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503A -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503A
KR20210148503A KR1020200064595A KR20200064595A KR20210148503A KR 20210148503 A KR20210148503 A KR 20210148503A KR 1020200064595 A KR1020200064595 A KR 1020200064595A KR 20200064595 A KR20200064595 A KR 20200064595A KR 20210148503 A KR20210148503 A KR 2021014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loud storage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렌틴 쿨리코프스키
슐루드코올렉산드르
안드리 크레피네비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8503A/ko
Priority to PCT/KR2020/008118 priority patent/WO2021241797A1/ko
Publication of KR2021014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503A/ko
Priority to US17/994,816 priority patent/US2023009234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5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dynamic encryption, e.g.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3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symmetric encryption, i.e. same key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제1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로 전송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MULTI DEVICE DATA EXCHANGE METHOD AND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본 개시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일 디바이스 상에서 클립 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곳에 붙여 넣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디바이스 간에 한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디바이스로 붙여 넣는 것은 SNS나 이 메일과 같은 별도의 서비스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다.
서로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도 클립 보드를 이용한 카피 앤 페이스트(copy and paste) 방법과 같이 간단하게 데이터를 복사하여 붙여 넣는 것이 가능하다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클립 보드를 이용한 카피 앤 페이스트(copy and paste) 방법과 같이 간단하게 데이터를 복사하여 교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로 전송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위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 수 있다.
위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안면, 홍채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위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읽기 및 저장하기가 금지될 수 있다.
위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설정에서 상기 방법의 사용 여부가 관리될 수 있다.
위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자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전송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안면, 홍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읽기 및 저장하기가 금지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설정에서 상기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사용 여부가 관리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위치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매칭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가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교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행되었을 때, 위 방법들의 실행을 야기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을 실시하는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이다.
도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디바이스 별 흐름도이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교환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생체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설정에서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을 실시하는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교환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00), 제2 디바이스(200)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폰, 노트북,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데스크 탑, 스마트 TV, 각종 가전 등과 같은 유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모든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동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소유자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소유자에 속한 것일 수도 있다.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인터넷으로 연결되기만 하면 되는 것이고, SNS나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와 같은 별도의 제3자제공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가 없으며, 각 디바이스 소유자 사이에 어떤 연결도 요구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소스 디바이스로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고, 제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고, 제2 디바이스(200)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일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별도의 사용자 등록 절차 없이 디바이스 기본 설정에 의하여 이용 가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식별 정보와 제1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제2 식별 정보와 제1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 제2 디바이스(200)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서로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탭(tap)하거나, 길게 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통하여 선택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는 소정의 사용자 모션을 수신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방법이 위 기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디바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 각종 센서,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식별 정보는 데이터와 결합되어 데이터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결합시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 의도는 데이터를 수신할 위치를 탭(tap)하거나, 길게 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통하여 선택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 의도는 소정의 사용자 모션을 수신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방법이 위 기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디바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카메라,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가 획득한 생체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100)가 단계 S220에서 획득한 생체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일 수 있다.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식별 정보는 데이터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27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소스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200)는 목적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동일 디바이스 상에서 클립 보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곳에 붙여 넣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100)에서 데이터를 탭(tap)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로 저장하였다가, 제2 디바이스(200)에서 입력 필드를 탭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서 복사해둔 데이터를 붙여 넣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가 각각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은 동일 디바이스 상에서 클립 보드를 이용하는 카피 앤 페이스트(copy and paste)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과정을 쉽고 간단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디바이스 별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는 도1 및 도2 실시예에 기재된 모든 특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9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에 전송하면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에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95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교환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데이터 및 제1 디바이스(100)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제2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2 식별 정보와 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는 제2 식별 정보와 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거나,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6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식별 정보 및 제1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라이빗 키는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제1 디바이스(100)에서 삭제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암호화된 데이터 및 제1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7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데이터를 수신할 위치를 탭(ta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가 제2 디바이스(200)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생체 데이터는 제1 디바이스(100)가 제1 디바이스(100)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의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일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 및 제2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에 전송하면서 클라우드 스토리지(300)에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단계 S730에서 생성된 제2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라이빗 키는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제2 디바이스(200)에서 삭제될 수 있다.
도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생체 데이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의 지문(810), 안면(830, 840), 홍채(82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할 수 있다(810).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전체 스크린 또는 일부 스크린의 지문 센서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810).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홍채 스캐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를 스캔할 수 있다(820).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830, 840). 이 경우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얼굴 외관 인식(visual face identification) 방법(830)을 사용하거나, 얼굴 깊이 식별(depth face identification) 방법(840)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는 공공 디바이스 혹은 타인의 디바이스에서 획득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공공 디바이스 혹은 타인의 디바이스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접근이 시도될 수도 있다.
이에,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데이터에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생체 데이터의 읽기 및 저장하기를 금지할 수 있다.
도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설정에서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본 개시의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전에 제3자가 제공하는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 등에 가입하거나,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단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고, 디바이스 설정에서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즉, 디바이스 간 카피-페이스트(copy-paste) 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이면 본 개시의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간 카피-페이스트 오퍼레이션 서비스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설정에서 와이파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 설정에서 활성화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도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폰과 같은 제1 디바이스(100)는 여행 중 혹은 생활 중에 촬영한 사진을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통하여, 디지털 액자 또는 스마트 냉장고 등과 같은 제2 디바이스(200)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지 두 번의 태핑(tapping) 동작으로 디바이스 간 사진 전송을 완료할 수 있다.
첫 번째 태핑 동작은 스마트 폰(100)의 사진첩에서 선택된 사진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두 번째 태핑 동작은 디지털 액자(200) 또는 스마트 냉장고(200)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간 교환되는 데이터는 동영상, 링크, 텍스트 등의 다양한 양식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IoT 디바이스, 사용자의 다른 스마트 폰, 노트북, 스마트 패드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11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피트니스 센터의 운동 기기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피트니스 센터의 공용 운동 기기(100)에 입력된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통하여 스마트 폰,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디바이스(200)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지 두 번의 태핑(tapping) 동작으로 디바이스 간 정보 전송을 완료할 수 있다.
첫 번째 태핑 동작은 공용 운동 기기(100)의 스크린 상에 있는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두 번째 태핑 동작은 스마트 폰(200) 또는 노트북(200)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는 공용 운동 기기(100)에 개인 정보를 삭제하고 저장될 수 있다.
도1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 A는 좋은 음악을 우연히 듣게 될 수 있다.
사용자 A는 음악이 재생되는 디바이스(100)의 소유자인 사용자 B에게 해당 음원을 공유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B는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본인의 스마트 폰(100)에서 해당 음원을 태핑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로 전송하고, 사용자 A의 스마트 폰(200) 스크린을 태핑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로부터 사 사용자 A의 스마트 폰(200)으로 해당 음원을 전송함으로써 두 번의 태핑 동작으로 용이하게 사용자 A에게 음원을 공유해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A와 사용자 B는 초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간 교환되는 데이터는 음원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도 스마트 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100)으로 보던 야구 게임 등의 컨텐트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스마트 TV(200) 또는 큰 스크린(200)으로 공유하여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단지 두 번의 탭 동작을 통하여 스마트 폰(100)의 컨텐트를 큰 스크린을 가진 디바이스(200)로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방 안의 TV(100)에서 시청하던 컨테트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거실의 TV(200)로 이동시켜 시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개인용 디바이스(100)로부터 회의 자료를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 룸의 스크린(200)으로 복사할 수 있다.
도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선생님은 자신의 디바이스(100)로부터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제자의 디바이스(200)로 수업 자료 또는 과제 등과 같은 데이터를 복사해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학생은 자신의 디바이스(100)로부터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과제 등의 데이터를 선생님의 디바이스(200)로 복사하여 제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의 배포 및 제출은 단지 두 번의 태핑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공용 디바이스(100)로부터 개인용 디바이스(200)로 서류 양식, 설문 조사 등의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개인용 디바이스(100)에서 편리하게 서류를 작성한후,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공용 디바이스(200)로 제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공용 디바이스(100)로부터 개인용 디바이스(200)로 네비게이션 정보, 각종 티케팅 정보, 특정 장소의 지도 등의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도1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A는 처음 만난 사용자 B와 명함 또는 연락처를 교환할 때, 본인의 디바이스(100)로부터 클라우드 스토리지(300)를 이용하여 사용자 B의 디바이스(200)로 두 번의 태핑 동작을 통하여 명함 또는 연락처를 공유해줄 수 있다.
첫 번째 태핑 동작은 사용자 A 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100)의 스크린 상에 있는 사용자 A의 명함 또는 연락처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두 번째 태핑 동작은 사용자 B 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200)의 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은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SoC(system-on-chip)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기재된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컴퓨터에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본 개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위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1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로 전송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안면, 홍채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 데이터인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읽기 및 저장하기가 금지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설정에서 상기 방법의 사용 여부가 관리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위치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자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10.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전송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안면, 홍채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 데이터인 데이터 교환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읽기 및 저장하기가 금지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설정에서 상기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사용 여부가 관리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사용자 의도를 감지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할 위치를 탭(tap)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려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감지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매칭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
  19. 개인 맞춤형 클라우드 스토리지(personalized cloud storage)가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교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20. 제 1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064595A 2020-05-28 2020-05-28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KR20210148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595A KR20210148503A (ko) 2020-05-28 2020-05-28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PCT/KR2020/008118 WO2021241797A1 (ko) 2020-05-28 2020-06-24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US17/994,816 US20230092347A1 (en) 2020-05-28 2022-11-28 Metho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devices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595A KR20210148503A (ko) 2020-05-28 2020-05-28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503A true KR20210148503A (ko) 2021-12-08

Family

ID=7874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595A KR20210148503A (ko) 2020-05-28 2020-05-28 디바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92347A1 (ko)
KR (1) KR20210148503A (ko)
WO (1) WO2021241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8437B1 (en) * 2019-03-20 2019-10-08 Capital One Services, Llc Tap to copy data to clipboard via NFC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4172B2 (en) * 2010-12-15 2013-01-29 Google Inc. Peer-to-peer location service
US9319881B2 (en) * 2013-03-15 2016-04-19 Tyfone, Inc. Personal digital identity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KR101738467B1 (ko) * 2015-12-04 2017-05-23 조승철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명함,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조회 또는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클라우드 서버
KR101922908B1 (ko) * 2016-07-20 2018-11-28 한승현 Iot 기반으로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797A1 (ko) 2021-12-02
US20230092347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9693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の読取方法及び装置
RU2553102C9 (ru) Связь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US8769131B2 (en) Cloud connector key
US8931062B2 (en) Remote displaying
US20140013100A1 (en) Establish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visual codes
US101469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RM content by electronic device
US11042866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US10567534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data
US104399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private communications
WO2019148397A1 (zh) 分解敏感数据存储在不同应用环境中
KR101347804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차량용 에이브이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092347A1 (en) Metho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devices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method
CA3005635C (en) Sharing protected user content between devices
KR102245098B1 (ko)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73404A1 (zh) 用户匹配方法及装置
JP2014150403A (ja) 携帯端末、ドキュメント管理方法、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
US20150082043A1 (en) Terminal, server and digital content authorization method
JP2014157576A (ja) 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JP573890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US9319358B2 (en) Terminal interaction methods and related devices and systems
JP6502955B2 (ja) ユーザー情報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装置、端末装置並びにサーバー
JP5993978B2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US11733934B1 (en)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of printer job settings
JP5221233B2 (ja) 暗号化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暗号化方法
KR20210115807A (ko) 주변 장치를 이용한 위치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