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851A -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851A
KR20210154851A KR1020217038275A KR20217038275A KR20210154851A KR 20210154851 A KR20210154851 A KR 20210154851A KR 1020217038275 A KR1020217038275 A KR 1020217038275A KR 20217038275 A KR20217038275 A KR 20217038275A KR 20210154851 A KR20210154851 A KR 2021015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bearer
access network
radio access
node
network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쥔 리우
웨이 마
보샨 장
우 웬
동메이 리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5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은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 및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19년 5월 13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910810271.6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내용 전체는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출원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와 네트워크 장비가 포함되며, 네트워크 장비에는 또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rwork: RAN)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두 가지 장비가 포함된다. 5세대 이동통신(5th Generation: 5G) 시스템에서는 다중연결 시스템이 제시되어, UE는 2개 또는 2개 이상의 RAN을 통해 CN과 2개 또는 2개 이상의 사용자 평면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서비스 품질 흐름(Qos Flow: QF) 형식으로 모종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Protocol Data Unit Session: PDU Session) 내에 예속되며, 하나의 UE의 PDU Session은 분리된 후 2개 또는 2개 이상의 RAN을 통해 CN으로 전송될 수 있다. 2개 또는 2개 이상의 RAN 중 하나는 마스터 노드(Mastereo: MN)이고, 나머지는 보조 노드(Secondary Node: SN)이다.
CN이 데이터를 QF의 형식으로 RAN에 전송한 후, RAN은 QF를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로 매핑하여 UE로 전송하며, UE가 DRB를 통해 전송한 데이터를 QF로 매핑한 후 CN으로 전송한다. 다중연결 시스템에서, PDU Session을 분리한 후에는, RAN이 QF를 어느 DRB에 매핑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UE는 QF를 디폴트 DRB(default DRB) 상에서 전송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MN이 분리된 PDU Session 중의 어떤 QF를 MN 노드에 구성하여 CN으로 전송하나,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되어 있는 경우, CN은 수신된 QF의 MN으로부터의 업링크 어드레스만 알 수 있어, SN이 전송하는 QF에 대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출원은 분리된 PDU 세션이 SN으로부터 전송되는 QF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단계;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단계;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도록 설정되는 세션 분리 모듈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세션 분리 모듈;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도록 설정되는 베어러 구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로서,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수신 모듈;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도록 설정되는 확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 정보가 포함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구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와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 중의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은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마스터 노드는 본 출원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마스터 노드 측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보조 노드는 본 출원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보조 노드 측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이중연결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QoS 아키텍처 설명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5G 시스템에서, CN이란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5GC)를 의미하며, 접속 및 이동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시스템 관리 기능(System Management Function: SMF) 등의 망요소를 포함한다. 다중연결 시스템에서, UE는 네트워크 장비와 2개 또는 2개 이상의 사용자 평면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에서는 이중연결을 예로 들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이중연결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CN(코어 네트워크의 UPF 망요소)은 RAN의 2개의 셀 그룹과 각각 사용자 평면 연결을 구축하며, 이때의 RAN은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와 보조 노드(Secondary node: SN)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이중연결 시스템을 예로 들었기 때문에, 하나의 MN과 하나의 SN을 포함하나, 단 RAN이 2개 이상인 다중연결 시스템에서도 MN은 하나만 있고, MN을 제외한 RAN은 모두 SN이다.
도 2a와 도 2b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아키텍처 설명도로서, 5GC의 QoS 아키텍처 중, 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서비스 품질 흐름(QoS Flow: QF)의 형식으로 어느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Protocol Data Unit Session: PDU Session) 내에 예속된다. 각각의 QF는 QoS Flow ID 식별자를 사용하며, QFI로 약칭한다. 하나의 PDU Session은 적어도 하나의 QF를 포함하며, 하나의 UE는 적어도 하나의 PDU Session를 구축한다. 어떤 PDU Session에 대하여, MN은 그 중의 일부 QF를 SN으로 분류시킬지 여부, 및 구체적으로 어떤 QF를 분류시킬지를 결정한다. 하나의 PDU Session 중 적어도 하나의 QF가 MN에서 전송됨과 동시에 적어도 다른 하나의 QF는 SN에서 전송되는 경우, 본 출원은 이를 분리 세션(split PDU Session)이라 칭하며, 도 2a에서의 PDU Session-1과 같다. 이때, 5GC(UPF)는 각각 MN 및 SN과의 사이에 1개의 GPRS 터널 전송 프로토콜(GPRS Tunnel Protocol User, GTP-U) 터널을 구축하며, 그렇지 않으면, 즉 어떤 PDU Session의 모든 QF는 도 2b의 PDU Session-2와 같이 모두 하나의 망요소에서만 전송을 수행하게 되며, 본 출원은 이를 비분리 세션(non-split PDU Session)이라 칭한다. 이때, 5GC는 PDU Session을 전송하는 망요소(MN 또는 SN)사이에서만 1개의 GTP-U 터널을 구축한다.
5GC와 RAN 사이에 구축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GTP-U 터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GTP-U 터널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각각의 GTP-U 터널은 1개의 사용자 평면 연결이라고도 칭한다. 각각의 GTP-U 터널은 1그룹의 업링크 다운링크 어드레스 쌍, 즉 RAN으로부터 CN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업링크 사용자 평면 전송 계층 어드레스(UL UP Transport layer address, "UPF endpoint of the NG-U transport bearer, for delivery of UL PDUs", 본 출원에서는 업링크 어드레스로 약칭함), CN으로부터 RAN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운링크 사용자 평면 전송 계층 어드레스(DL UP Transport layer address, "UPF endpoint of the NG-U transport bearer, for delivery of DL PDUs.", 본 출원에서는 다운링크 어드레스로 약칭함)를 포함한다.
이중연결 시스템에서, 하나의 세션 중의 일부 QF는 MN에 구성되고, 다른 QF는 SN에 구성된다. 상응하게, CN 측에서, 5GC는 또한 상기 PDU Session을 위해 2개의 업링크 사용자 평면 어드레스를 할당하는데, 1개의 업링크 어드레스는 MN 다운링크 어드레스에 대응되고, 다른 하나의 업링크 어드레스는 SN 다운링크 어드레스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세션은 RAN과 5GC 사이에 2개의 사용자 평면 연결을 구축하여, 2개의 업링크 다운링크 어드레스 쌍이 구축되며, 하나의 어드레스 쌍(업링크 다운링크 어드레스 쌍) 중의 다운링크 어드레스는 MN이고, 업링크 어드레스는 상기 세션의 일부 QF를 전달하는 5GC 어드레스 1이며, 또 다른 어드레스 쌍의 다운링크 어드레스는 SN이고, 업링크 어드레스는 상기 세션의 기타 QF를 전달하는 5GC 어드레스 2이다.
하나의 PDU Session이 5GC와 RAN에서 분리된 후, 상기 세션의 일부 QF는 MN(본 출원에서는 QoS flow-MN라 칭함)에 구성되고, 다른 일부 QF는 SN(본 출원에서 QoS flow-SN라 칭함)에 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세션의 5GC 측의 UPF에도 2개의 RAN 측으로부터 UPF로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MN과 UPF는 PDU Session-MN terminated의 업링크 어드레스(본 출원에서는 업링크 어드레스-MN이라 약칭함)와 다운링크 어드레스(본 출원에서는 다운링크 어드레스-MN이라 약칭함)로 분리되는 한 그룹의 업링크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사용자 평면 어드레스를 구축한다. SN과 UPF 역시 PDU Session-SN terminated의 업링크 어드레스(본 출원에서는 업링크 어드레스-SN이라 약칭함)와 다운링크 어드레스(본 출원에서는 다운링크 어드레스-SN이라 약칭함)인 또 다른 그룹의 업링크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사용자 평면 어드레스를 구축한다.
5G에서는 다운링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평면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새로운 무선(New Radio, NG) 인터페이스(코어 네트워크와 RAN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QF의 형식으로 RAN에 전송하며, RAN은 QF를 DRB로 매핑하여 UE에게 전송한다. 업링크에서, UE가 데이터를 RAN에 전송 시, 데이터는 DRB상에서 전달되며, 기지국은 DRB상의 데이터를 QF 데이터 패킷으로 매핑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따라서 RAN에는 QF를 DRB에 매핑하는(또는 반대로, DRB를 QF에 매핑하는) 매핑 기능 모듈이 필요하다. 서비스 데이터 어댑트 프로토콜 서브계층(Service Data Adapt Protocol, SDAP)은 QoS 흐름을 대응되는 DRB에 매핑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QoS 흐름은 동일한 DRB에 매핑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의 경우, QF에서 DRB로의 매핑은 반사 매핑(Reflective mapping, UE는 다운링크의 QoS 흐름이 DRB에 매핑되는 규칙을 모니터링한 후, 이를 업링크 방향에 응용한다)과 명시적 구성(Explicit Configuration) 두 가지 방식을 채택한다.
각각의 PDU Session에 대하여 하나의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default data radio bearer: default DRB)를 구성할 수 있다. UE가 RAN으로 하나의 QF 데이터 패킷을 전송 시, 상기 QF 데이터 패킷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를 DRB(즉, Explicit Configuration)에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하지도 않았고, 명시적 구성(즉, Explicit Configuration)에도 속하지 않는다면, 즉 상기 UE는 이 QF를 디폴트 DRB상에서 전달하며, 상기 디폴트 DRB는 하나 또는 다수의 QF의 QF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다중연결 시스템에서, 이중연결을 예로 들면, MN이 하나의 분리된 PDU Session의 어떤 QoS flow를 MN 노드에 구성하고, 상기 QoS flow의 업링크 QoS flow 데이터 패킷을 어느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로부터 수신하였는지를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하였으나, RAN이 상기 QoS flow가 어느 DRB에 매핑되었는지를 UE에게 통지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QoS flow와 DRB의 매핑 관계를 명시적으로 구성(Explicit Configuration)하지 않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QoS flow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역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RAN을 통해 UE로 전송되지 않았기 때문에, UE는 반사 매핑(Reflective mapping)을 통해서는 상기 QoS flow가 어느 DRB에 매핑되었는지 알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UE가 RAN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QoS flow의 업링크 QoS flow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준비를 할 때, UE는 상기 QoS flow 데이터 패킷을 디폴트 DRB로 전송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편으로 MN이 분리된 PDU Session 중의 어떤 QoS flow를 MN 노드에 구성하고, 상기 QoS flow의 업링크 QoS flow 데이터 패킷을 MN의 업링크 어드레스로부터 수신하였음을 코어 네트워크에게 통지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QoS flow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은 SN의 업링크 어드레스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그러나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QoS flow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이 MN의 업링크 어드레스로부터 수신된 것인줄로만 안다.
도 3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10: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이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은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MN인 네트워크 중의 RAN 장비에 응용된다. 하나의 UE에 대하여, 네트워크 측은 UE에 하나의 PDU 세션을 구축하며, 상기 PDU 세션은 M개의 QF를 포함한다. MN으로서의 RAN 장비는 상기 PDU 세션의 QF를 각각 N개의 RAN 노드에 구축하는 것을 결정하며, 다시 말해 분리된 PDU 세션의 구축을 결정한다. 여기서 분리된 PDU 세션은 M개의 QF를 포함하며, M개의 QF는 각각 N개의 RAN 노드에 구축되고, N개의 RAN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이다. MN은 각각의 분리된 PDU 세션-S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알고 SN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SN 수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응하는 SN으로 전송한다.
RAN 노드에서, N=2인 경우는 이중연결 시스템으로서, 하나는 MN이고, 다른 하나는 SN이며; RAN 노드에서, N>2인 경우는 다중연결 시스템으로서, 하나는 MN이고, 나머지는 모두 SN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출원에서는 k를 SN의 개수로 설정한다. 이때 k개의 SN에 하나의 MN을 더하면 바로 (k+1)개의 RAN 노드가 되며, 즉 N=k+1이다. k=1이면 SN이 하나임을 나타내며, 이때 N=2로서 이중연결 시스템이고; k>1이면, 이때 N>2로서 다중연결 시스템이다.
상기 PDU 세션에 대하여, MN은 이를 분리(split)할 것을 결정하며, 즉 분리 PDU 세션을 구축한다. MN은 PDU 세션의 QoS flow(QF1, QF2, QF3......)를 분리하여 MN과 SN에 구축하는 것을 결정한다. MN에 구축되는 QoS flow는 Split PDU Session-MN terminated라고도 칭하며, 본 출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QoS flow-MN이라 칭한다. SN에 구축되는 QoS flow는 Split PDU Session-SN terminated라고도 칭하며, 본 출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QoS flow-SN이라 칭한다. SN이 다수인 경우, 즉 다중연결 시스템에서는 더 나아가 QoS flow-SN(k)라고 칭하며, 여기서 k는 SN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PDU Session ID=A: {QFI=1, QFI=2,…QFI=a,…QFI=b,…QFI=c,….}에서, N=2, k=1이면, 이때는 이중연결 시스템 QoS flow-MN={QFI=1, QFI=2, …}; QoS flow-SN={QFI=a, QFI=b, …}이고; N>2, k>1이면, 이때는 다중연결 시스템 QoS flow-MN={QFI=1, QFI=2, …};QoS flow-SN(1)={QFI=a, QFI=b, …};QoS flow-SN(2)={QFI=c, QFI=d, …}이며; 각각의 RAN 노드(MN과 SN 포함)상의 동일한 분리 PDU 세션에 속하는 QoS flow(즉 본 출원 중 QoS flow-MN 또는 QoS flow-SN)에 하나의 업링크 사용자 평면 연결(본 출원에서는 사용자 평면의 업링크 어드레스만 관련되며, 업링크 어드레스라 약칭한다)과 하나의 다운링크 사용자 평면 연결을 구축한다.
MN에 구축되는 QoS flow는 Split PDU Session-MN terminated라고도 칭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것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업링크 어드레스-MN이라 칭하고, 다운링크 어드레스를 다운링크 어드레스-MN이라 칭한다. SN에 구축되는 QoS flow는 Split PDU Session-SN terminated라고도 칭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것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업링크 어드레스-SN이라 칭하고, 다운링크 어드레스를 다운링크 어드레스-SN이라 칭한다.
SN이 1개인 경우, 본 출원에서는 그것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업링크 어드레스-SN이라 칭하고, 다운링크 어드레스를 다운링크 어드레스-SN이라 칭한다. SN이 다수인 경우, 각 SN의 업링크 다운링크 어드레스는 업링크 어드레스-SN(1), 다운링크 어드레스-SN(1); 업링크 어드레스-SN(2), 다운링크 어드레스-SN(2);……업링크 어드레스-SN(k), 다운링크 어드레스-SN(k)라고 칭하며, 여기서 k는 SN의 개수이다. MN은 각 SN의 업링크 어드레스(업링크 어드레스-SN)를 미리 알고, SN 구축 요청 메시지/SN 수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각자의 SN으로 전송한다.
단계 S3020: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
분리된 PDU 세션을 구축한 후, MN은 분리된 PDU 세션에 디폴트 DRB를 구축하며, 디폴트 DRB는 MN 또는 어느 하나의 SN일 수 있는 임의의 RAN 노드에 구성된다. 디폴트 DRB가 MN에 구성된 경우, 분리된 PDU 세션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MN이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MN은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된 경우, MN은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해야 한다.
각각의 PDU Session은 Non-split PDU Session과 split PDU Session을 포함하며, 모두 최대 1개의 디폴트 DRB를 구축한다. 본 출원은 split PDU Session만 다룬다. 디폴트 DRB가 구성된 1개의 RAN 노드는 MN일 수도 있고 SN일 수도 있으나, 단 RAN 노드는 1개만 가능하다. MN이 SN으로 디폴트 DRB가 구성된 SN임을 통지하는 방법은 명시적 통지 또는 암시적 통지일 수 있다. 명시적 통지라면, 즉 MN은 어떤 RAN 노드로 하나의 지시 정보, 예를 들어 default DRB= {true, false}를 전송한다. true이면 즉 상기 RAN 노드에 default DRB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false이면 즉 상기 RAN 노드에 default DRB가 구성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시적 통지인 경우, 즉 MN은 SN으로 SN 구축 요청 메시지/SN 수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디폴트 DRB의 구성 정보를 상응하는 SN으로 전송하고; RAN 노드 간 컨테이너(inter-node container)에 상기 디폴트 DRB의 구성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식을 통해, MN으로부터 상응하는 SN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되고, 이중연결 시스템인 경우, 즉 MN은 디폴트 DRB가 구성되었음을 SN에게 통지하여야 하고, MN은 또한 QoS flow-M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SN으로 전송해야 한다.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되고, 다중연결 시스템인 경우, 즉 MN은 디폴트 DRB가 구성되었음을 SN(j)에게 통지하여야 하고, MN은 또한 분리 PDU 세션의 QoS flow를 전달하는 RAN 노드(MN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다수의 SN일 수도 있음)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전달된 분리 PDU세션의 QFI를 SN(j)로 전송해야 한다.
MN이 디폴트 DRB를 SN에 구성하기로 결정한 경우, SN이 1개뿐인 이중연결 시스템이든, SN이 다수(k>1, k는 SN의 개수)인 다중연결 시스템이든 막론하고, 모두 하나의 SN에만 디폴트 DRB가 구성된다. 이중연결 시스템에는 SN이 1개만 있기 때문에, MN은 QoS flow-MN의 업링크 어드레스(업링크 어드레스-MN)를 SN으로 전송한다. 다중연결 시스템에는 다수의 SN(k>1, k는 SN의 개수)이 있으나, 1개의 SN(본 출원에서는 방법을 기술하기 위하여 디폴트 DRB가 구성된 SN을 SN(j)라 약칭함)에만 디폴트 DRB가 구성되므로, MN은 분리된 PDU 세션의 QoS flow를 전달하는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SN(j)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MN에서 분리 PDU 세션의 QoS flow를 전달하였다면, 즉 MN은 QoS flow-M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SN(j)로 전송하고; 1개 또는 다수의 SN에서 분리 PDU 세션의 QoS flow를 전달하였다면, 즉 MN은 QoS flow-SN(i)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전달된 분리 PDU 세션의 QFI를 SN(j)로 전송한다. MN은 QoS flow-MN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기타 QoS flow-SN(i)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SN(j)로 전송한다. SN의 개수=k일 때, 그 중 SN(j)에 디폴트 DRB가 구성되어 있다면, MN은 또한 기타 SN의 업링크 어드레스-SN을 상기 SN(j)로 전송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SN(j)는 업링크 어드레스-MN과 모든 SN(k개)의 업링크 어드레스-SN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의 호환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중연결 시스템과 다중연결 시스템에 대하여, 일종의 통일된 업링크 어드레스 전송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즉 RAN 업링크 어드레스 목록(RAN 업링크 어드레스 list)을 설정한다. RAN 업링크 어드레스 list={RAN(1) 업링크 어드레스, QFI list}, {RAN(2) 업링크 어드레스, QFI list}, …{RAN(i) 업링크 어드레스, QFI list}이다. 여기서 RAN(i)는 MN일 수도 있고 SN일 수도 있으며, 분리 PDU 세션의 일부 QoS flow를 전달한 어떤 RAN 노드를 의미한다. QFI list란 상기 RAN 노드상에서 분리 PDU 세션의 1개 또는 다수의 QoS flow를 전달한 목록을 의미한다. 즉 상기 QFI list는 1개일 수도 있고 QoS flow일 수도 있다.
분리된 PDU 세션을 위해 어느 하나의 RAN 노드에 디폴트 DRB를 구축하였고, 또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통지하였으므로, 디폴트 DRB가 구성된 RAN은 MN 또는 SN을 막론하고 모두 모든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디폴트 DRB가 구성된 RAN이 UE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는 각각의 QF의 업링크 데이터 및 대응되는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에 따라,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통해 QF를 C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CN과 RAN 중 업링크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아 QF 전송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만약 MN이 디폴트 DRB를 SN에 구성한 경우, MN은 디폴트 DRB가 구성된 SN으로 각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즉 MN의 업링크 어드레스, SN의 업링크 어드레스, 기타 SN의 업링크 어드레스(다중연결 시스템의 경우, 또한 기타 SN에 split PDU Session의 일부 QoS flow가 구축된 경우)와,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SN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SN 수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는 MN은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를 통해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할 수도 있으며, MN은 SN을 위해 S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구성한 다음, SN을 통해 요청 메시지를 수정하며, 메시지에는 split PDU Session의 QoS flow를 전달한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다중연결 시스템의 경우, 또한 기타 SN에 split PDU Session의 일부 QoS flow가 구축된 경우),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된다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은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한다. 분리된 PDU 세션을 위해 어느 하나의 RAN 노드에 디폴트 DRB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디폴트 DRB가 구축된 RAN 노드가 MN인 경우, MN에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MN은 모든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디폴트 DRB가 구성된 RAN이 UE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각각의 QF의 업링크 데이터 및 대응되는 RAN의 업링크 데이터에 따라,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통해 QF를 C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CN과 RAN 중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음으로 인해 QF 전송에 존재할 수 있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된 경우, 만약 MN이 디폴트 DRB를 더 이상 RAN 노드에 구성하지 않기로 결정한다면, 즉 MN은 SN에 더 이상 디폴트 DRB를 구성하지 않도록 하는 지시를 포함하는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를 SN으로 전송한다. SN은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 중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더 이상 디폴트 DRB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며, 또한 split PDU Session의 QoS flow를 전달한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 MN은 SN으로 업데이트된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어드레스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디폴트 DRB를 구성한 RAN 노드가 이중연결된 SN, 또는 다중연결된 어떤 SN(SN(j))을 포함하는 SN인 경우, MN은 디폴트 DRB가 구성된 SN으로 디폴트 DRB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며, 디폴트 DRB의 구성 정보는 단지 하나의 지시 정보, 예를 들어 default DRB= {true, false}일 수 있다. true이면 상기 RAN 노드에 default DRB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false이면 즉 상기 RAN 노드에 default DRB가 구성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1개의 PDU Session의 디폴트 DRB가 어떤 RAN 노드에 구성된 후, 기타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다면, MN은 기타 노드의 업데이트된 업링크 어드레스를 DRB가 구성된 RAN 노드로 전송하도록 결정한다. 이중연결 시스템과 다중연결 시스템의 경우, MN은 업데이트 후의 모든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이중연결 시스템의 경우,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되면, MN은 SN으로 업데이트 후의 업링크 어드레스-MN을 전송하고, 다중연결 시스템의 경우, 디폴트 DRB가 어떤 SN에 구성되면, MN은 디폴트 DRB가 구성된 SN으로 업데이트 후의 업링크 어드레스-MN, 및 업데이트 후의 업링크 어드레스-SN list(기타 SN)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MN이 디폴트 DRB를 SN에 구성하기로 결정 시, UE 데이터 CN의 데이터 전송이 더욱 적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MN은 상기 디폴트 DRB가 해당 SN에 구축된다는 지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한다.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SN의 RAN 노드 정보를 포함한다. SN의 RAN 노드 정보는 RAN의 셀 ID 정보일 수 있다. 단말이 디폴트 DRB가 SN에 구축된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 시 우선적으로 상기 SN과의 사이의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한다. MN이 디폴트 DRB 구축의 구성을 변경 시, MN은 디폴트 DRB 구성이 변경되었다는 지시 정보를 단말로 통지한다. 단말이 디폴트 DRB의 구성 변경 정보를 수신 후,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 시 우선적으로 변경 후의 디폴트 DRB 구성이 소재하는 MN 또는 SN과의 사이의 데이터 링크를 선택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는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010: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이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중의 RAN 장비에 응용되며, 하나의 UE에 대하여, 네트워크 측은 UE에 하나의 PDU 세션을 구축하고, 상기 PDU 세션은 M개의 QF를 포함한다. MN으로서의 RAN 장비는 상기 PDU 세션의 QF를 각각 N개의 RAN 노드에 구축하는 것을 결정하며, 다시 말해 분리된 PDU 세션의 구축을 결정한다. 여기서 분리된 PDU 세션은 M개의 QF를 포함하고, M개의 QF는 각각 N개의 RAN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RAN 노드 중의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이다. 이후 MN은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며, MN이 구축한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되는 경우, SN은 MN이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며,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정보에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가 포함된다.
단계 S4020: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SN이 MN으로부터 전송된 디폴트 PDU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중에서 각종 구성 정보를 판독하여,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한다. 이렇게 하면 SN은 모든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디폴트 DRB가 구성된 RAN이 UE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각각의 QF의 업링크 데이터 및 대응되는 RAN의 업링크 어드레스에 따라,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통해 QF를 C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CN과 RAN 중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음으로 인해 QF 전송에 존재할 수 있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 이후, 마스터 노드가 전송한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노드를 제외한 기타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기타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의 전송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에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폴트 DRB가 SN에 구성된 경우, SN은 또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에 더 이상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SN은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 중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더 이상 디폴트 DRB를 구성하지 않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split PDU Session의 QoS flow를 전달한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변경된 후, SN은 또한 MN이 전송하는 어드레스 업데이트 메시지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어드레스 업데이트 메시지에는 업데이트된 RAN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도 5는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5010: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이다.
단계 S5020: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단계 S5030: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서 UE가 전송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단계 S5040: 업링크 데이터를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으로 분해하는 단계.
단계 S5050: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식별자 및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에 따라,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확정하는 단계.
단계 S5060: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통해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각각 전송하는 단계.
도 6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설명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도록 설정되는 세션 분리 모듈(61)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세션 분리 모듈(61);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도록 설정되는 베어러 구축 모듈(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며,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현 원리 및 기술효과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설명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71)로서,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수신 모듈(71);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도록 설정되는 확정 모듈(7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며,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구현 원리 및 기술효과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의 구조 설명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은,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 정보가 포함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구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81);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와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 중의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송 모듈(82)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은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마스터 노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보조 노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을 더 포함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라면, 사용자 단말이라는 용어는 적합한 유형의 모든 무선 사용자장비, 예를 들어 이동전화, 휴대용 데이터 처리장치, 휴대용 네트워크 브라우저 또는 차량 탑재용 이동기지국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전용회로, 소프트웨어, 논리 또는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측면은 하드웨어에서 구현되고, 다른 측면은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기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 개체 중에서, 또는 하드웨어를 통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어셈블리 명령,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InstructionSet Architecture: ISA) 명령, 기계 명령, 기계 관련 명령, 마이크로코드, 펌웨어 명령,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된 소스코드 또는 오브젝트 코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첨부도면 중의 어떤 논리 흐름의 블록도는 프로그램 단계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호 연결된 논리 회로, 모듈과 기능을 나타내거나, 또는 프로그램 단계와 논리 회로, 모듈 및 기능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을 지니면서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광메모리장치와 시스템(디지털 다기능 광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컴팩트디스크(Compact Disc: CD)) 등이지만, 단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GPA) 및 멀티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3)

  1.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으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가 마스터 노드인 경우,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획득하여, 미리 저장된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를 독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가 보조 노드인 경우,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보조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 및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기타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기타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 및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보조 노드에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가 더 이상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전달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에 변화가 발생 시, 업링크 어드레스에 변화가 발생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로 어드레스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비(UE)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구축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이 변경된 경우,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UE로 변경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보조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변경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1.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으로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상기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응되는 업링크 어드레스를 통해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의 업링크 데이터 패킷을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를 제외한 기타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기타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노드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보조 노드 수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성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가 더 이상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성하지 않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어드레스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드레스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업링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7.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으로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구축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와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 중의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변경 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며, 변경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변경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와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 중의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19.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로서,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구축하도록 설정되는 세션 분리 모듈로서,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세션 분리 모듈; 및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을 위해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어느 하나의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성하도록 설정되는 베어러 구축 모듈
    을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
  20.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로서,
    마스터 노드가 전송하는 구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로서, 상기 구성 통지 메시지는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에 대응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은 각각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에 구축되며,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M과 N은 양의 정수이고, M≥2이고 N≥2인 수신 모듈; 및
    상기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의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의 업링크 어드레스와 M개의 서비스 품질 흐름 식별자를 확정하도록 설정되는 확정 모듈
    을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
  21.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로서,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 정보를 포함하는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 구축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디폴트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구성된 보조 노드와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세션 중의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
  22.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은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의 하나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상기 N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 중 마스터 노드를 제외한 N-1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 노드는 보조 노드이며;
    상기 마스터 노드는 제19항에 따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노드는 제20항에 따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제21항에 따른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단말을 더 포함하는,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 시스템.
KR1020217038275A 2019-05-13 2020-05-12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54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97354.7A CN110536484B (zh) 2019-05-13 2019-05-13 多连接系统中的数据无线承载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201910397354.7 2019-05-13
PCT/CN2020/089693 WO2020228686A1 (zh) 2019-05-13 2020-05-12 多连接系统中的数据无线承载控制方法、装置和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851A true KR20210154851A (ko) 2021-12-21

Family

ID=6865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275A KR20210154851A (ko) 2019-05-13 2020-05-12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56629A1 (ko)
EP (1) EP3958645A4 (ko)
KR (1) KR20210154851A (ko)
CN (1) CN110536484B (ko)
WO (1) WO2020228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6484B (zh) * 2019-05-13 202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连接系统中的数据无线承载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6326169A (zh) * 2020-10-13 2023-06-23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rsu辅助uu连接的协议栈和承载建模
CN116120365A (zh) 2021-11-12 2023-05-16 深圳艾欣达伟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氘代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330B2 (en) * 2015-11-03 2021-03-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ablishing an interaction session on a bear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08377567B (zh) * 2016-11-01 2021-02-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在5g架构下建立双连接传输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CN109891989A (zh) * 2016-11-04 2019-06-1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流到无线电承载的反射映射
US10601535B2 (en) * 2017-03-24 2020-03-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CG re-establishment in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80324631A1 (en) * 2017-05-05 2018-11-08 Mediatek Inc. Using sdap headers for handling of as/nas reflective qos and to ensure in-sequence packet delivery during remapping in 5g communication systems
CN109246757B (zh) * 2017-05-05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服务质量架构在双连接系统的配置方法及装置
CN109587825B (zh) * 2017-09-28 2024-03-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建立连接的方法、请求辅助小区组配置的方法及相应的基站
JP6904419B2 (ja) * 2017-08-09 2021-07-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無線端末並びにこれらの方法
CN109548182B (zh) * 2017-08-11 2022-08-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建立双连接的方法及装置
CN114500008A (zh) * 2017-09-30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US10721648B2 (en) * 2017-10-12 2020-07-21 Apple Inc. Device requested protocol data unit session modification in the 5G system
CN111491328A (zh) * 2019-01-28 2020-08-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数据复制的方法、数据统计方法、相应实体和介质
CN110536484B (zh) * 2019-05-13 202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连接系统中的数据无线承载控制方法、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6484A (zh) 2019-12-03
EP3958645A1 (en) 2022-02-23
WO2020228686A1 (zh) 2020-11-19
CN110536484B (zh) 2024-03-26
US20220256629A1 (en) 2022-08-11
EP3958645A4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777B (zh) 数据发送/接收设备和数据发送/接收设备的操作方法
JP7175977B2 (ja) サービスの信頼性を向上させる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110999394B (zh) 用于支持4g/5g双注册移动通信终端的数据同步的方法及装置
US20220201539A1 (en) Method for obtaining data radio bearer identifier and base station
WO2020030109A1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KR102387163B1 (ko) 데이터 전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54851A (ko) 다중연결 시스템 중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 제어방법, 장치 및 시스템
BR112019022671A2 (pt) método realizado em um primeiro equipamento de infraestrutura, equipamento de infraestrutura, método para encaminhar, para transmitir e para receber dados, e, dispositivo de comunicações
US11991694B2 (en) Communication system
EP3962165A1 (e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dundant protocol data unit session
KR20200103797A (ko) Pdcp 데이터 복구 실행을 위한 통지 방법 및 장치
CN113746585A (zh) 授时方法和通信装置
CN114008993A (zh) 用于无线通信网络中的会话建立的方法、装置和系统
CN112566150A (zh) 切换的方法及设备
CN111405625B (zh) 一种切换方法、基站、通信系统及存储介质
US20220286877A1 (en) Redundant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radio bearer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nodes, terminal, and medium
CN111757553B (zh) 一种提高冗余分组数据会话性能的方法和设备
CN111491370B (zh) 一种通信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CN112040565B (zh) 移动通信系统、方法及装置
CN113811021A (zh) 通信方法和装置
WO2011022960A1 (zh) 多媒体广播多播业务能力通知方法及装置
CN116506903A (zh) 无线网络协议栈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7280850A (zh) 无线通信中的流量传输方案
CN115604859A (zh) 上下文交互方法、设备和存储器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