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177B1 - 안경 파우치 - Google Patents

안경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177B1
KR102009177B1 KR1020190028669A KR20190028669A KR102009177B1 KR 102009177 B1 KR102009177 B1 KR 102009177B1 KR 1020190028669 A KR1020190028669 A KR 1020190028669A KR 20190028669 A KR20190028669 A KR 20190028669A KR 102009177 B1 KR102009177 B1 KR 10200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rear portion
opening
pouch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채수정
채송화
Original Assignee
채송화
채수정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송화, 채수정, 김진희 filed Critical 채송화
Priority to KR102019002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2013/1061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elastic straps or ban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는, 안경의 전면을 감싸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진 전면부(10)와; 둘레가 상기 전면부(10)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안경의 후면을 감싸며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안경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후면부(20)는, 안경의 후면 상측을 커버링하고 상측이 상기 전면부(10)의 상측과 연결되는 상측후면부(21)와; 안경의 후면 하측을 커버링하고 하측이 상기 전면부(10)의 하측과 연결되는 하측후면부(22)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30)의 상측 둘레는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30)의 하측 둘레는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와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는 중간에서 서로 교차되어 일측은 하단부(21a)가 상단부(22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되고, 타측은 상단부(22a)가 하단부(21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됨으로써, 안경을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해 강제로 개방할 때 외에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가 서로 내외로 겹쳐져 있어 개구부(30)가 닫힘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물론,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하여 보관 시에도 개구부의 좌, 우측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를 취해 안경 다리는 밖으로 뺀 상태에서 안경을 외부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경 파우치{Glasses pouch}
본 발명은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보호, 보관 및 휴대하기 용이하며 분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안경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안경을 보관하는 케이스는 통상 힌지식으로 개방되는 경질 부재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던 중 최근에 들어 부드럽고 신축성 있는 천으로 된 주머니 형태의 파우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도1a, 도1b 및 도1c는 본 발명자가 개발하였던 종래의 기술로 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운 천으로 된 안경주머니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a은 안경주머니에 안경을 넣은 모습이고, 도1b는 안경주머니의 본체에 이탈 방지끈이 결합되어 있는 일 실시 예이며, 도1c는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또한, 도1d 의 경우는 시중에 유통되는 안경주머니이며, 안경을 삽입하는 개구부가 항시 개방된 것임을 알수 있다.
즉, 종래의 안경주머니에 안경을 넣었을 때는 물론 넣지 않은 상태에서도 후면부에 있는 개구부가 일부 개구된 상태로 있는 것이며, 후면부의 길이방향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가장자리까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1a, 도1d와 같이 일부만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안경을 안경주머니에 삽입된 후에 개구부가 열려 있는 상태가 되다 보니 열려 있는 개구부의 공간을 통해 안경렌즈의 내측부가 사용자의 사용, 휴대 및 보관 과정에서 손이나 인체 또는 다른 물체에 접촉되는 경우가 있어 되어 렌즈의 내측에 손자국이 생기거나 긁힘 또는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 야외는 물론 실내에도 미세먼지가 심각한 상황이기에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안경주머니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있어 안경렌즈나 안경테가 먼지로 오염되는 현상이 있기도 하며,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보관 및 휴대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안경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경주머니의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미리부터 안경주머니에 유입되어 지는 문제가 있다.
가사, 개구부의 양측을 나란히 일(-)자로 하여 서로 맞붙게 슬릿(slit)형태로 한다 해도 닫힘 형태가 견고히 유지하지 못할뿐아니라, 안경을 삽입하고 꺼낼 때 외력이 많이 필요하며, 안경을 안경주머니에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 안경다리를 착용간격으로 완전히 펴기가 어러워 이상태로 사용자의 머리에 임시 거치하여 멋 부리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의 닫힘 형태가 형성되지 않거나 닫힘 상태가 계속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신축성 있고 부드러운 천으로 된 안경주머니의 내부 천으로 안경렌즈를 닦을 때, 미세먼지나 이물질에 이미 오염되어 있는 안경주머니의 내부 천에 의해 렌즈에 자국이나 긁힘이 생기거나 깨끗하게 닦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안경 삽입구의 길이는 삽입될 안경의 좌우 전체길이보다 작은 크기이기에 안경을 안경 삽입구를 통해 안경주머니에 집어 넣거나 외부로 빼낼 때, 외력을 가해 다소 어렵게 실행하여야 하며, 안경이 안경주머니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의 안경다리를 착용간격으로 완전히 벌려 사용자의 머리에 임시 거치하거나 멋 부리기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1072074 (2011.10.04)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의 렌즈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랜즈에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아니라, 안경을 파우치에 삽입하여 보관 시에도 좌, 우측개구부가 교차되어 닫힘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인체 또는 다른 물체에 접해져 렌즈내측에 손자국이 생기거나 긁힘 또는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최근에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안경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사용, 보관 및 휴대하기 유리한 안경 파우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심각한 미세먼지 발생이 계속 이어지는 최근의 환경이기에 열려져 있는 개구부를 통해 미세먼지가 안경집 내부로 유입되어 안경집내부 또는 보관중인안경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렌즈는 물론 안경테 및 다리를 다시 닦아야 하는 불편을 없애고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보관,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안경 파우치의 후면부에 있는 개구부를 여닫는 덮개나 커버, 체결부 등 별도의 수단이 구비하지 않고도, 안경 파우치에 안경을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면서도 안경을 삽입하거나,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구부가 닫힘 형태로 유지되게 하여 안경을 보호, 보관 및 휴대하기가 편리하게 하려는 것이다.
즉, 개구부의 양측을 나란히 일자로 된 슬릿(slit)형으로 하거나 긴 타원형으로 하지 않고, 상측후면부와 하측후면부의 중간부가 서로 교차되게 하여 상, 하부의 일부가 은폐되면서 개구부를 닫힘 형태가 되게 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후면부의 길이방향 중앙축선을 기준하여 상측후면부의 일부가 하측으로 기울여져 위치하고, 하측후면부의 일부가 상측으로 기울여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성 있는 밴드나 걸이용 끈을 안경 파우치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목 이나 목 등에 착용하거나 주변물체에 걸 수가 있게 하여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분실을 방지하고 보관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더불어,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안경 파우치와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양측 안경다리를 착용간격으로 펼쳐 사용자의 머리부에 임시 거치하여 보관하거나 멋부리기를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경의 전면을 감싸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진 전면부(10)와; 둘레가 상기 전면부(10)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안경의 후면을 감싸며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안경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20)는, 안경의 후면 상측을 커버링하고 상측이 상기 전면부(10)의 상측과 연결되는 상측후면부(21)와; 안경의 후면 하측을 커버링하고 하측이 상기 전면부(10)의 하측과 연결되는 하측후면부(22)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30)의 상측 둘레는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30)의 하측 둘레는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와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는 중간에서 서로 교차되어 일측은 하단부(21a)가 상단부(22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되고, 타측은 상단부(22a)가 하단부(21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됨으로써, 안경을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해 강제로 개방할 때 외에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가 서로 내외로 겹쳐져 있어 개구부(30)가 닫힘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면부(20)의 길이방향 중앙축선(B)을 기준으로, 타측의 하단부(21a)는 중앙축선(B)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타측의 하측후면부(22) 상측이 은폐되고, 일측의 상단부(22a)는 중앙축선(B)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일측의 상측후면부(21) 하부가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측후면부(21)와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양단이 상기 전면부(10)의 일측단부(40)와 타측단부(41)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개구부(30)가 후면부(2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겹쳐지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의 양단부는 전면부(10)와 함께 일체로 봉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안경 파우치에 신축성 밴드(50), 걸이용 밴드(60), 또는 목걸이용 끈(70)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보관, 휴대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안경 파우치의 본체를 신축성 재질의 천으로 형성하여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거나 말아 주머니 등에 간편하게 넣어 보관가능하며, 필요시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된 본 발명의 내부 또는 외부를 이용하여 랜즈나 안경테를 닦을 수 있다.
특히,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물론,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하여 보관 시에도 개구부의 좌, 우측이 서로 교차되어 상, 하부의 일부가 은폐되면서 개구부가 닫힘 형태로 있기에 안경렌즈의 내측이 직,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손과 같은 인체부위 또는 옷 등의 다른 물체에 쉽게 접해지지 않기에 렌즈에 손자국이 나거나 긁힘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심각한 미세먼지 발생이 계속 이어지는 최근의 환경이지만, 닫힘 형태의 개구부로 인해 미세먼지가 안경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경 파우치 내부는 물론 안경 파우치에 삽입되어 있는 안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보호, 보관 및 휴대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더구나, 개구부가 안경 파우치의 양측 단부 사이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 또는 꺼낼 때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안경 파우치에 안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 안경다리부분만을 안경 파우치에서 꺼낼 수 있어 착용간격으로 안경다리를 완전히 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간격으로 안경다리가 벌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부에 끼워 안경주머니에 삽입된 상태의 안경을 임시로 거치하여도 닫힘 형태의 개구부로 인해 머리카락이나 손 이 닿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사용, 보관 및 휴대함에 유리하고 멋 부리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의 한쪽 안경다리만을 외측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사용자의 양복 좌상단의 포켓 또는 티셔츠의 전면상부 등에 임시로 걸쳐도 닫힘 형태의 개구부로 인해 머리카락이나 손 이 닿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사용, 보관 및 휴대함에 유리하고 멋 부리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신축성 있는 손목용 밴드, 걸이용 밴드 또는 목걸이용 끈을 안경 파우치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목, 목에 착용하거나, 물체에 걸 수 있어 안경이나 선글라스의 분실을 방지하고 보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1a, 도1b, 도1c 및 도1d는 종래의 기술로 부드러운 천으로 된 주머니 형태의 안경주머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
a는 본 발명의 전면부를 도시한 것이며, 기술설명의 편의상 세로로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본 발명의 후면부를 도시하되, 상측후면부와 하측후면부가 서로 교차되어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은폐됨으로 안경을 삽입하거나 삽입치 않았을 때도 개구부가 닫힘 형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신축성이 있는 개구부가 안경 파우치의 상, 하부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있으며, 안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개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측후면부, 하측후면부 및 전면부가 서로 일체로 봉제됨을 알 수 있게 도시한 도면.
a는 우측의 봉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좌측의 봉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a는 본 발명의 개구부가 양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있어 안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의 안경다리가 외부로 노출시켜, 개구부가 닫힘 상태에서 착용간격으로 양측의 안경다리를 완전히 벌릴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도시 도면.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5a와 같이 앙측의 안경다리를 펼쳐 개구부가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임시 거치하여 보관하여 멋 부리기를 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의 또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a는 개구부가 양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있어 삽입되어 있는 안경을 용이하게 일측의 안경다리만을 바깥쪽으로 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a의 상태로 티셔츠의 전면 상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c는 a의 상태로 와이셔츠 전면 단추 사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d는 a의 상태로 양복의 좌측상단 메너 주머니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a는 손목용 밴드가 부가된 예를 나타낸 도면.
b는 걸이용 밴드가 부가된 예를 나타낸 도면.
c는 목걸이용 끈이 부가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말하는 '안경'이란 시력교정용 안경 및 선글라스와 같은 패션안경을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본 발명의 전면부를 도시한 것이며, 기술설명의 편의상 세로로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본 발명의 후면부를 도시하되, 상측후면부와 하측후면부가 서로 교차되어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은폐됨으로 안경을 삽입하거나 삽입치 않았을 때도 개구부가 닫힘 형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2의 a, b와 같이 본체가 신축성 있고 부드러운 천으로 되어 있으며, 전면부(10)는 평평하게 막힌 면인 반면 후면부(20)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로 구성되어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의 사이에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도3과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벌려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경의 전면을 감싸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진 전면부(10)와; 둘레가 상기 전면부(10)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안경의 후면을 감싸며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안경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부(20);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는 별도의 안경 닦기 전용 천이 필요 없이 본 발명의 내부 또는 외부의 천으로 자국이나 오염된 부위를 닦을 수 있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안경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거나 말아 주머니 등에 간편하게 넣어 보관가능하며, 필요시에는 신축성 있고 부드러운 천으로 된 본 발명의 내부 또는 외부를 이용하여 랜즈나 안경테를 닦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도면들은 샘플용 제품사진으로, 바탕에 표현되어 있는 첵크 무늬는 하나의 예시이며 다양한 무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의 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후면부(20)는, 안경의 후면 상측을 커버링하고 상측이 상기 전면부(10)의 상측과 연결되는 상측후면부(21)와, 안경의 후면 하측을 커버링하고 하측이 상기 전면부(10)의 하측과 연결되는 하측후면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개구부(30)의 상측 둘레는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30)의 하측 둘레는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로 이루어진다.
이때의 개구부(30)의 둘레라 함은 안경을 내부에 넣거나 빼기 위해 손으로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와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를 잡고 벌렸을 때를 말한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와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가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에서 서로 교차된 교차부(A)가 형성되어 일측은 하단부(21a)가 상단부(22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되고, 타측은 상단부(22a)가 하단부(21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태는 안경을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해 강제로 개방할 때 외에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가 서로 내외로 겹쳐져 있어 개구부(30)가 닫힘 형태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상기 후면부(20)의 길이방향 중앙축선(B)을 기준으로, 타측의 하단부(21a)는 중앙축선(B)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타측의 하측후면부(22)의 상측이 은폐된다.
이 경우 타측의 하측후면부(22)는 상단부(22a)가 중앙축선(B)에 위치하거나 보다 상부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반대로 일측의 상단부(22a)는 중앙축선(B)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일측의 상측후면부(21) 하부가 은폐된다.
이 경우에도 일측의 상측후면부(21)는 하단부(21a)가 중앙축선(B)에 위치하거나 보다 하부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측후면부(21)의 양측 하단이 중앙축선(B)보다 하부측의 전면부(10) 양단에 결합되고, 하측후면부(22)의 양측 상단은 중앙축선(B)보다 상부측의 전면부(10) 양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상태는 상측후면부(21)과 하측후면부(22)가 서로 교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노출된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가 기울어진 형태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안경을 안경 파우치에 삽입하여 보관 시에 개구부(30)가 닫힘 형태로 유지되어 있기에 삽입되어 있는 안경의 렌즈 내측이 사용자에 의한 사용할 때 또는 휴대할 때 직,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손과 같은 인체부위 또는 옷 등의 다른 물체에 쉽게 접해지지 않기에 렌즈에 자국이 나거나 긁힘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심각한 미세먼지 발생이 계속 이어지는 최근의 환경이지만, 닫힘 형태의 개구부로 인해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안경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경 파우치 내부는 물론 안경 파우치에 삽입되어 있는 안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보호, 보관 또는 휴대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더하여 도 2의 b, 도3과 같이 상기 상측후면부(21)와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양단이 상기 전면부(10)의 일측단부(40)와 타측단부(41)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개구부(30)가 후면부(2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구부(30)가 용이하게 개구될 수 있고, 안경을 삽입하거나 빼낼 때 큰 외력이 소요되지 않고 번거럽지가 않다.
아울러, 도 4의 a, b와 같이 서로 겹쳐지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의 양단부는 전면부(10)와 함께 일체로 봉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살펴보면, 우측의 하측후면부(22)와 상측후면부(21)가 각각 전면부(10)의 둘레면과 만나는 부분에서 이 세 부분이 서로 일체로 봉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도 4의 b를 살펴보면 좌측의 하측후면부(22)와 상측후면부(21)가 각각 전면부(10)의 둘레면과 만나는 부분에서 이 세 부분 역시 서로 일체로 봉합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
이처럼 세 부분이 서로 일체로 만나 봉제되어 견고한 주머니 형태의 안경 파우치로 만들어 주게 되며, 서로 겹쳐져 은폐된 부분들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상 보기가 좋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면의 예는 타원형 또는 중앙보다 양측이 볼록한 곡면 형태의 전면부(10)의 상측 둘레에 상측후면부(21)의 둘레가 봉제되고,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는 미박음되어 전면부(10)와 이격되고, 하측후면부(22)의 하부 둘레가 전면부(10)의 하측 둘레에 봉제되되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는 미박음되어 전면부(10)와 이격되는 구성이며, 상측후면부(21)의 양측 하단부(21a)는 중앙축선(B)을 기준으로 하향되게 돌출되고, 하측후면부(22)의 양측 상단부(22a)는 중앙축선(B)을 기준으로 상향되게 돌출되며,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가 서로 겹쳐진 부분의 단부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 및 전면부(10)가 모두 함께 일체로 봉제됨과 더불어 전술한 것처럼 일측은 하단부(21a)가 상단부(22a)를 감싸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단부(22a)가 하단부(21a)를 감싸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상단부(22a)와 하단부(21a)가 교차부(A)에서 서로 내외로 교차된 구성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 하부의 가장자리까지 크게 개구가 가능하여 용이하게 안경을 삽입하거나 외부로 제거 할 수 있으면서도, 안경을 안경 파우치 삽입중이거나 빼내기 위할 때를 제외하고 개구부(30)를 닫힘 형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의 사용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개구부가 양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있어 안경이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의 안경다리가 외부로 노출시켜, 개구부가 닫힘 상태에서 착용간격으로 양측의 안경다리를 완전히 벌릴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도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5a와 같이 앙측의 안경다리를 펼쳐 개구부가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임시 거치하여 보관하여 멋 부리기를 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안경이 안경 파우치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양측의 안경다리만 꺼내어 착용간격으로 펼칠 수 있고, 이경우도 개구부(30)가 닫힘 형태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거치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의 또다른 사용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는 개구부가 양측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있어 삽입되어 있는 안경을 용이하게 일측의 안경다리만을 바깥쪽으로 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의 상태로 티셔츠의 전면 상부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a의 상태로 와이셔츠 전면 단추 사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d는 a의 상태로 양복의 좌측상단 메너 주머니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안경의 한쪽다리만을 안경 파우치에서 외부로 빼내더라도 개구부가 닫힘 형태를 유지함으로 이를 티셔츠의 상단, 와이셔츠의 앞쪽 단추사이는 물론 양복상의 왼쪽상단의 포켓에 넣어 임시 보관 및 휴대하기가 용이하며, 안경 렌즈의 내측이 손이나 머리카락, 가슴 등 인체에 접해지지 않아 자국이 나거나 오염되는 것을 막고, 미세먼지나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후면부(20)의 짧은 폭 중앙부에 신축성밴드(50)가 구성되어 손목이나 팔목에 찰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안경 파우치 가장자리에 걸이용 밴드(60)를 연결될 수도 있다.
더하여, 도 7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목걸이용 끈(7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분실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하게 해준다.
10 : 전면부 20 : 후면부
21 : 상측후면부 21a : 하단부
22 : 하측후면부 22a : 상단부
30 : 개구부 40 : 일측단부
41 : 타측단부 50 : 신축성 밴드
60 : 걸이용 밴드 70 : 목걸이용 끈
A : 교차부 B : 중앙축선

Claims (6)

  1. 삭제
  2. 안경 파우치에 있어서,
    안경의 전면을 감싸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진 전면부(10)와;
    둘레가 상기 전면부(10)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안경의 후면을 감싸며 전면부(10)와의 사이로 안경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신축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면부(20)는,
    안경의 후면 상측을 커버링하고 상측이 상기 전면부(10)의 상측과 연결되는 상측후면부(21)와;
    안경의 후면 하측을 커버링하고 하측이 상기 전면부(10)의 하측과 연결되는 하측후면부(22)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30)의 상측 둘레는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30)의 하측 둘레는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후면부(21)의 하단부(21a)와 하측후면부(22)의 상단부(22a)는 중간에서 서로 교차되어 일측은 하단부(21a)가 상단부(22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되고, 타측은 상단부(22a)가 하단부(21a)의 내측으로 들어가 은폐됨으로써,
    안경을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해 강제로 개방할 때 외에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가 서로 내외로 겹쳐져 있어 개구부(30)가 닫힘 형태로 유지되며,

    상기 후면부(20)의 길이방향 중앙축선(B)을 기준으로,
    타측의 하단부(21a)는 중앙축선(B)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타측의 하측후면부(22) 상측이 은폐되고,
    일측의 상단부(22a)는 중앙축선(B)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일측의 상측후면부(21) 하부가 은폐되며,

    상기 상측후면부(21)와 상기 하측후면부(22)의 양단이 상기 전면부(10)의 일측단부(40)와 타측단부(41)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개구부(30)가 후면부(2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서로 겹쳐지는 상측후면부(21)와 하측후면부(22)의 양단부는 전면부(10)와 함께 일체로 봉제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10)는 중앙보다 양측이 볼록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파우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파우치에 신축성 밴드(50), 걸이용 밴드(60), 또는 목걸이용 끈(70)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보관, 휴대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파우치.
KR1020190028669A 2019-03-13 2019-03-13 안경 파우치 KR10200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669A KR102009177B1 (ko) 2019-03-13 2019-03-13 안경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669A KR102009177B1 (ko) 2019-03-13 2019-03-13 안경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177B1 true KR102009177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669A KR102009177B1 (ko) 2019-03-13 2019-03-13 안경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1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639Y1 (ko) * 2005-02-25 2005-05-17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경케이스
KR101072074B1 (ko) 2011-01-12 2011-10-10 김진희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진 안경 주머니
KR20110125079A (ko) * 2010-05-12 2011-11-18 김병호 안경닦이천을 구비한 안경 주머니
KR20150000230U (ko) * 2013-07-05 2015-01-16 이원경 소프트 안경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639Y1 (ko) * 2005-02-25 2005-05-17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경케이스
KR20110125079A (ko) * 2010-05-12 2011-11-18 김병호 안경닦이천을 구비한 안경 주머니
KR101072074B1 (ko) 2011-01-12 2011-10-10 김진희 신축성 천으로 이루어진 안경 주머니
KR20150000230U (ko) * 2013-07-05 2015-01-16 이원경 소프트 안경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7837A (en) Eyeglass retainer and protective cover
CA2245489C (en) Device for hanging spectacles on garment
US4953695A (en) Protective cover for eyeglasses
US5344002A (en) Combination eyeglass lens polisher and eyeglass holder device
US5014846A (en) Protective cover for eyeglasses
US5771500A (en) Headband with lens piece
US7201479B2 (en) Protective sleeve for eyeglasses
US4863013A (en) Conformal protective spectacle receptacle
US20100157237A1 (en) Retainer for spectacles and method of use
US6131209A (en) Eyewear cleaning apparatus
US6820739B1 (en) Protective sleeve for eyeglasses
US5052550A (en) Spectacle case
KR102009177B1 (ko) 안경 파우치
US7131533B2 (en) Eyeglass protective device
US5444890A (en) Lens cleaning devices
US6817468B2 (en) Neck strap and locket assembly
JP4473562B2 (ja) 衛生キャップ
KR200316243Y1 (ko) 방한용 마스크
KR20170090744A (ko) 안경닦이 일체형 안경케이스
KR200163821Y1 (ko) 크린넥타이
JP3077151U (ja) 簡易着脱式携帯メガネケース
KR200146607Y1 (ko) 안경걸이부 형성된 의복
KR200199513Y1 (ko) 안경걸이가 형성된 의복
JP3070028U (ja) メガネのレンズふき
JP3050293U (ja) 上 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