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029A -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029A
KR20100016029A KR1020097022624A KR20097022624A KR20100016029A KR 20100016029 A KR20100016029 A KR 20100016029A KR 1020097022624 A KR1020097022624 A KR 1020097022624A KR 20097022624 A KR20097022624 A KR 20097022624A KR 20100016029 A KR20100016029 A KR 2010001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signaling device
component
conductive element
electr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617B1 (ko
Inventor
토마스 마이클 알레스
대롤드 디 팁페이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1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및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신호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은 습윤 센서 또는 다른 유형의 센서로 사용되는 선택된 전기 성분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연결된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해 그 특성을 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기 성분을 도입할 수 있다. 부착된 신호발생 장치는 검출된 전기 성분의 특성을 기반으로 제품을 자동적으로 식별하며, 감지 장치에 대한 작동 특성 또는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근사 체중을 기반으로 결정이 내려질 수 있다. 또한, 연계된 흡수성 물품과 신호발생 장치의 상호 작동성(또는 그 반대)을 결정하기 위해 자동 점색이 이뤄질 수 있다.
흡수성 물품, 신호발생 장치, 습윤 센서, 전기 성분, 도전성 요소

Description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WITH WETNESS SENSOR AND ARTICL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실금용 용품, 여성용 위생 용품, 수영 속옷 등과 같은 흡수성 물품은 통상적으로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액체 불투과성 외측 커버, 및 흡수성 코어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는 통상 착용자에 의해 배출되는 액체(예컨대, 소변)를 흡수 보유하기 위해 외측 커버와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성 코어는 예컨대 초흡수성 입자로 제조될 수 있다. 다수의 흡수성 물품, 특히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의 상표명 하기스(HUGGIES™)로 시판되는 물품은 액체 흡수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때로는 흡수성 물품이 체액으로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구별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분 또는 습윤 표시기가 제안되었다. 습윤 표시기는 부모나 도우미가 습윤 기저귀 상태를 조기에 식별하는 것을 돕도록 설계된 경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시각 또는 가청 신호를 발생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예컨대, 저렴한 도전성 실, 포일 또는 종이가 기계 방향 으로 흡수성 물품 내에 위치되었다. 도전성 물질은 신호발생 장치에 대한 도전성 도선의 역할을 하며, 소변과 같은 체액이 회로를 폐쇄시킬 때 폐쇄될 수 있는 물품 내의 개방 회로를 형성한다. 이들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일 수 있지만, 신호발생 장치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신호발생 장치는 물품으로부터 제거되어 후속 물품에 재부착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신호발생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의 다양성 때문에 도전성 층의 오염으로부터 비롯되는, 신호를 정확하게 식별 및 해석함에 있어서 문제점에 직면하였다. 특수 설계된 흡수성 물품에 연결되는 경우에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을 수 있는, 공지되지 않은 신호발생 장치의 사용 가능성과 관련된 또다른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흡수성 물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개선된 습윤 감지 및 신호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구성에 대응하는 신호발생 장치가 적절한 메커니즘에 의해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발생 장치는 사용자에게 흡수성 물품 내에 체액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은 기저귀를 포함하며, 신호발생 장치는 소변 또는 대변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신호발생 장치는 신호발생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유형에 따라 효모 또는 대사산물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물품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 도선을 포함한다. 도전성 도선은 비교적 저렴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어서, 흡수성 물품과 함께 일회용일 수 있다. 그러나, 신호발생 장치는 여러번 그리고 여러 다른 특정 흡수성 물품과 함께 재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신호발생 장치가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 유형을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일 특정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은 내면 및 외면을 갖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섀시를 포함한다. 흡수성 구조체는 외측 커버의 내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필요하다면,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가 또한 흡수성 구조체의 대향측 상의 섀시에 도입될 수 있다. 섀시는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 사이에 위치된 가랑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은 그 사이에 허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성 요소는 섀시에 내장될 수 있다. 도전성 요소는 예컨대, 도전성 실, 도전성 포일, 또는 도전성 종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교차하지 않고 허리 영역으로부터 섀시의 적어도 가랑이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도전성 요소는 (예컨대 습윤 감지를 위해) 단순한 개방 회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흡수성 물품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발생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전기 성분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전성 패드 부재가 제1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추가의 도전성 패드 부재가 제2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패드 부재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가, 본 내용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다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도입되며 2006년 4월 17일자로 출원된 "체액 신호발생 장치용 흡수성 물품의 연결 메커니즘"의 명칭을 갖는 공동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11/405,263호에 보다 완전하게 기술된다. 도전성 패드 부재의 정확한 구성은 본 개시내용에서 중요하지 않으며, 패드 부재가 신호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구성된다는 언급으로 충분하다. 예컨대, 공지된 신호발생 장치가 도전성 패드 부재에 적절하게 부착되고 제1 도전성 요소와 제2 도전성 요소 사이에 체액이 존재할 때, 두 도전성 요소 사이의 개방 회로는 신호발생 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폐쇄된다.
신호발생 장치 자체는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는 단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신호발생 장치는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는 송신기, 및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는 물품 자체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에게 체액이 흡수성 물품을 오염시켰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각 구성에서, 신호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신호발생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액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발생 장치는 가시 경보 및/또는 가청 경보를 방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신호발생 장치는 체액이 감지될 때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호발생 장치는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의 선택된 특성을 결정하도록 설계된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흡수성 물품의 크기, 즉, 물품이 유아, 성인 또는 중간 크기로 크기 설정되었는지, 흡수성 물품을 착용할 개인의 근사 체중, 착용자의 성별, 물품 및 신호발생 장치가 공동 작동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그리고 신호발생 장치가 흡수성 물품에 적절하게 연결되었는지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2006년 4월 26일 출원되었으며 다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도입된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412,351호는 소비자에게 장치가 제품에 바르게 연결되었음을 보장하기 위한 피드백원(feedback source)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태양이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된다.
당업자의 최상 모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완전하며 합법한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의 참조를 포함하여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에 도입될 수 있는 도전성 도선 및 관련 전기 성분의 예시적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에 도입될 수 있는 도전성 도선 및 관련 전기 성분의 예시적인 제2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신호발생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며, 신호발생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추가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신호발생 장치의 일부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번호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내고자 함이다.
당업자는 본 논의가 예시적인 실시양태만을 기술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폭넓은 태양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 내의 체액의 존재 또는 제품 또는 착용자의 기타 상태 변화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신호발생 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은 예컨대,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실금용 용품, 여성용 위생 용품, 의료용 가먼트 및 붕대 등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흡수성 물품은 한 쌍의 도전성 도선 사이에 체액과 같은 도전성 유체가 감지될 때 이를 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지 회로가 내장된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이라 함은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복원된다기보다는 제한적 사용 후 폐기되도록 설계됨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흡수성 물품에 내장된 감지 회로는 신호 발생 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신호발생 장치는 감지 회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체액의 존재를 나타내는 일정 유형의 가청 및/또는 가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 자체는 일회용일 수 있지만, 신호발생 장치는 물품에서 물품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은 특히 신호발생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흡수성 물품의 선택된 특성을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에 내장된 감지 회로는, 전기적 특성이 흡수성 물품의 유형, 흡수성 물품의 크기 및 이에 따른 착용자의 근사 체중, 및 착용자의 성별을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식별 가능한 전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 내장된 감지 회로는, 부착된 감지 장치가 흡수성 물품에 적합한지, 다르게는 흡수성 물품 및 감지 장치가 서로 상용성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전기 성분 및/또는 도전성 도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공동 계류, 공동 양도된 출원에 보다 완전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도전성 패드 부재는 신호발생 장치 상에 배치된 도전성 후크형 물질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전성 루프형 물질(또는 이와 반대)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도전성 패드 부재는 도전성 필름 또는 기타 유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발생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프롱(prong) 또는 도전성 탭에 의해 맞물릴 수 있다. 전술한 도입 특허출원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여 폭넓은 연결 메커니즘이 계획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연결 메커니즘이 본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엄격히 유념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연결 메커니즘이 신호발생 장치에 감지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유형의 연결 메커니즘도 본 개시내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예시적인 개시내용 뿐 아니라 전술한 도입 특허 출원도 도전성 도선과 신호발생 장치 간의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보다 구체적으로 유도하고자 하지만, 예컨대 용량성 또는 유도 연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기타 연결 유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로써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 또한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발생 장치와 조합된 개방 회로는 흡수성 물품에 내장된 체액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유체는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유형 및 원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물품은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등을 포함하며, 신호발생 장치는 소변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별법으로, 신호발생 장치는 기저귀 발진의 존재를 나타내는 대사산물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성인 실금용 용품 및 여성용 위생 용품에서, 신호발생 장치는 효모 또는 소변 내의 특정 성분, 예컨대 다당류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흡수성 물품(20)이 도시된다. 흡수성 물품(20)은 일회용이거나 일회용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저귀, 배변훈련용 팬츠, 수영 팬츠, 여성용 위생 용품, 실금용 용품, 의료용 가먼트, 외과용 패드 및 붕대, 기타 개인 보호용 또는 건강 보호용 가먼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개인용 착용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타 다양한 흡수성 물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도입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예시적으로 도시된 흡수성 물품(20)의 특성이 보다 철저히 설명되었을 수 있다.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과 이러한 예시적인 흡수성 물품의 관계를 확립하기 위한 일반적인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단지 예시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의 흡수성 물품, 예컨대 기저귀(20)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 및 방법이 2000년 6월 29일자로 공개된 에이. 플레쳐(A. Fletcher) 등의 PCT 특허출원 제WO 00/37009호, 1990년 7월 10일자로 반 곰펠(Van Gom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1998년 6월 16일자로 브랜든(Brand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66,389호, 및 2003년 11월 11일자로 올슨(Ol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45,19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에 일관된(즉, 상충되지 않는) 범위로 참고로 도입된다.
기저귀(20)는 본 명세서에서 전방 영역(22)과 후방 영역(24)으로 달리 지칭되는 한 쌍의 종방향 단부 영역, 및 전방 및 후방 영역(22, 24)을 상호 연결하고 이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본 명세서에서 가랑이 영역(26)으로 달리 지칭되는 중심 영역을 형성한다. 기저귀(20)는 또한 사용시에 착용자를 향해서 배치되도록(예컨대, 물품(20)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 배치되도록) 구성된 내면(28), 및 내면과 대향하는 외면(30)을 형성한다. 전방 및 후방 영역(22, 24)은 착용시에 착용자의 허리 또는 중하부 몸통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커버하거나 둘러싸는 기저귀(20)의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6)은 일반적으로, 착용시에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하부 몸통과 가랑이를 커버하는 기저귀(20)의 부분이다. 흡수성 물품(20)은 한 쌍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부 에지(36), 및 각각 전방 허리 에지(38) 및 후방 허리 에지(39)로 지칭되는 한 쌍의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허리 에지를 구비한다.
도시된 기저귀(20)는 본 실시예에서 전방 영역(22), 후방 영역(24), 및 가랑 이 영역(26)을 둘러싸는 섀시(32)를 포함한다. 섀시(32)는 외측 커버(40), 및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또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해 외측 커버(40)에 중첩 관계로 접합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42)를 구비한다. 탄성 구속 플랩(46)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기저귀(20)의 가랑이 영역(26)에서 직립 구조를 취하는 부분적으로 미부착된 에지를 형성한다. 구속 플랩(46)은 섀시(32)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섀시의 길이를 따라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구속 플랩(46)에 대한 적합한 구조 및 배열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 주지되어 있으며, 1987년 11월 3일자로 엔로이(Enloe)에게 허여되고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4,704,116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은 섀시(32)의 후방 영역에 부착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탄성 측부 패널(34)을 추가로 포함한다. 측부 패널(34)은 가먼트를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허리 및/또는 둔부 주위에서 신장될 수 있다. 탄성 측부 패널(34)은 한 쌍의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37)를 따라서 섀시에 부착된다. 측부 패널(34)은 임의의 적절한 접합 기술을 사용하여 섀시(32)에 부착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예컨대, 측부 패널(34)은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또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해 섀시에 접합될 수 있다.
도 1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이 체결 상태일 때, 탄성 측부 패널(34)은 허리 개구(50) 및 한 쌍의 다리 개구(52)를 갖는 3차원 기저귀 구성을 형성하도록 체결 시스템(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품(20)의 허리 개구(50)는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허리 에지(38, 39)에 의해 형성된다.
체결 시스템(80)은 섀시(32)의 전방 영역(22)에 위치된 대응하는 제2 체결 구성 요소(비도시)에 재체결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체결 구성 요소(8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측부 패널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흡수성 물품(20)은 허리 개구 주위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허리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은 전방 허리 탄성 부재(54) 및/또는 후방 허리 탄성 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특히 다양한 흡수성 물품(2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개선된 습윤 감지 및 신호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은 제2 도전성 요소(102)로부터 이격되는 제1 도전성 요소(10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전성 요소는 흡수성 물품의 전방 영역(22)으로부터 후방 영역(24)으로 교차없이 연장된다. 도전성 요소(100, 102)는 도전성 실 또는 도전성 포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요소(100)는, 예컨대 도전성 요소 사이에 도전성 유체가 배치될 때 폐쇄될 수 있는 개방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도전성 요소(102)와 교차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도전성 요소(102)는 흡수성 물품(2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반면, 도전성 요소(100)는 흡수성 물품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지만 도 1의 점선원(92) 내에서 볼 수 있고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보다 완전히 기술될 다양한 전기적 요소가 불연속부(104)를 가로질러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내용에 따라 특수화된 신호발생을 목적으로 도전성 요소(100, 102)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성 물품(20)에 의해 흡수되는 체액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한, 어떠한 적절한 위치에서든 섀시(32)에 도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전성 요소(100, 102)는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40) 내부에 놓인다. 실제로,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성 구조체(44)와 대면하는 외측 커버(40)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적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별법으로, 도전성 요소(100, 102)는 흡수 구조체(44) 상에 배치되거나 라이너(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요소(100, 102)가 신호발생 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도전성 패드 부재(도 5의 참조번호 104, 106에 예시적으로 도시됨)가 상기 언급된 도입 출원에 보다 철저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을 실시하기 위해 도전성 요소(100, 102)의 다양한 부분 또는 구획에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는데 사용되는 특정한 방법론 또는 장치가 본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본 내용 설명의 목적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예시의 목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대표적인 도전성 패드 부재(104, 106)에 부착된 신호발생 장치(110)가 도시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 장치(110)는 일반적으로 송신기(112) 및 수신기(114)를 포함한다. 송신기(112)는 대응하는 도전성 패드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대향 단자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20) 내에 체액이 존재할 때, 도전성 요소(100, 102)에 의해 형성된 개방 회로가 폐쇄되어, 이어서 신호발생 장치(110)를 활성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양태에서, 송신기(112)는 수신기(114)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흡수성 물품 내에 체액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
신호발생 장치(110)는 사용자에게 회로가 폐쇄되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가청 및/또는 시각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가청 신호는 아마도 음조(musical tune)를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프음처럼 단순할 수 있다. 본 내용의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에서, 이러한 음조는 성별 및 나이에 적절하게 될 수 있다. 유사하게, 신호발생 장치(110)가 가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가시 신호는 몇몇 광 또는 양방향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신호발생 장치(110)의 수신기(114)는 흡수성 물품 내의 회로가 폐쇄될 때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진동, 가시 신호 및 가청 신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신호발생 기술의 모두 또는 선택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발생 장치(110)는 흡수성 물품(20) 내에 임의의 적절한 도전성 유체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는 소변, 대사산물 및 기타 유체 또는 이 유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신호발생 장치(110)는 개별 수납된 수신기(114)와 조합되는 개별 수납된 송신기(112)를 포함한다. 그러나, 신호발생 장치는 흡수성 물품(20)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단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신호발생 장치는 흡수성 물품 상에 장착되어 물품 자체로부터 가시 신호 및/또는 가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전성 패드 부재와 신호발생 장치 간의 다른 부착 메커니즘은 전술한 도입 출원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는 더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논의된 흡수성 물품(20)에 도입될 수 있는 본 내용의 예시적인 제1 실시양태가 도시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 요소(100, 102)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에 대응하며, 실질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도전체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전성 요소(100)가 두 구성 부분(100a, 100b)으로 분할되도록 도전성 요소(100)의 일 단부 부근에 갭(104)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전성 요소(100)는 도전성 요소(102)와 상이하다.
본 기술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기적 요소(200)가 갭(104)을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전기적 요소(210)는 도전성 라인(100)의 구성 부분(100b)과 도전성 라인(102)의 일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별법으로, 전기적 요소(212)는 도전성 라인(100)의 구성 부분(100a)와 도전성 라인(102)의 일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요소(200, 210, 212)는 선택된 저항값(ohmic value)에 상응하는 각각의 저항 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본 내용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기적 요소(200, 210, 212)는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수동 소자, 능동 소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기타 성분 유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요소(200, 210)는 동일한 형태 또는 요소의 조합 형태가 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컨대, 요소(200)는 저항 요소에 대응할 수 있으며 요소(210) 및/또는 요소(212)는 용량성 요소에 상응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기술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기적 요소(200, 210, 212)는 인쇄 수동 소자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능동 소자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선택된 요소가 원하는 목적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한, 다른 요소 및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원하는 목적에 대하여, 본 내용에 따른 기술에 도입되는 특정 흡수성 물품(20)이 자동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본 기술의 한 가지 목적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사전선택된 저항값을 갖는 저항 요소(210)가 도전성 라인(100, 10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요소 형태 또는 요소의 조합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요소 또는 요소의 조합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의 존재 및 전기적 특성은, 전술된 도입 출원에 보다 완전히 기술되고 일반적으로 점선 박스(230)로 나타내어지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점선 박스(230')를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완전하게 기술되는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도전성 라인(100, 102)의 단부(232, 234) 부근에 각각 연결된 신호발생 장치(110)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1 실시양태에서, 전기적 요소(210)는 특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기일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요소(200)는 또한 상이할 수 있는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저항 요소일 수 있다. 본 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갭(104)이 실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생략될 수 있도록 전기적 요소(200)의 저항값은 실제로 0이 될 수 있다. 별법으로, 본 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갭(104)이 선택적인 복수의 전기적 요소(200)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내용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전기적 요소(200, 210 및/또는 212)는 인쇄 저항 소자에 상응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전기적 요소(200, 210 및/또는 212)는 기타 공지된, 이용가능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저항기(210)의 값에 따라, 신호발생 장치(110)가 흡수성 물품(20)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라인(100, 102)의 단부(232, 234)에 부착될 때, 신호발생 장치(110)와 연계된 미세제어기가 저항기(210)의 저항을 측정하고 제품과 일치하는 오디오 테마를 활성화시킨다. 단지 예를 들자면, 남성 제품은 100 킬로옴(kohms)의 값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고, 여성 제품은 상이한 저항값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흡수성 물품(20) 도전성 라인(100, 102)으로의 적절한 연결에 대한 검증은 성별에 적절한 소리의 재생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흡수성 물품(20)의 습윤 검출이 성별에 적절한 다른 소리의 재생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저항기(210)의 저항값의 변화는 다양한 성별 특이성 제품을 신호로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된 저항값은 먼저 남성 특이성 제품에 연계된 다음 다른 특성에 연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특성은 신체적 크기 및 흡수성 물품(20)의 정확한 성질, 및 추정에 의한 잠재적 착용자의 근사 체중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성별 및/또는 중성 제품인 신호발생 장치(110)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장치가 유아에서 성인을 위해 설계될 뿐만 아니라 잠재적 착용자의 성별도 선택적으로 고려한 폭넓고 다양한 흡수성 제품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된 제품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는 신호발생 장치(110)를 제공함으로써, 장치는 상이한 알고리즘 및/또는 선택된 상이한 참조값을 계산하기 위한 내부 펌웨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에게 관련 및 인지가능한 반응, 신호 및/또는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저항기(210)를 식별하는 제품, 또는 다르게는 성분 또는 조합을 식별하는 다른 제품은 열등하거나 부정확한 제품 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20)의 비오염 영역에 위치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연계될 수 있는 물품의 다양한 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성 중립적인 신호발생 장치(110)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가능성이 존재함을 이해해야 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기술은 수화 감지 장치가 배치된 제품의 크기 및 유형을 인식하게 하여,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수화 비율을 판독할 수 있는 전자 수화 센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수화 장치는 신생아 1단계 내지 5단계 기저귀 또는 배변연습용 팬츠 크기 중에서 자동적으로 구별하고 착용자의 근사 중량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제품 특성의 인식은 또한 전자 수화 장치가 제품의 정확한 흡수성 코어를 인식하도록 도와주어, 유닛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능력은 단일 전자 수화 장치가 성인 크기까지 모든 크기의 흡수성 물품과 함께 작동하게 하며, 보호자의 수화 시스템 판독 및 사용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다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도입된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070083174호는 사 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계없이 습윤이 감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 크기 및 흡수성 구조체를 기반으로 하여 다수의 습윤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사용을 기술한다.
본 내용에 따라 구성된 성 중립 신호발생 장치(110)의 사용을 통해 생길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은, 성 중립 신호발생 장치(110)와 이것이 부착될 수 있는 흡수성 물품 간의 적절한 작동성을 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대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20)에 대한 신호발생 장치(110)의 적절한 연결은 하나 이상의 비프음 또는 기타 적절한 시각 및/또는 가청 신호로서 신호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내용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신호발생 장치(110)는 인식된 흡수성 물품(20)에 연결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20)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발생 장치(110)는 흡수성 물품(20)과 함께 작동되도록 적절히 구성되지 않는 경우, 작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의 작동성 결정은 특정 흡수성 물품 및 잠재적으로 연계가능한 신호발생 장치(20)의 착용자 또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흡수성 물품과 신호발생 장치의 조합이 적절히 기능할 것임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흡수성 물품/신호발생 장치의 상호 작동성 검증을 제공하는 본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양태가 기술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양태와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듯이, 도시된 많은 요소가 도 3의 것과 동일하며, 유사한 식별 기호를 수반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양태에 대해, 커넥터(230')는, 도전성 라인(100, 102)의 단부(232, 234)에 제공되는 연결 지점 외에 추가적인 연결 지 점(236)이 제공되어 갭(104)을 가로질러 연결된 전기 성분(200)과 같은 임의의 성분, 또는 예컨대 전기 성분(210)과, 전기 성분(200)과 같은 성분의 조합에 대한 평가가 신호발생 장치(11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본 내용에 많은 특성 및 가능성을 제공한다. 제1 예로서, 신호발생 장치(110)는 연결될 수 있는 흡수성 물품(20)이 연결된 신호발생 장치(110)가 적절히 작동되도록 적절히 구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값의 전기 성분(200)의 존재는 흡수성 물품(20)에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비공지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단순성을 위해 각각이 저항 성분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전기 성분(200, 210, 212)은 다양한 성분 유형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성에서, 충전/방전 RC 회로를 형성하도록 제1 성분은 저항 성분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성분은 용량성 성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RC 회로와 연관된 충전/방전 곡선의 평가는 흡수성 물품과 신호발생 장치 간의 상호 상용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상용성 결정은 인식된 신호발쟁 장치가 인식된 흡수성 물품에 연결되었음(그리고 그 반대)을 보장하는 전기적 "자물쇠와 열쇠"로서 작용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본 내용의 다른 실시양태가 기술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신호발생 장치의 입력 회로소자의 일부가 도시된다. 입력 단자(252, 254)는 커넥터[230(도 2) 또는 230'(도 3)]에 의해 흡수성 물품(20)의 도전성 라인(100, 102)과 연계된 선택된 연 결 지점(232, 234, 236)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입력 단자(254)는 연결 지점(23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 단자(252)는 연결 지점(232 또는 236)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연결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신호 라인(270)은 그 위에 연결된, 입력 단자(252)에 부주의하게 인가될 수 있는 전기 과도현상으로부터 신호발생 장치의 회로소자의 나머지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한 쌍의 다이오드(260, 262)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단부에서 신호 라인(270)에 연결되고 제2 단부에서 신호발생 장치 내의 전원 공급 라인에 연결된 전기 성분(200')을 도시한다. 당업자는 전기 성분(200')의 제2 단부는 신호발생 장치의 회로소자 내의 다른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구성의 특징은 전기 성분(200')이 성분(200, 210 또는 212) 중 하나와 대응될 수 있어서 이러한 성분이 실제로 신호발생 장치의 회로소자의 입력부 내의 전기 성분(200')의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수정은 "하드웨어 열쇠"가 장치에 대해 생성되게 하는 수단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열쇠 구성은 또한 본 내용에 따른 신호발생 시스템 및 흡수성 물품의 작동 및 상호 상용성을 보장한다.
당업자는 감지 요소의 사용 이외에 이러한 하드웨어 자물쇠 및 열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흡수성 물품 내에 특정 도전성 성분과 연계된 많은 갭 및/또는 단락을 포함시키는 것이 또한 하드웨어 자물쇠 및 열쇠 시스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경우 에서, 흡수성 물품에 신호발생 장치를 부착하는 것은, "열쇠"가 맞는 경우 신호발생 장치가 바르게 작동하게 하거나, "열쇠"가 맞지 않는 경우 장치를 무력화시키는 논리적 루틴(routine)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3의 장치가 흡수성 물품에 도입되는 예에서, 이러한 수정은 감지 요소의 측정을 수행하여 잘못된 습윤 판정을 생성하거나, 제3의 장치가 모두 함께 작동하지 않게 한다. 반면에, 제3의 흡수성 물품이 신호발생 장치에 도입되는 예에서, 이러한 제3의 흡수성 물품 내에 정확한 키 또는 임의의 키가 전혀 없는 것은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을 방지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흡수성 물품(20)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신호발생 장치의 일부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30')와 연계된 안테나 요소[238(도 3)]에 의해서도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진 신호발생 장치(110)의 송신기 부분[112(도 5)]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신호발생 장치(110)의 수신기 부분(114)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송신기 및 안테나는 또한 송신기 장치(112)로 도 5에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30(도 2)]와도 연계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해야 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신호발생 장치(100)의 수신기 부분(114)이, 예시적인 구성에서, 그 위에 입력으로서 안테나(612)를 가질 수 있는 수신기 회로(610)에 상응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안테나(612)는 수신기(114)의 나머지 성분 부분을 내장하는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거나 그 안에 완전히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620) 또는 기타 유사 장치는 경보 성분(63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식가능한 신호 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처리하기 위해 수신기(6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경보 신호는 시각, 가청 또는 진동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수신기(114)는 배터리 공급원 또는 외부 전류 공급원에 대응할 수 있는 전원 공급원(640)으로부터 작동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적절한 외부 공급원은 가정용 공급 라인, 차량 휴대용 전원 공급원과 같은 외부 배터리 공급원 또는 기타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발생 장치(110)는 흡수성 물품(20)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계된 단일 장치 내에 송신기(112) 및 수신기(114) 모두의 특징부를 도입하는 단일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를 비롯한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수정 및 변경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양태의 태양이 전체적으로 및 부분적으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당업자는 전술된 설명이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추가 기술된다.

Claims (20)

  1. 내면 및 외면을 갖는 외측 커버, 및 외측 커버의 내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흡수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섀시,
    물질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섀시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와 연계되고, 존재함으로써 감지 회로의 작동이 가능한 식별가능한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성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에 결합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성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의 일 단부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를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갭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성분을 더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성분은 저항기, 커패시터, 인덕터, 수동 소자, 능동 소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흡수성 물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제2 성분을 더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감지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섀시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성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제2 성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성 요소 사이에 연결되는 흡수성 물품.
  8. 제6항에 있어서, 감지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섀시에 내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성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제2 성분은 상기 제1 도전성 요소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전성 요소 사이에 연결되는 흡수성 물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성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제2 성분은 상이한 전기적 특성 을 갖는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성분은 저항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제2 성분은 용량성 성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는 신호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성분의 식별가능한 특성은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선택된 작동을 가능케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선택된 작동은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을 가능케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선택된 작동은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은 흡수성 물품의 성별 특이성 특성을 기반으로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은 흡수성 물품의 크기 특이성 특성을 기반으로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 장치의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은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 물품 유형 특이성 특성을 기반으로 작동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7. 제11항에 있어서, 신호발생 장치는 활성화될 때 가청, 가시 및/또는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흡수성 물품.
  18. 제11항에 있어서, 신호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송신기는 신호발생 장치가 활성화될 때 사용자에게 가청, 가시 및/또는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를 수신기로 송신하는 흡수성 물품.
  19. 흡수성 구조체, 적어도 하나의 상태 감지 센서, 및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성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와,
    선택된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신호 조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상태 감지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성분에 반응하도록 신호발생 장치를 구성하는 단계, 및
    신호발생 장치를 흡수성 물품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신호발생 장치는 감지된 상태에 반응하여 신호 조합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성분의 특성을 식별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작동 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 특성 관련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식별가능한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성분을 흡수성 물품 및 신호발생 장치 중 하나에 배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성분의 선택된 전기적 특성을 식별하는데 실패하는 경우, 신호발생 장치를 불능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22624A 2007-04-30 2008-03-05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KR101526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99,046 US7667608B2 (en) 2007-04-30 2007-04-30 Wetness device lock and key and device ID
US11/799,046 2007-04-30
PCT/IB2008/050805 WO2008132623A1 (en) 2007-04-30 2008-03-05 Absorbent article with wetness sensor and article iden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029A true KR20100016029A (ko) 2010-02-12
KR101526617B1 KR101526617B1 (ko) 2015-06-05

Family

ID=3973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624A KR101526617B1 (ko) 2007-04-30 2008-03-05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67608B2 (ko)
EP (1) EP2142155A1 (ko)
JP (1) JP2010525852A (ko)
KR (1) KR101526617B1 (ko)
CN (1) CN101668500A (ko)
AU (1) AU2008243897B2 (ko)
BR (1) BRPI0809887A2 (ko)
MX (1) MX2009011724A (ko)
WO (1) WO2008132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7529B2 (en) 2004-11-03 2011-07-12 Fred Bergman Healthcare Pty Ltd.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US8172982B2 (en) * 2008-12-22 2012-05-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ductive web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8431766B1 (en) 2009-05-06 2013-04-30 Patrick H. Lonero Diaper with wetness detecting system
JP5508041B2 (ja) * 2010-01-19 2014-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排泄管理システム、排泄検出装置及び受信装置
US8642832B2 (en) * 2010-11-10 2014-0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 and signaling device matching
US9681996B2 (en) 2011-08-11 2017-06-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tness sensors
US8978452B2 (en) * 2011-08-11 2015-03-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tness sensor using RF circuit with frangible link
US9119748B2 (en) 2011-10-28 2015-09-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ectronic discriminating device for body exudate detection
US8816149B2 (en) 2011-10-28 2014-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for detection and monitoring of body exudates using a gas emitting substance for use in interactive toilet training
US8933292B2 (en) 2011-10-28 2015-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nsor array for body exudate detection
US20150257942A1 (en) * 2012-10-04 2015-09-17 Donggyu Kim Monitoring system for infant and patients with advanced disease for automatically alerting of urine and feces
EP2908792B1 (en) * 2012-10-22 2017-12-20 Digisense Ltd. Breastfeeding quantity estimator
DK178086B1 (da) 2013-07-12 2015-05-11 Suma Care Aps System til måling af mængden af urin og fæces i en ble
EP3223763B1 (en) 2014-11-26 2021-09-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utomatic absorbent article change features
US11229557B2 (en) * 2016-06-17 2022-01-25 Medline Industries, Lp Sensor for absorbent article
CN106264876A (zh) * 2016-09-21 2017-01-04 安徽工程大学机电学院 一种智能尿不湿
CA3076569A1 (en) * 2017-09-22 2019-03-28 Alberto Munoz Herencia Urine-detection device with adhesive tape and emitter sensor
CN112074257A (zh) 2018-05-04 2020-12-11 宝洁公司 用于监控婴儿基本需求的传感器装置和系统
US11051996B2 (en) 2018-08-27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PE20211046A1 (es) 2018-09-12 2021-06-04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Sistema y procedimiento de deteccion inalambrica de control de la salud
CA3134131A1 (en) * 2019-04-15 2020-10-2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ata logger unit, sensor unit, absorbent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identification method
US11020285B1 (en) * 2020-11-13 2021-06-01 Biolink Systems, Llc Module-housing system and method
WO2024061464A1 (en) * 2022-09-22 2024-03-28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Voiding data logging device for sensing a filling state of an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001A (en) * 1977-05-12 1978-08-08 Kurt Mahoney Moisture detector
CA1341430C (en) *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US4940464A (en) *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KR940003280B1 (ko) * 1991-10-24 1994-04-20 손종은 환자의 용변 처리장치
US5838240A (en) * 1992-05-29 1998-11-17 Johnson Research & Development Company, Inc. Wet diaper detector
US5766389A (en) * 1995-12-29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gistered graphic and process for making
US5760694A (en) * 1996-05-07 1998-06-02 Knox Security Engineering Corporation Moisture detecting devices such as for diapers and diapers having such devices
US5903222A (en) * 1997-04-03 1999-05-11 Zaggie, Inc. Wet garment detector
AU4324299A (en) * 1998-05-28 1999-12-13 Safieh Bahramian Fard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US6761711B1 (en) 1998-12-18 2004-07-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US6645190B1 (en) *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20020192829A1 (en) * 1999-03-22 2002-12-19 Technology Innovations, Llc Composite fiber for absorptive material with sensor
US7250547B1 (en) * 2000-11-07 2007-07-31 Rf Technologies,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
US6603403B2 (en) * 2000-12-12 2003-08-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mote, wetness signaling system
CA2353906A1 (en) * 2001-07-13 2003-01-13 Yves Bluteau Sensor device and an analyzing device specifically adapte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diapers for incontinent patients detecting the presence of urine or fecal matter, and other physiological or biochemical data emanating from the patient
US20050137542A1 (en) * 2003-12-19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ve graphics on absorbent articles using electrochromic displays
US7145053B1 (en) * 2004-11-18 2006-12-05 Christian Emenike Moisture indicator for a diaper
US7477156B2 (en) * 2005-04-29 2009-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US7394391B2 (en) * 2005-04-29 2008-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nection mechanisms in absorbent articles for body fluid signaling devices
US7642396B2 (en) * 2005-08-31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ultiple insults in an absorbent article
US7489252B2 (en) * 2006-04-26 2009-0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status notification system
KR20110045208A (ko) * 2009-10-26 2011-05-0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팬티 기저귀 및 팬티 기저귀 착용자의 상태점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2155A1 (en) 2010-01-13
JP2010525852A (ja) 2010-07-29
MX2009011724A (es) 2009-11-10
US20080269702A1 (en) 2008-10-30
US7667608B2 (en) 2010-02-23
BRPI0809887A2 (pt) 2014-09-30
CN101668500A (zh) 2010-03-10
AU2008243897B2 (en) 2013-02-07
KR101526617B1 (ko) 2015-06-05
WO2008132623A1 (en) 2008-11-06
AU2008243897A1 (en)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617B1 (ko)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US8866624B2 (en) Conductor-less detection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US9241839B2 (en) Absorbent article fullness indicator
KR101661372B1 (ko) 배변훈련 진전 표시기
AU2011324845B2 (en) Body fluid discriminating sensor
US8207394B2 (en) Induction coil wetness sensor for an absorbent article
US7489252B2 (en)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status notification system
EP2012730B1 (en) Wetness monitoring systems with power management
KR101586618B1 (ko) 흡수 용품용 무전도체 젖음 검출기의 부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