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348A -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 - Google Patents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4348A KR20210154348A KR1020200071277A KR20200071277A KR20210154348A KR 20210154348 A KR20210154348 A KR 20210154348A KR 1020200071277 A KR1020200071277 A KR 1020200071277A KR 20200071277 A KR20200071277 A KR 20200071277A KR 20210154348 A KR20210154348 A KR 202101543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es
- storage bag
- hook
- lens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써,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안경을 벗어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고, 보관주머니 내부에 형성된 걸이부에 안경을 거치시킬 수 있게 해, 의도치 않은 이탈과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경의 파손과 분실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주머니의 덮개부를 안경닦이 재질로 형성시켜, 안경이 거치된 상태에서 렌즈 표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닦이가 없는 상황에서 렌즈를 닦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렌즈의 성능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같은 역할을 하는 기존의 안경케이스들에 비해 사용과 제작이 간편하고, 소요 자재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관주머니의 덮개부를 안경닦이 재질로 형성시켜, 안경이 거치된 상태에서 렌즈 표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닦이가 없는 상황에서 렌즈를 닦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렌즈의 성능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같은 역할을 하는 기존의 안경케이스들에 비해 사용과 제작이 간편하고, 소요 자재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경 보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제작 공정과 최소한의 소요 자재로 종래에 안경을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들을 최소화해 줄 수 있는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모든 동물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위험 요소들로부터 몸을 피신시킬 때 주로 시각적 감각에 의지하게 된다. 이는 각종 위험들로부터 빠르게 몸을 대피시킬 때뿐 아니라 단순히 보행을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고, 의식이 있는 동안 연속적이고 정확한 시야의 확보는 대부분의 움직일 수 있는 생명체들의 생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하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시력이 좋지 못하더라도 시력교정술의 도움을 받아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고, 현대 시대에 이르러 시력교정과 관련된 문제는 운전면허의 매우 중요한 취득 요건이 되기도 하는 등, 개인 차원의 문제를 넘어 공익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 같은 이유로 한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안경을 마련하는데 정책적인 차원에서 그 부담을 덜어주고자, 시력교정용 안경의 구입비에 한하여 부가세 면제 정책이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안경은 매우 전문적이고 정교한 기술로 제작되기 때문에 적지 않은 구매가를 형성하고 있고 그뿐만 아니라 이를 보수하고 관리하는 일 또한 반드시 전문가의 손에 맡겨야 하므로, 평생 동안 안경을 사용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구적인 측면에서의 안경은 이를 작동시키는데 있어 일말의 물리적 마찰이나 화학적 에너지의 소진을 요하지 않으므로, 이론적으로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백여 년 전에 제작된 안경이 박물관 등지에 당장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하지만 일상 속에서 꾸준하게 사용되고 있는 안경들은 일정한 주기로 파손·분실 및 렌즈의 성능 저하가 일어나게 되며, 그에 따른 보수 및 교체 비용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 빈도수는 사용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많거나 적어질 수 있다. 즉, 평소 편한 행동을 취하려는 욕구가 높은 사용자일수록, 안경을 사용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관리 도구의 사용을 생략시키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최대한 간소화하려는 경향을 띄게 되어 비용이 발생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안경 관리도구의 대표 격인 '안경케이스'와 '안경닦이'가 가진 이용 상의 번거로움 들을 각각 'X1'과 'X2'로 두고, 특정 사용자가 '편한 행동을 취하려는 성향의 정도'를 'C'로 두었을 때, 안경의 '수리 및 교체의 발생 빈도' 'Y'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결과 값인 '수리 및 교체의 발생 빈도'는 좌변의 값들과 비례관계에 있게 되고, 또한 'X1+X2' 혹은 'C' 중 하나의 값만 0이 되더라도 결과 값 역시 0이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 식의 결과 값을 0으로 낮추기 위해, 각 개인의 성향인 'C'는 기술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영역으로 두고, 'X1'과 'X2'에 해당하는 '각 안경 관리도구들이 가진 이용 상의 번거로움'을 해결하는데 기술적인 목표를 두고자 한다.
안경의 파손과 분실은 착용자가 눈 주위에 직접적으로 큰 충격을 입게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착용 중인 안경을 잠시 벗어둔 상황에서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인 상황을 예로 들어보면, 마치 실수로 커피잔을 엎지르는 상황과 비슷하게 잠시 벗어둔 안경을 팔꿈치로 건드려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혹은 휴대폰을 쇼파나 침대 위에 두고 깔고 앉거나 눕게 되는 것처럼 안경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분실의 경우도 목적지에 도착해서 잠시 놔둔 우산을 그대로 놓고 오는 상황과 비슷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위의 상황들은 벗어두는 시간이 착용하는 시간에 비해 더 많거나 비슷한 '선그라스'의 경우 더욱 자주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실수들은 마찬가지로 휴대폰에 보호케이스를 씌우거나 사용이 끝난 우산을 보관커버에 씌워 가방 속에 넣어두는 것과 비슷하게 안경을 안경케이스 안에 넣거나 혹은 안경을 넣은 안경케이스를 가방 속에 넣어두는 대비책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안경케이스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와는 달리 안경에 끼운 채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일반적인 바지 주머니에 넣기 힘들 정도의 부피를 형성하고 있어 소지가 불편하다는 단점을 지닌다.
이러한 안경케이스의 취약한 소지성을 향상시키는 대안으로 선그라스 상품에 종종 적용되는 '벨트에 끼울 수 있는 고리부'가 케이스 후면에 형성된 개량형 안경케이스를 들 수 있다. 이는 안경케이스를 바지 벨트에 끼워 허리춤에 매달 수 있게 해, 케이스를 따로 소지하는 행위와 이용 시 가방에 넣거나 빼는 과정 등을 생략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안경케이스의 크기가 항상 허리에 매달고 다니기엔 부담이 되므로 여행과 같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널리 이용되고 있지 못하다.
안경케이스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소지성을 향상시키는 종래의 기술로 국내 특허 10-2006-0020289 "렌즈 보호용 박형의 안경 렌즈 케이스"를 들 수 있다. 본 기술은 안경의 렌즈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계 된 클립 형태의 케이스로써, 안경을 보호함에 있어 가장 중요시되는 렌즈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의 보호는 생략하면서 케이스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소지성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잠시 안경을 벗어 둘 일이 생겼을 때, 안경에 케이스를 장착시켜 이를 부담 없이 손에 움켜쥐거나, 주머니 안에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기술이 등장하게 된 데는 사람들이 안경을 무방비 상태로는 주머니 속으로 넣지 않는다는데 있고, 이는 안경의 렌즈가 약한 마찰에도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만큼 민감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안경을 일반적인 안경케이스 안에 보관할 때도 렌즈 부분을 안경닦이로 잘 감싸주지 않거나 안경이 케이스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잘 고정시켜주지 않으면 렌즈 표면에 상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미세하게 발생되는 흠집들이 누적되어 직접적으로 시야를 가리게 되거나, 렌즈 표면에 처리된 각종 특수 코팅들을 벗겨내 렌즈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안경이 안경케이스 안에서 흔들려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로 미국 특허 US 2667965 A호 "Case for glasses"를 들 수 있다. 본 기술은 안경케이스 내에 안경의 코걸이 부위가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를 마련하여, 보다 간편하게 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의 종래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특정 모델에 한정하여 맞춤으로 제작이 되어야만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는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중·고가의 안경 제품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당 모델의 전용 케이스들과 기능적으로 큰 차이를 갖지 못한다.
안경과 안경케이스 간에 규격 차이로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들을 방지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로 미국 특허 US 5833053 A호 "Inflatable Eyeglass Case"가 있다. 본 기술은 필요한 만큼 부피를 팽창시킬 수 있는 '에어챔버' 장치를 안경케이스 내에 적용시킨 기술로써, 헝겊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안경의 크기나 모양에 상관없이 안경 전체를 부드럽게 감싸게 되어 렌즈를 보호하는데 적합한 '소프트케이스'와 이와는 반대로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 프레임 전체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하드케이스'가 가진 각각의 장점들을 결합시킨 것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제작 공정과 사용이 다소 복잡하고, 기존의 안경케이스들과 마찬가지로 항상 소지하고 다니기엔 부피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열거된 '안경케이스와 관련된 번거로움(X1)'들은 '편한 행동을 취하려는 성향의 정도(C)'가 0에 가까운 사용자들에게는 미미한 영향을 끼치지만, 그와 반대되는 성향의 사용자들에게는 비슷한 정도의 번거로움(X1)이 작용 하더라도 더욱 높은 빈도로 안경의 수리 및 교체 상황(Y)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안경의 구입 시 '안경케이스'와 함께 지급되는 또 다른 필수 관리도구로 '안경닦이'가 있다.
안경닦이는 사실상 일반 사용자가 안경렌즈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일한 관리 도구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 다른 물질들은 렌즈 표면에 오염이나 흠집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안경닦이 이외에 다른 물질들은 되도록 렌즈 표면에 접촉시키지 않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하지만 외출 시 안경닦이를 따로 구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주변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물품이 아니므로, 사용자는 렌즈 표면에 오염이 발생했을 때 당장의 시야 확보를 위해 렌즈 표면에 약간의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겉옷 등으로 이를 처리하게 된다.
안경닦이를 사전에 구비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방지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로 미국특허 US 20170027236 A1호 "Shirt with Lens Cloth"를 들 수 있다. 본 기술은 피부와 맞닿는 상의의복의 내측면과 가장 바깥쪽 면 사이에 안경닦이 면을 구비시켜놓음으로써 필요시 이를 펼쳐서 꺼내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기술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3겹 이상의 구조로 설계가 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안경닦이 면을 적절한 방향으로 꺼낼 수 있도록 입구를 조성시켜야 하는 등 일반적인 의복에 비해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안경닦이가 펼쳐져 나오는 입구 부분에 추가적인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되면 안쪽에 부착된 안경닦이 면이 바깥으로 풀어져 나오거나, 보관된 상태에서 입구 쪽의 형태를 무너뜨리는 등, 의복이 제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안경닦이를 사전에 구비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방지하고자 하는 또 다른 종래 기술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6-60720호 "特殊生地で裏裝された服類"를 들 수 있다. 본 기술은 양복 상의의 안감이나 상·하의 의복의 주머니 감들에 0.7 데니어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001의 원단을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서 각 부에 적용된 극세사 원단으로 안경 렌즈를 닦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한 의복의 유형이 제한적이고, 넓은 면적의 안감을 안경닦이 원단으로 대체할 경우 불필요하게 재료비가 상승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상기 두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가 안경닦이를 미리 챙기는 행위'를 대체할 수 있어야만 기술적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데, 안경닦이의 경우 안경케이스와는 달리 그 무게와 크기가 매우 작고, 소지가 간편해 이를 잊지 않고 한번 챙겨두기만 하면 소지하는데 있어서 전혀 불편함이 없으므로, 상기 의복들을 미리 챙겨 입는 행위가 안경닦이를 준비하는 행위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편한 행동을 취하려는 성향의 정도'가 0인 사용자를 제외하고는 안경의 파손과 분실 및 렌즈의 성능저하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될 것이다.
상술된 종래의 안경 관리도구들은 의식이 있는 동안 항상 착용중인 안경에 비해 필시 먼 곳에 위치해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필요에 따라 적시적소에 챙겨서 사용하는데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향후 안경의 발전 방향 또한, 마치 일반적인 신발과 공사장에서 신는 안전화가 구분되어 있듯 내구성에 관련된 부분은 고글 등과 같은 특수 제품군으로 떼어두고, 장시간 착용해야 하는 일반 안경은 경량화 등과 같은 착용 편의성의 향상을 목표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안경을 사용하는데 있어 관리상의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책임들은 현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향후에도 여전히 사용자의 몫으로 남겨져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간단한 제작 공정과 최소한의 소요 자재로 종래에 안경을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들을 최소화해 줄 수 있는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의의복의 전면부에 안경을 닦을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폭이 높이보다 큰 형상을 갖는 면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부착되어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며,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양 끝단이 상의의복 편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시작단의 부착점이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끝단의 부착점이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의 상측부에 위치하여 일자형 걸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자형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중앙부가 상기 보관주머니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시작단과 끝단의 부착점이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고리형 걸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형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중앙부가 상기 보관주머니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관주머니의 위쪽으로 보관주머니의 너비와 같거나 더 넓은 면의 일측단이 상의의복 편에 부착되어, 상기 보관주머니의 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제작 공정과 최소한의 소요 자재로 종래에 안경을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들을 최소화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잠시 벗어두어야 할 때 상의의복의 가슴 쪽에 형성된 안경 보관주머니로 넣어둘 수 있게 하여, 안경을 임의의 장소에 벗어 두었을 때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파손과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동안 안경을 보관하는 경우에도, 부피가 큰 안경케이스를 따로 소지할 필요가 없게 하고, 안경케이스를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하지 못해 겪을 수 있는 수고를 없애줄 수 있다.
또한, 안경 보관주머니의 안쪽으로 모든 형태의 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이부를 형성함으로써 마치 자동차의 안전띠처럼 격렬한 움직임에도 안경이 바깥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흔들림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관 시 렌즈 부분과 맞닿는 덮개부를 안경닦이용 재질로 형성시켜 각종 마찰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흠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모든 착탈 과정들을 한 손으로도 간단하게 완료시킬 수 있어, 일반적인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행동에 제약이 있거나 위급한 상황에서도 안경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안경닦이를 미리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도 안경닦이용 재질로 형성된 덮개부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에 생긴 오염들을 바로바로 닦아내줄 수 있다. 또한, 이때 렌즈를 닦게 되는 부위인 내측면이 세탁 등과 같은 외부적으로 마찰이 발생하는 상황으로부터 보호가 될 수 있어 안경을 닦는 기능의 수명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존의 안경케이스 들에 비해 소요 자재가 적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의의복에 적용됨에 있어서 의복의 형태를 훼손시키지 않으며, 여러 유형의 의복들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에 대한 모식도
도 2 -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 ((a) 외투와 함께 착용한 상태도, (b) 우천 시 자전거를 탄 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작 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 ((a) 직각으로 형성된 일자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b) 빗각으로 형성된 일자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도 6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작 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 ((a) 시작점과 끝점이 겹쳐져서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b) 시작점과 끝점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도 8 - 도 7(b)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9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뚜껑부를 구현한 모식도
도 2 -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 ((a) 외투와 함께 착용한 상태도, (b) 우천 시 자전거를 탄 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작 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 ((a) 직각으로 형성된 일자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b) 빗각으로 형성된 일자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도 6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작 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 ((a) 시작점과 끝점이 겹쳐져서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b) 시작점과 끝점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의 사용상태도)
도 8 - 도 7(b)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9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뚜껑부를 구현한 모식도
본 발명은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에 관한 것으로써,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안경을 벗어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고, 보관주머니 내부에 형성된 걸이부에 안경을 거치시킬 수 있게 해, 의도치 않은 이탈과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경의 파손과 분실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주머니의 덮개부를 안경닦이 재질로 형성시켜, 안경이 거치된 상태에서 렌즈 표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닦이가 없는 상황에서 렌즈를 닦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렌즈의 성능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같은 역할을 하는 기존의 안경케이스들에 비해 사용과 제작이 간편하고, 소요 자재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보관주머니(200)는 폭이 높이보다 큰 형태의 덮개부(210)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의의복(100)의 전면부에 부착되어 주머니의 형상을 이뤄 형성이 되어 있다. 이는 가로로 긴 형태의 안경들을 착용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시키기 위함이다.
보관주머니(200)의 내측에 형성된 걸이부(220)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양 끝단이 상의의복(100) 편에 부착되어 보관주머니(200)의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마치 사람이 허리에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처럼 안경의 코걸이 부위에 감겨 안경을 보관주머니(200) 내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안경을 걸이부(220)에 고정시키고 해체하는 작업은 횡 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는 다시 상부만 개방된 덮개부(210) 내에 위치하게 되어, 거치가 완료된 안경은 사방으로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가 되게 된다.
이와 관련해, 단순한 '끈 매듭'에서 부터 목조 건축에 사용되는 '짜맞춤 공법'에 이르는 대부분의 물리적인 체결 방식들은 고정시키고자 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특정 방향으로 제한시킨 뒤, 이 작업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총 2회 이상 반복해, 자연 상태에서는 역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일어날 수 없도록 하는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의 강도는 '경로를 제한시킨 처리 횟수'에 비례하게 되고, 이 강도는 체결부의 용도에 맞춰서 결정되게 된다.
이때, 물체의 구조상에 자체적으로 움직임의 방향을 특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집중시켜줄 수 있는 파임이나 구멍 등과 같은 '형태적인 소실점'이 존재하게 되면, 그 자체만으로도 처리 횟수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거치 행위를 간소화시키고자 하는 체결부 방식에 적용될 수 있는 원리이며, 단 한 번의 동작으로 탈착을 완료시킬 수 있는 각종 단추들이 이것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위 원리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걸이부(200)에 안경을 거치시킴에 있어서 코걸이 부위를 '형태적인 소실점'으로 삼아서 신속한 탈착이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10)를 통해서 움직임의 경로를 한 차례 더 제한시켜서 보다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10)와 상의의복(100)은 안경을 가운데에 두고 서로 밀착하게 되며, 이때 안경닦이 재질로 형성된 덮개부(210)가 렌즈 표면을 부드럽게 감싸게 되면서 외부적으로 격렬한 흔들림이 있는 상황에서도 렌즈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경 프레임 전체의 보호 또한 보관주머니(200)를 사람 상체의 특성에 맞춰 형성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즉, 사람의 상체에 좌우 방향으로 쌍을 이뤄 배치되어 있는 '갈비뼈'들은 안팎으로 굽혀질 수 없는 부위이며, 이로 인해서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체 전면에 형성되어있는 보관주머니(200)의 좌우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방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것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있는 '척추뼈'들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가동 범위를 가지고 있지만, 이 굽힘 각도 또한 높이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는 보관주머니(200)를 상하 방향으로 휘게 하기에는 부족한 정도이므로, 결론적으로 상체 전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보관주머니(200) 내의 안경 프레임 전체가 휘어짐 혹은 부러짐으로부터 보호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이 적용된 티셔츠를 다른 외투와 함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주머니(200)를 상의의복(100)의 윗 가슴 쪽으로 형성시켜 사용자는 본 발명이 적용된 티셔츠를 단독으로 입었을 때뿐만 아니라, 외투와 함께 착용한 상태에서도 전면의 지퍼만 살짝 내려 보관주머니(200)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벌의 제품으로도 계절이나 기후 조건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준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3(b)은 사용자가 우천 시 자전거를 탄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위급하고 제한적인 상황을 나타내본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작스럽게 소나기가 오는 상황에서 자전거에 탄 사용자는 마치 '앞 유리의 와이퍼가 고장 난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과 비슷하게 안경 렌즈에 계속해서 흘러내리는 빗방울들로 인해 시야를 방해받게 된다.
이는 비가 잠깐 동안만 오고 금방 그친다고 하더라도 렌즈 표면에 물방울이나 물때 자국 같은 방해요소들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경이 비에 맞지 않도록 최대한 신속하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은 우산 없이 도보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지만 자전거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고, 정확한 시야의 확보가 착용자의 안전과 직결되어 있으므로 문제의 해결이 보다 시급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안경케이스가 준비되어 있다면, 자전거를 안전한 곳에 멈춰 세워서 안경을 케이스 안에 넣어야하고, 이 과정에서 다시 자전거를 탔을 때 안경이 케이스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렌즈 부분을 안경닦이로 잘 감싸주는 등의 조치를 취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에 반해서, 도 3(b)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전거를 멈춰 세우지 않고도 한 손만으로 신속하게 문제의 해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은 걸이부의 유형별 제작 방법과 각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에 관한 설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작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의의복(100) 전면에 부착되어질 걸이부(220)와 덮개부(210)의 조각들을 순서대로 상의의복(100) 위에 겹겹이 위치시켜 놓고, 덮개부(210)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영역을 봉제 작업으로 부착하면, 보관주머니(200)의 주머니 형상이 완성되면서 걸이부(220)의 시작단(221)도 함께 상의의복(100) 편에 부착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걸이부(220)의 끝단(222)을 상기 덮개부(210)로 덮히는 영역의 상측부 상의의복(100) 편에 부착시킴으로써 일자형 걸이부(220)가 구비된 안경 보관주머니(2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작 방식은 단순히 공정 난이도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술이 적용되는 상의의복(100)에 어떠한 변형도 요하지 않게 되어 의복의 기능과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용 가능한 의복의 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이 널리 상용화되는데 도움이 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안경을 보관주머니(200)로 넣은 후 안쪽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걸이부(220)와 상의의복(100)의 틈 사이로 통과시켜 안경을 거치시키게 된다.
즉, 안경을 보관주머니(200)의 한쪽 편 입구로 넣고, 안경 끝을 안쪽에 형성된 일자형 걸이부(220)와 상의의복(100) 사이의 틈으로 통과시킨 뒤, 안경의 전체가 보관주머니(200) 안으로 모두 들어갈 때까지 밀어 넣으면, 안경 중앙에 움푹 파인 코걸이 부위에 걸이부(220)가 걸리게 되면서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안경 끝을 일자형 걸이부(220)와 상의의복(100) 사이의 틈으로 좀 더 용이하게 통과시켜 주기 위해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20)의 각도를 안경 끝이 들어오는 쪽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살짝 눕혀서 빗각으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는 살짝 사선 방향으로 들어오게 되는 안경 끝과 일자형 걸이부(220)가 좀 더 수직으로 만날 수 있게 되고, 걸이부(220)의 총 길이도 연장되므로 안경 끝을 수용시키는 작업이 한층 수월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일자형 걸이부(220)가 형성되어있는 각도와는 상관없이 거치된 안경이 보관주머니(200)의 중앙 쪽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걸이부(220)의 중앙지점이 보관주머니(200)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에 관한 설명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제작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의의복(100) 전면에 부착되어질 걸이부(220)와 덮개부(210)의 조각들을 순서대로 상의의복(100) 위에 겹겹이 위치시켜 놓고, 덮개부(210)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영역을 봉제 작업으로 부착하면, 보관주머니(200)의 주머니 형상이 완성되면서 걸이부(220)의 시작단(221)과 끝단(222)도 함께 상의의복(100) 편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고리형 걸이부(220)의 제작 방식은, 단 한 번의 처리로 덮개부(210)와 걸이부(220)의 시작단(221), 끝단(222) 모두가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일자형의 방식보다 한층 더 간단한 제작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걸이부가 적용된 안경 보관주머니의 사용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안경을 보관주머니(200)로 넣은 후 안쪽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220)의 고리 속으로 통과시켜 안경을 거치시키게 된다.
즉, 안경을 보관주머니(200)의 한쪽 편 입구로 넣고, 안경 끝을 안쪽에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220)의 고리 속으로 통과시킨 뒤, 안경의 전체가 보관주머니(200) 안으로 모두 들어갈 때까지 밀어 넣으면, 안경 중앙에 움푹 파인 코걸이 부위에 걸이부(220)가 걸리게 되면서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리형 걸이부(220)의 사용 방식은, 걸이부(220)의 모든 부착점이 아래쪽에 몰려서 형성 되어있고, 고리의 형상이 보관주머니(200) 안에서 납작하게 붙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경 끝을 통과시키는 작업이 일자형의 방식에 비해 한층 까다로울 수 있다.
이때, 안경 끝을 고리형 걸이부(220)의 고리 속으로 좀 더 용이하게 통과시켜 주기 위해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220)의 시작단(221)과 끝단(222)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의 각 부분이 서로 겹쳐 붙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고, 안경 끝을 수용하는 부위의 면적도 넓어지게 되므로 안경 끝을 수용시키는 작업이 한층 수월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리형 걸이부(220)의 양 끝단이 형성하고 있는 간격과는 상관없이 거치된 안경이 보관주머니(200)의 중앙 쪽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걸이부(220)의 중앙지점이 보관주머니(200)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보관주머니의 뚜껑부를 구현한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보관주머니의 입구 쪽 상단에 추가적으로 뚜껑부(300)를 형성시켜 위쪽으로 부터 들어오는 오염원들을 보다 확실하게 막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상의의복
200 : 보관주머니
210 : 덮개부
220 : 걸이부
221 : 걸이부의 시작단
222 : 걸이부의 끝단
300 : 뚜껑부
200 : 보관주머니
210 : 덮개부
220 : 걸이부
221 : 걸이부의 시작단
222 : 걸이부의 끝단
300 : 뚜껑부
Claims (6)
- 상의의복의 전면부에 안경을 닦을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폭이 높이보다 큰 형상을 갖는 면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부착되어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며,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양 끝단이 상의의복 편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시작단의 부착점이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끝단의 부착점이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의 상측부에 위치하여 일자형 걸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중앙부가 상기 보관주머니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시작단과 끝단의 부착점이 상기 덮개부로 덮히는 영역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고리형 걸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걸이부는,
띠 형상을 갖는 긴 면의 중앙부가 상기 보관주머니의 폭 방향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주머니의 위쪽으로 보관주머니의 너비와 같거나 더 넓은 면의 일측 단이 상의의복 편에 부착되어, 상기 보관주머니의 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277A KR20210154348A (ko) | 2020-06-12 | 2020-06-12 |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277A KR20210154348A (ko) | 2020-06-12 | 2020-06-12 |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4348A true KR20210154348A (ko) | 2021-12-21 |
Family
ID=7916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1277A KR20210154348A (ko) | 2020-06-12 | 2020-06-12 |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4348A (ko) |
-
2020
- 2020-06-12 KR KR1020200071277A patent/KR202101543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72283B1 (en) | Magnetic eyeglass device | |
US5903928A (en) | Device for hanging spectacles on garment | |
US9066567B2 (en) | Lens shield portable eyeglasses fashion accessory case | |
US5771500A (en) | Headband with lens piece | |
US6604823B2 (en) | Magnifying safety glasses | |
US20100180406A1 (en) | Retainer for spectacles and method of use | |
US7347544B1 (en) | Hingeless eyeglasses as collar or headband | |
US20220053864A1 (en) | Cap with glasses holder | |
US6131209A (en) | Eyewear cleaning apparatus | |
US6820739B1 (en) | Protective sleeve for eyeglasses | |
US4938581A (en) | Holder for use with eyewear | |
CN201230690Y (zh) | 一种眼镜保护套 | |
KR20210154348A (ko) | 상의의복에 적용되는 안경 보관주머니 | |
US20020125148A1 (en) | Eyeglass protective device | |
JP4986088B1 (ja) | 掛止機能付き眼鏡フレーム、眼鏡フレーム前側部材、及び眼鏡フレーム後側部材 | |
US10827820B2 (en) | Device for keeping eye glasses on person | |
KR200465087Y1 (ko) | 교체형 안경테 | |
CN211263990U (zh) | 一种太阳眼镜 | |
KR101199193B1 (ko) | 안경닦이천을 구비한 안경 주머니 | |
KR20100117431A (ko) | 안경용 고정구 | |
JP3228822U (ja) | フェイスカバー | |
KR102009177B1 (ko) | 안경 파우치 | |
CN212723553U (zh) | 一种佩戴稳定性强的眼镜 | |
KR200284892Y1 (ko) | 돋보기 안경 | |
KR200163821Y1 (ko) | 크린넥타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