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559A - 발열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발열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559A
KR20210154559A KR1020200071696A KR20200071696A KR20210154559A KR 20210154559 A KR20210154559 A KR 20210154559A KR 1020200071696 A KR1020200071696 A KR 1020200071696A KR 20200071696 A KR20200071696 A KR 20200071696A KR 20210154559 A KR20210154559 A KR 2021015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lock
carbon
mesh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진
이진욱
박민철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7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559A/ko
Publication of KR2021015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04B14/026Carbon of particular shape, e.g. nano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몰탈에 의해 형성된 발열층(110); 전기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발열층(110) 내에 삽입되는 발열메시(111);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되지 않은 몰탈에 의해 형성된 비발열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을 제시함으로써, 보도에 설치되어 융설, 융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량의 전기공급에 의해 고온을 얻도록 하여 동절기 보도의 통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발열보도블록{SIDEWALK BLOCK FOR HEATING}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열이 가능한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지난 80년간 겨울철 지속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으나, 국지성 기습강설 등 이상기후 징후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며, 기온의 변동 폭이 크고, 지형적인 영향으로 국지적인 폭설과 불예측성 기습강설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설 시 결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차도 뿐만 아니라 보도(인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차도의 경우에는 다양한 발열 구조 및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도의 경우에는 이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보도에 설치되어 융설, 융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량의 전기공급에 의해 고온을 얻도록 하여 동절기 보도의 통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발열보도블록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몰탈에 의해 형성된 발열층(110); 전기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발열층(110) 내에 삽입되는 발열메시(111);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되지 않은 몰탈에 의해 형성된 비발열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을 제시한다.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탄소양자점, 풀러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카바이드 유도 탄소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률은 상기 발열층(110)의 몰탈에 혼입되는 시멘트의 중량 대비 0.5 ~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110)의 두께는 상기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두께의 1/3 ~ 2/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메시(111)는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열메시(111)의 간격은 1 ~ 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메시(111)의 설치 면적은 상기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면적의 50 ~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은 10V ~ 100V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발열보도블록(100)이 설치된 보도로서, 사람의 보폭에 맞추도록 다수의 상기 발열보도블록(1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일반보도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보도에 설치되어 융설, 융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량의 전기공급에 의해 고온을 얻도록 하여 동절기 보도의 통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발열보도블록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발열보도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발열보도블록의 단면도.
도 3은 발열보도블록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실험체의 사시도.
도 5는 실험체의 제작과정의 사진.
도 6은 실험체의 발열실험 과정의 사진.
도 7,8은 실험체의 발열실험결과의 그래프.
도 9는 실험체의 발열실험결과의 사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열보도블록(100)은 기본적으로,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몰탈에 의해 형성된 발열층(110); 전기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발열층(110) 내에 삽입되는 발열메시(111);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되지 않은 몰탈에 의해 형성된 비발열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소나노소재는 탄소양자점, 풀러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 및 카바이드 유도 탄소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몰탈)는 부도체로 전기나 열의 전도도가 거의 없지만,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콘크리트는 전기 및 열의 전도성이 있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몰탈)에 발열메시를 설치하고,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전기공급을 하더라도 고온을 얻기가 어렵지만,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콘크리트(몰탈)에 발열메시(111)를 설치하고,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 소량의 전기공급에 의해서도 고온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발열보도블록(100) 만으로 보도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사람의 보폭(70cm 정도)에 맞추도록, 다수의 발열보도블록(1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연석(20) 내의 나머지 영역에는 일반보도블록(1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보도의 시공비용을 줄이면서도 결빙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3).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발열보도블록(100)의 구체적 구성을 위한 실험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체(200)의 크기는 일반 인터록킹 블록의 크기인 200×100×60mm3로 선정하였다.
실험체(200)의 두께는 국내 KS F 4419 기준인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에 의거하여 보도용 블록의 두께인 60mm로 선정하였다.
실험체(200)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에 stainless steel 재질에 의한 전압공급메시(201)를 설치하였다.
전압공급메시(201)를 보호하기 위해서 실험체(200)의 상부에 20×40×30mm3 크기의 보호박스(202)를 설치하였다.
도 5는 실험체(200)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발열층(110)을 형성하기 위한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몰탈(모래, 시멘트)를 비율에 맞게 계량하였다(도 5a).
발열층(110)의 몰탈의 물/시멘트 비는 50%이고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은 1 : 2.5로 선정하였다.
탄소나노소재로는 MWCNT(Multi-Walled CNT, 다층벽 탄소나노튜브)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탄소나노소재의 최적혼입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열층(110)의 몰탈의 시멘트 중량 대비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률을 0.5 ~ 6.0 중량부로 변화시키면서 다수의 실험체(200)를 제작하였다.
몰탈과 MWCNT 수용액을 혼합하고(도 5b), 이를 실험체(200)의 하부에 타설하여 약 30회 다짐을 실시하여 발열층(110)을 형성한 후(도 5c), 발열메시(111)를 매립하였다(도 5d).
발열층(110)의 최적두께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열층(110)의 두께를 1 ~ 6cm로 변화시키면서, 다수의 실험체(200)를 제작하였다.
또한, 발열메시(111)의 최적간격(상하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열메시(111)의 간격을 1 ~ 5cm로 변화시키면서, 다수의 실험체(200)를 제작하였다.
나아가, 발열메시(111)의 설치 면적에 대한 최적값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면적 대비 발열메시(111)의 면적을 10 ~ 100%로 변화시키면서, 다수의 실험체(200)를 제작하였다.
전압공급에 의한 보도블럭 실험체(200)의 내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thermalcouple를 1.5cm 깊이로 삽입하였다(도 5e).
위와 같이 제작된 실험체(200)의 발열층(110)을 상온에서 1일 양생한 후, 그 상부에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되지 않은 몰탈에 의해 비발열층(120)을 형성하였다(도 5f).
발열층(110)의 발열로 인한 열확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부 비발열층(120)에도 thermalcouple를 삽입하였다.
도 6은 보도블럭 실험체(200)에 대한 전압공급에 의한 발열 성능 실험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직류 전압 공극기(DC Power supply, EX-200)의 (+), (-)전극을 발열층(110)에 매설된 발열메시(111)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압을 공급하였다.
전압공급에 의해 발생한 실험체(200)의 온도변화는 삽입된 Thermalcouple에 연결된 정적데이터로거(TDS-303)에 의해 측정되고, 공급되는 전류가 외부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 고무판 위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의 최적값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을 10V ~ 300V로 변화시키면서, 다수의 실험체(200)를 제작하였다.
요약하면, 실험변수는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률, 발열층(110)의 두께, 발열메시(111)의 간격, 발열메시(111)의 설치 면적,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이므로, 이러한 실험변수가 반영된 다수의 실험체(200)에 대하여 전압을 공급하면서 발열성능을 실험하였다.
이하, 위 실험의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Figure pat00001
표 1은 발열층(110)의 몰탈에 혼입되는 시멘트의 중량에 대한 탄소나노소재의 최적혼입률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률이 높을수록 발열성능이 높게 나타나지만, 혼입률이 지나치게 높으면 단시간 내의 발열로 인하여 몰탈의 손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오히려 온도가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도 7,8).
따라서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률은 발열층(110)의 몰탈에 혼입되는 시멘트의 중량 대비 0.5 ~ 3.0 중량부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2
표 2는 발열층(110)의 최적두께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도블록의 두께는 6cm로 고정하였고, 발열층(110)의 두께를 1 ~ 6cm로 변화시키면서, 시공성, 발열성능,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발열층(110)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발열메시(110)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져 합선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발열층(11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 소비전력이 증가함에 비해 발열성능은 별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발열층(110)의 두께는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두께의 1/3 ~ 2/3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3
표 3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발열메시(111)의 최적간격(상하방향)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열메시(111)의 간격을 1 ~ 5cm로 변화시키면서 발열성능을 실험하였는데, 그 간격이 3cm 이상이면 발열성능이 지나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수의 발열메시(111)의 간격은 1 ~ 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4
표 4는 발열메시(111)의 설치 면적에 대한 최적값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면적 대비 발열메시(111)의 면적을 10 ~ 100%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열메시(111)의 면적이 50% 미만인 경우 발열성능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발열메시(111)의 면적이 80%를 초과하면 몰탈의 균열이 발생하여 구조안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열메시(111)의 설치 면적은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면적의 50 ~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5
표 5는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의 최적값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을 10V ~ 300V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공급전압이 적더라도 탄소나노소재의 역할로 인하여 유의미한 발열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공급전압이 지나치게 크면 몰탈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9).
따라서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은 10V ~ 100V가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발열보도블록 110 : 발열층
111 : 발열메시 120 : 비발열층

Claims (8)

  1.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된 몰탈에 의해 형성된 발열층(110);
    전기전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발열층(110) 내에 삽입되는 발열메시(111);
    탄소나노소재가 혼입되지 않은 몰탈에 의해 형성된 비발열층(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는 탄소양자점, 풀러렌, 탄소나노리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카바이드 유도 탄소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소재의 혼입률은 상기 발열층(110)의 몰탈에 혼입되는 시멘트의 중량 대비 0.5 ~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110)의 두께는 상기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두께의 1/3 ~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메시(111)는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열메시(111)의 간격은 1 ~ 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메시(111)의 설치 면적은 상기 발열보도블록(100) 전체 면적의 50 ~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메시(111)에 대한 공급전압은 10V ~ 10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보도블록(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발열보도블록(100)이 설치된 보도로서,
    사람의 보폭에 맞추도록 다수의 상기 발열보도블록(1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일반보도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
KR1020200071696A 2020-06-12 2020-06-12 발열보도블록 KR20210154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96A KR20210154559A (ko) 2020-06-12 2020-06-12 발열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696A KR20210154559A (ko) 2020-06-12 2020-06-12 발열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559A true KR20210154559A (ko) 2021-12-21

Family

ID=7916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696A KR20210154559A (ko) 2020-06-12 2020-06-12 발열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25B1 (ko) * 2022-10-06 2023-02-08 주식회사 하이퍼콘 고상 탄소 캡슐이 혼입된 발열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25B1 (ko) * 2022-10-06 2023-02-08 주식회사 하이퍼콘 고상 탄소 캡슐이 혼입된 발열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Self-deicing road system with a CNFP high-efficiency thermal source and MWCNT/cement-based high-thermal conductive composites
Yehia et al. Thin conductive concrete overlay for bridge deck deicing and anti-icing
Zhang et al. Nickel particle based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cementitious composites
KR102191104B1 (ko) 블랙 아이스 방지를 위한 발열체 시공방법
US9775196B2 (en) Self-heating concrete using carbon nanofiber paper
CN111021180A (zh) 一种用于融雪化冰的路面铺装结构及使用方法
KR20210154559A (ko) 발열보도블록
CN108951356A (zh) 公路太阳能供电石墨烯加热膜融雪系统及有该系统的公路
Lu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asphalt concrete for smart and sustainable pavement construction: A review
CN202131554U (zh) 一种路面主动保温防滑设施
Wu et al. Carbon fiber heating wire for pavement deicing
CN109180073A (zh) 橡胶改性功能梯度混凝土快速除冰路面及除冰方法
Park et al. Experimental study on voltage supply efficiency of nano cement composite for prevention of road icing
Zha et al. Development and laboratory simulation tests of anti-skidding ice melting cushion with carbon fibers for pavement
KR101906016B1 (ko) 발열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7748A (ko) 열 전도성 아스콘
JP4723547B2 (ja) 電気伝導コンクリートを利用する自己発熱コンクリートシステム
KR102671602B1 (ko) 산업부산 탄소소재가 혼입된 전기전도성 발열 모르타르의 전류 누설 방지 구조
CN103669162B (zh) 用于路面除冰雪的电阻网设施及其铺设供电方法
CN1946253A (zh) 碳纤维复合材料制作的公路、机场电加热专用电缆
Joey Intersection-pavement de-icing: comprehensive review and the state of the practice
Zha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road snow-melting based on CNFP self-heating concrete
KR102563278B1 (ko) 도로의 결빙 방지를 위한 전도성 복합체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TWI379818B (ko)
KR102551031B1 (ko) Mwcnt 발열 콘크리트 모듈을 이용한 블랙아이스 예방 도로 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5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316

Effective date: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