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251A -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251A
KR20210148251A KR1020217035384A KR20217035384A KR20210148251A KR 20210148251 A KR20210148251 A KR 20210148251A KR 1020217035384 A KR1020217035384 A KR 1020217035384A KR 20217035384 A KR20217035384 A KR 20217035384A KR 20210148251 A KR20210148251 A KR 2021014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indow
priority
base station
signal transmiss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촨펑 허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72/0426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합 액세스 및 백홀(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기지국은 각각 동기화 신호 블록 측정 시간 구성(SS/PBCH Block Measurement Time Configuration, SMTC) 및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구성(SS/PBCH Block Transmission Configuration, STC)이 구성되었고, 여기서, SMTC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수신 창(SMTC 창이라고 지칭함)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STC는 SSB의 송신 창(STC 창이라고 지칭함)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SMTC 및 STC의 구성은 독립적이기에, IAB 기지국이 얻은 SMTC 및 STC의 구성은 임의의 시각에서 SMTC 창 및 STC 창이 시간상 오버랩되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 없다. SMTC 창 및 STC 창이 시간상 오버랩이 발생된 후, IAB 기지국의 행위는 결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 장치는,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은,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작동하여, 상기 칩이 설치되어 있는 기기로 하여금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 방안을 통해, 제1 기지국(예를 들어 IAB 기지국)의 구성된 제1 시간 창(즉 SMTC 창) 및 제2 시간 창(즉 STC 창)이 오버랩이 발생되는 경우, IAB 기지국이 SSB에 대한 송신 및 수신의 행위를 명확히 하여, IAB 시스템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 구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연을 줄였다.
여기서 설명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 이해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IAB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IAB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SMTC 및 STC의 이미지 1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SMTC 및 STC의 이미지 2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IAB 기지국의 멀티홉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하에 얻은 다른 전체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한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120)(또는 통신 단말, 단말로 지칭됨)과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단말”은 유선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 및/또는 다른 단말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혹은 “모바일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예는, 위성 또는 셀룰러 폰;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Web 브라우저, 메모 패드, 달력 및/또는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기존 랩톱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기타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은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능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PLMN에서의 단말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120) 사이는 기기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고,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수량의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는 통신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120)은 전술한 구체적인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통신 기기는 또 네트워크 컨트롤러, 모바일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같은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다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자주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다만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관련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1) IAB
사용자한테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망 또는 다른 기지국을 연결해야 한다. 보통 백홀 링크는 예를 들어 광섬유와 같은 유선 백홀을 사용하고, 백홀 링크는 기지국과 코어망 또는 다른 기지국의 연결을 구현하여, 데이터의 백홀에 사용된다. 무선 백홀 링크는 주로 마이크로파 백홀을 사용하고, 무선 백홀 링크는 광섬유가 없는 시나리오에서의 주요한 전송 수단이다. 현재 전 세계 50%~60%의 이동 기지국은 마이크로파를 통해 백홀을 수행하고, 5G 배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네트워크 용량, 복잡성, 지연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으며, 이동 기지국의 수량도 증가되고, 무선 백홀의 적용 범위는 계속 확대될 것이다.
LTE와 비교하면, 5G NR 기술은 더욱 큰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안테나 및 멀티 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기에, 5G는 더욱 높은 시스템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서, IAB의 적용에 조건을 제공하였다. 이른바 IAB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무선 액세스 링크(즉 액세스 링크(Access link)) 및 무선 백홀 링크(즉 백홀 링크(Backhaul link))를 통합한 것이고, 여기서 액세스 링크는 UE와 IAB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이며, 백홀 링크는 IAB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이기에, IAB 기지국은 데이터 백홀 수행을 위한 유선 전송 네트워크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기반하여, IAB 기지국은 밀집되고 복잡한 시나리오에 더욱 쉽게 배치되어, 유선 전송 네트워크를 배치하는 부담을 줄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기지국은 UE한테 무선 액세스 및 액세스 업무의 무선 액세스 기능을 제공한다. 홈 베이스 IAB 기지국(IAB donor 기지국)은 IAB 기지국에 무선 백홀 기능을 제공하고, UE와 코어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에서 알다시피, IAB donor 기지국과 코어망은 유선 연결되어 있고, IAB 기지국과 코어망 사이에는 유선 연결이 없으며, IAB 기지국은 백홀 링크를 통해 IAB donor 기지국에 연결됨으로써, UE로 하여금 코어망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 밖에, 만약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을 제어 및 스케줄링하면, 상기 IAB 기지국은 부모 노드로 지칭될 수 있고, 즉 상기 IAB 기지국은 다른 IAB 기지국의 부모 노드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기지국 2는 부모 노드로 지칭될 수 있고, 이는 IAB 기지국 3의 부모 노드이다. 만약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의 제어하에 있으면, 상기 IAB 기지국은 자식 노드로 지칭될 수 있고, 즉 상기 IAB 기지국은 다른 IAB 기지국의 자식 노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기지국 1, IAB 기지국 2, IAB 기지국 3은 모두 자식 노드로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IAB 기지국 1 및 IAB 기지국 2는 IAB donor 기지국의 자식 노드이며, IAB 기지국 3은 IAB 기지국 2의 자식 노드이다. 분명히, 동일한 IAB 기지국은 부모 노드이면서, 자식 노드일 수 있다. 또한, IAB donor 기지국은 부모 노드일 수밖에 없고, 도 3에서 IAB donor 기지국은 IAB 기지국 1 및 IAB 기지국 2의 부모 노드이다. IAB 기지국에 대해, 반 이중의 제한을 고려하여, IAB 기지국은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없고, 즉 IAB 기지국이 백홀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액세스 링크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으며, IAB 기지국 백홀 링크에서 부모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액세스 링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기지국 1이 그 부모 노드(IAB donor 기지국은, 토폴로지 구조에서 IAB 기지국으로 간주하여 동등하게 처리할 수 있다)의 백홀 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액세스 링크를 통해 UE 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다. IAB 기지국 2가 백홀 링크를 통해 그 부모 노드(IAB donor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UE 1이 액세스 링크를 통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IAB 기지국의 경우, 코어망과 직접 연결된 IAB donor 기지국이 아닐 수 있기에, IAB donor 기지국과 backhaul link를 구축해야 함으로써, 코어망과 연결을 구축하고, 이런 형태를 멀티홉(Multi-hop)이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IAB 기지국 3과 IAB 기지국 2는 backhaul link를 구축하고, IAB 기지국 2와 IAB donor 기지국은 backhaul link를 구축하며, IAB 기지국 3은 2 hops을 통해 IAB donor 기지국과 backhaul link를 구축한다.
2) SMTC
Rel-15 NR 기술에서 SMTC는 UE를 지시하여 SSB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 창인 것을 정의하였다. SMTC의 구성은 주기 및 오프셋, 시간 창 길이를 포함하고, 하기와 같다. SMTC를 구성하는 것을 통해, UE 측정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UE는 구성된 시간 창에서만 SSB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
SSB-MTC ::= SEQUENCE {
periodicityAndOffset CHOICE {
sf5 INTEGER (0..4),
sf10 INTEGER (0..9),
sf20 INTEGER (0..19),
sf40 INTEGER (0..39),
sf80 INTEGER (0..79),
sf160 INTEGER (0..159)
},
duration ENUMERATED { sf1, sf2, sf3, sf4, sf5 }
}
3) IAB 기지국 사이의 발견 및 측정
IAB 시스템에 있어서, backhaul link를 구축하기 위해 IAB 기지국 사이에는 발견 및 측정이 필요하고, 여기서, 발견 및 측정은 SSB에 기반할 수 있다. IAB 기지국의 경우, 상기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를 발견 및 측정하기 위한 SMTC 창이 구성되어야 한다. 동시에, 또한 상기 IAB 기지국이 SSB를 송신하기 위한 STC 창이 구성되어야 하고, 추가로 다른 IAB 기지국의 발견 및 측정을 위한 것이다. STC의 구성과 SMTC의 구성은 유사하고,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 길이 및 시간 창의 주기 및 오프셋을 포함한다.
현재, IAB 기지국은 각각 SMTC 및 STC가 구성되었고, 즉 SSB의 수신 창 및 SSB의 송신 창이다. 이렇게 하는 목적은 멀티홉의 IAB 시스템 중 상이한 IAB 기지국의 행위를 구성하여, 반 이중의 한정이 발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고, IAB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에 다른 IAB 기지국의 SSB를 측정할 수 없으며, 이와 동시에 다른 IAB 기지국이 발견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SSB를 송신하여야 한다. 하지만, SMTC 및 STC의 구성은 독립적이기에, IAB 기지국이 얻은 SMTC 및 STC의 구성은 임의의 시각에서 SMTC 창 및 STC 창이 시간상 오버랩되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 없다. 예를 들어, SMTC 및 STC의 구성의 주기는 동일하고, 오프셋은 상이하면, SMTC 창 및 STC 창의 길이가 상이하여 오버랩이 발생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SMTC 및 STC의 구성의 주기는 상이하면, SMTC 창 및 STC 창은 특정된 시각에서 오버랩이 발생될 수 있다. SMTC 창 및 STC 창이 오버랩이 발생된 후, IAB 기지국의 행위는 규정이 필요하고, IAB 기지국의 행위를 규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아래 기술 방안을 제공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이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IAB 기지국이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부모 노드이고, 즉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을 제어 및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자체적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SMTC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즉 SMTC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길이 및 시간 창의 주기 및 오프셋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STC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즉 STC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의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 길이 및 시간 창의 주기 및 오프셋을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SSB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이다.
구체적 응용 시나리오에서, IAB 시스템에 있어서, 백홀 링크를 구축하기 위해 IAB 기지국 사이에는 발견 및 측정이 필요하고, 여기서, 발견 및 측정은 SSB에 기반할 수 있다. IAB 기지국의 경우, 상기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를 발견 및 측정하기 위한 SMTC 창이 구성되어야 한다. 동시에, 또한 상기 IAB 기지국이 SSB를 송신하기 위한 STC 창이 구성됨으로써, 다른 IAB 기지국의 발견 및 측정에 사용된다.
단계 40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만약 SMTC 창의 우선순위가 STC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고, 즉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이 SSB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추가로, 오버랩 부분에 대응되는 STC 창이 유효하지 않거나 STC 창에 대해 muting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만약 STC 창의 우선순위가 SMTC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은 STC 창에 속하고, 즉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은 SSB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추가로, 오버랩 부분에 대응되는 SMTC 창이 유효하지 않거나 SMTC 창에 대해 muting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아래 어느 한 가지 형태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기설정(또는 합의 약속)하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1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기설정(또는 합의 약속)하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2를 참조할 수 있다.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부모 노드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을 제어 및 스케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에 SMTC 및 STC를 구성할 때, 동시에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 정보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3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또는 X2 시그널링 등일 수 있다.
형태 3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타깃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백홀 링크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4를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4를 참조할 수 있다.
형태 4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의 크기 및/또는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5를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5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5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5를 참조할 수 있다.
형태 5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SMTC 창 및 STC 창 구성의 주기 크기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 구성이 작은 시간 창에 대해, 우선순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고, 오버레이 후의 영향은 주기 구성이 큰 시간 창보다 작다.
형태 6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위치한 시간 유닛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상기 시간 유닛은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현될 때, 아래의 응용 예시 6을 참조할 수 있고,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이 상이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에 위치할 때, 상이한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를 정의한다. 무선 프레임을 예로 들어, SFN mod 2=0의 무선 프레임을 정의할 수 있고, SMTC 창 우선순위는 STC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며, SFN mod 2=1의 무선 프레임은, 서로 반대이다.
아래에 구체적 응용 예시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응용 예시 1:
IAB 기지국에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오버레이 되는 경우,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SMTC 창 및 STC 창이 오버레이 될 때,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 SMTC 창 구성의 우선순위는 STC 창의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규정한 것에 해당된다.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특정된 시간에서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이 이 오버레이 시간에서 다른 IAB 기지국에 대한 발견 및 측정을 우선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상기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를 최대한 빨리 발견하여, backhaul link RSRP/RSRQ RRM 측정의 결과를 획득하도록 한다.
추가로, SMTC 창과 오버레이가 발생된 STC 창에 대해, 상기 STC 창이 유효하지 않거나 상기 STC 창에 대해 뮤팅(muting)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TC 창의 유효 시간 창은 SMTC 창과 오버레이 되어 단축되고, 다른 IAB 기지국이 발견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빔의 SSB를 완전하게 송신할 수 없을 수 있기에, 상기 STC 창이 muting을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TC 창 및 STC 창의 패턴(pattern)이 오버레이가 발생되면, STC 창의 시간 창은 muting 처리를 수행한다.
실시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IAB 기지국은 SMTC 및 STC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따라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즉 SMTC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즉 STC 창)을 획득한다.
2.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이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3. 결정된 시간 창에 따라, SSB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응용 예시 1의 기술방안에서,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특정된 시간에서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이 이 시간에서 다른 IAB 기지국에 대한 발견 및 측정을 우선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상기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를 최대한 빨리 발견하여, backhaul link RSRP/RSRQ RRM 측정의 결과를 획득하도록 한다.
응용 예시 2:
IAB 기지국에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오버레이 되면, 오버랩 부분이 STC 창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SMTC 창 및 STC 창이 오버레이 될 때, 오버랩 부분이 STC 창에 속한다고 규정할 수 있다. STC 창 구성의 우선순위는 SMTC 창의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규정한 것에 해당된다.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특정된 시간에서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이 이 오버레이 시간에서 다른 IAB 기지국이 발견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SSB를 송신할 수 있음을 우선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상기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를 최대한 빨리 발견하여, backhaul link RSRP/RSRQ RRM 측정의 결과를 획득하도록 한다.
추가로, SMTC 창과 오버레이가 발생된 STC 창에 대해, 상기 SMTC 창이 유효하지 않거나 상기 SMTC 창에 대해 muting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MTC 창의 유효 시간 창은 STC 창과 오버레이 되어 단축되고,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에 대해 발견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창 내의 모든 SSB를 완전하게 수신할 수 없을 수 있기에, 상기 SMTC 창이 muting을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TC 창 및 STC 창의 패턴이 오버레이가 발생되면, SMTC 창의 시간 창은 muting 처리를 수행한다.
실시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IAB 기지국은 SMTC 및 STC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따라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즉 SMTC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즉 STC 창)을 획득한다.
2.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이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오버랩 부분이 STC 창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3. 결정된 시간 창에 따라, SSB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응용 예시 2의 기술방안에서,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특정된 시간에서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이 이 오버레이 시간에서 다른 IAB 기지국이 발견 및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SSB를 송신할 수 있음을 우선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상기 IAB 기지국이 다른 IAB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를 최대한 빨리 발견하여, backhaul link RSRP/RSRQ RRM 측정의 결과를 획득하도록 한다.
응용 예시 3:
지시 정보를 통해 IAB 기지국에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오버랩될 때,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노드가 IAB 기지국에 SMTC 창 및 STC 창을 구성할 때, SMTC 창 및 STC 창 구성의 우선순위 정보를 지시하고, SMTC 창 및 STC 창의 시간 창에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은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이 특정된 시간에서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는 제어 노드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노드는 SMTC 창 및 STC 창을 구성하고, 우선순위 정보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은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또는 X2 시그널링 등일 수 있다.
추가로, SMTC 창 및 STC 창의 시간 창에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 및 STC 창 중의 하나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 다음, 다른 시간 창이 유효하지 않거나 상기 시간 창에 대해 muting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실시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IAB 기지국은 SMTC 및 STC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따라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즉 SMTC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즉 STC 창)을 획득한다.
2. IAB 기지국은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이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은 지시 정보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 또는 STC 창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3. 결정된 시간 창에 따라, SSB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응용 예시 3의 기술방안에서, 제어 노드는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를 유연하게 제어하여, 실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배치에 따라,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응용 예시 4:
IAB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IAB 시스템에서, 상이한 IAB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상이하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이한 IAB 기지국 사이 SSB의 발견 및 측정 및 IAB 기지국의 반 이중 한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 시간상 어긋나는 STC 창 및 SMTC 창을 상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특정된 IAB 기지국의 경우, 이는 IAB 기지국과 IAB donor 기지국에 backhaul link를 구축할 때, 상기 IAB 기지국이 IAB 기지국과 구축해야 되는 backhaul의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멀티홉 파라미터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hop n은 IAB donor 기지국이면, 멀티홉 파라미터는 Hop n+2인 IAB 기지국은 2 hops와 IAB donor 기지국을 통해 backhaul link를 구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IAB donor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0이고, backhaul link와 IAB donor 기지국을 통해 연결이 구축된 IAB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1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유추한다.
멀티홉 파라미터가 1인 IAB 기지국과 같은 멀티홉 파라미터가 비교적 작은 기지국에 대해, 멀티홉 파라미터가 큰 IAB 기지국은 멀티홉 파라미터가 작은 IAB 기지국을 통해 backhaul link를 구축해야 하기에, 멀티홉 파라미터가 작은 IAB 기지국에 대해,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의 시간 창에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STC 창 구성의 우선순위는 SMTC 창 구성보다 커야 하고, 멀티홉 파라미터가 작은 IAB 기지국이 멀티홉 파라미터가 큰 IAB 기지국이 발견 및 측정하기 위하여 SSB를 제때에 송신하고, 멀티홉 파라미터가 작은 IAB 기지국과 backhaul link 구축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IAB 네트워크 배치에 IAB donor 기지국이 비교적 적은 경우, 대부분 IAB 기지국은 멀티홉을 통해 IAB donor 기지국과 backhaul link를 구축해야 한다. 멀티홉 파라미터가 큰 IAB 기지국에 대해서는 서로 반대이고,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의 시간 창에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SMTC 창 구성의 우선순위는 STC 창 구성보다 커야 한다.
다른 측면에서, 다른 경우는, IAB 네트워크 배치에 IAB donor 기지국이 비교적 많은 경우, 대부분 IAB 기지국은 1홉을 통해 IAB donor 기지국과 backhaul link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면 멀티홉 파라미터가 큰 IAB 기지국은 소수에 불과하다. 다수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작은 IAB 기지국에 대해, 가능한 빨리 SMTC 창을 통해 예를 들어 IAB donor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와 같은 다른 IAB 기지국에 대해 발견 및 측정을 수행하는 것은 오히려 더 중요하다. 이때, 구성된 SMTC 창 및 STC 창의 시간 창에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멀티홉 파라미터가 작은 IAB 기지국에 대해, SMTC 창 구성의 우선순위는 STC 창 구성보다 커야 한다. 멀티홉 파라미터가 큰 IAB 기지국에 대해, SMTC 창 구성의 우선순위는 STC 창 구성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실시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IAB 기지국은 SMTC 및 STC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따라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즉 SMTC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즉 STC 창)을 획득한다.
2. IAB 기지국은 멀티홉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한다.
3.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이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IAB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 또는 STC 창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4. 결정된 시간 창에 따라, SSB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응용 예시 4의 기술방안에서, IAB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IAB 기지국이 IAB 시스템에서의 멀티홉에서의 작용에 따라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backhaul link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backhaul link 구축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응용 예시 5:
IAB 기지국의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의 크기 또는 SMTC 창 및 STC 창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SMTC 창 및 STC 창은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이고, 이들의 시간 창의 길이, 주기는 상이할 수 있기에, 오버랩의 발생이 이들에 대한 영향은 상이하다. 오버랩 부분의 크기 또는 각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구성된 SMTC 창의 시간 창 길이는 구성된 STC 창의 시간 창 길이보다 크고, 이들이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반드시 STC 창 시간 창에 대해 영향이 더욱 크고, 이때, 1,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거나; 2, 오버랩 부분이 STC 창에 속하는 두 가지 상이한 방안이 있다. 방안 1의 원인은, STC 창의 영향이 비교적 크고, 비 오버랩 부분이 SSB의 송신에는 부족하기에, 상기 STC 창은 muting을 수행한다. 방안 2의 원인은, SMTC 창은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고, SMTC 창의 비 오버랩 부분이, 여전히 부분 SSB를 수신할 수 있어서, 우선적으로 STC 창을 보장할 수 있다.
이 밖에, SMTC 창 및 STC 창 구성의 주기 크기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중의 주기 구성이 작은 시간 창에 대해, 우선순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고, 오버레이 후의 영향은 주기 구성이 큰 시간 창보다 작다.
실시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IAB 기지국은 SMTC 및 STC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따라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즉 SMTC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즉 STC 창)을 획득한다.
2.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이 오버레이가 발생될 때, SMTC 창 및 STC 창 구성의 시간 창 크기, 주기 또는 오버랩 부분의 크기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 또는 STC 창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3. 결정된 시간 창에 따라, SSB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응용 예시 5의 기술방안에서, 실제로 오버레이된 상황 및 SMTC 창 및 STC 창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SMTC 창 및 STC 창 시간 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오버레이가 SSB의 수신 및 송신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응용 예시 6:
IAB 기지국의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이 위치하는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에 속하는지 아니면 STC 창에 속하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SMTC 창 및 STC 창의 오버랩 부분이 상이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에 위치할 때, 상이한 SMTC 창 및 STC 창의 우선순위를 정의한다. 무선 프레임을 예로 들어, SFN mod 2=0의 무선 프레임을 정의할 수 있고, SMTC 창 우선순위는 STC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며, SFN mod 2=1의 무선 프레임은, 서로 반대이다.
실시 흐름은 아래와 같다.
1. IAB 기지국은 SMTC 및 STC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따라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즉 SMTC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즉 STC 창)을 획득한다.
2. SSB에 의해 측정된 시간 창 및 SSB에 의해 송신된 시간 창 오버랩 부분이 위치하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을 결정하고, 상기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에 따라, 오버랩 부분이 SMTC 창 또는 STC 창에 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3. 결정된 시간 창에 따라, SSB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응용 예시 6의 기술방안에서, 오버랩이 발생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에 따라, 상이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또는 타임 슬롯에서 상이한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고, 유익한 효과는 SSB에 의해 측정 및 송신된 우선순위에 대해 시간상 평균하여, SSB에 기반하는 IAB 기지국의 발견 및 측정의 성능을 보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이고, 제1 기지국에 적용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장치는,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801)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802)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유닛(802)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상기 제2 결정 유닛(802)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상기 제2 결정 유닛(802)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타깃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백홀 링크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의 크기 및/또는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위치한 시간 유닛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유닛은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SSB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이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신호 전송 장치의 관련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9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상기 통신 기기는 예를 들어 IAB 기지국과 같은 기지국일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900)는 프로세서(9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900)는 메모리(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9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900)는 트랜시버(9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910)는 상기 트랜시버(930)가 기타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타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9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930)는 안테나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단말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칩(1000)은 프로세서(10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1000)은 메모리(1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10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1000)은 입력 인터페이스(10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1000)은 출력 인터페이스(1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10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타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1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1100)은 단말(1110) 및 네트워크 기기(1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110)은 상기 방법에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11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에 의해 실행 완료되는 것으로 직접 반영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정보를 판독하며, 하드웨어를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이 아닌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메모리는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인 설명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에 적용될 수 있고, 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디자인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해당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함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일 뿐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로 사실상 구현될 때에는 다른 분할 형태가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게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단독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또한 단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위의 설명은,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3)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이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타깃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백홀 링크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의 크기 및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위치한 시간 유닛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유닛은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동기화 신호 블록(SSB)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0. 신호 전송 장치로서,
    제1 기지국에 적용되고,
    제1 구성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유닛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시간 창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1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제2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기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7.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타깃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백홀 링크의 수량을 지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멀티홉 파라미터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0.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의 크기 및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의 크기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고; 또는,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1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가 상기 오버랩 부분이 상기 제2 시간 창에서 차지하는 비례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5.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6.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우선순위는 상기 제1 시간 창 및 상기 제2 시간 창의 오버랩 부분이 위치한 시간 유닛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유닛은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8.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SSB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S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9.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
  40. 칩으로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상기 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4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3.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35384A 2019-04-04 2019-04-04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 KR20210148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1572 WO2020199213A1 (zh) 2019-04-04 2019-04-04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251A true KR20210148251A (ko) 2021-12-07

Family

ID=7266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384A KR20210148251A (ko) 2019-04-04 2019-04-04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22255A1 (ko)
EP (1) EP3937554A4 (ko)
KR (1) KR20210148251A (ko)
CN (1) CN112997547B (ko)
WO (1) WO2020199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44212A (zh) * 2022-08-02 2024-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5356B (zh) * 2016-02-03 2022-07-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装置、第一接入节点和其中的方法
CN107371232B (zh) * 2016-05-13 2019-08-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同步信息的发送时间间隔的处理方法及装置
US10868588B2 (en) * 2017-06-01 2020-12-15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measurement
US10736166B2 (en) * 2017-08-04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node-to-node communication link operations in a wireless network
CN109428695B (zh) * 2017-08-24 2020-10-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测量间隙确定方法、用户终端和网络侧设备
CN109495925B (zh) * 2017-09-11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75177B (zh) * 2018-09-17 2020-09-08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iab基站接入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GB2582659B (en) * 2019-03-29 2021-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97547A (zh) 2021-06-18
WO2020199213A1 (zh) 2020-10-08
CN112997547B (zh) 2023-04-07
EP3937554A1 (en) 2022-01-12
EP3937554A4 (en) 2022-03-30
US20220022255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42775A1 (en) Method for nr radio link monitoring (rlm) and evaluation period determination
CN112313988B (zh) 一种测量控制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3924797A (zh) 一种测量间隔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
CN113170339A (zh) 一种测量间隔配置方法及装置、终端、网络设备
WO2019242154A1 (zh) 信息测量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9242712A1 (zh) 一种能力交互方法及相关设备
US20220046632A1 (en) Communication method in d2d system,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2023505943A (ja) Srsのパスロスrsの活性化又は更新方法及びデバイス
WO2022027489A1 (zh) 邻区测量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142337A1 (e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2425238B (zh) 侧行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185808A1 (zh) 小区同步方法及装置
US20220022255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US202101530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2133692A1 (zh) 状态切换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498136B (zh) 测量方法及装置
WO2021169380A1 (zh) 一种测量配置方法及设备
WO2022000301A1 (zh) 信号测量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2237024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056642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0248281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1491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20042976A1 (zh) 一种ui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5669045A (zh) 一种释放配置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CN117998542A (zh) 信号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