606B1 (ko) 2020-06-17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12A KR102666606B1 (ko) 2020-06-1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099A true KR20210156099A (ko) 2021-12-24
KR102666606B1 KR102666606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34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개선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34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개선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7553B2 (ja) 化粧製品などの製品の収容及び分配のための装置
US7743775B2 (en) Multi-container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products and method for applying make-up using such a device
US712518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US6604879B2 (en)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n applicator
JP2885676B2 (ja) 塗布用チップを具備した液状からペースト状の粘度を持つ物質用ディスペンサ
US7955014B2 (en) Dispenser with moving assembly with encased valve
US20100054844A1 (en) Flow-through dispenser with helical actuation
EP3047753B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210156099A (ko) 화장품 용기
KR102666606B1 (ko) 화장품 용기
JP7166260B2 (ja) 化粧料容器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70091812A (ko)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770581B1 (ko) 도포팁에 내용물 저장이 가능한 립 메이크업 용기
KR20180080782A (ko)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KR10211710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JP7155428B2 (ja) 残量防止と同時にエアタイト機能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200477997Y1 (ko) 회전 가능한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00044358A (ko)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화장품용기
KR101855921B1 (ko) 화장료의 농도 유지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200149B1 (ko)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정량 토출 화장품 용기
KR20160018991A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