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859A -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 Google Patents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859A
KR20210153859A KR1020200070731A KR20200070731A KR20210153859A KR 20210153859 A KR20210153859 A KR 20210153859A KR 1020200070731 A KR1020200070731 A KR 1020200070731A KR 20200070731 A KR20200070731 A KR 20200070731A KR 20210153859 A KR20210153859 A KR 2021015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eramic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정혜화
김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올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7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859A/ko
Publication of KR2021015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7Dispersions, e.g. suspensions or emul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재배 식물에 물을 공급할 때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볼 및 상기 다공성의 세라믹볼에 원적외선 방출용액에서 배양된 유용 미생물이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통과하게 함으로써 농작물의 수경재배를 촉진할 수 있는 세라믹 조성물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Apparatus for promoting hydroponic cultivation comprising a novel ceramic composite composition}
본 발명은 농업용 재배 식물에 물을 공급할 때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볼 및 상기 다공성의 세라믹볼에 원적외선 방출용액에서 배양된 유용 미생물이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통과하게 함으로써 농작물의 수경재배를 촉진할 수 있는 세라믹 조성물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경재배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말하는데, 식물을 수경재배하기 위해서는 식물에 필요한 양분을 위해 배양액을 주기적으로 제공해야 해서, 수경재배를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경재배는 양액(養液) 재배라고도 하며, 작물을 재배하는데 토양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작(連作) 장해가 없고, 재배 환경이나 양수분(養水分) 관리를 컨트롤하기 쉽다. 또한 자동화, 성력화(省力化)를 할 수 있고, 수확물의 청정성이나 비료 효율이 높은 재배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양액 재배용 고형 배지는 물에 침지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내수성이 필요함과 동시에, 투수성, 보수성, 통기성, 강도 등이 요구된다. 종래, 양액 재배용 고형 배지로서는 천연석(주로 현무암)을 섬유상으로 한 것을 수속(收束)시킨 암면 등이 알려져 있다.
양액 재배에 있어서는 뿌리가 고형 배지의 내부에 퍼지기 때문에 새로운 고형 배지로 교환할 필요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암면을 고형 배지에 사용했을 경우에는 리사이클이 곤란하다. 게다가, 암면은 무기물이기 때문에 사용 후의 암면의 유효한 처분 방법이 없다. 현재, 처분 방법으로서는,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하거나, 밭에 소량씩 파묻는 등의 방법이 취해지고 있지만, 이것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식물 재배용 배지로서 필요한 내수성, 투수성, 보수성, 통기성, 강도 등의 물성을 유지하고, 이화학적으로도 안정되어 있어서 작물을 충분히 생장시킬 수 있고, 게다가,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배지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지식수준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유기농 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품을 가공하는 공장에서는 유기농 인증 조건을 만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유기농 인증을 위해 원재료의 재배 과정부터 가공 포장 배송까지 각 단계에 대한 면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형 식품 가공 공장의 보일러에 사용되는 화학약품(방청제, 청관제)의 대체 방법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유기농 작물 또는 수산물을 재료로 하여 제조·가공·유통되는 모든 과정에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수질을 관리함과 동시에 보일러 배관 내 스케일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세라믹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인 'HACCP인증' 'GAP인증' '유기농 가공식품인증'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기 쉬워질 것으로 예상되며, 친환경적인 수질관리를 통해 폐수저감 등 국가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등록특허 10-19314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세라믹 조성물을 포함하며, 토양이나 암면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재배용 배지로서,작물을 충분히 생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리사이클성이 우수하고 폐기시의 처리도 용이하여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식물 재배용 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세라믹 조성물이 광물성이 아닌 비정질의 식물성 실리카를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실리카 알루미나(Silica-Alumina)가 30~40% 이상 포함된 암 장석(長石, feldspar) 40 내지 50 중량부, 와목(蛙目) 5 내지 15 중량부, 참나무재 5 내지 20 중량부, 황토 5 내지 30 중량부, 왕겨(husk) 재 5 내지 15 중량부, 지르코니아 0.1 내지 10 중량부, 티타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조개껍질 분말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제1단계; b)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된 각 성분을 건조한 후, 분쇄하는 제2단계; c) 상기 제2단계에서 분쇄된 각 성분을 소성하는 제3단계; 및 d) 상기 제3단계에서 소성된 조성물을 연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 사이에 상기 조성물을 볼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계의 참나무재 및 왕겨재는 해당하는 식물 원재료들을 400~600℃에서 소성한 재를 분쇄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단계의 조개껍질 분말은 조개껍질 원재료를 수중에서 3 내지 8일 동안 염분 제거 처리한 후 건조 및 분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단계의 원재료들을 320 ~ 340 mesh로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단계의 소성 단계는 i) 700~ 900℃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및 ii) 1100 ~ 1500℃에서 2차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1차 및 2차 소성 단계는 각각 20 ~ 30 시간 동안 소성이 이루어지고, 전체 소성 시간은 약 40 ~ 6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라믹 조성물은 실리카 알루미나(Silica-Alumina)가 30~40% 이상 포함된 암 장석(長石, feldspar) 40 내지 50 중량부, 와목(蛙目) 5 내지 15 중량부, 참나무재 5 내지 20 중량부, 황토 5 내지 30 중량부, 왕겨(husk) 재 5 내지 15 중량부, 지르코니아 0.1 내지 10 중량부, 티타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조개껍질 분말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조성물은 비정질 식물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지름 8 내지 30mm 사이의 구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은 자체적으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작물을 충분히 생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리사이클성도 우수하여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에 소각 등에 의해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어서 폐기시의 처리도 용이하고,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은 일정 규모 이상의 시공 규모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고, 어떠한 규모에도 적용 가능하며, 설비의 시공이나 운용(유지)에 별도의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면서도 적용 범위가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은 비정질 식물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제조된 친환경 제품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므로 식용, 화장품 및 식품 첨가제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친환경 수처리 요구업체, 식품 및 화장품 제조공장, 유기농 가공인증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규한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4개의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I) 실리카 알루미나(Silica-Alumina)가 30~40% 이상 포함된 암 장석(長石, feldspar) 40 내지 50 중량부, 와목(蛙目) 5 내지 15 중량부, 참나무재 5 내지 20 중량부, 황토 5 내지 30 중량부, 왕겨(husk) 재 5 내지 15 중량부, 지르코니아 0.1 내지 10 중량부, 티타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조개껍질 분말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제1단계; Ⅱ)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된 각 성분을 건조한 후, 분쇄하는 제2단계; Ⅲ) 상기 제2단계에서 분쇄된 각 성분을 소성하는 제3단계; 및 Ⅳ) 상기 제3단계에서 소성된 조성물을 연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 사이에 상기 조성물을 볼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계의 암 장석, 와목, 황토, 지르코니아, 티타늄 및 조개껍질 분말의 함량이 위 함량보다 작아지면 완성된 세라믹 볼이 적절한 강도 및 충분한 적외선 방출량을 가지기 어려우며, 상기 함량보다 커지면 적절한 활성 산소량 및 충분한 흡착 능력을 가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단계의 참나무재 및 왕겨재의 함량이 위 함량보다 작아지면 적절한 활성 산소량 및 충분한 흡착 능력을 가지기 어려우며, 상기 함량보다 커지면 완성된 세라믹 조성물이 적절한 강도 및 충분한 적외선 방출량을 가지기 어렵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단계의 참나무재 및 왕겨재는 해당하는 식물 원재료들을 400~600℃에서 소성한 재를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제1단계의 조개껍질 분말은 조개껍질 원재료를 수중에서 3 내지 8일 동안 염분 제거 처리한 후, 건조 및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제1단계의 원재료들을 320 ~ 340 mesh로 분쇄한 것을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제 1단계에서 혼합 단계는 상기와 같이 준비한 광물질, 식물 석회질 및 식물 규산질 성분들로 구성된 혼합 재료들을 볼밀(ball mill)에서 수분을 첨가하면서 20 내지 40 시간 동안 습식 혼합함으로써 구성 물질들 간에 마찰로 인한 분쇄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수분은 단지 입자간 마찰이 생겨 분쇄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한 정도의 점도이면 충분하므로 수분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습식 혼합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건식 혼합의 가능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습식 혼합된 혼합 물질을 7 내지 21일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을 이용해 제조하는 구조물이 높은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수 처리 과정에서 적절한 양의 활성 산소를 만들 수 있는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된 혼합 재료들을 볼 모양으로 성형하여 세라믹 볼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구형이 단위 면적당 가장 많은 입자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물에 접하는 면적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도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자의 형태는 상기한 구형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혼합 재료들을 이용하여 다각형, 판형, 혹은 불규칙한 형상 등 어떤 형태로도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된 혼합 재료들을 볼 모양으로 성형한 후, 적절한 강도 및 공극을 가질 수 있도록 일련의 소성 과정을 거치는 제3단계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단계의 소성 단계는 a) 700~ 900℃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및 b) 1100 ~ 1500℃에서 2차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1차 및 2차 소성 단계는 각각 20 ~ 30 시간 동안 소성이 이루어지고, 전체 소성 시간은 약 40 ~ 6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성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식물성 유기물의 일부가 광물질과 화학적 결합을 이루며, 참나무와 왕겨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기물질 및 무기염류는 그대로 잔류하면서 수처리시 인체에 유익한 유기 혹은 무기염류의 용출효과를 거두게 된다.
또한, 상기 소성 과정을 거치면서 세라믹 성분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구조체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현저히 개선함과 동시에 상기 세라믹 조성물의 구성 성분이 함유하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 에너지의 효율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실험예 1. 신규한 세라믹 볼의 압축강도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이 우수한 압축강도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은 높은 강도를 가짐으로써, 높은 유속을 가지는 물과 충돌하여 강한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고, 충돌 및 마찰에도 쉽게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종래에 세라믹볼을 단순 통과하는 방식의 여과장치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예에서는 지름 16mm의 구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 12개를 시험편으로 하여 만능재료시험기(하중 용량 5Tonf)를 이용해 시험속도 10mm/min으로 최대압축하중을 확인하였고, 특히 건조 및 수중 상태 각각에서의 최대압축하중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중 상태의 최대압축하중은 해당 세라믹 볼을 24시간동안 수침 시킨 후 표면건조포화 상태일 때의 압축하중을 측정하였다.
시험편
번호
1
(kgf)
2
(kgf)
3
(kgf)
4
(kgf)
5
(kgf)
6
(kgf)
7
(kgf)
8
(kgf)
9
(kgf)
10
(kgf)
건조 765 895 877 606 546 961 1292 1064 876 1002
수중 1004 1021 960 990 1030 643 1637 510 1391 769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세라믹 볼은 건조 상태에서 540 내지 1300 kgf의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며, 수중 상태에서도 510 내지 1400 kgf의 높은 압축강도를 가져 높은 활용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라믹 볼의 적외선 방사 에너지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물 분자는 물 분자간의 수소 결합 등으로 큰 집합 상태를 이루게 되며, 기름 분자는 발데르발스력 및 소수성 결합등으로 인해 큰 집합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분자들의 전체적인 반응 활성이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볼은 자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물 및/또는 기름 분자가 집합 상태로부터 개별적인 분자 형태로 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며, 이로 인해 상기 분자의 전체 반응 활성이 높아지게 된다.
하기 표 2 및 도 1, 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세라믹 볼의 일 실시예를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상기 세라믹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의 방사율 및 방사 에너지를 FT-IR Spectometer를 이용하여 흑체(black body)와 대비하여 측정한 결과로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세라믹 볼로부터 3.70×102 W/m2·㎛(T=40℃)이상의 높은 적외선 방사 에너지가 0.925라는 높은 방사율로 방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방사율(5~20㎛) 방사에너지(W/m2·㎛, 40℃)
0.925 3.72×1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세라믹 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하여 물 및/또는 기름 분자 집합체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상기 분자의 전체적인 반응 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험예 3. 세라믹 볼의 음이온 방출 특성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음이온 방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세라믹 볼은 자체적으로 전자(음이온)를 방출하는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 처리 장치 또는 보일러 배관 내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 등 금속 양이온과 반응함으로써 스케일의 형성을 막고, 기존에 형성된 스케일 또한 환원반응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이 음이온 방출 특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세라믹 볼 30g을 시험편으로 하고, 전하 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8℃, 습도 35%, 대기중 음이온 수 106/cc 조건에서 KFIA-FI-1042에 준하여 음이온 방출 특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검사항목 음이온(ion/cc)
세라믹 볼 980
상기 표 3은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 체적당 ion 수로 표시한 결과이다.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은 일반 대기 중 음이온 수에 비하여 8~9배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즉, 상기한 바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므로 물 및/또는 기름 분자의 분자간 결합을 끊어 물 분자 집단을 작게 만들고, 이를 통하여 상기 분자들의 분자 활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물 또는 기름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 흡착, 분해하는 등의 반응 활성이 높아질 수 있다.
실험예 4. 세라믹 볼의 정화 능력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정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라믹 볼을 이용하는 경우의 유기물 정화능력, 잔류염소 제거능 및 흡착능과 관련이 높은 기공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유기물 정화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산업공해연구소에 의뢰하여 일반 세제를 사용한 물과 본 발명에서 제조된 세라믹 볼을 사용한 물에 대하여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 요구량) 및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검사항목 일반 세제+물 세라믹 볼+물
COD(mg/L) 123.4 50.2
BOD(mg/L) 347.1 88.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을 이용할 경우, 일반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유기물 등의 오염 물질을 훨씬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또한,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을 이용하는 경우 수도에 잔존하는 잔류 염소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바, 수돗물 50Ldp 세라믹 볼을 이용한 물과 아무런 처리도 하지 수돗물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잔류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검사항목 수돗물 세라믹 볼+물
잔류염소 (mg/L) 0.28 0
그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을 이용하는 경우 잔류 염소의 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상기 실시예 1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기공도는 기공율 분석결과 약 54 내지 63%인 것으로 나타났고, 기공 크기는 5 내지 10 um임을 확인하여 상대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기공이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 다공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세라믹 볼의 항균 능력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항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장균(E. coli), P.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포도상구균(S. aureus) 및 폐렴균(K. pneumoniae)를 대상으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예는 KFIA-FI-1002에 준하여 실시하였고,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을 이용한 시료와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시료에 대하여 대장균 및 녹농균의 감소율을 비교하였으며, 사용 균주로는 각각 Escherichia coli ATCC 25922,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S. aureus ATCC 6538, K. pneumoniae ATCC4352를 사용하였으며, 배지 상의 균 수는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표 6 및 도 3,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감소율(%)
대장균(E. coli) 대조군 3.3X106 9.8 X 106 -
실험군 6.1 X 105 81.5
P.아에루기노사(P. aeruginosa) 대조군 2.8X107 9.1 X 107 -
실험군 5.3 X 106 81.1
포도상구균
(S. aureus)
대조군 1.9 X105 4.0 X 106 -
실험군 <1.0 X 103 99.9
폐렴균(K. pneumoniae) 대조군 2.9 X105 3.7 X 106 -
실험군 <1.0 X 103 99.9
그 결과, 상기 표 6 및 도 3,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세라믹 볼을 사용하는 경우 한 시료의 경우, 상기 균주 모두에 대하여 성장 저해율이 80%이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또한, 상기 실험과 별개로 대장균 O-157에 대한 항균 작용을 확인한 결과, 별도의 항균물질의 첨가 없이도 상기 세라믹 볼을 처리하지 않은 수돗물 대비 24시간에 89.3%, 48시간에 99.6%의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세라믹 볼의 악취제거 효과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악취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00㎖ 부피를 가지는 용기에 상기 세라믹 볼 시료 10g과 암모니아 수용액 2㎕을 주입하고, 가스검지관법을 사용하여 악취 제거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악취 제거율(%)은 [(대조군 가스 농도 - 실험군 가스 농도)/대조군 가스농도] X 100으로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소요시간(분) 악취 제거율(%)
30 20
60 30
90 30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라믹 볼을 투여한 순간 최초 30분 내에 용기 내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낮추었으며, 60분 이내에 반응을 완료하여 신속하게 암모니아 흡착 및 악취 제거능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세라믹 볼의 구성성분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구성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본의 기업인 “하이 실리카 공업㈜”에 의뢰하여 상기 세라믹 볼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X선 형광 분석 결과 통상 광물성 실리카에는 존재하지 않는 황(S)이 검출되어 광물성 실리카가 아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X선 분석에서는 결정질이 아닌 순수한 비정질 형태인 것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카보닐기(C=O), 탄소 결합(-C-C-) 및 수산화기(-OH)에 해당하는 스펙트럼이 검출되어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이 유기물에서 추출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 세라믹 조성물의 성분을 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실리카(SiO2) 98.20%, 알루미나(Al2O3) 0.052%, 산화철(Fe2O3) 0.005% 및 산화티타늄(TiO2) 0.0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세라믹 조성물은 식물성 유기물로부터 유래한 실리카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비정질 식물성 실리카는 친환경 소재로써 인체에 무해하므로 식용, 화장품, 식료품첨가제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고순도화 비용이 저렴한 특징을 가진다.
실험예 8. 세라믹 볼의 안정성 평가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세라믹 볼 40개를 정제수 4L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150rpm으로 교반한 후의 용출되는 물질을 분석하는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납, 카드뮴, 비소, 셀레늄, 철, 크롬, 수은, 바륨, 안티몬 및 잔류 염소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망간 및 아연이 소량 검출되었으나 모두 안전기준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세라믹 볼의 식물 생장 촉진 효과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라믹 볼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a) 실리카 알루미나(Silica-Alumina)가 30~40% 이상 포함된 암 장석(長石, feldspar) 40 내지 50 중량부, 와목(蛙目) 5 내지 15 중량부, 참나무재 5 내지 20 중량부, 황토 5 내지 30 중량부, 왕겨(husk) 재 5 내지 15 중량부, 지르코니아 0.1 내지 10 중량부, 티타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조개껍질 분말 0.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제1단계;
    b) 상기 제1단계에서 혼합된 각 성분을 건조한 후, 분쇄하는 제2단계;
    c) 상기 제2단계에서 분쇄된 각 성분을 소성하는 제3단계; 및
    d) 상기 제3단계에서 소성된 조성물을 연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인, 세라믹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경재배용 시스템.
KR1020200070731A 2020-06-11 2020-06-11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KR20210153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31A KR20210153859A (ko) 2020-06-11 2020-06-11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31A KR20210153859A (ko) 2020-06-11 2020-06-11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859A true KR20210153859A (ko) 2021-12-20

Family

ID=7903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31A KR20210153859A (ko) 2020-06-11 2020-06-11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38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487B1 (ko) 2011-02-10 2018-12-24 주식회사 쿠라레 식물 재배용 배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487B1 (ko) 2011-02-10 2018-12-24 주식회사 쿠라레 식물 재배용 배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199B1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옥외용 정수기
KR101485861B1 (ko) 수처리용 세라믹볼
KR102032335B1 (ko) 발전소 저회 및 비회 가공물을 이용한 생육보조 기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CN100410185C (zh) 一种复合粉煤灰填料,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718247A (zh) 钙粉及其制备方法
JP2010168239A (ja) ゼオライト成形体、植生基盤材料、及び水処理剤
Viana et al. Using rice husks in water purification in Brazil
KR20210153859A (ko) 신규한 세라믹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경재배 촉진용 장치
KR101658156B1 (ko) 적색셰일 분말과 msm이 포함된 흡착탈취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220375B1 (ko) 신규한 세라믹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 처리 장치
KR101616016B1 (ko) 새집증후군 시멘트 독성 제거제의 제조방법
KR20210153861A (ko) 동물 사육용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15335B1 (ko) 토양 중화용 세라믹 조성물과 세라믹 분말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친환경 토경 재배방법
KR20120026260A (ko) 단백석과 규조토를 이용한 미생물 탈취 제습제
KR200447339Y1 (ko) 친환경 토경 재배를 위한 농업용수 개선기
KR101884210B1 (ko) 수질 정화 기능 및 항균성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12667B1 (ko) 신규한 복합 기능성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3043A (ko) 수처리용 필터재
KR101882486B1 (ko) 폐수오니의 재활용성을 증대시킨 인공어초 제조방법
POPOVA et al. Research of zeolite and zeolite water from Rhodope Mountains, Bulgaria
KR101019034B1 (ko) 토양 효소의 제조방법
CN105152353A (zh) 利用革兰氏菌处理污水中重金属的方法
KR102495923B1 (ko) 항균성 다공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569B1 (ko) 은과 옥을 이용한 항균성 내충격 하수관과 그 조성물
KR20180086391A (ko) 수처리용 필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