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264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264A
KR20210153264A KR1020200070128A KR20200070128A KR20210153264A KR 20210153264 A KR20210153264 A KR 20210153264A KR 1020200070128 A KR1020200070128 A KR 1020200070128A KR 20200070128 A KR20200070128 A KR 20200070128A KR 20210153264 A KR20210153264 A KR 2021015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ush button
vehicle
blow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모
김명준
연동원
정의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264A/ko
Priority to US17/113,152 priority patent/US11585554B2/en
Priority to CN202011496780.5A priority patent/CN113771581A/zh
Publication of KR2021015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29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60K2360/1438
    • B60K236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70/195Blocking or enabling display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50Control arrangements; Data network features
    • B60K2370/52Control of displays
    • B60K35/22
    • B60K35/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공조 장치;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제1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영역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량 내의 공조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위의 각종 변화에 따른 공기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 장치가 탑재된다. 공조 장치는 저온을 유지시켜주는 냉방 장치와, 고온을 유지시켜주는 난방 장치를 포함한다.
운전석과 동승석의 SYNC(synchronization) 제어가 이루어 지는 공조 장치에서, 동승석 방향으로 바람은 나오고 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바람이 나오고 있다는 표시가 되지 않아, 사용자가 바람이 토출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오해를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승석 방향으로 송풍이 가동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할지라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장으로 오해를 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공조 장치의 제어를 직관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공조 장치,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제1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영역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복수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복수의 푸쉬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제1 푸쉬 버튼, 제 2 푸쉬 버튼 및 제 3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제4 푸쉬 버튼, 제 5 푸쉬 버튼 및 제 6 푸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제1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방향은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토출은 상호간에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푸시 버튼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송풍 위치에서 상기 공조 장치가 송풍을 토출하도록 상기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 및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1영역의 제3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방향, 운전석 아래 방향, 동승석 방향, 동승석 아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송풍 토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의 제2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푸시 버튼, 상기 제2영역의 제5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영역의 제6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영역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복수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복수의 푸쉬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제1 푸쉬 버튼, 제 2 푸쉬 버튼 및 제 3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제4 푸쉬 버튼, 제 5 푸쉬 버튼 및 제 6 푸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제1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방향은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토출은 상호간에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송풍 위치에서 상기 공조 장치가 송풍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 및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1영역의 제3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방향, 운전석 아래 방향, 동승석 방향, 동승석 아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송풍 토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의 제2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푸시 버튼, 상기 제2영역의 제5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영역의 제6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과 동승석의 SYNC 제어가 이루어 지는 공조 장치에서, 동승석 방향으로 송풍이 토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활성화 표시를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승석 주변의 공조 장치의 제어를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참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내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제어 블록도 이고, 도 3은 도 2에서 참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공조 장치(3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은 공조 장치(30)의 작동 및 제어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송풍을 토출하는 공조 장치(3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공조 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1영역,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 여부를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공조 장치(30)의 송풍을 토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이 토출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기 제1영역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이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을 중지하는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이 토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기 제1영역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1)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푸쉬 버튼에 의한 입력 영역을 제공할 수 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화면 상에 입력 영역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차량(1)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다양한 입력 제스처를 통하여 차량(1)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차량(1)의 내부 중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대시 보드(미도시)의 중앙 패널 영역 중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한 곳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조 장치(3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송풍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장치(30)는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송풍구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송풍 위치에 대응하는 송풍구에서 송풍을 토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공조 장치(30)는 차량(1)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송풍구를 통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다양한 송풍 위치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조 장치(30)는 운전석 주변에 위치하는 제1 송풍구(31), 제2 송풍구(32) 및 제3 송풍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풍구(31)는 차량 내부에 프런트 윈도 글라스(front window glass)와 대시 보드 사이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 중 상층부에 냉난방 공기를 토출하며, 제2 송풍구(32)는 대시 보드(미도시)의 중앙 패널 영역과 인접한 높이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 중 중층부에 냉난방 공기를 토출하며, 제3 송풍구(33)는 운전석 하단 또는 동승석 하단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 중 하층부에 냉난방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조 장치(30)의 냉난방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의 1 열이 아닌 2 열 이상의 좌석에서는 송풍구가 2 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30)는 동승석 주변에 위치하는 제4 송풍구(34), 제5송풍구(35) 및 제6송풍구(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송풍구(34)는 차량 내부에 프런트 윈도 글라스(front window glass)와 대시 보드 사이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 중 상층부에 냉난방 공기를 토출하며, 제5송풍구(35)는 대시 보드(미도시)의 중앙 패널 영역과 인접한 높이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 중 중층부에 냉난방 공기를 토출하며, 제6 송풍구(36)는 운전석 하단 또는 동승석 하단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 중 하층부에 냉난방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장치(30)는 차량(1)의 냉방 또는 난방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공조 장치(30)는 차량(1)의 실내 공기를 냉각시켜 냉방 상태를 제공하는 에어컨(미도시)과 차량(1)의 실내 공기를 따뜻하게 유지시키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출력 및 공조 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역(11) 및 상기 제 2 영역(12)에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 여부에 대한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공조 장치(10)에서 토출되는 송풍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공조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복수의 푸쉬 버튼에 마련된 복수의 발광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 화면에 출력된 공조 장치(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복수의 푸쉬 버튼이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 공조 장치(30)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1)와, 메모리(21)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 공조 장치(30)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의 메모리(21)와 프로세서(미도시)는 별도의 칩(chip)으로 마련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1 영역(11)에 제1 푸쉬 버튼(101), 제2 푸쉬 버튼(102) 및 제3 푸쉬 버튼(103)을 포함하고, 제1 푸쉬 버튼(101)에는 제1 발광부(1001)가 마련되고, 제2 푸쉬 버튼(102)에는 제2 발광부(1002)가 마련되고, 제3 푸쉬 버튼(103)에는 제3 발광부(100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 2 영역(12)에 제4푸쉬 버튼(104), 제5 푸쉬 버튼(105) 및 제6푸쉬 버튼(106)을 포함하고, 제4 푸쉬 버튼(104)에는 제4 발광부(1004)가 마련되고, 제5 푸쉬 버튼(105)에는 제5 발광부(1005)가 마련되고, 제6푸쉬 버튼(106)에는 제6 발광부(100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영역(11)에 출력되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표시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 주변의 복수의 송풍구의 송풍 토출 여부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영역(12)에 출력되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표시는 상기 차량(1)의 동승석 주변의 복수의 송풍구의 송풍 토출 여부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푸쉬 버튼(101)에 대한 입력을 통해, 제1 송풍구(31)에서의 송풍 토출 또는 송풍 중지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푸쉬 버튼(102)에 대한 입력을 통해, 제2 송풍구(32)에서의 송풍 토출 또는 송풍 중지를 제어할 수 있고, 제3 푸쉬 버튼(103)에 대한 입력을 통해, 제3 송풍구(33)에서의 송풍 토출 또는 송풍 중지를 제어할 수 있으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송풍 토출 또는 송풍 중지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푸쉬 버튼에 마련된 발광부는 해당 푸쉬 버튼에 대응하는 송풍구의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며, 시각적인 불빛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발광 소자를 가리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 동작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출력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영역(11)에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영역(11)에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영역(12)에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영역(12)에 출력되고 있는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석과 동승석의 SYNC(synchronization) 제어가 이루어 지는 공조 장치에서, 동승석 주변의 공조 장치에서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방향으로 송풍이 토출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활성화 표시를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승석 주변의 공조 장치의 제어를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 장치(30)가 가동되고 있지 않아, 상기 제1영역(11)에 제1 푸시 버튼(101), 제2 푸시 버튼(102), 제 3 푸시 버튼(103)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상기 제1영역(11)에서 사용자의 디프 모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1발광부(100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프 모드는 상기 공조 장치(30)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차량(1)의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디프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디프 모드 선택을 위해, 제1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활성화 표시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푸시 버튼(101)과 SYNC 제어가 가능한 상기 제2 영역(12)의 제4 푸시 버튼(104)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 4 발광부(10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송풍 토출을 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 전체 면적에서 빛을 출력하도록 제 4 발광부(100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에 대응하는 송풍 위치에서 송풍이 제어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푸시 버튼(101)에 기초하여 SYNC 제어가 가능한 상기 제2 영역(12)의 제4 푸시 버튼(104)에 대응하는 송풍 위치에서 송풍을 제어하도록 상기 공조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은 활성화 표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 되는 것은,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의 제 4 발광부(1004)의 전체 면적에서 빛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제4 푸시 버튼(104)의 비활성화 되는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 장치(30)가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는 디프 모드로 가동되고 있어, 상기 제1 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제1영역(11)에 제 1 푸시 버튼(101)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공조 장치(30)의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제 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디프 모드에서 송풍을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영역(12)의 제4푸시 버튼(104)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이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푸시 버튼(104) 전체에서 빛을 출력하지 않고 외곽에만 빛을 출력하도록 제 4 발광부(100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104-1)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 되는 것은,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의 제 4 발광부(1004)의 전체 면적에서 빛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제4 푸시 버튼(104)의 비활성화 되는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 장치(30)가 가동되고 있지 않아, 상기 제1영역(11)에 제1 푸시 버튼(101), 제2 푸시 버튼(102), 제 3 푸시 버튼(103)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상기 제1영역(11)에서 사용자의 믹스 모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제 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 및 제 3 푸시 버튼(103)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1발광부(1001) 및 제3발광부(100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믹스 모드는 상기 공조 장치(30)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함과 동시에,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차량(1)의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함과 동시에,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믹스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활성화 표시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푸시 버튼(101)과 SYNC 제어가 가능한 상기 제2 영역(12)의 제4 푸시 버튼(104)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 4 발광부(10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송풍 토출을 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 전체 면적에서 빛을 출력하도록 제 4 발광부(100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에 대응하는 송풍 위치에서 송풍이 제어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 푸시 버튼(101)에 기초하여 SYNC 제어가 가능한 상기 제2 영역(12)의 제4 푸시 버튼(104)에 대응하는 송풍 위치에서 송풍 토출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 및 제 3 푸시 버튼(103)은 활성화 표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104-1)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 되는 것은,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의 제 4 발광부(1004)의 전체 면적에서 빛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제4 푸시 버튼(104)의 비활성화 되는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제어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 장치(30)가 상기 차량(1)의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함과 동시에,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믹스 모드로 가동되고 있어, 상기 제1 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 및 제3 푸시 버튼(103)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제1영역(11)에 제1 푸시 버튼(101)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공조 장치(30)의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제 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1발광부(10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20)는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 토출은 유지하도록 상기 공조 장치(30)를 제어하고, 상기 제1영역(11)의 제3푸시 버튼(103)은 활성화 표시 출력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차량(1)의 상기 공조 장치(30)의 프런트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푸시 버튼(101)을 터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영역(11)의 제3푸시 버튼(103)은 활성화 표시 출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2영역(12)의 제4푸시 버튼(104)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이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푸시 버튼(104) 전체에서 빛을 출력하지 않고, 외곽에만 빛을 출력하도록 제 4 발광부(100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104-1)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 되는 것은,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의 제 4 발광부(1004)의 전체 면적에서 빛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 4 푸시 버튼(104) 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제4 푸시 버튼(104)의 비활성화 되는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역(11)의 제2 푸시 버튼(102)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 중앙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푸시 버튼(102)이 활성화 되도록 제2발광부(100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푸시 버튼(102)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상기 제2푸시 버튼(102)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차량(10)의 운전석 중앙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제2 푸시 버튼(102)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2발광부(100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영역(12)의 제5푸시 버튼(105)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차량(1)의 동승석 중앙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이 활성화 되도록 제5발광부(100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에 사용자 입력이 수시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차량(10)의 동승석 중앙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 5발광부(1005)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YNC(synchronization)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푸시 버튼(102), 제3푸시 버튼(103), 제5 푸시 버튼(105) 및 제6 푸시 버튼(106)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각각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프 모드, 믹스 모드, 및 벤트 디프 모드 등 공조 장치의 다양한 모드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공조 장치(30)의 공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10)
상기 제어부(20)는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을 토출하기 위한 디프 모드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120)
만약, 디프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영역(12)의 제4푸시 버튼(104)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140)
여기서, 상기 제2영역(12)은 동승석과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의 제1 푸시 버튼(101) 및 상기 제2 영역(12)의 제 4 푸시 버튼(104)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기 이전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영역(12)에 제1푸시 버튼(101)이 비활성화 표시가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150) 이 때,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기 이전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영역(11) 및 제 2 영역(12)의 복수의 푸시 버튼이 활성화 표시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디프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영역(11) 및 상기 제2 영역(12)의 복수의 푸시 버튼들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130)
예를 들어, 상기 제 2영역(12)의 제 5 푸시 버튼(105)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5 푸시 버튼(105)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 5 푸시 버튼(105)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에 사용자 입력이 다시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공조 장치(30)의 공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10)
상기 제어부(20)는 윈드 쉴드 글라스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디프 모드 OFF(오프)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160)
만약, 디프 모드 OFF(오프)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영역(11)의 제1푸시 버튼(101) 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2영역(12)에 제 4푸시 버튼(104)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170)
여기서, 상기 제2영역(12)은 동승석과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영역(12)에 제4푸시 버튼(104)이 비활성화 표시가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180)
만약, 디프 모드 OFF(오프)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1영역(11) 및 상기 제2 영역(12)의 복수의 푸시 버튼들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표시를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130)
예를 들어, 상기 제 2영역(12)의 제 5 푸시 버튼(105)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 5 푸시 버튼(105)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 5 푸시 버튼(105)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에 사용자 입력이 다시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제5 푸시 버튼(105)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10: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어부
30: 공조 장치

Claims (20)

  1. 공조 장치;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제1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영역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복수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복수의 푸쉬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제1 푸쉬 버튼, 제 2 푸쉬 버튼 및 제 3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제4 푸쉬 버튼, 제 5 푸쉬 버튼 및 제 6 푸쉬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제1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방향은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인 차량.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토출은 상호간에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차량.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푸시 버튼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송풍 위치에서 상기 공조 장치가 송풍을 토출하도록 상기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 및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1영역의 제3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방향, 운전석 아래 방향, 동승석 방향, 동승석 아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송풍 토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의 제2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푸시 버튼, 상기 제2영역의 제5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영역의 제6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11.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
    상기 제1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 2영역에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 2 영역에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복수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복수의 푸쉬 버튼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푸시 버튼들은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와 각각 대응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제1 푸쉬 버튼, 제 2 푸쉬 버튼 및 제 3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은 제4 푸쉬 버튼, 제 5 푸쉬 버튼 및 제 6 푸쉬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제1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방향은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인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위치에 따른 송풍 토출은 상호간에 SYNC(synchronization)제어가 가능한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이 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중지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에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으로 송풍 토출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송풍 위치에서 상기 공조 장치가 송풍을 토출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제 1 푸시 버튼이 비활성화 표시를 출력 중에, 차량의 윈드 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방향 및 운전석 아래 방향으로 송풍 토출을 위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제1 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에 활성화 표시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1영역의 제1 푸시 버튼 및 상기 제1영역의 제3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제 4 푸시 버튼은 활성화 표시를 비활성화 표시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방향, 운전석 아래 방향, 동승석 방향, 동승석 아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토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송풍 토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의 제2푸시 버튼, 상기 제1 영역의 제3푸시 버튼, 상기 제2영역의 제5 푸시 버튼 및 상기 제2영역의 제6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활성화 표시 및 비활성화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00070128A 2020-06-10 2020-06-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10153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28A KR20210153264A (ko) 2020-06-10 2020-06-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7/113,152 US11585554B2 (en) 2020-06-10 2020-12-07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2011496780.5A CN113771581A (zh) 2020-06-10 2020-12-17 车辆及控制车辆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28A KR20210153264A (ko) 2020-06-10 2020-06-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264A true KR20210153264A (ko) 2021-12-17

Family

ID=7882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28A KR20210153264A (ko) 2020-06-10 2020-06-1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5554B2 (ko)
KR (1) KR20210153264A (ko)
CN (1) CN11377158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30507A1 (en) * 2008-12-22 2012-12-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terface for cycling through and selectively choosing a mode of a vehicle function
US9751380B2 (en) * 2014-12-18 2017-09-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vent assembly with integral air vent and control head
US20210070145A1 (en) * 2019-09-09 2021-03-11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Grid for temperature control and fan sp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5554B2 (en) 2023-02-21
CN113771581A (zh) 2021-12-10
US20210389009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443A (en) Display control system with touch switch panel for controlling on-board display for vehicle
US10387028B2 (en) Vehicle operation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method
US10185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vehicle
EP2455934B1 (en) Facility operation display device, air-conditioning system, and program
US20210019042A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200339174A1 (en) Vehicle steering switch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switch function switching program
AU768551B2 (en) Control device
JP2017049788A (ja) 車載情報処理装置
JP5465133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210153264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1590823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EP3806481A1 (en) Equipment management device us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generating management screen
KR1016695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2006199199A (ja)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ラ
JP6980914B2 (ja) 空調機管理装置および空調機管理画面生成方法
JP2018185765A (ja) ジェスチャ入力システム
KR102613276B1 (ko)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0664A (ko) 건설기계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 및 그의 액츄에이터 제어 방법
US20160239115A1 (en) On-vehicle device operation apparatus and on-vehicle device operation method
KR1023169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에어벤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63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N116198430A (zh) 用于车辆的控制系统及其操作方法
JP2737840B2 (ja) 車両用空調表示装置
JP2019166926A (ja) 車載表示制御装置
KR20160116853A (ko) 공조 제어 상태 표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