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336A - 데이터 로거 유닛, 센서 유닛,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및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로거 유닛, 센서 유닛,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및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336A
KR20210148336A KR1020217036456A KR20217036456A KR20210148336A KR 20210148336 A KR20210148336 A KR 20210148336A KR 1020217036456 A KR1020217036456 A KR 1020217036456A KR 20217036456 A KR20217036456 A KR 20217036456A KR 20210148336 A KR20210148336 A KR 2021014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ide terminal
characteristic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릭 페테르손-팔크
Original Assignee
에씨티 하이진 앤 헬쓰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씨티 하이진 앤 헬쓰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씨티 하이진 앤 헬쓰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21014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로거 유닛들, 센서 유닛들, 및 특히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것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사항은 또한, 센서 유닛뿐만 아니라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과 협업하도록 제작된 데이터 로거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흡수성 용품용 센서 유닛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로거 유닛과 센서는 확인 단자들을 가진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각각의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들로 인코딩된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연결된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로거 유닛, 센서 유닛,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및 확인 방법
본 발명은 데이터 로거 유닛들, 센서 유닛들, 및 특히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것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사항은 또한, 센서 유닛뿐만 아니라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과 협업하도록 제작된 데이터 로거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흡수성 용품용 센서 유닛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 흡수성 속옷, 위생용 제품 및 요실금 보호대와 같은 흡수성 용품들은 그 용품의 흡수성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시 주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한다.
가정용 세팅(domestic setting)들, 기관용 세팅(institutional setting)들, 건강돌봄 세팅(healthcare setting)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여러 세팅들에서, 그 용품이 그 기능을 발휘하는 만족스러운 흡수 용량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흡수성 용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모니터링은, 흡수하는 흡수성 용품의 용량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돌봄 요원에게 알려주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니터링으로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나 돌봄 요원에 의해 흡수성 용품의 주기적인 체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들은 노동 집약적이다. 더욱이, 흡수성 용품의 교체가 요구되는 빈도 및 흡수성 용품의 요구되는 용량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개인적 요구들에 관하여 모아둔 정보는 합치는 것이 느리고, 빈번하게 그리고 불완전하게 수집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에 결합되는 센서들을 흡수성 용품들에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data logging electronics)는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가 언제 소정의 상태에 도달했는지를 돌봄제공자에게 알릴 수 있다.
흡수성 용품의 흡수성 코어 안에 매립되어 있는 감지 와이어들을 이용하는 장치류가 제안되어 오고 있고, 그래서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가 흡수성 코어 안에 있는 액체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리해서 흡수성 용품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 와이어들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일부 구성들에서, 데이터 로거(data logger)는, 적절한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이용하여 액체가 그 코어 안에 존재한다는 것, 그리하여 흡수성 용품이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사용자 또는 그 근처의 돌봄 제공자에게 알린다.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이러한 로깅 전자장치를 이용하는 것 또한 제안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는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를 원격 단말기 쪽으로 통신할 수 있다.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는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시스템은 특정 유용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초창기에 어린이 돌봄 세팅에서 또는 병원 세팅에서와 같이 사용자들이 돌봄 요원에게 그 요구들을 통신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그러하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원격 단말기는 개개의 사용자들과 연계되어 있는 수많은 데이터 로거들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모을 수 있고, 수많은 개개의 사용자들과 연계되어 있는 수많은 용품들의 흡수 상태는 감소된 요원배치 요건들로 편리하게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들과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를 가지는 이러한 용품들을 제공하는 것은,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스템들을 제공하는 것은 자원 집약적일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센서들과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가 피팅되어 있는 흡수성 용품들이 흡수성 용품들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는 상당히 높은 단위 비용(unit cost)을 가진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 높은 비용은 상당한데, 흡수성 용품들이 통상적으로 하루에 사용자당 그 용품의 몇번의 교체들이 있는 범위까지 빈번한 교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흡수성 용품을 모니터링하도록 적절하게 설계된 흡수성 용품에 제거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는 별개의 로깅 패키지들로서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 및 대응하는 센서들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용품이 교체되는 경우, 이때 로깅 패키지는 제거되어 교체 용품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들은 흡수성 용품의 흡수성 코어에 통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감지 능력은 교체가능한 로깅 패키지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에서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흡수성 용품들은 종종 여러 범위의 형태들과 크기들로 제공되기 때문에, 하나의 타입 또는 크기의 흡수성 용품에 대한 제공에 적절한 로깅 패키지는 또 다른 타입 또는 크기의 흡수성 용품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 열악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장치류와 연계되어 있는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는 흡수성 용품들의 흡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측정하는 더욱 유연연 수단들을 위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로거 유닛에 의해 흡수성 용품용 센서 유닛을 확인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센서 유닛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을 구비한다. 센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를 구비한다. 그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는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을 구비한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정 모듈을 구비한다. 센서 단말기 부분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 맞물린다. 그 맞물림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단자들이 로거-측 센서 부분의 대응하는 단자들과 전기적 연결상태가 되게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의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그 측정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수행된다. 그 측정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수행된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진다. 복수의 확인 단자들은 측정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센서 단말기 부분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센서-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진다. 측정 모듈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복수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측정을 수행한다. 측정은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electrical potential; 전위)들로 인코딩된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측정 모듈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에 대한 기준 퍼텐셜(reference potential; 기준 전위)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센서 유닛의 컨덕터를 통해서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기준 퍼텐셜과 비교하여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로 인코딩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의 레지스터(resistor)는,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확인 단자들과, 기준 퍼텐셜과 상이하되 측정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퍼텐셜로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나머지 확인 단자들은 센서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기준 퍼텐셜은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ground potential; 접지 전위)일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일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일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기준 단자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측정 모듈의 접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센서 접지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준 퍼텐셜은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과 상이한 퍼텐셜일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일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일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공급 단자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측정 모듈의 공급 퍼텐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센서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기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기준 단자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단자의 확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확인된 단자는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세트를 이루는 단자들의 확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세트를 이루는 확인된 단자들은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퍼텐셜들은 이진 숫자(binary digit)들로 된 수열(sequence; 시퀀스)을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이진 숫자들로 된 그 수열로부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값을 디코딩할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센서 유닛의 가요성 기판에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일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그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일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기다란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은, 그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한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축의 한쪽 측면 상에 있되 그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다른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축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부의 축의 다른 쪽 측면 상에 있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가요성 기판의 한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영역은, 감지 요소들 밑에 있도록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이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측면 쪽으로 가요성 기판의 다른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플레이트는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단자를 통해서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측정 모듈이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앞서, 데이터 로거 유닛은 센서 유닛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측정 모듈이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이어서, 데이터 로거 유닛은 센서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또 다른 센서 유닛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흡수성 용품에 제공되어 있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로거 유닛이 제공되어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 및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정 모듈을 구비한다. 로거 단말기 부분은 센서 유닛의 센서-측 단말기 부분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 연결은 센서 유닛과 데이터 로거 유닛을 함께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측정 모듈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진다. 복수의 확인 단자들은 측정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측정 모듈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측정은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로 인코딩된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측정 모듈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 대한 기준 퍼텐셜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기준 퍼텐셜과 비교하여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로 인코딩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의 레지스터는,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확인 단자들과, 기준 퍼텐셜과 상이하되 측정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퍼텐셜로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준 퍼텐셜은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일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일 수 있다. 접지 기준 단자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측정 모듈의 접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준 퍼텐셜은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과 상이한 퍼텐셜일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일 수 있다. 공급 단자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측정 모듈의 공급 퍼텐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단자는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단자의 확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확인된 단자는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측정 모듈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세트를 이루는 단자들의 확인에 의해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트를 이루는 확인된 단자들은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확인 단자들의 퍼텐셜들은 이진 숫자들로 된 수열을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이진 숫자들로 된 그 수열로부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값을 디코딩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센서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흡수성 용품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할 수 있다.
측정 모듈은, 데이터 로거 유닛이 센서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또 다른 센서 유닛에 부착된 후,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데이터 로거 유닛에 대한 연결을 위한 흡수성 용품용 센서 유닛이 제공되어 있다. 센서 유닛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을 구비한다. 센서 유닛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를 구비한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데이터 로거 유닛의 로거-측 단말기 부분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 맞물림은 그렇게 함으로써 센서 유닛과 데이터 로거 유닛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센서 단말기 부분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센서-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진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측정에 의해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데이터 로거 유닛에 연결되는 경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로 인코딩된다.
센서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의 컨덕터를 통해서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기준 퍼텐셜과 비교하여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로 인코딩될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나머지 확인 단자들은 센서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일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일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확인 단자들은 센서의 컨덕터에 의해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센서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기준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센서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단자의 확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확인된 단자는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복수의 단자들의 확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세트를 이루는 확인된 단자들은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을 수 있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퍼텐셜들은 이진 숫자들로 된 수열을 정의할 수 있다. 이진 숫자들로 된 그 수열은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값에 대해 디코딩할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가요성 기판에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일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그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일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기다란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각각의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은, 그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한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축의 한쪽 측면 상에 있되 그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다른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축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부의 축의 다른 쪽 측면 상에 있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 요소들은 가요성 기판의 한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영역은, 감지 요소들 밑에 있도록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이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측면 쪽으로 가요성 기판의 다른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플레이트는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 유닛은 데이터 로거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흡수성 용품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할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센서 유닛에 대해 근위방향에 있는 흡수성 용품 안에서의 체액들의 존재를 비접촉 방식으로 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제 3 양태에 따르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이 제공되어 있다.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의 각각의 센서 유닛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공통 구성을 가진다.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공통 데이터 로거 유닛의 로거-측 단말기 부분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 맞물림은, 센서 유닛들이 데이터 로거 유닛과의 연결상태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징적인 특성은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중에서도 상이한 특징적인 특성일 수 있다. 특징적인 특성은, 데이터 로거 유닛에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센서 유닛의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에 의해 독특하게 특정될 수 있다.
특징적인 특성은 센서 유닛의 기다란 방향에 있는 길이일 수 있다.
특징적인 특성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적 특성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2개의 기다란 감지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특징적인 특성은 감지 요소들 사이의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특징적인 특성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와 연계되어 있는 치수일 수 있다.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은 공통 데이터 로거 유닛에 대한 분리가능한 부착을 위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은 제 2 양태에 따르는 데이터 로거 유닛을 구비한다.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은 제 3 양태에 따르는 센서 유닛을 구비한다. 센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가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배열되어 있도록, 흡수성 용품에 제공되어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데이터 로거 유닛이 센서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와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의 전기적 측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에 관한 정보와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데이터 저장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은 원격 단말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원격 단말기 쪽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통신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통신 유닛 쪽으로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원격 단말기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데이터 로거 유닛은 특징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을 디코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원격 단말기는 특징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을 디코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로서 첨부의 도면들을 이어서 참조하게 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센서 유닛이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용품이 나타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센서 유닛이 나타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과 센서 유닛의 조합이 나타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이 나타나 있으며, 단말기 영역이 노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이 나타나 있으며, 단말기 영역이 클램프 바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과 센서 유닛의 조합이 나타나 있으며, 단말기 영역들이 정렬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과 센서 유닛의 조합이 나타나 있으며, 단말기 영역들이 클램프 바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electrical diagram; 전기적 다이어그램)가 나타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도가 나타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데이터 로깅 유닛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면서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을 형성하는 원격 단말기와 데이터 로깅 유닛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나타나 있다.
도 1에는 흡수성 용품(900), 특히 기저귀의 예시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다. 기저귀(900)는 정면 허리 부분(920), 후면 허리 부분(930), 및 정면 허리 부분(920)을 후면 허리 부분(930)에 연결하는 가랑이 부분(940)을 가진다. 기저귀(900)는, 착용시 사용자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외측 표면, 및 착용시 사용자를 향하여 향하고 있는 내측 표면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기저귀(900)의 구성에서, 정면 허리 부분은 후면 허리 부분(930)에 제공되어 있는 대응하는 탭 부분들(924, 925)과 맞물리도록 제작되어 있는 탭 부분들(921, 922)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접착제 영역들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는 탭들(921, 922)은 탭 부분(924, 925)에 제공되어 있는 접착제 영역들에 부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서의 기저귀(900)의 안전한 피팅(secure fit)이 보장될 수 있다. 기저귀(900)는 또한 착용시 사용자로부터 기저귀 쪽으로 액체 및/또는 고체 분비물(insult)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910)를 가진다. 이러한 코어의 제작구성 및 기저귀의 잔여부의 제작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으로서 전형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는 셀룰로오스 섬유(cellulosic fiber)와 같은 추가 구성요소와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고-흡수성 폴리머와 같은 흡수성 재료를 흡수성 레이어 안에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액체 포착, 액체 분배 및 누출 방지와 같은 기능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레이어들을 구비할 수 있다.
기저귀(900)는 코어(910)에 부드러운 커버링을 제공하는 그 내측 표면 상에 액체 침투성 탑 시트(liquid permeable top sheet)를 가질 수 있다. 기저귀(900)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그 외측 표면 상의 액체 불침투성 백 시트(liquid impermeable backsheet), 및 액체 침투성 탑 시트와 액체 불침투성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91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저귀의 제작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백 시트가 통상적으로 액체 불침투성이기는 하지만 증기 침투성, 다시 말해서 통기성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기저귀(900)는 센서 유닛(100)이 제공되어 있는데, 그 기능은 적절한 측정 전자장치와 협업하여 흡수성 코어(910)의 흡수 상태, 예컨대 습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센서 유닛(100)은 기다란 가요성 스트립의 형태로 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910) 위에 놓이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은, 편평한 상태로 배열되는 경우, 연장부의 방향에 있는 길이방향 축, 및 스트립의 평면에 있지 않지만 연장부의 축을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횡단방향 축을 가진다. 센서 유닛(100)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지만, 곡선형 엣지들이 제공되어 있는 보-타이(bow-tie; 나비 넥타이)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고, 타원형일 수 있고, 또는 또 다른 기다란 형상일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도록 되어 있는 또는 이와 달리 사용자의 신체 상에 자리하게 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기대어 정착되도록 되어 있는 용품(900)과 같은 흡수성 용품들이 내면과 외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형적으로 이해되는데, 그 내면은 사용시 사용자의 신체에 기대어 배열되도록 되어 있는 부위이며, 그 외면은 사용자의 신체의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도록 되어 있는 부위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910)는 흡수성 용품의 내면 상에 있는 한편, 센서 유닛(100)은 흡수성 용품의 외면 상에 제공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히 흡수성 코어(910)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백 시트의 측면 상에 제공되어 있다.
센서 유닛(100)은, 접착제가 있는 레이어를 이용하거나 후크-앤드-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에 의해,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해제가능한 또는 임시 부착수단에 의해 흡수성 용품(90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센서 유닛(100)은 흡수성 용품에 부착된 후에도 흡수성 용품으로부터 해제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바로 그 센서 유닛은 많은 상이한 흡수성 용품들과 재사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평행 평면판 커패시터가 있는 플레이트들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지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이 제공되어 있다. 쌍들을 이루는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흡수성 코어 안에서의 액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가 결정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바라지는 않지만, 흡수성 코어(910) 안에서의 액체의 존재는 센서 유닛(100) 밑에 있는 영역의 유전 상수를 수정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예컨대 플레이트들(111, 112) 위에 있는 공간의 유전 상수를 수정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이러한 플레이트들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센서 유닛과 체액들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다는 의미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흡수성 코어 안의 액체의 탐지를 허용한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100)은 흡수성 코어 또는 흡수성 코어의 영역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액체 불침투성 백 시트와 같은 액체 불침투성 레이어에 의해 흡수성 코어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라도 그러하다. 이는, 감지 요소들로서의 역할을 하는 컨덕터들과 흡수성 코어 안의 액체 사이의 접촉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는 저항형 감지 장치류(resistive-type sensing arrangement)들과 대조적이다.
센서 유닛(100)의 예시적인 구성의 더욱 상세한 도면은 도 2에 나타나 있는데, 이는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이 관찰자를 향하고 있도록 센서 유닛의 한쪽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센서 유닛(100)은, 예컨대 표면 플레이팅에 의해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이 제공되어 있는 가요성 기판(120)을 가진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120)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lexible PCB)일 수 있다.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을 가지고 있는 측면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가요성 기판(120)의 측면 상에는 접지 플레이트(130)가 있는데, 이 접지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가요성 기판(120)의 모든 표면 밑에 있지만, 특히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을 지지하고 있는 그 영역 밑에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 사이의 임피던스에 관한 영향은, 가요성 기판(120)의 반대쪽 측면에 인접한 환경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을 지니고 있는 가요성 기판(120)의 표면 위쪽의 환경에 의해 지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은, 개개의 전도성 트레이스(161, 162, 163, 164)에 의해, 센서 유닛의 단말기 영역(140) 안에 배열되어 있는 개개의 전도성 패드들(151, 153, 154)에 연결되어 있다.
전도성 트레이스(161, 162, 163, 164)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은 폴리머 상의 얇은 필름과 같은 유전 물질로 된 레이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패드들(151, 153, 154)은, 나중에 기술될 측정 및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와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 사이의 연결을 수월하게 하는 단자들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가요성 기판(120)의 표면에서 노출되어 있다.
플레이트들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플레이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들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다란 것일 수 있다. 플레이트들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플레이트들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축을 가로질러 배열되어 있는 쌍들로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들은 평행할 수 있고, 또는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들의 배열 및 가요성 기판 상의 개개의 포지션들에서의 폭넓은 변형이 고려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0)이 기저귀(900)의 흡수성 코어(910)의 길이에 맞게 제작되어 있는 경우라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100)이 너무 긴 경우라면,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은 액체가 흡수되는 것이 예상되지 않는 기저귀(900)의 영역들 위에 놓일 수 있고, 그리하여 민감도는 감소될 수 있으며, 또는 기저귀(900) 안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영향이 잘못된 판독들을 유발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센서 유닛(100)이 길이방향 흡수성 코어(910) 안의 흡수성 코어(910)보다 상당히 더 짧은 경우라면, 이때 액체는 센서 유닛(100)이 액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는 위치들에서 흡수성 코어(910) 안에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 또는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을 지니고 있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가 공존하고, 예컨대 흡수성 코어의 개개의 치수의 20% 내지 100% 사이에서, 선택사항으로는 30% 내지 80% 사이에서, 또는 더욱 선택사항으로는 40% 내지 60% 사이에서 흡수성 코어와 비슷한 길이 및/또는 폭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적절한 것으로 고려되어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910)를 구획하는 직사각형 및 편평한 상태에서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을 구획하는 직사각형은 비슷한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코어(910)의 구성은 나타나 있는 것보다 상당히 더욱 복잡할 수 있고, 흡수성 코어(910)는 상이한 흡수도들 및/또는 상이한 폭들을 가지는 상이한 영역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100) 상에서의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의 레이아웃은 흡수성 코어(910)의 이러한 구성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플레이트들은 흡수성 코어의 경계 내부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을 수 있지만, 흡수성 코어의 장기간 저장 영역과 같은 특정 위치와 공존하도록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제작은 이러한 흡수성 코어들과 더불어 사용되는 경우에만 가장 효과적인 센서 유닛(100)을 제시한다. 센서 유닛(100)은 상이한 구성의 흡수성 코어와 더불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효과적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910)에서의 가장 흔한 변형은 사용자의 상이한 연령들과 가장 일반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이한 사이즈들에 대처하기 위해서 기저귀(900)의 크기에서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신생아에게 제공되도록 되어 있는 기저귀와 더불어 사용하기에 적합한 센서 유닛(100)은, 예컨대 성인 남성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는 기저귀와 더불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100)의 적정한 선택은 그것이 함께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흡수성 용품에 밀접하게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이한 흡수성 용품들이 임의의 특정 정황에서 제공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라면,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 유닛(100)들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정 타입의 흡수성 용품(900)과의 사용을 위한 각각의 타입의 센서 유닛(100)은 유사한 구성을 가진 다른 센서 유닛들과 하나 이상의 특징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수들, 특히 가요성 기판(120)의 길이 및/또는 패드들(111, 112, 113, 114)의 포지션들과 치수들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0)의 전기적 특성들은 유사한 구성을 가진, 예컨대 자유 공간에서 측정된 플레이트들 사이의 커패시턴스들 또는 임피던스들을 가진 다른 센서 유닛들과 상이할 수 있다.
중요하게도,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0)은 그 자체로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0)이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센서 유닛(100)은 데이터 로깅 유닛(200)과 조합되어 있고, 그래서 데이터 로깅 유닛(200)은 전기적 신호들을 센서 유닛(100) 쪽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센서 유닛(100)의 전기적 특성들에서의 변화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의 구성에서, 데이터 로깅 유닛은 단말기 영역(140) 안에 제공되어 있는 패드들(151, 152, 153, 154)을 이용하여 쌍들을 이루는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 사이의 전기 퍼텐셜들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예시적인 구성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데이터 로깅 유닛(200)은, 나중에 기술될 데이터 로깅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인클로저(enclosure)(210)를 가진다.
인클로저(210)의 단말기 영역(220)에서, 단자들(231, 232, 233, 234)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센서 유닛(100)의 패드들(151, 152, 153, 154)에 대응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단자들(231, 232, 233, 234)은 예컨대 스프링 단자들로서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단자는, 그 안에 단말기 영역(220)이 형성되어 있는 인클로저(210)의 표면에 기대어 눌려 있는 컨덕터와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인클로저(210)의 단말기 영역(220)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해 있는 가요성 컨덕터 플레이트들로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장치류는 여기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단자 장치류들 또한 특정 구성을 위한 그 자체의 적합성에 따라 스프링 단자를 위하여 대체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장치류들은, 예컨대 메자닌 커넥터(mezzanine connector)들, 플러그-앤드-소켓 커넥터(plug-and-socket connector)들, 정합형 잭(registered jack) 또는 모듈형 커넥터(modular connector)들, 포고-핀 커넥터(pogo-pin connector)들, 팁-링-슬리브 커넥터(tip-ring-sleeve connector)들, D-서브미니어처 커넥터(D-subminiature connector)들, 딘 커넥터(DIN connector)들,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지 바와 같이 다른 단자 또는 커넥터 타입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들이 암수구별되어 있는 곳에서, 수형 부품(male part)이나 암형 부품(female part) 중 어느 하나가 데이터 로깅 유닛(200)에 제공될 수 있고, 수형 부품이나 암형 부품 중 다른 하나가 센서 유닛(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장치류들은 또한, 특별히 이러한 커넥터들의 잠금고정형 또는 이와 달리 정착식 변형들이 제공되는 경우, 물리적인 맞물림상태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상태에 있도록 데이터 로깅 유닛(200)과 센서 유닛(100)을 보유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단말기 영역(220)은 센서 유닛(110)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영역(140)에 대응하는데, 이는 데이터 로그(200)의 단말기 영역(20) 안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들(231, 232, 233, 234)의 개수와 위치들이 센서 유닛(100)의 패드들(151, 152, 153, 154)의 개수와 위치들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에 따라,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이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단말기 영역(220)에 기대어 자리하게 되는 경우, 데이터 로깅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으로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자들(231, 232, 233, 234)에 의해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과 연계된 전기적 신호들을 공급하고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단말기 영역(220)에 기대어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로깅 유닛(200)은, 인클로저(210) 안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들(241, 242) 속에 프레스-피팅(press-fit)되는 미도시된 돌출부들을 가지는 맞물림 요소, 여기에서는 클램프 플레이트(250)를 구비한다. 이 구성은 도 5에 나타나 있다. 프레스 피팅을 이용하여, 클램프 플레이트(250)는 단말기 영역(220)에 기대어 힘을 가하고, 이는 클램프 플레이트(250)가 개재된 센서 스트립을 정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단말기 영역(220)에 기대어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 채택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은 단말기 영역(220)에 기대어 자리하게 되고, 그래서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단자들(231, 232, 233, 234)은 센서 유닛(100)의 패드들(151, 152, 153, 154)과 정렬된다.
이때, 클램프 플레이트(250)의 돌출부들이 인클로저(210)의 구멍들(241, 242)과 맞물리도록, 클램프 플레이트(250)는 인클로저(210)에 제공되어 있다. 최종 구성은 도 7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는 클램프 플레이트(250)가 인클로저(210)의 단말기 영역(220)에 기대어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을 정착시키며, 그렇게 함으로써 센서 유닛(100)은 데이터 로깅 유닛(200)에 적절하게 정착되어 연결되고, 그래서 데이터 로딩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의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 쪽으로 신호들을 확실하게 보내거나 그 플레이트들로부터 신호들을 각각 얻을 수 있다.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로깅 유닛(200)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 유닛(100)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플레이트들의 상이한 배열들 및/또는 센서 유닛(100)의 상이한 치수들은 센서 유닛(100)이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용품 안에서의 상이한 조건들 하에서 임피던스에서의 상이한 변화들을 일으킬 것이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나 있는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구성, 특히 연계된 단자들(231, 232, 233, 234)이 있는 단말기 영역(220)의 구성은, 데이터 로깅 유닛(200)과 더불어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플레이트들(111, 112, 113, 114)의 상이한 구성들을 가지고 있지만 단말기 영역(140) 안에 유사하게 구성된 패드들(151, 152, 153, 154)이 있는 다양한 센서 유닛(100)들을 감안한 것이다.
어떤 센서(100)가 어떤 특정 데이터 로깅 유닛(200)과 연계되어 있는지를 사용자, 돌봄제공자 또는 시스템의 조작자가 수동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서, 이 정보는 데이터 로깅 유닛으로부터의 결과들을 해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로깅 유닛(200)이 그것이 연결되어 있는 센서 유닛(100)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경우라면 유리하고, 그래서 이 정보는 추가적인 자동화된 데이터-처리 조작들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그리고 에러들을 피하기 위해서 중간에 이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8 내지 도 15에 대한 관계에서 아래에 더욱 기술될 바와 같이 데이터 로깅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을 확인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안쪽 인클로저(210)는, 전체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일부로서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측정 유닛(MEAS)이 제공되어 있다.
측정 유닛(MEAS)은 복수의 아날로그 측정 단자들(A0 내지 A15) 및 복수의 디지털 감지 단자들(D0 내지 D7)을 가지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MC)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MC)는 전력 공급장치(power supply; PWR)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전도성 와이어링을 이용하여 인클로저(210)의 단자 영역(220)에 제공되어 있는 일련의 단자(230)들에 연결되어 있는 아날로그 감지 단자들(A0 내지 A15)과 디지털 감지 단자들(D0 내지 D7) 중에서 선택된 단자들을 가진다.
이들 단자들에 있어서, 서브세트를 이루는 단자(230a)들은 서브세트를 이루는 아날로그 감지 단자들(A0 내지 A15)에 연결되어 있고, 서브세트를 이루는 단자(230c)들은 디지털 단자들(D0 내지 D2)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단자(230b)들 중 하나는 측정 유닛(MEAS)의 접지(GND)에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구성에서, 단말기 영역(220)의 단자(230c)들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의 디지털 단자들(D0 내지 D7)은 또한 개개의 풀-업 레지스터들(R1, R2, R3)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장치(PWR)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방-회로 상태에서, 단자(230c)들은 로지컬 하이(logical HIGH) 또는 이진수 1에 대응하는 상승된 포텐셜로 유지되어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MC)의 아날로그 감지 단자들(A0 내지 A15)에 연결되어 있는 단자(230a)들은 퍼텐셜들, 예컨대 정전식 퍼텐셜 또는 진동식 퍼텐셜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단자(230a)들 중 임의의 것 사이의 간단한 또는 복잡한 임피던스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퍼텐셜들의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단자(230a)들은 측정 단자들로 지칭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정 유닛(100)과의 협업을 위하여 그리고 이에 대한 관계에서의 설명을 위하여, 도 9에는 센서 유닛(100)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구성에서, 패드들(111, 112, 113, 114, 115, 116)에 해당하는 6개의 감지 패드들이 제공되어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드들의 개수와 레이아웃은 적용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패드들(111, 112, 113, 114, 115, 116)은 개개의 전도성 트레이스들에 의해 단말기 영역(140)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단말기 영역(140)에 존재하는 단자들에 있어서, 세트를 이루는 단자(150a)들은 개개의 패드들(111, 112, 113, 114, 115, 116)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단자(150a)들뿐만 아니라 단자(230a)들은 측정 단자들로서 지칭된다.
단자(150b)는 접지 플레이트(130)에 연결되어 제공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세트를 이루는 단자(150c)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그 중 순차적인 순서로 되어 있는 제 1 단자와 제 3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단자는 연결해제된 상태로 남겨져 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개방 회로로 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나 있는 센서 유닛(100)이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정 유닛(MEAS)을 가지는 데이터 로깅(2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접지 단자(230b)는 접지 단자(150b)에 연결되며 이로써 센서 유닛으로부터 기준 접지를 제공할 수 있고, 감지 단자(230a)들은 감지 단자(150a)들에 연결되며 이로써 측정 유닛(MEAS)이 선택된 쌍들을 이루는 패드들(111, 112, 113, 114, 115, 116) 사이의 임피던스드을 측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그리고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단자(230c)들은 센서 유닛(100)의 대응하는 단자(150c)들에 연결되고, 그래서, 센서 유닛 측에서 함께 연결되어 있고 더욱이 접지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순차적인 제 1 단자(1)와 제 3 단자(3)는 접지, 다시 말해서 디지털 로우 또는 이진수 0 퍼텐셜에 도달한다. 대조적으로, 단자들(230c, 150c) 중 순차적인 제 2 단자는 풀-업 레지스터(R2)의 동작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장치(PWR)와 연계되어 있는 디지털 하이 퍼텐셜로 유지되어 있다.
단자(150c)들에 있어서,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단자들, 및 개방상태로 남겨져 있는 단자들은 마이크로컨트롤러(MC)의 디지털 단자들(D0 내지 D7)에서 탐지되는 로지컬 하이 퍼텐셜 또는 로우 퍼텐셜의 관점에서 퍼텐셜들을 결정한다. 이들 단자들은 데이터 로깅 유닛(200)에 제공되어 있는 센서 스트립(100)의 특징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150c)들뿐만 아니라 단자(230c)들은 확인 단자들로서 지칭된다.
도 10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중에 기술되는 실시예들과의 비교의 용이성을 위하여, 확인 단자(150C)들 중 일정한 것의 연결 또는 함께 하는 연결은 이진수, 예컨대 세자리 이진수를 인코딩할 수 있다. 디지털 단자들(D0 내지 D7) 중 임의의 것은 이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명시하기 위하여, 도 9에는 변형 구성이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는 D0 내지 D2 대신 서브세트를 이루는 단자들(D5 내지 D7)이 센서(100)의 확인을 위하여 사용되어 있다.
도 9와 도 10에 나타나 있는 구성에서, 순차적인 제 1 및 제 3 단자(150c)들은 함께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순차적인 제 2 단자는 개방 회로로서 남겨져 있다. 이는 이진 숫자(010)로 된 수열 또는 십진 표기 2(이)로 된 수열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대체 구성에서, 각각의 제 1 단자와 제 3 단자는 접지에 대한 독립적인 연결을 간단히 가질 수도 있다.
확인 단자(150c)들의 상이한 단자들을 함께 연결하는 것, 및 이들 단자들을 접지에 연결하는 것은 3개의 상이한 십진수들을 이진 숫자들로 된 수열로서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는, 디지털 로우(digital LOW)(또는 이진수 0)를 표현하기 위해서 일정한 단자들을 접지에 함께 연결하는 것, 및 디지털 하이(digital HIGH)(또는 이진수 1)를 표현하기 위해서 일정한 단자들을 개방상태로 남겨 두는 것을 이용하여, 단자(150c)들 상에 존재하고 있는 일련의 3개의 이진 숫자들이 상이한 크기들과 타입들의 흡수성 용품을 위하여 적합한 센서 스트립(100)의 상이한 길이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위한 예시 가능성들을 보여준다.
이진 수열 십진 등가 크기
000 0 테스트
001 1 작은 성인
010 2 중간 성인
011 3 큰 성인
100 4 작은 유아
101 5 중간 유아
110 6 큰 유아
111 7 스트립 연결 없음
이에 따라, 단 3개의 단자들을 가지고, 어떠한 스트립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포함하여 센서 스트립의 8가지 상태들이 확인될 수 있다. 더욱이, 센서 유닛(100) 측면 상에는 어떠한 별도의 구성요소들도 필요로 하지 않고, 확인 인코딩은 일정한 단자(150c)들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예컨대 가요성 기판(120)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들에 의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스트립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이 확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센서 유닛(100) 상의 센서 스트립 상에 제공되어 있을 수 있는 정황과 비교하여 변형 하에서도 튼튼하다.
추가 변형 구성은 도 11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는 데이터 로거(200)의 단말기 영역(220)의 확인 단자(230c)들이, 풀-다운 레지스터들로서의 역할을 하는 개개의 레지스터들(R1, R2, R3)을 통해 접지(GND)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의 선택된 확인 단자(150C)들은 함께 연결되어 있고, 전력 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로딩 유닛(200)의 단말기 영역(220)의 단자(230d)와 대응하는 추가 단자(150d)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들(230d, 150d)은 전력 공급장치 단자들로서 간주될 수 있다.
풀-다운 레지스터들(R1, R2, R3)의 결과로서, 확인 단자(230C)들은 개방-회로 상태에 있는 경우 디지털 로우(또는 이진수 0)로서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력 공급장치 단자(150C)와 전력 공급장치 단자(230D)를 통해서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전력 공급장치(PWR)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확인 단자(150D)에 연결되는 경우, 선택된 확인 단자(230C)들은 디지털 하이(또는 이진수 1)에 대응하는 퍼텐셜로 세팅될 것이다.
다시, 도 10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그 단자들이 전력 공급장치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개방-회로 상태로 남겨져 있는 선택은 데이터 로깅 유닛(200)에 연결되어 있는 센서(100)의 특징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추가 변형예에서, 5개의 디지털 단자들(D3 내지 D7)은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단말기 영역(220) 상의 5개의 확인 단자(230c)들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이들 단자들은 개개의 레지스터(R1, R2, R3, R4, R5)를 통해서 전력 공급장치(PWR)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R1, R2, R3, R4, R5는 풀-업 구성으로 조작된다.
센서 유닛(100) 측면 상에서, 센서 유닛(100)의 단말기 영역(140)에 제공되어 있는 대응하는 확인 단자(150c)들 중 선택된 하나는 연결해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한편, 나머지 확인 단자(150c)들은 접지(130)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진 인코딩(binary encoding)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치 인코딩(numerical encoding)을 사용하는데, 여기에서는 접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순차적인 개수의 단자(150c)가, 연결되어 있는 센서(100)의 타입을 인코딩한다. 센서 타입의 디코딩은 도 12의 구성보다 더 간단하지만, 더 수많은 확인 단자(230c)는 도 10과 도 11의 이진 인코딩 변형예들과 비교하여 소정의 많은 타입들의 센서 유닛(100) 사이에서의 확인을 허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실시예에 있는 8개의 단자들에서는 8가지 타입들의 센서 유닛(100)이 인코딩될 수 있는데 반해, 도 10이나 도 11의 변형예에서는 2^8(2의 8승) 또는 다시 말해서 256개의 상이한 구성들이 8개의 확인 단자들로 인코딩될 수 있다.
추가 변형예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센서 유닛(100)의 타입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하나를 제외한 센서 유닛(100)의 모든 확인 단자(150c)들을 접지하는 것이 아니라,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접지되고 나서, 부착되는 센서 유닛(100)의 특징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하나를 제외한 모든 단자(150c)들이 개방 회로로서 남겨져 있다.
추가 구성은 도 14에 나타나 있고, 도 11의 구성에서 그러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로거(200)의 전력 공급장치(PWR)에 대한 전력 연결은 데이터 로깅 유닛(220)의 단말기 영역(220)의 전력 공급장치 단자(230d)에 제공되어 있다. 전력 공급장치 단자(230d)는 센서 유닛(100) 상의 단말기 영역(140)의 전력 공급장치 단자(150d)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로깅-유닛 측면 상에서 확인 단자(220c)들은 풀-다운 레지스터들로서 기능하는 레지스터들(R1, R2, R3, R4, R5)을 통해서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센서-유닛-측면 상에서 확인 단자(150c)들 중 선택된 하나는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서 전력 공급장치 단자(150d)에 연결되어 있는데 반해, 다른 확인 단자들은 개방 회로로서 남겨져 있다. 이에 따라, 확인 단자(150c)들 중 선택된 하나는 디지털 하이에 대응하는 퍼텐셜에 세팅되어 있는 한편, 나머지 확인 단자(150c)들은 디지털 로우에 유지되어 있다. 디지털 로우로서 세팅되어 있는 단자의 선택은 사용되는 센서(100)의 특징을 인코딩한다.
추가 변형예는 도 15에 나타나 있으며, 도 14에 나타나 있는 구성에 대응하는데, 이는 개방 회로에 유지되어 있는 하나를 제외한 센서-유닛-측면 상의 모든 확인 단자(150c)들이 디지털 하이에 대응하도록 전력 공급장치 단자(150d)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그러하다. 결과로서, 디지털 로우에 대응하는 개방 회로로서 유지되어 있는 단자의 선택은 연결되어 있는 센서(100)의 타입을 인코딩한다.
위에서, 개시사항은 데이터 로거(200)의 전력 공급장치(PWR)에 관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교체가능한 배터리, 비-사용자 교체가능한 배터리,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일회용 배터리, 또는 기술되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로깅 유닛을 공급하는 요구들을 충족할 수 있는 임의의 대체 전력 공급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 로깅 유닛(200)의 인클로저(210)는, 유지관리와 조정, 예컨대 전력 공급장치의 교체를 허용하도록 개방가능할 수도 있고 밀봉될 수도 있는 예컨대 플라스틱 인클로저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은 센서 유닛의 확인에 관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그 센서 유닛은 커패시터의 플레이트들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지 플레이트들을 이용하여 흡수성 용품의 상황을 측정하며 이로써 흡수성 용품의 흡수성 코어 안의 액체의 존재와 연계되어 있는 인덕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위 개시사항이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센서 유닛과의 연결상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시되어 있는 개시사항이 센서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그 센서들은 저항형 기반에서 조작될 수도 있고, 일정한 화학물질의 존재에 대해 반응하거나 이와 달리 반응할 수도 있고, 그리고 감지 요소들로 흡수성 코어를 관통함으로써 또는 흡수성 용품의 흡수성 코어와 감지 요소들의 감각적 연합이 있는 다른 수단에 의해 흡수성 용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개시사항은 기저귀들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본 개시사항이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들은, 제한없이, 흡수성 패드, 팬티-타입 기저귀, 벨트-타입 기저귀, 요실금 보호대, 상처 드레싱, 위생 냅킨과 같은 위생 제품류와 같은 또 다른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의 감지를 위한 센서들에 적용될 수 있다.
위 개시사항에서, 데이터 로깅 유닛은, 메모리(MRY)가 장비되어 있고 거기에 주기적인 측정치들 저장되어 있는 자립형 데이터 로깅 유닛일 수 있다. 이들 주기적인 수정사항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의 패턴을 평가하기 위해서 데이터 로거로부터 관리 콘솔,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쪽으로 나중에 다운로딩될 수 있다. 데이터 로깅 유닛은 유선 연결을 거쳐 다운로딩하기 위한 USB 포트와 같은 데이터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무선 구성을 거쳐 다운로딩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단거리 무선 데이터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데이터 로깅 유닛은 흡수성 용품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예컨대 데이터 로깅 유닛으로부터의 (예컨대 버저에 의한) 청각적 또는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또는 LED에 의한) 시각적 출력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흡수성 용품의 상태에서의 변화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흡수성 용품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데이터 로깅 유닛은 원격 단말기와 연계되어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원격 단말기는 랩탑, 스마트폰과 같은 포터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서버나 가상 서버일 수도 있다. 데이터 로깅 유닛은, 원격 단말기 쪽으로 측정의 결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흡수 상황의 변화에 관한 탐지시 또는 필요시 주기적으로 원격 단말기에 신호하도록 무선 링크에 의해 원격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6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측정 유닛(measurement unit; MES),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MCO), 메모리(memory; MRY), 및 전송 컨트롤러(transmission controller; TX)에 추가하여 데이터 로깅 유닛이 제공되어 있다.
도 16의 구성에서, 데이터 로거(200)는 센서 유닛(100)을 통해서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태의 측정을 주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측정의 결과는 메모리 컨트롤러(MCO)에 의해 메모리(MRY) 안에 기록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일정에 따라 또는 소정의 개수의 측정들이 이루어진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MCO)는, 무선 링크(wireless link; LNK) 상에서 전송되도록 메모리(MRY) 안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 컨트롤러(TX)를 통해, 원격 단말기(300)의 수신 컨트롤러(reception controller; RX) 쪽으로 보낼 수 있다.
원격 단말기(30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결합되어 있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가 제공되어 있다. 수신 컨트롤러(RX)에 의해 무선 링크(LNK)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 안에 중앙 처리 장치(CPU)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원격 단말기(300)는 단일의 데이터 로깅 유닛(200)과 연계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데이터 로깅 유닛(200)과 연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트롤러(UI)는 데이터 로거(200)와 연계되어 있는 흡수성 용품의 흡수 상황에 관한 연혁적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DB)를 조회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트롤러(UI)는 원격 단말기(200)와 연계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로거(200)들로부터의 결과들을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DB)를 조회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6에서, 데이터 로거(200)와 원격 단말기(300)는 관리 시스템(400)을 이루고 있다. 관리 시스템(400)에서, 메모리(MRY)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 컨트롤러(measurement controller; MCO)가 센서 유닛(100)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센서 유닛(100)의 특징은 메모리(MRY) 안의 측정의 결과와 함께 저장될 수 있고, 무선 링크(LNK)를 거쳐 원격 단말기(300) 쪽으로 측정의 결과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측정 유닛(MEAS)은, 무선 링크(LNK)를 거쳐 측정 값들과 함께 전송될 수 있는 확인 단자(230c)의 측정치들을 메모리(MRY) 속에 간단히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원격 단말기(300)의 데이터베이스(DB)는 측정과 연계되어 있는 센서 유닛(100)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 단자(230c)들 안에 제공되어 있는 확인 정보의 디코딩을 가능케 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위 구성에서, 측정 유닛(MEAS)은 센서 유닛(100)을 이용하여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에 관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측정치로 센서 유닛(100)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대체 구성에서, 확인 단자(230c)들 중 하나의 상태에서의 변화에 의해 탐지될 수 있는 결정은, 일단 센서 유닛(100)이 데이터 로거 유닛(200)에 연결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위 개시사항은 특정한 예시들에 대해 이루어진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고 기술되어 있는 유리한 구성들,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에서의 다양한 개념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질적인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나타나 있는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2)

  1. 데이터 로거 유닛에 의해 흡수성 용품용 센서 유닛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 유닛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 및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 및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감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센서 단말기 부분은,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단자들이 상기 로거-측 센서 부분의 대응하는 단자들과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 맞물리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의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측정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지고 있고;
    상기 센서 단말기 부분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지고 있고;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복수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에 기준 퍼텐셜을 제공하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컨덕터를 통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기준 퍼텐셜과 비교하여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상기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들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레지스터는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상기 확인 단자들과, 상기 기준 퍼텐셜과 상이하되 상기 측정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퍼텐셜로 유지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나머지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퍼텐셜은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이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이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접지 기준 단자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센서 접지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퍼텐셜은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과 상이한 퍼텐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이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이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공급 단자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측정 모듈의 공급 퍼텐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센서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기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접지 기준 단자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상기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단자의 확인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단자는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상기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세트를 이루는 단자들의 확인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세트를 이루는 확인된 단자들은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2 항, 또는 제 2 항의 종속항으로서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상기 퍼텐셜들은 이진 숫자들로 된 수열을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이진 숫자들로 된 상기 수열로부터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값을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요소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가요성 기판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이고,
    상기 감지 요소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상기 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이고,
    상기 감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기다란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은, 상기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한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상기 축의 한쪽 측면 상에 있되 상기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다른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상기 축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부의 상기 축의 다른쪽 측면 상에 있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요소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한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고,
    전도성 영역은, 상기 감지 요소들 밑에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이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측면 쪽으로 상기 가요성 기판의 다른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는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단자를 통해서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이 상기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앞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이 상기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이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또 다른 센서 유닛에 부착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흡수성 용품에 제공되어 있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로거 유닛으로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로거-측 단말기 부분, 및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로거 단말기 부분은 상기 센서 유닛의 센서-측 단말기 부분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기 센서 유닛과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을 함께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측정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로거-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지고 있고;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확인 단자들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에 대한 기준 퍼텐셜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기준 퍼텐셜과 비교하여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상기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레지스터는,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상기 확인 단자들과, 상기 기준 퍼텐셜과 상이하되 상기 측정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퍼텐셜로 유지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3.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퍼텐셜은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이고;
    상기 접지 기준 단자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5.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퍼텐셜은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과 상이한 퍼텐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6. 제 20 항,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이고;
    상기 공급 단자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측정 모듈의 공급 퍼텐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측정 모듈의 접지 퍼텐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상기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단자의 확인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단자는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29. 제 20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상기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세트를 이루는 단자들의 확인에 의해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트를 이루는 확인된 단자들은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30. 제 21 항, 또는 제 21 항의 종속항으로서 제 22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자들의 상기 퍼텐셜들은 이진 숫자들로 된 수열을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이진 숫자들로 된 상기 수열로부터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값을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31. 제 20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32. 제 20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흡수성 용품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33. 제 2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이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분리되고 나서 또 다른 센서 유닛에 부착된 후, 전기적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로거 유닛.
  34.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데이터 로거 유닛에 대한 연결을 위한 흡수성 용품용 센서 유닛으로서,
    상기 센서 유닛은 센서-측 단말기 부분, 및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의 로거-측 단말기 부분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기 센서 유닛과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단말기 부분은 복수의 확인 단자들을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에서 가지고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복수의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측정에 의해 상기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단말기 부분은 기준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의 컨덕터를 통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기준 퍼텐셜과 비교하여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각각의 상기 확인 단자들에서의 퍼텐셜로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나머지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접지 기준 단자이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 유닛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접지 기준 단자에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38. 제 35 항,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기준 단자는 공급 단자이고;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단자들은 상기 센서의 컨덕터에 의해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센서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은 접지 기준 단자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0. 제 34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센서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상기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단일의 단자의 확인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확인된 단자는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1. 제 34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 중에서도, 상기 기준 퍼텐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복수의 단자들의 확인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세트를 이루는 확인된 단자들은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2. 제 34 항, 또는 제 34 항의 종속항으로서 제 35 항 내지 제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퍼텐셜들은 이진 숫자들로 된 수열을 정의하고,
    이진 숫자들로 된 상기 수열은 상기 특징적인 특성과 상관관계에 있는 값에 대해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3. 제 34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요소들은 가요성 기판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이고,
    상기 감지 요소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연장부의 상기 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연장부의 축을 따라 기다란 것이고,
    상기 감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기다란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은, 상기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한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상기 축의 한쪽 측면 상에 있되 상기 쌍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 중 다른쪽 플레이트가 연장부의 상기 축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부의 상기 축의 다른쪽 측면 상에 있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6.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요소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한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고,
    전도성 영역은, 상기 감지 요소들 밑에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쌍들을 이루는 전도성 플레이트들이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측면 쪽으로 상기 가요성 기판의 다른쪽 표면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는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8. 제 34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49. 제 34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흡수성 용품에 분리가능하게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50. 제 34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에 대해 근위방향에 있는 흡수성 용품 안에서의 체액들의 존재를 비접촉 방식으로 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
  51. 제 34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로서,
    상기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은, 상기 센서 유닛들이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과의 연결상태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공통 데이터 로거 유닛의 로거-측 단말기 부분과의 맞물림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는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공통 구성을 각각 가지고 있고,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중에서도 상이한 특징적인 특성이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에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센서 유닛의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전기적 퍼텐셜들에 의해 독특하게 특정되는 특징적인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센서 유닛의 기다란 방향에 있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와 연계되어 있는 전기적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2개의 기다란 감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감지 요소들 사이의 커패시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5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적인 특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와 연계되어 있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56. 제 51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데이터 로거 유닛에 대한 분리가능한 부착을 위하여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상호교환가능한 센서 유닛들.
  57. 제 20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데이터 로거 유닛;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가 흡수성 용품의 위생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배열되어 있도록 상기 흡수성 용품에 제공되어 있는, 제 34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센서 유닛;
    을 포함하고 있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이 상기 센서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와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 단자를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의 전기적 측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상기 전기적 퍼텐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데이터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의 상기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상기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59. 제 57 항 또는 제 58 항에 있어서,
    원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원격 단말기 쪽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상기 통신 유닛 쪽으로 상기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기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센서 유닛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상기 전기적 측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61. 제 57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 유닛은 상기 특징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상기 전기적 퍼텐셜들을 디코딩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62. 제 59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단말기는 상기 특징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로거-측 단말기 부분의 상기 확인 단자들의 상기 전기적 퍼텐셜들을 디코딩하도록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KR1020217036456A 2019-04-15 2019-04-15 데이터 로거 유닛, 센서 유닛,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및 확인 방법 KR20210148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59672 WO2020211922A1 (en) 2019-04-15 2019-04-15 Data logger unit, sensor unit, absorbent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identifica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336A true KR20210148336A (ko) 2021-12-07

Family

ID=6625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456A KR20210148336A (ko) 2019-04-15 2019-04-15 데이터 로거 유닛, 센서 유닛, 흡수성 용품 관리 시스템 및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170874A1 (ko)
EP (1) EP3956638A1 (ko)
JP (2) JP2022528997A (ko)
KR (1) KR20210148336A (ko)
CN (1) CN113710990A (ko)
AU (1) AU2019440869A1 (ko)
BR (1) BR112021018767A2 (ko)
CA (1) CA3134131A1 (ko)
CO (1) CO2021013791A2 (ko)
MX (1) MX2021012650A (ko)
WO (1) WO2020211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5805A1 (de) 2021-03-10 2022-09-15 B-Horizon GmbH Verfahren zur sensorischen Erfassung von Temperatur, Feuchtigkeit und/oder Druck an einer Windelinnenfläche einer Windel
WO2024061465A1 (en) * 2022-09-22 2024-03-28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Voiding data logging device sensing a filling state during an acquisition cycle
WO2024061464A1 (en) * 2022-09-22 2024-03-28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Voiding data logging device for sensing a filling state of an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7608B2 (en) * 2007-04-30 2010-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device lock and key and device ID
US7749170B2 (en) * 2007-05-22 2010-07-06 Tyco Healthcare Group Lp Multiple configurable electronic thermometer
WO2011054045A1 (en) * 2009-11-06 2011-05-12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Improvements in incontinence monitoring and assessment
JP5928107B2 (ja) * 2012-04-06 2016-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サーシステム、センサーモジュール
CN105142587B (zh) * 2013-04-30 2019-07-09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吸收性物品管理中的事件驱动转换
EP2992662B1 (en) * 2013-04-30 2020-06-1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Monitoring and displaying an absorption state of an absorbent article
US9739681B2 (en) * 2014-10-29 2017-08-22 Kulite Semiconductor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ly identifying and compensating individual pressure transdu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8767A2 (pt) 2021-11-23
CN113710990A (zh) 2021-11-26
MX2021012650A (es) 2021-11-12
CA3134131A1 (en) 2020-10-22
JP2022528997A (ja) 2022-06-16
US20220170874A1 (en) 2022-06-02
JP2023169177A (ja) 2023-11-29
CO2021013791A2 (es) 2022-01-17
WO2020211922A1 (en) 2020-10-22
EP3956638A1 (en) 2022-02-23
AU2019440869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69177A (ja) データロガーユニット、センサーユニット、吸収性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識別方法
US20050156744A1 (en) Diaper wetness annunciator system
KR101796199B1 (ko) 온도 센서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식 온도계
US8057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ation sensing and monitoring
KR102587532B1 (ko) 흡수 용품 누설 평가 시스템
US20080306407A1 (en) Bandage Pressure Sensor
RU2636813C2 (ru) Контроль и отображение состояния впитыва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US10888464B2 (en)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pressure applied by a bandage or stocking
US20050046578A1 (en) Diaper wetness annunciator system
KR20100016029A (ko)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1742792B1 (ko) 배변 유무를 고지할 수 있는 기저귀 시스템
US10828205B2 (en) Remote detection of wetness in diapers and bandages using reusable electronics
CN108692762A (zh) 检测装置
CN204010295U (zh) 敷贴式电子复眼体温动态监测计及监测仪
TWM528733U (zh) 尿布濕度感測裝置及監測系統
US11602465B1 (en) Diaper with electronic wetness detection
US20170202502A1 (en) Sensor and system for incontinence event detection and medical patient monitoring
KR200488151Y1 (ko) 수분 감지를 이용한 스마트 생리 감지 장치
US20230255835A1 (en) Monitoring device attachable to an absorbent article, and respective method and absorbent article
JP2020120911A (ja) 排尿検知装置
CN101897510A (zh) 具有警示模块的指甲剪装置
KR20160144273A (ko)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