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911A -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911A
KR20210155911A KR1020200073402A KR20200073402A KR20210155911A KR 20210155911 A KR20210155911 A KR 20210155911A KR 1020200073402 A KR1020200073402 A KR 1020200073402A KR 20200073402 A KR20200073402 A KR 20200073402A KR 20210155911 A KR20210155911 A KR 20210155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ner space
chemical liquid
generating uni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706B1 (ko
Inventor
김동진
유현숙
배윤한
최민성
신수빈
Original Assignee
크린바이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바이오텍(주) filed Critical 크린바이오텍(주)
Priority to KR102020007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 B05B7/16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the atomising fluid before mixing with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2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lectrically, magnet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e.g. by ar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살균을 물론이고, 살균이 완료된 실내 공기중에 비산된 약액 미립자를 포집하여 실내 공간을 정화시킴으로써 호흡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단을 공기중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공기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Air sterilizer with scrubbing device}
본 발명은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살균을 위해 실내 공간으로 비산된 미립자를 흡입해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살균장치는 실내 공기를 장치 내로 흡입하고, 장치 내부에 마련된 살균액단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 공간으로 순환시키는 방식과 살균액 자체를 실내 공간으로 비산시켜 공기중에 바이러스를 살균시키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전자의 경우, 실내 공기를 반드시 장치 내부로 흡입시켜야만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화 반응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실내 공간이 다소 넓을 경우, 넓게 퍼진 공기들을 전제적으로 흡입시키기 어렵다는 이유로, 일반적인 소규모 실내시설의 공기 살균장치로 활용된다.
반면, 후자의 경우엔 실내 공간으로 직접적인 살균액 분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살균 반응이 직관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실내 공간의 벽면, 천장, 바닥면 등에도 살균액가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살균효율을 가진다.
이에 따라, 고도의 살균이 요구되는 실험실, 우수의약품 제조시설(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동물 사육 시설, 생물학적 안전 등급(BSL-3등급, Biological Safety Level-3) 등의 생물 안전, 식품과 제약 등의 무균 조제 및 제조 시설에서 이러한 살균방식의 살균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살균장치를 이용해 실내 공간을 살균하게 되면 통상 작업자의 출입 전 살균 공간을 환기시켜 공기중에 비산된 미립자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일, 미립자가 제거되지 않은 공간에서 작업자가 호흡할 경우 미립자가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작업자의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약품을 인체 내로 흡입할 경우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로, 종래에는 살균장치의 사용 후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별도 집진장비를 구비하여 공기중에 비산된 미립자를 포집하는 비효율적인 과정을 병행하였으며 환기과정 중 실내 공간이 재오염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083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실내 공기의 살균을 물론이고, 살균이 완료된 실내 공기중에 비산된 약액 미립자를 포집하여 실내 공간을 정화시킴으로써 호흡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단을 공기중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공기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판에 외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커버에는 미립자가 배출되는 미립자배출망이 형성되며 내부는 제1 내공간, 제2 내공간 및 제3 내공간이 상, 하 방향으로 구획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제1 내공간과 제2 내공간에 설치되며 약액의 증발로부터 얻어진 미립자를 상기 미립자배출망을 통해 공기중에 비산시키는 살균부; 및 상기 제3 내공간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에 비산된 미립자를 흡힙해 분해시키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제3 내공간으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재; 및 상기 제3 내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재에 의해 흡입된 외기에 포함된 미립자를 포집하여 분해시키는 분해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제1 내공간에 설치되며 압축공기와 약액을 공급받고, 제1 내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흡입해 미립자를 생성하는 미립자생성부; 상기 제2 내공간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제1 공압라인을 통해 상기 미립자생성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미립자생성부로 약액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압축기에 장착되며, 압축기에서 발열되는 폐열을 방열시켜 상기 압축기에 의해 제2 내공간으로 흡입된 외기를 승온시키는 방열부재; 상기 미립자생성부의 상부로 장착되는 배출부; 상기 압축기와 미립자생성부에 직결되며 압축공기가 이송되는 제1 공압라인; 상기 펌프와 미립자생성부에 직결되며 약액이 이송되는 제1 약액라인; 약액통과 상기 펌프에 직결되며 약액이 이송되는 제2 약액라인; 상기 제2 약액라인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약액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압축기에 직결되는 제2 공압라인; 상기 케이스를 제1 내공간과 제2 내공간으로 구획 형성하며, 상기 미립자생성부가 안착되는 제1 선반; 및 상기 제1 선반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와 펌프가 안착되는 제2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제2 공압라인으로부터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제2 약액라인에 흐르도록 제어해 제2 약액라인에 잔류한 약액이 미립자생성부 측으로 전량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선반은 케이스의 배면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내공간과 제2 내공간의 연통구간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구간을 통해 제2 내공간에서 방열부재에 의해 승온된 가열공기가 제1 내공간으로 유입되어 미립자생성부에 흡입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립자생성부는, 내부로 반응공간을 형성하고, 후방이 개방 형성되며 상부로는 미립자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사각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연통구간으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반응공간에 설치되어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가열공기를 재차 가열시키는 히팅코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팬의 가열공기 흡입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와 약액의 혼합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고정시키는 노즐브라켓;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좌, 우 측면과 제1 선반에 상호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에는 제1 공압라인과 제1 약액라인이 동시에 직결되어 압축공기와 약액을 동시에 공급받아 혼합기를 반응공간으로 분사하며, 반응공간에 분사된 혼합기는 마주보는 방향에서 흡입되는 가열공기와 충돌해 미립자로 증발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출부는, 자바라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미립자배출망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밀착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 주변으로 응축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받침부재는, 상기 배출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사각형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둘레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 및 상기 베이스판을 미립자생성부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하단을 배출구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응축수받침부재에 의해 배출관이 유지되어 자유낙하가 제한되며, 상기 배출관의 하단을 배출구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제거하면 상기 미립자생성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약액통이 수용되는 약액실이 구획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출구는 하우징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치우치게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일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코일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팁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반응공간으로 노출되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공압라인이 직결되는 공압조인트; 및 상기 노즐몸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약액라인이 직결되는 약액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브라켓은,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노즐몸체의 전면과 좌, 우 측면을 밀폐시키되, 상기 공압조인트와 약액조인트를 상, 하부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노즐몸체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노즐몸체를 지지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살균부를 통해 유효 미립자를 분사하여 실내 공기중에 활성화된 유해균을 살균시키고 정화부를 통해 실내 공간의 살균에 사용된 미립자를 흡입하여 정화시킴으로써 호흡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단을 공기중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공기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실내 공간에 비산된 미립자를 포집하기 위한 별도의 집진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집진수단의 추가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살균수단과 집진수단을 일체로 구비하여 점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는 살균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정화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약액통이 약액실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기 살균장치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공기 살균장치의 전면을 기준으로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공기 살균장치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미립자생성부와 배출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배출관과 배출구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미립자생성부를 탈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미립자생성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살균 운전에 따른 공압라인과 약액라인의 활성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청소 운전에 따른 공압라인과 약액라인의 활성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ㅇ,s 복수 개로 구성되는 미립자생성부와 펌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2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방향기준계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는 미립자를 분사하여 실내 공기중에 활성화된 유해균을 살균시키는 작용은 물론 실내 공간의 살균에 사용된 미립자를 흡입하여 실내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는 크게 전면판(111)에 외기흡입구(112)가 형성되고 상부커버(120)에는 미립자가 배출되는 미립자배출망(121)이 형성되며 내부는 제1 내공간(130), 제2 내공간(140) 및 제3 내공간(160)이 상, 하 방향으로 구획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100), 상기 제1 내공간(130)과 제2 내공간(140)에 설치되며 약액의 증발로부터 얻어진 미립자를 상기 미립자배출망(121)을 통해 공기중에 비산시키는 살균부(1) 및 상기 제3 내공간(160)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에 비산된 미립자를 흡힙해 분해시키는 정화부(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1)가 운전되는 상태에서는 정화부(2)의 운전이 중지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부(2)가 운전중인 상태에선 살균부(1)의 운전이 중지되도록 구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정화부(2)는 일례로, 제3 내공간(160)으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재(10) 및 제3 내공간(160) 내부에 배치되며, 흡입부재(10)에 의해 흡입된 외기에 포함된 미립자를 포집하여 분해시키는 분해필터(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흡입부재(10)가 가동되면 외기가 외기흡입구(112)를 통해 제3 내공간(160)으로 흡입되며, 이 과정에서 흡입부재(10)의 전면에 배치된 분해필터(20)에 의해 외기에 포함된 미립자가 포집될 수 있다. 제3 내공간(160)에서 정화된 공기는 별도 배면판(113)에 형성된 배출구멍(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구조를 갖추게 된다.
상기 분해필터(20)는 이산화망간(MnO2)을 포함하는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미립자가 과산화수소 성분일 경우 이 분해필터(20)는 미립자를 물과 산소로 분해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산화망간(MnO2)은 과산화수소와 반응하면 생성물로써 물과 산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분해필터(20)가 과산화수소 미립자를 포집하게 되면 과산화수소가 물과 산소로 분해되고, 분해된 물은 제3 내공간(160)에 저장되거나 별도 배출라인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산소는 실내 공기중으로 방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내공간(160)에는 분해필터(20)에 의해 분해된 물이 저장되는 챔버 또는 분해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는 실내 공간의 살균은 물론, 살균이 완료된 상태의 실내 공기중에 비산된 미립자를 포집하여 실내 공간을 정화시킴으로써 호흡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단을 공기중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공기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살균부(1)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살균부(1)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공간(130)에 설치되며 압축공기와 약액을 공급받고, 제1 내공간(130)에 유입된 외기를 흡입해 미립자를 생성하는 미립자생성부(200), 상기 제2 내공간(140)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제1 공압라인(AL1)을 통해 상기 미립자생성부(20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300), 상기 압축기(30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미립자생성부(200)로 약액을 압송하는 펌프(400), 상기 압축기(300)에 장착되며, 압축기(300)에서 발열되는 폐열을 방열시켜 상기 압축기(300)에 의해 제2 내공간(140)으로 흡입된 외기를 승온시키는 방열부재(500), 상기 미립자생성부(200)의 상부로 장착되는 배출부(600), 상기 압축기(300)와 미립자생성부(200)에 직결되며 압축공기가 이송되는 제1 공압라인(AL1), 상기 펌프(400)와 미립자생성부(200)에 직결되며 약액이 이송되는 제1 약액라인(LL1), 약액통(118)과 상기 펌프(400)에 직결되며 약액이 이송되는 제2 약액라인(LL2), 상기 제2 약액라인(LL2)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약액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70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00)와 압축기(300)에 직결되는 제2 공압라인(AL2), 상기 케이스(100)를 제1 내공간(130)과 제2 내공간(140)으로 구획 형성하며, 상기 미립자생성부(200)가 안착되는 제1 선반(800) 및 상기 제1 선반(800)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300)와 펌프(400)가 안착되는 제2 선반(900)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제1 선반(800)은 케이스(100)의 배면판(113)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내공간(130)과 제2 내공간(140)의 연통구간(150)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구간(150)을 통해 제2 내공간(140)에서 방열부재(500)에 의해 승온된 가열공기가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되어 미립자생성부(200)에 흡입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케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며, 본체(110)와 상부커버(1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판(111), 배면판(113), 측면판(114), 하판(도면부호 미도시)이 상호 사각 함체 형상으로 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각각의 구성들이 적소에 배치구성될 수 있다.
특히, 미립자생성부(200)의 유지, 보수를 위해 전면판(111)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면판(111)의 외기흡입구(112)로 외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흡입된 외기를 1차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필터(11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15)는 사각형 형태로 재단되어 케이스(100)의 전면판(111) 배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를 살펴보면, 케이스(100)의 내부는 제1 선반(800)과 제2 선반(900)에 의해 세 개의 독립된 공간(제1 내공간(130),제2 내공간(140),제3 내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공간(130)에는 미립자생성부(200)와 배출부(600)가 설치되고, 제2 내공간(140)에는 압축기(300), 펌프(400), 방열부재(5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공간(130)과 제2 내공간(140)은 연통구간(150)을 통해 일부가 서로 연통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므로, 제2 내공간(140)에서 생성된 가열공기가 상기 연통구간(150)을 통해서만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공기의 흐름에 따른 효과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압축기(300)는 외기를 흡입해 압축시켜, 압축공기를 생성한다. 압축기(300)에 의해 흡입된 외기 중 일부는 압축공기의 생성에 활용되고, 일부는 케이스(100)의 배면판(113)을 향해 이동한다.
압축기(300)에 의해 압축된 압축공기는 제1 공압라인(AL1)을 타고 미립자생성부(200)로 제공되거나, 솔레노이드밸브(700)의 제어에 의해 바이패스되어 제2 약액라인(LL2)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기체는 일정 압력으로 압축되면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압축기(300)를 통해 기체가 압축되면 압축기(300) 자체에서도 열이 발생하는 바, 압축기(300)에서 발생한 폐열을 활용해 외기를 1차 가열시키는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압축기(300) 주변으로 방열부재(5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300) 자체에서 발생한 열기가 방열부재(500)를 통해 압축기(300) 주변으로 방사되고, 이 방열부재(500) 주변을 통과하는 외기가 일정 온도로 승온되어 가열공기가 된다.
이렇게 승온된 가열공기는 압축기(300)의 흡입방향을 따라 케이스(100)의 후방으로 진행하여 배면판(113)에 충돌하게 되고, 배면판(113)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연통구간(150)을 통해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된다(도 5의 1점쇄선 참고).
이와 같이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미립자생성부(200)가 즉시 흡입하게 되므로, 가열공기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게 되며, 가열공기가 제1 내공간(130)에 퍼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만일, 가열공기가 미립자생성부(200)를 제외한 제1 내공간(130)에 퍼지게 될 경우, 가열공기의 열손실은 물론이고, 공기 살균장치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기타 전기장치의 오작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되는 가열공기를 케이스(100)의 후방 부분, 다시 말해, 배면판(113)과 제1 선반(800)의 후단 사이 지점인 연통구간(150)을 통해서만 유입시키고,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미립자생성부(200)의 후단에서 즉시 흡입하는 구조가 되므로, 가열공기에 의해 케이스(100)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미립자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열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약액통(118)이 수용되는 약액실(116)이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약액실(116)에는 약액실(116)에 배치된 약액통(118)에 대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RF리더기(117)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RF리더기(117)는 약액실(116)에 배치된 약액의 종류, 기사용된 용량 등을 읽어 이를 별도 디스플레이창에 도시되도록 할 수 있다.
펌프(400)는 약액통(118)에 수용된 약액을 미립자생성부(200) 측으로 압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약액은 펌프(400)의 흡입력으로 제1 약액라인(LL1)과 제2 약액라인(LL2)을 타고 미립자생성부(200)로 제공될 수 있다.
방열부재(500)는 압축기(300)의 상면을 덮는 커버형태로 구성되며, 열전도가 우수한 알류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펌프(400)는 압축기(300)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압축기(300)에 의해 흡입되는 외기가 펌프(400)에 먼저 접촉하는 구조가 되어, 펌프(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냉각될 수 있다. 만일, 펌프(400)를 압축기(300)의 측면 또는 후방에 배치시키게 될 경우, 압축기(300)에서 방열되는 열에 쉽게 노출되어 기기 오작동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펌프(400)에 의해 압송된 약액은 제1 약액라인(LL1)과 제2 약액라인(LL2)을 통해 미립자생성부(200) 측으로 제공된다.
솔레노이드밸브(700)는 제2 약액라인(LL2)과 제2 공압라인(AL2)을 매개하는 전자식 3방 밸브 형태로 구성되며 제2 약액라인(LL2)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제2 공압라인(AL2)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의 일반적인 살균 운전시엔 솔레노이드밸브(700)가 제2 약액라인(LL2)을 개방하고, 제2 공압라인(AL2)의 압축공기 흐름을 차단시켜 약액만 제2 공압라인(AL2)에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한다.
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의 청소 운전시엔 솔레노이드밸브(700)가 제2 약액라인(LL2)을 폐쇄하고, 제2 공압라인(AL2)으로부터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제2 약액라인(LL2)에 흐르도록 제어해 제2 약액라인(LL2)에 잔류한 약액이 미립자생성부(200) 측으로 전량 회수되도록 한다.
살균 운전 중에는 약액이 제1 약액라인(LL1)과 제2 약액라인(LL2)에 지속적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에 약액이 관로를 막을 염려가 없으나, 운전이 중지되면 각각의 부재에 흐르던 약액의 일부가 관로에 잔존하게 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약액이 고착되어 작은 알맹이 형태의 이물질을 형성하여 관로가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후술 될 분사노즐(240)에 약액이 고착되면 약액 분사 자체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약액라인과 분사노즐(240)을 정기적으로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심하게는 분사노즐(240), 약액라인 등을 새것으로 교체해야만 했다.
이와 같은 유지보수 방법은 각각의 부재들을 분해, 청소, 재결합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뒤따르며 경제적으로도 합리적이지 못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는 살균 운전 후, 청소 운전을 수행하면 제2 약액라인(LL2)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면서 제2 약액라인(LL2)에 저류된 약액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나면서 제2 약액라인(LL2)과 제1 약액라인(LL1)을 청소하게 되고, 이 약액들이 분사노즐(240) 측으로 모여 분사노즐(240)에 의해 전량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미립자생성부(200)는 공급받은 약액과 압축공기를 혼합해 혼합기를 형성하고, 이 혼합기에 흡입된 가열공기를 충돌시켜 미립자를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혼합기는 약액과 압축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기체를 의미하며, 미립자는 이 혼합기가 증발됨에 따라 발생하는 미스트 형태의 입자상을 의미한다.
다시, 미립자생성부(200)는 이러한 혼합기와 가열공기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분사해 충돌시켜 보다 미세하고 균질한 미립자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미립자생성부(200)는 내부로 반응공간(211)을 형성하고, 후방이 개방 형성되며 상부로는 미립자가 배출되는 배출구(212)가 형성되는 사각 함체 형상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연통구간(150)으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하우징(210)의 반응공간(211)으로 흡입하는 흡입팬(220), 상기 반응공간(211)에 설치되어 흡입팬(220)으로부터 흡입된 가열공기를 재차 가열시키는 히팅코일(230),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팬(220)의 가열공기 흡입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와 약액의 혼합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40), 상기 분사노즐(240)을 상기 하우징(210)의 전방에 고정시키는 노즐브라켓(250),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좌, 우 측면과 제1 선반(800)에 상호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6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210)은 약액의 증발에 따른 미립자가 생성되기 위한 공간을 반응공간(211)으로서 제공한다. 반응공간(211)으로 흡입된 가열공기가 혼합기에서 약액을 증발시키는 증발열로 작용한 뒤, 증발된 미립자가 배출구(212)로 배출된다.
하우징(210)의 전방에는 분사노즐(240)이, 후방에는 흡입팬(220)이 각각 장착되며, 분사노즐(240) 측에서 보았을 때 가열공기는 분사노즐(240)의 혼합기 분사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흡입되며, 혼합기와 가열공기의 혼합 과정이서 이 둘이 순간적으로 충돌해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약액을 더욱 미세한 미립자로 쪼개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혼합기와 가열공기가 충돌하여 혼합되는 과정에서 난기류가 발생하여 이 둘의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액 증발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만일, 약액이 목표하는 수준으로 미세화가 진행되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로 제공될 경우 쉽게 응축되어 살균력을 상실하거나 배출부(600) 주변에 응측되어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살균장치는 약액을 더욱 미세화된 미립자로 형성할 수 있는 부분에서 실내의 공기중에 활성화된 균과 접촉할 가능성을 높여 살균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전, 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장되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흡입팬(220)은 이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210)의 후방에 장착되므로, 흡입팬(220)이 케이스(100)의 배면판(113)에 보다 근접되게 구성된다.
이렇게 흡입팬(220)이 배면판(113)에 근접되면, 상기 연통구간(150)을 통해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되는 가열공기를 유실 없이 하우징(21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만일, 흡입팬(220)이 연통구간(150)에 근접되어 설치되지 못하면 연통구간(150)을 통해 제1 내공간(130)으로 유입된 가열공기가 제1 내공간(130)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거나, 흡입팬(220)에 흡입되기 전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히팅코일(230)은 흡입팬(220)에 의해 반응공간(211)으로 흡입된 가열공기를 2차적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흡입팬(220)에 의해 흡입되기 전의 가열공기는 방열부재(500)의 방열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이 가열공기가 히팅코일(230)에 반응하게 되면 보다 빠르게 목표온도까지 승온될 수 있다.
즉, 흡입된 외기를 1차와 2차로 단계적으로 가열시킴으로써 공기의 가열효율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히팅코일(230)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코일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흡입팬(220)으로부터 반응공간(211)으로 흡입된 가열공기를 중앙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와류형성에 의한 유속증가를 가능케 해 마주보는 방향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에 보다 강하게 충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분사노즐(240)에는 제1 공압라인(AL1)과 제1 약액라인(LL1)이 동시에 직결되어 압축공기와 약액을 동시에 공급받아 혼합기를 반응공간(211)으로 분사하며, 반응공간(211)에 분사된 혼합기는 마주보는 방향에서 흡입되는 가열공기와 충돌해 미립자로 증발하여 상기 배출구(212)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분사노즐(240)은 노즐팁(241a)이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반응공간(211)으로 노출되는 노즐몸체(241), 상기 노즐몸체(241)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공압라인(AL1)이 직결되는 공압조인트(242) 및 상기 노즐몸체(241)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약액라인(LL1)이 직결되는 약액조인트(2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노즐팁(241a)을 제외한 분사노즐(240)의 모든 부분은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분사노즐(240)의 청결한 사용이 가능해지며 특히, 이렇게 노출된 분사노즐(240) 부분은 노즐브라켓(250)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가 되어, 보다 청결한 분사노즐(240)의 사용이 가능해짐은 물론이고, 분사노즐(240) 자체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실내 공간의 온, 습도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된다.
이를 위한 노즐브라켓(250)은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노즐몸체(241)의 전면과 좌, 우 측면을 밀폐시키되, 상기 공압조인트(242)와 약액조인트(243)를 상, 하부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노즐몸체(241)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노즐몸체(241)를 지지하는 보호프레임(251) 및 상기 보호프레임(251)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25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노즐브라켓(250)은 공압조인트(242)와 약액조인트(243)를 노출시키도록 상, 하부가 개방 형성되는 구조를 갖추므로, 제1 약액라인(LL1)과 제1 공압라인(AL1)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선에서, 분사노즐(240)을 하우징(210)에 장착시킴과 동시에, 분사노즐(2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플랜지(252)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하우징(21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반응공간(211)에서 생성된 미립자는 배출구(212)로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구(212)는 하우징(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치우치게 구성되도록 해 히팅코일(230)에 의해 가열공기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혼합기가 가열공기와 접촉되기 전 미리 응측됨을 방지한다.
만일, 배출구(212)가 흡입팬(220)에 근접한 후방으로 치우치게 될 경우, 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되는 혼합기가 가열공기와 만나기 위해 이동하는 동안 응축되어 하우징(210) 내부에 저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미립자의 생성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212)가 분사노즐(240)을 향해 치우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된 혼합기가 가열공기에 즉시 반응해 미립자로 형성되어 배출구(212)로 상승이동해 미립자의 생성률이 증대되고 반응공간(211)에 응축수 생성을 방지해 보다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출부(600)는 미립자생성부(200)의 상부에서 미립자생성부(200)에서 생성된 미립자의 외부 배출을 위해 미립자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크게, 자바라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212)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미립자배출망(121)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출관(610) 및 상기 배출관(610)의 외주면에 밀착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610) 주변으로 응축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받침부재(6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배출관(610)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 부재로서, 배출구(212)에서 배출된 미립자를 전달받아 이를 더욱 미립화시킬 수 있다.
이는 미립자가 배출관(610)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는 과정에서 배출관(6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해 상승 기류를 형성하고, 이 상승 기류에 의해 미립자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충돌하면서 보다 미립화된 미립자가 생성될 수 있다.
배출관(610)의 하단과 배출구(212)는 서로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배출구(212) 외부로 배출관(610)의 하단이 입혀진 상태에서 배출관(610) 외측에 고정용 밴드가 둘러져 미립자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을 참고해 배출관(610)의 하단과 배출구(212)가 서로 나사방식으로 체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를 위해 배출관(610)의 하단 내주면과 배출구(212) 외주면에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212a,6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610)과 배출구(212)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면 배출관(610)과 배출구(212) 사이에 보다 기밀성이 형성됨은 물론이고, 미립자생성부(200)의 유지보수를 위한 미립자생성부(200)의 탈거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미립자생성부(200)는 내부에서 각종 유체를 작동시키는 구성인 만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되야 함이 당연하고, 이를 위해 분사노즐(240)을 청소, 교체한다거나, 하우징(210) 자체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미립자생성부(200) 자체의 탈거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공기 살균장치의 구조상 미립자생성부(200)의 상부에는 배출부(600)가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만일, 미립자생성부(200)만을 제1 선반(800)에서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배출부(600)를 탈거시킨 뒤 미립자생성부(200)의 설치지점이 충분히 개방된 상태에서 미립자생성부(200)를 탈거하고, 이어서, 조립하는 과정도 이와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비효율적인 과정이 요구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610)의 하단을 배출구(212)에서 회전시켜 분리시키면 상기 응축수받침부재(620)에 의해 배출관(610)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관(610)의 자유낙하가 제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출관(610)의 하단을 배출구(212)에서 완전히 분리시키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60)을 제거하면 상기 미립자생성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미립자생성부(200)의 상부구조물인 배출부(600)의 탈거 없이도, 단순히 배출관(610)만 배출구(212)에서 나사풀림 방식으로 분리시켜 놓고, 고정브라켓(260)만 제거하면 미립자생성부(200)를 전방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전면판(111)을 제거하고, 미립자생성부(200)를 전방으로 인출하기만 하면 되므로, 미립자생성부(200)의 유지보수를 위한 탈거작업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수받침부재(620)는 배출관(610)을 공중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배출관(610)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미립자가 응축되어 발생한 응축수를 받친다.
배출관(610) 상단 주변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배출관(610)의 외주면을 타고 미립자생성부(200) 측으로 낙하될 경우 이 응축수가 미립자생성부(200) 주변에 고착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관(610) 주변에 응축수받침부재(620)를 구비해 불측의 사유로 응축수가 발생하더라도, 응축수가 미립자생성부(200)로 낙하하기 전 응축수받침부재(620)에 수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응축수받침부재(620)는 상기 배출관(610)이 삽입되는 삽입구(621a)가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사각형의 베이스판(621), 상기 베이스판(621)의 둘레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622) 및 상기 베이스판(621)을 미립자생성부(200)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2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621a)와 배출관(610)의 직경은 서로 같거나 배출관(610)의 직경을 미세하게 크게 형성하여 배출관(610)이 삽입구(621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배출관(610)과 삽입구(621a) 사이가 보다 기밀하게 접촉되어 수집된 응축수가 통과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배출관(610)의 외주면을 타고 낙하하는 응축수는 베이스판(621)에 의해 하방 이동이 제한되며, 다시,수직판(622)에 의해 베이스판(621)의 상부에 가둬지게 된다.
미립자생성부(200)는 혼합기를 증발시키기 위해 히팅코일(230)을 이용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열이 되는데, 그 주변에서 응축수를 수집하게 될 경우 응축수의 수분이 쉽게 증발해버려 약액 성분이 베이스판(621)에 고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에에서는 지지프레임(623)을 통해 베이스판(621)을 미립자생성부(200)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베이스판(621)에 수집된 응축수에 미립자생성부(2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623)은 본체(11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미립자생성부(200)와 펌프(400)를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립자생성부(200)를 제1 미립자생성부(200-1), 제2 미립자생성부(200-2) 및 제3 미립자생성부(200-3)로 구성하고, 펌프(400)를 제1 펌프(400-1) 및 제2 펌프(400-2)로 구성한 다음, 제1 펌프(400-1)가 제1 미립자생성부(200-1)에 연결되고, 제2 펌프(400-2)가 제2 미립자생성부(200-2) 및 제3 미립자생성부(200-3)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 펌프(400-1)와 제2 펌프(400-2)를 각각 개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살균 운전시 미립자의 배출 출력을 보다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살균부 2: 정화부
100: 케이스 200: 미립자생성부
300: 압축기 400: 펌프
500: 방열부재 600: 배출부
700: 솔레노이드밸브 800: 제1 선반
900: 제2 선반

Claims (7)

  1. 전면판에 외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커버에는 미립자가 배출되는 미립자배출망이 형성되며 내부는 제1 내공간, 제2 내공간 및 제3 내공간이 상, 하 방향으로 구획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제1 내공간과 제2 내공간에 설치되며 약액의 증발로부터 얻어진 미립자를 상기 미립자배출망을 통해 공기중에 비산시키는 살균부; 및
    상기 제3 내공간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에 비산된 미립자를 흡힙해 분해시키는 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부는,
    상기 제3 내공간으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재; 및
    상기 제3 내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재에 의해 흡입된 외기에 포함된 미립자를 포집하여 분해시키는 분해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제1 내공간에 설치되며 압축공기와 약액을 공급받고, 제1 내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흡입해 미립자를 생성하는 미립자생성부;
    상기 제2 내공간에 설치되며 외기를 흡입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제1 공압라인을 통해 상기 미립자생성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미립자생성부로 약액을 압송하는 펌프;
    상기 압축기에 장착되며, 압축기에서 발열되는 폐열을 방열시켜 상기 압축기에 의해 제2 내공간으로 흡입된 외기를 승온시키는 방열부재;
    상기 미립자생성부의 상부로 장착되는 배출부;
    상기 압축기와 미립자생성부에 직결되며 압축공기가 이송되는 제1 공압라인;
    상기 펌프와 미립자생성부에 직결되며 약액이 이송되는 제1 약액라인;
    약액통과 상기 펌프에 직결되며 약액이 이송되는 제2 약액라인;
    상기 제2 약액라인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약액의 흐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압축기에 직결되는 제2 공압라인;
    상기 케이스를 제1 내공간과 제2 내공간으로 구획 형성하며, 상기 미립자생성부가 안착되는 제1 선반; 및
    상기 제1 선반에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와 펌프가 안착되는 제2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제2 공압라인으로부터 이송되는 압축공기를 제2 약액라인에 흐르도록 제어해 제2 약액라인에 잔류한 약액이 미립자생성부 측으로 전량 회수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선반은 케이스의 배면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내공간과 제2 내공간의 연통구간을 마련하고, 상기 연통구간을 통해 제2 내공간에서 방열부재에 의해 승온된 가열공기가 제1 내공간으로 유입되어 미립자생성부에 흡입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생성부는,
    내부로 반응공간을 형성하고, 후방이 개방 형성되며 상부로는 미립자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사각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연통구간으로 유입된 가열공기를 하우징의 반응공간으로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반응공간에 설치되어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가열공기를 재차 가열시키는 히팅코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팬의 가열공기 흡입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압축공기와 약액의 혼합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고정시키는 노즐브라켓;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좌, 우 측면과 제1 선반에 상호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에는 제1 공압라인과 제1 약액라인이 동시에 직결되어 압축공기와 약액을 동시에 공급받아 혼합기를 반응공간으로 분사하며, 반응공간에 분사된 혼합기는 마주보는 방향에서 흡입되는 가열공기와 충돌해 미립자로 증발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자바라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미립자배출망까지 연장 형성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밀착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 주변으로 응축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받침부재는,
    상기 배출관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사각형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둘레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 및
    상기 베이스판을 미립자생성부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하단을 배출구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응축수받침부재에 의해 배출관이 유지되어 자유낙하가 제한되며, 상기 배출관의 하단을 배출구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제거하면 상기 미립자생성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약액통이 수용되는 약액실이 구획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하우징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치우치게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일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코일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노즐팁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삽입되어 반응공간으로 노출되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공압라인이 직결되는 공압조인트; 및
    상기 노즐몸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약액라인이 직결되는 약액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브라켓은,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노즐몸체의 전면과 좌, 우 측면을 밀폐시키되, 상기 공압조인트와 약액조인트를 상, 하부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노즐몸체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노즐몸체를 지지하는 보호프레임; 및
    상기 보호프레임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KR1020200073402A 2020-06-17 2020-06-17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KR10234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02A KR102347706B1 (ko) 2020-06-17 2020-06-17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02A KR102347706B1 (ko) 2020-06-17 2020-06-17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11A true KR20210155911A (ko) 2021-12-24
KR102347706B1 KR102347706B1 (ko) 2022-01-06

Family

ID=7917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02A KR102347706B1 (ko) 2020-06-17 2020-06-17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556B1 (ko) * 2022-12-15 2023-12-08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과산화수소 증기 기화 및 분해 장치
WO2023249176A1 (ko) * 2022-06-23 2023-12-28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과산화수소 증기 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061U (ko) * 2008-06-18 2009-12-29 주식회사 대안네이온 플라즈마 탈취장치
KR101477253B1 (ko) * 2008-03-19 2014-12-30 현대휴먼텍(주) 공기정화 및 손소독 복합기
KR20160097816A (ko) * 2015-02-10 2016-08-18 브이케이테크(주)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170120838A (ko)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에스피텍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복합 소독유체 분무식 멸균장치 및 방법
JP3214558U (ja) * 2017-11-06 2018-01-25 株式会社ダイレクトジャパン 空気清浄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53B1 (ko) * 2008-03-19 2014-12-30 현대휴먼텍(주) 공기정화 및 손소독 복합기
KR20090013061U (ko) * 2008-06-18 2009-12-29 주식회사 대안네이온 플라즈마 탈취장치
KR20160097816A (ko) * 2015-02-10 2016-08-18 브이케이테크(주)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170120838A (ko)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에스피텍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복합 소독유체 분무식 멸균장치 및 방법
JP3214558U (ja) * 2017-11-06 2018-01-25 株式会社ダイレクトジャパン 空気清浄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76A1 (ko) * 2022-06-23 2023-12-28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과산화수소 증기 기화기
KR102611556B1 (ko) * 2022-12-15 2023-12-08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과산화수소 증기 기화 및 분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706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7012B2 (ja) 空気清浄化装置
JP4913073B2 (ja) ラビリンス効果に基づいて回転気化器及びらせん状構造物を利用した遠心湿式空気清浄機
WO2011087100A1 (ja) 空気殺菌清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呼気ガス殺菌清浄装置、室内空気殺菌清浄装置、簡易隔離装置
KR102347706B1 (ko) 살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실내 공기 살균장치
CN102552957B (zh) 一种消毒剂蒸气消毒设备
JP2006288453A (ja) 空気処理装置
KR20210001365U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JP2010119829A (ja) 空気清浄器
CN110585464A (zh) 一种生化实验室的消毒设备与消毒方法
KR101948442B1 (ko) 병원 수술실의 멸균을 위한 과산화수소 멸균 시스템
JP2002095924A (ja) 空気浄化装置
CA2778189C (en) Apparatus for use with sterilant vapour generators
KR20140023857A (ko)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EP1689603B1 (en) A mist-spraying apparatus
KR100509012B1 (ko) 분무식 공기 정화기 및 공기 정화 방법
CN111678217A (zh) 一种消毒液雾化内循环空气消毒设备及消毒工艺
KR102325557B1 (ko) 실내 공기 살균장치
KR102575939B1 (ko)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CN1470811A (zh) 中央空调系统空气(回风)消毒方法
CN214841461U (zh) 一种无菌消毒设备
KR20210132904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KR102328529B1 (ko) 살균 장치
KR102629915B1 (ko) 멸균장치 및 멸균시스템
CN214105368U (zh) 一种组合式空调机组外挂杀菌消毒灭虫一体化处理装置
JP2003139465A (ja) 保鮮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