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095A - 모바일 폰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 Google Patents

모바일 폰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095A
KR20210151095A KR1020217032750A KR20217032750A KR20210151095A KR 20210151095 A KR20210151095 A KR 20210151095A KR 1020217032750 A KR1020217032750 A KR 1020217032750A KR 20217032750 A KR20217032750 A KR 20217032750A KR 20210151095 A KR20210151095 A KR 20210151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mpartment
pocket
upper edge
tro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쥴리앙 튜페리
장-쟈끄 튜페리
Original Assignee
악뜨 1892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뜨 1892 filed Critical 악뜨 1892
Publication of KR2021015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의류품의 주머니 배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주머니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주머니(2) 및 하나의 격실 주머니(9, 9a, 9b)를 포함하고, 격실 주머니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부(15, 19a, 19b) 및 전방부(10, 10a, 10b)를 가지고, 그 상부 연부들(11, 11a, 11b)은 유입 개구부(12, 12a, 12b)를 형성하고, 하부 부분(17, 17a, 17b)은, 상기 격실 주머니(9, 9a, 9b)의 적어도 수납 사용 위치를 위해서, 상기 메인 주머니(2) 내측에 수용되며, 상부 부분(18, 18a, 18b)은 동일한 소위 수납 사용 위치 내에서 보일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은 또한 격실 주머니(9a, 9b)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격실 주머니(9a, 9b)는 그 상부 부분(18a, 18b)에서 상기 의류품(23)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격실 주머니(9a,9b)가 상기 메인 주머니(2) 내의 적어도 상기 수납 사용 위치와 메인 주머니(2) 외측의 분리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폰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본 발명은 주로, 모바일 폰용 격실 주머니 및 메인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주머니 배열체를 포함하는 진(jeans) 형태의 바지에 관한 것이다.
진 형태의 바지는 일반적으로 5개의 주머니, 즉 2개의 뒷 주머니, 2개의 앞 주머니, 및 우측 앞 주머니 위에 위치하는, 시계 주머니로도 알려져 있는, 회중시계를 수납하기 위한 주머니를 포함한다.
시계 주머니가 일반적으로 너무 좁고 충분히 깊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폰을 수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2개의 뒷주머니 중 하나 또는 2개의 앞 주머니 중 하나를 이용하는 선택을 하게 된다. 뒷 주머니는 모바일 폰이 소매치기 당할 위험, 그리고 또한 깔고 앉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앞 주머니는 모바일 폰, 열쇠, 또는 기타 작은 동전 사이의 다수의 접촉으로 인하여 모바일 폰을 손상시킬 수 있는 한편 동시에 주머니의 외부로 꺼내는 것을 더 복잡하게 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첫 번째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주머니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또는 임의의 의류품 내에서 모바일 폰을 확실하고 실용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하는 주머니 배열체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 번째로, 일상 생활의 모든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하는 주머니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모바일 폰을 수납할 수 있는 주머니 배열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주머니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주머니 및 하나의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고, 격실 주머니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단편 및 하나의 전방 단편을 가지며, 그 상부 연부는 그 유입구 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부 부분은, 상기 격실 주머니의 적어도 수납 사용 위치를 위해서, 상기 메인 주머니 내측에 수용되며, 상부 부분은 동일한 상기 수납 사용 위치 내에서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배열체는 또한 단독적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이하의 선택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 격실 주머니는 상부 부분에서 상기 의류품에 고정되어, 메인 주머니 내측의 적어도 수납 사용 위치와 메인 주머니 외측의 분리 사용 위치(disengaged position of use)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성을 상기 격실 주머니에 제공하고,
- 격실 주머니는 그 후방 단편의 상부 연부를 통해서 의류품에 고정되고,
- 전방 단편의 상부 연부는 격실 주머니의 상부 부분과 동일한 높이로 그리고 상기 격실 주머니의 후방 단편의 상부 연부 아래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 전방 단편의 상부 연부와 후방 단편의 상부 연부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1 높이,
- 전방 단편의 상부 연부와 격실 주머니의 하단 연부 사이의 가장 긴 거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2 높이를 형성한다.
- 제1 높이, 제2 높이, 및 격실 주머니의 폭에 걸친 메인 주머니의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와 격실 주머니의 후방 단편의 상부 연부 사이의 가장 낮은 높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메인 주머니의 개구부의 범위는 이하의 식을 만족시키고:
[수학식 1]
H3 ≥ H2 - (H1 + 1)
식 중에서, H1, H2 및 H3은 센티미터로 표현된다.
- 격실 주머니의 후방 단편은 파동-감쇠 직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주머니 배열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바지에서, 메인 주머니는 우측 앞 주머니이고 격실 주머니는 "시계 주머니"로 알려진 회중시계 수납 주머니를 대체한다.
본 발명의 바지는 또한 단독적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이하의 선택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 격실 주머니는, 상기 격실 주머니 내에 모바일 폰이 수용될 수 있도록, 7 내지 12 센티미터의 폭, 및 13 내지 25 센티미터의 높이를 가지고,
- 격실 주머니의 후방 단편의 상부 연부는 상기 바지의 허리밴드(waistband) 아래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 격실 주머니의 후방 단편의 상부 연부는, 한편으로, 오버캐스팅(overcasting)에 의해서 허리밴드가 없는 해당 바지의 상부 연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탑스티칭(topstitching)에 의해서 허리밴드에 고정된다.
- 메인 주머니의 넉넉함(fullness)은 0.5 내지 2 센티미터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2는, 격실 주머니의 수납 사용 위치에 대한,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3은, 격실 주머니의 분리 사용 위치에 대한,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4는, 격실 주머니의 수납 사용 위치에 대한,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5는, 격실 주머니의 분리에서의 중간 위치에 대한,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6은, 격실 주머니의 분리 사용 위치에 대한,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7은, 격실 주머니의 수납 사용 위치에서 도시된, 도 4 내지 도 6의 주머니 배열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 형태의 바지의 우측 전방 1/4-다리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8은, 격실 주머니의 분리 사용 위치에서 도시된, 도 4 내지 도 6의 주머니 배열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 형태의 바지의 우측 전방 1/4-다리의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의 판독 및 첨부 도면의 검토를 통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이들은 본 발명의 완전히 비제한적인 표시의 방식으로 제공된다.
첫 번째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는, 그들이 나타나는 도면과 관계없이 그리고 이러한 요소가 도시된 형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마찬가지로, 요소가 도면 중 하나에서 구체적으로 참조되지 않은 경우에, 그러한 참조는 다른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이 본 발명의 3개의 변형예를 본질적으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다른 실시형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 및 예가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의 배열체에 관련되지만, 이러한 주머니 배열체는 또한 다른 형태의 바지 및 임의의 다른 의류품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메인 주머니 및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고, 격실 주머니는 주머니의 위에 놓이고 그 하부 부분은, 적어도 수납 사용 위치를 위해서, 메인 주머니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유리하게, 키 및 작은 동전을 수반할 수 있는 메인 주머니가 격실 주머니 내에 수반되는 모바일 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고, 의류품의 주머니-포함 영역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이러한 것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주머니 배열체(1)는, 상부 연부(5)까지 1/4-다리(A)의 측방향 연부(4)로부터 연장되는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3)를 갖는 것에 의해서, 종래 기술의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와 일치되는 메인 주머니(2)를 포함한다. 상부 연부(3)는, 1/4-다리(A)의 상부 연부(5)에 거의 평행한 가장 긴 길이의 부분(6) 및 1/4-다리(A)의 측방향 연부(4)에 거의 평행하게 상승되는 가장 짧은 길이의 부분(7)을 갖는, 난형체의 1/4의 형상을 갖는다. 메인 주머니(2)의 주머니-하단부(미도시)는 종래 기술을 따른다.
본 발명에 따라, 시계 주머니로도 지칭되는, 회중시계를 수반하기 위한 주머니는, 동일한 설계의 그러나 예를 들어 모바일 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더 큰 폭의 주머니에 의해서 대체된다. 이러한 격실 주머니(9)는 폭(L)의 전방 단편(10)을 포함하고, 전방 단편의 상부 연부(11)는 유입 개구부(12)를 형성하고 1/4-다리(A)의 상부 연부(5)를 향해서 각도를 이루어 상승되어, 그 가장 높은 높이로, 1/4-다리(A)의 상부 연부(5)에 평행한 격실 주머니(9)의 하단 연부(13)까지 격실 주머니(9)의 높이(H)를 형성한다. 상부 연부(11)의 각도를 이룬 배열은 단지 미적인 이유로 생성된다. 전방 단편(10)은 또한 2개의 평행한 대향 측방향 연부들(14, 15)을 가지며, 그러한 측방향 연부는 상부 연부(12)와 하단 연부(15)와 함께 격실 주머니(9)의 윤곽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격실 주머니(9)의 전방 단편(10)은 오버캐스팅에 의해서 그 측방향 연부(14, 15)에서 그리고 하단 연부(13)에서 메인 주머니(2)의 후방 단편(16)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메인 주머니(2)의 후방 단편(16)은 또한 격실 주머니(9)의 후방 단편(16)으로서 작용한다.
격실 주머니(9)의 폭(L)은 7 내지 12 센티미터이고, 그 높이는 13 내지 25 센티미터이며, 그에 따라 모바일 폰을 수용한다. 메인 주머니(2)의 폭(L1)은 종래 기술의 메인 주머니의 폭에 비해서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는 격실 주머니(9)의 폭(L)보다 넓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면, 본 발명의 격실 주머니(9)는, 메인 주머니(2)의 내측에 수용되는 하부 부분(17) 및 메인 주머니(2)로부터 노출되어 보일 수 있는 상부 부분(18)을 가지며, 하부 부분의 측방향 연부 및 하단 연부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본 발명의 주머니 배열체(1a)는 제1 변형예의 주머니 배열체와 매우 많은 유사성을 갖는다.
이는, 상부 연부(5)까지 1/4-다리(B)의 측방향 연부(4)로부터 연장되는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3)를 갖는,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의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에 따른 메인 주머니(2)의 경우이다. 상부 연부(3)는, 1/4-다리(B)의 상부 연부(5)에 거의 평행한 가장 긴 길이의 부분(6) 및 1/4-다리(B)의 측방향 연부(4)에 거의 평행하게 상승되는 가장 짧은 길이의 부분(7)을 갖는, 난형체의 1/4의 형상을 갖는다. 메인 주머니(2)의 주머니-하단부(미도시)는 종래 기술을 따른다.
이는 또한, 도 2의 격실 주머니(9a)의 수납 사용 위치에서 메인 주머니(2) 내측에 수용되는 하부 부분(17a), 및 메인 주머니(2)로부터 보일 수 있게 노출되는 상부 부분(18a)을 갖는 격실 주머니(9a)의 부분의 경우이다.
격실 주머니(9a)는 폭(L)의 전방 단편(10a)을 포함하고, 그러한 전방 단편의 상부 연부(11a)는 유입 개구부(12a)를 형성하나, 이러한 변형예에서, 1/4-다리(B)의 상부 연부(5)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1/4-다리(B)의 상부 연부(5)에 마찬가지로 평행한 하단부(13a)까지의 격실 주머니(9a)의 높이(H)를 형성한다. 전방 단편(10)은 또한 2개의 평행한 대향 측방향 연부들(14a, 15a)을 가지며, 그러한 측방향 연부는 상부 연부(12a)와 하단 연부(13a)와 함께 격실 주머니(9a)의 윤곽선을 형성한다.
격실 주머니(9a)는 전방 단편(10a)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는 것으로 인해서 보이지 않는 후방 단편(19a), 및 전방 단편(10a)의 상부 연부(11a)와 중첩되는 상부 연부(20a)를 포함한다. 전방 단편(10a) 및 후방 단편(19a)은, 대향되는 측방향 연부들(14a, 15a)을 따른 그리고 하단 연부(13a)를 따른 스티칭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후방 단편(19a)은 진 직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가지나, 또한 사용자의 민감한 기관을 향해서 모바일 폰으로부터 방출되는 파동으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직물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보호 층은, 약 60 데시벨의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감쇠 성능을 나타내는, 각각 80% 및 20% 함량의 나일론 및 은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메인 주머니(2)의 후방 단편(15) 내로 대안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이러한 보호 층은, 이러한 보호 층을, 격실 주머니(9)의 후방 단편을 또한 형성하는 메인 주머니의 후방 단편(15) 내로 통합하는 것에 의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2 변형예의 격실 주머니(9a)는 의류품에 고정되며, 이러한 경우에 그 후방 단편(19a)의 상부 연부(20a)를 통해서 메인 주머니(2)의 후방 단편(15)에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 및 고정은, 격실 주머니(9a)가 다른 사용 위치를 채택할 수 있게 하고, 그러한 다른 사용 위치에서 이러한 격실 주머니(9a)는 메인 주머니(2)로부터 분리되거나, 다시 말해서, 메인 주머니의 상단부를 통해서 추출된다. 이러한 분리 위치는, 앉은 위치에 있을 때, 특히 격실 주머니(9a) 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바일 폰에 의해서 방해 받지 않는 장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격실 주머니는, 격실 주머니(9a)를 그 저장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제3 실시형태 변형예에 대한 이러한 상승 단계를 도시하는 도 5 참조) 그리고 이어서 그 하부 부분(17a)을 메인 주머니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필요한 경우에, 하부 부분(17a)의 높이에 따라, 이러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폰이 격실 주머니(9a) 내에서 상당히 상승된다.
이러한 분리를 돕기 위해서, 분리 유연성을 갖도록, 메인 주머니(2)의 유입 개구부(8)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메인 주머니(2)의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3)가 이러한 메인 주머니(2)의 후방 단편(15)으로부터 멀리 용이하게 이동되어 주머니 곡률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분리 유연성은 넉넉하게 바느질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고, 이는, 메인 주머니를 만들기 위해서, 후방 단편 직물보다 폭이 넓은 전방 단편 직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손이 메인 주머니 내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넉넉함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넉넉함은 0.5 내지 2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1 센티미터이다. 따라서, 이는, 모바일 폰이 격실 주머니(9a) 내에 있을 때, 손이 메인 주머니(2) 내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모바일 폰이 휴대되는 격실 주머니(9a)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의 주머니 배열체(1b)는 2가지 점에서 제1 변형예의 주머니 배열체(1a)와 상이하다. 첫 번째는, 각도를 가지고 만들어지고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아래에 위치되는 격실 주머니(9b)의 전방 단편(18b)의 상부 연부(11b)와 관련되고, 두 번째는, 허리밴드가 없이 고려되는 1/4-다리(C)의 상부 연부(21b)에 대한 후방 단편(19b)의 이러한 상부 연부(20b)의 부착 영역과 관련된다.
제3 변형예의 주머니 배열체(1b)는, 상부 연부(5)까지 1/4-다리(C)의 측방향 연부(4)로부터 연장되는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3)를 갖는, 마찬가지로 종래 기술의 진 형태의 바지의 앞 주머니에 따른 메인 주머니(2)를 가지고, 1/4-다리는 허리밴드가 없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 연부(3)는, 1/4-다리(B)의 상부 연부(5)에 거의 평행한 가장 긴 길이의 부분(6) 및 1/4-다리(C)의 측방향 연부(4)에 거의 평행하게 상승되는 가장 짧은 길이의 부분(7)을 갖는, 난형체의 1/4의 형상을 갖는다. 메인 주머니(2)의 주머니-하단부(미도시)는 종래 기술을 따른다.
제1 및 제2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격실 주머니(9b)는, 도 2의 격실 주머니(9b)의 수납 사용 위치에서 메인 주머니(2) 내측에 수용되는 하부 부분(17b), 및 메인 주머니(2)로부터 보일 수 있게 노출되는 상부 부분(18b)을 갖는다.
격실 주머니(9b)는, 모두가 동일한 폭(L)을 가지는, 전방 단편(10b) 및 후방 단편(19b)을 포함하고, 전방 단편(10b)의 상부 연부(11b)는 유입 개구부(12b)를 형성하고, 이러한 변형예에서, 대향되는 측방향 연부(15b)까지 멀리 격실 주머니(9b)의 측방향 연부(14b)로부터 위쪽으로 각도를 이루어 그리고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아래에서 연장된다. 상부 연부(11b)의 각도를 이룬 배열은 단지 미적인 이유로 생성된다.
격실 주머니(9b)의 높이(H)는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와 주머니(13b)의 하단 연부 사이에 형성된다. 격실 주머니(9b)의 윤곽은 또한 2개의 평행한 대향 측방향 연부들(14b, 15b),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및 하단 연부(13b)에 의해서 형성된다.
전방 단편(10b) 및 후방 단편(19b)은, 대향되는 측방향 연부들(14b, 15b)을 따른 그리고 하단 연부(13b)를 따른 스티칭에 의해서 함께 고정된다.
제2 변형예에서와 같이, 후방 단편은 진 재료의 층을 가질 수 있으나, 또한 노출된 직물의 층 뒤쪽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약 60 데시벨만큼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를 감쇠시키기 위한 각각 80% 및 20% 함량의 나일론 및 은으로 제조된 부가적인 직물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제3 변형예의 격실 주머니(9b)는, 스티칭 및 오버캐스팅에 의해서 허리밴드가 없는 관련된 1/4-다리(C)의 상부 연부(21b)에 고정된 격실 주머니(9b)의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에 의해서 의류품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에 따라, 격실 주머니(9b)의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는 이어서 허리밴드(22) 내에 결합된다. 그러한 고정은 격실 주머니(9b)를 진의 바지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그리고 또한 격실 주머니(9b)가 메인 주머니(2)로부터 분리될 때 격실 주머니(9b)가 어느 정도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이중적인 장점을 제공하며, 그러한 수직 이동은 제1 변형예에서보다 크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성 및 고정은, 격실 주머니(9b)가 다른 사용 위치를 채택할 수 있게 하고, 그러한 다른 사용 위치에서 이러한 격실 주머니(9b) 메인 주머니(2)로부터 분리되거나(도 6), 다시 말해서, 메인 주머니(2)의 상단부를 통해서 추출된다. 이러한 분리 위치는, 앉은 위치에 있을 때, 특히 사용자가 격실 주머니(9b) 내에 수납되어 있는 모바일 폰에 의해서 방해 받지 않을 수 있게 한다. 격실 주머니(9b)의 분리는, 격실 주머니(9b)를 그 저장 위치(도 5)로부터 상승시키는 것 이어서 그 하부 부분(17b)을 메인 주머니(2)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하부 부분(17b)의 높이에 따라, 이러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폰이 격실 주머니(9b) 내에서 실질적으로 상승된다.
제1 변형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분리를 돕기 위해서, 분리 유연성을 갖도록, 메인 주머니(2)의 유입 개구부(8)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0.5 내지 2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1 센티미터의 넉넉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변형예에서, 모바일 폰을 과다하게 상승시킬 필요가 없이 격실 주머니(9b)가 메인 주머니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높이 기준이 격실 주머니(9b)의 여러 부분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전방 단편(10b)의 상부 연부(11b)와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인 제1 높이(H1), 및 전방 단편(10b)의 상부 연부(11b)와 하단 연부(13b) 사이의 가장 먼 거리인 제2 높이(H2)가 규정된다. 또한, 메인 주머니(2)의 개구부의 범위(H3)가 고려되고, 이는 격실 주머니(9b)의 폭(L)에 걸친 메인 주머니(2)의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3)와 후방 면(19b)의 상부 연부(20b) 사이의 가장 낮은 높이에 의해서 규정된다.
격실 주머니(9b)를 분리시킬 때 모바일 폰을 상승시키는 것 또는 과다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러한 3개의 기준이 이하의 식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학식 1]
H3 ≥ H2 - (H1 + 1)
식 중에서, H1, H2 및 H3은 센티미터로 표현된다.
전술한 식에서 숫자 1의 존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실 주머니(9b)에서 약 1 센티미터인 분리 높이(H4)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식이 만족될 때, 격실 주머니(9b)를 메인 주머니(2)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어려움이 없이 그리고 격실 주머니(9b) 내에서 수납되는 모바일 폰이 완전히 안전하게, 달성된다. 물론, 격실 주머니(9b)를 메인 주머니(2) 내측으로 복귀시키는 반대되는 이동이 또한 완전히 안전하게 수행되는데, 이는 그러한 이동들이 동일하고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비제한적으로, 격실 주머니의 폭(L)은 7 내지 12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11 센티미터이고, 높이(H)는 13 내지 25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17.5 센티미터이다. 제1 높이(H1)는 2 내지 6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4 센티미터이고, 제2 높이(H2)는 11.5 내지 15.5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13.5 센티미터이며, 메인 주머니(2)의 개구부의 범위(H3)는 8.5 내지 12 센티미터, 바람직하게는 8.5 센티미터이다.
도 7 및 도 8은, 격실 주머니(9b)가 수납되는(도 7) 그리고 분리되는(도 8) 위치에서 우측의 1/4-다리가 도시된 의류품을 형성하는 진 형태의 바지(23)에서의 제3 실시형태 변형예의 주머니 배열체(9b)를 도시한다.

Claims (11)

  1. 의류품의 주머니 배열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주머니(2) 및 하나의 격실 주머니(9, 9a, 9b)를 포함하고, 상기 격실 주머니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단편(15, 19a, 19b) 및 하나의 전방 단편(10, 10a, 10b)을 가지고, 그 상부 연부들(11, 11a, 11b)은 유입 개구부(12, 12a, 12b)를 형성하고, 하부 부분(17, 17a, 17b)은, 상기 격실 주머니(9, 9a, 9b)의 적어도 수납 사용 위치를 위해서, 상기 메인 주머니(2) 내측에 수용되며, 상부 부분(18, 18a, 18b)은 동일한 상기 수납 사용 위치 내에서 보일 수 있는, 주머니 배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주머니(9a, 9b)는 그 상부 부분(18a, 18b)에서 상기 의류품(23)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주머니(2) 내측의 적어도 상기 수납 사용 위치와 상기 메인 주머니(2) 외측의 분리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성을 상기 격실 주머니(9a, 9b)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배열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주머니(9a, 9b)는 그 후방 단편(19a, 19b)의 상부 연부(20b)를 통해서 상기 의류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배열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단편(10b)의 상부 연부(11b)는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상부 부분(18b)과 동일한 높이로 그리고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아래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 상기 전방 단편(10b)의 상부 연부(11b)와 상기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1 높이(H1),
    - 상기 전방 단편(10b)의 상부 연부(11b)와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하단 연부(13) 사이의 가장 긴 거리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2 높이(H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배열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H1), 상기 제2 높이(H2), 및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폭(L)에 걸친 상기 메인 주머니(2)의 주머니-개구부 상부 연부(3)와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 사이의 가장 낮은 높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메인 주머니의 개구부의 범위(H3)는 이하의 식을 만족시키고:
    [수학식 1]
    H3 ≥ H2 - (H1 + 1)
    식 중에서, H1, H2 및 H3은 센티미터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배열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주머니(9, 9a, 9b)의 후방 단편(15, 19a, 19b)은 파동-감쇠 직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배열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주머니 배열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으로서, 상기 바지(23)에서, 상기 메인 주머니(2)는 상기 우측 앞 주머니이고 상기 격실 주머니(9, 9a, 9b)는 "시계 주머니"로 알려진 회중시계 저장 주머니를 대체하는, 진 형태의 바지.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의류품을 형성하는 진 형태의 바지로서, 상기 격실 주머니(9a, 9b)는 7 내지 12 센티미터의 폭(L), 및 13 내지 25 센티미터의 높이(H)를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폰이 상기 격실 주머니(9a, 9b)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진 형태의 바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는 상기 바지(23)의 허리밴드(22) 아래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 형태의 바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주머니(9b)의 후방 단편(19b)의 상부 연부(20b)는, 한편으로, 오버캐스팅에 의해서 상기 허리밴드(22)가 없는 상기 바지(23)의 상부 연부(5)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탑스티칭에 의해서 상기 허리밴드(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 형태의 바지.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머니(2)의 넉넉함이 0.5 내지 2 센티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 형태의 바지.
KR1020217032750A 2019-04-17 2019-10-31 모바일 폰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KR20210151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4099 2019-04-17
FR1904099A FR3095108B1 (fr) 2019-04-17 2019-04-17 Agencement de poches comprenant une poche de compartiment destinée à recevoir un téléphone mobile, et pantalon de type jean associé.
PCT/EP2019/079856 WO2020211967A1 (fr) 2019-04-17 2019-10-31 Agencement de poches comprenant une poche de compartiment destinee a recevoir un telephone mobile, et pantalon de type jean assoc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095A true KR20210151095A (ko) 2021-12-13

Family

ID=6751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750A KR20210151095A (ko) 2019-04-17 2019-10-31 모바일 폰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32916A1 (ko)
EP (1) EP3955761B1 (ko)
JP (1) JP2022529180A (ko)
KR (1) KR20210151095A (ko)
CN (1) CN113747811A (ko)
CA (1) CA3136891A1 (ko)
ES (1) ES2956868T3 (ko)
FR (1) FR3095108B1 (ko)
WO (1) WO2020211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828B2 (en) * 2018-07-25 2021-08-17 Nike, Inc. Secure pocke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309886A (en) * 1913-04-28 1913-11-27 Tom Joshua Bottomley An Improved Safety Pocket for Coats and like Garments.
US1336614A (en) * 1918-05-04 1920-04-13 Larned Carter & Company Overalls-pocket
GB521172A (en) * 1938-11-11 1940-05-14 Doniger Ltd 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ckets for overcoats, waterproofs and like garments
US2614260A (en) * 1950-01-27 1952-10-21 Lipshitz Abraham Multiple pocket panel construction
JPS5961229U (ja) * 1982-10-19 1984-04-21 加藤 光男 折返し自在のポケツトを設けたズボン
WO1996022707A1 (en) * 1995-01-25 1996-08-01 Margaret Elizabeth Diamond Pocket lining
US6978484B2 (en) * 2004-05-14 2005-12-27 Wal-Mart Stores, Inc. Convertible pan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0614149B1 (ko) * 2004-07-16 2006-08-21 조강래 하의주머니
CN2805419Y (zh) * 2005-05-26 2006-08-16 陆见华 带有手机袋的裤子
US20080222780A1 (en) * 2007-03-12 2008-09-18 Gregory Walker Johnson Dual hip cell phone and CD player pocket
JP3149458U (ja) * 2009-01-16 2009-03-26 善治郎 潮津 携帯電話の専用ポケットを有するジーンズ・パンツ
CN201854682U (zh) * 2010-05-21 2011-06-08 翟访评 方便存放手机的裤子
CN202873831U (zh) * 2012-09-16 2013-04-17 郭菊新 男裤
CN203646527U (zh) * 2013-09-02 2014-06-18 红豆集团无锡南国企业有限公司 防辐射保健功能裤
US10813400B2 (en) * 2013-09-21 2020-10-27 Vinh D Doan Hip pocket pants, shorts and skirts
CN203884715U (zh) * 2014-03-10 2014-10-22 张晶艺 一种新型功能裤
US20160007665A1 (en) * 2014-07-09 2016-01-14 Mark Wayne Austin Flex pocket
CN204499523U (zh) * 2014-12-25 2015-07-29 浙江华盛服饰有限公司 一种修长牛仔裤
US11253018B2 (en) * 2014-12-31 2022-02-22 Jason Kuipers Pocket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CN204733953U (zh) * 2015-05-22 2015-11-04 江苏红豆实业股份有限公司 防盗口袋的服装
US20170258158A1 (en) * 2016-03-10 2017-09-14 Phalanx Freewear Inc. Garment with secured pocket
IT201600073939A1 (it) * 2016-07-14 2018-01-14 Bulls & Lions S R L Pantaloni con tasca porta monete staccabile
NL2018603B1 (nl) * 2017-03-29 2018-10-10 Derckules B V Zak voor een kledingstuk, en kled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za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5761C0 (fr) 2023-06-07
US20220232916A1 (en) 2022-07-28
CA3136891A1 (fr) 2020-10-22
WO2020211967A1 (fr) 2020-10-22
FR3095108A1 (fr) 2020-10-23
EP3955761B1 (fr) 2023-06-07
EP3955761A1 (fr) 2022-02-23
CN113747811A (zh) 2021-12-03
FR3095108B1 (fr) 2022-04-08
JP2022529180A (ja) 2022-06-17
ES2956868T3 (es)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400B2 (en) Hip pocket pants, shorts and skirts
US8771036B2 (en) Pocket bra
US2492862A (en) Pocket equipped brassiere
US6176761B1 (en) Sports bra with storage pouch
US20120311758A1 (en) Garment having elasticized waistband with pocket
US8574026B2 (en) Clothing article including a built-in bra
EP2605672B1 (en) System usable in two different modes
KR20190056449A (ko) 여성 속옷
US20130248064A1 (en) Ladies 1st
US3199754A (en) Attachable cigarette case
KR20210151095A (ko) 모바일 폰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격실 주머니를 포함하는 주머니 배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 형태의 바지
US9661879B1 (en) Cell phone compartment in molded cup
JP3168804U (ja) 上着
US20170027311A1 (en) Garment attachable cell phone holder
KR102192728B1 (ko) 핸드폰 간편 휴대 수단
CN107427089B (zh) 具有用于保持或可移除地固定物体的构件的脚部穿戴物
JP4363660B2 (ja) 携帯電話用隠しポケットを有するボトムス
CN208048051U (zh) 户外休闲长裤
JP3196920U (ja) 携帯電話用ポケット
KR102008088B1 (ko) 브래지어
KR200481359Y1 (ko) 브래지어
CN209420965U (zh) 一种内置曲线支撑套的女士内衣
JP3053632U (ja) 上衣における携帯電話機収納専用ポケット
KR200464931Y1 (ko) 외출 겉옷 겸용 올인원
CN201854682U (zh) 方便存放手机的裤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