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242A -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 Google Patents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242A
KR20210153242A KR1020200070074A KR20200070074A KR20210153242A KR 20210153242 A KR20210153242 A KR 20210153242A KR 1020200070074 A KR1020200070074 A KR 1020200070074A KR 20200070074 A KR20200070074 A KR 20200070074A KR 20210153242 A KR20210153242 A KR 2021015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information
fishing net
serv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004B1 (ko
Inventor
안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서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to KR102020007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버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고,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고,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SERVER FOR DETECTING ABNORMAL MOVEMENT OF FISHING NET AND SERVICE FOR PROVIDING FISHING NET MOVEMENT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망의 절도 또는 상기 어망의 유실로 인해 상기 어망이 비정상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서버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어민들의 시각에 의존하여 넓은 바다에 설치된 어망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상기 어망에 전파를 송출할 수 있는 어망 송신기라고도 불리는 전자 부이를 설치하고, 상기 전자 부이로부터 송출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망의 위치를 선박에 설치된 무선 수신기의 GPS 플로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기 어망의 위치를 찾아내는 어업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전자 부이는 해무 또는 우천 등 악천후 속에서 GPS 기능을 이용해 넓은 바다에 설치된 어망을 손쉽게 찾을 수 있는 IT 기반 어망 탐지 관리 장비의 일 예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9-0121490 (2019년 10월 28일 공개) 등록특허공고: 등록번호 10-1249535 (2013년 04월 01일 공고) 등록특허공고: 등록번호 10-2000483 (2019년 07월 16일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망의 절도 또는 상기 어망의 유실로 인해 상기 어망이 비정상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서버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서버의 동작 방법은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는 무선 기지국이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정보 수집 장치가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어망 정보를 포함하는 제1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제1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처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서버가 제1알림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서버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는, 일정 주기마다 또는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어망 정보를 이용하여 어망의 이동 속도와 상기 어망의 이동 거리를 획득하고, 획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망이 절도 또는 재난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는지를 미리 파악하여 상기 어망의 소유자 및/또는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들에 따라 어망의 소유자 및/또는 관리자는 상기 어망의 위치를 별도로 등록하지 않고도, 상기 어망이 절도 또는 재난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어망의 이동 속도와 이동거리 시작 기준점에 따른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어망의 이동 속도와 이동거리 시작 기준점에 따른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어망의 비정상적인 이동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100)은 어망들(110-1과 110-2), 무선 기지국들(130-1과 130-2), 정보 수집 장치(140), 서버 (150), 메시지 서버(154), 및 이동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무선 기지국들(130-1과 130-2), 정보 수집 장치(140), 서버(150), 및 메시지 서버(154)는 육지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다에 설치되는 제1어망(110-1)에는 제1어망 송신기(120-1)가 부착되고, 상기 바다에 설치되는 제2어망(110-2)에는 제2어망 송신기(120-2)가 부착된다. 각 어망 송신기(120-1과 120-2)는 전자 부이 또는 스마트 부이(smart buoy)라고 불릴 수 있다.
각 어망 송신기(120-1과 120-2)는 GPS 수신기, RF 송신기, 컨트롤러, 및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GPS 수신기, 상기 RF 송신기, 및 상기 전원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GPS 수신기는 인공 위성들로부터 GPS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출력된 GPS 신호들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RF 송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RF 송신기는 처리된 정보를 RF 신호(FNi, 즉 어망 정보(FNi))로 변환하여 해당 무선 기지국(130-1 또는 130-2)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GPS 수신기, RF 송신기, 및 컨트롤러로 작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충전되는 배터리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각 어망 송신기(120-1과 120-2)에 포함된 RF 송신기는 RF 신호(FNi, 즉 어망 정보(FNi))를 각 선박(150-1과 150-2)에 부착된 무선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수신기는 RF 신호(FNi, 즉 어망 정보 (FNi))를 수신하여 각 어망(110-1과 110-2)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플로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어망 송신기(120-1), 제1무선 기지국 (130-1), 정보 수집 장치(140), 서버(150), 메시지 서버(154), 및 이동 단말기 (160)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100)의 작동이 설명되나, 제2어망 송신기(120-2), 제2무선 기지국(130-2), 정보 수집 장치(140), 서버(150), 메시지 서버(154), 및 이동 단말기(160)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100)의 작동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어망 송신기(120-1)로부터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전송되는 어망 정보(FNi)는 제1어망 송신기(120-1)를 유일무이(unique)하게 식별하기 위한 장치 정보(또는 장치 식별자; DID), 위치 정보(PIi), 속도 정보(VIi), 및 시간 정보(PIi)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어망 정보(FNi)는 GPRMC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GPRMC는 Recommended Minimum Specific GNSS Data로 정의되어 있고,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에는 GPS에서 필수적인 PVT(위치(position), 속도 (velocity), 및 시간(time)) 데이터의 고유한 버전이 있다. 이것을 RMC라고 부른다. RMC에서 'RM'은 Recommended Minimum의 약자이고, 상기 RMC에서 'C'는 GNSS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GPRMC에 따라 위치 정보(PIi)는 위도(latitute), 북위인지 남위인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 경도(longitute), 및 동경인지 서경인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속도 정보(VIi)는 속력(예를 들면, speed over ground(SOG))과 진행 방향(예를 들면, course over ground(COG))을 포함하고, 시간 정보(TIi)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시각과 UTC 날짜를 포함한다. 속력는 노트(Knots) 단위의 속력이고, 상기 노트를 Km/h로 변환하려면 상기 노트에 1.852를 곱하면 된다. 진행 방향은 도(degree) 단위로 표시된다.
제1무선 기지국(130-1)은 어망 정보(FNi)에 헤더(HIi)를 부가하여 처리 정보 (INFi)를 생성하고, 처리 정보(INFi)를 유선(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 수집 장치(140)로 전송하고, 정보 수집 장치(140)는 처리 정보(INFi)를 유선(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5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정보 수집 장치(140)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150)는 처리 정보(INFi)로부터(또는 처리 정보(INFi)를 파싱하여) 헤더 (HIi)와 어망 정보(FNi)를 추출하고, 어망 정보(FNi)로부터(또는 어망 정보(FNi)를 파싱하여) 장치 정보(DID), 위치 정보(PIi), 속도 정보(VIi), 및 시간 정보(PIi)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50)의 작동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서버(15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152)는 서버(15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서버(150)에 의해 처리된(또는 처리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예이다.
메시지 서버(154)는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해당하는 메시지(ARMi)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160)로 전송(또는 푸시 (push))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서버(154)는 FCM 푸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60)는 메시지 서버(154)로부터 전송(또는 푸시)된 메시지(ARMi)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170)을 실행한다.
서버(150)는 처리 정보(INFi)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60)로 어망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170)은 상기 어망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어망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16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50)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170)으로 정보(예를 들면, 어망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60)의 소지자는 제1선박(105-1)의 소유자 및/또는 관리자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60)는 스마트폰, 인터넷 모바일 장치(internet mobile device(MID)), 또는 메시지 서버(154)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3과 도 4 각각은 어망의 이동속도와 이동 거리 시작 기준점에 따른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어망(110-1)은 최초 위치(P0)에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제1어망 송신기(120-1)의 RF 송신기는 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30초, 1분, 또는 2분, 등)마다 각 어망 정보(FNi)를 무선 기지국(130-1) 및/또는 제1선박 (105-1)의 무선 수신기로 송출한다고 가정하고, 해류에 따라 또는 절도(또는 재난)에 따라 제1어망(110-1)의 위치는 시시각각으로 변한다고 가정한다.
제1무선 신호 송출 주기(즉, 제1시간 정보(TI1)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최초 위치(P0)로부터 제1위치(P1)로 움직인 제1어망(110-1)의 어망 송신기(120-1)가 제1어망 정보(FNi, i=1)를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송출하면, 서버(150)는 제1어망 정보(FN1)에 해당하는 제1처리 정보(INFi, i=1)를 제1무선 기지국(130-1)과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수신한다(S115). 제1어망 정보(FN1)는 제1어망 송신기(120-1)의 장치 정보(DID), 제1위치 정보(PIi, i=1), 제1속도 정보(VIi, i=1), 및 제1시간 정보(TIi, i=1)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간은 년월일 시분초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처리 정보(INF1)로부터 제1속도 정보(VI1)를 추출(또는 획득)하고(S120), 추출(또는 획득)된 제1속도 정보(VI1)에 해당하는 제1속도(Vci, i=1)가 제1기준 속도(Vref1)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25).
제1속도(Vc1)가 제1기준 속도(Vref1)를 초과하는지 않을 때(S125의 NO), 서버(150)는 알람 모드(이를 '알림 모드'라고도 한다; S130)로 진입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2무선 신호 송출 주기(즉, 제2시간 정보(TI2)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로 움직인 제1어망(110-1)의 어망 송신기(120-1)가 제2어망 정보(FNi, i=2)를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송출하면, 서버(150)는 제2어망 정보(FN2)에 해당하는 제2처리 정보(INFi, i=2)를 제1무선 기지국(130-1)과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수신한다(S115). 제2어망 정보(FN2)는 제1어망 송신기(120-1)의 장치 정보(DID), 제2위치 정보(PIi, i=2), 제2속도 정보(VIi, i=2), 및 제2시간 정보(TIi, i=2)을 포함한다,
서버(150)는 제2처리 정보(INF2)로부터 제2속도 정보(VI2)를 추출하고 (S120), 추출된 제2속도 정보(VI2)에 해당하는 제2속도(Vci, i=2)가 제1기준 속도 (Vref1)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25).
제2속도(Vc2)가 제1기준 속도(Vref1)를 초과하는지 않을 때(S125의 NO), 서버(150)는 알람 모드(S130)로 진입하지 않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3무선 신호 송출 주기(즉, 제3시간 정보(TI3)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2위치(P2)로부터 제3위치(P3)로 움직인 제1어망(110-1)의 어망 송신기(120-1)가 제3어망 정보(FN3, i=3)를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송출하면, 서버(150)는 제3어망 정보(FN3)에 해당하는 제3처리 정보(INFi, i=3)를 제1무선 기지국(130-1)과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수신한다(S115). 제3어망 정보(FN3)는 제1어망 송신기(120-1)의 장치 정보(DID), 제3위치 정보(PIi, i=3), 제3속도 정보 (VIi, i=3), 및 제3시간 정보(TIi, i=3)을 포함한다,
서버(150)는 제3처리 정보(INF3)로부터 제3속도 정보(VI3)를 추출하고 (S120), 추출된 제3속도 정보(VI3)에 해당하는 제3속도(Vci, i=3)가 제1기준 속도 (Vref1)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25).
제3속도(Vc3)가 제1기준 속도(Vref1)를 초과하면(S125의 YES), 서버(150)는 알람 모드(S130)로 진입한다. 그러나, 제3속도(Vc3)가 제1기준 속도(Vref1)를 초과하지 않으면(S125의 NO), 서버(150)는 단계(S115)를 진행한다.
서버(150)는 제3속도(Vc3)로 이동하는 제1어망(110-1)의 제3위치(P3), 즉 제3위치 정보(PI3)에 해당하는 현재 위치(P3)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SP)으로 설정한다(S135). 서버(150)는 제3위치(P3)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SP)으로 데이터베이스 (152)에 저장하고, 제1어망(110-1)이 제1기준 속도(Vref1)보다 빠르게 움직임을 알리는 속도(또는 비정상적인 속도) 알림 메시지(ARMi, i=1)를 생성하여 이(ARM1)를 메시지 서버(154)로 전송한다(S140).
메시지 서버(154)가 속도 알림 메시지(ARM1)를 이동 단말기(160)로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170)는 속도 알림 메시지(ARM1)를 이동 단말기(16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속도 알림 메시지(ARM1)는 제1어망(110-1)이 제1기준 속도(Vref1)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제1어망(110-1)의 현재 위치(예를 들면, P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여, 경우 1(CASE1)를 설명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4무선 신호 송출 주기(즉, 제4시간 정보(TI4)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3위치(P3)로부터 제4위치(P4)로 움직인 제1어망(110-1)의 어망 송신기(120-1)가 제4어망 정보(FNi, i=4)를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송출하면, 서버(150)는 제4어망 정보(FN4)에 해당하는 제4처리 정보(INFi, i=4)를 제1무선 기지국(130-1)과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수신한다(S145). 제4어망 정보(FN4)는 제1어망 송신기(120-1)의 장치 정보(DID), 제4위치 정보(PIi, i=4), 제4속도 정보 (VIi, i=4), 및 제4시간 정보(TIi, i=4)를 포함한다,
서버(150)는 제4처리 정보(INF4)로부터 제4속도 정보(VI4)를 추출하고(S150), 추출된 제4속도 정보(VI4)에 해당하는 제4속도(Vcj, j=4)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55).
이때, 제2기준 속도(Vref2)는 제1기준 속도(Vref1)보다 작다. 예를 들면, 제1기준 속도(Vref1)는 제1어망 송신기(120-1)가 부착된 제1어망(110-1)이 설치된 바다에 흐르는 해류 및/또는 조류의 최대 유속일 수 있고, 제2기준 속도(Vref2)는 상기 바다에 흐르는 상기 해류 및/또는 상기 조류의 년평균 유속일 수 있다. 기준 거리(Dref)는 설정된 주기와 제1기준 속도(Vref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50)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어망 송신기가 부착된 어망이 설치될 바다에 흐르는 해류 및/또는 조류의 최대 유속과 년평균 유속에 대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고, 학습의 결과에 따라 제1기준 속도(Vref1), 제2기준 속도(Vref2), 및/또는 기준 거리(Dref)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4속도(Vc4)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하지 않을 때(S155의 NO), 서버 (150)는 알람 모드로부터 탈출하고, 단계(S135)에서 설정된 이동거리 시작기준점 (SP)를 초기화(또는 리셋)한다(S175). 이후, 서버(150)는 단계(S115)를 수행하기 위해 대기한다.
제4속도(Vc4)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할 때(S155의 YES), 서버(150)는 제1어망(110-1)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S160).
예를 들면, 서버(150)는 제4위치 정보(PI4)에 해당하는 제4위치(P4)와 제3위치 정보(PI3)에 해당하는 제3위치(P3)의 차이(Dm, m=1)을 계산한다(S160).
서버(150)는 계산된 이동 거리의 차이(D1)가 기준 거리(Dref)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65). 계산된 이동 거리의 차이(D1=P4-P3)가 기준 거리(Dref)를 초과하지 않을 때(S165의 NO), 예를 들면, 제1어망(110-1)에 대한 절도 또는 재난이 발생하지 않아서 제1어망(110-1)의 분실 위함이 없다고 판단되면, 서버(150)는 다음 주기에 송출될 새로운 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5)를 수행하기 위해 대기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5무선 신호 송출 주기(즉, 제5시간 정보(TI5)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제4위치(P4)로부터 제5위치(P5)로 움직인 제1어망(110-1)의 어망 송신기(120-1)가 제5어망 정보(FNi, i=5)를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송출하면, 서버(150)는 제5어망 정보(FN5)에 해당하는 제5처리 정보(INFi, i=5)를 제1무선 기지국(130-1)과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수신한다(S145). 제5어망 정보(FN5)는 제1어망 송신기(120-1)의 장치 정보(DID), 제5위치 정보(PIi, i=5), 제5속도 정보 (VIi, i=5), 및 제5시간 정보(TIi, i=5)를 포함한다.
서버(150)는 제5처리 정보(INF5)로부터 제5속도 정보(VI5)를 추출하고 (S150), 추출된 제5속도 정보(VI5)에 해당하는 제5속도(Vcj, j=5)가 제2기준 속도 (Vref2)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55).
제5속도(Vc5)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하지 않을 때(S155의 NO), 서버 (150)는 알람 모드로부터 탈출하고, 단계(S135)에서 설정된 이동거리 시작기준점 (SP)를 초기화(또는 리셋)한다(S175). 이후, 서버(150)는 다음 주기에 송출될 새로운 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5)를 수행하기 위해 대기한다.
제5속도(Vc5)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할 때(S155의 YES), 서버(150)는 제1어망(110-1)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S160).
예를 들면, 서버(150)는 제5위치 정보(PI5)에 해당하는 제5위치(P5)와 제3위치 정보(PI3)에 해당하는 제3위치(P3)의 차이(Dm, m=2)을 계산한다(S160).
서버(150)는 계산된 이동 거리의 차이(D2)가 기준 거리(Dref)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65). 계산된 이동 거리의 차이(D2=P5-P3)가 기준 거리(Dref)를 초과했을 때(S165의 YES), 예를 들면, 제1어망(110-1)의 절도 또는 재난으로 인해 제1어망(110-1)의 분실 위함이 있다고 판단되면, 서버(150)는 제5위치(P5)를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고, 제1어망(110-1)이 기준 거리(Dref)보다 많이(또는 멀리) 움직였임을 알리는 이동(또는 비정상적인 이동) 알림 메시지(ARMi, i=2)를 생성하여 이(ARM2)를 메시지 서버(154)로 전송한다(S170).
메시지 서버(154)가 이동 알림 메시지(ARM2)를 이동 단말기(160)로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170)는 이동 알림 메시지(ARM2)를 이동 단말기(16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알림 메시지(ARM2)는 제1어망(110-1)이 기준 거리(Dref)보다 많이 움직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제1어망(110-1)의 현재 위치(예를 들면, P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어망(110-1)의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는 제1어망(110-1)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및 도 4를 참조하여, 경우 2(CASE2)를 설명한다.
제4무선 신호 송출 주기(즉, 제6시간 정보(TI6)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3위치(P3)로부터 제6위치(P6)로 움직인 제1어망(110-1)의 어망 송신기(120-1)가 제6어망 정보(FNi, i=6)를 제1무선 기지국(130-1)으로 송출하면, 서버(150)는 제6어망 정보(FN6)에 해당하는 제6처리 정보(INFi, i=6)를 제1무선 기지국(130-1)과 정보 수집 장치(140)를 통해 수신한다(S145). 제6어망 정보(FN6)는 제1어망 송신기(120-1)의 장치 정보(DID), 제6위치 정보(PIi, i=6), 제6속도 정보(VIi, i=6), 및 제6시간 정보(TIi, i=6)를 포함한다,
서버(150)는 제6처리 정보(INF6)로부터 제6속도 정보(VI6)를 추출하고 (S150), 추출된 제6속도 정보(VI6)에 해당하는 제6속도(Vcj, j=6)가 제2기준 속도 (Vref2)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55).
제6속도(Vc6)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하지 않을 때(S155의 NO), 서버 (150)는 단계(S135)에서 설정된 이동거리 시작기준점(SP)를 초기화한다(S175). 이후, 서버(150)는 단계(S115)를 수행하기 위해 대기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속도(Vc6)가 제2기준 속도(Vref2)를 초과할 때(S155의 YES), 서버(150)는 제1어망(110-1)의 이동 거리(Dm, m=3)를 계산한다(S160).
예를 들면, 서버(150)는 제6위치 정보(PI6)에 해당하는 제6위치(P6)와 제3위치 정보(PI3)에 해당하는 제3위치(P3)의 차이(D3=P6-P3)을 계산한다(S160).
서버(150)는 계산된 이동 거리의 차이(D3)가 기준 거리(Dref)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65). 계산된 이동 거리의 차이(D3=P6-P3)가 기준 거리(Dref)를 초과할 때(S165의 YES), 예를 들면, 제1어망(110-1)의 절도 또는 재난으로 인해 제1어망(110-1)의 분실 위함이 있다고 판단되면, 서버(150)는 제6위치(P6)를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고, 제1어망(110-1)이 기준 거리(Dref)보다 많이(또는 멀리) 움직였임을 알리는 이동 알림 메시지(ARMi, i=2)를 생성하여 이(ARM2)를 메시지 서버 (154)로 전송한다(S170).
메시지 서버(154)가 이동 알림 메시지(ARM2)를 이동 단말기(160)로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170)는 이동 알림 메시지(ARM2)를 이동 단말기(16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알림 메시지(ARM2)는 제1어망(110-1)이 기준 거리(Dref)보다 많이 움직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제1어망(110-1)의 현재 위치(예를 들면, P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어망(110-1)의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는 제1어망(110-1)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도 2에 도시된 단계들(S115 내지 S175)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서버(150) 내부 또는 외부의 메모리 장치 또는 서버(150)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데이터베이스(152)를 의미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버(150)에 의해 또는 서버(15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컴퓨팅 장치는 서버(150) 또는 서버(150)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은 제1시간(예를 들면, TI3에 해당하는 시간)에 어망 (110-1)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120-1)로부터 제1속도 정보(VI3)와 제1위치 정보 (PI3)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FN3)를 수신하는 단계(S115)와, 제1속도 정보(PI3)로부터 제1속도(Vc3)를 획득하는 단계(S120)와, 제1속도(Vc3)와 제1기준 속도 (Vref1)를 비교하는 단계(S125)와, 제1속도(Vc3)가 제1기준 속도(Vref1)보다 클 때 (S125의 YES), 제1위치 정보(PI3)에 해당하는 제1위치(P3)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 (SP)으로 설정하는 단계(S135)와, 제1속도(Vc3)가 제1기준 속도(Vref1)보다 클 때 (S125의 YES) 제1알림 메시지(또는 속도 알림 메시지, ARM1)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160)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은 제2시간(예를 들면, TI4, TI5, 또는 TI6)에 해당하는 시간)에 어망 송신기(120-1)로부터 제2속도 정보(VI4, VI5, 또는 VI6)와 제2위치 정보(PI4, PI5, 또는 PI6)를 포함하는 제2어망 정보(FN4, FN5, 또는 FN6)를 수신하는 단계(S145)와, 제2속도 정보(VI4, VI5, 또는 VI6)로부터 제2속도(Vc4, Vc5, 또는 Vc6)를 획득하는 단계(S150)와, 제2속도(Vc4, Vc5, 또는 Vc6)와 제2기준 속도 (Vref2)를 비교하는 단계(S155)와, 제2속도(Vc4, Vc5, 또는 Vc6)가 제2기준 속도 (Vref2)보다 작을 때(S155의 NO) 이동거리 시작기준점(SP)을 초기화하고(S175), 제2속도(Vc4, Vc5, 또는 Vc6)가 제2기준 속도(Vref2)보다 클 때(S155의 YES) 제2위치 정보(PI4, PI5, 또는 PI6)에 해당하는 제2위치(P4, P5, 또는 P6)를 획득하고, 제2위치(P4, P5, 또는 P6)와 제1위치(P3)의 차이(D1, D2, 또는 D3)를 계산하는 단계 (S160)와, 차이(D1, D2, 또는 D3)가 기준 거리(Dref)보다 작을 때(S165의 NO) 다음 주기에 송출된 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5)를 수행하고, 차이(D1, D2, 또는 D3)가 기준 거리(Dfre)보다 클 때(S165의 YES) 제2알림 메시지(또는 거리 알림 메시지, ARM2)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160)로 전송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하고, 제1기준 속도(Vref1)는 제2기준 속도(Vref2)보다 크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어망의 비정상적인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105-1과 105-2: 선박들
110-1과 110-2: 어망들
120-1과 120-2: 어망 송신기
130-1과 130-2: 무선 기지국들
140: 정보 수집 장치
150: 서버
152: 데이터베이스
154: 메시지 서버
160: 이동 단말기
170: 애플리케이션

Claims (9)

  1.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이동 단말기로 제1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생성하여 상기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2속도 정보와 제2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 정보로부터 제2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와 제2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2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2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가 기준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새로운 속도 정보와 새로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어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클 때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2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2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속도는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큰 서버의 동작 방법.
  4.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아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들은,
    제1시각에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이동 단말기로 제1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제2시각에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2속도 정보와 제2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 정보로부터 제2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와 제2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2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2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기준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새로운 속도 정보와 새로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어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클 때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2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속도는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시각에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이동 단말기로 제1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시각에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2속도 정보와 제2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 정보로부터 제2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와 제2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제2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2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기준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새로운 속도 정보와 새로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어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클 때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2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제1기준 속도는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큰 서버.
  8.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이 어망에 부착된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1속도 정보와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 수집 장치가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어망 정보를 포함하는 제1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제1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처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속도 정보로부터 제1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속도와 제1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1위치를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속도가 상기 제1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서버가 제1알림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제2속도 정보와 제2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어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수집 장치가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상기 제2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처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속도 정보로부터 제2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2속도와 제2기준 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작을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거리 시작기준점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2속도가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클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제2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제2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1위치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기준 거리보다 작을 때 상기 어망 송신기로부터 새로운 속도 정보와 새로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어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클 때 상기 서버가 제2알림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속도는 상기 제2기준 속도보다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KR1020200070074A 2020-06-10 2020-06-10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KR10242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074A KR102425004B1 (ko) 2020-06-10 2020-06-10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074A KR102425004B1 (ko) 2020-06-10 2020-06-10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242A true KR20210153242A (ko) 2021-12-17
KR102425004B1 KR102425004B1 (ko) 2022-07-25

Family

ID=7903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074A KR102425004B1 (ko) 2020-06-10 2020-06-10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35B1 (ko) 2010-10-25 2013-04-01 (주)휴엔텍 어망 감시 시스템
KR101858845B1 (ko)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102000483B1 (ko) 2019-02-19 2019-07-16 주식회사 리안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90121490A (ko) 2018-04-18 2019-10-2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KR20200009450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실러캔스 어망 감시용 부표의 위치 확인 및 이 부표를 이용한 적조의 확산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35B1 (ko) 2010-10-25 2013-04-01 (주)휴엔텍 어망 감시 시스템
KR101858845B1 (ko)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20190121490A (ko) 2018-04-18 2019-10-2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KR20200009450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실러캔스 어망 감시용 부표의 위치 확인 및 이 부표를 이용한 적조의 확산 예측 방법
KR102000483B1 (ko) 2019-02-19 2019-07-16 주식회사 리안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004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52849A1 (en) Wearable location monitor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3404189A (zh) 无线站的自定位
EP3514984A1 (en) Method for transmission window optimization by transmitting devices such as modems communicating with satellites by adapting transmitting behavior to their location
CN112087528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水环境智能监测系统及方法
WO2023022612A1 (en) Freshwater morphology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KR102425004B1 (ko)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KR100823877B1 (ko) 수질 및 생태 환경 감시 시스템
KR20070105488A (ko) 해수 정보 관리 시스템
Arago et al. Long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weather buoy
JP2008157736A (ja) ブイおよび魚群探知システム
KR20210057267A (ko) 음향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어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1639703A (zh) 一种基于离散点集最小包围圆计算基站位置的方法
Kim et al. Development of an IoT platform for Ocean observation buoys
CN111999702B (zh) 一种无源水下导航通信定位系统与方法
KR20180069592A (ko)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212134956U (zh) 一种基于位置的天气预报系统
KR10056124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해양관측소의 운영방법
KR102636006B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urmawati et al. Evaluation of AIS and MAVLINK Protocol Performance
JP4743029B2 (ja) 無線装置
US20230388003A1 (en) Relay device
CN211880409U (zh) 一种水下设备的定位系统
KR102175576B1 (ko) 로라 기반의 선박위치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Mawati A comparison study of radio protocol AX. 25 with Interchangeable data in VmeS (Vessel Messeging System) data communication and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LU501777B1 (en) Transmission pow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